KR20090126126A -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126A
KR20090126126A KR1020080052310A KR20080052310A KR20090126126A KR 20090126126 A KR20090126126 A KR 20090126126A KR 1020080052310 A KR1020080052310 A KR 1020080052310A KR 20080052310 A KR20080052310 A KR 20080052310A KR 20090126126 A KR20090126126 A KR 2009012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oil
water
high pressure
poll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6126A/ko
Publication of KR2009012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2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oil-sand, oil-chalk, oil-shales, ozokerite, bitume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모래가 투입되는 공급호퍼; 공급호퍼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타르덩어리 형태의 유류오염물질을 부수고 모래와 자갈을 세척하는 제1고압분사노즐; 공급호퍼에서 낙하하는 오염된 모래에서 자갈을 선별하여 배출하고, 부서진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낙하시키는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 낙하하는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수집하는 수집조; 수집조에 수집된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압송하여, 강력한 와류에 의해 유류오염물질을 더욱 잘게 부수고 모래를 세척하는 모래이송펌프; 모래이송펌프의 동력에 의해 물과 모래 및 유류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나선형 공급관과, 모래와 물을 배출하는 하부의 배출관 및 나머지의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상부의 오버플로우관을 구비하는 동력 싸이클론; 오버플로우관에서 배출되는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수집하여 상하로 분리하는 유수분리탱크; 분리된 유류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유류저장탱크; 분리된 물을 저장하는 처리수탱크; 처리수탱크에 수집된 물을 고압으로 압송하는 처리수펌프; 동력 싸이클론의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와 물에서 모래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모래이송펌프, 동력 싸이클론, 유수분리탱크, 유류저장탱크, 처리수펌프

Description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FOR SAND CONTAMINATED BY O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치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공급호퍼 120: 제1고압분사노즐
130: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 140: 수집조
150: 모래이송펌프 160: 동력 싸이클론
170: 유수분리탱크 180: 유류저장탱크
190: 처리수탱크 210: 처리수펌프
220: 제2고압분사노즐 230: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
240: 제3고압분사노즐
본 발명은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안에 서 발생하는 유조선의 충돌이나 침몰 등과 같은 사고에 의해 유출된 원유 등과 같은 유류가 연안의 해수욕장 등으로 밀려옴에 따른 오염된 모래를 세척하여 깨끗한 모래와 유류오염물질로 분리하는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해상에서 운항되는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유류에 의한 해상환경오염문제가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단순히 기관을 구동하기 위한 소량의 연료유가 유출된 경우에도 문제가 아니라 할 수 없겠으나, 원유를 운반하는 대형유조선이 악천후로 인해 침몰하거나 충돌사고를 일으킴에 따라 대량의 원유를 유출하는 사고가 발생하면 단순히 피해영역이 주변지역에 국한되는 것이다 광범위하게 파급되어 막대한 피해를 양산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서해안 연안에서 발생한 충돌사고에 의해 유조선으로부터 막대한 양의 원유가 유출됨에 따라, 사고가 발생한 주변지역뿐만 아니라 수십 수백 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지역까지 원유에 의한 환경오염 영향이 전파되어 막대한 피해를 양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원유의 유출에 의한 피해의 형태로는 수질오염과 수중 생태계 교란을 야기하여 어패류를 오염시킴에 따라 연근해에서 이루어지는 수산업에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연안으로 떠밀려온 타르덩어리와 같은 유류오염물질이 해수욕장의 모래를 오염시키고 해안절벽에 달라붙어 오염시키는 등 해안환경을 폐허로 만듦에 따라 관광업에도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사고가 발생한 후, 막대한 인원의 자원봉사자가 투입되어 유류 오염물질 제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사고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는데 까지는 엄청난 시간이 필요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유류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흡수패드를 사용한 단순 인력에 의한 제거방법과,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거방법, 각종화학제에 의한 제거방법이 동원되고 있지만, 눈에 쉽게 띄는 부분만 어느 정도 제거되고 있을 뿐, 해수욕장의 모래와 같이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유류오염물질을 제거하기 힘든 경우도 존재하며, 이와 같은 모래의 오염은 자연정화능력에 의존할 경우 기약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 하겠다.
