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819A -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819A
KR20090118819A KR1020090009933A KR20090009933A KR20090118819A KR 20090118819 A KR20090118819 A KR 20090118819A KR 1020090009933 A KR1020090009933 A KR 1020090009933A KR 20090009933 A KR20090009933 A KR 20090009933A KR 20090118819 A KR20090118819 A KR 2009011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server
electronic
issuing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화
김동주
오제현
한경돈
Original Assignee
넷매니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넷매니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넷매니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8882A/ko
Publication of KR2009011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로 다른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간에 상거래와 관련된 전자문서를 상호 교환하기 위하여, 후술한 전자문서 교환서버에서 미리 정한 데이터 규격에 부합하도록 전자문서들을 발행하거나,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전자문서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해주는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데이터 규격을 등록 및 제공하며, 전자문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규격에 부합되도록 발행된 전자문서들을 제공받아 이를 해당 전자문서 수신자가 등록된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하는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포함함으로서, 표준화 작업과 관계없이 전자문서 발행서버간에 전자세금계산서는 물론 계산서, 거래명세표, 입금표와 같은 상거래와 관련된 전자문서의 원활한 교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세금계산서,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세금계산서 교환 서비스

Description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TRANSMITTING OF ELECTRONIC DOCUMENTS RELATED TO COMMERCE AND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거래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전자문서 발행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간 용이하게 전자문서를 발행 및 교부받을 수 있으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자가 해당 전자문서를 통보 받은 후,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등의 정보가 포함된 상태정보를 다시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전자문서를 발행한 발행자에게 다시 통보되도록 함으로서, 전자문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거래와 관련된 문서로서 예컨대, 세금계산서, 계산서 등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현재 종이 세금계산서를 대신하여 전자세금계산서, 전자계산서 등의 전자문서로서 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자세금계산서는 애초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사업을 민간에서 최초로 주도하여 시행하였기 때문에, 해당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다수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서버간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규격이 서로 상이하여 상호 데이터 교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특정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발행하는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해서는 해당 서버를 통해 일괄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하지만, 자기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보내온 전자세금계산서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서버에 해당 자료가 저장되어 있고, 이러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서버가 다수 개 존재하다 보니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어쩔 수 없이 교부받은 전자세금계산서를 모두 출력하여 보관하는 기존의 종이 세금계산서 보관 방법과 별 차이가 없는 형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한국전자거래진흥원에서는 2004년에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서버를 운영하는 서비스 업체들과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여 표준전자세금계산서 필수 항목에 있어서 표준안을 이끌어 내었다. 하지만, 부가적인 기능에 있어서는 서비스사업자간의 이견과 이해 관계로 인해 결국 마무리 표준화 작업을 이루지 못해 최종 표준화 작업은 무산되고 말았으며, 서비스사업자간의 자율에 맡기게 되었다.
이로 인해 결국 피해 당사자는 전자세금계산서를 이용하는 사용자인 점을 감안할 때 표준화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았다고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서버 간의 데이터 교류를 마냥 미룰 수만은 없는 일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서버간 데이터를 교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656443호(발명의 명칭 : 전자 세금계산서 교환 허브 시스템)가 개시되어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시스템은 다수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스템간 전자세금계산서를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규격이 상이한 전자세금계산서를 다수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스템간에 상호 교환할 수는 있지만, 후술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종래 기술의 전자세금계산서 교환 허브 시스템의 경우, 규격이 상이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시스템에서 발행되는 전자세금계산서를 미리 정해진 표준화된 전자세금계산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특정 발행시스템에서 이용하는 부가 기능들 중 표준화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원활한 교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 기술의 전자세금계산서 교환 허브 시스템의 경우, 보안을 위해 각각의 수신자마다 각기 다른 일회성 비밀키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교환 허브 시스템은 그곳에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이 예컨대, 각각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시스템, 교환 허브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 시스템 또는 향후 국세청과 같은 공인 기관 서버 등에 국한된다는 점에서 보안상 취약한 형태가 아니다.
