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147A -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147A
KR20090123147A KR1020080049085A KR20080049085A KR20090123147A KR 20090123147 A KR20090123147 A KR 20090123147A KR 1020080049085 A KR1020080049085 A KR 1020080049085A KR 20080049085 A KR20080049085 A KR 20080049085A KR 20090123147 A KR20090123147 A KR 20090123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raffic
link
bandwidth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4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3147A/ko
Publication of KR2009012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IP 네트워크에서의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한 소요대역폭을 호 블록킹 확률을 통해 정확히 산출하여 적정한 네트워크 계획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은 서로 다른 전송 특성을 요구하는 탄성적 트래픽과 스트리밍 트래픽을 분리하고, 탄성적 트래픽에 대해서는 가입자당 트래픽을 산출하고 목표시점에서의 트래픽을 예측한 다음 overprovisioning 방법에 의해 소요대역폭을 계산하고,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해서는 (a) 스트리밍 트래픽(streaming traffic)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부과하는 부과로드(offered load)를 각각 입력받는 단계; (b) 네트워크의 링크대역폭 및 상기 복수의 서비스 별 요구대역폭을 각각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의 요구대역폭의 총합이 상기 링크대역폭을 초과하지 않게 되는 서비스들 간의 개수의 비율에 따른 존재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 상태들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 상태들 중 각 서비스별로 상기 네트워크가 더 이상 호를 수용할 수 없는 상태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태들의 확률 값을 합산하여 이를 각 서비스 별 호 블록킹 확률로 도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각 서비스별 호 블록킹 확률이 별도로 입력받은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을 모두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링크대역폭을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한 소요대역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 로 한다.
네트워크, 망, 설계, 탄성, 스트리밍, 서비스

Description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NETWORK PLANNING METHOD OF MULTI-SERVICE INTERNET PROTOCOL NETWORK}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은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 방송, 인터넷이 융합된 품질 보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 제공하고자 하는 통합 네트워크이다.
여기서 상기 BcN이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트래픽은 탄성적(elastic) 트래픽과 스트리밍(streaming) 트래픽으로 구분된다.
상기 탄성적 트래픽은 웹, 이메일 및 파일전송(FTP)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시키는 가용한 네트워크 대역폭에 적응적으로 전송되는 최선형(best-effort) 트래픽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적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인터넷 서비스는 보통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TCP는 프로토콜에 의해 구현된 흐름제어에 의해 패킷 전송률이 가용한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적응적으로 조절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스트리밍 트래픽은 IP 전화, IPTV 및 비디오 전송과 같이 전송하 는 서비스의 품질이 개별적인 패킷의 시간 지연, 지터 및 손실 등과 같은 전송특성에 영향을 받는 실시간성 서비스에서 발생시키는 트래픽이다.
예컨대, 상기 IP 전화는 가변적인 전송률을 갖는 코덱이 사용되고 또한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64, 128, 192, 384, 1024Kbps 등의 다양한 전송모드가 존재하며, 영상이 포함된 호와 포함되지 않은 호가 공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전화망(PSTN)에서는 한 통화가 차지하는 대역폭이 일정하지만, 상기 IP 전화의 경우 사용하는 코덱의 종류 및 영상의 유무에 따라 한 통화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이 변화하게 된다.
