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589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589A
KR20090116589A KR1020080065268A KR20080065268A KR20090116589A KR 20090116589 A KR20090116589 A KR 20090116589A KR 1020080065268 A KR1020080065268 A KR 1020080065268A KR 20080065268 A KR20080065268 A KR 20080065268A KR 20090116589 A KR20090116589 A KR 2009011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p
layer
pdu
data block
r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1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1Group acknowledgement,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defining a range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35Cumulative acknowledgement,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applying to all previous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6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transport layer [OSI layer 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상위 데이터 블록(upper data block)과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에 대응하는 일련번호(Sequence Number; S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위계층으로부터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의 폐기(discard)를 지시하는 제거 요청(discard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련 번호에 해당되는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위 데이터 블록(lower data block)으로 맵핑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정의함으로써 데이터 블록의 처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방법{Method of Process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 계층), L2(제2 계층), L3(제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각 계층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위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반대로 하위계층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제2 계층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이 있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RLC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PDCP 계층은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 계층에 위치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 블록(Data Block)이 상위계층으로부터 하위계층으로 전송될 때, 동일한 데이터 블록일지라도 상위계층이 상기 데이터 블록을 지칭하는 용어와 하위계층이 상기 데이터 블록을 지칭하는 용어가 달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계층이 하위계층인 RLC 계층으로 보내는 데이터 블록을 PDCP 계층의 입장에서 PDCP PDU(Protocol Data Unit)라 하고, RLC 계층의 입장에서는 RLC SDU(Service Data Unit)라 한다. RLC SDU는 RLC 개체(entity)가 관할하는 전송버퍼(transmission buffer)에 저장된다. 이하에서 데이터 블록은 상기 PDCP PDU와 RLC SDU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상위계층이 데이터 블록을 하위계층으로 전달한 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위계층은 상기 데이터 블록을 버퍼에서 삭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위계층에 의해 상기 데이터 블록이 삭제되면, 하위계층 또한 상기 삭제되는 데이터 블록에 상응하는 데이터 블록을 자신의 버퍼에서 삭제해야 한다. 이는 소정시간이 지나도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 블록이 버퍼에 계속 상주함으로 인해 다른 데이터 블록이 전송되지 못하여 전송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이와 같은 데이터 블록의 폐기방법에 관하여 상위계층과 하위계층간에 명확한 인터페이스가 규정되지 않으면 버퍼에서 폐기되어야 할 데이터 블록이 제대로 폐기되지 않거나, 폐기되지 말아야할 데이터 블록이 폐기되는 등의 예측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시스템의 신뢰도(reli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데이터 블록이 폐기된 후 버퍼에서 남은 공간을 별도로 관리하지 않으면 버퍼의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해 고속, 고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위계층과 하위계층간의 명확한 인터페이스에 따라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을 처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계층간의 정확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여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을 효율적으로 폐기하고, 버퍼에서 데이터 블록이 폐기되고 남은 공간을 관리하는 데이터의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상위 데이터 블록(upper data block)과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에 대응하는 일련번호(Sequence Number; S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위계층으로부터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의 폐기(discard)를 지시하는 제거 요청(discard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련 번호에 해당되는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위 데이터 블록(lower data block)으로 맵핑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위계층으로부터 PDCP SDU(Service Data Unit)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PDCP SDU의 폐기 시점을 알려주는 폐기 타이머(discard timer)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PDCP SDU를 PDCP PDU에 맵핑한 후 상기 PDCP PDU 및 상기 PDCP PDU를 지시하는 일련번호(SN)를 함께 RLC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PDCP PDU의 폐기를 요청하는 폐기 요청(discard request) 메시지를 상기 RLC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정의함으로써 데이터 블록의 처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2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 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보다 상세하게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W(Serving Gateway, 3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AE 게이트웨이(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functional split)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빗금친 박스는 무선 프로토콜 계층(radio protocol layer)을 나타내고, 흰 박스는 제어 평면의 기능적 개체(functional entity)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허락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단말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와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기능, (2) IP(Internet Protocol)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3) S-GW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4)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5)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6)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MME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2) NAS 시그널링 보안(security), (3) 아이들 모드 UE 도달성(Idle mode UE Reachability), (4) 트랙킹 영역 리스트 관리(Tracking Area list management), (5) 로밍(Roaming), (6) 인증(Authentication).
