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044A - Pattern antenna supporting add-on service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ttern antenna supporting add-on service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044A
KR20090124044A KR1020080050039A KR20080050039A KR20090124044A KR 20090124044 A KR20090124044 A KR 20090124044A KR 1020080050039 A KR1020080050039 A KR 1020080050039A KR 20080050039 A KR20080050039 A KR 20080050039A KR 20090124044 A KR20090124044 A KR 20090124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tenna pattern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5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4044A/en
Publication of KR20090124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0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n internal patter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the design degree of freedo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upport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without a separate external antenna. CONSTITUTION: A first antenna pattern part(110) has a feeding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The feeding terminal is fed through a feeding line from a main boar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ground terminal is grounded to a ground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ground line. A second antenna pattern part(120) supports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a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and has a pattern antenna configuration of PIFA(Planar Inverted-F Antenna) type. 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is fixed to a first surface of an antenna carrier part(130).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is fixed to a second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art.

Description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패턴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PATTERN ANTENNA SUPPORTING ADD-ON SERVICE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Built-in patter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dditional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PATTERN ANTENNA SUPPORTING ADD-ON SERVICE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단말기의 내부공간에 실장될 수 있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원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을 별도의 외장 안테나없이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패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antenn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nal antenna that can be mounted in an internal space of a narrow terminal, and to a frequency band of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separate external antenn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printed circuit board patter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supported by one built-in antenna.

최근에 보편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나 휴대용 디지털 TV(예컨대, DMB, DVB-H, MediaFlo) 단말기 등의 슬림화나 소형화에는 안테나 기술의 발전 또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The development of antenna technology may als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slimming and miniatur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ortable digital TV (eg, DMB, DVB-H, MediaFlo) terminals, which are becoming more common.

예컨대, 종래 1세대 이동통신단말기들의 경우에는 스터드(stud) 타입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단 일측에 돌출된 형태의 외장을 가져 휴대가 불편하고 파손의 우려가 컸으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품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의 자유도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부분 안테나가 단말기 의 하우징내에 장착되어 돌출된 형태의 안테나가 외관상 노출되지 않는 인테나(intenna) 형태가 보편적으로 채택되고 있다.For example, the conventional firs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 stud type antenna, and have a protruding exterior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has a high risk of damag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which greatly affects the commerciality was limited. In recent years, however, an intena type has been generally adopted in which an antenna is mounted in a housing of a terminal and a protruding antenna is not exposed in appearance.

또한, 최근의 단말기들의 경우에는 대부분 두개 또는 세개 이상의 대역을 수용해야 한다. 예컨대, 제 3 세대 이동통신의 대표 주자로서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되고 있는 3GPP 표준에 의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준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 기본적으로 GSM 주파수 대역(860 ~ 960MHz),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nunications System) 대역(1,920 ~ 2,170MHz)을 지원하여야 하며, 추가적으로 DCS(Global Positioning System) 대역(1,710 ~ 1,880MHz) 및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대역(1,880 ~ 1,990MHz)을 지원하여야 한다. 즉, 내장형 안테나의 경우에도 슬림화되고 소형화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자인 추세에 부합되도록 작은 부피내에서도 우수한 방사 특성과 넓은 대역폭을 가져야 하는 요구가 뒤따른다. In addition, most recent terminals have to accommodate two or three or more band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omplies with the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chnology of the 3GPP standard, which is widely used worldwide as a representative of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in most cases, the GSM frequency band ( 860 to 960 MHz), Universal Mobile Telecommnunications System (UMTS) band (1,920 to 2,170 MHz), and additionally, Global Positioning System (DCS) band (1,710 to 1,880 MHz) and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band (1,880 to 1,990) MHz) shall be supported. In other words, even in the case of the built-in antenna, there is a need to have excellent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wide bandwidth even in a small volume to meet the design trend of slim and miniaturiz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들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예컨대, GPS, 블루투스(Bluetooth), 지상파 또는 위성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RFID(Radio Frequecny Identifiaction) 기능의 지원까지도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Moreover, recent terminals support various additional services. For example, it support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GPS, Bluetooth, terrestrial or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nd recently supports Radio Frequecny Identifiaction (RFID) functions such a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Even the trend is becoming common.

