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276A - 접지선 보안 장치 - Google Patents

접지선 보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276A
KR20090120276A KR1020080046228A KR20080046228A KR20090120276A KR 20090120276 A KR20090120276 A KR 20090120276A KR 1020080046228 A KR1020080046228 A KR 1020080046228A KR 20080046228 A KR20080046228 A KR 20080046228A KR 20090120276 A KR20090120276 A KR 20090120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ircuit
switch
alarm
unit
groun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896B1 (ko
Inventor
박재형
조상희
신선호
김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4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89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04Q1/116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lightning or EMI protection, e.g. shielding or ground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선 보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선 보안 장치는 기울기 센서 및 접지선 감시부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는 통신장비의 접지선에 부착되어 접지선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 또는 움직임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접지선 감지부는 기울기 센서가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면 알람 신호를 종합 상황실에 송출한다.
이와 같이,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접지선의 도난 여부를 감시하여 접지선의 도난이 발생하면 종합 상황실의 운용자에게 실시간 통보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접지선, 통신장비, 틸트 센서

Description

접지선 보안 장치{Security unit for a ground wire}
본 발명은 접지선 보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통신장비에 설치된 접지선을 외부 침입자에 의해 도난 당하지 않도록 감시하는 접지선 보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장비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중계기 등에 설치되는 접지선은 통신장비를 전기적으로 대지와 접속시켜 주어 통신장비에 가해지는 과부하나 낙뢰 등에 의한 써지(SERGE) 전압을 대지로 흘려 보낼 수 있다. 즉, 접지선에 의해 통신장비가 과부하 및 써지전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매년 접지선 도난이 지속적이고 중복적으로 발생하여 통신장비의 안정운용에 영향을 끼쳐 수선 유지비 비용이 증가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경기도 고양 및 파주 지역에서만 07년 13건, 08년 1/4분기에만 벌써 3건이 발생한 상황이다.
만약, 통신장치 피뢰침 접지선이 파손되면 평상시에는 이상이 없지만 비가 올 때나 낙뢰가 칠 때는 장비 전환부가 파손되어 휴대폰 불통 상황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지선 도난에 대한 특별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즉 접지선이 도난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합 상황실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접지선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순찰을 실시하거나 또는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많은 비용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실시간 감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지선의 도난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접지선의 도난이 발생하면 운용자에게 실시간 통보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접지선 보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접지선 보안 장치는,
통신장비의 접지선에 부착되어 상기 접지선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 또는 움직임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가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면 알람 신호를 종합 상황실에 송출하는 접지선 감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는 마련되지 않았던 접지선 보안 장치를 통해 접지선의 도난, 일부 절단 및 유실 등에 대한 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운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접지선 도난의 발생시 운용요원을 즉각 투입할 수 있다. 더불어,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접지선 도난범에게 경각심을 주어 계속된 도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접지선 도난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장비에 기 탑재된 환경 알람 구성과 연동하는 접지선 보안 장치를 통해 접지선의 도난 여부를 손쉽게 실시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접지선 보안 장치를 틸트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히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접지선 보안 장치의 전원을 통신장비의 동작 전원과 동일한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접지선 보안 장치의 전원 투입이 용이하고 회로 구성이 간단해진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보안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보안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지면 위로 설치된 접지선(100)의 특정 지점, 예를 들어 지상 4~5m 지점에 기울기 센서(이하, '틸트(Tilt) 센서'라 기술함)(200)가 부착된다.
틸트 센서(200)는 접지선(100)의 충격 또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틸트 센서(200)는 접지선(100)을 절단하고자 하는 시도가 발생하면 접지선(100)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감지하여 접지선 감시부(300)를 작동시킨다.
