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640A -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640A
KR20090119640A KR1020080045806A KR20080045806A KR20090119640A KR 20090119640 A KR20090119640 A KR 20090119640A KR 1020080045806 A KR1020080045806 A KR 1020080045806A KR 20080045806 A KR20080045806 A KR 20080045806A KR 20090119640 A KR20090119640 A KR 2009011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erence
image
reference data
user
fa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윤표
변성찬
김락용
이일용
백우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9640A/ko
Publication of KR2009011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이미지에 대해 선호도를 기준으로 이미지를 평가하고 그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평가치를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평가치를 보고 사용자가 이미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보정하거나 편집하여 선호도에 대한 평가치를 높일 수도 있고, 촬영 또는 재촬영을 위해 피사체의 자세 및 주위 환경을 보정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 혹은 스피커를 통해 촬영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진, 이미지, 가이드, 선호도, 카메라

Description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preference level for an imag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이미지를 평가하고 그 이미지에 대한 평가치를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평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수동 혹은 자동으로 이미지를 보정/편집할 수도 있으며, 촬영을 위한 자세를 보정 할 수 있도록 통신단말기 혹은 카메라 등 이미지의 촬영이나 보정 혹은 편집이 가능한 디지털미디어기기의 디스플레이부나 스프커를 통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패턴인식 기술의 발달로 이미지에서 실시간으로 얼굴영역의 추출이 가능해 졌다. 이에 인물이미지의 경우 카메라에서 얼굴을 기준으로 초점을 맞추고 노출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물이미지임을 알 수 없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이미지 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이미지 또는 자신이 좋아하는 이미지를 디지털 기기에서 편집 또는 보정하거나, 카 메라를 통해 찍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그 평가된 선호도를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카메라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진 혹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사진이 어느 정도로 자신의 선호도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한 후 해당 이미지를 보정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선호도가 우수한 사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호도 평가를 통해 보다 선호도가 우수한 사진을 제작하거나 촬영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더 좋은 사진을 얻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영역에서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해당하는 얼굴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특징과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상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얼굴영역 추출부;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 처리부; 및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상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복수의 선호도 평가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선호도 평가 항목들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선호도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보정 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평가를 위한 기준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이미지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의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복수의 평가 기준들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복수의 평가 기준들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복수의 선호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평가 기준들 각각을 기반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재촬영 가이드 제공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 대해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이미지에 대한 재촬영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가이드 제공 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 대해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이미지에 대한 촬영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방법은, 다수의 샘플 이미지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선호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얼굴특징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특징들을 얼굴특징별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장치는, 샘플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샘플 이미지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샘플 이미지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입력받은 선호도 데이터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샘플 이미지를 기반으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다른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이미지 입력부로 입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선호도 항목들 및 그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 평가 모듈; 및 상기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상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들에 대해 사용자에게 일정 기준에 의한 선호도를 표시함으로써 그 사진에 대해 평가치를 표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된 선호도를 기반으로 선호도가 높은 쪽으로 이미지를 수정하거나, 보다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해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호도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부(11), 상기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얼굴영역 추출부(12),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 처리부(13) 및 상기 평가된 선호도 및 기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와 스피커(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입력부(11)는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이미지 입력부(11)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장치일 수도 있고, 피사체의 이미지 프레임을 입력받는 이미지 센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입력부(11)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얼굴영역 추출부(12)는 이미지 입력부(11)에서 수신한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에서 선호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영역, 예컨대 얼굴영역을 추출해 낸다.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해내는 임의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 영역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우선 입력된 이미지를 그레이 이미지로 변환한 후 얼굴영역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그레이 이미지로 변환된 영상에 대해 아다부스팅(AdaBoost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얼굴 판단의 기준이 되는 특징을 선형적으로 결합한 다음, 이를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얼굴영역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작은 영상에서 큰 영상으로 피라미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적분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 후 아다부스트로 학습하여 추출된 특징들을 이용, 케스케이드방식으로 얼굴 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선호도 처리부(13)는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를 위해 선택한 선호도 평가 항목(이하, "선호도 평가 항목"이라 한다)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한다.
선호도 처리부(13)는 얼굴영역 추출부(12)에서 추출된 얼굴영역으로부터 얼굴특징을 추출하는 얼굴특징추출부(14), 선호도 항목별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베이스(16), 상기 기준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사용자가 평가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 선호도 평가 항목과 그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는 선호도 평가 항목 선택부(18) 및 상기 추출한 얼굴특징과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 평가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얼굴특징 추출부(14)는 얼굴영역 추출부(12)가 추출한 얼굴영역으로부터 얼굴특징을 추출한다. 상기 얼굴특징 추출부(14)에 의해 추출되는 얼굴특징은 얼굴 비율, 얼굴색, 미간의 거리,얼굴모양,입술모양,광대뼈,보조개 등 사람의 선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얼굴의 특징들로서, 수많은 얼굴 특징 중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얼굴특징이 추출되는지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도 평가에 이용될 수 있는 얼굴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 입력부(11)에 의해 입력되는 이미지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카메라 등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데이터일 수도 있고, 저장장치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사람의 얼굴이 그래픽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 일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다운로드된 이미지 데이터일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의 포맷은 jpg, gif, bmp 등 모든 종류의 이미지 포맷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선호도 평가를 위해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는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로 국한되지는 않으며, 얼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선호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이미지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평가는 디지털 카메라나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하기 전의 카메라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프리뷰 모드 상태의 이미지에 대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호도 평가에서 적용될 선호도 평가 항목들은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선호도 항목들 중 미리 결정된 선호도 항목들이 사용될 수도 있고, 선호도 평가를 하기 전에 사용자가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선호도 항목들 중 자신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 것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선호도 평가가 필요할 경우 기준DB(16)로부터 선호도항목을 선택하는 선호도 평가항목선택부(18)은 기준DB(16)의 선호도 항목 갯수가 작을 경우 특별히 사용자가 선호도 항목을 선택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기준DB(16)에 있는 모든 선호도 항목이 선호도 평가항목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즉 기준DB(16)의 데이터 량이 작을 경우는 선호도 평가항목선택부(18)이 없이도 본 발명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선호도는 얼굴 이미지에 대해 사람들이 어떤 얼굴을 선호하는지를 나타내는 선호도 기준이 제공된 경우에는 그 선호도 기준을 기반으로 얼굴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한 값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선호도는 사람이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봤을 때, 그 사람이 그 이미지를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값이다.