한편, 이러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들은 서로 중복되거나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앞서 언급된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와는 별개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대역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하나의 안테나로 모든 주파수 대역을 고르게 커버하는 광대역 특성을 얻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어느 하나의 부가서비스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수신감도의 저하가 따른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s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overlap each other or use different frequency ban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antenna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band separate from the aforementioned internal antenna of the terminal exis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method using a wide band antenna, bu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wide band characteristic evenly covering all frequency bands with a single antenna,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deteriorated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one additional service. Follow.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각각의 부가서비스들에 대응되는 용도의 외장형 안테나를 단말기의 외장형 안테나 알에프 컨넥터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외장형 안테나의 소지 상의 불편과 분실의 우려가 따르며, 외장형 안테나를 단말기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파손의 우려가 높아 서비스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as an alternative to this, a method of connecting an external antenn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dditional services to an external antenna RF connector of a terminal is used, but this also causes inconvenience of loss and loss of the external antenna. In addition,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antenna is attached to th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rvice cost increases due to a high risk of damag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가서비스 용도의 안테나 역시 단말기 내부에 실장시키는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말기 내부에 실장되는 안테나의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실장될 수 있는 안테나 공간이 점점 더 협소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을 뿐아니라, 안테나 주위에 금속성분의 기구물과 잡음을 유발할 수 있는 부품들이 존재해서는 안되는 RF적인 제약이 존재하여, 단말기의 디자인에 큰 제약 사항으로 존재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o use an internal antenna that is mounted inside the terminal also for the antenna for additional servi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antenna mounted inside the terminal, not only the antenna space that can be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radually narrowing, but also there are components that may cause metal components and noise around the antenna. There are RF constraints that must not be present, which present a significant limitation in the design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한 단말기의 내부공간에 실장될 수 있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원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을 별도의 외장 안테나없이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s a built-in antenna that can be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of a narrow terminal, a single built-in without a separate external antenna frequency band of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to provide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antenna.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원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을 별도의 외장 안테나없이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antenna for supporting the frequency bands of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separate external antenna with one built-in antenna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되는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 보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급전되는 급전 단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지부에 접지라인을 통하여 접지되는 접지 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안테나 패턴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 보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급전되는 급전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의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 2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가 고정되는 안테나 캐리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t-in antenna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wer supply terminal being fed through a power supply line from a main bo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rounded through a ground line to the grou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having a ground terminal; A second antenna pattern unit having a feed terminal fed from a main bo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feed line, and supporting a different frequency band from that of the first antenna pattern unit; And an antenna carrier part to which 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are fixed.

여기에서,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PIFA: Planar Inverted-F Antenna) 타입의 패턴 안테나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지부에 접지라인을 통하여 접지되는 접지 단자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anar inverted-F antenna (PIFA) type pattern antenna configuration, the ground terminal which is grounded through the ground line to the grou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여기에서,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부의 제 1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부의 상기 제 1 면이 아닌 제 2 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may be fix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instead of the first surface.

여기에서,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부의 동일면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가 고정된 위치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may be fix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is fixed. .

여기에서,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도전성 금속 재질 또는 인쇄회로기판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or a printed circuit board pattern.

여기에서,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 중 하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블루투스 및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one of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may b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Bluetooth,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frequency bands. I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one frequency band.

