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178A -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178A
KR20090121178A KR1020090000702A KR20090000702A KR20090121178A KR 20090121178 A KR20090121178 A KR 20090121178A KR 1020090000702 A KR1020090000702 A KR 1020090000702A KR 20090000702 A KR20090000702 A KR 20090000702A KR 20090121178 A KR20090121178 A KR 20090121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electronic lock
management server
access poin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택
나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베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베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베콤
Publication of KR20090121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대중이용시설에 설치되며, 사물함의 전자자물쇠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물함의 상기 전자자물쇠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카운터 단말기; 상기 카운터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사물함의 정보를 갱신 및 저장하고, 입실신호에 따라 키 해제신호를 전송하며, 퇴실신호에 따라 키 락킹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상기 대중이용시설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키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열림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의 락킹/해제상태를 제어하는 상기 전자자물쇠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자물쇠와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정보를 중계하는 RF 송수신모듈을 구비하는 사물함; 및 상기 사물함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정보를 상기 RF 송수신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RF 송수신모듈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RF 송수신모듈 사이의 정보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무선 엑세스포인트를 포함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00702
공용사물함, 무선통신, 무선엑세스포인트, 전력선 통신모뎀, RF 송수신모듈, 웨이크-업, 배터리 수명

Description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The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lock of public locker}
본 발명은 공용사물함의 키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세는 사우나를 포함한 스포츠 센터 등과 같이 공공시설의 라커룸에 설치된 공용사물함의 전자식 키를 무선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원격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포츠 센터나 사우나 등의 라커룸에 시설된 공용사물함의 키를 카운터에 수집해 두었다가 이용자들이 시설에 입실할 때 키를 지급하고, 퇴실 시에 그 키를 다시 반납 받는 형태로 운영되어 왔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은 카운터의 관리 소홀이나 이용자들의 부주의로 키를 분실할 우려가 매우 높았을 뿐만 아니라, 키의 불법적인 복제 등으로 인한 보안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키 분실 및 복제 우려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 는 공용사물함에 전자식 자물쇠를 장착하고, 이 자물쇠와 전자식 키를 물리적으로 락킹될 수 있게 함으로서, 시설 이용자들이 퇴실할 때 키가 공용사물함의 자물쇠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35114호(명칭: 대중이용시설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하, "선행특허"이라 약칭함)에 제시된 바 있다. 다시 말해서 카운터의 관리자와 이용자가 서로 키를 주고받을 필요가 없게 하였고, 아울러 공용사물함의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관리자가 원격지의 카운터에서 사물함의 번호부여 및 자물쇠의 해제와 잠금을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선행특허의 기술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관리서버(30)는 사물함(70)의 개폐여부 등을 포함한 제반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해둔다. 다시 말해서 사물함(70)에 구비된 각각의 자물쇠(71)로부터 취득된 정보는 중계장치(60)와 부제어장치(50) 및 주제어장치(40)를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되며, 여기에 사용되는 통신방식은 RS485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시설 이용자가 카운터에서 소정의 입실절차(사용료 지불)를 마치면 관리자는 카운터 단말기(10)를 통하여 관리서버(30)로부터 사용하자 않는 사물함(70)을 검색하고, 비어있는 사물함(70)의 지정과 동시에 자물쇠(71)의 잠금을 해제하여 해당 사물함을 개방한다. 그리고 프린터(20)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해당 사물함의 식별번호를 발행하여 이용자는 카운터에서 키를 지급받지 않더라도 지정해준 사물함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사물함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자물쇠 와 키의 락킹이 해제됨으로 이용자는 키를 소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의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각 자물쇠(71)들과 관리서버(30)간의 통신을 위한 전송케이블이 모두 중계장치(60)에 접속되어야 하므로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배선의 뒤엉킴 현상이 발생하며, 많은 배선으로 인해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고장 발생 시에 많은 배선을 일일이 검사하여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원활하지 못하다. 