얼굴에 대한 선호도는 다양한 얼굴특징들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전세계에 서 자신의 얼굴과 동일한 얼굴을 가진 사람은 한 명도 없다. 얼굴의 특징은 수많은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어떤 얼굴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얼굴 특징은 무한대에 가깝다.
위와 같은 얼굴 특징들은 얼굴의 밝기, 얼굴의 색, 눈의 위치, 미간의 거리, 눈의 가로-세로 비율, 코의 위치, 코의 크기, 입의 위치, 입술의 두께, 얼굴의 가로-세로의 비율, 이마의 길이,광대뼈,보조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얼굴 특징들은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의 위치, 얼굴이 바라보는 방향, 시선 방향, 및 카메라로부터 얼굴까지의 거리 등 촬영되는 피사체의 포즈와 관련된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 특징은 얼굴 자체의 특징 뿐 아니라, 조명의 적정성, 역광 상태에서 찍었는지 여부, 노출 시간의 적정성 등 이미지 촬영 당시의 촬영 환경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얼굴특징의 구분은 설명을 위한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른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상기 선호도 평가를 위한 얼굴특징은 상기 특징들 외에 다른 특징들도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할 수 있을 것이다.
얼굴특징 추출부(14)에서는 얼굴영역으로부터 위와 같은 다양한 특징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얼굴특징 추출부(14)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선호도 평가 항목들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는 얼굴 특징을 추출해야 하며, 선호도 평가항목은 인물의 촬영전에 미리 선택한후, 촬영및 추출된 얼굴영역 으로부터 선택된 선호도 평가항목과 비교할 수 있는 인물특징을 추출할 수도 있고, 촬영후 선호도 평가항목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함에 따라, 촬영 및 추출된 얼굴영역 변경된 선호도 항목에 따른 인물특징을 추출하여 비교 평가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선호도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다양한 선호도 항목들 중 임의의 선호도 항목을 선호도 평가에 기준으로 사용할 선호도 평가 항목(예컨대, 얼굴 비율)으로 선택할 수 있다.
선호도 평가부(15)는 얼굴특징 추출부(14)가 입력된 이미지의 얼굴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얼굴특징과 기준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추출한 중 선호도 평가 항목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선호도 항목과 선호도 평가항목은 기준DB(16) 있는 선호도 항목을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항목 선택부(18)을 통해 선택했을 때는 편의상 선호도 평가항목이라 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도 평가 항목을 사용하지 않고, 선호도 평가용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얼굴 특징을 선호도 평가 항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호도 평가 항목 선택 없이 기준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선호도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추출하여 선호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얼굴 비율이라는 선호도 평가 항목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이것을 기준으로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선호도 평가항목 선택부(18) 없이도 동작 가능하다.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는 다양한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선호도 항목들 과 그에 대한 기준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기준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는 각 선호도 항목의 기준 데이터의 종류, 형식 또는 데이터 구조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포함되는 기준 데이터는, 국가별 미인 의 얼굴 특징들이 저장될 수 있다. 국가별 미인의 얼굴 특징은 예컨대, 국가별로 미인의 기준이 되는 얼굴 특징의 기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국가별 미인의 얼굴 특징은 특정 국가, 예컨대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얼굴특징들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국가별 미인의 얼굴 특징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통계조사나 여론 조사를 통해 작성될 수 있다. 국가이름 및 얼굴특징은 선호도 항목이 될 수 있으며 가장 좋아하는 정도가 선호도 항목에 대한 기준데이터가 될 수 있다.
얼굴 특징별 기준 데이터 대신 국가별로 가장 미인이라고 알려진 대표 미인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그 대표 미인의 얼굴로부터 추출한 얼굴 특징을 별도로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추출하여 저장된 얼굴 특징이 선호도 항목의 기준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선호도 평가시 기준이 된다.
또한 기준 데이터베이스(16)는 유명 연예인 또는 정치인 등 유명 인사들의 얼굴 특징, 유명 인사들의 얼굴 특징을 추출하여 기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명 인사들의 얼굴 특징은 선호도 평가의 기준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명 인사들의 얼굴에 대한 기준 데이터 대신, 유명 인사들의 얼굴 이미지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미지를 저장한 경우에는 그 유명 인사들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얼굴 특징을 별도로 저장하여 선호도 평가의 기준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경우 유명인사의 이름이 선호도 항목이 되고, 이 유명인사의 얼굴특징이 기준데이터가 되는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 항목으로 유명 연예인 중 한 명 예컨대 브래드 피트를 선택한 경우는 피평가 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얼굴 특징과 유명 연예인의 얼굴 특징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유명 연예인의 얼굴을 기준으로 피평가 대상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때의 피평가 대상 이미지는 사용자 자신의 이미지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이미지와 유명 연예인의 얼굴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유명 인사들의 얼굴에서 추출한 얼굴 특징들 중 선호도 비교에 사용되는 얼굴 특징들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브래드 피트의 모든 얼굴 특징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눈"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눈과 브래드 피트의 눈 만을 비교해 볼 수도 있다.
