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222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222A
KR20090118222A KR1020080043889A KR20080043889A KR20090118222A KR 20090118222 A KR20090118222 A KR 20090118222A KR 1020080043889 A KR1020080043889 A KR 1020080043889A KR 20080043889 A KR20080043889 A KR 20080043889A KR 20090118222 A KR20090118222 A KR 20090118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cb
coupling
bos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추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8222A/en
Publication of KR2009011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2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for simplifying a display button structure is provide to reduce combination time of a button assembly and reduce time, molding cost and failure rate of cabinet. CONSTITUTION: A display device for simplifying a display button structure includes a cabinet, a combination guide unit, a button unit(21) and a printed circuit board(23). The combination guide unit is formed in the cabinet. The button unit is formed in the cabinet. The combination unit forms a hook combined in the combination guide unit. The combination unit includes a button which is inser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the button uni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기기는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화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장치이다.A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converts an externally input signal into an image and displays it.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온/오프 동작, 채널 변경, 음량 변경 및 디스플레이기 연결설정 등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버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통상적으로 버튼부, PCB로 구성된다.On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button assembly for allowing a user to operate functions such as on / off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and display connection setting. The button assembly is typically composed of a button portion, a PCB.

본 실시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버튼 구조가 단순해지고, 결합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ith a simplified display button structure and easy coupl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버튼홀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부; 상기 버튼홀에 삽입되는 버튼과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는 PCB;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binet in which a buttonhole is formed; Coupling guide portion formed in the cabinet; A button part provided with a button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part; PCB coupled to the butt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 의하면 복잡한 종래의 버튼 어셈블리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캐비닛의 사출 비용, 시간 및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버튼 어셈블리의 결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complicated conventional button assembly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cabinet injection cost, time and defective rate, and shortening the coupling time of the button assembly.

또한, 상기 버튼 구조의 수리에 있어서 수리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PCB에 작용하는 압력의 방향을 전환하여 PCB가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pair of the button structure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repair and to prevent the bending of the PCB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acting on the PCB.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버튼 구조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론트 캐비닛의 배면 사시도이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ont cabinet of a display device in which a button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 을 참조하면, 프론트 캐비닛(1)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리어 캐비닛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1)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작동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버튼 어셈블리(2)가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front cabinet 1 is combined with a rear cabinet not shown in the drawing to form an appearance of a display device. The front cabinet 1 is coupled to a button assembly 2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프론트 캐비닛(1)은 통상적으로 단일 또는 조합 형태의 합성수지 사출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1)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전면부(11)가 포함된다. 상기 전면부(11)의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직각 또는 경사지도록 다수의 연장부(12)가 형성된다.The front cabinet 1 is typical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in the form of a single or combination. The front cabinet 1 includes a front portion 11 having an opening.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12 are formed to be perpendicular or inclined rearward from the edge of the front part 11.

상기 연장부(12)에는 상기 버튼 어셈블리(2)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1)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장부에 상기 버튼 어셈블리(2)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 및 디자인에 따라서 상기 프로트 캐비닛(1)의 전면, 측면 또는 상기 리어 캐비닛에 제공될 수 있다.The button assembly 2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12. In this embodiment, the button assembly 2 is provided as an extension par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cabinet 1,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epending on the size and design of the display device It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side or rear cabinet of the front cabinet (1).

상기 버튼 어셈블리(2)는 이하의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button assembly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rawings.

도 2 는 도 1 의 A 부분의 확대도 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 어셈블리(2)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컨트롤 시에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버튼부(21) 및 상기 버튼부(21)에 인가되는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컨트롤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PCB(23)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2, the button assembly 2 includes a button unit 21 pressurized by a user when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and a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unit 21 to an electrical signal to convert the button unit 21 into an electrical signal. A PCB 23 is included to allow control to be performed.

상기 버튼부(21)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1)의 하측의 연장부(12)에 결합되고, 상기 PCB(23)는 상기 버튼부(21)의 상측에 결합된다.The button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extension 12 of the lower side of the front cabinet 1, the PCB 23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utton portion 21.

이하에서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1)과 상기 버튼부(21) 및 상기 PCB(23)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ront cabinet 1, the button part 21, and the PCB 2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은 버튼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의 캐비닛의 배면 사시도이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abinet with the button assembly separated;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캐비닛(1)의 상기 연장부(12)에는 복수개의 버튼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홀(111)은 복수개로 도시가 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자인 및 기능에 따라서 단일의 홀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buttonholes 111 ar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2 of the front cabinet 1. Although the buttonhole 111 is illustrated in plural, the buttonhole 111 may be provided as a single hole according to the design and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연장부(12)에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12)의 후방을 향하여 한 쌍의 결합 가이드부(1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 가이드부(113)에는 상기 버튼부(21)가 결합된다.A pair of coupling guides 113 protrude from the extension part 12 toward the rear of the front cabinet 12, and the button part 21 is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part 113.