또한, 사물함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새로운 사물함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기 매설 또는 포설된 배선 공사를 변경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여 내부시설의 변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설치 과정 및 설치 작업이 가능한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지보수가 원활한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물함의 이동 및 교체가 용이한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물함의 자물쇠와 관리장치 사이의 정보교환을 무선통신방식으로 수행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중이용시설에 설치되며, 사물함의 전자자물쇠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물함의 상기 전자자물쇠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카운터 단말기; 상기 카운터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사물함의 정보를 갱신 및 저장하고, 입실신호에 따라 키 해제신호를 전송하며, 퇴실신호에 따라 키 락킹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상기 대중이용시설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키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열림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의 락킹/해제상태를 제어하는 상기 전자자물쇠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자물쇠와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정보를 중계하는 RF 송수신모듈을 구비하는 사물함; 및 상기 사물함에 인접 설 치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정보를 상기 RF 송수신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RF 송수신모듈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RF 송수신모듈 사이의 정보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무선 엑세스포인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를 정합하는 전력선 통신모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와의 각종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로를 형성하는 RF 정합부; 상기 RF 정합부를 경유한 상기 관리서버의 입실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전자자물쇠의 상태정보를 변조하는 변복조부; 상기 RF 송수신모듈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자물쇠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RF 송수신모듈의 전체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제1 소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웨이크-업 모드와 대기모드를 번갈아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상기 제1 소정시간은 3sec이고, 상기 웨이크-업 모드는 10ms 이내이며, 상기 웨이크-업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이 대기모드로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입실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소정시간보다 긴 제2 소정시간동안 상기 입실신호를 상기 RF 송수신 모듈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상기 배터리의 동작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의 동작전압이 기 설정된 소정레벨 이하일 때 상기 제어부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저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압 감지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경보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는, 상기 다수의 사물함에 대하여 일대다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와 다수의 사물함 사이에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엑세스포인트를 설치함으로써, 설치 과정 및 설치 작업이 간단하다.
또한, 무선 엑세스포인트와 사물함 사이에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복잡한 배선을 배제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원활하다.
또한, 무선 엑세스포인트와 사물함 사이에 배선의 연결이 없으므로 사물함의 이동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RF 송수신모듈을 웨이크-업 모드와 대기모드로 반복 동작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시간의 최대한 연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배터리의 교체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사물함의 상세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RF 송수신모듈의 상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2b에 도시된 전자자물쇠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먼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카운터 단말기(100)는 사물함(600)의 전자자물쇠(610)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프린터(200)는 상기 카운터 단말기(100)의 제어에 의해 사물함(600)의 식별번호표를 발행한다.
관리서버(300)는 상기 카운터 단말기(100)의 명령에 따라 사물함(600)의 정보를 갱신 및 저장한다.
무선 엑세스포인트(400)는 사물함(600)에 내장된 RF 송수신모듈(800, 도 3 참조)을 경유하여 전자자물쇠(610)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중계한다.
전력선 통신모뎀(500)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400)와 관리서버(300) 간의 통신을 전력선을 통하여 정합시킨다.
상기한 전력선 통신모뎀(50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전력선 통신모뎀은 상기 관리서버(300)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호 이더넷으로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전력선 통신모뎀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400)와 상호 근접되어 접속된다.