즉, 이경우 "눈"이 선호도 평가 항목이 되는 것이며, 브래드 피트의 눈의키기,모양,색깔등이 눈의 기준치가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 항목으로 유명 인사의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는 피평가 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얼굴 특징과 유명 인사의 이미지의 얼굴 특징을 비교 함으로써 유명 연예인의 얼굴을 기준으로 한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는 다양한 선호도 항목들에 대한 기준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의 특징들인 얼굴의 밝기, 얼굴의 색, 눈의 위치, 미간의 거리, 눈의 가로-세로 비율, 코의 위치, 코의 크기, 입의 위치, 입술의 두께, 얼굴의 가로-세로의 비율, 이마의 길이 등의 기준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는 피평가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의 포즈의 특징에 해당하는 얼굴 방향, 각도, 표정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는 평가 대상 이미지의 촬영 당시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특징들 예컨대, 조명의 적정성, 역광 상태에서 찍었는지 여부, 노출 시간의 적정성 등에 대한 기준 데이터도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호도 항목의 기준 데이터는 얼굴특징 추출부(14)에서 추출한 특징들과 비교될 데이터로서, 피평가 대상이 되는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얼굴 특징별로 어느 정도의 값을 가질 때 가장 선호하는 이미지가 되는지를 나타낸다.
각 얼굴 특징별 기준 데이터는 단일 값으로 저장될 수도 있지만,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기준 데이터가 단일값으로 저장된 경우는 평가 대상 이미지에서 추출한 얼굴 특징이 상기 단일값과 얼마나 일치하는지의 유사도에 의해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고,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저장된 경우는 평가 대상 이미지에서 추출한 얼굴 특징이 상기 최소값과 최대값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측정함으로써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다.
얼굴 특징별 기준 데이터가 단일값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예컨대 얼굴의 가로대 세로 비율의 기준 데이터가 3:4, 즉 3/4=0.75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평가 대상 이미지의 얼굴 비율이 3:3으로 측정되면 3/3=1이므로 기준치인 0.75와의 차, 즉 0.25가 선호도 평가값이 된다. 0.25라는 값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스케일링 될 수 있다.
얼굴 특징별 기준 데이터가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예컨대 얼굴의 가로대 세로 비율이 0.75 내지 1.5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0.75에 가까울수록 선호도가 높고, 1.5에 가까울수록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선호도 항목 중,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 항목으로 3가지 선호도 항목 예컨대, "밝기","선명도","명암" 값을 선택한 경우를 살펴본다.
선호도 평가를 위해 얼굴영역 추출부(14)가 이미지 입력부(11)에 입력된 선호도 피평가 대상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고, 얼굴특징 추출부(15)가 추출된 얼굴영역으로부터 이미지 처리를 통해 "밝기","선명도","명암" 값을 추출한다.
또한, 선호도 평가항목 선택부(18)는 기준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밝기","선명도","명암"을 선호도 평가항목으로 선택한다
이 때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는 상기 "밝기","선명도","명암" 각각의 선호도 항목에 대한 가장 높은 선호도값(즉, 기준 데이터)이 저장되어 있다. 선호도 평가부(15)는 평가 대상 이미지에서 추출한 얼굴 특징값, 즉 "밝기","선명도","명암" 값과,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서 추출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선호도를 평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피평가 대상 이미지의 값들이 기준 데이터와 일치할 때의 선호도를 100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얼굴 특징에 관한 선호도 항목 중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얼굴특징만을 선호도 평가 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도 평가 항목에 따라 동일한 이미지에 대해서도 선호도가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양한 얼굴특징들 중 예컨대 "코의 높이" 만을 선택하여 코의 높이를 기준으로 그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해 볼 수도 있고, "눈의 크기"를 선택하여 눈의 크기를 기준으로 그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해 볼 수도 있다.
또한,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는 선호도 항목이 "포즈"일 경우 기준 데이터는 사진 촬영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포즈를 정리한 베스트 샷을 기준데이터로 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선호도 항목 및 이에 대한 기준 데이터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도 있고, 인터넷이나 LAN 등의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 항목 및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미리 설정된 샘플 이미지를 보여준 다음, 사용자로 하여금 보여진 이미지에 대해 선호도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여 그 선호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선호도 데이터는 각 샘플 이미지들에 대해 사용자가 선호하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선호 점수일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이미지로 선택하거나 선호 점수를 높게 입력한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의 얼굴특징들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얼굴특징의 기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개인적 선호도에 따른 선호도 항목 및 이에 대한 기준데이터도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포함되어 선호도 항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는 사용자에게 입력된 이미지와 그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LCD 등의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7) 외에 스피커(미도시)로도 평가된 선호도가 출력될 수 있다. 입력된 이미지에 대해 평가된 선호도는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숫자, 그래프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출력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여기서 선호도 평가항목 선택은 S11~S16단계중 어느 단계에서나 선택이 가능하며, 도2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다. 도3은 선호도 평과 결과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호도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S11)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호도 평가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호도 평가 항목은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선호도 항목 중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 얼굴 특징, 유명 인사의 얼굴특징 또는 유명 인사들의 얼굴 이미지일 수 있다. 또는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선호도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들에 대하여도 사용자가 임의로 선호도 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S12)에서, 이미지 입력부(11)를 통해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얼굴영역 추출부(12)에서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 특징을 추출할 수 있도록 얼굴이 포함된 얼굴영역을 추출한다.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를 위한 선호도 평가 항목으로 4가지, 즉 밝기, 선명도, 얼굴색 및 얼굴 각도를 선택한 경우, 상기 각 선호도 평가항목을 입력된 이미지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얼굴특징들이 얼굴영역으로부터 추출된다.
