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724A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in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724A
KR20090120724A KR1020080046670A KR20080046670A KR20090120724A KR 20090120724 A KR20090120724 A KR 20090120724A KR 1020080046670 A KR1020080046670 A KR 1020080046670A KR 20080046670 A KR20080046670 A KR 20080046670A KR 20090120724 A KR20090120724 A KR 20090120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call
video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0240B1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4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240B1/en
Publication of KR2009012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2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and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re provide to transmit a plurality of substitute imag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CONSTITUTION: A camera(121) photographs an imag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11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 display unit(151) displays the transmitted first image and the received second image during a video call. A memory(160) stores the images. A controller(180) transmits a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the memory as the transmitted first imag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n case a video call receiver ID is stored, the controller extracts an image related to the receiver ID and then the extracted image as the first imag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IN}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IN}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시, 대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substitute video during a video call.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aking pictures or videos through a camera, storing voices, playing music files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displaying images or videos. Some mobil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ality to play games, while others are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s to watch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In addition, efforts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ntinue. The foregoing efforts include not only changes and improvements in the structural components forming the mobile terminal, but also improvements in software or hardware.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 on a technology for making a video call using a mobile terminal has been actively conducted.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통화 시, 대체 영상을 다양하게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variously transmitting a replacement video during a video call.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대체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ubstitute imag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 영상 통화 시, 전송되는 제1영상 및 수신되는 제2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전송되는 제1영상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camera for taking an imag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data communication;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first image transmitted and a second image received during a video call; A memory for storing an imag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transmit the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the memory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s the first image to be transmit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시, 제1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영상 통화 시, 제2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1영상으로 저장된 복수 개의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 first image during a video call; Receiving a second image during a video call;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controlling a plurality of images stored as the first image to be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복수 개의 대체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함으로써, 대체 영상을 다양하게 전송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and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 plurality of substitute images by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ubstitute imag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The mobil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or the like. have.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illustrat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1 illustrates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components.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essential components.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or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 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and the like. hav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MediaFLO).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may be internal or external.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heck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ne example is 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The GPS modul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represented by latitude and longitude. For example, the GPS module can measure the exact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by triangulating three different distances.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with one satellite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GPS module can obtain not only the location of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but also accurate time together with three-dimensional speed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terminal.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s, Video I / O (Input / Output) port, earphone port, etc. may be included.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 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nd a 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smart card).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a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sound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3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n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touch input position and the touched area but also the touch input pressure.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real-touch but also proximity touch.

본 명세서에서 "터치(real-touch)"라 함은 화면에 실제로 포인터(pointer)가 터치된 경우를 말하고, "근접 터치(proximity-touch)"라 함은 포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된 경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pointer)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그 일례로 스타일러스 팬, 손가락 등이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real-touch" refers to a case in which a pointer is actually touched on the screen, and the term "proximity-touch" refers to a point in which the pointer actually touches the screen. Instead, it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screen approaches a distance from the scree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ointer refers to a tool for touching or proximity touching a specific portion of a displayed screen. Examples include stylus fans, fingers, and the like.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는 센싱부(14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various sensors may be provided inside or near the touch screen to detect a touch or a proximity touch of the touch screen. Alternatively,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touch or the proximity touch of the touch screen may be disposed in the sensing unit 140.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An example of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f the touch screen is a tactile sensor.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The tactile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senses the contact of a specific object to the extent that a person feels or more. The tactile sensor may sens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roughness of the contact surface, the rigidity of the contact object,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point, and the like.