결국 상기 BcN의 스트리밍 트래픽의 링크용량 설계 또는 네트워크 계획을 위해서는 기존 전화망에서 사용한 링크용량 설계 기법인 얼랑(Erlang) 손실 모델이나, 기존의 인터넷 설계에 사용되는 링크용량의 단순 확장 기법인 오버프로비저닝(overprovisioning)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네트워크 계획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에서 멀티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기존의 최선형 탄성적 트래픽과 호 기반 스트리밍 트래픽을 동시에 고려하고, 스트리밍 트래픽에 의한 소요대역폭은 호 블록킹 확률을 파라미터로 사용하여 산출하는 적정한 네트워크 계획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은 (a) 스트리밍 트래픽(streaming traffic)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부과하는 부과로드(offered load)를 각각 입력받는 단계; (b) 네트워크의 링크대역폭 및 상기 복수의 서비스 별 요구대역폭을 각각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의 요구대역폭의 총합이 상기 링크대역폭을 초과하지 않게 되는 서비스들 간의 개수의 비율에 따른 존재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 상태들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 상태들 중 각 서비스별로 상기 네트워크가 더 이상 호를 수용할 수 없는 상태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태들의 확률 값을 합산하여 이를 각 서비스 별 호 블록킹 확률로 도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각 서비스별 호 블록킹 확률이 별도로 입력받은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을 모두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링크대역폭을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한 소요대역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각 서비스별 호 블록킹 확률이 모두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을 초과하면, 상기 링크대역폭을 일정 크기만큼 증가시켜 상기 각 서비스별 호 블록킹 확률이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을 모두 만족할 때까지 상기 (b) 단계 및 (c) 단계를 반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e) 네트워크 최번 시 일정 시간당 평균 트래픽을 산출하여 접속 링크별 가입자당 탄성 트래픽을 산출하는 단계; (f) 목표연도의 링크별 가입자수와 가입자당 트래픽을 곱하여 목표연도의 탄성트래픽을 계산하는 단계; (g) 상기 탄성트래픽에 별도의 보정계수를 곱하여 탄성 트래픽에 의한 소요대역폭을 산출하는 단계; 및 (h) 상기 탄성 트래픽에 의한 소요대역폭과 상기 스트리밍 트래픽에 의한 소요대역폭을 합산하여 총 소요대역폭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총 소요대역폭을 이용하여 해당 링크의 총 링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에서 호 블록킹 확률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트래픽의 소요대역폭을 산출함으로써 주어진 서비스별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정확한 링크용량을 산출할 수 있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계획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을 위한 스트리밍 트래픽(streaming traffic)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스트리밍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서비스는 전체 링크대 역폭을 공유하는 전부 공유나, 특정 서비스가 필요한 대역폭을 선점하고 남은 대역폭을 공유하는 부분 공유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서비스의 대역폭 공유방법은 복수의 서비스의 호 블로킹에 영향을 주게 된다. 여기서 호 블로킹이란 네트워크가 더 이상 새로운 호를 수용하지 못하여 추가 발생한 호를 차단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호 블로킹 확률은 네트워크에서 호가 차단되는 확률을 말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IP 네트워크에서는 패킷 레벨에서 복수의 서비스에 따른 우선순위 큐잉에 따라 트래픽을 제어하고 특정 서비스에 대해 대역폭을 할당하는 방식의 자원제어는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IP 네트워크에서는 복수의 멀티서비스가 링크 대역폭을 전부 공유한다고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스트리밍 트래픽(streaming traffic)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요구하는 부과로드(offered load)를 각각 입력받는다(S10).
상기 부과로드는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호가 발생하고, 한 호가 얼마만큼의 시간동안 네트워크에서 지속되는 지를 나타내는 트래픽의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의 IP 네트워크의 링크대역폭 C는 복수의 서비스에 의해 공유되는데, 상기 복수의 서비스의 통화 호가 발생시키는 트래픽은 도착률 λk를 갖고 상기 트래픽의 서비스 지속시간은 μk가 된다. 이에 상기 복수의 서비스가 IP 네트워 크에 부과하는 부과로드는 ak = λkk 로 계산된다. 여기서 상기 부과로드는 서비스에 따른 고유한 값으로 미리 입력을 받는다.
이어서 링크대역폭 및 상기 복수의 서비스 별 요구대역폭을 각각 입력받게 된다(S11).
상기 링크대역폭은 본 발명에 IP 네트워크에서 스트리밍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서비스의 전송에 적용할 대역폭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계획하고자 하는 값을 예컨대, 10Mbps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서비스 별 요구대역폭은 복수의 서비스가 스트리밍 트래픽의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에 요구하는 각각의 대역폭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서비스가 2개의 서비스로 이루어질 경우, 예를 들어 제1서비스는 2Mbps, 제2서비스는 4Mbps를 요구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의 대역폭의 총합이 상기 링크대역폭을 초과하지 않게 되는 서비스들의 개수의 비율에 따른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의 상태들을 산출한다(S12).