해수욕장과 같은 곳에 발생한 모래의 오염 형태를 살펴보면, 작은 입자의 모래와 타르가 덩어리 형태를 이룬 타르덩어리를 이룬 경우, 단순히 모래 입자에 타르가 붙어있는 경우, 모래와 함께 분포하던 자갈에 타르덩어리가 붙어있는 경우 등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유류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모래는, 단지 미관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부접촉시 피부병을 유발할 수 있는 등 인체에 유해할 수 있음에 따라, 피서철이면 많은 사람이 방문하던 해수욕장에 사람들이 찾지 않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그나마 찾아온 사람들에게 건강상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음에 따라, 시급하게 제거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타르덩어리와 같은 유류오염물질은 고압의 물에 의해 모래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며, 작은 덩어리로 부술 수 있다. 그러나, 호스와 고압펌프를 사용한 인력에 의존한 고압 살수방법으로 광대한 면적의 해수욕장에 분포하고 있는 오염된 모래를 세척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세척 후에도 모래와 타르덩어리가 뒤섞여 있는 상태가 될 뿐 서로 격리된 상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님에 따 라 제거효율 또한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한계성이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원유 유출로 인해 연안으로 밀려온 유류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모래를 세척하여 깨끗한 모래와 유류오염물질로 분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대량의 세척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류오염물질 제거효율 또한 우수한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류에 의해 오염된 모래를 세척하여 모래로부터 유류를 분리하는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로서,
유류에 의해 오염된 모래가 투입되는 공급호퍼;
상기 공급호퍼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투입되는 오염된 모래에 포함된 타르덩어리 형태의 유류오염물질을 부수고 모래와 자갈을 세척하는 제1고압분사노즐;
상기 공급호퍼로부터 물과 함께 낙하하는 오염된 모래에서 기준크기 이상의 자갈을 선별하여 배출하고, 부서진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낙하시키는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
상기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로부터 낙하하는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수집하는 수집조;
상기 수집조에 수집된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압송하여, 압송과정에서 강력한 와류에 의해 유류오염물질을 더욱 잘게 부수고 모래를 세척하는 모래이송펌프;
상기 모래이송펌프의 동력에 의해 분리된 상태의 물과 모래 및 유류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나선형 공급관과, 분급의 결과 하부에 모이는 모래와 물을 하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나머지의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상부의 오버플로우관을 구비하는 동력 싸이클론;
상기 동력 싸이클론의 오버플로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수집하여 비중차에 의해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상하로 분리하는 유수분리탱크;
상기 유수분리탱크에서 분리된 유류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유류저장탱크;
상기 유수분리탱크에서 분리된 물을 저장하는 처리수탱크;
상기 처리수탱크에 수집된 물을 상기 제1고압분사노즐로 고압으로 압송하는 처리수펌프;
상기 동력 싸이클론의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와 물을 공급받아 모래를 선별하여 배출하고, 물을 상기 수집조로 낙하시키는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를 향해 상기 처리수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고압을 물을 분사하여 선별 도중의 오염된 모래에 포함된 유류오염물질을 부수고 모래와 자갈을 세척하는 제2고압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를 향해 상기 처리수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고압을 물을 분사하여 선별 도중의 모래를 추가적으로 세척하는 제3고압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치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원유 유출사고 등에 의해 유출된 유류에 의해 오염된 모래를 세척하여 깨끗한 모래와 유류오염물질로 분리하는 것으로서, 유류에 의해 오염된 모래가 투입되는 공급호퍼(110)를 구비한다. 공급호퍼(110)는 상부에 넓은 투입구가 구비되고 하부에 좁은 배출구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휠로더나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통해 오염된 모래를 투입하거나, 별도의 컨베이어 장치(미도시)를 통해 오염된 모래를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공급호퍼(110)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투입되는 오염된 모래에 포함된 타르덩어리 형태의 유류오염물질을 부수고 모래와 자갈을 세척하는 제1고압분사노즐(120)을 포함한다. 제1고압분사노즐(120)은 후술하는 처리수탱크(190)에 수집된 다음 처리수펌프(210)에 의해 압송된 물을 공급받아,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세척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공급호퍼(110)로부터 물과 함께 낙하하는 오염된 모래에서 기준크기 이상의 자갈을 선별하여 배출하고, 부서진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낙하시키는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130)를 구비한다.