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519A -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519A
KR20090117519A KR1020080043609A KR20080043609A KR20090117519A KR 20090117519 A KR20090117519 A KR 20090117519A KR 1020080043609 A KR1020080043609 A KR 1020080043609A KR 20080043609 A KR20080043609 A KR 20080043609A KR 20090117519 A KR20090117519 A KR 20090117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ork
unit
data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창근
정효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엠씨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엠씨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엠씨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4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519A/en
Publication of KR2009011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5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a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are provided to offer reliable construction schedule data by utilizing accurate process data built in database. CONSTITUTION: The data about the unit process quantity of each project is input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odes(S410). The data about the unit process quantity is stored in database(S430). The unit process quantity is provided based on data which the unit process quantity remains(S440,S450) on the working screen of the workshee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chedule. The construction period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rovided unit process quantity. The calculated construction period is reflected in a worksheet(S461).

Description

단위 공량 검색에 기반하여 건설 설계 업무에 적합한 공사 관리 방법과 시스템 및 그 기록 매체{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건설과 관련된 공사의 관리 방법과 시스템 및 그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정 업무의 표준화 체계를 위하여 수립한 공종별 분류 코드에 따라 액티버티 카드(activity card)를 적용하여 현장 여건을 감안한 공정 데이터, 예를 들어, 단위 공량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정확한 공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뢰성있는 공사 스케줄 자료를 시공사, 설계사 등 발주처에 제공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공정 업무의 상항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공사 관리 방법과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related to construction,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in particular, a process considering an on-site condition by applying an activity card according to an industrial classification code established for a standardization process process. By constructing data such as unit capacity, etc. into a database, the company can provide reliable construction schedule data to contractors, designers, etc. by utilizing accurate process data established in the database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thereby quickly and efficient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status of the situation.

건설과 관련된 공사의 관리에 있어서, 해당 공정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나 회사 등에서는 기존의 부정확한 공정 데이터를 차용하여 공정 업무의 진행 상항을 파악하기 위한 공사 스케줄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공정 스케줄 자료는 현장 여건을 감안하지 않은 공정 데이터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부정확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공정 변수에 따라 건설 공사의 세부 일정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보고서 작성 업무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In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related construction, departments or companies in charge of the process management work are using existing inaccurate process data to present construction schedule data for identifying the progress of the process. Since these process schedule data are based on process data that do not take site conditions into consideration, they are not only inaccurate data, but are also made without establishing a systematic database.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are required.

예를 들어, 도로 공사, 터널 공사, 진입로 공사, 다목적 댐 건설 공사, 고속 도로 공사 등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현장 특성을 고려한 장비 효율 등을 반영하지 않고 일률적인 일작업량에 기초하여 공정 스케줄을 산출하는 경우에, 실질적인 작업 환경과는 맞지 않아 공정 업무의 진행 상황이 예정된 일정과 차이가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process schedu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uniform work load without reflecting the equipment efficiency considering the sit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such as road construction, tunnel construction, access road construction, multi-purpose dam construction, and highway construction. In some cases, the progress of the process is different from the scheduled schedule because it is inconsistent with the actual work environment.

예를 들어, 공종이 토사 깍기 공사인 경우에, 작업 현장의 환경에 따라 삽날의 용량, 토량, 작업 효율, 작업 싸이클 등이 다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변수의 결정에 적용되어야 하는 토사의 종류, 토사의 자연 상태나 흐트러진 상태 등에 따라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서 산출될 수 있는 해당 공종의 일작업량은 수십 내지 수백 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work is earth and sand cutting work, the blade capacity, soil volume, work efficiency, work cycle, etc. may va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work site, and the type of soil to b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such various variables, Depending on the natural or disturbed state of the earth and sand, the work load of the construction project can be calculated from tens to hundreds.

따라서, 각 건설 프로젝트별로 현장 분석에 따른 정확한 공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검색 및 적용함으로써 보고서 작성 업무에 들이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신뢰성있는 공사 스케줄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공사 관리 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accurate construction schedule data and provide timely and reliable construction schedule data by quickly and efficiently searching and applying accurate process data according to site analysis for each construction project. It is necessary.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사, 설계사 등 발주처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공정 업무의 상항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정확한 공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뢰성있는 공사 스케줄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공사 관리 방법과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database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in order to enable the contractor, such as the contractor, to quickly and efficiently grasp the status of the process 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at can provide reliable construction schedule data using accurate process data,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종별 분류 코드에 기반한 공정 업무의 표준화 체계를 수립하고, 공종별 분류 코드에 따른 액티버티 카드(activity card)와 같은 양식을 기초로 현장 여건을 감안한 단위 공량 등의 공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공사 스케줄 자료의 작성을 위하여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는 공사 관리 방법과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stablish a standardization system of the process work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ode for each type of work, process such as unit capacity in consideration of site conditions based on the form such as activity card (activity car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ode for each type of 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at can be easily searched and utilized for preparing construction schedule data by constructing a data in a database,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예를 들어, 건축 공사, 기계설비 공사, 토목공사, 플랜트공사, 전기공사, 계측제어 및 통신 공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관련된 프로젝트)에 대한 공사 스케줄을 제공하는 공사 관리 방법은,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정한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입력하는 단계; 상기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공사 스케줄과 관련된 작업표의 작성 화면에서 공종별 검색에 따른 해당 단위 공량을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단위 공량에 따라 해당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을 계산하여 상기 작업표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irst,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project (for example, building construction, mechanical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plant construction, electrical construction, A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for providing a construction schedule for a project (related to at least one of measurement control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putting data on a unit volume of each project type based on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ode; Database the data for the unit volume; Providing a corresponding unit capacity according to a search for each type of work on a creation screen of a work schedule related to a construction schedule based on the database data; And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period for the corresponding work type according to the provided unit capacity and reflecting the work schedule.