틸트 센서(200)는 기존의 센서 회로와 다르게 충격 또는 움직임의 발생시 간단한 온(on)/오프(off)의 기능이 있으며 센서에 별도의 동작 전류 등이 필요 없는 수동소자이다. 틸트 센서(200)는 평상시에는 오프 상태에서 좌우로 좌우로 20° 이상 기울어지면 온 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틸트 센서(200)와 연결된 접지선 감시부(300)는 틸트 센서(200)가 온 되면 동작하는 알람 회로이다. 접지선 감시부(300)는 틸트 센서(200)에 한 번 접지선(100)의 충격 또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회로를 수동으로 초기화하기 전에는 알람이 지속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접지선(100)에 부착된 틸트 센서(200)가 접지선 감시부(300)와 연결된다. 이는, 접지선(100) 자체 구리 동체에 알람 회로가 직결될 경우 낙뢰시나 누설 전류가 발생시 통신장비에 손상(Damage)이 발생할 소지를 막기 위함이다.
또한, 틸트 센서(200)가 저온 상태에서도 이상 없이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틸트 센서(200)를 약 3일간 냉장고에서 얼린 후, 충격/움직임이 가해졌을 때 정상적인 동작 여부 시험을 1주일간 진행한 결과 정상으로 동작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접지선 감시부(300)는 전원 공급부(400), 경보음 발생기(500) 및 환경 알람 발생기(600)와 연결되어 있다.
전원 공급부(400)는 접지선 감시부(300)의 회로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경보음 발생기(500)는 사이렌 등과 같은 가청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외부 침입자가 접지선(100)의 절단을 시도할 경우 경각심을 주어 도난 작업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경보음 발생기(500)는 틸트 센서(200)가 온 됨에 따라 구동된 접지선 감시부(300)에 의해 가청 경보음을 발생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경보음 발생기(500)는 정류기 전원 DC 27V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소화 설비 제품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환경 알람 발생기(600)는 통신장비(예, 기지국, 중계기 등)에 기 탑재된 장비로서, 통신장비 주변 환경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한 결과에 따른 알람을 발생시킨다. 환경 알람의 종류는, 전압다운, 정류기 출력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등의 발생시 발생되는 정류기 알람 및 화재 발생, 침수시 등에 발생되는 환경 알람이 있다.
환경 알람 발생기(600)는 종합 상황실(700)과 연결되어 있어, 환경 알람의 발생을 종합 상황실로(7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접지선 감시부(300)는 통신장비의 정류기 뒷문 상단 빈 공간에 설치하고 경보음 발생기(500)는 통신장비 바닥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지선 보안 장치는 틸트 센서(200), 접지선 보안 장치, 전원 공급부(400), 경보음 발생기(500) 및 환경 알람 발생기(600)를 포함한다.
한편, 종합 상황실(700)은 통신장비의 전반적인 감시 및 통제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종합 상황실(700)은 교환실의 기지국 관리부(Base Station Manager :BSM)를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 관리부는 기지국 운용에 관한 정보 수집, 기지국 운용의 감시 및 탐지된 고장에 관련된 하부 장치 감시, 명령어에 의한 시험, 통계 자료 수집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종합 상황실(700)에서는 환경 알람 발생기(600)로부터 환경 알람이 발생하면, 운용요원들을 해당 통신장비로 파견한다.
이와 같이, 접지선 감시부(300)는 환경 알람 발생기(600)와 연동하므로, 틸트 센서(200)가 접지선(100)의 물리적인 충격을 감지하면 실시간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환경 알람 발생기(600)를 통해 종합 상황실(700)로 접지선(100)의 도난 여부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접지선 감시부(300)의 알람 회로 구성은 이하, 도 2, 도 3 및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릴레이로 구성된 논리회로로 설계되어 있다.
즉 접지선 감시부(300)는 스위칭 기능의 제1 릴레이 회로부(R1), 제2 릴레이 회로부(R2), 경보음 발생기용 파워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제3 릴레이 회로부(R3), 상기 제1 릴레이 회로부(R1), 제2 릴레이 회로부(R2) 및 제3 릴레이 회로 부(R3)를 리셋하기 위한 스위치부(S/W), 퓨즈(Fuse)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보음 발생기(500)의 동작을 운용요원에 의해 인위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틸트 센서(200) 두 개의 단자 중 '+' 단에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1 스위치(S1)에 연결, 다른 한쪽 '-' 단에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1 스위치(S1) 및 접지(GND) 단자에 연결하여 방수 처리 한다. 즉 두 개의 단자 중 하나에는 ⓐ 케이블을 연결하고, 다른 하나에는 ⓑ와 ⓒ 케이블을 연결한다.
