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046A - Boot shape maintaining body - Google Patents

Boot shape maintaining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046A
KR20090125046A KR1020097015998A KR20097015998A KR20090125046A KR 20090125046 A KR20090125046 A KR 20090125046A KR 1020097015998 A KR1020097015998 A KR 1020097015998A KR 20097015998 A KR20097015998 A KR 20097015998A KR 20090125046 A KR20090125046 A KR 20090125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shape
main body
inner bottom
shape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카후미 쿠리타
아츠시 후카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네도비지네스홧숀프란닝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네도비지네스홧숀프란닝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네도비지네스홧숀프란닝구
Publication of KR2009012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0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14Stretching or spreading lasts; Boot-trees; Fillers; Device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shoe
    • A43D3/1416Boot-tre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Abstract

A boot shape maintaining body maintains a boot in a specific shape and can open an inner bottom section of the boot to outside air while maintaining the shape, removing bad odor from the inner bottom section. The boot shape maintaining body (1) is inserted into a trunk tube section (21) of a boot (3) and maintains the shape of the trunk tube section (21). The boot shape maintaining body (1) has a body section (30) constructed by forming a plastic sheet (10), in which gas is previously sealed, into a circular tube shape, and further has a through hole (42b)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a side wall surface of the body section (30) or, alternatively, has a groove section (42a)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body section (30). The body section (30) has a constant shape formed by gas.

Description

부츠 형상 유지체{BOOT SHAPE MAINTAINING BODY}Boot shape holder {BOOT SHAPE MAINTAINING BODY}

본 발명은 부츠를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부츠 형상 유지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t shape retainer for maintaining the boots in a constant shape.

롱 부츠 등을 벗고 현관 등에 놓은 상태에서, 부츠의 몸통부가 쉽게 꺾여버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해 두면, 몸통부에서의 꺾인 부위에서 주름이 생기고, 나아가서는 형태 붕괴를 일으켜버릴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부츠를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몸통부가 꺾이지 않도록 하여 보관할 필요가 있다. Take off the long boots and put them on the porch, the body of the boots easily bent. If left in such a state for a long time, wrinkles may occur at the bent portion on the trunk, and furthermore, shape collapse may occur. For this reason, when a boot is not used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store it so that a torso may not be bent.

종래에서는, 이러한 부츠의 몸통부에서의 꺾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츠 키퍼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부츠 키퍼는 부츠의 몸통부에 삽입하여 몸통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몸통부의 발목관절 부근에 생긴 주름을 밀어 펴기 위한 주름 펴기 부재를 가지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의 개시 기술에서는, 압축공기 주입·배출용 밸브로부터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부츠의 몸통부 내에서 팽출 가능한 외형을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제 자루체에 의해 구성한 형상 유지구도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개시 기술에서는, 압축공기의 충전에 의해 자루체를 팽출 가능하므로, 이것을 부츠 몸통부에 삽입해 놓음으로써, 부츠는 꺾이지 않고, 또한 자립하여 쓰러지는 일도 없기 때문에, 그 형상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e bending in the trunk | drum of such a boot, a boot keeper is prop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The boot keeper is inserted into the torso of the boot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orso. The boot keeper has a wrinkle-unfolding member for pushing out wrinkles formed near the ankle joint of the torso. In addition,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a shape retainer constituted by a transparent plastic bag having an external shape that can be expanded in a trunk portion of a boot by injecting air from a compressed air injection / exhaust valve is also proposed. . In the disclosed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bag can be expanded by filling with compressed air, by inserting this into the boot body, the boot is not bent and it does not stand on its own. Can contribute.

그런데, 발을 삽입하는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에 이르기까지의 부츠 내측 바닥부는 발바닥으로부터의 땀을 흡수해버린다. 이러한 부츠를 신고 계속 걸으면 마찰이 가해져, 부츠 내의 온도가 상승하고, 땀에 의한 잡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내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잡균을 번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측 바닥부의 습기를 방출해야 한다. By the way, the boot inner bottom part from the heel to which a foot is inserted to a tiptoe absorbs the sweat from a sole. If you keep wearing these boots, friction is applied to them, which increases the temperature in the boots, and causes a variety of sweat bacteria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is easy to breed. In order not to propagate these germs, the moisture of the inner bottom must be released.