단계(S14)에서, 얼굴특징 추출부(14)가 상기 얼굴영역으로부터 얼굴특징을 추출해낸다. 이 때, 추출하는 얼굴특징은 단계(S1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도 평가 항목에 얼굴특징들이다.
단계(S15)에서, 선호도 평가부(15)는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선호도평가항목의 얼굴특징과 기준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한 선호도평가항목의 기준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선호도 평가를 수행한다.
단계(S16)에서, 선호도 평가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표시한다. 선 호도 평가 결과는 도 3과 같이 선호도평가 항목별 선호도 평가결과를 개별 그래프(24a,24b,24c,24d)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선호도를 보고, 촬영된 사진의 무엇이 문제인지 또는 어느 것이 좋은지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선호도 평가 항목의 선택 단계(S11) 없이, 미리 결정된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얼굴특징을 추출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선호도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S13)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한 경우, 도 4a 내지 도 4e와 같이, 추출된 얼굴영역을 표시하는 윈도우(21)를 표시할 수 있다. 얼굴영역 윈도우(21)는 얼굴의 특징들이 포함되는 부분들, 즉 눈, 코, 입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의 도형일 수 있다. 추출된 얼굴영역으로부터 선호도 평가를 위한 얼굴특징이 추출된다.
추출된 얼굴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도평가항목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선호도를 평가한 후에는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평가된 선호도를 표시한다. 선호도평가결과는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추출된 얼굴영역의 얼굴 특징이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도 항목의 얼굴특징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값은 도 3과 같이, 선호도 평가 항목별로 나타낼 수도 있고, 도 4a 내지 도 4e와 같이 각 항목별 값을 통합하여 하나의 선호도 값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e와 같이 평가된 선호도 값들을 하나의 값으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각 특징별 선호도를 산술평균하여 하나의 값을 생성할 수도 있고, 선호도 항 목중 선호도 평가에서 비중이 큰 항목들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평균에 의해 하나의 값을 생성할 있다. 가중치가 부여될 특징이나, 구체적인 가중치 값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평가된 선호도를 통합된 값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도 4a와 같이 얼굴영역 윈도우(21)의 일측에 평가된 선호도를 하나의 막대 그래프(22)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래프(22)를 보고 사진이 선호도가 높은 사진인지 낮은 사진인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평가된 선호도를 도 4b과 같이 화면 일측에 숫자화된 점수(23)로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4c와 같이 상기 얼굴을 포함하는 얼굴영역 윈도우(21)가 표시된 상태에서, 얼굴영역 윈도우(21)의 테두리의 색깔의 변화로 선호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선호도가 높을 수록 녹색에 가까운 색으로 선호도가 낮을수록 적색에 가까운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4d와 같이 아이콘(25)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선호도가 낮은 이미지는 도 4c 하단의 아이콘(25a)로 표시하고, 높은 이미지는 아이콘(25b)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4e와 같이 소리로 선호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에 대해서는 명쾌한 소리를 내고, 선호도가 낮은 이미지에 대해서는 탁한 소리를 낼 수 있다. 또는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에 대하여 즐거운 음악을 내보내고, 선호도가 낮은 이미지에 대하여 분위기가 무거운 혹은 소리가 늘어지는 음악을 내보낼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7)에 표시된 선호도 값이나 아이콘 등에 의해 평가된 선호도를 파악할 수도 있고, 또는 출력되는 소리에 의해 그 이미지의 선호도 값 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컴퓨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이미지를 보거나,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 동영상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되는 동영상의 캡쳐 이미지에 대해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이미지에 대하여 하나의 선호도 평가항목으로 여러번 선호도를 평가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로 평가된 이미지를 정렬할 수 있다. 정렬된 상태에서 선호도가 낮은 이미지들은 일괄적으로 삭제할 수도 있다. 일정값 이상의 선호도를 갖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할 때, 사용자는 복수의 평가 기준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선호도 평가 기준 각각을 기준으로 이미지의 선호도가 평가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나한국의 미인 기준 및 미국의 미인 기준을 선호도 평가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한국의 미인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입력된 이미지를 평가하고, 미국에서 선호하는 미인에 대한 기준으로도 평가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에서는 인물이미지의 눈이 작은 사람을 미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한국에서는 눈이 큰 사람을 미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 기준으로 선호도를 평가할 때는 눈이 작은 쪽이 선호도가 높게 평가되고, 한국 기준으 로 선호도를 평가할 때는 눈이 큰 쪽이 선호도가 높게 평가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평가 기준에 의해 선호도를 평가한 경우, 그 복수개의 평가 결과를 도 5와 같이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평가 결과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화면의 일측에는 선호도 평가에 사용된 평가 기준, 즉 미국 기준인지, 한국 기준인지를 선호도 평가결과 및 평가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를 위해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서 유명 인사의 얼굴 이미지 선호도 평가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복수의 유명 인사들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선호도 평가를 수행하여 복수개의 평가 결과를 한 화면에 동시에 또는 여러 화면에 걸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해당 이미지의 선호도 값을 평가하여 표시한 후에, 평가 대상 이미지에 대해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기기에 의한 이미지 자동보정 또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물 이미지의 자동 보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S21)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호도 평가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선호도 항목중 일 부를 선호도 평가 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 평가 항목 선택 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선호도 평가항목에 대하여 선호도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선호도 평가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S22)에서, 이미지 입력부(11)를 통해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일예로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S23)에서, 얼굴영역 추출부(12)는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는 얼굴영역을 추출한다.