여기에서,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열융착 방법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캐리어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may be fixed to the antenna carrier part by a heat fusion method.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술된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상기 내장형 안테나와 별도인 외장형 안테나가 연결되는 알에 프 컨넥터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와 상기 내장형 안테나의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antenna as described above, wherein an RF connector un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antenna separate from the internal antenna, and the external antenna is connected through the RF connector unit. And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second antenna pattern unit of the built-in antenna and connecting the internal antenna to an internal circuit.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와 상기 내장형 안테나의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witching unit may include a switch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witch may be manipulated by a user to selectively select the external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unit of the internal antenna connected through the RF connector. Switch to an internal circuit.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의 제 2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외장형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여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지는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회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witch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switch the antenna having a high reception sensitivity by connecting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of the built-in antenna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external antenna to connect to the internal circuit.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를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고,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의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in, the switching unit detects that the external antenna is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and when the external antenna is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connects the external antenna to an internal circuit, and the external antenna is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If not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of the built-in antenna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internal circu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부가서비스용 외장형 안테나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면서 필요 시마다 이동통신단말기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대신에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로 부가서비스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지원 가능하므로, 외장형 안테나를 소지하고 다닐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When using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dditional service as a built-in antenna instead of having to carry a separate external service for the external antenna for the user carry and use it when necessary combin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can be supported, inconvenience in carrying an external antenna can be eliminated.

특히, 외부로 돌출되는 외장형 안테나의 사용 없이도 내장형 안테나만으로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 가능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 디자인의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으며, 단일한 내장형 안테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upport various additional services without the use of an external antenna that protrudes outwards, thereby increasing the freedom of desig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employing a single internal antenna. It can bring the effec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구성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일 예(100)는 제 1 안테나 패턴부(110), 제 2 안테나 패턴부(120) 및 제 1,2 안테나 패턴부(110, 120)가 고정되는 안테나 캐리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xample 100 of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ntenna pattern part 110, a second antenna pattern part 120, and a first and second antenna pattern part 110. ,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ntenna carrier 130 is fixed.

제 1 안테나 패턴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 보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급전되는 급전 단자(111),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지부에 접지라인을 통하여 접지되는 접지 단자(11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pattern unit 110 includes a feed terminal 111 that is fed from a main bo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feed line, and a ground terminal 112 that is grounded through a ground line in the grou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figured.

제 1 안테나 패턴부(110)는 통상적으로 2개 내지 3개의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광대역 안테나로 구성되며, 이중공진 구조를 채택하여 GSM 주파수 대역(860 ~ 960MHz),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nunications System) 대역(1,920 ~ 2,170MHz) 및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대역(1,880 ~ 1,990MHz)을 커버하는 광대역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안테나 패턴부는 통상적인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에 구비되는 통신서비스용의 광대역 안테나 패턴부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 1 안테나 패턴부는 평판 역-에프 안테나(PIFA: Planar Inverted-F Antenna) 타입의 안테나 구성을 가지며, 급전 단자(111)와 접지 단자(112)를 구비하게 된다.The first antenna pattern unit 110 is generally composed of a wide band antenna covering two to three frequency bands, adopting a double resonance structure, GSM frequency band (860 ~ 960MHz),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nunications System) band It can be configured as a broadband antenna covering (1,920 ~ 2,170MHz) and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band (1880 ~ 1990MHz). That is,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may be a broadband antenna pattern portion for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in a conventional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ypically, 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has an antenna configuration of a planar inverted-F antenna (PIFA) type and includes a feed terminal 111 and a ground terminal 112.

다음으로,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 보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급전되는 급전 단자(121)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의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안테나 패턴부이다.Next, the second antenna pattern unit 120 includes a feed terminal 121 that feeds through a feed line from the main bo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upports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tenna pattern unit. Antenna pattern part.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는 모노폴(monopole)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 1 안테나 패턴부(110)와 마찬가지로, PIFA 타입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지부와 연결되는 접지 단자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 2 안테나 패턴부(120)가 모노폴 타입으로 구성되어 접지 단자없이 급전 단자(121)를 가지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120 may be configured as a monopole type, and like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10, may have a PIFA type configuration, in which case the ground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 may further have a ground terminal to be connected.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antenna pattern unit 120 is configured in a monopole type and has a power supply terminal 121 without a ground terminal.

예컨대, 제 2 안테나 패턴부(120)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은 GP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블루투스 및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주파수 대역 중의 적어도 하나로서,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들에서 지원이 증가되고 있는 부가 서비스용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requency band supported by the second antenna pattern unit 120 is at least one of GP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Bluetooth,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frequency bands. It may be a frequency band for supplementary services, where support is increasing in communications terminals.