한편, 상기한 관리서버(300)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400)간에 전력선 통신모뎀(500)을 직접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전력선 통신모뎀(500)을 배제한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전력선 통신모뎀(500)간의 데이터 전송은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방식을 사용한다. 즉, 전력선 통신이란 현재 범용으로 사용되는 AC 상용전원(220V 60Hz) 라인에 수백KHz~수십MHz의 고주파 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는 통신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각각의 전력선 통신모뎀(500)에 구비된 전원플러그를 AC 상용전원 콘센트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통신라인이 형성되므로, 상기 관리서버(300)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400)간에 별도의 통신케이블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키(700)는 상기 사물함(600)의 도어를 개폐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RF 송수신모듈(8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RF 송수신모듈(800)은 사물함(600)에 구비된 전자자물쇠(610)의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즉, 상기 RF 송수신모듈(800)은 무선 엑세스포인트(400)와 전송로 형성을 위한 RF 정합부(810)와, 상기 RF 정합부(810)를 경유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복조하는 변복조부(820)와, 상기 RF 송수신모듈(800)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30)와, 상기 배터리(830)의 전압을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840)와, 상기 전자자물쇠(610)와의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RF 송수신모듈(800)의 전체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850)를 포함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전자자물쇠(610)의 개략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자물쇠 제어장치(611)는 상기 RF 송수신모듈(800)과 통신하면서 키(700)의 락킹/해제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자물쇠 제어장치(611)는 키(700)가 전자자물쇠(610)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고, 사물함(600)의 도어 락킹 및 풀림 상태를 제어하며,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한다.
도어 락킹 솔레노이드(612)는 상기 자물쇠 제어장치(6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물함(600) 도어의 락킹 및 풀림 상태를 제어한다.
도어 열림 감지 스위치(613)는 상기 사물함(600) 도어의 열람상태를 감지하여 자물쇠 제어장치(611)에 통지한다.
키 락킹 솔레노이드(614)는 키(700)의 삽입을 감지하고, 자물쇠 제어장치(611)의 락킹/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키(700)의 락킹 및 해제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모드에서 RF 송수신모듈(800)은 3sec를 주기로 하여 10ms 동안 웨이크-업(wake-up) 상태를 반복한다. 즉, RF 송수신모듈(800)은 3sec를 주기로 하여 10ms의 웨이크-업 모드 및 2.99sec의 슬립(sleep)모드를 반복하여 동작한다.
이후, 사용자가 사물함(600)을 사용하고자 하여 입실등록을 하면, 관리서버(300)는 비어있는 사물함(600)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물함(600)을 배정한 입실신호를 전송한다.
관리서버(300)에서 전송된 입실신호는 전력선 통신모뎀(500)을 거쳐 무선 엑세스포인트(400)에 전달되고, 무선 엑세스포인트(400)는 사물함(600)내의 RF 송수신모듈(800)에 입실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무선 엑세스포인트(400)는 RF 송수신모듈(800)의 한주기(3sec)보다 긴 시간(예를 들면, 4sec)동안 입실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무선 엑세스포인트(400)에서 전송된 입실신호가 RF 송수신모듈(800)에서 반 드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RF 송수신모듈(800)은, 사물함(600)내의 전자자물쇠(610)와 무선 엑세스포인트(400) 사이에서 정보를 무선으로 중계하며, 이때,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2.4GHz 대역의 ISM밴드(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를 사용한다.
한편, 저전압 감지부(840)는 배터리(830)의 완전 방전으로 인한 전자자물쇠(61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830)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하(예를 들면, 1.6V로 설정됨)의 저전압으로 감지되면 이를 제어부(850)에 통지하고, 상기 제어부(850)는 저전압정보를 변복조부(820) 및 RF 정합부(810)를 경유하여 전송한다.
상기한 저전압정보는 무선 엑세스포인트(400) 및 전력선 통신모뎀(500)을 통하여 관리서버(300)에 통지되고, 관리서버(300)는 저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카운터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배터리(830)의 교체시기를 통지한다.