그렇지만, 이 특허문헌 1의 개시 기술의 부츠 키퍼는 몸통부보다 긴 포대를 봉입한 기둥 형상으로 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부츠 키퍼를 부츠의 몸통부에 삽입하면, 상기한 내측 바닥부가 외기로부터 밀폐된 상태로 된다. 특허문헌 2의 개시 기술도, 자루체를 부츠 몸통부 내에서 팽출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부츠 내측 바닥부가 외기로부터 밀폐된 상태가 된다. However, the boot keeper of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configured to have a pillar shape in which a bag longer than the trunk portion is sealed. When the boot keep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boot, the inner bottom is sealed from the outside air. Since the opening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2 also has a structure which expands a bag body in a boot trunk part, the boot inner bottom part is similarly sealed from the outside air.

그 결과, 부츠 내측 바닥부에서의 습기를 방출할 수 없어, 잡균의 번식의 원인이 되어, 악취를 내는 원인도 되고 있었다. As a result, moisture in the boot inner bottom could not be released, and it was a cause of propagation of various germs, which also caused a bad smell.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5-691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6915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2-223813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23813

(발명의 개시)(Initiation of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Task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부츠를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그 동안에 부츠 내측 바닥부와 외기를 개방 가능하게 함으로써, 당해 내측 바닥부로부터의 악취를 제거 가능한 부츠 형상 유지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maintain the boot in a constant shape, and to open the boot inner bottom and the outside air in the meantime, thereby allowing the inner bottom part to open. It is providing the boot-shaped holder which can remove the bad smell from.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task)

본원 청구항 1에 따른 부츠 형상 유지체는 부츠의 몸통부에 삽입됨으로써 당해 몸통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부츠 형상 유지체에 있어서, 미리 기체가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시트를 원통 형상으로 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벽면 하부에 설치된 관통구멍, 또는 상기 본체부의 측벽 하단에 형성된 구성으로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봉입된 상기 기체에 의해 정형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ot-shaped holder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ot-shaped holder for maintaining a shape of the trunk by being inserted into a trunk portion of a boot,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of a plastic sheet in which a body is sealed in advance, and the main body. The through-hol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part, or the configuration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the gas encapsulated.

본원 청구항 2에 따른 부츠 형상 유지체는,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서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관통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boot-shaped holder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invention of claim 1, at least one small through hole is furthe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는, 정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몸통부는 꺾이지 않고, 또한 자립하여 쓰러지지도 않기 때문에, 그 형상을 직립시킨 상태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또한 홈부 및 관통구멍의 존재에 의해, 부츠 내측 바닥부와 외기를 개방 가능하게 함으로써, 당해 내측 바닥부로부터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body portion is formed, the trunk portion does not bend and does not stand on its own and falls down, so that the shape can be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Moreover,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dor from the said inner bottom part b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enabling opening of the boot inner bottom part and external air by presence of a groove part and a through hole.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로서의 부츠 형상 유지체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ot-shaped holder as a first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플라스틱 시트 상에 배치시킨 공기실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air chamber arrange | positioned on a plastic sheet.

도 3은 통 형상으로 구성된 부츠 형상 유지체를 실제로 부츠에서의 몸통부에 삽입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boot-shaped hold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actually inserted into a trunk portion of a boot.

도 4는 부츠 형상 유지체의 수평 단면도이다. 4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boot shape holder.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형태로서의 부츠 형상 유지체의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ot-shaped holder as a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7은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쌍방의 기술적 사상을 받아들인 부츠 형상 유지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boot shape holder which accepted the technical idea of both 1st Embodiment and 2nd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형태로서의 부츠 형상 유지체의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ot-shaped holder as a thir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부츠 형상 유지체를 실제로 몸통부에 삽입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which actually inserted the boot-shaped holder in 3rd Embodiment to the trunk | drum.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부츠 형상 유지체1 Boot Shape Holder

2 부츠2 boots

10 플라스틱 시트10 plastic sheets

11 공기실11 air chamber

13 관통구멍13 through hole

21 몸통부21 Torso

23 내측 바닥부23 Inner bottom

24 발뒤꿈치부24 heel

30 본체부30 body

31 관통구멍31 through hole

32 돌출부32 protrus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서, 부츠를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부츠 형상 유지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s a best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the boot shape holder for holding a boot in a fixed shape is demonstrat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제 1 실시형태1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로서의 부츠 형상 유지체(1)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부츠 형상 유지체(1)는 주로 플라스틱 시트(10)를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하여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ot-shaped holder 1 as a first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is boot-shaped holder 1 is mainly comprised by connecting the plastic sheet 10 roundly in a cylindrical shape.