단계(S24)에서, 얼굴특징 추출부(14)가 상기 얼굴영역으로부터 얼굴특징을 추출해낸다. 단계(S21)에서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를 위한 선호도 평가 항목을 '얼굴의 가로대 세로 비율'로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의 가로대 세로 비율이 추출된다.
단계(S25)에서, 선호도 평가부(15)는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얼굴특징인 얼굴 비율과 기준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한 선호도 항목의 기준데이터인 얼굴 비율을 비교함으로써 선호도 평가를 수행한다.
단계(S26)에서, 선호도 평가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S27)에서, 피평가 대상 이미지의 선호도 값을 높이는 방향으로 얼굴 특징을 보정하고, 그 보정된 얼굴특징을 반영하도록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은 이미지 조작을 통해 이미지의 얼굴특징 값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보정 할 수 있다. 즉, 얼굴 특징들이 선호도 평가 항목의 기준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자동으로 보정 할 수도 있고, 이미지의 특정 얼굴 특징값을 사 용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하여 그 입력값을 기반으로 얼굴특징을 보정하고 그 보정된 얼굴특징이 반영되도록 이미지를 보정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자동 이미지 보정의 경우에, 도 7의 좌측은 보정 전의 이미지이고, 얼굴 비율이 1:1인 경우이다. 이 때 기준 데이터가 3:4인 경우에 사용자가 자동 보정을 선택하면 도 7의 우측 그림과 같이 얼굴 비율을 조작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위의 이미지 자동 보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윤곽선에 대해서는, 예컨대 도 7의 보정 전 이미지에서 상기 이미지의 특징을 표시할 수 있는 특징점, 즉 특정 픽셀들을 추출한다. 이 특징 픽셀들을 조정 비율에 의해 보정 후 화면에 맵핑함으로써 그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특징 픽셀을 추출하는 방법은 이미지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색 성분에 대해서는, 도 7의 좌측 이미지에서 우측 이미지로 보정할 때, 증가하는 색 성분은 보간에 의해 삽입하고, 줄어드는 부분은 삭제(decimation)함으로써 보정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자동 보정을 위한 구체적인 알고리즘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평가 대상 이미지의 얼굴 밝기를 보정하는 경우에는, 평가 대상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그 얼굴 영역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의 평균값을 구할 수 있다. 그 평균값에 따라 적절한 보정 커브를 선택하여 휘도를 전체적으로 올리거나 또는 낮출 수 있고, 특정 범위의 휘도값을 갖는 픽셀에 대해 서만 휘도를 올리거나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의해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한 경우, 선호도 평가 항목 각각을 기반으로 하여 선호도를 높이기 위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 항목으로 한국의 미인 기준과 미국의 미인 기준을 선택한 경우 이 둘 모두를 기준으로 선호도가 각각 평가되고 그 평가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한국의 미인 기준과 미국의 미인 기준은 다르므로, 동일한 피평가 대상 이미지에 대해 선호도가 다르게 평가된다. 예컨대, 한국 미인 기준에서는 눈이 큰 경우를 선호도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고, 미국 미인 기준에서는 눈이 작은 경우를 선호도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한국의 미인 기준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보정할 수도 있고, 미국의 미인 기준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보정 할 수도 있다.
미국의 미인 기준을 기반으로 보정을 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8a와 같이 피평가 대상 이미지의 눈을 작게 보정하고, 한국의 미인 기준을 기반으로 보정하는 경우에는 도 8b와 같이 피평가 대상 이미지의 눈을 더 크게 보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나라별로 더 선호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복수의 기준으로 이미지를 평가한 경우에, 각 기준에 대해 선호도를 높이도록 보정된 이미지(즉, 도 8a, 8b의 우측 이미지)는 한 화면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로 다른 선호도 평가 기준을 기반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지의 자동 보정을 선택한 경우는 이미지의 얼굴 특징에 대한 선호도 점수가 100점이 되도록 보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이미지를 보정하지 않고, 수동으로 선호도 항목에 해당하는 얼굴 특징값을 변경하고 그 변경된 값이 반영되도록 이미지를 보정 할 수 있다.
예컨대, 선호도 평가 항목이 눈의 크기라 가정하고, 선호도 기준 데이터에 따르면 눈 크기의 기준 데이터는 2cm이고, 피평가 대상 이미지의 눈의 크기는 1.4cm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선호도는 70점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도 9의 좌측과 같이 화면의 일측에 선호도 점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자동으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면 눈의 크기는 2cm로 보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로부터 수동으로 기준 데이터 이외의 값, 예컨대 1.6cm라는 값을 입력받고, 그 값에 따라 이미지를 보정 할 수 있다. 이것으로 최고라고 사용자는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정 전에는 80점의 선호도 점수를 받았으나, 보정 후에는 70점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기준 데이터, 즉 2cm의 눈 크기 보다는 다른 데이터, 즉 1.6cm라는 눈 크기를 선호하는 것이므로, 선호도 항목에 대한 기준데이터 값은 기존에 2.0cm에서 1.6cm로 새로운 기준 데이터로 변경하여 기준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미지를 보정할 것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준 데이터베이스(16)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베이스(16)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S3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선호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시한다. 이 때 선호도 평가 항목은 눈의 크기라 가정하고, 선호도 기준 데이터에 따르면 눈 크기의 기준 데이터는 2cm이고, 피평가 대상 이미지의 눈의 크기는 1.4cm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선호도는 70점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도 11의 좌측과 같이 화면의 일측에 선호도 점수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S32)에서, 사용자로부터 평가된 이미지를 수동 보정 메뉴 선택을 입력받는다.
