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359A -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359A
KR20090116359A KR1020080042250A KR20080042250A KR20090116359A KR 20090116359 A KR20090116359 A KR 20090116359A KR 1020080042250 A KR1020080042250 A KR 1020080042250A KR 20080042250 A KR20080042250 A KR 20080042250A KR 20090116359 A KR20090116359 A KR 20090116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mage group
user
imag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359A/ko
Publication of KR2009011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이동통신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MP3 플레이어 등 디지털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각종 디지털 영영 기기에 사용되어, 사용자가 디지털 앨범을 보면서 들을 배경음악을 앨범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다양하게 지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지털 앨범을 감상할 때는 해당 앨범에 지정되어 있는 배경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영상 기기를 통해 디지털 앨범을 보는 사용자의 앨범 감상 효과를 높일 수 있어 디지털 영상 기기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영상 기기, 앨범, 사운드, 슬라이드 쇼, 배경음악, 폴더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Effect Processing of Image Display Device }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각종 디지털 영상 기기에 사용되어 사용자가 각 디지털 앨범마다 그 내용에 따라 배경음악을 구분 지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디지털 앨범을 감상할 때는 그에 대응하여 지정된 배경음악을 재생함으로써 맞춤형 배경음악이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디지털 텔레비전, 셋톱 박스, 이동통신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영상 기기들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디지털 영상 기기는 방송 수신이나 이동 전화 등 그 고유의 목적에 적합하게 제작되지만,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읽기/쓰기가 가능한 비휘발성의 디지털 데이터 저장매체를 내장하고 있으며, USB 포트 등을 통해 외부 저장매체와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기기는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기기를 그 고유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시켜 놓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여러 관련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자면, 저장매체에 다양한 이미지를 저장해 놓고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여 볼 수 있도록 해준다. 디지털 영상 기기에 저장된 각 이미지는 개별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고 출력될 수 있지만, 디지털 앨범의 형태처럼 일괄적으로 관리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디지털 영상 기기는 사용자가 디지털 앨범을 실행할 때 배경음악을 재생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음악을 들으면서 앨범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영상 기기는 고정적인 배경음악만을 들려주고 있으며, 사용자가 배경음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도 설정된 배경음악은 그 내용에 관계없이 모든 디지털 앨범에 공통 적용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디지털 앨범의 내용과 관계없이 항상 고정된 배경음악만을 출력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자면, 사용자는 이미지나 사진을 풍경, 생일, 육아, 여행 등 각 테마별로 분류하여 각각 디지털 앨범을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어떠한 테마의 디지털 앨범이 실행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배경음악이 출력되므로 앨범 감상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영상 기기가 디지털 앨범 등의 이미지 그룹별로 각각 구분하여 사운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기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을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그룹 지정부;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그룹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사운드 파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운드 지정부; 상기 이미지 그룹 지정부와 상기 사운드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이미지 그룹과 사운드 파일의 대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부; 특정 이미지 그룹에 속한 각 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영상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보여주는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현재 처리하는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해당 이미지 그룹에 속한 각 이미지를 일정한 순서에 따라 또는 무작위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순차 출력하는 슬라이드 쇼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그룹은 앨범 단위 또는 폴더 단위로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그룹 지정부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을 검색하여 그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그룹을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지정부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을 검색하여 그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목록 중에서 사운드 파일을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지정부는 복수의 사운드 파일 또는 사운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생부는 상기 복수의 사운드 파일을 일정 순서에 따라 또는 무작위적으로 순차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방법은, 디지털 영상 기기가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기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별로 사운드 파일을 지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배경음악 지정 단계;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영상 기기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이미지 그룹에 대하여 슬라이드 쇼를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영상 기기가 상기 지시된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면서 해당 이미지 그룹에 대한 슬라이드 쇼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사운드 파일을 지정할 때는 복수의 사운드 파일 또는 사운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경음악 지정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의 목록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해 설정할 수 있는 기능 항목들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운드 효과 설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 목록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운드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운드 파일이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으로 기록해 놓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 생성시켜 놓은 여러 종류의 디지털 앨범마다 구분하여 배경음악을 지정해 놓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사운드 파일을 디지털 영상 기기의 저장매체에 자유롭게 저장해 놓을 수 있으므로 배경음악으로 사용할 사운드의 선택 범위에 제한이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과 앨범의 내용에 맞는 배경음악을 들으면서 디지털 앨범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다양한 앨범 감상 효과를 스스로 창출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디지털 영상 기기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디지털 영상 기기(10)는 디지털 텔레비전, 셋톱박스, 이동통신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C),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 디지털 영상 기기(10)는 방송 수신, 녹화, 이동 전화 서비스, 음악 파일의 재생 등 그 고유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영상 기기(1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원격제어기(리모콘), 터치 스크린 등 그 종류에 따라 적합한 입력수단(11)을 구비하고,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읽기/쓰기가 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12)를 포함하고 있으며,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기기(10)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14)과 청각적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피커(13)를 구비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화면(14)과 스피커(13)는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로서, 셋톱 박스와 같은 디지털 영상 기기는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14)과 스피커(13)에 연결된다.