이 플라스틱 시트(10)는 통기성이 없는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이다. 덧붙여서, 이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이외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부터 적당하게 선 택하도록 해도 된다. The plastic sheet 10 is a thermoplastic resin sheet such as polyethylene having no air permeability. In addition, as this thermoplastic resin, you may select suitably from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nylon, vinyl chloride, polycarbonate, etc. other than polyethylene.

이 플라스틱 시트(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기체가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상하방향(y)으로 가늘고 긴 스트립 형상의 공기실(11)을 폭방향(x)으로 줄 모양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공기실(11)은 플라스틱 시트(10)를 장방형의 시트 2장에 의해 구성하고, 이것들을 서로 포개고 열압착을 상하방향으로 행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인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어떠한 주지의 방법에 의해 이것을 구체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이 도 2의 예에서, 공기실(11)은 플라스틱 시트(10)의 표면(10b)에서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기실(11)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표면상에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is plastic sheet 10 arrange | positions the air chamber 11 of strip shape long and thin in the up-down direction y in which gas is previously sealed in the form of a line in the width direction x. The air chamber 11 is constituted by forming the plastic sheet 10 by two rectangular sheets, and superimposing them on each other and performing thermal compres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You may actualize this by a method. In addition, in this example of FIG. 2, the air chamber 11 is formed in the surface 10b of the plastic sheet 1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air chamber 11 is comprised so that it may protrude in convex shape on the surface when it sees in cross section.

이러한 플라스틱 시트(10)를 제작한 후, 이것을 폭방향(x)으로 둥글게 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실(11)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시트(10)의 표면(10b)이 내벽측에 위치하도록 폭방향(x)으로 둥글게 뭉쳐지게 된다. 그리고, 이 폭방향(x)의 단부는 서로 연결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3)이 형성되게 된다. After producing such a plastic sheet 10, it is rounded in the width direction x.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the surface 10b of the plastic sheet 10 in which the air chamber 11 is formed is rounded together in the width direction x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inner wall side. And the edge part of the width direction x is mutually connected, and is comprised in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through-hole 13 penetrating in an up-down direction is formed.

이 때, 플라스틱 시트(10)에서의 이면(10a)에는, 공기실(11)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평활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라스틱 시트(10)를 둥글게 할 때는, 이 이면(10a)이 외측, 또 공기실(11)이 설치된 표면(10b)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air chamber 11 is not formed in the back surface 10a of the plastic sheet 10, and is comprised by the smooth surface. For this reason, when the plastic sheet 10 is rounded, this back surface 10a can be made into the outer side, and the surface 10b in which the air chamber 11 was provided can become inside, and it can be comprised easily in a cylindrical shape. .

이 통 형상으로 구성된 부츠 형상 유지체(1)를 실제로 사용할 때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츠(2)에서의 몸통부(21)에 이것을 삽입한다. 그 결과, 부츠 형상 유지체(1)를 구성하는 공기실(11)은, 도 4에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다른 공기실(11)과의 사이에서 서로 압박되게 된다. 이 공기실(11)끼리의 압박에 의해, 공기실(11)은 외측을 향하여 밀어내려고 하는 팽창력(f)이 작용하게 된다. 부츠 형상 유지체(1)의 외측은 삽입한 몸통부(21)의 내벽면과 외접해 있는데, 공기실(11) 간의 압박에 기초하는 팽창력(f)이 당해 몸통부(21)에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몸통부(21)에는, 항상 외측으로 직경확장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므로, 부츠(2)에서의 몸통부(21)는 꺾이지 않고, 또한 자립하여 쓰러지는 일도 없기 때문에, 그 형상 유지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부츠 형상 유지체(1)를 몸통부(21)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특히 전시품으로서 진열 등을 행할 때에 있어서, 자연스럽게 자립해 있는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주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When actually using the boot-shaped holder 1 constituted by the tubular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boot-shaped holder 1 is inserted into the trunk portion 21 of the boot 2. As a result, the air chambers 11 constituting the boot-shaped holder 1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with the adjacent air chambers 11, as shown in the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n in FIG. By the press of these air chambers 11, the expansion force f which tries to push the air chamber 11 toward an outer side acts. The outer side of the boot-shaped holder 1 is circumscribed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erted trunk portion 21, and an expansion force f based on the pressure between the air chambers 11 is applied to the trunk portion 21. . As a result, since the force which always tries to expand the diameter to the trunk | drum 21 always acts, the trunk | drum 21 in the boots 2 does not bend and does not stand on its own, and it is large in maintaining the shape.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boot-shaped holder 1 without protruding from the trunk portion 21, and in particular, it is also possible to give the consumer an image that is naturally self-supporting when displaying as a display. Done.