단계(S33)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 즉 눈 크기의 새로운 보정값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사용자가 새로운 눈 크기 보정값으로 1.6cm을 입력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종전의 눈 크기에 대한 선호도 기준 데이터인 2cm 보다는 눈 크기가 1.6cm인 얼굴 이미지를 더 선호하는 것이다.
단계(S34)에서, 얼굴 특징값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값으로 입력하여 보정한후 보정된 이미지를 보고나서 사용자가 만족하다고 생각될 때, 사용자로부터 선호도 항목의 기준데이터를 수정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입력받는다.
단계(S35)에서, 사용자가 수동 이미지 보정을 종료하면, 사용자가 새로 입력한 눈 크기 1.6cm가 새로운 선호도 기준 데이터가 되고,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새로운 기준 데이터로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한 후에는, 선호도 값을 기반으로 재촬영을 위한 가이드 또는 촬영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선호도가 낮게 평가된 이미지들을 선호도가 높게 다시 촬영하도록 유도하거나, 선호도가 보다 높은 상태에서 촬영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한 후에 선호도 평가 결과에 따라 재촬영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S41)에서, 사용자로부터 평가 기준으로 사용될 선호도 평가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선호도 평가 항목 선택 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선호도평가항목에 대한 선호도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 사용자가 선호도 평가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S42)에서,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를 촬영한다.
단계(S43)에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아다부스팅 알고리즘 등의 얼굴 영역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S44)에서, 상기 얼굴영역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도 평가 항목에 해당하는 얼굴 특징들을 추출한다.
단계(S45)에서, 추출된 얼굴영역에 대해 선호도를 평가한다. 촬영된 이미지 에서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에 해당하는 기준 데이터 값을 기준으로 상기 피평가 대상 이미지의 얼굴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얼굴특징과 비교한다.
단계(S46)에서, 평가된 선호도를 화면에 표시한다. 선호도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S47)에서, 평가된 선호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재촬영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재촬영 가이드는 선호도 평가 항목 중 낮게 평가된 선호도평가 항목을 개선하기 위한 가이드일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촬영을 하였는데, 그 이미지가 역광 상태에서 촬영된 경우에, 선호도 평가 항목 중 역광 상태와 관련된 항목의 선호도가 낮게 평가될 것이다. 이 경우 최초 촬영시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재촬영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와 같이 "역광상태에서 촬영되었습니다. 빛을 등지고 재촬영하세요" 등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재촬영 가이드는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도 12와 같이 텍스트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S48)에서, 문제점을 제거한 상태에서 촬영을 한다. 재촬영은 사용자의 별도의 촬영 조작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제공된 가이드에 해당하는 내용이 수정된 경우에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S51)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호도 평가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단계(S52)에서,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입력받 은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미지 입력부(11)를 통해 실시간으로 프리뷰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를 캡쳐하여 스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단계(S53)에서, 상기 일정 간격으로 캡쳐되는 스틸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한다.
단계(S54)에서, 상기 얼굴영역에서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에 해당하는 얼굴 특징을 추출한다.
단계(S55)에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 대해 선호도를 평가한다. 캡쳐된 스틸 이미지에서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에 해당하는 기준데이터값을 상기 피평가 대상 이미지의 얼굴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얼굴특징과 비교하여 선호도를 평가한다.
선호도 평가항목으로 이미지의 포즈에 대한 선호도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도 평가 항목이 '얼굴 방향'인 경우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되고 있는 프리뷰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해 선호도를 평가하여 그 선호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계(S56)에서, 평가된 선호도를 화면에 표시한다. 선호도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단계(S57)에서,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기반으로 촬영 가이드를 제공한다. 예컨대, 피평가 대상 스틸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이 향하는 방향을 선호도 기준 데이터에 저장된 얼굴 방향과 일치되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촬영 가이드는 도 14와 같이 "고개를 좌측으로 돌리세요" 등과 같이 메시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 시될 수도 있고,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제공되는 촬영 가이드에 따라 피사체가 포즈를 변경할 수도 있고, 촬영하는 사람이 피사체 포즈를 바꾸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단계(S58)에서, 피사체가 선호도 기준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얼굴을 향하는 경우 자동으로 촬영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사용자가 보다 선호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도 항목 및 이에대한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를 반영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를 반영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도 항목 및 기준데이터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 항목은, 사용자에게 다수의 샘플 이미지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샘플 이미지들 중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그 선택된 이미지들을 이미지 처리하여, 그 이미지들에 포함된 얼굴들의 공통된 얼굴 특징, 또는 얼굴 특징의 경향을 추출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샘플 이미지들은 사람 얼굴의 다양한 특징들을 반영하는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들일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호도 항목 및 기준데이터 생성장치는, 얼굴이 포함된 샘플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 상기 이 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샘플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1), 상기 샘플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평가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33), 상기 사용자의 평가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샘플 이미지를 기반으로 선호도 항목 및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34) 및 상기 생성된 선호도 항목과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개인 선호도 기준 데이터베이스(3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는 다수의 샘플 이미지들을 저장한다. 상기 샘플 이미지는 사용자가 수집하거나 촬영한 이미지들일 수도 있고, 사람 얼굴의 다양한 특징들을 반영할 수 있는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1)는 LCD 등의 영상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되어 있는 샘플 이미지들을 하나씩 또는 여러 장씩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33)는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된 샘플 이미지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31)는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표시장치로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31)을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기준 데이터 생성부(34)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선택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얼굴특징별 공통점 또는 경향을 추출하여 얼굴특징별 선호도항목 및 이에대하 기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선호도 항목과 기준데이터는 개인 선호도 기준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된다.