예를 들어 상기 제1서비스의 요구대역폭이 2Mbps이고, 상기 제2서비스의 요구 대구대역폭이 4Mbps인 경우, 상기 제1서비스가 IP 네트워크에 2개 수용되고, 상기 제2서비스가 IP 네트워크에 1개 수용된다면, (2Mbps×2)+(4Mbps×1)=8Mbps가 되므로 상기 링크대역폭인 10Mbps를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서비스가 IP 네트워크에 2개 수용되고, 상기 제2서비스가 IP 네트워크에 1개 수용된다면 상기 링크대역폭을 갖는 네트워크는 상기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를 호 블록킹 없이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의 개수의 비가 링크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는 모든 경우의 존재 가능한 네트워크의 상태들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 n=(n1, n2)로 정의되는데, 상기 n1은 제1서비스의 개수이고, 상기 n2는 제2서비스의 개수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IP 네트워크에서의 상태들을 도시한 상태전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비스의 요구대역폭이 2Mbps이고, 상기 제2서비스의 요구 대구대역폭이 4Mbps이며, 링크대역폭이 10Mbps인 경우, 링크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는 모든 경우의 네트워크의 상태는 (0,2), (1,2), (0,1), (1,1), (2,1), (3,1), (0,0), (1,0), (2,0), (3,0), (4,0), (5,0)과 같이 12개가 된다. 즉 첫 번째 상태의 경우를 살펴보면 제1서비스는 0개이고, 제2서비스는 2개이므로 (2Mbps×0)+(4Mbps×2)=8Mbps이므로 링크대역폭인 10Mbps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12개의 네트워크 상태들은 각각 확률이 존재하고, 상기 12개의 네트워크의 상태들의 확률의 합은 1이 되어야 한다.
상기 12개의 네트워크 상태 즉 n개의 상태들이 네트워크에 존재할 확률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도출된다.
P(n):
Figure 112008037737717-PAT00001
Figure 112008037737717-PAT00002
Figure 112008037737717-PAT00003
(P(n): 상태들의 확률의 총 합산 값, a
Figure 112008037737717-PAT00004
: 각 서비스별 부과로드, n
Figure 112008037737717-PAT00005
: 서비스들의 개수, G: P(n)을 1로 만들기 위한 정규화 상수)
상기 모든 네트워크의 상태의 확률 값을 계산해보면 우선 제1서비스의 부과로드(a1)는 3이 되고, 제2서비스의 부과로드(a2)는 2라고 가정한다.
이에 (0,2)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06
Figure 112008037737717-PAT00007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08
Figure 112008037737717-PAT00009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0
가 된다.
한편 (1,2)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1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2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3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4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5
가 된다.
한편 (0,1)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6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7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8
Figure 112008037737717-PAT00019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0
가 된다.
한편 (1,1)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1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2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3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4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5
이 된다.
한편 (2,1)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6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7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8
Figure 112008037737717-PAT00029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0
가 된다.
한편 (3,1)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1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2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3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4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5
가 된다.
한편 (0,0)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6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7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8
Figure 112008037737717-PAT00039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0
이 된다.
한편 (1,0)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1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2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3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4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5
이 된다.
한편 (2,0)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6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7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8
Figure 112008037737717-PAT00049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0
가 된다.
한편 (3,0)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1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2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3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4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5
가 된다.
한편 (4,0)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6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7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8
Figure 112008037737717-PAT00059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0
가 된다.
한편 (5,0)의 경우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1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2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3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4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5
가 된다.
결국 상기 모든 네트워크의 상태들의 확률 값을 합산하면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6
가 되고, G(w)는 상기 합산 값을 1로 만들기 위한 상수이므로 상기 G(w)는 52.4가 된다.
상기 G(w) 값을 상기 12개의 네트워크 상태 즉 (0,2), (1,2), (0,1), (1,1), (2,1), (3,1), (0,0), (1,0), (2,0), (3,0), (4,0), (5,0)의 확률 값에 대입하게 되면 상기 12개의 네트워크 상태의 확률 값은 각각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7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8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69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0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1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2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3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4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5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6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7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8
가 되며 이들의 총 합산 값은 1이 된다.