상기 반영하는 단계 후에, 공종별로 계산된 각 공사 기간을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fter the reflecting step, the method further includes providing each construction period calculated for each type of work as graphical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상기 입력하는 단계는, 각 프로젝트 마다 또는 각 공종 마다 현장 환경 변수를 결정하여 계산한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input may include inputting data on a unit volume for each type of work calculated by determining a site environment variable for each project or each work type.

상기 현장 환경 변수는, 작업 도구나 기계의 종류, 작업 대상체의 종류, 작업 효율, 작업 싸이클 타임, 및 미리 정한 상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field environment variable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a kind of work tool or machine, a kind of work object, work efficiency, work cycle time, and a predetermined constant.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는,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응시켜 단가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database may include adding unit price data in correspondence with a unit volume of each industry.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공종, 발주처, 또는 분류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검색어로 검색된 복수의 공종들에 대한 단위 공량들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공종의 해당 단위 공량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oviding step may include providing a corresponding unit dose of a work type selected by a user among unit doses for a plurality of types searched by a search word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work type, an ordering company, and a classification code.

상기 반영하는 단계는, 공종별 총물량을 단위 공량으로 나눈 일수를 공사 기간으로 계산하고, 상기 공사 기간의 계산에 작업조 또는 작업 가동율을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reflecting step may include calculating the number of days divided by the total amount of each product by the unit amount of work as a construction period, and reflecting a work tank or a work operation rate in the calcula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상기 반영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 기간의 계산에 발주처로부터 입수한 휴무일이나 기상 정보에 기초한 작업불능일을 반영하여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reflecting step includes determining a start date and a completion date by reflecting a non-working day based on a non-working day or weather information obtained from an ordering company in the calcula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상기 반영하는 단계에서, 공종별 공사 기간에 대하여 텍스트 형태로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를 표시하고, 상기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작 날짜와 상기 완료 날짜에 대응되는 막대 그래프 형태의 스케줄을 제 공할 수 있다.In the step of reflecting, displaying the start date and the completion date in text form for the construction period for each type of work, and providing the graphical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the schedule in the form of a bar graph corresponding to the start date and the completion date Can be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공사 스케줄을 제공하는 공사 관리 시스템은,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정한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부; 공사 스케줄과 관련된 작업표의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작업표 작성부; 상기 작업표의 작성 화면에서 공종별 검색에 따른 해당 단위 공량을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검색 엔진; 및 상기 제공된 단위 공량에 따라 해당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을 계산하여 상기 작업표에 반영하는 기간 계산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a construction schedule for a construction project includes a data input unit for inputting data on a unit capacity of each project type based on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ode; A database processor for databaseting the data on the unit capacity; A timesheet preparation unit for providing a screen for creating a timesheet associated with a construction schedule; A search engine for providing a corresponding unit volume according to the type-specific search on the preparation screen of the worksheet based on the database data; And a period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construction period for the corresponding type of work according to the provided unit capacity and reflects the work schedule.