마지막으로, 안테나 캐리어(carrier)부(130)는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120)가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캐리어부(130)는 내장형 안테나 전체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가능한 높은 유전율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 캐리어부(130)는 폴리카보이네트(PC: Poly-Carbonate)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안테나 캐리어부(130)는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 패턴부(110, 120)가 고정된 채 단말기 내부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안테나 패턴부(110, 120)를 지지한다.Lastly, the antenna carrier part 130 is a component to which 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110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120 are fixed. Preferably, the antenna carrier 13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entire internal antenna. For example, the antenna carrier 13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PC), such as by injection molding. That is, the antenna carrier unit 13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inside the terminal with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attern units 110 and 120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atterns. Support the parts (110, 120).

한편,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는 안 테나 패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대량 생산에 의한 안테나 패턴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상에 인쇄되는 패턴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10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120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antenna pattern, to reduce the deviation between the antenna pattern by the mass production printed circuit board (PCB: Printed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attern antenna printed on a circuit board.

그러나,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는 도전성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제 1 안테나 패턴부(110)와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는 열융착 방법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캐리어부(130)에 고정되거나, 안테나 캐리부(130)에 다수의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체결돌기와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체결홀들을 안테나 패턴부(110, 120)에 형성하여 체결돌기와 체결홀의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However,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10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12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In this case,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10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120 may be formed. The antenna pattern parts 110 and 120 are fixed to the antenna carrier part 130 by a heat fusion method, or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that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s and form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on the antenna carry part 130. It can be formed in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fastening hole by the coupling.

다만, 금속 재질로 제 1 및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형성할 경우에 비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인쇄된 패턴 안테나로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는 열융착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열융착 공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특성 편차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공정에 의해서 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안테나 패턴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may not be thermally fused as the pattern antenna pri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s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t may have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occurrence of characteristic deviation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process. In addition, by forming a pattern by a printed circuit board process as described above may have the advantage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antenna pattern can be reduced.

도 1에서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가 가지는 차별화된 특징은,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가 안테나 캐리어부(130)상에 하나의 안테나 패턴부를 가지는 것에 비교하여, 안테나 캐리어부(130)상에 부가 서비스용의 별도 안테나 패턴부(12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에 있다. 즉, 제 1 안테나 패턴부(110)와는 별개의 부가서비스용의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를 안테나 캐리어 부(130)에 추가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외장형 안테나의 사용 없이도 내장형 안테나만으로 부가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distinctive feature of the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 is that, compared to a conventional built-in antenna having one antenna pattern portion on the antenna carrier 130, the antenna carrier 130 ) Is provided with a separate antenna pattern portion 120 for additional services. That is, by additionally fixing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120 for additional service separate from 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110 to the antenna carrier part 130, the additional service can be provided using only the internal antenna without using an external antenna. It can be supported.

이때, 종래의 안테나 캐리어부의 부피를 줄이는 대신에 보다 고유전율을 가지는 재질로 안테나 캐리어부(130)를 구성하고, 안테나 캐리어부의 상면에는 제 1 안테나 패턴부(110)를 고정시키고, 안테나 캐리어부의 하면에는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두 개의 안테나 패턴부를 하나의 안테나 캐리어부에 고정시켜 내장형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제 1 안테나 패턴부(110)는 안테나 캐리어부의 하면에 고정시키고,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는 안테나 캐리어부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instead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conventional antenna carrier portion, the antenna carrier portion 13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dielectric constant, and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1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The internal antenna may be configured by fixing two antenna pattern parts to one antenna carrier part in such a manner as to fix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120. Alternatively, on the contrary, 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110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art,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120 may be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art.

예컨대, 종래의 안테나 캐리어부에 비하여 부피를 1/2 이하로 줄이고, 그 공간에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고정시켜 전체적인 내장형 안테나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olume may be reduced to 1/2 or les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ntenna carrier,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may be fixed in the space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entire internal antenna.