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130)는, 예를 들어 5mm 간격의 선별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급호퍼(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입자크기가 선별스크린의 간격보다 큰 자갈만을 1차적으로 분리해내며, 공급호퍼(110)로 공급되는 모래와 뒤섞인 타르덩어리는 제1고압분사노즐(120)로부터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부서지게 됨에 따라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130)를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130)를 향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선별 도중의 오염된 모래에 포함된 유류오염물질을 부수고 모래와 자갈을 세척하는 제2고압분사노즐(2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고압분사노즐(220) 역시 후술하는 처리수탱크(190)에 수집된 다음 처리수펌프(210)에 의해 압송되는 물을 공급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집조(140)를 구비한다. 따라서,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130)로부터 낙하하는 자갈을 제외한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이 수집조(140)에 모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수집조(140)에 수집된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압송하는 모래이송펌프(150)를 구비한다. 이 모래이송펌프(150)는 내부에 강력한 와류를 발생시켜 압송과정에서 강력한 와류에 의해 유류오염물질 을 더욱 잘게 부수고 모래를 세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고압분사노즐(120)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 의한 세척 후에도 여전히 모래입자에 붙어있는 타르를 모래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모래이송펌프(150)의 동력에 의해 분리된 상태의 물과 모래 및 유류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나선형 공급관(161)과, 분급의 결과 하부에 모이는 모래와 물을 하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63) 및 나머지의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상부의 오버플로우관(165)을 구비하는 동력 싸이클론(160)를 구비한다. 동력 싸이클론(160) 내에서는 유동에 의한 부가적인 세척효과가 또한 발생하게 되며, 중력에 의한 분급이 발생하여, 약간의 물과 비중이 큰 모래는 하부의 배출관(163) 측으로 이동하여 배출관(163)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고, 나머지의 물과 유류오염물질은 상부의 오버플로우관(165)을 통해 배출된다. 즉, 실질적으로 동력 싸이클론(160)에서 모래와 유류오염물질이 분리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상기한 동력 싸이클론(160)의 오버플로우관(165)으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수집하는 유수분리탱크(170)를 구비한다. 이 유수분리탱크(170)에서는 유입된 물과 유류오염물질의 비중차에 의한 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이상의 유수분리탱크(170)에서 분리된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각각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유류저장탱크(180)와 처리수탱크(190)를 구비한다. 즉, 유수분리탱크(170)에서 비중차에 의해 분리된 상부의 유류오염물질은 유류저장탱크(180)에 수집되며, 유수분리탱크(170)에서 비중 차에 의해 분리된 하부의 물은 처리수탱크(190)에 수집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처리수탱크(190)에 수집된 물을 제1고압분사노즐(120)로 고압으로 압송하는 처리수펌프(210)를 구비한다. 또한, 이 처리수펌프(210)에 의해, 제2고압분사노즐(220) 및 후술하는 제3고압분사노즐(240) 역시, 고압의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처리수펌프(210)를 구비함에 따라, 물은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내에서 순환하게 되며, 후술하는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230)에서의 모래의 선별시에 모래와 함께 배출되는 정도의 물을 부가적으로 보충해주면 된다. 즉, 비교적 소량의 물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유류오염모래를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동력 싸이클론(160)의 배출관(163)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와 물을 공급받아 모래를 선별하여 배출하고, 물을 이상의 수집조(140)로 낙하시키는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230)를 구비한다.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230)는, 예를 들어 0.8mm 간격의 선별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선별기준이 되는 기준크기가 상기한 바와 같이 모래를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며, 따라서 세척된 깨끗한 모래는 별도로 배출하고 물은 다시 수집조(140)로 낙하시키게 된다. 참고로, 수집조(140)는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130)와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230)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추가적인 펌프가 필요한 점을 감안했을 때, 하나의 수집조(140)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경제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2차 선별스크린 유니 트(230)를 향해 고압을 물을 분사하여 선별 도중의 모래를 추가적으로 세척하는 제3고압분사노즐(2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고압분사노즐(240) 역시 상기한 처리수탱크(190)에 수집된 다음 처리수펌프(210)에 의해 압송되는 물을 공급받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중장비를 이용하여 유류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모래를 공급호퍼(110)를 통해 공급한다. 이때, 공급호퍼(110)에는 제1고압분사노즐(120)에 의해 고압의 물이 공급되는 상태이며, 따라서 타르덩어리는 부서지고, 모래와 자갈에 붙어있는 타르가 떨어져 나오는 세척효과가 발생한다.