본 발명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과 시스템에 따르면,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정확한 공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뢰성있는 공사 스케줄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시공사, 설계사 등 발주처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공정 업무의 상항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eliable construction schedule data by utilizing the accurate process data established in the database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fficiently process the process in the contractor, such as construction contractor, designer Can be identifi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과 시스템에 따르면, 공종별 분류 코드에 따른 액티버티 카드와 같은 양식을 기초로 현장 여건을 감안한 단위 공량 등의 공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제공함으로써, 공사 스케줄 자료의 작성 시에 용이하게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nd providing a process data such as unit capacity in consideration of the site conditions on the basis of a form such as an activity car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ode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It can be easily searched and used at the time of writing.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 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의 공정 데이터 표준화와 효율적인 공정 업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process data standardization and efficient process business processing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에서는 공정 자료를 표준화하고 공종별로 미리 정해놓은 코드를 부여하여 분류 체계를 구성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설계사, 시공사 등 발주처로부터의 각 건설 프로젝트에 맞게 신뢰성있는 공사 작업표, 즉, 스케줄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동일 공종임에도 불일치한 공정 자료를 이용하는 등 체계화되지 않고 근거없이 산재한 공정 자료를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불완전하게 해당 프로젝트의 세부 일정 계획을 수립할 때에 나타나는 설계사와 시공사 간의 공사 일정 관련 신뢰도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I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andardizing the process data and assigning a predetermined code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to form a classification system,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reliability for each construction project from the client, such as a designer, a construction company, etc. Present work schedules, that is, schedule data.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construction schedule related to the designer and the construction contractor appears when the detailed schedule planning of the project is completed by manual labor using the unstructured and unfounded process data such as using inconsistent process data even though it is the same work. Can be improv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따른 공사 관리 방법의 공사 스케줄 자료 작성의 용이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ase of creation of construction schedule data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에서는 위와 같은 표준화된 분류 체계에서 해당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게 현장 여건이 분석되어 반영된 일작업량(단위 공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활용하고, 기상 정보 등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작업할 수 없는 날들이 반영된 스케줄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종간 선후 연계성이나 시퀀스 분석 등에 따른 공정 비교안들의 도출이 용이하며 선이행되 는 시공사의 검토를 토대로 후에 설계사 확정 물량에 대한 신뢰성 있는 공사 스케줄 관련 최종 공사 작업표나 그래피컬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현장 여건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공정 자료를 토대로 공사 스케줄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하고, 기상 정보의 반영이 미흡하여 작업불능일 산출이 어려우며, 이와 같은 모든 여건들에 대하여 보고서 작성자의 주관적 의사에 따라 공정 자료의 선택이 달라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케줄 자료의 부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종래에 설계사의 확정 물량을 먼저 받은 후 공사 작업표를 작성하여 시공사의 검토에 따른 수정 작업을 해야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해야할 때에 나타나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ardized classific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by analyzing the sit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reflected and applied to the database of the work volume (unit capacity), and also the weather information database By making it possible to present a schedule that reflects the days that cannot be worked on, it is easy to derive process comparison plans according to the after-market linkage and sequence analysis between works, and based on the review of the contractor that is executed beforehand, The final construction timesheet or graphical data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chedule can be presented. Accordingly, a report on the construction schedule should be prepared based on the process data that has not been sufficiently reflected on the site in the past, and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inoperable days due to insufficient reflection of weather information, and subjective intention of the report author in all these conditions. This can improve the inaccuracy of schedule data resulting from the choice of process data. In addition, after receiving the firm's confirmed quantity in advance, the construction work sheet was prepared to reduce the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consumed when repeatedly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es that require revision work according to the review of the contractor. .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의 설계 업무 초기에 적용의 적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itability of the application early in the design work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에서는 건설 프로젝트의 설계 단계에서 위와 같은 신뢰성 있는 공사 작업표나 그래피컬한 자료 등에 대한 비교안들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시하기 위하여, 'MS-project'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설 프로젝트 관련 스케줄 작업 업무를 자동처리 할 수 있게 하여 최적화 분석이 용이하도록 하며, 작업표 작성 화면 등의 인터페이스 구성이 사용자 편의 중심으로 변형되었거나 변형이 쉬우며, 담당 업무 수행처와 발주처를 모두 만족시켜줄 수 있는 기회 분석을 중심으로 한 공사 스케줄 관련 업무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최적화 분석, 작업 시간 과다, 자원 및 진척 관리 중심의 'Nex-Pert'와 같은 프로그램 체계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었던 면들을 개선하여, 설계 초 기에 비교안별로 신속한 공정 타당성이 분석되어 시공사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such as 'MS-project' may be used to easily and quickly present comparative proposals of the reliable construction worksheet or graphical data in the design stage of a construction project. By making it possible to automatically process the schedule work tasks related to construction projects, it is easy to optimize and analyze, and the interface configuration such as the worksheet creation screen is modified or easy to be centered on user convenience. By making construction work related to the opportunity schedule focused on the opportunity analysis that can satisfy all of them, the program system such as 'Nex-Pert', which focuses on optimization analysis, excessive work time, resource and progress management, could not be responded quickly. Improved surfaces, faster process by comparison at the beginning of design The feasibility was analyzed to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contractor.

이와 같이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정확한 공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뢰성있는 공사 스케줄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의 흐름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As such, a flowchart of a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a reliable construction schedule data using accurate process data constructed in a database for a corresponding construction project is illustrated in FIG. 4. .

도 4를 참조하면, 공정 자료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먼저, 공종별 분류 코드가 미리 정해진다(S410). 분류 코드는 정부의 공사 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도 5와 같이 4단계로 나뉘어지며, 하위의 공종에 대하여 상위의 코드들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정해진다. 예를 들어, 1단계의 대공종 분류는 6분류, 즉, 건축 공사(A), 토목공사(C), 전기공사(E), 기계설비 공사(M), 플랜트공사(M), 계측제어 및 통신 공사(T)로 이루어진다. 2단계의 중공종 분류는 위의 각 대공종 분류 마다 정해진 다수의 분류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토목공사(C)의 중공종 분류로서 공통공사(CA), 지반조사(CB), 지반계량공사(CC), 토공사(CD),..기타공사(CR) 등 18가지 분류로 이루어진다. 3단계의 소공종 분류는 위의 각 중공종 분류 마다 정해진 다수의 분류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토공사(CD)의 소공종 분류로서 벌개제근(CDA), 표토제거(CDB), 구조물 철거(CDC), 흙깎기(CDD),..조경(CDK) 등 11가지 분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4단계의 단위 공종은 위의 각 소공종 분류 마다 정해진 다수의 분류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흙깎기(CDD)의 단위 공종 분류로서 육상-불도져(CDD1010), 육상-리퍼(CDD1020), 육상-발파(CDD1030) 등 필요한 수만큼의 다수 분류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standardize process data, first, a classification code for each model is predetermined (S410). The classification code is divided into four stages as shown in FIG. 5 based on the government's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is determined in such a manner as to add higher codes to lower types of works. For example, the first stage large industrial classification is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namely, building construction (A), civil engineering (C), electrical construction (E), mechanical equipment construction (M), plant construction (M), measurement control and It consists of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 (T). The classification of hollow species in the second stage consists of a number of classifications defined for each of the above-mentioned large species classifications. For example, the hollow species classification of civil engineering works (C), common construction (CA), ground investigation (CB), ground measurement It is composed of 18 categories including construction (CC), earthworks (CD), and other works (CR). The three stages of small-species classification are made up of a number of classifications defined for each of the above hollow species classifications. CDC), Dirt Mower (CDD), Landscaping (CDK) and 11 categories. In addition, the four-stage unit work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s for each of the above-mentioned small work class classification, for example, land-bulldozer (CDD1010), land-ripper (CDD1020) as a unit work classification of the soil mower (CDD) , Land-blasting (CDD1030), as many as necessary.