S-GW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이동성 앵커링(mobiltiy anchoring), (2) 합법적 감청(lawful interception). P-GW(PDN-Gateway)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단말 IP(internet protocol) 할당(allocation), (2) 패킷 필터링.
도 3은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말(50)은 프로세서(processor, 51), 메모리(memory, 52), RF부(RF unit, 53),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5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55)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1)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이 구현되어,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각 계층들의 기능은 프로세서(51)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단말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54)는 단말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는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부(53)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radio signal)을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 계 층), L2(제2 계층), L3(제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3 계층에 위치하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함)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도 4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다. 데이터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제1 계층인 물리계층(PHY(physical) layer)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 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에는 RLC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RLC 개체(entity)가 존재한다. 기지국에서 특정 RLC 개체가 설정되면, 단말에서도 상기 특정 RLC 개체에 대응되는 하나의 RLC 개체가 설정된다. RLC 개체는 상위계층으로부터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거나, 상위계층으로 데이터 블록을 전달한다. RLC 개체는 데이터의 전송방법에 따라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AM RLC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블록의 전송 실패시 재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은 다음의 3가지 서비스를 MAC 계층으로부터 제공받는다. 첫째, RLC 계층은 MAC 계층으로부터 데이터 블록을 전달받는다. 둘째, RLC 계층은 특정 전송 시점(transmission opportunity)에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의 전체 데이터 크기(total data size)와, 상기 특정 전송 시점을 MAC 계층으로부터 통보(noticiation)받는다. 셋째, RLC 계층은 MAC 계층으로부터 HARQ 전송 실패에 관한 통보를 받는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RRC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 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단말의 RRC와 네트워크의 RRC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 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아이들 모드(RRC 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DCP 계층은 PDCP 계층의 상위계층(upper layer)으로부터 데이터 블록을 전달받는다(S100). 상기 데이터 블록은 PDCP SDU라 할 수 있으며, PDCP 데이터 PDU가 된다. 상기 데이터 블록을 전달받는 PDCP 계층은 상기 데이터 블록에 대한 폐기 타이머(discard_timer)를 구동한다(S200). 폐기 타이머는 특정 데이터 블록을 폐기하는 시점을 제공한다. 즉, PDCP 계층은 특정 데이터 블록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구동되어 만료되기까지 소정시간동안만 상기 특정 데이터 블록을 보관하고,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특정 데이터 블록을 버퍼(buffer)로부터 폐기한다. 이하에서 PDCP 계층의 기능 중에서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무결성 검사(integrity check) 및 암호화(ciphering) 과정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PDCP 계층은 하위계층인 RLC 계층과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데이터 블록을 처리한다(S300). PDCP 계층과 RLC 계층이 상기 데이터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는 다 음의 여러가지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 예로서, PDCP 계층이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데이터 블록(PDCP SDU)에 상응하는 데이터 블록(PDCP PDU)을 RLC 계층으로 전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이다. 다른 예로서, RLC 계층이 PDCP 계층으로부터 데이터 블록(RLC SDU)을 전달받은 후,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데이터 블록(RLC SDU)을 새로운 데이터 블록(RLC PDU)에 맵핑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이다. 각 경우에 따라 데이터 블록이 처리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PDCP 계층과 RLC 계층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PDCP 계층의 상위계층으로부터 PDCP SDU 1 및 2를 전달받고, 상기 PDCP SDU 1 및 2에 관하여 각각 폐기 타이머가 구동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PDCP 계층은 PDCP SDU 1에 상응하는 PDCP PDU 1 및 상기 PDCP PDU 1의 일련번호(Sequence Number; SN) 1을 생성하여 RLC 계층으로 전달한다(S301). 이하에서 PDCP PDU N의 일련번호를 N이라 한다. 일련번호는 PDCP PDU를 식별케하는 식별자로서, 프리미티브(primitive)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프리미티브 메시지는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이 서로 인식할 수 있는 메시지이다. 일 예로서, RLC 계층이 AM(Acknowledge Mode)인 경우, 프리미티브 메시지는 RLC-AM-DATA_Req로서 RLC 계층에 RLC SDU의 전송을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PDCP PDU 1은 PDCP 데이터 PDU 또는 PDCP 제어 PDU 일 수 있다. 만약 PDCP PDU 1이 PDCP 제어 PDU 인 경우, PDCP 계층은 RLC 계층에 PDCP PDU 1이 PDCP 제어 PDU 임을 별도로 알려 줄 수도 있다.