따라서, 각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시스템의 구성이 각기 다른 상태에서 수신자 마다 각기 다른 일회성 비밀키 방식을 제공하면 해당 발행시스템에서 이를 어떤 방식으로 적용하느냐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에 각 발행시스템이 채택하고 있는 보안시스템과 중복되어 상기 보안 방식이 적용 불가능한 경우까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안 방식에 따른 개발비용도 각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시스템의 운영사가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셋째, 종래 기술의 전자세금계산서 교환 허브 시스템의 경우, 발행된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해 수신자가 개봉, 승인, 반려 등의 조치 사항을 취했을 때 이에 대한 상태 정보가 교환 허브 시스템에만 저장되기 때문에, 애초 전자세금계산서가 발행된 발행시스템에는 해당 전자세금계산서가 미 개봉된 상태로 저장이 되지만, 교환 허브 시스템에는 승인 상태로 저장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들이 어느 발행시스템을 사용하더라도 모든 전자세금계산서의 상태정보가 교환 허브 시스템에 집결되기 때문에 예컨대, 부가세 신고 기간 중 사용자가 교환 허브 시스템에 일시에 접속한다면 교환 허브 시스템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이로 인해 부가세 신고에 차질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종래 기술의 전자세금계산서 교환 허브 시스템의 경우, 교환 허브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사전에 사용자가 교환 허브 시스템에 자신의 식별정보 예컨대, 발행자 식별정보, 수신자 식별정보 또는 자신이 등록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시스템의 식별정보 등을 전자세금계산서 교환 서버에 미리 등록하는 것으로만 되어있다.
하지만, 현재 전자세금계산서의 이용률이 전체 세금계산서의 약 15% 정도인 점을 감안할 때 특정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시스템에서 발행자가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면 발행한 모든 전자세금계산서는 교환 허브 시스템으로 전달되는데 실지로 교환 허브 시스템에 등록된 수신자는 발행한 전자세금계산서의 약 15% 정도이기 때문에 상당수의 전자세금계산서가 수신자가 없는 상태에서 교환 허브 시스템으로 전송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거래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간에 전자문서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간에 전자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로 다른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간에 상거래와 관련된 전자문서를 상호 교환하기 위하여, 후술한 전자문서 교환서버에서 미리 정한 데이터 규격에 부합하도록 전자문서들을 발행하거나,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전자문서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해주는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데이터 규격을 등록 및 제공하며, 전자문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규격에 부합되도록 발행된 전자문서들을 제공받아 이를 해당 전자문서 수신자가 등록된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하는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포함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중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재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전자문서의 이동 경로를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이동경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데이터 필드의 일정 영역에,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재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 및 상기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와 상호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자문서 송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중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로부터 발행된 각각의 전자문서들을 제공받아 저장하기 위한 제1 전자문서 전송 DB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가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전자문서 전송 DB로부터 상기 기록된 전자문서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할 수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각각의 전 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상기 수신자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각각의 수신자들에 대한 수신자 목록을 생성한 후,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가 상기 수신자 목록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자 목록에 포함된 수신자의 전자문서만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자 목록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자 목록 저장부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자 목록을 상기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지정된 IP주소에 대해서만 접속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자문서 또는 상기 수신자에 의해 재 전송된 상태정보를 를 상시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전자문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특정 매입자에 의해 발행된 역발행 전자문서에 대해서도, 상기 역발행 전자문서를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역발행 전자문서에 대한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중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재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 및 상기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와 상호 전송하기 위한 제2 전자문서 송수신부; 및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각각의 전자문서를 암호화하기 위한 전자문서 암호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발행한 각각의 전자문서들을 저장하기 위한 제2 전자문서 전송 DB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가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전자문서 전송 DB로부터 상기 기록된 전자문서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수신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문서가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되었을 때, 상기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승인 또는 반려를 위한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전자문서를 발행함과 함께 상기 발행한 전자문서에 대한 데이터 필드의 일정 영역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전자문서 전송 DB에 저장된 각각의 전자문서들은,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 또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에 의해 정상적으로 전송된 이후 즉시 삭제되거나, 일정 시간 이후 또는 일정 데이터가 축척이 된 이후 삭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문서는, 전자세금계산서, 견적서, 수발주서, 거래명세서, 입금표, 지로, 이용료 청구서, 이용료 사용 내역서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간에 상거래와 관련된 전자문서를 상호 교환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 및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포함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교환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중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에서 미리 정한 소정의 데이터 규격에 부합하도록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등록된 발행자가 요청한 전자문서를 생성 및 발행하는 단계; (b)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 (a)에서 발행한 전자문서를 제공받은 