또한 공기실(11)끼리의 압박에 의해, 원하는 팽창력(f)이 작용하도록, 공기실(11)의 용적, 사이즈, 위치, 간격, 배치개수, 형상 등이 미리 조정되어 있다. 각 공기실(11)모두, 안정한 팽창력(f)를 발휘시키기 위하여, 이들 사이즈, 용적 등의 각 치수는 균등하게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기실(11)은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연속된 공간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공기실(11) 사이를 서로 연속시키는 경우에는, 공기실(11) 간을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등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Moreover, the volume, size, position, space | interval, arrangement | positioning number, shape, etc. of the air chamber 11 are previously adjusted so that the desired expansion force f may act by the press of the air chambers 11 comrades. In order to exert stable expansion force f in all the air chambers 11, it is preferable that each dimension, such as these sizes and a volume, is adjusted so that it may become uniform. In addition, the air chamber 11 may be comprised as mutually independent space, and may be comprised as mutually continuous space. In the case where the air chambers 11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a bypass or the like for connecting the air chambers 11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덧붙여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츠(2)의 몸통부(21)가 유선형을 그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통부(21) 에 부츠 형상 유지체(1)를 삽입하면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실(11)의 기체는 몸통부(21)에서의 움푹 들어간 곳이 생겨 있는 부분으로부터 부풀어 오른 곳이 있는 부분으로 분산되어 가게 된다. 특히 이 공기실(11)은 상하방향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기실(11)에 봉입되어 있는 기체는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분산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실(11)을 설치함으로써, 몸통부(21)의 유선형을 따라 기체를 분산시켜 팽창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몸통부(21)를 구성하는 가죽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불필요한 팽창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게 되므로, 몸통부(21)를 구성하는 가죽에도 부드러운 형상 유지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3 (b), the trunk | drum 21 of the boots 2 may be a streamlined shape. When the boot-shaped holder 1 is inserted into the trunk portion 21 having such a shape, as shown in FIG. 3 (b), the gas in the air chamber 11 has a dent in the trunk portion 21. It is dispersed from the part to the part with bulging. In particular, since this air chamber 11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strip shape in the up-down direction, the gas enclosed in the air chamber 11 will move easil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will be dispersible. By providing such an air chamber 11, the gas can be dispersed along the streamline of the trunk portion 21 to exert an expansion force. As a result, unnecessary expansion force is not applied locally to the leather constituting the trunk portion 21, so tha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oft shape retention even for the leather constituting the trunk portion 21.

덧붙여서, 이 부츠 형상 유지체(1)는 폭방향(x)으로 둥글게 하여 원통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츠(2)에서의 내측 바닥을 포함하는 공간으로서의 내측 바닥부(23)가 이 관통구멍(13)을 통하여 외기로 개방되게 된다. 이 때, 부츠 형상 유지체(1)를 몸통부(21)에 삽입할 때에 있어서, 이것을 발뒤꿈치부(24)에 도달하지 않는 높이까지 올려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내측 바닥부(23)의 외기에 대한 개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cidentally, the boot-shaped holder 1 is rounded in the width direction x to form a cylindrical shape, whereby a through hole 13 is formed.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3, the inner bottom part 23 as a space containing the inner bottom in the boot 2 is open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is through hole 13.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when inserting the boot-shaped holder 1 into the trunk portion 21, it is preferable to raise it to a height not reaching the heel portion 24.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opening property to the outside air of the inner bottom part 23. As shown in FIG.

이것에 의해, 부츠(2)에서의 내측 바닥부(23)에서의 습기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ease moisture from the inner bottom portion 23 of the boot 2, to prevent propagation of various germs, and to suppress odors.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어디까지나 공기실(11)은 플라스틱 시트(10)의 표면(10b)에서 공기실(11)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하고 있다. 이 공기실(11)의 표면(10b)이 내벽을 구성하도록 통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내측으로 돌출하는 공기실(11) 간의 압박의 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팽창력(f)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air chamber 11 is demonstrated to the last as an example which comprises the air chamber 11 in the surface 10b of the plastic sheet 10. As shown in FIG. By bending the tubular shape so that the surface 10b of this air chamber 11 forms an inner wall,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the press between the air chambers 11 which protrude inward, and thereby the expansion force f It becomes possible to exert.

단, 플라스틱 시트(10)의 표면(10b)에서 공기실(11)을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표면(10b)에 형성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단지 공기실(11)을 단순히 연속해서 염주꿰기 형상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However, the air chamber 11 may not be constituted from the surface 10b of the plastic sheet 10. For exampl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 is formed on the surface 10b, only the air chamber 11 may be simply formed in a continuous bead shape.