특히, 상기한 설명에서와 같이, RF 송수신모듈(800)의 주기를 3sec 및 웨이크-업 시간을 10ms로 설정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500mAH의 AA형 1.5V 건전지 두 개를 사용하여 3V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830)의 경우, 웨이크-업 상태에서의 소모전류는 대략 40mAH가 되며, 대기모드 상태에서의 소모전류는 대략 50uAH가 된다. 또한, RF 송수신모듈(800)의 웨이크-업 모드의 비율은 0.4%, 대기모드의 비율은 99.6%가 되어 대부분의 경우 대기모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배터 리(830)의 소모 전력이 극히 제한되어 배터리(830)의 교체주기(대략, 1년 이상)를 연장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830)의 교체시기를 연장함으로써, 배터리(830)의 교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RF 송수신모듈(800)에서 입실신호가 수신되면, RF 송수신모듈(800)은 잠금 해제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잠금 해제신호는 전자자물쇠(610)의 자물쇠 제어장치(611)에 전달된다. 자물쇠 제어장치(611)는 수신된 잠금 해제신호에 따라 키 락킹 솔레노이드(614)에 해제신호를 전송하여 키(700)의 락킹상태를 해제한다.
한편, 고객이 퇴실을 위해 키(700)를 전자자물쇠(610)에 삽입하면, 키 락킹 솔레노이드(614)가 키 삽입을 감지하여 자물쇠 제어장치(611)에 키 삽입신호를 전송하고, 자물쇠 제어장치(611)는 퇴실신호를 RF 송수신모듈(800)과 무선 엑세스포인트(400) 및 전력선 통신모뎀(500)을 거쳐 관리서버(300)에 전달한다.
관리서버(300)는 퇴실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사물함(600)의 사용 상태를 배정 가능한 상태로 등록한다.
한편, 상기한 도 2a의 구성에서 관리서버(300)와 무선 엑세스포인트(400)를 유선으로 직접 연결함으로써, 전력선 통신모뎀(500)을 배제한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관리서버(300)와 무선 엑세스포인트(400) 사이에는 적은 수의 배선만으로도 유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전력선 통신모뎀(500) 을 사용하지 않아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a는 종래의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사물함의 상세구조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사물함의 상세구조도.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RF 송수신모듈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도 2b에 도시된 전자자물쇠의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카운터 단말기
300: 관리서버
400: 무선 엑세스포인트
500: 전력선 통신모뎀
600: 사물함
610: 전자자물쇠
611: 자물쇠 제어장치
612: 도어 락킹 솔레노이드
613: 도어 열림 감지 스위치
614: 키 락킹 솔레노이드
700: 키
800: RF 송수신모듈
810: RF 정합부
820: 변복조부
830: 배터리
840: 저전압 감지부
850: 제어부

Claims (8)

  1. 대중이용시설에 설치되며, 사물함의 전자자물쇠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물함의 상기 전자자물쇠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카운터 단말기;
    상기 카운터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사물함의 정보를 갱신 및 저장하고, 입실신호에 따라 키 해제신호를 전송하며, 퇴실신호에 따라 키 락킹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상기 대중이용시설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키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열림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의 락킹/해제상태를 제어하는 상기 전자자물쇠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자물쇠와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정보를 중계하는 RF 송수신모듈을 구비하는 사물함; 및
    상기 사물함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정보를 상기 RF 송수신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RF 송수신모듈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RF 송수신모듈 사이의 정보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무선 엑세스포인트를 포함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를 정합하는 전력선 통신모뎀을 더 포함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와의 각종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로를 형성하는 RF 정합부;
    상기 RF 정합부를 경유한 상기 관리서버의 입실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전자자물쇠의 상태정보를 변조하는 변복조부;
    상기 RF 송수신모듈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자물쇠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RF 송수신모듈의 전체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제1 소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웨이크-업 모드와 대기모드를 번갈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상기 제1 소정시간은 3sec이고, 상기 웨이크-업 모드는 10ms 이내이며, 상기 웨이크-업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이 대기모드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입실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소정시간보다 긴 제2 소정시간동안 상기 입실신호를 상기 RF 송수신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상기 배터리의 동작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의 동작전압이 기 설정된 소정레벨 이하일 때 상기 제어부에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저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압 감지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경보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엑세스포인트는,