다음에, 이와 같이 분류된 공종별 분류 코드에 따라 작성된 도 6과 같은 양식의 액티버티 카드를 사용하여 정리된 공종별 단위 공량(일작업량)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티버티 카드는 발주처별 또는 건설 프로젝트별로 관리될 수 있고, 동일 조건의 다른 발주처나 프로젝트에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버티 카드는 'MS-Excel'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액티버티 카드에는 미리 정한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작성된 해당 공종의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Next, data on the unit capacity (work volume) for each type of work sorted using the activity card of the form shown in FIG. 6 crea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odes for each type of work thus classified may be stored and used in a database. Such activity cards can be managed by the owner or by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can be used to be equally applied to other clients or projects under the same conditions. Here, the activity card may be data created by the 'MS-Excel' program. The activity card includes data on the unit capacity of the corresponding work creat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ode.

도 6은 토목공사에서의 단위 공종이 육상-불도져(CDD1010)인 경우의 단위 공량(일작업량)이 1080m3/day라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차후 다른 프로젝트에도 활용하기 위한 참고적인 데이터로서, 산출 근거, 단가(cost), 투입인원, 투입장비, 투입자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각 프로젝트 마다 또는 각 공종 마다 현장 여건을 반영한 단위 공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현장 환경 변수로서 작업 도구나 기계의 종류, 작업 대상체의 종류, 작업 효율, 작업 싸이클 타임, 및 미리 정한 상수 등의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시간당 작업량(Q)을 바탕으로 하루 8시간 단위 공량이 산출되는 근거로서, 설계사, 시공사 등 발주처에서 현장 경험치를 바탕으로 제시하는 값에 따라, 작업 도구나 기계의 종류(예를 들어, 불도져 삽날의 용량, 운반거리계수 등), 작업 대상체의 종류(예를 들어, 육상 토사인지 수상 토사 인지 여부 등), 작업 효율(예를 들어, 자연 상태인지 흐트러진 상태인지 여부 등), 작업 싸이클 타임(예를 들어, 불도져의 기어 조합에 따른 전진 및 후진의 횟 수 등에 기초하여 분으로 환산한 시간), 및 기타 상수 등이 결정되어 고려된다. FIG. 6 includes data that a unit capacity (work volume) is 1080m 3 / day when the unit work type in civil engineering is a land-bulldozer (CDD1010). This may include reference data for calculation, cost, input personnel, input equipment, input materials, etc. as reference data for future use in other projects. In particular, in order to calculate the unit capacity reflecting the site conditions for each project or each work typ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ype of work tool or machine, the type of work object, work efficiency, work cycle time, and predetermined constants as site environment variables d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8 hours per day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work Q per hour. Type (e.g., bulldozer blade capacity, transport distance coefficient, etc.), type of work object (e.g. whether it is land or water, or soil), work efficiency (e.g., natural or disturbed) Etc.), work cycle time (e.g., time converted into minutes based on the number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ccording to the bulldozer gear combination, etc.), and other constants, etc. are determined and considered.

이와 같은 액티버티 카드 양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는 'MS-Excel' 프로그램 등에서 위와 같이 표준화된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도 7과 같이 로우(raw) 표준 일작업량 데이터로서 정리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즉, 해당 코드, 발주처, 단위 공종, 공종을 구분하기 위한 간단한 사항, 단위 공량 등의 대응 내용들(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이 액티버티 카드의 데이터로부터 추출되어 일목요연하게 컬럼 단위로 정리될 수 있다. Using the activity card form, the data on the unit capacity of each project stored in the database 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ode standardized as above in the MS-Excel program, and the like. It can be organized as data and stored in a database. That is, corresponding contents such as code, orderer, unit work type, simple matter to distinguish work type, and unit capacity (data about unit capacity for each work type) can be extracted from activity card data and arranged in column unit at a glance. have.

이와 같이 정리되어 저장된 로우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가 위와 같이 미리 정한 분류 코드를 기반으로 'MS-Acess'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S430).Based on the raw data stored in this way, the data on the unit capacity of each project of each project is inputted to an application such as 'MS-Aces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ode defined above, thereby inputting the data on the unit capacity of each project. Database can be made (S430).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는 도 8과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에서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응시켜 단가 데이터(단가, 단가 단위 등) 등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는 아래에서도 기술하는 바와 같이, 공종, 발주처, 또는 분류코드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활용된다. 이외에도 도 8의 구분, 단위 공량, 단위, 단가, 단가 단위 등으로도 검색되도록 할 수도 있다.Data on the unit dose for each work type may be databased as shown in FIG. 8. In the database, necessary data such as unit price data (unit price, unit price unit, etc.) can be ad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nit volume of each type of industry. As described below, the databased data can be added by the type of the company, the ordering company, or the classification code. Processed for easy retrieval, stored in database and utilized. In addition, it may be searched also by the division, unit capacity, unit, unit price, unit price unit of FIG.