개인 선호도기준 데이터베이스(35)는 도 1의 기준 데이터베이스(16)에 포함되거나, 기준 데이터베이스(16)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물 이미지의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사용자로부터 샘플 이미지에 대한 선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S61)에서,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도 17과 같이 인물이 포함된 샘플 이미지를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샘플 이미지들은 사용자가 수집하거나 촬영한 이미지들일 수도 있고, 사람 얼굴의 다양한 특징들을 반영할 수 있는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계(S62)에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33)를 통해 상기 샘플 이미지들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이미지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단계(S63)에서, 기준데이터 생성부(34)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얼굴특징을 추출하여 선호도항목 및 이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S64)에서, 선호하는 얼굴 특징에 대한 선호도 항목 및 이에대한 기준 데이터를 개인 선호도 기준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한다.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는 도 1의 선호도 표시 장치의 기준데이터베이스(16)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7은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되는 샘플 이미지들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도 17과 같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다수의 이미지들 중 자신이 선호하는 사진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이미지들에는 선택마크(42)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샘플 이미지들 사이에 방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41)를 이동시켜가면서 자신이 선호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이미지들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33)를 통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샘플 이미지를 선택하는 대신, 각 샘플 이미지별로 얼마나 선호하는지를 나타내는 점수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미지별 점수가 저장되고, 이미지의 얼굴특징과 그에 해당하는 점수를 분석하여 선호도 항목 및 기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 이미지 중 선호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샘플 이미지 중 선호하지 않는 이미지, 즉 사용자가 싫어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다고 선택한 샘플 이미지들을 영상 처리하여 그 샘플 이미지들에 포함된 얼굴들의 공통된 특징 또는 공통된 경향을 추출할 수 있다. 공통된 특징 또는 공통된 경향에 대한 데이터도 선호도 평가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선호하지 않는 특징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베이스(35)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평가하는 경우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특징이 기준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얼굴특징이 유사할수록 선호도를 낮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샘플 이미지들 중에서 선호하는 이미지와 선호하지 않는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조합하여 선호도 항목 및 이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사진으로 선택된 사진들에서 얼굴특징들을 추출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비선호 사진으로 선택된 사진들에서 얼굴특징을 추출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선호 사진들의 얼굴 특징들의 평균값을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비선호 사진들의 얼굴특징의 평균값을 최소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평가 대상 이미지의 얼굴 특징값이 추출되면, 그 값이 최대값과 최소값의 사이에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얼굴 특징들 중 가로 대 세로 얼굴 비율의 경우, 선호하는 얼굴 비율 기준 데이터가 3:4, 즉 3/4=0.75이고, 비선호 하는 얼굴 기준 데이터가 4:3, 즉 4/5=1.2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얼굴 비율값은 0.75이고, 가장 선호하지 않는 얼굴 비율값은 1.25이다. 평가 대상 이미지에서 추출된 얼굴 비율값이 1:1인 경우 얼굴 비율값은 1이 된다. 1은 0.75와 1.25의 중간값이므로 50점으로 평가될 수 있다. 0.75에 가까울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고, 1.25에 가까울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평가 대상 이미지에서 추출한 얼굴 비율이 0.75 이하인 경우에는 0.75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선호도 점수를 낮아지도록 평가할 수 있고, 1.25보다 큰 경우에는 선호도를 모두 0점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선호도 항목 및 이에 대한 기준데 이터 생성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일정 행위를 선호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행위로 판단하고, 그 행위가 수행될 경우 선호도 기준 데이터 생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100개의 사진을 촬영하여 그 중 50개는 삭제하고, 50개는 저장한 경우, 남은 사진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사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의 개인의 선호도가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가 변화하는 경우, 그 변화를 선호도 항목 및 이에 대한 기준데이터에 반영할 수 있다.
전술한 선호도 평가와 관련된 장치 및 방법들은 카메라 또는 멀티미디어 처리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평가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 수신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선호도 평가 모듈(19), 선호도 기준데 이터 생성부(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부(110)에 포함된 임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선호도 평가를 위한 기준 데이터, 기준 이미지 또는 샘플 이미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기준 데이터, 기준 이미지 또는 샘플 이미지들은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선호 평가를 위한 기준 데이터 또는 기준 이미지로 사용되거나, 선호도 기준을 생성하기 위한 샘플 이미지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선호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 대상 이미지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도 1의 이미지 입력부(11)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 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 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실시예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A/V 입력부(120)의 카메라(121)는 도 1의 이미지 입력부(11)로 사용될 수 있으며, 카메라(121)를 통해 얻어진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들은 선호도 평가 대상이미지로 사용되거나, 또는 선호도 평가 기준데이터 생성을 위한 샘플 이미지로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 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30)는 도 15의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신부로 사용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외부 저장 장치로부터 샘플 이미지, 기준 데이터, 기준 이미지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 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부(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부(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부(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17) 또는 도 15의 디스플레이부(31)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 재촬영 가이드 또는 촬영 가이드를 음성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선호도 평가시 선호도의 평가 결과를 음성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 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선호도 평가 모듈(19)은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무선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한 이미지, 멀티미디어 모듈(181)에 의해 재생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 중 캡쳐한 스틸 이미지 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한다. 선호도 평가 모듈(19)은 도 1에 도시된 선호도 평가 장치의 얼굴 영역 추출부(12)와 선호도 처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부(35)는 도 15에 도시된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장치의 기준데이터 생성부(35)에 해당하며,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도 1의 기준 데이터베이스(16) 또는 도 15의 개인 선호도 기준 데이터베이스(35)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하드 디스크나 이동 저장 장치 등 다른 형태의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준 데이터베이스(16) 또는 개인 선호도 기준 데이터베이스(35)는 메모리(160) 외의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선호도 평가 모듈(19)은 평가 대상 이미지에서 얼굴 영역 및 얼굴 특징을 추출하고 선호도를 평가한다. 평가 대상 이미지는 카메라(121), 무선 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호도 표시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의한 선호도 표시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보정을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선호도 기준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의 보정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의 보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호도 기준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촬영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촬영 가이드가 제공된 화면을 나탄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가이드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가이드가 제공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선호하는 이미지의 선택을 입력받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Claims (25)

  1.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영역에서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해당하는 얼굴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특징과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상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은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도 항목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은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도 평가 항목들 중 미리 설정된 항목인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을 나타내는 얼굴영역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상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선호도 평가항목과 평가결과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방법.