후,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해당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 (b)에서 전송한 전자문서를 해당 수신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 (c) 이후, (c-1)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통보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재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통해 상기 (c-1)에서 전송한 해당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재 전송하는 단계; 및 (c-3)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c-2)에서 전송한 해당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발행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상거래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전자문서 발행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간에 전자문서를 교환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서버를 통해 용이하게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 및 교부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자가 해당 전자문서를 통보 받은 후,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등의 정보가 포함된 상태정보를 다시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전자문서를 발행한 발행자에게 다시 통보되도록 함으로서, 전자문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자 단말(100a 내지 100n), 전자문서 수신자 단말(100a' 내지 100n') 및 전자문서 발행서버(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와 전자문서 교환서버(300) 등이 인터넷(1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인터넷(10)은 예컨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한편, 인터넷(10)은 예컨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전자문서 발행자 단말(100a 내지 100n) 및 전자문서 수신자 단말(100a' 내지 100n')(또는 '사용자 단말'이라고도 함)은 예컨대,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 컴퓨터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에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DA폰 또는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과 같이 통신기능을 가지는 모든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하여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접속하여 양방향성 전자문서 발행 및 통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발행자 단말 및 전자문서 수신자 단말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등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자 단말(100a 내지 100n)은 발행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a 내지 200n)를 통해 전자문서를 발행한다. 발행된 전자문서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전송되고, 전송된 전자문서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를 통해 전자문서 수신자가 등록되어 있는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200a' 내지 200n')로 전송되어 해당 수신자에게 통보된다.
다른 한편, 예컨대, 수신자에게 통보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는 다시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a' 내지 200n')를 통해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재 전송되고, 재 전송된 상태 정보는 다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를 통해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a 내지 200n)로 다시 전송되어 발행자에게 통보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문서'란 통상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시스템에서 주로 제공하는 전자세금계산서를 비롯해 예컨대, 거래명세서, 입금표, 영수증 등과 같은 전자적인 문서들과, 통상의 전자계약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전자계약서, 그 외 견적서, 수발주서, 입/출고증, 지로, 이용료 청구서, 이용료 사용 내역서 등과 같은 상거래와 관련된 각종 전자적인 문서들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전자문서는 예컨대, 공인인증서 등을 통해 인증된 문서는 물론, 공인인증서 등에 의한 인증 없이 단지 해당 데이터만을 기록하고 있는 문서(예컨대, 메타정보, 전자문서의 발행, 전달, 승인, 취소 등의 사실 및 요약정보 등) 또한 포함된다. 물론,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한 다양한 형태의 문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상의 전자문서 발행시스템은 기업, 관공서, 개인간에 발송되는 엄청난 양의 문서와 고지서 등의 종이와 우편료를 절감시키기 위해 도입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문서 발행자가 등록된 하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 및 전자문서 수신자가 등록된 하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와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는데, 이에 국한 되지는 않으며, 다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가 전자문서 교환서버에 연결된 형태에 대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및 200')는 전자문서 발행자 또는 수신자가 각각 등록되어, 전자문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전자문서 발행자의 요청에 의해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발행한다.
또한, 전자문서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특정 발행자에 의해 발행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전송 받아 해당 전자문서의 등록된 수신자에게 통보한다.
여기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및 200')는 단일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전자문서를 생성 및 발행하거나, 수신하는 등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및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물론,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전자문서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수신자에게 통보한 전자문서에 대한 예컨대,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재 전송하여, 재 전송된 상태 정보가 다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를 통해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전송되어 발행자에게 통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생성 및 발행되는 모든 전자문서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제공된 미리 정해진 소정의 데이터 규격에 부합하도록 생성 및 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은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200a 내지 200n)에서 생성 및 발행되는 전자문서의 데이터 규격이 서로 상이할 경우,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 간 데이터의 교류가 어렵기 때문이며, 또한,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 간의 협의를 통한 표준화가 사실상 힘들기 때문이다.
예컨대, 전자문서에 대한 특정 부가 기능에 대해서, 상기 부가 기능을 갖는 전자문서 발행서버의 운영사는 이를 표준화하려고 할 것이고, 해당 부가 기능이 없는 전자문서 발행서버의 운영사는 이를 새로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이를 제외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합의를 이끌어낸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를 통해 일률적으로 표준화된 데이터 규격이 제공된다면,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은 미리 정해진 표준화된 데이터 규격에 맞추어 데이터를 기록하여 전자문서를 생성 및 발행하기 때문에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 간에 데이터 교류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된다.