이와 같이 미리 정한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사 스케줄과 관련된 공사 작업표의 작성을 시작할 수 있다(S440). 'MS-Project'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공사 스케줄과 관련된 공사 작업표의 작성을 위한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해당 화면에서 도 9와 같이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요구된 공종들을 대공종 분류, 중공종 분류, 소공종 분류, 단위 공종 분류까지 기입하고 단위 공종들에 대하여 단위 공량과 공사 기간을 확정한다. Based on the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ode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of the work schedul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chedule may be started based on the data on the unit capacity of each project in the database (S440). In the application, such as 'MS-Project' may be provided with a scree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ork schedul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chedule, and the screens for the engineering work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as shown in Figure 9 Fill in the sub-sector classification and unit classification, and confirm the unit volume and construction period for each unit type.

즉, 도 9와 같은 공사 작업표의 작성 화면에서 각 공종의 단위 공량을 검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각 행의 공종을 선택하고 상단의 단위 공량 검색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S450), 도 10과 같은 검색창이 지원될 수 있고, 검색창에서 사용자는 공종, 발주처, 코드 등의 전부나 일부를 입력함으로써(S451), 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공종들에 대한 단위 공량들의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S452). 이외에도 검색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공종들에 대한 단위 공량들의 리스트를 제공받기 위하여, 검색창에 도 8의 구분, 단위 공량, 단위, 단가, 단가 단위 등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검색창을 지원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in order to search for the unit capacity of each type of work on the construction screen of the construction work schedule as shown in FIG. 9, for example, when selecting the type of each row and pressing the unit volume search button at the top (S450). The same search box may be supported, and in the search box, the user may input all or a part of a model, an orderer, a code, etc. (S451), and thus, a unit for a plurality of models including the corresponding search word based on the database data. It is possible to receive a list of capabilities (S452). In addition, in order to be provided with a list of unit capacity for a plurality of models including a search word, a search box may be supported to search for the division, unit capacity, unit, unit price, and unit price unit of FIG. 8 in the search box. Do.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공종의 해당 단위 공량이, 위에서 공사 작업표의 선택된 해당 행의 공종에 대한 단위 공량으로서 제공되어 자동 기입될 수 있다(S460, S461). 이때, 도 9에서 상단의 기간 확정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위와 같이 제공되어 기입된 단위 공량에 따라 해당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이 계산되어 도 9의 공사 작업표에 반영된다. 이때 소정 그래픽 데이터에 반영되어 도 11과 같은 해당 막대 그래프 형태의 스케줄이 제공될 수 있다(S471). The corresponding unit capacity of the type of work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list may be provided as the unit amount for the type of work in the selected row of the construction work schedule above, and may be automatically filled in (S460 and S461). At this time, in the case of pressing the period determination button in the upper part in FIG. 9, the construction period for the corresponding model is calculated and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work schedule of FIG. 9 according to the unit capacity provided and fill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 schedule of a corresponding bar graph form as shown in FIG. 11 may be provided as reflected in the predetermined graphic data (S471).

이와 같이 공사 작업표의 작성 화면에서 공종별 검색에 따른 해당 단위 공량을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하고, 이와 같이 제공되는 단위 공량에 따라 해당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을 계산하여 공사 작업표에 반영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고, 이때마다 공종별로 계산된 각 공사 기간이 도 9의 공사 작업표에 텍스트 형태로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 11의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에도 해당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에 대응되는 막대 그래프 형태로도 표시될 수 있다(S450~S480).In this way, in the preparation screen of the construction work schedule, the corresponding unit capacity according to the search for each work type is provided based on the database data, and the construction period for the work type is calculated and reflected in the work schedule according to the provided unit capacity. The process may be repeated, and at this time, each construction period calculated for each work type may be displayed as a start date and a completion date in text form in the construction worksheet of FIG. 9, and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of FIG. 11 also starts. It may also be displayed in a bar graph form corresponding to the date and the completion date (S450 ~ S480).

도 9와 같이, 공사 기간은 단위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 뿐만 아니라, 상위의 공종이 있는 경우에 소공종, 중공종 또는 대공종에 대한 전체 공사 기간, 즉, 하위의 모든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을 포함하는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공사 기간은 단위 공종의 총물량을 단위 공량으로 나눈 일수를 해당 단위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으로 산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위의 모든 공사 기간을 합하여 상위의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construction period includes not only the construction period for the unit type work, but also the total construction period for the small work type, the hollow work type, or the large work type when there is a higher work type, that is, the work period for all the work types below. It may include a period of time. The construction period is the number of days of dividing the total volume of the unit type by the unit volume is calculated as the construction period for the unit type, based on this can be calculated for the construction period for the higher type of work by adding all the lower periods.