여기서, ⓐ 케이블은 제1 릴레이 회로부(R1)와 연결되고, ⓑ 케이블은 제2 릴레이 회로부(R2)와 연결되며, ⓒ 케이블은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1 스위치(S1)은 일측은 ⓐ 케이블과 연결되고 일측은 접지 단자와 연결된다.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2 스위치(S2)는 제1 스위치, 퓨즈를 통하여 전원 공급부(400)와 연결된다. 이때, 전원 공급부(400)가 제공하는 접지선 감시부(300)의 회로 전원은 통신장비의 정류기 전원 DC 27V를 이용한다.
ⓑ 케이블과 연결된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1 스위치(S1)은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2 스위치(S2) 및 경보음 발생기(500)와 연결된다.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2 스위치(S2)는 환경 알람 발생기(60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S2)가 오프되면 환경 알람 발생기(600)에서 알람이 발생한다.
이때,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2 스위치(S2)를 옥외형 기지국의 정전 알람 단자에 직렬로 연동하여 환경 알람 중에서 'AC Fail'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 다. 또는 환경 알람 중에서 'Fire Alarm' 등을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다.
제3 릴레이 회로부(R3)는 제2 릴레이 회로부(R2) 및 경보음 발생기(500)와 연결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접지선 감시부(300)가 실시예 별로 동작하여 접지선의 도난 여부를 감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이 정상 상태일 경우의 접지선 감시부의 내부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접지선 감시부의 내부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접지선 감시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이때, 전류의 흐름은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먼저,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틸트 센서(200)가 정상 상태일 경우 즉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코일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1 스위치(S1)과 제2 스위치(S2)는 오프 즉 아래를 향하여 스위칭 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400)를 통해 인입되는 전류는 퓨즈, 제1 스위치를 통과하여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2 스위치(S2)를 통하여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코일에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1 스위치(S1)과 제2 스위치(S2)는 온 즉 위를 향하여 스위칭 된다. 이때,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2 스위치(S2)가 온 즉 위를 향하여 스위칭 된 상태에서는 환경 알람 발생기(600)의 알람은 발생하지 않는 다. 그리고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1 스위치(S1)가 위를 향하여 스위칭 된 상태에서는 제3 릴레이 회로부(R3)의 코일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제1 스위치는 오프 상태에 있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경보음 발생기(500)도 동작하지 않는다.
즉 틸트 센서(200)가 오프 상태일 경우, 접지선 감시부(300)의 전류는 전원 공급부(400)로부터 인입되어 퓨즈, 제1 스위치,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2 스위치(S2)를 통과하여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코일로 흘러 ⓑ 케이블 및 ⓒ 케이블로 흐른다.
다음,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틸트 센서(200)가 좌우로 20° 이상 기울어 온 상태로 전환되어 ⓐ 케이블과 ⓑ 케이블이 아주 잠시라도 숏트되면 전원 공급부(400)로부터 인입된 전류가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코일을 지나 ⓐ 케이블을 통하여 ⓒ 케이블로 흐른다(①). 이때,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1 스위치(S1)가 위를 향하여 스위칭 되어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전류 공급이 계속 유지된다(①).
그리고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2 스위치(S2)도 위를 향하여 스위칭 되었으므로,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코일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된다. 그러면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2 스위치(S2)가 아래를 향하여 스위칭 되어 환경 알람 발생기(600)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므로 환경 알람 발생기(600)는 알람을 발생한다. 또한,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1 스위치(S1)도 아래를 향하여 스위칭 되어 제3 릴레이회로부(R3)의 코일에 전류가 흐른다(②). 그리고 제3 릴레이 회로부(R3)의 스위치가 위를 향하여 스위칭 되어 동작(②)하므로, 경보음 발생기(500)는 경보음을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틸트 센서(200)와 연결된 케이블이 절단되는 경우, 즉 ⓑ 케이블 및 ⓒ 케이블이 절단되는 경우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2 스위치(S2)를 통하여 제2 릴레이 회로부(R2)를 거쳐, ⓑ 케이블 및 ⓒ 케이블로 흐르던 전류가 차단된다. 이때, 도 2의 정상 상태에서 도 4의 이상 상태로 바뀌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면, 제2 릴레이 회로부(R2)가 동작을 멈추므로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1 스위치(S1)과 제2 스위치(S2)가 아래를 향하여 스위칭 되므로 환경 알람 발생기(600)로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어 환경 알람 발생기(600)는 알람을 발생한다.