제 2 실시형태2nd Embodiment

도 5(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형태로서의 부츠 형상 유지체(3)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부츠 형상 유지체(3)는 미리 기체가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시트를 원통 형상으로 한 본체부(30)와, 본체부(30)의 하단으로부터 더욱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부(30)에는 관통구멍(3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돌출부(32)가 2개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개수, 용적, 형상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FIG.5 (a) has show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boot-shaped holder 3 as 2nd Embodiment to which this invention was applied. The boot-shaped holder 3 has a main body portion 30 having a cylindrical plastic sheet in which gas is sealed in advance, and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32 protruding further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30. Equipped with. The through-hole 31 is provided in the main-body part 30 comprised in this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 protrusion part 32 is formed over two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You may comprise in any number, volume, and shape.

이 플라스틱 시트는 통기성이 없는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이다. 덧붙여서, 이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이외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This plastic sheet is a thermoplastic resin sheet such as polyethylene having no air permeability. In addition, as this thermoplastic resin, you may select suitably from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nylon, vinyl chloride, polycarbonate, etc. other than polyethylene.

본체부(30)는 공기가 봉입되어 있음으로써, 정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돌출부(32)는, 미리 기체가 봉입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적어도 본체부(30)와 돌출부(32) 사이에서 기체를 송입송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 돌출부(32)의 내부공간과, 본체부(30)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As the main body 30 is sealed with ai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ing. Moreover, the protrusion part 32 is made to be filled with gas previously, and it is the structure which can supply and discharge gas between the main body part 30 and the protrusion part 32 at least.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protrusion part 32 and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art 30 ar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돌출부(32)는 상하로 탄성수축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돌출부(32)와 본체부(30)는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돌출부(32)를 바닥으로부터 누르면,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2) 자체가 탄성수축된다. 그 결과, 부츠 형상 유지체(3)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그 동안, 돌출부(32)에서의 기체는 본체부(30)에 송입되게 된다. 또한, 이 본체부(30) 및 돌출부(32)에 봉입해 두는 기체의 양을 조정해 둠으로써, 돌출부(32)를 밀어 넣어 수축시키고, 본체부(30)에 송입시킨 기체에 의해 팽창력(f)를 작용시켜도 된다. The protrusion part 32 is free to elastically contract up and down. Since the protrusion part 32 and the main body part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protrusion part 32 is pressed from the bottom, as shown in FIG. 5 (b), the protrusion part 32 itself contracts elastically.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boot-shaped holder 3 can be made low. In the meantime, the gas in the protrusion part 32 is supplied to the main-body part 30. FIG.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gas enclosed in the main body 30 and the protruding portion 32, the protruding portion 32 is pushed in and contracted, and the expansion force f is caused by the gas fed into the main body 30. ) May be appli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30)보다도 용적이 작은 돌출부(32)를 설치해 둠으로써, 당해 돌출부(32)를 용이하게 신축 자유롭게 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32 having a smaller volume than that of the main body 30 can be provided so that the protrusion 32 can be freely stretched.

또한, 본체부(30) 및 돌출부(32)는 우레탄 등의 정형성을 갖는 탄성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돌출부(32)를 본체부(30)보다도 작은 단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이것을 눌렀을 때 용이하게 탄성수축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part 30 and the protrusion part 32 may be comprised from the elastic material which has the shaping | molding property, such as urethane. By constructing the projecting portion 32 in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body portion 30,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contract easily when pressed.

이 통 형상으로 구성된 부츠 형상 유지체(3)를 실제로 사용할 때는,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츠(2)에서의 몸통부(21)에 이것을 삽입한다. 본체부(30)는 공기가 봉입되어 있고 정형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몸통부(21)는 꺾 이지 않고, 또한 자립하여 쓰러지는 일도 없기 때문에, 그 형상을 직립시킨 상태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가령 부츠(2)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프 부츠 등과 같은 몸통부(21)가 짧은 것일 경우에는, 부츠 형상 유지체(3)를 몸통부(21)에 삽입한 후, 이것을 위에서 아래로 누름으로써, 돌출부(32)를 수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부츠 형상 유지체(3)의 높이를 밀어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몸통부(21)의 길이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When actually using the boot-shaped holder 3 constituted by the tubular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the boot-shaped holder 3 is inserted into the trunk portion 21 of the boot 2. Since the main body portion 30 is sealed with air and maintains a good shape, the trunk portion 21 is not bent and does not stand on its own, and thus the shape can be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b), when the body portion 21 such as the half boots is short, the boot shape holder 3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 and By pressing this from top to bottom, the protrusion 32 is retracted.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boot-shaped holder 3 can be pushed down, and the length of the trunk portion 21 can be adjusted.