또한, 터치 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드래그(touch-drag) 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드래그"라 함은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된 지점이 이동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를 말한다. 터치 드래그와 구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지점을 포인터를 통해 두드리는 행위를 "탭 터치(tap-touch)"라 부를 수 있다. 이 경우,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어, 촉각 센서)는 터치 드래그(touch-drag)의 드래그 방향, 드래그 속도, 드래그 길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f the touch screen may detect a touch drag. "Touch drag" refers to a case where a touched point is moved while the touch is maintained. That is, it is a case of dragging while the touch is maintained. Tapping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display screen with a pointer to distinguish it from touch drag may be referred to as a "tap-touch". In this case, a sensor (eg, a tactile sensor) that detects a touch may sense a drag direction, a drag speed, a drag length, and the like of the touch drag.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An example of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f the touch screen is a proximity sensor.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Thus, proximity sensors have a considerably longer life than contact sensors and their utilization is also quite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이들 중에서 상기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예를 설명하자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To explain an example of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the oscillation amplitude of the oscillation circuit is attenuated or stopped when the sensing object approaches the sensor sensing surface in the state of oscillating the high frequency wave of the wave in the oscillation circuit. This chang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ensing object. Therefore, even if a non-metallic material comes between the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nd the sensing object, the proximity switch can detect the sensing object to be detect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object.

상기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 및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Even when the proximity sensor is not firmly mounted,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proximity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Therefore, when the pointer is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touch screen although it is not actually touche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er and the touch screen may be detected.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 센서는 포인터의 근접 거리가 소정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이를 근접 터치로서 인식할 수 있다. 근접 거리라 함은 화면과 포인터와 떨어진 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근접 거리는 화면과 포인터와 떨어진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proximity touch with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touch. If the proximity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e proximity sensor may recognize it as a proximity touch. Proximity means the distance away from the screen and the pointer. In particular, the proximity distance may mean the shortest distance away from the screen and the point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화면의 소정 지점이 근접 터치 된다"는 말은 상기 소정 지점과 수직으로 대응되는 공간 상의 위치에 포인터가 위치하여, 근접 터치로서 인식된다는 말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predetermined touch of the screen" means that the pointer is located at a position on the space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oint, and is recognized as a proximity touch.