이와 같은 단위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의 계산에는, 작업조 또는 작업 가동율이 반영될 수 있다. 도 9에는, 작업조가 1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작업조가 2, 3, ..인 경우에 공사 기간은 1/2, 1/3,..등으로 단축됨을 의미하고, 또한, 도 9에는, 작업 가동율이 70%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작업 가동율이 커지면 공사 기간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공사 기산의 산출에 있어서, 발주처로부터 입수한 휴무일이나 기상 정보에 기초한 작업불능일을 반영할 수 있다. 공휴일, 임시 휴일 등 휴무일이나, 비나 눈이 오는 경우 등 작업할 수 없는 기상 상황에 따른 작업불능일 만 큼 공사 기간이 늘어나도록 하여, 현장 환경에 맞게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스케줄이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는 기상청 등과 연계하여 장래의 기상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해 놓음으로써 반영 가능하다.In the calcula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for such a unit work, the work tank or work operation rate can be reflected. In FIG. 9, the case where the work tank is 1 is illustrated, but when the work tank is 2, 3,...,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to 1/2, 1/3, .. etc., and in FIG. 9, Although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rate is 70% is illustrated, the construction period may be shortened when the operation rate is high. In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basis,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non-work days based on weather and weather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lient.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extended as long as the workday due to weather conditions such as holidays, temporary holidays, rain or snow, which can not work, so that a schedule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for the site environment can be presented. have. The information on such weather conditions can be reflected by collecting and preparing future weather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시스템(100)의 블록도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로우(raw) 데이터 DB(111), 단위 공량 DB(112), 발주 DB(113),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데이터 입력부(130), 데이터베이스 처리부(140), 작업표 작성부(150), 검색 엔진(160), 및 기간 계산부(170)를 포함한다. 공사 관리 시스템(100)는 도 4에서 설명된 전반적인 공사 스케줄 관련 업무 처리를 수행하고, 이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1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raw data DB 111, unit volume DB 112, ordering DB 113, The user interface 120, a data inputter 130, a database processor 140, a worksheet preparation unit 150, a search engine 160, and a period calculator 170 are included.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100 performs the overall construction schedule related business process described in FIG. 4, which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제어부(11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공사 관리 시스템(100)의 위와 같은 각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에 해당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위와 같이 미리 정한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 공종별 검색에 따른 해당 단위 공량을 공사 작업표에 제공하고, 제공된 단위 공량에 따라 각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을 공사 작업표 뿐만 아니라 그래픽 형태의 스케줄에도 반영하여 제공하는 일련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basically corresponds to a processor that controls input / output of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120 and performs overall control of each component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10 provides the unit work schedule according to the search for each work type to the construction worksheet according to the data on the unit capacity for each work type of the database database based on the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ode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ake charge of a series of control that reflects the construction period for each type of work not only in the construction worksheet but also in the graphic schedule.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키보드 등 자료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하고, 또한 이들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 션 까지도 모두 포함하며, 필요한 정보의 입출력 시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데 필요한 신호 변환 수단, 통신 수단 등 모든 수단들을 포함한다.The user interface 120 includes a display means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a data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also includes all of the applications for driving them, and processes them to be suitable for the user environment when inputting / outputting necessary information. It includes all means such as necessary signal conversion means and communication means.

로우 데이터 DB(111)는 도 6과 같은 양식으로 입력되는 액티버티 카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로우 데이터 DB(111)에 기초하여 도 7과 같이 정리되는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로우 데이터 DB(111)에 정리되는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는, 도 4의 설명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별로 또는 공종별로 미리 정한 현장 환경 변수, 예를 들어, 작업 도구나 기계의 종류, 작업 대상체의 종류, 작업 효율, 작업 싸이클 타임, 및 미리 정한 상수 등에 기초하여 계산된 데이터이다.The row data DB 111 may store activity cards input in the form as shown in FIG. 6, and may store data about unit quantities for each type of organization, as shown in FIG. 7, based on the row data DB 111.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4, the data on the unit volume of each project arranged in the row data DB 111 as described above may be a predetermined site environment variable, for example, a work tool or a project. Data calculated based on the type of machine, the type of work object, the work efficiency, the work cycle time, and a predetermined constant.

단위 공량 DB(112)는 도 8과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발주 DB(113)는 도 9와 같은 공사 작업표와 도 11과 같은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를 건설 프로젝트별 또는 발주처별 등으로 구분되는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The unit dose DB 112 may store databased data as shown in FIG. 8. The ordering DB 113 may store the construction work schedule as shown in FIG. 9 and the graphical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1 in the form of a file divided into construction projects or orders.

데이터 입력부(130)는 로우 데이터 DB(111)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정한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처리부(140)는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도 8과 같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단위 공량 DB(112)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처리부(140)가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경우에, 로우 데이터 DB(111)에 관리되는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 이외에도 다른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 어,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응시켜 단가 및 단가 단위를 포함하는 단가 데이터를 더 추가할 수 있다. The data input unit 130 may input data on a unit capacity of each project type of each project based on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ode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row data DB 111. According to such an input, the database processing unit 140 may database the data on the unit capacity of each project of each project as shown in FIG. 8 and store the data in the unit volume DB 112. As shown in FIG. 8, in the case where the database processing unit 140 makes a database, other data may be added in addition to the data about the unit capacity for each project type of each project managed by the row data DB 111. For example, unit price data including unit cost and unit cost unit may be added to correspond to the unit volume of each unit.