또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규격에 부합하도록 전자문서를 발행함과 함께, 발행한 전자문서의 데이터 필드 상에 자신의 식별정보(예컨대, 사업자등록번호, 고유 코드 등)를 함께 기록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또는 상 기 이외의 미리 지정된 다른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및 200')는 전자문서 송수신부(210) 및 전자문서 암호화부(2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전자문서 송수신부(210)는, 전자문서 발행자의 요청에 의해 생성 및 발행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전송하며, 특정 발행자에 의해 발행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전송 받아 등록된 수신자에게 통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문서 송수신부(210)는 전자문서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를 통해 수신자에게 통보한 전자문서에 대한 예컨대,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재 전송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전송 받아 등록된 발행자에게 통보한다.
또한, 이외에도 수신자 식별정보, 수신자 목록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들을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와 상호 전송한다.
전자문서 암호화부(220)는, 전자문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의해 생성 및 발행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전자문서를 암호화한다.
예컨대, 전사문서 발행서버(200 및 200') 및 전자문서 교환서버(300)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문서는 예컨대, 제3 자에 의해 유출되어 변조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 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정된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추가적으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상에는 상기 발행자의 요청에 의해 발행된 각각의 전자문서들을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전자문서 전송 DB(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문서 전송 DB(230)는,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가 발행한 전자문서들을 저장하며,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접속하여 전자문서 전송 DB(230)에 저장된 전자문서를 요청함으로서 필요한 전자문서를 전송 받을 수 있게된다.
물론,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전자문서 교환서버(300)가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의 전자문서 전송DB(230) 직접 접속하여 필요한 전자문서를 전송 받을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자문서 저장 DB(230)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전자문서 전송 DB(230)에 저장된 전자문서들은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전송된 후, 예컨대, 즉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이나 일정 데이터가 축적된 이후 삭제될 수 있는데, 이는 전자문서 전송 DB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전자문서 전송 DB(230)는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가 예컨대, 시스템 점검 등의 이유로 장시간 다운되었을 경우를 대비하여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정해진 데이터 규격을 제공하여,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상기 데이터 규격에 부합되도록 발행된 전자문서들을 제공받은 후, 이들 전자문서 각각에 대한 해당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예컨대,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아 해당 전자문서에 대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다시 전송한다.
이때,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데이터 필드의 일정 영역에 소정의 식별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상기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재 전송하고자 할 때,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식별정보는 예컨대, 발행자기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대한 고유 코드 또는 사업자등록번호 등과 같은 정보들로서 이러한 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정확한 장소에 전송할 수 있게된다.
한편, 전자문서 발행서버(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들 각각은 전자문서 교환서버(300) 없이도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들이 상호 연결되어 필요한 전자문서들을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전자세금계산서 등의 전자문서를 발행하는 전자문서 발행서버 들(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은 예컨대, 대기업 등과 같이 자체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에 상기와 같은 전자문서를 발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약 600여 업체)과 전자문서 발행 중계사업자(약 20여 업체)가 존재하며, 향후 이러한 업체의 수는 계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업체들간의 원활한 데이터 교류를 위해서는 비용 및 그 효용성 등을 고려하여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필요한 경우, 국세청 서버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을 통해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와 동일한 기능을 함께 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이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을 통한 예컨대, 전자세금계산서 등의 세무 자료 신고가 가능해지면, 모든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이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에 연결되어 관련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이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에서 발행된 전자문서를 저장한다고 가정한다면, 예컨대, 부가세 신고기간 중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매출장만 집계가 가능하지만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에서는 매입 및 매출 등의 집계가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들은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으로 몰릴 것이고, 이로 인한 시스템 부하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져 상황에 따라서는 국세 업무의 마비까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없애기 위해서는 사용자를 분산시켜야 하는데,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은 전자문서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서의 역할을 병행함으로서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에서 매입 및 매출 등의 집계를 모두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된 발행서버의 기능이 손에 익어 해당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그대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 사용자 분산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 서버 등이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서의 역할까지 하게되면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은 사용자가 각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을 통해 전자세금계산서 등의 전자문서를 발행하는 즉시 저장하고, 이에 대해 수신자가 자신이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개봉, 승인, 반려 등과 같은 상태 정보까지도 모두 수록하여 세무 업무의 신속성과 정확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년 국세청이 실시하는 예컨대, 불부합 자료에 대한 대조 작업 또한 간편해지게된다. 또한, 예컨대, 전자세금계산서 등은 공인인증서가 없으면 발행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사람의 사업자등록증 등으로 위조된 세금계산서 등을 남발하는 자료상이 존재하기 어려워져 투명한 세제 업무가 가능해지게된다.