상기 근접센서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근접 속도라 함은 포인터가 화면을 향해 근접하는 속도 또는 포인터가 화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속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근접 드래그(proximity-drag)의 드래 그 방향, 드래그 속도, 드래그 길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드래그(proximity-drag)"라 함은 근접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근접 터치된 지점이 이동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근접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를 말한다.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proximity distance, proximity touch direction, proximity speed, proximity touch time, proximity touch position,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etc.), and detects the detected proxim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In this specification, the proximity speed means a speed at which the pointer approaches the screen or a speed at which the pointer moves away from the screen. For example, the proximity sensor may detect the drag direction, drag speed, drag length, and the like of the proximity drag. The term "proximity-drag" refers to a case where the proximity touched point is moved while the proximity touch is maintained. That is, the case where the drag is performed while the proximity touch is maintained.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and key signal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to inform this. Alternatively, when a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Of course, the signal for event occurrence notific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voice output module 152.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the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playing multimedia.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 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It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0.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appearance. Hereinafter, for simplicity, a slider type mobi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r type mobi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yp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200 and a second body 205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200.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200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body 205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20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205.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mobile terminal mainly operates in a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the mobil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200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51, the sound output module 152, the camera 121, or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200,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22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uch pad is superimposed on the display module 151 in a layer structure, the display unit 151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peaker.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camera 121 may be implemented to be suitab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or the like.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Like the first body 200, the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econd body 205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230 and the second rear case 235.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ser input unit 215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05, specifically, on the front 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230.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user input unit 245,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ont case 230 or the second rear case 235.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 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s 210, 215, and 24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130, and may be any type of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hile giving a tactile feeling. Either way may be employed.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a wheel or jog method of rotating a key, or a manipulation method such as a joystick. May also be implemented.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215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user input unit 245 may operate as a hot 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is wired or wirelessly,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 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second rear case 235 side.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camera 121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235 of the second body 205.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and the camera 121 and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And may have different pixels.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has a low pixel so that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of the user's face and transmit it to the counterpart in the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has a general structure.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the subject is often photographed and not immediately transmitted.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250 and the mirror 255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The flash 250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The mirror 255 allows the user to see the user's face or the like when photographing (self-photographing) the user by using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econd rear case 235.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f the second body 205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f the first body 200,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260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235. The antenna 260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body 205 and 2.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265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205 is disposed on the first rear case 225 side of the first body 200.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265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ont case 230 side of the second body 205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camera 121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the second body 20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260, 121 to 250, and 15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second rear case 235, such as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may be the first body 200, mainly. May be mounted on the first rear case 225. If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disposed in the first rear case 225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205. Furthermore, even if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may be photographed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3 may be operated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It can be configured to.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different air interfaces and / or physical layers. For example, a radio interface usable by a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especially Long Term Evolution (LT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tc. May be inclu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CDMA. Howe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 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S) 270, and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280. The MSC 28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290 and is also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BSCs 275. The BSCs 275 may be coupled to the BS 270 through a backhaul line. The backhaul lin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E1 / 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or xDSL. Thus, a plurality of BSCs 275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shown in FIG.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Each BS 27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tor, and each sector may include an omnidirectional antenna or an antenna pointing radially out of BS 270. In addition, each sector may include two or more antennas of various types. Each BS 27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plurality of frequency assignments, each of which has a specific spectrum (eg, 1.25 MHz, 5 MHz, etc.).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The intersection of sectors and frequency assignments may be called a CDMA channel. BS 270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 In this case, the word "base station" may be called the sum of one BSC 275 and at least one BS 270. The base station may also indicate “cell site”. Alterna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ors for a particular BS 270 may be called a plurality of cell site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4, a broadcasting transmitter (BT) 295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to terminals 100 operating in the system. The broadcast module 111 shown in FIG. 1 is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by the BT 295.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IG. 4 illustrates multipl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s (GPS) satellites 300. The satellites 300 help to locate the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Although two satellites are shown in FIG. 4, useful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two or less or more satellites. The GPS module 115 shown in FIG. 1 cooperates with the satellites 300 to obtain desired location information. Here, the location can be tracked using all the techniques that can track the location, not just the GPS tracking technology.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GPS satellites 300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be responsible for satellite DMB transmiss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During typical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S 270 receives a reverse link signal from various terminals 100. At this time, the terminals 100 are connecting a call,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essage, or performing another communication operation. Each of the reverse link signals received by a particular base station 270 is processed within by the particular base station 270. The data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BSC 275. BSC 275 provides call resource allocation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soft handoffs between base stations 270. In addition, the BSC 275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MSC 280, and the MSC 280 provides an additional transmission service for connection with the PSTN 290. Similarly, PSTN 290 connects with MSC 280, MSC 280 connects with BSCs 275, and BSCs 275 send BSs 270 to transmit a forward link signal to terminals 100. ).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특히, 영상 통화 시, 영상(picture)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영상은 정지 영상(still picture) 및 동영상(moving pictur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particular, a method of transmitting a picture during a video call will be described. The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ill picture and a moving pi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촬영된 자신의 영상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대방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S10).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전송 및 상대방 영상 수신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전송되는 사용자의 영상 및 수신되는 상대방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영상 대신 대체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S20). 이 경우, 대체 영상은 정지 영상(still picture) 및 동영상(moving pictur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may transmit his / her own image taken using the camera 121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other party, and receive the other party's image to perform a video call (S10). The image transmission and the counterpart image reception of the user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transmitted user's image and the received counterpart's imag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this case, the user may transmit a substitute image instead of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21 (S20). In this case, the substitute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ill picture and a moving picture.

제어부(180)는 대체 영상 전송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ID)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본 명세서에서 아이디(ID)는 특정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름, 닉네임, 인터넷 상에서의 아이디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a key signal for transmitting an alternate video is inpu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video call counterpart ID is stored (S3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D refers to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specific person, and may include a name, nickname, and ID on the Internet.