작업표 작성부(150)는 도 9와 같은 공사 스케줄과 관련된 작업표의 작성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검색 엔진(160)은 위와 같은 공사 작업표의 작성 화면에서 공종별 검색에 따른 해당 단위 공량을 단위 공량 DB(112)에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업표의 작성 화면에서 검색을 실시하는 경우에, 도 10과 같은 검색창에서, 공종, 발주처, 또는 분류코드와 관련된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 엔진(160)의 동작에 따라 해당 검색어가 포함된 공종들에 대한 단위 공량들의 리스트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작업표 작성부(150)는 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단위 공량을 제공받아 작업표의 해당 공종에 기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경우에 따라 필요하면, 도 8의 구분, 단위 공량, 단위, 단가, 단가 단위 등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검색창을 지원할 수도 있다. The worksheet preparation unit 150 may provide a screen for preparing a worksheet related to a construction schedule as shown in FIG. 9. The search engine 160 may provide the corresponding unit capacity according to the search for each type of work on the creation screen of the construction work schedule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data databased in the unit capacity DB 112. When a user searches in a work sheet creation screen, when a search word related to a work type, an ordering company, or a classification code is input in a search window as shown in FIG. 10, the user includes the search wo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arch engine 160. The list of unit doses for the types of work may be provided, and the timesheet preparation unit 150 may be provided with the unit weight selected by the user to be filled in the corresponding type of work table.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earch box may be supported to search for the division, unit capacity, unit, unit price, unit price unit, and the like of FIG. 8.

기간 계산부(170)는 위와 같이 제공된 단위 공량에 따라 해당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을 계산하여 도 9와 같이 해당 공사 작업표에 반영할 수 있으며, 도 11과 같은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에도 반영할 수 있다. 기간 계산부(170)는 공종별 총물량을 단위 공량으로 나눈 일수를 공사 기간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작업조 또는 작업 가동율을 반영하여 공사 기간을 계산할 수 도 있다. 또한, 기간 계산부(170)는,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공사 기간의 계산에 발주처로부터 입수한 휴무일이나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는 기상 정보에 기초한 작업불능일을 반영하여 공사 기간의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를 결정할 수도 있다.The period calculation unit 170 may calculate the construction period for the corresponding type according to the unit capacit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nd reflect the construction period in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work schedule as shown in FIG. 9, and may also be reflected in the graphical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1. have. The period calculation unit 170 may calculate the number of days divided by the total amount of each work unit by the unit period a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may calculate the construction period by reflecting the work tank or the operation rate of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period calculation unit 170, as described above, reflects the start date and the completion date of the construction period by reflecting the non-working days obtained from the client or the weather information managed in a predetermined database in the calcula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May be determined.

여기서, 기간 계산부(170)가 계산한 공사 기간에 따라 작업표 작성부(150)는 공종별 공사 기간에 대하여 도 9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1과 같이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에 대응되는 막대 그래프 형태의 스케줄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9의 공사 작업표와 도 11의 막대 그래프 형태의 스케줄 정보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작업표 작성부(150)는 이들이 한 화면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eriod calculated by the period calculation unit 170, the timesheet preparation unit 150 may display the start date and the completion date in text form for the construction period by type of work, as shown in FIG. Likewise, a bar graph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start date and the finish date can be display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work schedule of FIG. 9 and the schedul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ar graph of FIG. 11 are separately illustrated, but the work schedule preparing unit 150 may display them on one screen.

