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957A -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957A
KR20090125957A KR1020080052059A KR20080052059A KR20090125957A KR 20090125957 A KR20090125957 A KR 20090125957A KR 1020080052059 A KR1020080052059 A KR 1020080052059A KR 20080052059 A KR20080052059 A KR 20080052059A KR 20090125957 A KR20090125957 A KR 20090125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t
failure
optical
optical subscrib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경
최영우
이승탁
정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5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5957A/ko
Publication of KR2009012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1Fault location on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다수의 광가입자접속장치(optical network terminal, ONT)를 포함하는 수동광분기망(PON)에서 전송로 및 원격지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장애를 판별하고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은 (a) 하나 이상의 광가입자접속장치(optical network terminal, ONT)로부터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의 광수신기의 상태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의 상태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닌 경우,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모든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스플리터(splitter) 사이의 구간, 상기 스플리터와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구간 및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어느 곳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더넷 수동광분기망, 장애 검출

Description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FAULT A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본 발명은 수동광분기망(passive optical network, PON)에서의 장애 검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광가입자접속장치(optical network terminal, ONT)를 포함하는 수동광분기망(PON)에서 전송로 및 원격지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장애를 판별하고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동광분기망(PON)은 하나의 광대역국사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에 다수의 광가입자접속장치(ONT)를 수동 분배기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트리 구조의 분산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가입자 망 구조이다. 따라서, 수동광분기망(PON)은 전체적인 광 선로의 길이를 줄이고 수동 광 소자만을 사용함으로써 신뢰성이 높고 저렴한 액세스 망을 구축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가입자간 신호를 결합하고 다중화하여 고속 기간망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수동형 광분기망(PON) 기술은 광대역국사장치(OLT)에서 그룹형 수신단 말(ONU) 또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이르는 전 구간을 순수 광케이블망으로 구축하되,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수동형 부품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전기 공급, 설비보호를 위한 별도 시설을 둘 필요가 없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수동광분기망(PON)의 종류로는 APON(ATM-PON), GPON(Gigabit-capable PON), EPON(Ethernet-PON), WDM-PON(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ON) 등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거나 현재 개발 중에 있으며, 이 중에서도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은 널리 퍼져있는 이더넷(Ethernet) 기술을 사용하고, 낮은 이더넷 장비 비용과 낮은 광 기반 비용을 제공하기 때문에 광대역 고속 가입자망에서 점점 더 매력적인 해법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은 광섬유 한 가닥만으로도 인터넷이나 인터넷 TV, 디지털 TV, 전화 등 각종 통신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의 댁내광가입자망(이하, FTTH라 칭함)에 접속이 가능한 제어칩 기술이다. 이러한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 기술은 특히 전화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범위도 반경 20㎞로 넓어서 설비원가 및 비용 측면에서 FTTH 방식 중 가장 우수해 차세대 인터넷을 주도할 유력한 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상기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 기술은 그 동안 병목구간으로 지목되어온 가입자망에서 음성, 데이터, 방송 등을 모두 수용하는 광대역 서비스가 가능하며, 디지털 홈의 구축 및 활성화에도 일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 시스템에서의 하향 데이터 흐름 및 상향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 시스템에서는 트리 모양의 물리적 연결 특성으로 인해 외부 망에서 가입자로의 하향 전송 흐름은 점 대 다점(point to multipoint) 방식으로 광대역국사장치(OLT)로부터 모든 광망종단장치(optical network unit, ONU)들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된다.
반면에, 가입자들로부터 외부 망으로의 상향 전송 흐름은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광가입자접속장치(ONT)와 광대역국사장치(OLT) 간의 점대점(point to point)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분산된 각각의 광가입자접속장치(ONT)가 하나의 광대역국사장치(OLT)에 충돌 없이 데이터를 전달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서는 다수의 광가입자접속장치(ONT)가 하나의 광대역국사장치(OLT)로 상향 대역 접근을 위한 대역 할당 방식으로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광대역국사장치(OLT)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상태 정보를 항상 수집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정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LT)는 장애 정보를 수집하여 장애의 등급에 따라 로그 파일에 기록하고 가청경보를 운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구간을 판단하고, 장애를 신속히 해결하여 지속적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리 시스템, 특히 장애를 판별하고 해결하는 시스템이 중요하다.