특히 디지털 영상 기기(1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이미지 그룹'이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이미지 집합을 의미하며, 한 묶음 단위로 관리된다.
이러한 이미지 그룹은 앨범이나 폴더 단위로 관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테마별로 생성한 각 디지털 앨범에 속한 이미지들은 앨범 단위로 관리되는 이미지 그룹으로 볼 수 있고, 각 폴더에 속한 이미지들은 폴더 단위로 관리되는 이미지 그룹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테마별 디지털 앨범은 폴더별로 관리될 수 있지만, 반드시 폴더로 관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여러 디지털 앨범의 이미지가 하나의 폴더에 혼재해 있더라도 어느 이미지가 어느 디지털 앨범에 속한 것임을 특정할 수 있다면 반드시 폴더로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효과 처리장치(20)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지 그룹 지정부(21)는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기기의 저장매체(12)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을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그룹 지정부(2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14)을 통해 안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미지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그룹 지정부(21)는 저장매체(12)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을 검색하여 그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14)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14)에 표시된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번에 하나의 이미지 그룹을 지정할 때는 방향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이미지 그룹으로 이동한 후 확인 키를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한번에 둘 이상의 이미지 그룹을 지정할 때는 각 이미지 그룹 항목 주위에 체크 박스를 나타내고 지정하려는 이미지 그룹의 체크박스에 체크하는 방법 등을 통해 일괄 지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운드 지정부(22)는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 지정부(21)에 의해 지정한 이미지 그룹에 대하여 저장매체(12)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사운드 파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사운드 지정부(2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14)을 통해 안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운드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지정부(22)는 저장매체(1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을 검색하여 그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14)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14)에 표시된 목록 중에서 사운드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관리부(23)는 이미지 그룹 지정부(21)와 사운드 지정부(22)에 의해 지정된 이미지 그룹과 사운드 파일의 대응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즉,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 A에 대응하여 사운드 파일 C를 지정하였다면, 관리부(23)는 이미지 그룹 A와 사운드 파일 C가 대응된 것으로 관리한다.
도 2에 도시된 예로서 설명하자면, 저장매체(12)에 풍경사진 앨범(또는 폴더), 생일사진 앨범(또는 폴더), 여행 앨범(또는 폴더)이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각 앨범(또는 폴더)에 대응하여 각각 사운드 파일 #1, 사운드 파일 #2, 사운드 파일 #3을 지정하였다면, 데이터베이스(23-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어떤 사운드 파일이 지정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응용 프로그램(24)은 특정 이미지 그룹에 속한 각 이미지를 디지털 영상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14)을 통해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응용 프로그램(24)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실행된다.
응용 프로그램(24)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정 이미지 그룹에 속한 각 이미지를 어떠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14)을 통해 보여줄 것인지에 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응용 프로그램(24)의 일 예로는 해당 이미지 그룹에 속한 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화면(14)에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출력해주는 슬라이드 쇼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이때, 해당 이미지 그룹에 속한 각 이미지는 일정 순서에 따라 또는 무작위적으로 순차 출력될 수 있고 다양한 효과를 줄 수도 있다.
재생부(25)는 응용 프로그램(24)이 현재 처리하는 이미지 그룹에 대해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정보에 따라 해당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재생되는 사운드 신호는 스피커(13)로 출력된다.