상세히, 상기 결합 가이드부(113)에는 상기 버튼부(21)와의 후크 결합을 위한 걸림단(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 가이드부(113)의 단부에는 체결보스(115)가 형성이 된다.In detail, the engaging guide portion 113 is formed with a locking end 114 for hooking the button portion 21. In addition, the fastening boss 115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guide portion 11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사시도이다.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21)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버튼을 가압하였을 때, 가해진 압력을 상기 PCB(23)에 전달한다.4 and 5, the button unit 21 transmits the applied pressure to the PCB 23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o operate the display device.

상기 버튼부(21)에는 외형을 형성하는 버튼부 몸체(210)가 포함된다. 상기 버튼부 몸체(210)에는 버튼(212)이 위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부(217)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212)은 한 쌍의 버튼지지리브(213)에 의하여 지지된다. The button part 21 includes a button part body 210 forming an outer shape. The button body 210 has an opening 217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button 212 is located. The button 212 is supported by a pair of button support ribs 213.

따라서, 상기 버튼(212)은 상기 버튼지지리브(213)에 의해서 탄성 운동 가능 하게 된다. 상기 버튼(212) 및 상기 버튼지지리브(213)는 상기 버튼부(21)와 단일의 사출물로 제작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utton 212 is elastically movable by the button support rib 213. The button 212 and the button support ribs 213 may be manufactured as a single injection molded product with the button portion 21.

상기 버튼부 몸체(210)의 양측에는 상기 버튼부(21)가 상기 프론트 캐비닛(1)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214)가 제공된다.Both sides of the button unit body 2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214, which allows the button portion 21 to be coupled to the front cabinet (1).

상기 결합부(214)의 일단에는 버튼부 보스(2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14)의 타단에는 상기 버튼부 보스(215)의 형성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 1 후크(216)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23)과 상기 프론트 캐비닛(1)의 결합시, 상기 제 1 후크(216)는 상기 걸림단(114)에 걸리게 된다.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214 is formed with a button boss (215). A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art 214, a first hook 216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part boss 215 is formed. When the button unit 23 and the front cabinet 1 are coupled, the first hook 216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114.

상기 버튼부보스(215)의 내주면의 직경은 도 3 의 상기 체결보스(115) 단부의 외주면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체결보스(115)의 단부가 상기 버튼부보스(215)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boss 21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diameter of the end of the fastening boss 115 of FIG. 3, so that the end of the fastening boss 115 may be seated on the button boss 215. To help.

또한 상기 버튼부 몸체(210)의 일면에는 상기 PCB(22)의 고정을 위한 제 2 후크(218)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후크(218)는 상기 개구부(217)와 상기 버튼부 몸체(210)의 경계부에 제공되고, 상기 개구부(217)가 형성되는 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 몸체(210)에는 상기 제 2 후크(218)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 2 후크(218)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219)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19)는 상기 PCB(23)의 결합을 가이드하며, 상기 가이드 리브(219)와 상기 제 2 후크(218) 사이에 상기 PCB(23)가 위차하게 된다.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button body 210 is provided with a second hook 218 for fixing the PCB (22). The second hook 218 is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opening 217 and the button body 210,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217 is formed. The button body 210 is provided with a guide rib 219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ok 218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hook 218. The guide rib 219 guides the coupling of the PCB 23, and the PCB 23 is misaligned between the guide rib 219 and the second hook 218.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의 사시도이다.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PCB(23)는 상기 버튼부(21)에 가압된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버튼부(21)에 가압된 압력이 상기 PCB(23)에 제공되는 센서(232)로 전달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PCB(23)는 판상으로 길게 제공되고, 상기 센서(232)는 상기 PCB(23)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센서(232)는 도 4 의 상기 버튼(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6 and 7, the PCB 23 is a device that convert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unit 21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portion 21 is transferred to the sensor 232 provided to the PCB 23 and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PCB 23 is provided to have a long plate shape, the sensor 232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PCB (23). In addition, the sensor 23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212 of FIG.

상기 센서(232)에는 상기 버튼(212)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가압단(233)이 포함된다. The sensor 232 includes a pressing end 233 that is selectively pressed by the button 212.