제어부(180)는, 통화 상대방의 아이디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저장 공간에서 통화 상대방의 아이디를 검색할 수 있다(S40). 여기서 저장 공간이라 함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메모리(160)가 될 수 있다.When the ID of the call counterpart is stored, the controller 180 may search for the ID of the call counterpart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40). Here, the storage space refers to a space where data is stored and may be a memory 160.

제어부(180)는 검색된 아이디를 이용해 상기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S50). The controller 180 can extract an image related to the call counterpart ID using the searched ID (S50).

영상 통화 상대방의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이 추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추출된 영상만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S60, S80), 추출된 영상에 특정의 부가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S60, S70). 부가 정보는 전송되는 영상의 시간적 정보, 공간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video associated with the ID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is extracted,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only the extracted video to the counterpart (S60, S80), or may include and transmit 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extracted video (S60, S70).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temporal information, spatial and the like of the transmitted image.

"시간적 정보"라 함은 전송되는 각 영상의 시간적 관계 또는 전송되는 영상과 영상 사이의 시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편의상, 듀레이션(duration) 정보라 함),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영상 사이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편의상, 인터발(interval) 정보라 함) 등을 포함한다. "공간 정보"라 함은 영상의 특정 공간에 배치(layout)하기 위한 정보를 말한다.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효과를 줄 수 있다."Tempor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transmitted image or a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mitted image and the image, and information on the duration of time that the image is displayed (for convenience, referred to as dur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time interval between the displayed image and the image (for convenience, referred to as interval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for laying out in a specific space of an image. The displa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또한, 제어부(180)는 추출된 영상을 모두 자동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추출된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automatically transmit all of the extracted images, or may transmit only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extracted images.

또한, 추출된 영상을 하나만 전송할 수도 있고, 복수 개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영상을 전송할 경우, 소정 시간 간격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이 5개인 경우, 5개의 영상을 3초 간격으로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only one extracted image may be transmitted or a plurality of images may be transmitted.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images are transmitted, the images may be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if there are five images to be transmitted, five images may be repeatedly transmitted at three second intervals.

한편, 영상 통화 상대방의 아이디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 는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저장 영상 중 대체 영상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S90). 이 경우, 하나의 영상을 선택할 수도 복수 개의 영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ID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is not stored,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the stored image.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an image to be transmitted as a substitute image among the displayed stored images (S90). In this case, one image may be selected or a plurality of images may be selected.

사용자에 의해 전송하고자 하는 대체 영상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영상만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S100, S120), 선택된 영상에 특정의 부가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S100, S110). 부가 정보는 전송되는 영상의 시간적 정보, 공간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효과를 줄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영상을 전송할 경우, 소정 시간 간격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이 5개인 경우, 5개의 영상을 3초 간격으로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When an alternative image to be transmitted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only the selected image to the counterpart (S100, S120), or may include and transmit 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selected image (S100, S110).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temporal information, spatial and the like of the transmitted image. The displa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images are transmitted, the images may be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if there are five images to be transmitted, five images may be repeatedly transmitted at three second intervals.

이하,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영상 통화 중, 대체 영상을 전송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영상 통화 상대방의 아이디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tate of a screen when a signal for transmitting a substitute video is input during a video call. In particular, this indicates a case where the ID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is not stored.

도 6a는 영상 통화 시,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다. 화면 상단에는 상대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화면의 우측 하단에는 사용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6A illustrates a display state of a screen during a video call. The other party's image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the user's image is displayed at the lower right of the screen.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an image of a user captured by the camera 121 in real time.