  6.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얼굴영역 추출부;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 처리부; 및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상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선호도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서 얼굴특징을 추출하는 얼굴특징 추출부;
    다수의 선호도 항목과 이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베이 스;
    상기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도 항목들 중 평가할 선호도 항목을 선택하는 선호도 평가 항목 선택부; 및
    상기 추출한 얼굴특징과 상기 선택한 선호도 평가 항목의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 평가부;
    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장치.
  8.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복수의 선호도 평가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선호도 평가 항목들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선호도들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된 선호도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된 선호도들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각각의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평가 방법.
  10.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영역에서 얼굴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특징과 비교하여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보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보정은 상기 이미지의 얼굴특징값을 선호도 평가 항목의 기준데이터값과 일치 일치하도록하여 이미지에 반영되도록 수행되는 이미지의 보정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보정은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얼굴특징값을 사용자가 입력한 값으로 변경하여 이미지에 반영되도록 수행되는 이미지 보정 방법.
  13.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영역에서 얼굴특징값을 추출하는 단계;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이미지의 얼굴특징값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의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값을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얼굴특징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호도 평가를 위한 기준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방법.
  14.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복수의 선호도 평가항목들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복수의 선호도 평가항목들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복수의 선호도를 복수의 선호도 평가항목에 대응되게 각각의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선호도 평가항목들 각각을 기반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보정 방법.
  15.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 대해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이미지에 대한 촬영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가이드 제공방법.
  16. 다수의 샘플 이미지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선호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얼굴특징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특징들을 얼굴특징별로 선호도 항목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데이터는, 상기 선호하는 이미지 또는 선호하지 않는 이미지의 선택 또는 각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점수인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방법.
  18. 샘플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샘플 이미지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샘플 이미지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입력받은 선호도 데이터와 상기 샘플이미지를 기반으로 선호도 항목과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특징들을 추출하고 그 특징별로 선호도 항목과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기준데이터 생성장치.
  20.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다른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이미지를 입력받는 이미지 수신부;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이미지 입력부로 입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선호도 항목들 및 그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이미지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 평가 모듈; 및
    상기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한 선호도 항목과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베이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평가 모듈은 상기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얼굴영역 추출부; 및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서 얼굴특징을 추출하는 얼굴특징 추출부;
    다수의 선호도 항목들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도 항목들 중 선호도 평가 항목을 선 택하는 선호도 평가 항목 선택부; 및
    상기 추출한 얼굴특징과 상기 선택한 선호도 평가 항목을 비교하여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 평가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특징 추출부는 선호도 평가항목선택부의 선호도 평가항목 및 기준데이터를 기반으로 얼굴특징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25.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소정의 선호도 평가 항목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 선호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선호도를 상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방법.
KR1020080045806A 2008-05-16 2008-05-16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90119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806A KR20090119640A (ko) 2008-05-16 2008-05-16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806A KR20090119640A (ko) 2008-05-16 2008-05-16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640A true KR20090119640A (ko) 2009-11-19

Family

ID=4160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806A KR20090119640A (ko) 2008-05-16 2008-05-16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96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191B1 (ko) * 2012-06-18 2014-08-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보정 시스템, 영상보정방법 및 스마트 영상획득 장치
KR20150086047A (ko) * 2014-01-17 2015-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80089022A (ko) * 2017-01-31 2018-08-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복수의 유사 영상들을 이용한 최적화된 영상 합성 기술
US11568245B2 (en) 2017-11-16 202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related to metric-learning-based data classifica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191B1 (ko) * 2012-06-18 2014-08-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보정 시스템, 영상보정방법 및 스마트 영상획득 장치
KR20150086047A (ko) * 2014-01-17 2015-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80089022A (ko) * 2017-01-31 2018-08-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복수의 유사 영상들을 이용한 최적화된 영상 합성 기술
US11568245B2 (en) 2017-11-16 202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related to metric-learning-based data classification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64091B (zh) 活体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8390672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 panorama photograph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078433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명함 촬영 장치 및 방법
EP18004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image captured by camera
CN107944367B (zh) 人脸关键点检测方法及装置
JP2007249588A (ja) 顔画像登録装置、顔画像登録方法、顔画像登録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8462833B (zh) 拍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472239A (zh) 照片处理方法及装置
CN110856048B (zh) 视频修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60108827A (ko) 이미지 필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514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inger occlusion image, and storage medium
CN113411498A (zh) 图像拍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086991A (zh) 终端检测图像的拍摄方法、装置、便携式终端和存储介质
CN105407295B (zh) 移动终端拍摄装置和方法
CN110807769B (zh) 图像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6339705A (zh) 图片获取方法及装置
KR20090119640A (ko) 이미지의 선호도 표시 장치 및 방법
CN110868542A (zh) 拍照方法、装置及设备
CN107292901B (zh) 边缘检测方法及装置
CN111553865B (zh) 图像修复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032627A (zh) 视频分类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08830194B (zh) 生物特征识别方法及装置
KR1007051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영상 분류 방법
CN110910304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5641269A (zh) 一种图像修补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