이러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전자문서 송수신부(340) 및 상태정보 저 장부(3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예컨대, 전자문서 전송 DB(360), 수신자 목록 저장부(370), 이동경로 저장부(380) 또는 전자문서 저장부(39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전자문서 송수신부(340)는, 전자문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은 전자문서를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전송하거나, 예컨대,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상태정보 저장부(350)를 통해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아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재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이외에도 수신자 식별정보, 수신자 목록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들을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및 200')와 상호 전송한다.
상태정보 저장부(350)는, 전자문서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예컨대,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상태정보는 전자문서 송수신부(340)를 통해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다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만약, 상기 상태정보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상태정보 저장부(350)에 단지 저장만 되도록 한다면, 예컨대,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는 해당 전자문서가 미 개봉된 상태로 저장이 되지만,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는 승인 상태로 저장되어지는 문제점이 발행하게된다.
이러한 경우, 모든 전자문서의 상태정보가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집결되기 때문에 예컨대, 부가세 신고 기간 중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a 내지 100n 및 100a' 내지 100n')이 전자문서 발행서버(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를 통해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일시 접속한다면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과부하가 발행하여 이로 인해 부가세 신고에 차질이 생길 수 있게된다.
따라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상태정보 저장부(350)에 상기 상태정보를 저장함과 함께, 상기 상태정보에 대한 해당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전달함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된다.
전자문서 전송 DB(360)는,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발행된 전자문서들을 저장하게 되는데, 예컨대, 전자문서 교환서버(300)가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발행된 전자문서들을 전자문서 전송 DB(360)에 기록하면,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해당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접속하여 전자문서 전송 DB(360)에 저장된 전자문서를 요청함으로서 필요한 전자문서를 전송 받을 수 있게된다.
물론,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가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전자문서 전송DB(360) 직접 접속하여 필요한 전자문서를 전송 받을 수도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전송 DB(360)는 예컨대,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에 대한 개별적인 저장공간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개별적인 저장공 간 없이 모든 전자문서를 단일의 저장공간이 임시 저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자문서 전송 DB(360)에 저장된 전자문서들은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를 통해 전송되어진 후, 예컨대, 즉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일정 데이터가 축적된 이후에 삭제될 수 있는데, 이는 전자문서 전송 DB(360)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신자 목록 저장부(370)는,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발행된 각각의 전자문서를 수신하는 각각의 수신자들에 대한 소정의 수신자 목록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 수신자 목록은 전자문서 교환서버(300)가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자신들이 발행하는 전자문서를 수신하는 수신자들의 식별정보(예컨대, 사업자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 공인인증서 또는 아이핀(i-PIN) 등)를 요청 받아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자 목록 저장부(370)는,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가 수신자 목록이 저장된 수신자 목록 저장부(370)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자 목록에 포함된 수신자의 전자문서만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신자가 없는 전자문서가 필요 없이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수신자 목록 저장부(370)에 저장된 상기 수신자 목록을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제공하여 전자문서 발행서버가 상기 수신자 목록에 포함된 수신자의 전자문서만을 스스로 선별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경로 저장부(380)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가 예컨대,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전송 받아 해당 전자문서에 대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당 전자문서에 대한 이동 경로가 저장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예컨대, 특정 전자문서에 대한 발행자가 자기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를 통해 상기 전자문서를 발행한 후,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해 해당 수신자가 이를 개봉하기 전에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를 삭제한다던가, 또는,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발행자가 예컨대, 세무 신고 등의 목적을 위해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를 마감했을 경우 등에 있어서도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상태 정보가 해당 수신자에게 재 전송되어야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이동 경로가 이동경로 저장부(38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전자문서에 대한 발행자가 예컨대, 'A'라는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전자문서를 발행하여 수신자가 등록된 예컨대, 'B'라는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되고, 수신자는 뒤늦게 이를 확인하고 개봉하였다고 할 때, 그 사이 발행자는 'A'라는 전자문서 발행서버에서 예컨대, 'C'라는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이전 등록하였다면, 이러한 변경사항 등을 이동경로 저장부(380)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서 전자문서 및 각종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상기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로 용이하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문서 저장부(390)는, 예컨대,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이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서의 기능을 병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200a 내지 200n 및 200a' 내지 200n')로부터 발행된 각종 전자문서들이 저장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지정된 IP주소 이외에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통상적으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일반 인터넷 이용자들이 쉽게 접속할 수 있는 서버가 아니며, 예컨대,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와,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관리자 또는 국세청 또는 국세청이 인정한 서버 등과 같은 공인된 기관의 서버들만이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정된 IP주소 이외에는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된다.