또한, 안테나 캐리어부(130)상의 동일면상에 제 1 안테나 패턴부가 차지하지 않는 면적에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제 1 안테나 패턴부(110)와 제 2 안테나 패턴부(120)가 안테나 캐리어부의 동일면 상에 고정이 되되, 제 1 안테나 패턴부(110)의 좌/우 또는 상/하 부분에 제 2 안테나 패턴부(120)가 고정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position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in an area not occupied by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on the same surface on the antenna carrier portion 130. That is,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10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120 are fix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the second to the left / right or up / down portion of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10 The antenna pattern unit 120 may be fixed.

도 1에서는 안테나 캐리어부(130)의 동일면상에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제 2 안테나 패턴부가 위치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하 도 2a 및 도 2b에서는 제 1 및 제 2 안테나 패턴부가 안테나 캐리어부 상에 고정되는 위치의 다양한 변형을 설명한다.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and a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are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130,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described above. 2A and 2B illustrate various modifications of posi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s are fixed on the antenna carrier por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캐리어부(130)의 상면에는 제 1 안테나 패턴부(110)를 고정시키고, 안테나 캐리어부(130)의 하면에는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를 고정시키는 형태의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1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130,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12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130. An embodiment of the form of fixing is illustrated.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nal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캐리어부(130)의 하면에는 제 1 안테나 패턴부(110)를 고정시키고, 안테나 캐리어부(130)의 상면에는 제 2 안테나 패턴부(120)를 고정시키는 형태의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B,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1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130,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120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130. An embodiment of the form of fixing is illustra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의 이동통신단말기내 실장 형태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form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n internal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슬라이딩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면 구성이 예시되어 있으며, 슬라이드(slide)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300)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310)가 실장되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In FIG. 3,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llustrated, and a structure in which a built-in antenna 310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is illustrated. Is illustrated.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본체부(310)와 본체부의 일측면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장착된 슬라이딩부(320)로 구성되며, 슬라이딩부(320)가 본체부(310) 상에 윗 방향(도 3의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오픈(open)될 경우에는 키패드가 노출되며 전화통화 등의 조작이 가능해지며, 슬라이딩부(320)가 본체부(310) 상의 아랫 방향(도 3의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닫혀질(close)될 경우에는 키패드가 덮혀지게 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includes a main body 310 and a sliding part 320 mounted with a display screen sliding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part 320 is the main body 310. In the case of sliding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downward in FIG. 3), the keypad is exposed and operation such as a telephone call is possible, and the sliding part 320 is downward in the main body 310 ( In the case of sliding and closing in the upward direction of FIG. 3, the keypad is covered.

이동통신단말기(300)의 본체부(3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 인쇄회로기판(311), 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키패드 인쇄회로기판(313), 메인 인쇄회로기판(311)과 키패드 인쇄회로기판(313) 사이에 개입된 금속재질(통상적으로 마그네슘-magnesium 재질이 이용가능함)의 브라켓(bracket; 312), 이동통신단말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31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3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is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31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keypad printed circuit board 313 composed of another printed circuit board,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311 and the keypad It consists of a bracket 312 of a metal material (typically magnesium-magnesium material is available) interpos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313, and a housing 314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33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311)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330)의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제 2 안테나 패턴부의 급전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어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tenna 33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apart from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311, the feed terminal of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of the antenna 33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 실시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별도의 외장형 안테나를 연결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만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 나와 별도의 외장 안테나 또는 이어폰 안테나를 함께 사용하여 다이버시티(diversity) 또는 선택적인 스위칭의 개념으로 안테나를 이용하는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ly an inter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onnecting a separate external antenna, but using diversity or a separate external antenna or earphon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cept of selective switching, a configuration using an antenna may be possibl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410)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400)는, 내장형 안테나와 별도인 외장형 안테나(420)가 연결되는 알에프 컨넥터부(430)를 구비하고, 내장형 안테나(410)의 제 2 안테나 패턴부(412)와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420)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스위칭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having the built-in antenna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RF connector 430 connected to the built-in antenna and an external antenna 420 separate from the built-in antenna. The switch 44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switch the external antenna 420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412 and the RF connector part of the antenna 410 to an internal circuit.