종래의 한국공개특허 제2006-0104127호는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의 링크 성능을 감시하고 링크의 활성화 상태를 진단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고, 한국공개특 허 제2007-0057549호는 이더넷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광 링크 터미널 시스템의 정보 로깅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관리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경우,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서 발생한 장애가 어느 구간에서 발생하였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 시스템에서 전송로 및 원격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구간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a) 하나 이상의 광가입자접속장치(optical network terminal, ONT)로부터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의 광수신기의 상태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의 상태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닌 경우,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모든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스플리터(splitter) 사이의 구간, 상기 스플리터와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구간 및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어느 곳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광가입자접속장치(optical network terminal, ONT)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관리부, 수동광분기망(PON)(passive optical network) 구간의 물리적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상태 감시부,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수동광분기망(PON) 구간의 물리적 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장애를 판별하는 장애 판별부 및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 판별부는 상기 송수신부의 상태가 온(on)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지 여부 및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스플리터(splitter) 사이의 구간, 상기 스플리터와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구간 및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발생한 장애를 검출하는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의 발생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에서 원격지 또는 광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LT)의 송수신기의 상태 및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 발생 구간을 용이하게 검출하고, 이를 운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110)에서, 광대역국사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가 광가입자접속장치(optical network terminal, ONT)로부터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을 수신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OAM은 운용자가 망의 링크 상태를 검사하거나 링크 장애시 장애 발생 지점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해주는 링크 진단 기능이다. OAM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루프백 기능, 링크 감시 기능, 원격 장애 감지 기능을 포함한다.
광대역국사장치(OLT)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와 주기적으로 OAM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동작 여부를 알 수 있다. 즉, 광가입자접속장치(ONT)는 자신의 정상 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광대역국사장치(OLT)에게 통보 하고, 광대역국사장치(OLT)는 일정 주기로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정상 동작 여부를 지속적으로 보고받음으로써 각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동작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대역국사장치(OLT)가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OAM을 수신하는 경우,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광가입자접속장치(ONT) 또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와 광대역국사장치(OLT) 사이의 구간 중 장애가 발생한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LT)는 OAM을 수신할 수 없으므로, 이 경우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의 특정 구간 또는 특정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단계(S110)에서 광대역국사장치(OLT)가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OAM을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가 계속하여 온(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광대역국사장치(OLT)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신호에 따라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의 상태가 온(on) 및 오프(off)로 변한다. 즉, 수신한 신호가 하이(high)의 값을 갖는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 수신기의 상태는 온(on)이 되고, 수신한 신호가 로우(low)의 값을 갖는 경우, 광 수신기의 상태는 오프(off)가 된다.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불필요한 데이터(garbage data)가 발생하여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수신한 신 호에 이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는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계(S120)에서는,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 수신기가 계속하여 온(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단계(S120)에서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가 계속하여 온(on) 상태인 경우,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장애가 발생하여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가 수신하는 신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LT)는 어떠한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OAM도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단계(S120)에서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가 계속하여 온(on) 상태인 경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S140)에서는, 단계(S120)에서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가 계속하여 온(on) 상태가 아닌 경우, 광 선로 상의 장애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우선 전체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S140)에서,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광대역국사장치(OLT)로 신호가 전혀 수신되지 않는지, 다시 말해 스플리터(splitter)로부터 광대역국사장치(OLT)로 신호가 전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플리터의 경우에는 수동 소자이므로 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으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모두의 전원이 오프(off)되었거나, 스플리터와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모든 선로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은 매우 낮기 때문에, 광대역국사장치(OLT)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스플리터와 광대역국사장치(OLT) 사이의 선로에 장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단계(S140)에서는 이처럼 장애가 발생한 선로 구간을 검출하기 위하여 일단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전체로부터 광대역국사장치(OLT)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것의 판단은 스플리터(splitter)로부터 