물론, 전자문서 발행서버 및 전자문서 교환서버 상호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예컨대, 상기 데이터를 제3 자가 가로채어 변조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정된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전자문서 발행서버 및 전자문서 교환서버 상호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외한, 사용자 단말 및 전자문서 발행서버 상호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에 있어서는 특별히 지정된 방식을 제시하지 않고, 해당 전자문서 발행서버가 기존에 사용하던 보안 방식 또는 원하는 보안방식 등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컨대, 각각의 사용자 단말 및 전자문서 발행서버 상호 간에 지정된 보안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지정된 보안시스템은 기존에 각 전자문서 발행서버들이 채택하여 이용해왔던 보안시스템과 중복되어 상기 지정된 보안 시스템이 적용 불가능한 경우까지 발생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지정된 보안 방식에 따른 개발비용도 각 전자문서 발행서버의 운영사가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은 예컨대, 수신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문서가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되었을 경우, 상기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예컨대, 승인 또는 반려 등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예컨대, 특정 매입자에 의해 발행된 역발행 전자문서에 대해서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상기 역발행 전자문서를 제공받아 이를 해당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로서 전자문서 교환서버가 전자문서의 이동 경로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예컨대, 전자문서 발행자)가 인터넷(1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a 내지 100n)(예컨대, 전자문서 발행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통해 해당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전자 문서의 발행을 요청하면,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발행자의 요청을 수신하여,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서 미리 정한 데이터 규격에 부합하도록, 전자문서를 생성 및 발행한 후 발행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전송한다(S110).
이때,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발행한 전자문서의 데이터 필드 상에 자신의 식별정보 즉, 전자문서를 발행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자신의 식별정보(예컨대, 사용자등록번호, 고유 코드 등)를 함께 기록하여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사용자 목록 저장부(370)에 저장된 사용자 목록 또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사전에 제공받은 사용자 목록 등을 참조하여,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해당 수신자를 검색한 후 해당 수신자가 수신자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예컨대, 전자세금계산서 등의 전자문서가 종이세금계산서 등의 종이문서를 대치하여 표준문서로 정착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용자들에 의해 전자문서가 통용되어 상술한 수신자 검색 과정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서 발행한 전자문서를 전자 문서 교환서버(300)로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각각의 전자문서 송수신부(210 및 340)를 통해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예컨대,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의 전자문서 전송 DB(230) 상에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들을 저장한 후, 전자문서 교환서버(300)가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접속하여 필요한 전자문서를 요청하면, 이를 전자문서 전송 DB(230)로부터 검색하여 전자문서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전자문서를 전송 받은 후, 이를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해당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전송한다(S120).
이때,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전송 받은 전자문서에 대한 이동경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이동경로 저장부(380)에 저장하거나, 또는 예컨대, 전송된 전자문서의 데이터 필드 상에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대한 소정의 식별정보(예컨대, 사용자등록번호, 고유 코드 등)를 기록할 수 있다.
한편, 발행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해당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직접 전송하는 방법은 물론, 예컨대,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전자문서 전송 DB(360) 상에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발행되어 전송된 전자문서들을 저장하여,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가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접속하여 필요한 전자문서를 요청하면, 이를 전자문서 전송 DB(360)로부 터 검색하여 전자문서 송수신부(34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전송 받은 전자문서를 해당 수신자에게 통보하게된다. 이때, 상기 수신자의 수신자 상태정보는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전송되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이를 전자문서 교환 서버(300)로 다시 전송한다(S130 및 S140).