그리고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1 스위치(S1)을 통하여 제3 릴레이 회로부(R3)의 코일에 전류가 흘러 제3 릴레이 회로부(R3)의 스위치가 위를 향하여 스위칭 되어 동작하므로, 경보음 발생기(500)는 경보음을 발생한다.
이때, 도 3과 도 4에서 틸트 센서(200)를 원래대로 복구하여도 제1 릴레이회로부(R1)는 계속하여 동작하므로, 경보음 발생기(500)와 환경 알람 발생기(600)는 각각 경보음 및 알람 발생을 계속한다. 따라서, 운용요원이 투입되어 인위적으로 틸트 센서(200)를 원래대로 복구하고 접지선 감시부(300)의 릴레이 회로를 리셋해야 동작은 정상상태로 복구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틸트 센서(200)의 '+' 단에 제1 릴레이 회로부(R1)의 제1 스위치(S1) 또는 '-' 단에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1 스위치(S1) 및 접 지(GND)단자에 연결된 케이블이 절단될 경우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2 스위치(S2)가 오프 되어 환경 알람이 발생한다. 또한, 틸트 센서(200)가 기울어지면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2 스위치(S2)가 오프 되어 환경 알람이 발생한다.
이때, 한 번 환경 알람이 발생되면 알람 원인을 해소후 즉 케이블 단선, 틸트 센서를 원 위치한 후 전원을 리셋해야만 환경 알람이 클리어(Clear)된다.
그리고 접지선 절취자가 경보 해제를 목적으로 접지선 감시부(30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회로 내부의 과전류로 인하여 퓨즈가 단선될 경우 제2 릴레이 회로부(R2)의 제2 스위치(S2)가 오프 되어 환경 알람이 발생한다. 따라서, 외부 침입자에 의한 고의적인 경보 해제가 불가능하다. 이때, 경보음 발생기(500)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경보음 발생기(500)는 접지선 감시부(300)의 외부에 별도 조작장치 즉 경보음 발생 제어부를 통해 리셋하여 경보음 발생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침입자에 의해 접지선(100)을 잘라내거나 떼어내거나 또는 어떤 다른 방법으로 제거하려고 허락없는 시도가 있으면 틸트 센서(200)가 온 되어 접지선 감시부(300)의 릴레이 회로를 동작시키므로, 경보음 및 환경 알람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교환실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에서 기지국 전송기(BTS, Base Transceiver System) 전원 AC(alternating current) 가청 경보를 발생시켜 운용요원에게 즉각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보안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이 정상 상태일 경우의 접지선 감시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접지선 감시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접지선 감시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Claims (8)

  1. 통신장비의 접지선에 부착되어 상기 접지선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 또는 움직임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가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면 알람 신호를 종합 상황실에 송출하는 접지선 감시부
    를 포함하는 접지선 보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 감시부와 연결되어 가청 경보음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기; 및
    상기 접지선 감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알람 신호-여기서 알람 신호는 통신장비에 탑재되어 상기 통신장비 주변 환경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한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환경 알람 신호임-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환경 알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접지선 보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 감시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의 기울기 변화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접지 단자, 상기 기울기 센서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접지선 감시부의 구 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릴레이 회로부;
    상기 기울기 센서의 기울기 변화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기울기 센서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릴레이 회로부의 제2 스위치 및 상기 환경 알람 발생기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2 릴레이 회로부; 및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의 제1 스위치 및 상기 경보음 발생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의 제1 스위치가 오프되면 동작하여 상기 경보음 발생기를 구동시키는 제3 릴레이 회로부
    를 포함하는 접지선 보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 단자가 상기 제1 릴레이 회로부의 제1 스위치와 연결되고, '-' 단자는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의 제1 스위치 및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접지선 보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제1 릴레이 회로부 및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와 연결된 각각의 케이블이 상호 숏트되는 경우,
    상기 제1 릴레이 회로부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온 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인입되는 전류를 통과시켜 상기 기울기 센서 및 상기 제1 릴레이 회로부와 연결된 접지 단자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환경 알람 발생기로 인입되는 전류를 차단시켜 환경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3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의 제1 스위치를 통과한 전류가 인입되어 상기 경보음 발생기를 구동시키는 접지선 보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 및 접지 단자가 상기 기울기 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이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환경 알람 발생기로 인입되는 전류를 차단시켜 환경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3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의 제1 스위치를 통과한 전류가 인입되어 상기 경보음 발생기를 구동시키는 접지선 보안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 감시부는,
    상기 제1 릴레이 회로부,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 및 상기 제3 릴레이 회로부를 리셋시키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경보음 발생기의 동작을 해제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접지선 보안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제1 릴레이 회로부에 연결된 전원 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원이 차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상기 제1 릴레이 회로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에 연결되는 퓨즈가 과전류로 인하여 단선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 되어 환경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지선 보안 장치.