영상 통화 중, 대체 영상 전송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대체 영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영상을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b 및 도 6c). 도 6c는 영상 통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대체 영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영상이 포함된 팝업 창(60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 또는 도 6c와 같이 선택 가능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대체 영상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영상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선택하고자 하는 영상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되는 영상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되는 영상이 복수 개일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복수 개의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이 5개인 경우, 5개의 영상을 3초 간격으로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간격을 다르게 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번 영상 전송하고 5초 후에 2번 영상을 전송하고, 3초 후에 3번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영상과 영상 전송을 위한 소정 시간 간격은 디폴트(default)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When a signal for transmitting a substitute video is input during a video call,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an image that can be selected as a substitute video in a thumbnail form (FIGS. 6B and 6C). 6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pop-up window 601 including an image that can be selected as a substitute image is displayed while the video call screen is displayed. In a state where a selectable imag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6B or 6C, the user may select an image to be transmitted as a substitute image.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m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screen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image to be selected may be touched or in close proximity. There may be a plurality of images select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mage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to the counterpar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if there are five images to be transmitted, five images may be repeatedly transmitted at three second intervals.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with different time intervals. For example, the second image may be transmitted 5 seconds after the first image transmission, and the third image may be transmitted after 3 seconds.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image and the image may be default or may be set by the user.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에서는 영상이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는 동영상을 전송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이 전송된 후, 정지 영상이 전송된 경우, 동영상의 마직막 프레임과 정지 영상은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images are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receiving terminal may receive the images in a slide format. This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video is transmitted. For example, when a still image is transmitted after the moving image is transmitted, the last frame and the still image of the moving image may be displayed in a slide format.

도 7은 영상 통화 중, 대체 영상을 전송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영상 통화 상대방의 아이디가 저장된 경우를 나타낸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tate of a screen when a signal for transmitting a substitute video is input during a video call. In particular, it represents a case where the ID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is stored.

도 7a는 영상 통화 시,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다. 화면 상단에는 상대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화면의 우측 하단에는 사용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상단(701)에는 영상 통화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상대방의 이름 및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7A illustrates a display state of a screen during a video call. The other party's image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the user's image is displayed at the lower right of the screen.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an image of a user captured by the camera 121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screen 701 display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video call counterpart. For example, the name and phone number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may be displayed.

영상 통화 중, 대체 영상 전송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대체 영상으로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b 및 도 7c). 도 7c는 영상 통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추출된 영상이 포함된 팝업 창(703)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When a signal for transmitting a substitute video is input during a video call, the controller 180 may extract a video related to a video call counterpart ID as a substitute video and display the thumbnail in a thumbnail form (FIGS. 7B and 7C). FIG. 7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pop-up window 703 including an extracted image is displayed while a video call screen is displayed.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은 상대방 아이디를 이용해서 식별될 수 있는 영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을 폰북에서 추출할 수 있다. 폰북에는 특정 상대방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 이메일 주소, 벨소리, 음악, 이미지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영상 통화 상대방과 관련된 저장 영역에서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특정 상대방과 관련된 특정 폴더를 검색하여, 검색된 폴더에 저장된 영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파일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 영상과 관련된 영상 파일을 추출할 수도 있다. "파일의 식별 정 보"라 함은 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파일의 종류, 파일의 크기, 파일 이름, 파일의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상대방과 관련된 영상인지 식별을 위해, 영상 파일 이름의 태그(Tag) 부분에 특정 상대방의 아이디를 입력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태그 부분에 입력된 상대방 아이디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상대방의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The video associated with the call counterpart ID refers to a video that can be identified using the counterpart I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extract an image related to the counterpart ID from the phone book. The phone book may store a name, date of birth, address, email address, ringtone, music, image, etc. of a specific counterpart. Also, the controller 180 may extract an image related to the counterpart ID from the storage area related to the video call counterpar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search for a specific folder related to a specific counterpart and extract an image stored in the found folder.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extract an image file related to the counterpart image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file"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file and may include a file type, a file size, a file name, and a playing time of the file.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n ID of a specific counterpart in a tag portion of an image file name to identify whether the video is associated with a specific counterpar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inputs the tag portion in the tag portion. The video associated with the ID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may be extracted using the counterpart ID.