공급호퍼(110)에서 낙하한 물과 유류오염물질 및 모래와 자갈 중에서 입자가 큰 자갈은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130)에서 선별적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하부에 위치하는 수집조(140)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제2고압분사노즐(220)에 의해 고압의 물이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130)로 분사되어, 타르덩어리를 더욱 잘게 부수고, 모래와 자갈을 재차 세척하게 된다.
수집조(140)로 낙하한 물과 유류오염물질 및 모래는 모래이송펌프(150)에 의해 동력 싸이클론(160)으로 압송되며, 이와 같은 압송과정에서 모래이송펌프(150) 내부에 생성되는 강력한 와류 유동의 영향을 받아 타르덩어리 형태의 유류오염물질은 더욱더 잘게 부서지고, 모래에 붙어있는 타르 또한 더욱 깨끗하게 떨어져 나오게 된다.
동력 싸이클론(160) 내부로 유입된 분리된 상태의 물과 유류오염물질 및 모래 중에서 비중이 큰 모래는 약간의 물과 함께 배출관(163)을 통해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230)로 낙하하게 된다.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230)에서는 선별과정을 거쳐 모래는 선별적으로 배출되고 물은 다시 수집조(140)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230)로 제3고압분사노즐(24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물이 공급되어 부가적인 세척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더욱 깨끗한 모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동력 싸이클론(160) 내부로 유입된 분리된 상태의 물과 유류오염물질 및 모래 중에서 비중이 작은 유류오염물질은 나머지의 물과 함께 오버플로우관(165)을 통해 유수분리탱크(170)로 수집된다. 유수분리탱크(170)에서 물과 유류오염물질은 비중차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며, 하부의 물은 별도의 배출관을 통해 처리수탱크(190)에 수집되고, 상부의 유류오염물질은 역시 별도의 배출관을 통해 유류저장탱크(180)에 수집된다.
처리수탱크(190)에 수집된 물은 처리수펌프(210)에 의해 압송되어 고압상태로 제1고압분사노즐(120), 제2고압분사노즐(220) 및 제3고압분사노즐(240)에 공급되어 다시 세척용도로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오염된 모래는 한 번의 세척과정을 거치는 동안 최대 4회,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 또는 물의 유동에 의한 세척과정을 거치게 되며, 따라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모래는 유류오염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된 깨끗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를 이용한 유류오염모래 처리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압의 물과 강력한 와류 유동에 의한 세척작용 및 분리작용을 이용함에 따라 부차적인 환경파괴를 유발하지 않는다.
그리고,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보통 하루에 수천 입방미터 정도에 해당하는 대량의 오염된 모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세척과정에서 해수욕장 모래에 기존에 포함되어 있던 자갈을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해수욕장 모래를 오염이전의 상태보다도 더욱 질적으로 개선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아울러, 세척에 사용되는 물은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방식으로 재활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양의 물 보충으로도 효과적인 세척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는 트레일러와 같은 이동가능한 장비에 집적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하면서 유류오염모래를 세척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한 세척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함과 더불어 부차적인 환경파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대량의 오염된 모래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세척과정에서 해수욕장 모래에 기존에 포함되어 있던 자갈을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해수욕장 모래를 오염이전의 상태보다도 더욱 질적으로 개선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등 다양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유류에 의해 오염된 모래를 세척하여 모래로부터 유류를 분리하는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로서,
    유류에 의해 오염된 모래가 투입되는 공급호퍼;
    상기 공급호퍼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투입되는 오염된 모래에 포함된 타르덩어리 형태의 유류오염물질을 부수고 모래와 자갈을 세척하는 제1고압분사노즐;
    상기 공급호퍼로부터 물과 함께 낙하하는 오염된 모래에서 기준크기 이상의 자갈을 선별하여 배출하고, 부서진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낙하시키는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
    상기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로부터 낙하하는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수집하는 수집조;
    상기 수집조에 수집된 유류오염물질과 모래 및 물을 압송하여, 압송과정에서 강력한 와류에 의해 유류오염물질을 더욱 잘게 부수고 모래를 세척하는 모래이송펌프;
    상기 모래이송펌프의 동력에 의해 분리된 상태의 물과 모래 및 유류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나선형 공급관과, 분급의 결과 하부에 모이는 모래와 물을 하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나머지의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상부의 오버플로우관을 구비하는 동력 싸이클론;