상기 PCB(23) 양단에는 각각 원형의 홀(234)이 형성되고, 상기 홀(234)의 내경은 상기 버튼부보스(215)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1)와 상기 PCB(23)가 결합할 때, 상기 버튼부보스(215)가 상기 홀(234)에 삽입이 된다.Circular holes 23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CB 23,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234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utton boss 215. When the button unit 21 and the PCB 23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button boss 215 is inserted into the hole 234.

상기 PCB(23)에는 상기 제 2 후크(218)가 결합되는 걸림단(23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236)의 형상은 상기 제 2 후크(218)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후크(218)의 형상에 대응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CB 23 has a locking end 236 to which the second hook 218 is coupled. The locking end 236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hook 218 so that the second hook 218 may be seated.

도 8 은 프론트 캐비닛에 버튼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unit is coupled to the front cabinet.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21)를 상기 프론트캐비닛(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버튼부보스(215)가 상기 프론트캐비닛(1)에 형성된 상기 체결보스(115)와 정렬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8, in order to couple the button part 21 to the front cabinet 1, the button part boss 215 is aligned with the fastening boss 115 formed in the front cabinet 1. .

그 다음, 상기 체결보스(115)의 단부가 상기 버튼부보스(215)에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보스(115)의 단부가 상기 버튼부보스(215)에 인입되면, 상기 제 1 후크(216)가 상기 걸림단(114)에 걸리게 되어, 상기 버튼부(21)와 상기 프론트 캐비닛(1)이 결합된다.Then, the end of the fastening boss 115 to be introduced into the button boss 215. When the end of the fastening boss 115 is introduced into the button boss 215, the first hook 216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114, the button 21 and the front cabinet (1) ) Is combined.

상기 체결보스(115)와 상기 버튼부보스(215) 간의 결합으로, 상기 버튼부(21)의 상하좌우 방향의 요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 1 후크(216)와 상기 결합 가이드부(113) 간의 결합으로 전후방향의 요동이 방지된다.By coupling between the fastening boss 115 and the button boss 215, the swing of the button portion 21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evented. In addition, by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hook 216 and the coupling guide portion 113 to prevent the front and rear swing.

상기 복수개의 버튼(212)은 상기 버튼부(21)가 상기 프론트캐비닛(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버튼홀(111)과 정렬되면 상기 버튼홀(111)에 삽입된다. 상기 버튼(212)은 상기 버튼홀(111)에 인입되어, 상기 프론트캐비닛(1)의 바깥면으로 상기 버튼(212)의 일부분이 돌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조작 시 사용자는 돌출된 상기 버튼(212)을 누르게 된다.The plurality of buttons 212 ar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button part 21 to the front cabinet 1, and are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111 when aligned with the button hole 111. The button 212 is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111, and a part of the button 212 protrud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1. Therefore, the user presses the protruding button 212 during the display operation.

상기 버튼부 몸체(210)는 상기 연장부(12)에 안착되어 상기 버튼부(21)가 상기 프론트캐비닛(1)에 안정적으로 지지 된다.The button part body 210 is seated on the extension part 12 so that the button part 21 is stably supported by the front cabinet 1.

도 9 는 프론트 캐비닛에 결합된 버튼부에 PCB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CB is coupled to the button unit coupled to the front cabinet.

도 9 를 참조하면, 상기 PCB(23)와 상기 버튼부(21)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먼저 상기 PCB(23)의 상기 가압단(233)이 상기 버튼(212)과 마주보도록 정렬한다. Referring to FIG. 9, in order to couple the PCB 23 and the button unit 21, first, the pressing end 233 of the PCB 23 is aligned to face the button 212.

그 다음, 상기 제 2 후크(218)와 상기 가이드리브(219) 사이의 공간에 상기 PCB(23)가 안착 되도록 한다.Next, the PCB 23 is seated in a space between the second hook 218 and the guide rib 219.

상기 PCB(23)가 안착되면, 상기 버튼부(21)의 상기 제 2 후크(218)가 상기 PCB(23)의 상기 걸림단(236)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보스(215)는 상기 홀(234)에 삽입된다. 상기의 후크 결합 및 보스와 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PCB(23)가 상기 버튼부(21)에 고정된다.When the PCB 23 is seated, the second hook 218 of the button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engaging end 236 of the PCB 23. In addition, the button boss 215 is inserted into the hole 234. The PCB 23 is fixed to the button portion 21 by the hook coupling and the boss and the hole.