도 7b 또는 도 7c와 같이 선택 가능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대체 영상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영상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선택하고자 하는 영상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되는 영상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되는 영상이 복수 개일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복수 개의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이 5개인 경우, 5개의 영상을 3초 간격으로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간격을 다르게 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번 영상 전송하고 5초 후에 2번 영상을 전송하고, 3초 후에 3번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영상과 영상 전송을 위한 소정 시간 간격은 디폴트(default)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In a state where a selectable imag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7B or 7C, the user may select an image to be transmitted as a substitute image.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m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screen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image to be selected may be touched or in close proximity. There may be a plurality of images select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mage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to the counterpar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if there are five images to be transmitted, five images may be repeatedly transmitted at three second intervals.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with different time intervals. For example, the second image may be transmitted 5 seconds after the first image transmission, and the third image may be transmitted after 3 seconds.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image and the image may be default or may be set by the user.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에서는 영상이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는 동영상을 전송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이 전송된 후, 정지 영상이 전송된 경우, 동영상의 마직막 프레임과 정지 영상은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 레이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images are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receiving terminal may receive the images in a slide format. This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video is transmitted. For example, if a still image is transmitted after the moving image is transmitted, the last frame and the still image of the moving image may be displayed in a slide format.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대체 영상 전송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영상 통화 상대방과 관련된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모두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된 영상 선택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80 may extract an image related to a video call counterpart and automatically transmit all of the extracted images when a key signal for transmitting an alternate image is input. In this case, the screen for selecting the extracted image may not be displayed.

도 8은 영상 통화 상대방의 단축번호와 연계된 특정 저장 영역에서 영상을 추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단축번호는 상기 특정 저장 영역뿐만 아니라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와도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an image from a specific storage area associated with a speed dial number of a video call counterpart. In addition, the shortcut number may be associated with the phone number of the counterpart as well as the specific storage area.

영상 통화 중, 특정 단축 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단축번호에 연계된 폴더에 저장된 영상을 썸네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대방의 단축번호가 "1"인 경우, 영상 통화 중, "1"번 키 입력에 따라 제어부(180)는 "1번 폴더"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1번 폴더"에 상기 상대방과 관련된 영상만을 저장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speed dial number is input during a video call,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video stored in a folder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speed dial number as a thumbnail. For example, when the other party's shortcut number is "1",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n image stored in "folder 1" according to a key input of "1" during a video call. The user may store only the image related to the counterpart in the "folder 1".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영상 통화 도중 단축번호 입력을 통해 특정 상대방과 관련된 대체 영상을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다.By the above method, the user may conveniently transmit a substitute image related to a specific counterpart through a shortcut number input during a video call.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대체 영상 전송 시, 부가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되는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when the replacement image is transmitted. For example, an image effect may be inserted into a transmitted image and transmitted. Such an example is shown in FIG. 9.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대체 영상이 선택된 경우,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이미지 효과 삽입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팝업 창(901)을 디스 플레이할 수 있다. 팝업 창(901)을 통해 이미지 효과를 삽입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대체 영상에 상기 영상의 시간적 정보, 공간적 정보 등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when the replacement image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pop-up window 901 for selecting whether to insert an image effect automatically or by a user input. When the insertion of an image effect is selected through the pop-up window 901,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temporal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etc. of the image in the substitute image.