이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들 중 각 서비스별로 상기 네트워크가 더 이상 호를 수용할 수 없는 상태들을 선별(S13)하고 선별된 상태들의 확률 값을 합산하여 이를 각 서비스 별 호 블록킹 확률로 도출한다(S14).
상기 S13에서 호 블록킹은 상기 네트워크가 더 이상 호를 수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발생하데, 상기 12개의 네트워크 상태들 중 제1서비스의 개수의 추가가 불가능한 상태는 (1,2), (3,1), (5,0)의 상태이다. 즉 (2,2), (4,1), (6,0)처럼 제1 서비스의 개수를 추가하면 각각 요구대역폭의 합이 12Mbps가 되어 링크대역폭인 10Mbps를 초과하게 된다
이에, 상기 (1,2), (3,1), (5,0)의 상태의 확률의 합 즉,
Figure 112008037737717-PAT00079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0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1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2
가 되므로, 상기 제1서비스의 호 블록킹 확률은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3
=0.324가 된다.
한편 상기 12개의 네트워크 상태들 중 제2서비스의 개수의 추가가 불가능한 상태는 (0,2), (1,2), (2,1), (3,1), (4,0), (5,0)의 상태이다. 즉 (0,3), (1,3)처럼 제2서비스의 개수를 추가하면 각각 요구대역폭의 합이 각각 12Mbps, 14Mbps가 되어 링크대역폭인 10Mbps를 초과하게 된다
이에 상기 (0,2), (1,2), (2,1), (3,1), (4,0), (5,0)의 상태의 확률의 합 즉,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4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5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6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7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8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89
=
Figure 112008037737717-PAT00090
가 되므로, 상기 제2서비스의 호 블록킹 확률은
Figure 112008037737717-PAT00091
=0.599가 된다.
이어서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을 입력받게 된다(S15). 상기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은 네트워크 설계자가 목표로 설정한 호 블록킹 확률로서, 예컨대, 0.6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각 서비스별 호 블록킹 확률을 목표 호 블록킹 확률과 비교하여(S16), 상기 각 서비스별 호 블록킹 확률이 모두 목표 호 블록킹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링크대역폭을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한 소요대역폭으로 결정하게 된 다(S18).
즉, 상기 제1서비스의 호 블록킹 확률은 0.324이고, 상기 제2서비스의 호 블록킹 확률은 0.599가 되므로 상기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인 0.6을 초과하지 않았으므로 상기 링크대역폭인 10Mbps를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에 따른 스트리밍 트래픽의 전송을 위한 소요대역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16에서 상기 제1서비스의 호 블록킹 확률 및 제2서비스의 호 블록킹 확률이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을 초과할 경우, 상기 링크대역폭을 10Mbps에서 예컨대 11Mbps로 증가시키고(S17), 다시 S12 단계로 복귀한다.
결국 상기와 같이 스트리밍 트래픽에 의한 소요대역폭을 산출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해당 링크의 총 링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탄성 트래픽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원천데이터를 수집한다.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에서 측정하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정보 중 특정 서비스가 예컨대 5분간 전송한 트래픽 볼륨을 측정하게 된다.
이어서 네트워크 최번 시 일정시간 예컨대 1시간 평균 트래픽을 산출하여 접속 링크별 가입자당 트래픽을 산출한다(S20).
이어서 목표연도의 링크별 가입자수와 가입자당 트래픽을 곱하여 목표연도의 탄성 트래픽을 계산하게 된다(S21)
여기서 상기 탄성 트래픽의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해 별도의 보정계수를 곱하여 탄성 트래픽에 의한 소요대역폭을 산출할 수 있다(S22).
여기서 보정계수란 소요대역폭과 링크용량의 비로 정의된다. 일반적인 인터넷 백본 접속링크에서 관찰하는 탄성 트래픽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산출한 소요대역폭을 기준으로 주어진 패킷 손실률을 만족시키는 링크용량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산출된 스트리밍 트래픽에 따른 소요대역폭과 탄성 트래픽에 따른 소요대역폭을 합산하여 총 소요대역폭을 산출하고(S23), 상기 총 소요대역폭을 이용하여 해당 링크의 총 링크용량을 산출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계획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IP 네트워크에서의 상태들을 도시한 상태전이도.