상기의 상태에서는 상기 PCB(23)가 상기 연장부(12)에 대하여 수직하게 된다. 즉, 상기 PCB(23)는 상기 연장부(12)의 상기 버튼홀(111)에 인입되는 상기 버튼(212)의 가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PCB(23)에 수직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발생하는 상기 PCB(23)의 휨현상이 방지된다.In the above state, the PCB 23 is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part 12. That is, the PCB 23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button 212 introduced into the button hole 111 of the extension part 12. Therefor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nding of the PCB 23 generated by applying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PCB 23 is prevented.

상기 버튼부보스(215)가 상기 홀(234)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보스(215)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체결부재(251)가 체결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부재(251)는 상기 홀(234)을 관통하여 상기 버튼부보스(215)에 체결이 되어, 상기 프론트캐비닛(1), 버튼부(21) 및 상기 PCB(23)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보스(215)와 상기 체결부재(251) 사이에는 와셔(252)가 개입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251 is fasten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utton boss 215 in the state where the button boss 215 is inserted into the hole 234. In detail, the fastening member 251 is fastened to the button boss 215 through the hole 234 to fix the front cabinet 1, the button part 21, and the PCB 23. do. In addition, a washer 25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boss 215 and the fastening member 25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캐비닛(1), 버튼부(21) 및 상기 PCB(23)가 한 쌍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cabinet 1, the button portion 21 and the PCB 23 can be fixed by a pair of fastening memb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후크 결합을 이용하고 체결부재를 최소화하여 가공공정을 단순화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버튼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출시간 및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time and reduce the cost of the display device by simplifying the processing process by using the hook coupling and minimize the fastening member.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simplif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utton assembly to reduce the injection time and failure rate.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nd adding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버튼 구조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론트 캐비닛의 배면 사시도.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ont cabinet of a display device with a button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도 2 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도 3 은 버튼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의 캐비닛의 배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abinet with the button assembly removed;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사시도.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의 사시도.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프론트 캐비닛에 버튼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unit is coupled to the front cabinet.

도 9 는 프론트 캐비닛에 결합된 버튼부에 PCB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CB is coupled to the button unit coupled to the front cabinet.

Claims (8)

버튼홀이 형성되는 캐비닛;A cabinet in which a buttonhole is formed;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부;Coupling guide portion formed in the cabinet; 상기 버튼홀에 삽입되는 버튼과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는 버튼부;A button part provided with a button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part;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는 PCB;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PCB coupled to the butt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hook for coupling to the coupl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PCB가 상기 버튼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PCB에 삽입되는 버튼부보스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The coupling unit includes a button unit boss that is inserted into the PCB while the PCB is coupled to the button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결합 가이드부에는 상기 버튼부보스에 삽입되기 위한 체결보스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The coupling guide unit includes a fastening boss to be inserted into the button boss bos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체결보스가 상기 버튼부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PCB를 관통한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fastening boss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PCB while the fastening boss is inserted into the button bos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PCB는 상기 버튼의 누름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The PCB is coupled to the button uni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ushing direction of the butt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PCB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걸림단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 display device having a hook end formed on the PCB, and a hook for coupling to the hook end formed on the button par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후크와 이격되며, 상기 PCB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The button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hook, the display device is formed a guide rib for guiding the coupling of the PCB.
KR1020080043889A 2008-05-13 2008-05-13 Display device KR200901182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889A KR20090118222A (en) 2008-05-13 2008-05-1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889A KR20090118222A (en) 2008-05-13 2008-05-13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222A true KR20090118222A (en) 2009-11-18

Family

ID=4160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889A KR20090118222A (en) 2008-05-13 2008-05-13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82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8222A (en) Display device
KR100946173B1 (en) Reflector
EP2157844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ntrol key unit
CN210639482U (en) Central control device
KR20060085808A (en) Structure for assembling button of control assembly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80003629A (en) Control panel for electric apparatus and tv having the same
CN218647818U (en) Remote controller display screen front cover and remote controller display screen
KR101265589B1 (en) structure of button installation for laundry apparatus
JP4931737B2 (en) Display device
KR20070053994A (en) Brand block and control block mounting structure for display apparatus
KR101811766B1 (en) Switch for remote controller
KR101470643B1 (en) Display device
KR200244746Y1 (en) Input part structure of electronic product
KR101069868B1 (en) Button for tact switch of washing machine
KR100700696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utton and pcb
CN106686889B (en) TDS pen
KR200155492Y1 (en) Push button fixing device on pcb
CN203277160U (en) Panel key structure
JP2020047386A (en) Push button switch and console panel
KR100601438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button channel in image device
KR101152371B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button of Control panel assembly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30073063A (en) structure of control panel assembly in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110009073U (en) Tack switch module button assembly
KR20040011970A (en) Controlpanel of Washing machine
KR20020079086A (en)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