KR1020080046228A 2008-05-19 2008-05-19 접지선 보안 장치 KR100959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228A KR100959896B1 (ko) 2008-05-19 2008-05-19 접지선 보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228A KR100959896B1 (ko) 2008-05-19 2008-05-19 접지선 보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276A true KR20090120276A (ko) 2009-11-24
KR100959896B1 KR100959896B1 (ko) 2010-05-27

Family

ID=4160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228A KR100959896B1 (ko) 2008-05-19 2008-05-19 접지선 보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8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767B1 (ko) * 2014-07-01 2015-02-06 (주)대우건설 가설 케이블 도난 방지장치
KR20210157185A (ko) * 2020-06-19 2021-12-28 한국전력공사 접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접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방법, 접지선 모니터링 장치 및 접지선 모니터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431B1 (ko) * 2011-10-12 2012-05-22 나기운 센서모듈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RU2747489C1 (ru) * 2020-08-19 2021-05-05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Дедал" Средство заградительного тип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нарушителе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755U (ko) * 1998-07-10 2000-02-07 홍종만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20070073416A (ko) * 2006-01-05 2007-07-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중계기의 접지선 감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767B1 (ko) * 2014-07-01 2015-02-06 (주)대우건설 가설 케이블 도난 방지장치
KR20210157185A (ko) * 2020-06-19 2021-12-28 한국전력공사 접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접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방법, 접지선 모니터링 장치 및 접지선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896B1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20070171059A1 (en) Security/monitoring electronic assembly for computers and assets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US9437100B2 (en) Supervising alarm notification devices
KR100714998B1 (ko) 아크 검출을 이용한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100959896B1 (ko) 접지선 보안 장치
KR20160028104A (ko) 자동제어장치 cctv 감시카메라 스마트 제어시스템
KR102043441B1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CN106444592A (zh) 一种综合智能化环境集中监控中心服务器及系统
CN106802622A (zh) 基于总线结构的消防设备电源智能综合监控系统
KR101658363B1 (ko) 스마트 argos 감시제어기 및 제어시스템
RU2006146687A (ru) Безопасность компьютерной сети
KR101717434B1 (ko) 방송장치 스마트 감시제어기 및 제어시스템
KR101590413B1 (ko) 배전반 스마트 감시제어기 및 제어시스템
CN206610151U (zh) 基于总线结构的消防设备电源智能综合监控系统
KR101449452B1 (ko) 용역사업자 망분리서버 네트워크(배전반, 비상발전기, 네트웍장비, cctv, 방송장비, 자동제어) 콘트롤박스 및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5579706U (zh) 铁路通信信号机房综合监测柜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252262B1 (ko) 접지선 도난방지 및 이상유무 감시 시스템
CN205666686U (zh) 一种配电设备远程管理系统
CN103324181A (zh) 屏柜柜门监控预警系统
KR20060091330A (ko) 지능형 회로 차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201556268U (zh) 一种具备蓄电池被盗报警功能的通讯装置
CN205788595U (zh) 一种电缆防盗报警系统
KR20200136295A (ko) 누전차단기의 원격제어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