한편, 상기 전송되는 영상의 시간적 정보, 공간적 정보 등의 부가 정보는 특정 언어 형식으로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식 멀티미디어 통합 언어(SMIL,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형식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이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이미지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보다 쉽게 동기화시켜 사용자에게 보여지도록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XML 기반의 언어이다. SMIL은 특성(attribute)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미디어 효과(Fade in/out, wipe in/out)를 각 컨텐츠 별로 줄 수 있다. SMIL을 이용하면, 웹사이트 개설자들은 비디오, 사운드 및 정지화상 등 웹 상의 표현이나 상호작용을 위한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쉽게 정의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오늘날 웹상에서, 비록 동영상이나 정지화상 및 사운드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지만, 각 요소는 다른 것들과 분리되어 있으며, 정교한 프로그래밍이 없이는 다른 요소들과 상호작용하지 못한다. SMIL은 사이트 개설자들이 여러 편의 영화나 정지영상들 그리고 사운드 등을 분리해서 보내더라도, 보여지는 시간 및 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 Meanwhil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emporal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image may be encoded and transmitted in a specific language format. For example, it may be encoded in a synchronous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SMIL) format.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SMIL) is an XML-based language designed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synchronize multimedia content such as audio, video, text, and images so that they can be viewed by users. SMIL can add media items (Fade in / out, wipe in / out) for each content by adding attribute items. With SMIL, website creators can easily define and synchronize multimedia elements for presentation or interaction on the web, including video, sound, and still images. On the web today, although it can deliver video, still images, and sound to the user, each element is isolated from the others and cannot interact with other elements without sophisticated programming. SMIL allows site creators to control the time and area of view, even if they send multiple movies, still images and sound separatel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핸드라이팅(handwriting)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위에 특정 캐릭터가 쓰여진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핸드라이팅을 캐릭터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캐릭터"는 문자, 기호, 그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 사용자에 의해 쓰여진 캐릭터를 대체 영상 전송 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recognize handwriting of the user. Therefore, when a specific character is written on the touch screen by the user, the controller 180 may recognize the handwriting of the user as an input of the character. As used herein, a “character” may include letters, symbols, pictures,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a character written by the user when the substitute image is transmitted. Such an example is shown in FIG. 10.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쓰여진 텍스트를 대체 영상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 통화 시, 상대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위에 핸드라이팅으로 특정의 텍스트를 쓸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특정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텍스트를 대체 영상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텍스트 전송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텍스트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드래그에 의해서도 상기 텍스트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드래그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80)는 텍스트 전송을 위한 신호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As shown, the controller 180 can transmit the text written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replacement image. For example, in a video call, a user may write specific text by handwriting on an area where the counterpart image is displayed. When a specific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text together with the substitute image. For example, when a key signal for text transmission is input,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text to the counterpart. Also, the tex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by touch dragging. For example, when the touch drag is mad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controller 180 may recognize it as a signal input for text transmission.

제어부(180)는 상기 텍스트를 이미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텍스트만 추출하여 이미지화할 수도 있고, 대체 영상 위에 상기 텍스트가 오버랩되게 디스플레이되게 이미지화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text in the form of an imag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extract and image only the text, or may image the text so that the text is overlapped on the replacement imag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대체 영상 전송 시, 특정 음악도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transmit a specific music when transmitting an alternative image. Such an example is shown in FIG. 9.

제어부(180)는, 대체 영상 전송 시, 특정 음악을 전송하기 위한 팝업 창(11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1a). 상기 특정 음악은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음악일 수 있다.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음악은 상대방 아이디를 이용해서 식별될 수 있는 음악을 말한다. 상기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음악은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pop-up window 1101 for transmitting specific music when the substitute image is transmitted (FIG. 11A). The specific music may be music associated with the counterpart ID. The music associated with the counterpart ID refers to music that can be identified using the counterpart ID. The music related to the counterpart ID may have the same description of the video associat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ID.

제어부(180)는, 팝업 창(1101)에서 "예"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음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1b). 이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음악은 상대방 단말기로 저장되거나 영상 통화 중 배경음악으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배경음악 재생은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If “Yes” is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1101,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music related to the counterpart ID (FIG. 11B).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music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unterpart. The transmitted music may be stored in the counterpart terminal or played as background music during a video call. The background music playback may be performed in at least one of a user terminal and a counterpart terminal.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팝업 창(1101)에서 "예"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음악 모두를 자동으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when "Yes" is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1101, the controller 180 may automatically transmit all of the music related to the counterpart ID to the counterpart.

도 12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방법으로 대체 영상이 전송된, 수신측 단말기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나타낸다.FIG. 1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t a receiving terminal in which a substitute image is transmitted by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S. 6 to 11.