위에서 든 예로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 A에 관하여 슬라이드 쇼를 실행시키면 사운드 파일 C가 재생되어 이미지 그룹 A에 관한 슬라이드 쇼가 진행되는 동안 배경음악으로 출력된다.
한편, 사운드 지정부(22)는 사용자가 어느 이미지 그룹에 대하여 복수의 사운드 파일을 지정해 놓거나, 사운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를 지정해 놓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어느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운드 파일이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재생부(25)는 해당 이미지 그룹에 대해 슬라이드 쇼를 진행하면서 각 사운드 파일을 일정 순서에 따라 또는 무작위적으로 순차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 A에 대하여 특정 폴더 S를 지정하였고 폴더 S에는 사운드 파일 C와 사운드 파일 D가 저장되어 있다면, 이미지 그룹 A에 대한 슬라이드 쇼가 진행되는 동안 사운드 파일 C와 사운드 파일 D가 순차적으로 재생되어 배경음악으로 출력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영상 기기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별로 사운드 파일을 지정해 놓을 수 있도록 처리한다(S31).
단계 S31이 이루어진 후 어느 시점에 사용자는 디지털 영상 기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이미지 그룹에 대해 슬라이드 쇼를 실행할 것을 지시한다(S32).
그러면, 디지털 영상 기기는 단계 S31을 통해 해당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면서 해당 이미지 그룹에 대한 슬라이드 쇼를 실행한다(S33). 즉, 슬라이드 쇼가 실행되는 동안 해당 이미지 그룹에 대해 지정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의 사운드가 배경음악으로서 출력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단계 S31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미지 그룹과 사운드 파일을 폴더 단위로 지정하는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기기에 이미지 폴더 목록을 표시할 것을 지시하면(S41-1), 디지털 영상 기기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폴더의 목록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함으로써(S41-2),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 폴더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41-3). 여기서 이미지 폴더란 이미지 그룹 단위로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폴더이다.
이제 디지털 영상 기기는 단계 S41-3에서 선택된 이미지 폴더에 대해 설정할 수 있는 여러 기능 항목들을 표시한 팝-업 메뉴를 표시하여(S42-1), 사용자가 사운드 효과 설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42-2).
여기서, 기능 항목들이란 디지털 영상 기기가 해당 폴더에 대해 서비스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을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효과 설정 이외에도 여러 기능을 해당 폴더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단계 S42-1과 S42-2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자면, 사용자가 현재 선택한 이미지 폴더(DSC0001)에 대하여 해당 이미지 폴더의 내용 보기 기능(View), 각 이미지 폴더를 모두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Mark All), 해당 이미지 폴더 삭제 기능(Delete), 본 발명에 따라 사운드 효과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Select BGM: BackGround Music), 창 닫기 기능(Close) 등 여러 기능 항목으로 이루어진 팝-업 메뉴(51)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50)에 출력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Select BGM' 항목을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운드 효과를 설정하고자 한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단계 S42-2에서 사용자가 'Select BGM' 항목을 선택하면, 디지털 영상 기기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 목록을 표시하여(S43-1), 사용자가 어느 사운드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43-2).
도 6을 참조하여 단계 S43-1과 S43-2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자면, 디지털 영상 기기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각 사운드 폴더 목록을 생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의 폴더 선택 창(61)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운드 폴더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는 폴더 선택 창(61)에 사운드 폴더 'My Music1', 'My Music2', 'My Music3'이라는 사운드 폴더 목록이 나타나 있고, 사용자는 방향 키와 확인 키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사운드 폴더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계 S43-2를 통해 사운드 폴더를 선택하면, 디지털 영상 기기는 해당 폴더 내에 사운드 파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4-1).
단계 S44-1에서의 확인 결과 사운드 파일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으면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해주고 다시 단계 S43-1로 되돌아가 사운드 폴더를 다시 선택하도록 하며, 확인 결과 사운드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S41-3에서 선택된 이미지 폴더와 단계 S43-2에서 선택된 사운드 폴더가 대응 관계에 있음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는다(S44-2).
도 7을 참조하여, 도 3의 단계 S32와 S33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기기에 이미지 폴더 목록을 표시할 것을 지시하면(S71-1), 디지털 영상 기기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폴더의 목록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S71-2).