이 때문에, 부츠(2)를 전시품으로서 진열할 때에 있어서, 이 부츠 형상 유지체(3)를 소비자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자립해 있는 이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부츠(2)가 몸통부(21)가 긴 롱 부츠이어도, 몸통부(21)가 짧은 하프 부츠 등이어도, 즉 부츠의 몸통부의 길이가 어떠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어도, 돌출부(32)의 신축 자유롭게 구성한 부츠 형상 유지체(3)에 의해 높이 조정을 행함으로써 소비자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For this reason, when displaying the boot 2 as an exhibit, it becomes possible to give an image which is naturally self-supporting by making this boot-shaped holding body 3 invisible from the consumer's field of view. Further, even if the boots 2 are long boots with a long body portion 21 or a half boots with a short body portion 21, that is, even if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of the boots is configured to any length, the extension of the protrusions 32 The height adjustment is performed by the freely configured boot-shaped holder 3 so that the configuration can be made invisible from the consumer's field of view.

덧붙여서, 이 부츠 형상 유지체(3)는 통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츠(2)에서의 내측 바닥을 포함하는 공간으로서의 내측 바닥부(23)가 이 관통구멍(13)을 통하여 외기로 개방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부츠(2)에서의 내측 바닥부(23)에서의 습기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cidentally, the boot-shaped holder 3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hereby a through hole 31 is formed.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6, the inner bottom part 23 as a space containing the inner bottom in the boot 2 is open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is through hole 13. As shown in FIG.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ease moisture from the inner bottom portion 23 of the boot 2, to prevent propagation of various germs, and to suppress odors.

도 7(a), (b)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쌍방의 기술적 사상을 받 아들인 부츠 형상 유지체(7)를 도시하고 있다. FIG.7 (a), (b) has shown the boot-shaped holder 7 which receives the technical idea of both 1st Embodiment and 2nd Embodiment.

부츠 형상 유지체(7)는 미리 기체가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상하방향(y)으로 가늘고 긴 스트립 형상의 공기실(11)을 폭방향(x)으로 복수열에 걸쳐 배치시키고 있다. 이 공기실(11)은 플라스틱 시트(10)를 장방형의 시트 2장에 의해 구성하고, 이것들을 서로 포개고 열압착을 상하방향으로 행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또, 일부의 공기실(11)에 대해서는, 돌출부(32)에 대응한 길이의 분량만큼 연장되어 있다. 또, 이들 각 공기실(11)은 서로 도시하지 않은 바이패스를 통하여 연속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송입구를 통하여 전체에 걸쳐 공기를 송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boot-shaped holding body 7 arrange | positions the elongate strip-shaped air chamber 11 in the width direction x over several rows in the up-down direction y which gas is enclosed previously. The air chamber 11 is constituted by forming the plastic sheet 10 by two rectangular sheets, stacking them together and performing thermocompression bo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oreover, about some air chamber 11, it extends by the quantity of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art 32. As shown in FIG. Moreover, each of these air chambers 11 is continuous through the bypass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air through the at least one air inlet port.

이러한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시트(10)를, 폭방향(x)으로 둥글게 하여 원통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의 부츠 형상 유지체(7)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By forming the plastic sheet 10 having such a planar shape in a cylindrical shape by rounding it in the width direction x, it is possible to obtain a boot-shaped holder 7 having a form as shown in Fig. 7B. do.