도시된 된 바와 같이, 수신 단말기에서는 대체 영상을 수신하여, 슬라이드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단말기에서 영상의 부가 정보를 더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특정 효과가 함께 나타날 수 있다.As shown, the receiving terminal may receive the replacement image and display the slide image. In this case, when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image is further received by the receiving terminal, a specific effect may appear together on the displayed imag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ler 180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다양한 방법으로 대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the replacement image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Or some may be selectively comb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1은 이동 단말기에서 대체 영상을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substitute image in a mobile terminal.

도 12는 대체 영상을 수신한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by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 substitute image.

Claims (15)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A camera for taking an image;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data communication; 영상 통화 시, 전송되는 제1영상 및 수신되는 제2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first image transmitted and a second image received during a video call;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A memory for storing an image; And 상기 전송되는 제1영상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transmit the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a memory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s the transmitted first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가 저장된 경우,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을 상기 제1영상으로 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when the video call counterpart ID is stored, extracting an image related to the video call counterpart ID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video as the first vide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에 관련된 영상을 폰북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a video associat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ID from a phone boo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파일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a video associat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ID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fi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식별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le is 사용자에 의해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 mobile terminal, which can be input by a us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추출된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상기 제1영상으로 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displaying an image related to the extracted video call counterpart ID and transmitting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extracted images as the first im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의 디스플레이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play of the video associated with the extracted video call counterpart ID is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과 연계된 단축번호가 입력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a shortcut number associat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is inpu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제1영상 전송 시, 전송되는 영상의 시간적 정보 및 공간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emporal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image when the first image is transmitted.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되,The display unit has a touch scre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위에 쓰여진 사용자의 핸드 라이팅을 인식하고, 상기 핸드 라이팅에 의해 작성된 캐릭터를 상기 제1영상 전송 시,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controller may recognize handwriting of a user written on the touch screen, and transmit the character created by the handwriting upon transmission of the first ima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핸드 라이팅에 의해 작성된 캐릭터를 이미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a character created by the hand writing in the form of an imag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제1영상 전송 시,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음악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When transmitting the first image,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music associat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ID. 영상 통화 시, 제1영상을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first image during a video call; 상기 영상 통화 시, 제2영상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second image during the video call;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Display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상기 제1영상으로 저장된 복수 개의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And transmitting the plurality of images stored as the first imag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ling step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가 저장된 경우,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a video associat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ID when the video call counter ID is stored; And 상기 추출된 영상을 상기 제1영상으로 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mage as the first imag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상대방 아이디와 관련된 영상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video associat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ID is 폰북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ed from the phone book.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ling step 상기 제1영상 전송 시, 전송되는 영상의 시간적 정보 및 공간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emporal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image when transmitting the first image.
KR20080046670A 2008-05-20 2008-05-2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in KR1014902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6670A KR101490240B1 (en) 2008-05-20 2008-05-2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6670A KR101490240B1 (en) 2008-05-20 2008-05-2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24A true KR20090120724A (en) 2009-11-25
KR101490240B1 KR101490240B1 (en) 2015-02-05

Family

ID=4160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6670A KR101490240B1 (en) 2008-05-20 2008-05-2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240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436A (en) * 2001-05-29 2002-12-06 Nec Corp Video telephone apparatus
KR100703415B1 (en) * 2005-09-1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communic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3511B1 (en) * 2005-10-0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240B1 (en)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023B1 (en)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KR10096979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ynthersizing contents
KR101513024B1 (en) Terminal and method of recognizing image therein
KR102182398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08532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090100933A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3028590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39960A (en) Mobile terminal and me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KR20100004017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2010002033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ssion information thereof
KR20090052243A (en) Mobile terminal and its key input method
KR101502002B1 (en) Mobile terminal using of proximity touch and wallpaper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09006352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alying back data therein
KR20090132991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channel list therein
US2014007535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1742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nnel thereof
KR2009011104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therein
KR2009011702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notifying information therein
KR10143047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mposing menu therein
KR2009011941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contents purchase therein
KR10148634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screen therein
KR10144363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therein
KR20100040126A (en) Mobile terminal and configuration setting method of external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0011522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in
KR2010003688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