사용자는 단계 S71-2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목록 중 특정 이미지 폴더를 선택하여 해당 이미지 폴더에 대해 슬라이드 쇼를 실행할 것을 지시하고(S71-3), 또한 이 슬라이드 쇼에 배경음악 효과를 적용할 것을 지시한다(S71-4).
디지털 영상 기기는 해당 이미지 폴더에 특정 사운드 폴더가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확인한다(S71-5).
단계 S71-5에서의 확인 결과 사운드 폴더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배경음악이 지정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슬라이드 쇼를 실행하지 않는다(S71-6).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디폴트 배경음악으로 처리하거나 배경음악이 없는 상태로 슬라이드 쇼를 실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단계 S71-5에서의 확인 결과 해당 이미지 폴더에 특정 사운드 폴더가 지정되어 있으면 디지털 영상 기기는 그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면서 해당 이미지 그룹에 대한 슬라이드 쇼를 실행한다(S33).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
도 2는 이미지 그룹과 사운드 파일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
도 4는 단계 S31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5와 도 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예,
도 7은 단계 S32와 단계 S33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지털 영상 기기 11: 입력 수단
12: 저장매체 13: 스피커
14: 디스플레이 화면 20: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21: 이미지 그룹 지정부 22: 사운드 지정부
23: 관리부 23-1: 데이터베이스
24: 응용 프로그램 25: 재생부

Claims (10)

  1.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기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을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그룹 지정부;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그룹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사운드 파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운드 지정부;
    상기 이미지 그룹 지정부와 상기 사운드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이미지 그룹과 사운드 파일의 대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부;
    특정 이미지 그룹에 속한 각 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영상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보여주는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현재 처리하는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해당 이미지 그룹에 속한 각 이미지를 일정한 순서에 따라 또는 무작위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순차 출력하는 슬라이드 쇼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그룹은 앨범 단위 또는 폴더 단위로 관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그룹 지정부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을 검색하여 그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그룹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지정부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을 검색하여 그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목록 중에서 사운드 파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지정부는 복수의 사운드 파일 또는 사운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복수의 사운드 파일을 일정 순서에 따라 또는 무작위적으로 순차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7. 디지털 영상 기기가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기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별로 사운드 파일을 지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배경음악 지정 단계;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영상 기기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이미지 그룹에 대하여 슬라이드 쇼를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영상 기기가 상기 지시된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을 재생하면서 해당 이미지 그룹에 대한 슬라이드 쇼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그룹은 앨범 단위 또는 폴더 단위로 관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음악 지정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그룹의 목록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해 설정할 수 있는 기능 항목들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운드 효과 설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 목록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운드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운드 파일이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응하여 지정된 것으로 기록해 놓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운드 파일을 지정할 때는 복수의 사운드 파일 또는 사운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방법.
KR1020080042250A 2008-05-07 2008-05-07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16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50A KR20090116359A (ko) 2008-05-07 2008-05-07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50A KR20090116359A (ko) 2008-05-07 2008-05-07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359A true KR20090116359A (ko) 2009-11-11

Family

ID=4160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250A KR20090116359A (ko) 2008-05-07 2008-05-07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3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2318B2 (en) Smart random media object playback
US20090077491A1 (en)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using user's mo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US8700635B2 (en) Electronic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data control method, and content data processing system
JP2010205394A (ja) 音源再生装置及び音源選択再生方法
US200602482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llection in a media player
US20120117042A1 (en) Combining song and music video playback using playlists
JP2011130279A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KR20100132705A (ko) 컨텐츠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20080154953A1 (en) Data display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200732983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再生装置、再生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55690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휴대형 재생 장치 및 컴퓨터
KR20100029348A (ko) 프라이버시 기능의 파일 뷰어 장치 및 방법
JP2017157915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120054672A (ko)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idal Podcasting: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KR20090116359A (ko) 디지털 영상 기기에서의 사운드 효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1290785A (zh) 通过使用按键管理播放列表的方法
JP2010039744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59585B1 (ko)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KR100932778B1 (ko)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JP2009020941A (ja) オーディオデータ処理端末機器
KR100689417B1 (ko) 복수의 파일 연결 재생장치 및 방법
JP6752111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20150242046A1 (en) Reproduc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production system
JP5336401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