광대역국사장치(OLT) 사이의 선로의 장애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는, 단계(S140)에서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가입자접속장치(ONT)와 스플리터(splitter) 사이의 광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S120)에서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광대역국사장치(OLT)가 스플리터(splitter)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므로, 스플리터(splitter)와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가 온(on) 및 오프(off)를 반복하고, 광대역국사장치(OLT)가 스플리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플리터(splitter)와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플리터(splitter)와 연결된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광대역국사장치(OLT)로 OAM이 수신되지 않은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단계(S160)에서는, 단계(S140)에서 전체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스플리터(splitter) 사이의 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어떠한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도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이는 모든 신호가 통과하는 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것이며, 따라서,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스플리터(splitter) 사이의 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70)에서, 단계(S130), 단계(S150) 또는 단계(S160)에서 판단한 장애 발생 구간의 결과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서 장애 발생 구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은 광대역국사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100), 스플리터(splitter)(200) 및 n개(n은 자연수)의 광가입자접속장치 (optical network terminal, ONT)(3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광대역국사장치(OLT)(100)로 OAM가 수신되지 않고,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가 계속하여 온(on) 상태인 경우, 광가입자접속장치(ONT)(300) 중 일부 또는 전체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광대역국사장치(OLT)(100)의 광수신기가 계속하여 온(on) 상태가 아니며,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스플리터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스플리터(200)와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선로(500) 중 OAM이 수신되지 않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와의 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광대역국사장치(OLT)(100)의 광수신기가 계속하여 온(on) 상태가 아니며, 전체의 광가입자접속장치(ONT)(3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LT)(100)와 스플리터(200) 사이의 선로(4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서 장애 발생 검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서의 장애 발생 검출 시스템은 상태 정보 관리부(110), 장애 판별부(120), 상태 감시부(130) 및 송수신부(140)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 관리부(110)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도시 생략)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즉, 상태 정보 관리부(110)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상태 정보 관리부(110)는 저장한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상태 정보를 장애 판별부(130)로 전송한다.
상태 감시부(120)는 수동광분기망(PON) 구간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상태 변화에 대해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태 감시부(120)는 수동광분기망(PON) 구 간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상태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 변환에 대한 신호를 장애 판별부(130)로 전송한다.
장애 판별부(130)는 상태 정보 관리부(110)로부터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태 감시부(120)로부터 수동광분기망(PON) 구간에서의 물리적 변화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장애 판별부(130)는 수신한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상태 정보 및 수동광분기망(PON) 구간에서의 물리적 변화를 비교하여 장애를 판별하고, 장애가 발생된 경우 장애 경보를 수행하고 운용자에게 장애를 통보한다.
장애가 발생한 구간을 검출하기 위해, 장애 판별부(130)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OAM을 수신하였는지 여부, 송수신부(140)의 상태가 온(on)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지 여부 및 어떠한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장애 판별부(130)는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스플리터(splitter) 사이의 선로, 스플리터와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선로 및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발생한 장애를 검출할 수 있다.
송수신부(140)는 광대역국사장치(OLT)와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송수신부(140)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와의 OAM의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송수신부(140)는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 정보 관리부(110)로 전송하 고, 수동광분기망(PON) 구간에서의 물리적 변화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 감시부(1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각각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 시스템에서의 하향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각각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 시스템에서의 상향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서 장애 발생 구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수동광분기망(EPON)에서 장애 발생 검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Claims (9)

  1.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광가입자접속장치(optical network terminal, ONT)로부터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광대역국사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의 광수신기의 상태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의 광수신기의 상태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닌 경우,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모든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스플리터(splitter) 사이의 구간, 상기 스플리터와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구간 및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어느 곳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 발생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광수신기의 상태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장애 발생 검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일부의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OAM이 수신되지 않은 광가입자접속장치(ONT)와 상기 스플리터 사이의 구간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장애 발생 검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모든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상기 스플리터 사이의 구간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장애 발생 검출 방법.