RLC 계층은 상기 PDCP PDU 1에 따른 RLC SDU 1과 상기 일련번호 1을 함께 전송버퍼(transmission buffer; tx buffer)에 저장한다(S302).
PDCP 계층은 PDCP SDU 2에 상응하는 PDCP PDU 2 및 상기 PDCP PDU 2의 일련번호 2를 생성하여 RLC 계층으로 전달한다(S303). RLC 계층은 상기 PDCP PDU 2에 따른 RLC SDU 2와 상기 일련번호 2를 함께 전송버퍼에 저장한다(S304). 이때 이전에 구동되었던 PDCP SDU 1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된다고 가정한다(S305). PDCP SDU 1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었으므로 PDCP 계층은 PDCP SDU 1 및 PDCP PDU 1을 버퍼에서 폐기한다(S306).
한편, PDCP 계층이 상기 PDCP SDU 1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PDCP PDU 1을 RLC 계층으로 전달하였으므로, PDCP 계층은 RLC 계층으로 폐기 명령(discard_request) 메시지를 전달한다(S307). 폐기 요청 메시지는 AM 모드의 RLC 계층에 적용되는 프리미티브 메시지로서, 폐기될 대상 데이터 블록인 PDCP PDU 1에 관한 일련번호 1을 포함한다. 만약 상기 PDCP SDU 1에 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PDCP PDU 1이 RLC 계층으로 전달되지 않으면, RLC 계층은 아무런 데이터 블록을 받지 못하였으므로, PDCP 계층이 굳이 RLC 계층으로 폐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PDCP 계층은 데이터 블록 뿐만 아니라 일련번호를 RLC 계층으로 전달하고, 폐기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폐기되어야 할 데이터 블록에 관한 일련번호도 RLC 계층으로 알려주면, PDCP 계층과 RLC 계층간의 데이터 블록의 처리에 관한 인터페이스가 명확해 질 수 있다.
폐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은 RLC 계층은 PDCP PDU 1을 처리하게 되는데, RLC 계층이 폐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데이터 블록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도면 8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폐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은 RLC 계층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RLC 계층은 PDCP 계층으로부터 폐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다(S401). 폐기 요청 메시지는 일련번호를 포함하는데, 이 일련번호는 RLC 계층의 전송버퍼(Tx buffer)에서 폐기되어야 할 데이터 블록을 가리킨다. RLC 계층은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RLC SDU를 찾아서 전송버퍼에서 폐기할 수 있다.