    상기 동력 싸이클론의 오버플로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수집하여 비중차에 의해 물과 유류오염물질을 상하로 분리하는 유수분리탱크;
    상기 유수분리탱크에서 분리된 유류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유류저장탱크;
    상기 유수분리탱크에서 분리된 물을 저장하는 처리수탱크;
    상기 처리수탱크에 수집된 물을 상기 제1고압분사노즐로 고압으로 압송하는 처리수펌프;
    상기 동력 싸이클론의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와 물을 공급받아 모래를 선별하여 배출하고, 물을 상기 수집조로 낙하시키는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별스크린 유니트를 향해 상기 처리수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고압을 물을 분사하여 선별 도중의 오염된 모래에 포함된 유류오염물질을 부수고 모래와 자갈을 세척하는 제2고압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선별스크린 유니트를 향해 상기 처리수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고압을 물을 분사하여 선별 도중의 모래를 추가적으로 세척하는 제3고압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KR1020080052310A 2008-06-03 2008-06-03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KR20090126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310A KR20090126126A (ko) 2008-06-03 2008-06-03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310A KR20090126126A (ko) 2008-06-03 2008-06-03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126A true KR20090126126A (ko) 2009-12-08

Family

ID=4168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310A KR20090126126A (ko) 2008-06-03 2008-06-03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612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4265A (zh) * 2013-02-06 2013-05-08 北海高岭科技有限公司 一种选矿制浆设备
CN104230029A (zh) * 2014-09-29 2014-12-24 重庆大学 浓缩一体化砂水分离装置
KR101533924B1 (ko) * 2014-05-07 2015-07-06 (유) 이지테크 폐목재의 재활용을 통한 우드펠릿 제조 방법
KR101651375B1 (ko) * 2015-11-13 2016-08-26 한국광해관리공단 중금속 오염 토양용 정화장치
CN112877094A (zh) * 2021-01-12 2021-06-01 西南石油大学 一种油砂多级分离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4265A (zh) * 2013-02-06 2013-05-08 北海高岭科技有限公司 一种选矿制浆设备
KR101533924B1 (ko) * 2014-05-07 2015-07-06 (유) 이지테크 폐목재의 재활용을 통한 우드펠릿 제조 방법
CN104230029A (zh) * 2014-09-29 2014-12-24 重庆大学 浓缩一体化砂水分离装置
KR101651375B1 (ko) * 2015-11-13 2016-08-26 한국광해관리공단 중금속 오염 토양용 정화장치
CN112877094A (zh) * 2021-01-12 2021-06-01 西南石油大学 一种油砂多级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909B1 (ko) 유류에 오염된 토사석의 복원방법 및 그 장치
KR101545231B1 (ko) 오염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20090126126A (ko) 유류오염모래 세척장치
KR101396416B1 (ko) 열 변형 파쇄를 이용한 복합오염 토양의 유류와 중금속 동시 탈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988942B1 (ko)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JPWO2015137484A1 (ja) 超微細気泡含有液体を用いる超微細気泡洗浄方法、その装置及び加圧浮上装置
US20090057217A1 (en) Apparatus for contaminant recovery
WO2011063463A1 (en) Cuttings wash apparatus and method
US5637152A (en) Soil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460629B1 (ko) 토양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토양세척장치
JP4697719B2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分離装置
US20170355001A1 (en) 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oil remediation
KR20050031104A (ko)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CN217700633U (zh) 用于土壤净化的模块型清洗装置
CA2804656A1 (en) Bulk cleaning system
KR20090107224A (ko) 해변의 오염된 흙의 기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102395318B1 (ko)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KR100851280B1 (ko) 오염토양 세척장치
CA2502599C (en) Partially immersed parallel array interdigitating-impellers type liquid flotation separator
KR1019292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침적물분쇄장치
JP3122574U (ja) ペットボトル破片粉砕機
CN218115240U (zh) 一种含油污泥分级除杂流化系统
TWI841079B (zh) 土壤水洗脫污設備與土壤水洗脫污方法
KR102632522B1 (ko) 플라스틱 선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