  5.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의 발생을 검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광가입자접속장치(optical network terminal, ONT)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관리부,
    수동광분기망(PON)(passive optical network) 구간의 물리적 상태 변화를 검 출하는 상태 감시부,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수동광분기망(PON) 구간의 물리적 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장애를 판별하는 장애 판별부 및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 판별부는 상기 송수신부의 상태가 온(on)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지 여부 및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스플리터(splitter) 사이의 구간, 상기 스플리터와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사이의 구간 및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발생한 장애를 검출하는 것인 장애 발생 검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기의 상태가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장애 판별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가입자접속장치(ONT)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장애 발생 검출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일부의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장애 판별부는 상기 OAM이 수신되지 않은 광가입자접속장치(ONT)와 상기 스플리터 사이의 구간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장애 발생 검출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입자접속장치(ONT) 중 모든 광가입자접속장치(ONT)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애 판별부는 상기 광대역국사장치(OLT)와 상기 스플리터 사이의 구간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장애 발생 검출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판별부는 판별된 장애에 대한 장애 경보를 수행하는 것인 장애 발생 검출 시스템.
KR1020080052059A 2008-06-03 2008-06-03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25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059A KR20090125957A (ko) 2008-06-03 2008-06-03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059A KR20090125957A (ko) 2008-06-03 2008-06-03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957A true KR20090125957A (ko) 2009-12-08

Family

ID=4168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059A KR20090125957A (ko) 2008-06-03 2008-06-03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5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946A (ko) * 2014-12-15 2017-08-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불량 광 네트워크 유닛을 검출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946A (ko) * 2014-12-15 2017-08-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불량 광 네트워크 유닛을 검출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1932B2 (en) Management system for GPON based services
EP18410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enance of a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584383B1 (ko) 광선로가입자장치들의 링크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광선로종단장치 및 이를 적용한 기가비트 이더넷 기반의수동 광가입자망
US8655168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maintenance method, an optical network unit, and an optical line terminal
KR101825688B1 (ko) 로그 onu를 검출하는 방법, olt 및 pon 시스템
US8355629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a power failure
US8285139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alarms in long-reach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KR100833504B1 (ko) 단일 스프리터를 이용한 pon 부분 이중 보호 스위칭장치 및 방법
US200900106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faults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US8774623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 in optical network terminal
US7809262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determining physical layer failures
KR101790698B1 (ko)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의 광선로 장애 검출 장치 및 방법
US8606100B2 (en) WDM-TDM PON remote terminal and WDM-TDM PON link protection system
JPWO2010023721A1 (ja) Ponシステムおよび冗長化方法
US2005019827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vity testing
US5790293A (en) Systems for monitoring optical path characteristics in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5760940A (en) Methods for monitoring optical path characteristics in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20090125957A (ko) 이더넷 수동광분기망에서 장애 발생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0915317B1 (ko) 광망 종단장치 및 이의 광송수신부 전원제어방법
KR101251302B1 (ko) Pon 시스템 및 그에 대한 ont 이상 검출 방법
KR20040101173A (ko) 파장 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의 보호 복구 장치및 그 방법
KR102034268B1 (ko) 예비회선을 제공하는 wdm 기반 pon 거리 확장 장치
KR20080084144A (ko) 수동광분기망 시스템 및 그 원격 장애 검출 및 해제 방법
KR101078054B1 (ko) 시간분할다중화방식의 수동광가입자망에서 비정상적인 가입자 단말을 제어하는 광선로 종단 장치 및 방법
KR20090132730A (ko) 광케이블 중계 구간 장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