RLC 계층은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RLC SDU가 RLC PDU로 맵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2). 만약 RLC SDU가 RLC PDU로 아직 맵핑되지 않았으면 RLC 계층은 상기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RLC SDU를 전송버퍼에서 폐기한다(S403). 만약 RLC SDU가 RLC PDU로 맵핑되었으면 RLC 계층은 상기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RLC SDU를 폐기하지 않고 과정을 만료한다. 왜냐하면 일단 RLC SDU가 RLC PDU로 맵핑되면 그 하위계층인 MAC 계층으로 RLC PDU가 전달되어 무선 채널상으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련번호는 폐기 요청 메시지에 의해 폐기될 데이터 블록을 명확히 지시하기 때문에, 상위계층과 하위계층간에 데이터 블록과 함께 일련번호를 주고받음으로써 폐기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블록을 정확히 폐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RLC 계층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블 록도이다. 이하에서 특정 PDCP PDU에 관한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PDCP PDU가 RLC PDU에 맵핑되지 않는다(즉,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RLC 계층은 RLC PDU를 폐기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RLC 계층은 PDCP PDU를 저장하는 전송버퍼(Transmission Buffer; Tx buffer)를 하나만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을 처리한다. 여기서, PDCP PDU는 PDCP 데이터 PDU 인지, PDCP 제어 PDU 인지 구분하지 않는다. PDCP 계층으로부터 PDCP PDU 1(일련번호 1)을 전달받으면, RLC 계층은 PDCP PDU 1과 이에 대응되는 일련번호를 전송버퍼에 함께 저장한다. 또한 RLC 계층은 이후로부터 전달되는 PDCP PDU 2(일련번호 2), 및 PDCP PDU 3(일련번호 3)을 순차적으로 전송버퍼에 저장한다. 이후, 폐기 타이머의 만료에 의해 PDCP 계층으로부터 폐기 요청 메시지(일련번호 1)를 전달받으면, 일련번호 1에 해당하는 PDCP PDU 1을 전송버퍼로부터 폐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RLC 계층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RLC 계층은 PDCP PDU를 저장하는 전송버퍼를 하나만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을 처리한다. PDCP 데이터 PDU와 PDCP 제어 PDU는 하나의 전송버퍼에 저장된다. PDCP 계층으로부터 PDCP 데이터 PDU 1(일련번호 1)을 전달받으면, RLC 계층은 PDCP 데이터 PDU 1과 일련번호 1을 전송버퍼에 함께 저장한다. RLC 계층은 이후로부터 전달되는 PDCP 제어 PDU 및 PDCP 데이터 PDU 2(일련번호 2)를 순차적으로 전송버퍼에 저장한다. PDCP 계층은 PDCP 제어 PDU를 RLC 계층으로 전달할 때에 PDCP 제어 PDU임을 별도로 알려주며, PDCP 제어 PDU에 대해 일련번호가 별도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PDCP 계층으로부터 폐기 요청 메시지(일련번호 1)를 전달받으면, 일련번호 1에 해당하는 PDCP 데이터 PDU 1과 PDCP 제어 PDU를 함께 전송버퍼로부터 폐기한다. 즉, PDCP 제어 PDU가 전송버퍼상에서 PDCP 데이터 PDU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 PDCP 데이터 PDU의 폐기시 PDCP 제어 PDU를 함께 폐기한다.
PDCP 제어 PDU는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피드백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PDCP 제어 PDU가 연속해서 폐기될 경우 ROHC 컨텍스트(context)가 리셋(reset)될 수 있다. 그러나, PDCP 데이터 PDU의 폐기시 PDCP 제어 PDU를 함께 폐기하면, RLC 계층의 전송버퍼의 데이터 처리방법이 보다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RLC 계층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RLC 계층은 2개의 전송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을 처리한다. 제1 전송버퍼(Tx Buffer 1)는 PDCP 데이터 PDU를 저장하고, 제2 전송버퍼(Tx Buffer 2)는 PDCP 제어 PDU를 저장한다. 이후에 PDCP 계층으로부터 PDCP 데이터 PDU의 폐기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면 해당하는 PDCP 데이터 PDU를 제1 전송버퍼에서 폐기한다. 이와 같이 PDCP 데이터 PDU와 PDCP 제어 PDU를 서로 다른 전송버퍼에 저장하고, PDCP 데이터 PDU를 일련번호에 따라 폐기하면 전송버퍼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데이터 블록의 처리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RLC 계층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 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RLC 계층은 1개의 전송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을 처리한다. RLC 계층은 PDCP 데이터 PDU 1(일련번호 1), PDCP 제어 PDU, PDCP 데이터 PDU 2(일련번호 2) 및 PDCP 데이터 PDU 3(일련번호 3)을 순차적으로 전송버퍼에 저장한다. 이후에 PDCP 계층으로부터 PDCP 데이터 PDU 1 및 2의 폐기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면 해당하는 PDCP 데이터 PDU를 전송버퍼에서 폐기한다.