상기 수신자 상태 정보는 예컨대, 상기 단계 S110에서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전송된 수신자 상태정보는 상태정보 저장부(370)에 저장되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수신자 상태정보를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또는, 필요한 경우,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이외의 다른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다시 전송하게 된다(S1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로서 특허청과 같은 공인 기관이 전자문서 교환서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예컨대, 전자문서 발행자)가 인터넷(1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a 내지 100n)(예컨대, 전자문서 발행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통해 해당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전자 문서의 발행을 요청하면,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발행자의 요 청을 수신하여,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서 미리 정한 데이터 규격에 부합하도록, 전자문서를 생성 및 발행한 후 전자문서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전송한다(S210).
이때,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발행한 전자문서의 데이터 필드 상에 자신의 식별정보 즉, 전자문서를 발행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 자신의 식별정보(예컨대, 사용자등록번호, 고유 코드 등)를 함께 기록하여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사용자 목록 저장부(370)에 저장된 사용자 목록 또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사전에 제공받은 사용자 목록 등을 참조하여,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해당 수신자를 검색한 후 해당 수신자가 수신자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전자문서 저장부(390)에는 발행된 전자문서 중 예컨대, 세무 관련 전자문서만 선별적으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한편,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서 발행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각각의 전자문서 송수신부(210 및 340)를 통해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예컨대,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의 전자문서 전송 DB(230) 상에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들을 저장한 후, 전자문서 교환서버(300)가 발행자가 등 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접속하여 필요한 전자문서를 요청하면, 이를 전자문서 전송 DB(230)로부터 검색하여 전자문서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전자문서를 전송 받은 후, 이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전자문서 저장부(390)에 저장함과 함께, 이를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해당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전송한다(S220 및 S230).
이때,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전송 받은 전자문서에 대한 이동경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이동경로 저장부(380)에 저장하거나, 또는 예컨대, 전송된 전자문서의 데이터 필드 상에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대한 소정의 식별정보(예컨대, 사용자등록번호, 고유 코드 등)를 기록할 수 있다.
한편, 발행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해당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에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직접 전송하는 방법은 물론, 예컨대,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전자문서 전송 DB(360) 상에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부터 발행되어 전송된 전자문서들을 저장하여,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가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접속하여 필요한 전자문서를 요청하면, 이를 전자문서 전송 DB(360)로부터 검색하여 전자문서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부터 전송 받은 전자문서를 해당 수신자에게 통보하게된다. 이때, 상기 수신자의 수신자 상태정보는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로 전송되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는 이를 전자문서 교환 서버(300)로 다시 전송한다(S240 및 S250).
상기 수신자 상태 정보는 예컨대, 상기 단계 S210에서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로 전송된 수신자 상태정보는 상태정보 저장부(370)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수신자 상태정보는 전자문서 교환서버(300)의 전자문서 저장부(390)에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전자문서 교환서버(300)는 상기 수신자 상태정보를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또는, 필요한 경우,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200)이외의 다른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다시 전송하게 된다(S260 및 S270).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로서 전자문서 교환서버가 전자문서의 이동 경로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로서 특허청과 같은 공인 기관이 전자문서 교환서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9)

  1. 서로 다른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간에 상거래와 관련된 전자문서를 상호 교환하기 위하여, 후술한 전자문서 교환서버에서 미리 정한 데이터 규격에 부합하도록 전자문서들을 발행하거나,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전자문서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해주는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데이터 규격을 등록 및 제공하며, 전자문서 발행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규격에 부합되도록 발행된 전자문서들을 제공받아 이를 해당 전자문서 수신자가 등록된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하는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포함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중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재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전자문서의 이동 경로를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이동경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데이터 필드의 일정 영역에,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재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 및 상기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와 상호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자문서 송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중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 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로부터 발행된 각각의 전자문서들을 제공받아 저장하기 위한 제1 전자문서 전송 DB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가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전자문서 전송 DB로부터 상기 기록된 전자문서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상기 수신자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각각의 수신자들에 대한 수신자 목록을 생성한 후,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가 상기 수신자 목록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자 목록에 포함된 수신자의 전자문서만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자 목록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자 목록 저장부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자 목록을 상기 각각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지정된 IP주소에 대해서만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자문서 또는 상기 수신자에 의해 재 전송된 상태정보를 상시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전자문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는,