이와 같은 단위 공량의 제공, 공사 기간의 작업표 및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로 반영 등의 과정이 반복된 후에 완성된 해당 공사 작업표와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는, 작업표 작성부(150)에 의하여 건설 프로젝트별 또는 발주처별 등으로 구분되어 발주 DB(113)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The construction work schedule and the graphical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completed after such a process of providing such unit capacity, reflecting the work schedule of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graphical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are repeated by the worksheet preparation unit 150. It can be stored in the ordering database 113 and managed by dividing by construction project or by ordering.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능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하드 디스크, 이동형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functions used in the methods and system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hard disk, removable storage, and also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the implementation in the form of.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의 공정 데이터 표준화와 효율적인 공정 업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process data standardization and efficient process business processing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따른 공사 관리 방법의 공사 스케줄 자료 작성의 용이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ase of creation of construction schedule data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의 설계 업무 초기에 적용의 적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itability of the application early in the design work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종별 표준화된 분류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ndardized classification code for each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티버티 카드 양식의 일례이다.6 is an example of an activity card 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티버티 카드에 따라 정리된 로우(raw) 표준 일작업량 데이터의 일례이다.7 is an example of raw standard work load data arranged according to an activity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우 표준 일작업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의 일례이다.8 is an example of databased data based on row standard work load data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스케줄에 대한 작업표 작성의 일례이다.9 is an example of creating a work schedule for a construction sche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검색창의 일례이다.10 is an example of a database searc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스케줄에 대한 작업표에 연동되는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의 일례이다. 11 is an example of graphical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linked to a work schedule for a construction sche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사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a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공사 스케줄을 제공하는 공사 관리 방법에 있어서,In a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 construction schedule for a construction project,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정한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입력하는 단계;Inputting data on a unit capacity of each project of each project based on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ode; 상기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Database the data for the unit volume; 공사 스케줄과 관련된 작업표의 작성 화면에서 공종별 검색에 따른 해당 단위 공량을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a corresponding unit capacity according to a search for each type of work on a creation screen of a work schedule related to a construction schedule based on the database data; And 상기 제공된 단위 공량에 따라 해당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을 계산하여 상기 작업표에 반영하는 단계Calculating the construction period for the corresponding type of work according to the provided unit capacity and reflecting it in the workshee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영하는 단계 후에,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reflecting step, 공종별로 계산된 각 공사 기간을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graphic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period calculated for each construction typ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ting is performed. 각 프로젝트 마다 또는 각 공종 마다 현장 환경 변수를 결정하여 상기 현장 환경 변수에 기초하여 계산한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Determining site environment variables for each project or for each type of work and inputting data on the unit capacity for each type of work calculated based on the site environment variable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환경 변수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eld environment variable, 작업 도구나 기계의 종류, 작업 대상체의 종류, 작업 효율, 작업 싸이클 타임, 및 미리 정한 상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And at least one of a kind of a work tool or a machine, a kind of a work object, a work efficiency, a work cycle time, and a predetermined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atabased,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응시켜 단가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Adding unit price data in correspondence with the unit volume of each mode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viding step, 공종, 발주처, 또는 분류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검색어로 검색된 복수의 공종들에 대한 단위 공량들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공종의 해당 단위 공량을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the corresponding unit capacity of the type of work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unit quantities for the plurality of types searched by a search term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type of work, the ordering company, or the classification cod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영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lecting step, 공종별 총물량을 단위 공량으로 나눈 일수를 공사 기간으로 계산하고, 상기 공사 기간의 계산에 작업조 또는 작업 가동율을 반영하는 단계Calculating the number of days divided by the total amount of each unit by the unit period i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flecting the work tank or work operation rate in the calcula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영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lecting step, 상기 공사 기간의 계산에 발주처로부터 입수한 휴무일이나 기상 정보에 기초한 작업불능일을 반영하여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start date and a completion date by reflecting nonworking days based on non-working days or weather information obtained from an ordering company in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perio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영하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n the reflecting step, 공종별 공사 기간에 대하여 텍스트 형태로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를 표시하고, Indicate the start date and the completion date in text form for each construction period. 상기 그래피컬한 공사 스케줄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에서,In the providing of the graphical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상기 시작 날짜와 상기 완료 날짜에 대응되는 막대 그래프 형태의 스케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And a bar graph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start date and the finish d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프로젝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truction project, 건축 공사, 기계설비 공사, 토목공사, 플랜트공사, 전기공사, 계측제어 및 통신 공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방법.A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project related to at least one of construction work, mechanical work, civil work, plant work, electrical work, instrumentation control and communication work.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공사 스케줄을 제공하는 공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In a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construction schedules for construction projects, 각 프로젝트의 공종별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정한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A data input unit for inputting data on a unit capacity of each project of each project based on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ode; 상기 단위 공량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부;A database processor for databaseting the data on the unit capacity; 공사 스케줄과 관련된 작업표의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작업표 작성부;A timesheet preparation unit for providing a screen for creating a timesheet associated with a construction schedule; 상기 작업표의 작성 화면에서 공종별 검색에 따른 해당 단위 공량을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검색 엔진; 및A search engine for providing a corresponding unit volume according to the type-specific search on the preparation screen of the worksheet based on the database data; And 상기 제공된 단위 공량에 따라 해당 공종에 대한 공사 기간을 계산하여 상기 작업표에 반영하는 기간 계산부Period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period for the type of work in accordance with the provided unit capacity to reflect in the work shee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관리 시스템.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KR1020080043609A 2008-05-09 2008-05-09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KR200901175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09A KR20090117519A (en) 2008-05-09 2008-05-09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09A KR20090117519A (en) 2008-05-09 2008-05-09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519A true KR20090117519A (en) 2009-11-12

Family

ID=4160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609A KR20090117519A (en) 2008-05-09 2008-05-09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751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08B1 (en) * 2010-04-08 2010-07-0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to creation of the construction project schedule
KR101525003B1 (en) * 2013-03-27 2015-06-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Estimating system for life cycle cost in construction
KR101936121B1 (en) * 2017-12-13 2019-04-03 지에스건설주식회사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of offshore structure using wether data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a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08B1 (en) * 2010-04-08 2010-07-0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to creation of the construction project schedule
KR101525003B1 (en) * 2013-03-27 2015-06-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Estimating system for life cycle cost in construction
KR101936121B1 (en) * 2017-12-13 2019-04-03 지에스건설주식회사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of offshore structure using wether data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Taxonomy for change causes and effects in construction projects
US201402292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Navon et al. A model for automated monitoring of road construction
Shah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for generation of a time location plan in road construction projects
Burt et al. Equipment selection with heterogeneous fleets for multiple-period schedules
Cha et al. A study on 3D/BIM-based on-sit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Hajji The use of construction equipment productivity rate model for estimating fuel use and carbon dioxide (CO2) emissionsCase study: bulldozer, excavator and dump truck
KR20090117519A (en)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equate for construction design operation based on search of unit construction amou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WO2015157792A1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iziltas et al. The need for prompt schedule update by utilizing reality capture technologies: A case study
Ioannidou et al. Where does the money go? Economic flow analysis of construction projects
Mohammadi et al. A grammar-based process modeling and simulation methodology for supply chain management
Каракозова et al. Creation of a network model on the basis of a universal sequence of construction works
Petroutsatou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Fleet Management Software in the Greek Construction Industry
Lucas et al. Supply chain planning under uncertainty
Morton Planning Software for Big-picture Analyses
Pashkevich et al. Cost Engineering Software: Value Based Management of Oil and Gas Assets in All Investment Process Stages
Julea et al. Chapter Integration Betwee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Schorr et al. Using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s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Potentials and obstacles
Nascimento et al. Development of a Tool for Automatic Coverage Assessment and Simulation of Production Plans
Ngov et al. Fleet management for earthmoving operation in the phase of detail estimation using mixed integer nonlinear programming
Choi et al. Project historical information system
Federici et al. Integration Betwee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Song Productivity modeling for steel fabrication projects
Montaser Web-based integrated project control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