이 부츠 형상 유지체(7)에서는, 인접하는 공기실(11)의 압박에 의해 외측으로의 팽창력을 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것과 동시에 돌출부(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탄성수축 자유롭게 함으로써, 높이 조정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32)를 밀어넣어 수축시키고, 본체부(30)에 송입시킨 기체에 의해 팽창력(f)을 작용시켜도 된다. In this boot-shaped holding body 7, it becomes possible to apply the expansion force to the outside by the press of the adjacent air chamber 11. Moreover, since the protrusion part 32 is provided at the same time, height adjustment is also possible by making it elastically shrink free. In addition, the protruding portion 32 may be pushed in and contracted, and the expansion force f may be applied by the gas f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30.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8(a), (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형태로서의 부츠 형상 유지체(4)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부츠 형상 유지체(4)는 미리 기체가 봉입되어 이 루어지는 플라스틱 시트를 원통 형상으로 한 본체부(40)와, 본체부(40)의 측벽면 하부에 설치된 관통구멍(42b), 또는 본체부의 측벽 하단에 형성된 홈부(42a)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서, 이 홈부(42a)나 관통구멍(42b)은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어떠한 개수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관통구멍(42b)은 원통 형상으로 한 본체부(40)에서의 관통구멍(41)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관통구멍(42b)이 설치되는 부위는 적어도 부츠(2)에서의 내측 바닥부(23)의 위치와의 관계에서 미리 조정되어 있지만, 적어도 하반부 중 어느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40)는 공기가 봉입되어 있음으로써, 정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8 (a) and 8 (b) show perspective views of the boot-shaped holder 4 as the thir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boot-shaped holder 4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made of a plastic sheet in which gas is sealed in advance, a through-hole 42b provided below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body part 40, or the main body. The groove part 42a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part is provided. In addition, this groove part 42a and the through-hole 42b may be comprised by what kind of shape, and may be comprised by what number. The through hole 42b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41 in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40. Although the site | part in which the through hole 42b is provided is previously adjusted at least in relation to the position of the inner bottom part 23 in the boot | glove 2, it is preferable to form at least in any position of a lower half part. Since the main body 40 is sealed with ai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ing.

이 통 형상으로 구성된 부츠 형상 유지체(3)를 실제로 사용할 때는, 예를 들면, 도 9(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츠(2)에서의 몸통부(21)에 이것을 삽입한다. 본체부(40)는 공기가 봉입되어 있어 정형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몸통부(21)는 꺾이지 않고, 또한 자립하여 쓰러지는 일도 없으므로, 그 형상 유지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When actually using the boot-shaped holder 3 composed of the tubular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boot-shaped holder 3 is inserted into the trunk portion 21 of the boot 2. do. Since the main body portion 40 is sealed with air and maintains its shape, the trunk portion 21 does not bend and does not stand on its own and can fall down.

도 9(a)는 부츠(2)에서의 내측 바닥을 포함하는 공간으로서의 내측 바닥부(23)가, 홈부(42a), 및 관통구멍(41)을 통하여 외기로 개방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부츠(2)에서의 내측 바닥부(23)에서의 습기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홈부(42a)의 형상으로서는, 제조용이성의 관점에서 직사각형 형상 또는 당해 직사각형의 코너를 둥글게 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FIG. 9A, the inner bottom 23 as a space including the inner bottom of the boot 2 is ope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roove 42a and the through hole 41.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ease moisture from the inner bottom portion 23 of the boot 2, to prevent propagation of various germs, and to suppress odors. In addition, as the shape of this groove part 42a,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in the shape which made the rectangle shape or the corner | corner of the said rectangle round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manufacture.

도 9(b)는 부츠(2)에서의 내측 바닥을 포함하는 공간으로서의 내측 바닥부(23)가 관통구멍(42b), 및 관통구멍(41)을 통하여 외기로 개방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부츠(2)에서의 내측 바닥부(23)에서의 습기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FIG. 9B, the inner bottom portion 23 as a space including the inner bottom in the boot 2 is open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through hole 42b and the through hole 41.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ease moisture from the inner bottom portion 23 of the boot 2, to prevent propagation of various germs, and to suppress odors.

또한, 적어도 2개의 홈부(42a)를 구성함으로써,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돌출부(32)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시켜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by constituting at least two groove portions 42a,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protruding portions 32 in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exhibit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40)에서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관통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본체부(40)의 측면은 몸통부(21)의 내벽에 대면하는 것이지만, 당해 측면에서 작은 관통 구멍을 다수 형성시켜 둠으로써, 몸통부(21)에서의 통기성, 환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small through hol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40. Althoug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40 here faces the inner wall of the trunk part 21, by forming many small through-holes in this side surface, it improves the air permeability and the ventilation property in the trunk part 21. It becomes possible.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30)에 대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대체로서, 우레탄 등의 정형성을 갖는 탄성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is 3rd Embodiment,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the main-body part 30 may be comprised with the elastic material which has a fixed form, such as urethane, as a substitute of a plastic sheet | seat.