    상기 다수의 사물함에 대하여 일대다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KR1020090000702A 2008-05-20 2009-01-06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KR200901211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28 2008-05-20
KR20080046428 2008-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178A true KR20090121178A (ko) 2009-11-25

Family

ID=4160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702A KR20090121178A (ko) 2008-05-20 2009-01-06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117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3387A (zh) * 2016-07-07 2016-10-12 上海长跃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物联网的智能锁具
KR101868930B1 (ko) * 2016-04-18 2018-06-19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961517A (zh) * 2018-09-13 2018-12-07 广东法瑞纳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锁系统
KR20190019233A (ko) * 2017-08-16 2019-0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잠금상태 인식모듈을 이용한 수동형 물품보관함 실시간 이용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10428524A (zh) * 2019-07-30 2019-11-08 苏州星航综测科技有限公司 无电源无线充电供能式终端及其手持机远程加密管理系统
CN110443938A (zh) * 2019-09-18 2019-11-12 浙江大搜车软件技术有限公司 存储柜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20001288A1 (zh) * 2018-06-27 2020-01-02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储物柜控制系统、储物柜控制方法以及柜锁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30B1 (ko) * 2016-04-18 2018-06-19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023387A (zh) * 2016-07-07 2016-10-12 上海长跃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物联网的智能锁具
KR20190019233A (ko) * 2017-08-16 2019-0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잠금상태 인식모듈을 이용한 수동형 물품보관함 실시간 이용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WO2020001288A1 (zh) * 2018-06-27 2020-01-02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储物柜控制系统、储物柜控制方法以及柜锁
CN108961517A (zh) * 2018-09-13 2018-12-07 广东法瑞纳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锁系统
CN110428524A (zh) * 2019-07-30 2019-11-08 苏州星航综测科技有限公司 无电源无线充电供能式终端及其手持机远程加密管理系统
CN110428524B (zh) * 2019-07-30 2024-03-05 苏州星航综测科技有限公司 无电源无线充电供能式终端及其手持机远程加密管理系统
CN110443938A (zh) * 2019-09-18 2019-11-12 浙江大搜车软件技术有限公司 存储柜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1178A (ko) 공용사물함의 전자자물쇠 원격관리 시스템
AU2011207536B2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with wireless update and cascade lock control
CN101404095B (zh) 通过电子门手柄的集成在线门
US20060164206A1 (en) Reduced power electronic lock system
KR20070120109A (ko) 근접식 웨이크-업 활성화 전자 회로
CN108650890A (zh) 用于家具、橱柜或储物柜的电子键盘锁
JPH10246043A (ja) 建造物の錠装置
CN105957202A (zh) 一种智能化楼宇整体通道安全管理系统
WO2000077330A1 (en) On-line, door-mounted electric lock
CN204595972U (zh) 一种可共享信息的互联网家居卫士信息服务系统
KR20110033809A (ko)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및 감시제어장치
CN109326036A (zh) 锁具监控管理方法及系统
CN104933799A (zh) 酒店用指纹锁联网应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428534A (zh) 一种智能楼宇管理系统
CN110533813B (zh) 一种能够保障检修安全的智能门禁系统
CN105957203A (zh) 一种集中式公寓整体通道安全管理系统
CN101206963B (zh) 变配电系统“五防”智能解锁及不间断检修系统
TWI638316B (zh) 具備選擇性功能的rfid藍牙轉接器
CN104821028B (zh) 一种可共享信息的互联网家居卫士信息服务系统
CN207068085U (zh) 一种适用于地下电站智能报警门禁系统
CN201126962Y (zh) 变配电系统“五防”智能解锁及不间断检修装置
CN204595973U (zh) 一种智能化安防设备
CN109427116B (zh) 一种带接近感应报警功能的多节点省电无线智能锁系统
JP5441223B2 (ja) ドアロックシステム
CN104835227B (zh) 一种智能化安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