RLC 계층이 PDCP 데이터 PDU 2를 폐기한 결과, 전송버퍼의 PDCP 제어 PDU와 PDCP 데이터 PDU 3 사이에는 빈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빈 공간은 전송버퍼의 효율적인 관리를 저해하므로, RLC 계층은 PDCP 제어 PDU를 상기 빈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PDCU 제어 PDU를 전송버퍼내에서 이동시키면, RLC 계층은 데이터 블록의 처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 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functional split)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PDCP 계층과 RLC 계층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폐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은 RLC 계층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RLC 계층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RLC 계층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RLC 계층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RLC 계층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Claims (11)

  1.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위계층으로부터 상위 데이터 블록(upper data block)과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에 대응하는 일련번호(Sequence Number; S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위계층으로부터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의 폐기(discard)를 지시하는 제거 요청(discard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련 번호에 해당되는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위 데이터 블록(lower data block)으로 맵핑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요청 메시지는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이 인식할 수 있는 프리미티브(primitive) 메시지인,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과 상기 일련번호를 전송버퍼(transmission buffer)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이고,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은 PDCP PDU(Protocol Data Unit)이며, 상기 하위 데이터 블록은 RLC SDU(Service Data Unit)인,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버퍼는 RLC 계층의 버퍼인,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데이터 블록은 PDCP 데이터 PDU 및 PDCP 제어 PDU 중 어느 하나인,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버퍼는 2개이고, 하나의 전송버퍼는 PDCP 데이터 PDU만을, 다른 하나의 전송버퍼는 PDCP 제어 PDU만을 저장하는,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8.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위계층으로부터 PDCP SDU(Service Data Unit)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PDCP SDU의 폐기 시점을 알려주는 폐기 타이머(discard timer)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PDCP SDU를 PDCP PDU에 맵핑한 후 상기 PDCP PDU 및 상기 PDCP PDU를 지시하는 일련번호(SN)를 함께 RLC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PDCP PDU의 폐기를 요청하는 폐기 요청(discard request) 메시지를 상기 RLC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PDCP SDU 및 상기 PDCP PDU를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PDCP PDU의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RLC 계층이 인식할 수 있는 프리미티브(primitive) 메시지인, 데이터 블록의 처리방법.
KR1020080065268A 2008-05-06 2008-07-0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방법 KR20090116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98508P 2008-05-06 2008-05-06
US61/050,985 2008-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589A true KR20090116589A (ko) 2009-11-11

Family

ID=4283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268A KR20090116589A (ko) 2008-05-06 2008-07-0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5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56537A1 (en) Methods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536071T3 (es) Procedimiento para mover una ventana de recepción en una red de acceso de radio
CN102056226B (zh) Pdcp状态报告的获取方法和pdcp实体
KR10097226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관리 방법
JP5281700B2 (ja) 無線装置とネットワーク間のデータユニットのシーケンスの送信のための無線通信方法
KR101387475B1 (ko) 복수의 네트워크 엔터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JP5355788B2 (ja) 中継ノードとのハンドオーバ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488015B1 (ko) 핸드오버 수행방법 및 데이터 생성방법
KR1015918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폴링 과정 수행 방법
KR101458641B1 (ko) Mbms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KR10156300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 해제 방법 및 수신기
US8391151B2 (en) Inter-network-nodes flow control
EP2086272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DCP status report thereof
KR20090084756A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상태보고 전송 방법
US11240703B2 (en) Communications devices,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1621832A (zh) 向上层传送pdcp数据单元的方法
KR20100069125A (ko) 통신 시스템 및 그의 rrc 접속 방법
KR101451431B1 (ko) 핸드오버 동안 데이터 블록 관리 방법
CN107027136B (zh) 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
KR101407186B1 (ko) 무선연결의 설정방법
KR20100008232A (ko) 무선연결 설정방법
KR2009011658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방법
KR20090116588A (ko) 데이터 블록의 전송 방법
KR1015140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rq 수행 방법
US20240014939A1 (en) Radio Link Control Cumulative Mode for New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