    특정 매입자에 의해 발행된 역발행 전자문서에 대해서도, 상기 역발행 전자문서를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역발행 전자문서에 대한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중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로부터 발행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발행된 전자문서 및 상기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와 상호 전송하기 위한 제2 전자문서 송수신부; 및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각각의 전자문서를 암호화하기 위한 전자문서 암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 환 서비스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발행한 각각의 전자문서들을 저장하기 위한 제2 전자문서 전송 DB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가 실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전자문서 전송 DB로부터 상기 기록된 전자문서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수신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문서가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로 전송되었을 때, 상기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승인 또는 반려를 위한 인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는,
    상기 전자문서를 발행함과 함께 상기 발행한 전자문서에 대한 데이터 필드의 일정 영역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16. 제6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전자문서 전송 DB에 저장된 각각의 전자문서들은, 상기 전자문서 발행서버 또는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에 의해 정상적으로 전송된 이후 즉시 삭제되거나, 일정 시간 이후 또는 일정 데이터가 축척이 된 이후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는,
    전자세금계산서, 견적서, 수발주서, 거래명세서, 입금표, 지로, 이용료 청구서, 이용료 사용 내역서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18. 복수의 사용자 단말간에 상거래와 관련된 전자문서를 상호 교환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 및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포함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교환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발행서버들 중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에서 미리 정한 데이터 규격에 부합하도록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등록된 발행자가 요청한 전자문서를 발행하는 단계;
    (b)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 (a)에서 발행한 전자문서를 제공받은 후,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해당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 (b)에서 전송한 전자문서를 해당 수신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
    (c-1) 상기 수신자가 등록된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통보된 전자문서에 대한 개봉, 승인, 반려, 또는 승인 취소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수신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로 재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전자문서 교환서버를 통해 상기 (c-1)에서 전송한 해당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에 재 전송하는 단계; 및
    (c-3) 상기 특정 전자문서 발행서버를 통해 상기 (c-2)에서 전송한 해당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발행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방법.
KR1020090009933A 2008-05-14 2009-02-06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8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280A KR20090118882A (ko) 2008-05-14 2009-05-14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4321 2008-05-14
KR1020080044321 2008-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819A true KR20090118819A (ko) 2009-11-18

Family

ID=416027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33A KR20090118819A (ko) 2008-05-14 2009-02-06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90042280A KR20090118882A (ko) 2008-05-14 2009-05-14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280A KR20090118882A (ko) 2008-05-14 2009-05-14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901188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031B1 (ko) * 2010-11-11 2012-04-19 (주)케이포엠 전자세금계산서 매입 역발행을 순방향으로 전환 처리하는 방법
KR101397174B1 (ko) * 2013-07-08 2014-05-1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싱글 사인온 기반 통합 포인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10209298A1 (en) * 2020-01-03 2021-07-08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lectronic doc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882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0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collaboration and annotation-based action creation and management
CA2355785C (en) Electronic presentation of invoices using a trusted document repository
US201302907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loud-based electronic communication vault
CA2988106A1 (en) Certified email system and method
JP201815271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2164884A (ja) プロキシサーバ、電子署名システム、電子署名検証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子署名方法、電子署名検証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伝送装置
US93860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and executing secure electronic correspondence operations
US89041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istribution and/or storage of data files with long term file integrity verification
US9406050B2 (en) Electronic business postal system
CN112492533B (zh) 基于区块链技术的5g富媒体消息推送方法及装置
CN103039032B (zh) 通信系统及方法
WO2013044286A1 (en) Online payment
EP40440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documents
TW201342298A (zh) 電子郵件投遞認證方法
JP2003296192A (ja) 電子署名・電子文書保管システム
CA2862584A1 (en) Method for certifying delivery of sms/mms data messages to mobile terminals
KR20090118819A (ko) 상거래 관련 전자문서의 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NL1017389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zenden van elektronische berichten.
KR101753455B1 (ko) 스마트 동의서 제공 방법 및 서버
JP7336485B2 (ja) 証明書管理装置
Angelov et al. Dynamic and secure B2B e-contract update management
WO2000046952A1 (en) Method for sending secure email via standard browser
Braga Fostering e-government in Brazil: a case study of digital certification adoption
US2015021340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document transactions
KR20020003835A (ko) 인터넷을 이용하여 부가가치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