Claims (2)

부츠의 몸통부에 삽입됨으로써 당해 몸통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부츠 형상 유지체에 있어서,In the boot shape holder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body by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boot, 미리 기체가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시트를 원통 형상으로 한 본체부와,The main body which made the plastic sheet in which gas is sealed beforehand into cylindrical shape, 상기 본체부의 측벽면 하부에 설치된 관통구멍, 또는 상기 본체부의 측벽 하단에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고,A through hole provided in a lower sidewall of the main body, or a groove formed in a lower end of the sidewall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부는 봉입된 상기 기체에 의해 정형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형상 유지체.The main body portion is a boot-shaped retainer,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encapsulated gas to 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서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관통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형상 유지체.The boot-shaped hol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mall through hole is furthe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KR1020097015998A 2007-03-30 2008-03-25 Boot shape maintaining body KR2009012504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92411A JP4022243B1 (en) 2007-03-30 2007-03-30 Boot shape holder
JPJP-P-2007-092411 2007-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046A true KR20090125046A (en) 2009-12-03

Family

ID=3885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998A KR20090125046A (en) 2007-03-30 2008-03-25 Boot shape maintaining body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15713A1 (en)
EP (1) EP2133002A4 (en)
JP (1) JP4022243B1 (en)
KR (1) KR20090125046A (en)
CN (1) CN101652084B (en)
WO (1) WO200812323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0691A1 (en) * 2009-12-31 2011-10-06 Marcy Miller Stuffers for purses, boots, and the like
US10161069B2 (en) 2009-12-31 2018-12-25 I'm Out!, Inc. Stuffers for purses, boots and the like
US20170332738A1 (en) * 2016-05-17 2017-11-23 Caroline Nicole Ouimet Adhering Boot Shap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3489A (en) * 1939-05-30 1942-02-17 Holmes Mary Hanby Stretcher for articles of clothing
US3483580A (en) * 1968-09-04 1969-12-16 Nancy Rey Cherry Inflatable footwear form
US3720970A (en) * 1971-04-15 1973-03-20 E Lutz Boot tree
JPS54171952U (en) * 1978-05-22 1979-12-05
JPS5532166U (en) * 1978-08-22 1980-03-01
GB2080091A (en) * 1980-04-09 1982-02-03 Sly Rex Pneumatic boot shaper
JPS57141505U (en) * 1981-02-28 1982-09-04
JPS5870109U (en) * 1981-11-05 1983-05-12 岡部 俊彦 shoe shape retainer
US4533072A (en) * 1982-09-13 1985-08-06 Craig David R Inflatable wader tree
US6148545A (en) * 1999-09-27 2000-11-21 Yeager, Jr.; James L. Boot warmer
CN2444464Y (en) * 2000-07-28 2001-08-29 窦小明 Inflatable last for shaping shoes
JP4780261B2 (en) 2000-11-29 2011-09-28 株式会社チカオ Shoe shape holder
US6467115B2 (en) * 2001-02-21 2002-10-22 Brown Shoe Company, Inc. Shape retainer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boot shaft
JP2005006915A (en) 2003-06-19 2005-01-13 Cogit:Kk Boot keeper
US7930837B1 (en) * 2008-09-29 2011-04-26 Michael James Huebner Preserver including an expandable blad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2084B (en) 2012-12-19
US20100115713A1 (en) 2010-05-13
JP2008246001A (en) 2008-10-16
CN101652084A (en) 2010-02-17
EP2133002A4 (en) 2013-08-28
JP4022243B1 (en) 2007-12-12
EP2133002A1 (en) 2009-12-16
WO2008123230A1 (en)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502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hoe sole
JP7430530B2 (en) Cushioning elem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TW510881B (en) Flexible bags having stretch-to-fit conformity to closely accommodate contents in use
US20220053871A1 (en) Shoe, in particular sports sho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6028862A (en) Sole assembly with textile sh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20015355A (en) Flexible bags having enhanced capacity and enhanced stability in use
KR20090125046A (en) Boot shape maintaining body
US5341532A (en) Inflatable stuffing for footwear
US6971135B2 (en) Inflatable stuffing for footwear
KR20090127254A (en) Boot shape maintaining body
KR20190002942A (en) Pillow
JP5154863B2 (en) Boot shape holder
JP5088780B2 (en) Boot shape holder
US6928755B2 (en) Shoe having a three-dimensional insole
JP4081504B1 (en) Boot shape holder and method
JP3899794B2 (en) Boot holder for boots
KR200252082Y1 (en) Shape preserver for boots
CN208006856U (en) Vehicle storage compartment
KR920000689B1 (en) Shoes sole or manufactured method of structual foam
CN2870533Y (en) Improved structure of shoe-pad
JP3178863U (en) Shaped boots
KR200176102Y1 (en) Metamorphosis protection structure for footwear
CN106993907A (en) bedding and back cushion
JPH03123502A (en) Injection-molded cushiony shoe and manufacture thereof
JP3144262U (en) Shoe shap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