특히,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용의 제 1 안테나 패턴부(411)가 아닌 제 2 안테나 패턴부(412)가 별도의 외장 안테나를 대체하여 내장 안테나에 일체화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이므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추가적인 부가서비스용 외장 안테나가 연결될 경우에는 제 2 안테나 패턴부(412)와 부가서비스용 외장 안테나(420)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particular, as illustrated in FIG. 1, it is seen that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412 instead of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411 for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integrated with an internal antenna by replacing a separate external antenna. Since the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ditional additional service external antenna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preferable to selectively switch the second antenna pattern unit 412 and the external service external antenna 420.

이때, 스위칭부는 이동통신단말기(400)의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내장형 안테나(410)의 제 2 안테나 패턴부(412)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420)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RF 수신회로; 450)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witching unit includes a switch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412 of the built-in antenna 410 and the RF connector by a user's switch operation. The external antenna 420 may be selectively switched to be connected to an internal circuit (RF receiving circuit) 450.

또는, 스위칭부는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 대신에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메뉴 구조에서 설정 가능한 설정값에 따라서 내장형 안테나(410) 의 제 2 안테나 패턴부(412)와 외장형 안테나(4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witching unit selectively selects the second antenna pattern unit 412 and the external antenna 420 of the internal antenna 410 according to a setting value that can be set in a predetermined menu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instead of the externally exposed switch. Can be used to

또는, 스위칭부는 두 개의 안테나(412, 420)의 수신 감도값에 따라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안테나를 선택하는 다이버시티(diversity) 동작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와 상기 외장형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여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지는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회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witch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diversity operation of selecting an appropriate antenna according to a situation according to reception sensitivity values of the two antennas 412 and 420. For example, the switch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internal antenna and the external antenna to selectively switch the antenna having a high reception sensitivity to connect to the internal circuit.

마지막으로, 스위칭부는 외장형 안테나(420)가 알에프 컨넥터부(430)에 연결된 것을 감지하여, 외장형 안테나(420)가 알에프 컨넥터부(430)에 연결된 경우에는 외장형 안테나(420)를 내부 회로(450)에 접속시키고, 외장형 안테나(420)가 알에프 컨넥터부(43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장형 안테나(410)의 제 2 안테나 패턴부(412)를 내부 회로(450)에 접속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Finally, the switching unit detects that the external antenna 420 is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unit 430, and when the external antenna 420 is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unit 430, the external antenna 420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450. If the external antenna 420 is not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430,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412 of the internal antenna 41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450. .

즉, 사용자가 외장형 안테나를 알에프 컨넥터에 체결시킨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외장형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왜냐하면, 통상적으로 외장형 안테나의 수신감도가 내장형 안테나(410)의 제 2 안테나 패턴부(412)보다는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user fastens the external antenna to the RF connector, the external antenna can be automatically used. This is becaus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external antenna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412 of the internal antenna 410.

한편, 스위칭부는 이동통신단말기내부에 구비된 프로세서 유닛(예컨대, MSM-Mobile Station Modem 칩)에 의해서 제어되는 RF 스위치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MSM 칩이 스위칭부(440)를 제어할 경우에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부(4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switching unit may be configured by using an RF switch controlled by a processor unit (eg, an MSM-Mobile Station Modem chip)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SM chip controls the switching unit 440, the MSM chip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440 using a signal through a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GPIO) pi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구성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nal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의 이동통신단말기내 실장 형태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form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n internal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 실시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built-i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제 1 안테나 패턴부 120: 제 2 안테나 패턴부110: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120: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111, 121: 급전단자 122: 접지단자111, 121: Feeding terminal 122: Grounding terminal