Claims (3)

  1.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으로서,
    (a) 스트리밍 트래픽(streaming traffic)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부과하는 부과로드(offered load)를 각각 입력받는 단계;
    (b) 네트워크의 링크대역폭 및 상기 복수의 서비스 별 요구대역폭을 각각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의 요구대역폭의 총합이 상기 링크대역폭을 초과하지 않게 되는 서비스들 간의 개수의 비율에 따른 존재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 상태들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 상태들 중 각 서비스별로 상기 네트워크가 더 이상 호를 수용할 수 없는 상태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태들의 확률 값을 합산하여 이를 각 서비스 별 호 블록킹 확률로 도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각 서비스별 호 블록킹 확률이 별도로 입력받은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을 모두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링크대역폭을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한 소요대역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각 서비스별 호 블록킹 확률이 모두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을 초과하면, 상기 링크대역폭을 일정 크기만큼 증가시켜 상기 각 서비스별 호 블록킹 확률이 목표 호 블록킹 확률을 모두 만족할 때까지 상기 (b) 단계 및 (c)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e) 네트워크 최번 시 일정 시간당 평균 트래픽을 산출하여 접속 링크별 가입자당 탄성 트래픽을 산출하는 단계;
    (f) 목표연도의 링크별 가입자수와 가입자당 트래픽을 곱하여 목표연도의 탄성트래픽을 계산하는 단계;
    (g) 상기 탄성트래픽에 별도의 보정계수를 곱하여 탄성 트래픽에 의한 소요대역폭을 산출하는 단계; 및
    (h) 상기 탄성 트래픽에 의한 소요대역폭과 상기 스트리밍 트래픽에 의한 소요대역폭을 합산하여 총 소요대역폭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총 소요대역폭을 이용하여 해당 링크의 총 링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KR1020080049085A 2008-05-27 2008-05-27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KR20090123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085A KR20090123147A (ko) 2008-05-27 2008-05-27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085A KR20090123147A (ko) 2008-05-27 2008-05-27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147A true KR20090123147A (ko) 2009-12-02

Family

ID=4168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085A KR20090123147A (ko) 2008-05-27 2008-05-27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31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09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updating and operating a network based on quality of experience
US9608923B2 (en)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for multi-screen video applications over cable Wi-Fi networks
KR20060064661A (ko) 통신 네트워크 내의 상이한 트래픽 클래스에 대한 플렉시블승인 제어
JP2008543172A (ja) パケットデ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スケジューリングを改良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Bagci et al. Dynamic resource allocation by batch optimization for value-added video services over SDN
Georgoulas et al. Heterogeneous real-time traffic admission control in differentiated services domains
Latré et al. Protecting video service quality in multimedia access networks through PCN
Dimitriou et al. Promoting effective service differentiation with Size-oriented Queue Management
Lakkakorpi et al. Adaptive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for differentiated services access networks
Georgoulas et al. An integrated bandwidth allocation and admission control framework for the support of heterogeneous real-time traffic in class-based IP networks
KR20090123147A (ko) 멀티서비스 ip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계획 방법
US8804522B2 (en) Method and allocation unit for allocating a communication pipe in a communication network
Rakocevic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in multi-class IP networks using utility functions.
Yang et al. Scalab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ervice-level agreement guarantees in converged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networks
Raghunath et al. Edge-based QoS provisioning for point-to-set assured services
Hoque et al. Call admission control: QoS issue for VoIP
Georgoulas et al. Admission control placement in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s
KR101058930B1 (ko) 인터넷 전화의 대역폭 할당 장치 및 방법
Khorov et al. SAND-inspired Cross-layer Approach for CCTV in 5G Networks
Wang et al. An efficient bandwidth management scheme for real-time Internet applications
RU2744775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мультисервисных сетях связи
Uzunalioglu et al. Call admission control for voice over IP
Latré et al. Design and configuration of PCN based admission control in multimedia aggregation networks
Pirhadi et al. Analysis of Call Set-up Delay for different resource control schemes in Next Generation Networks
Sharafeddine et al. A dimensioning strategy for almost guaranteed quality of service in voice over IP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