130: 안테나 캐리어부130: antenna carrier

Claims (12)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되는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In the built-in antenna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 보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급전되는 급전 단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지부에 접지라인을 통하여 접지되는 접지 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안테나 패턴부; A first antenna pattern unit including a power supply terminal supplied from a main bo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power supply line, and a ground terminal grounded through a ground line to a ground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 보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급전되는 급전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의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 2 안테나 패턴부; 및A second antenna pattern unit having a feed terminal fed from a main bo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feed line, and supporting a different frequency band from that of the first antenna pattern unit; And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가 고정되는 안테나 캐리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And a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and an antenna carrier portion to which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is fix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PIFA: Planar Inverted-F Antenna) 타입의 패턴 안테나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지부에 접지라인을 통하여 접지되는 접지 단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has a planar inverted-F antenna (PIFA) type pattern antenna configuration, and adds a ground terminal grounded through a ground line to the grou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부의 제 1 면에 고정되며, 상 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부의 상기 제 1 면이 아닌 제 2 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is fixed to a second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ortion, not the first surface, the built-in antenna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안테나 캐리어부의 동일면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가 고정된 위치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attern parts are fix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antenna carrier part,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is fixed to the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is fixed. Built-in antenna f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도전성 금속 재질이나 인쇄회로기판 패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And the first antenna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ar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or a printed circuit board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 중 하나는 GP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블루투스 및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One of the first antenna pattern unit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unit supports at least one frequency band of GP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Bluetooth,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frequency bands.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패턴부는 열융착 방법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캐리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And the first antenna pattern part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are fixed to the antenna carrier part by a heat fusion method. 제 1 항에 기재된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내장형 안테나와 별도인 외장형 안테나가 연결되는 알에프 컨넥터부;An RF connector unit to which an external antenna separate from the internal antenna is connected;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와 상기 내장형 안테나의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external antenna connected through the RF connector unit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unit of the internal antenna to connect to an internal circui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와 상기 내장형 안테나의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switching unit includes a switch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witch is manipulated by a user to selectively switch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of the external antenna and the internal antenna connected through the RF connect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의 제 2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외장형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여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지는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회로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switching unit compare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second antenna pattern portion of the internal antenna and the external antenna to selectively switch the antenna having a high reception sensitivity to connect to the internal circui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를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고,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의 제 2 안테나 패턴부를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switching unit detects that the external antenna is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and when the external antenna is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connects the external antenna to an internal circuit, and the external antenna is not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Otherwise, the second antenna pattern part of the built-in antenna is connected to an internal circuit.
KR1020080050039A 2008-05-29 2008-05-29 Pattern antenna supporting add-on service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KR200901240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039A KR20090124044A (en) 2008-05-29 2008-05-29 Pattern antenna supporting add-on service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039A KR20090124044A (en) 2008-05-29 2008-05-29 Pattern antenna supporting add-on service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044A true KR20090124044A (en) 2009-12-03

Family

ID=4168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039A KR20090124044A (en) 2008-05-29 2008-05-29 Pattern antenna supporting add-on service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40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4350A (en) * 2017-09-06 2018-01-26 江苏爱吉亚电子科技有限公司 Two-in-one antenn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4350A (en) * 2017-09-06 2018-01-26 江苏爱吉亚电子科技有限公司 Two-in-one anten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269B2 (en)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864123B2 (en) Hybrid slot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799964B2 (en) Built-in antenna devic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7551142B1 (en) Hybrid antennas with directly fed antenna slot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102097675B (en) Portable terminal
US9099790B2 (e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therein
US20160079683A1 (en) Built-in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
US20140233169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Cable Grounding
US20080316121A1 (en) Wireless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7656354B2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20060077105A1 (en) Dual-band chip antenna module
US2011012819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plit multi-band antenna having a single rf feed node
KR101544698B1 (en) Intenna
KR20090124042A (en) Pattern antenna having multiple layer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EP3213368B1 (en) Hinge that serves as a radiator
US837889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ulti-band antenna that extends between side surfaces thereof
KR20090124044A (en) Pattern antenna supporting add-on service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US904160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mechanism
KR20090118139A (en) External antenna supporting various services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KR20090111056A (en) Multi-band antenna for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93525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Multi-band Internal Antenna
KR101435492B1 (en) Antenna devie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842525B1 (en) Built-in type antenna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90131722A (en) Mobile-telephone built-in antenna using antenna pattern formed on substrates having different permittivity,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US11916314B2 (en)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