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220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220A
KR20090116220A KR1020080042026A KR20080042026A KR20090116220A KR 20090116220 A KR20090116220 A KR 20090116220A KR 1020080042026 A KR1020080042026 A KR 1020080042026A KR 20080042026 A KR20080042026 A KR 20080042026A KR 20090116220 A KR20090116220 A KR 2009011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information
pdcch
subs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규
정경인
리에샤우트 게르트 잔 반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220A/ko
Publication of KR2009011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1Frame classification, e.g. bad, good or er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광대역 OFDMA 방식으로 진화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종래에 비해 동시에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는 여러 하향링크 제어채널 중 자신에게 전송된 것을 찾기 위해 가능한 후보군(candidate group)에서 블라인드 복호(blind decoding)를 시도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인 블라인드 복호 관리를 위해서 기지국이 최대 두 개의 공통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연결 상태의 단말기는 수신이 긴급한 하나의 공통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제안한다. 연결 상태의 단말기는 하나의 공통 제어 정보만을 수신할 것이므로 공통 제어 정보의 할당 정보를 하나만 수신하여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한다. 반면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두 개의 공통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스케줄링의 제약을 피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은 공용 검색 공간에 제1 부집합과 제2 부집합을 정의한다. 그리고 단말기가 수신을 기대하는 공통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기지국은 이를 위한 PDCCH를 제1 부집합에 배치하거나 제2 부집합에 배치한다. 단말기는 수신을 기대하는 공통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1 부집합에서 PDCCH를 수신하거나 제2 부집합에서 PDCCH 수신하기 위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한다.
Figure P1020080042026
PDCCH, 블라인드 복호, 블라인드 복호 관리, 공통 탐색 공간.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BLIND DECOD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데이터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3GPP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그리고 IEEE의 802.16 등 다양한 이동통신 표준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HSDPA, HSUPA, HRPD 등의 현존하는 3세대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시스템은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적응 변조 및 부호(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 이하, AMC) 방법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 등의 기술을 이용한다.
상기 AMC 방법을 활용하면 송신기는 채널 상태에 따라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AMC 방법을 활용하면 채널 상태가 좋지 않으면 전송 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서 수신 오류 확률을 원하는 수준에 맞추고, 채널 상태가 좋으면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늘려서 수신 오류 확률은 원하는 수준에 맞추면서도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 감응 스케줄링 자원관리 방법을 활용하면 송신기는 여러 사용자 중에서 채널 상태가 우수한 사용자를 선택적으로 서비스하기 때문에 한 사용자에게 채널을 할당하고 서비스해주는 것에 비해 시스템 용량이 증가한다. 상기 용량 증가를 일반적으로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Multi-user Diversity) 이득이라 한다. 예컨대 상기 ACM 방법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은 수신기로부터 부분적인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아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시점에 적절한 변조 및 부호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최근 2세대와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다중접속 방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차세대 시스템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으로 바꾸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3GPP와 3GPP2는 OFDMA를 사용하는 진화 시스템에 관한 표준화를 진행하기 시작하였다. CDMA 방식에 비해 OFDMA 방식에서 용량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OFDMA 방식에서 용량 증대를 낳는 여러 가지 원인 중의 하나가 주파수 축 상에서의 스케줄링(Frequency Domain Scheduling)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채널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성에 따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을 통해 용량 이득을 얻었듯이 채널이 주파수에 따라 다른 특성을 활용하면 더 많은 용량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상기 ACM 방법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면 기지국은 주파수, 시간, 전력 등의 주어진 무선 자원을 사용자의 채널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할당한다. 이러한 적응적 할당 상태는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이하, PDCCH)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는 PDCCH 수신을 통해 어느 무선 자원이 자신에게 할당되었는가를 인지하게 된다.
PDCCH는 다음의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1)개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정보(이하, 전용 DL 제어정보): 하향링크 자원할당은 사용자가 보고한 채널 상태와 기지국이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정보량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루어지며, PDCCH를 통해 어느 사용자에게 어느 자원이 할당되어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으며 변조 및 부호 방식과 같은 전송 방식은 무엇인가를 알린다. 사용자 단말은 PDCCH 정보를 토대로 자신에게 하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할당되었다면 어떻게 할당된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는지를 인지하게 된다. 단말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 이하, C-RNTI)는 단말기가 자신에게 전송되는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각 사용자에게 하나씩 부여된다. 일반적으로 특정 C-RNTI에 따른 CRC가 DL 제어 정보에 삽입되기 때문에, 단말기가 성공적으로 DL 제어 정보를 복원하였다면 해당 제어 정보는 해당 단말기를 위한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
2)개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이하, 전용 UL 제어정보) : 기지국은 사용자가 전송한 사운딩 신호(sounding signal)를 수신하여 UL 채 널 상태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전송한 단말의 버퍼 상태(buffer status) 보고를 토대로 데이터의 정보량을 인지한다. 상향링크 자원할당은 UL 채널 상태와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정보량을 토대로 적응적으로 이루어지며, PDCCH를 통해 어느 사용자에게 어느 자원이 할당되었으며 어떤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할당된 자원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가를 알린다. 사용자 단말은 PDCCH의 정보를 토대로 자신에게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할당되었다면 어떤 전송 방식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인지하게 된다. 전용 UL 제어정보는 전용 DL 제어정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 C-RNTI를 사용한다.
3)하향링크 공통 제어 ( Common Control : 이하, CC ) 정보 전송 정보 (이하, CC 제어정보): CC 제어정보는 개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어정보가 아니라 모든 사용자 혹은 미지의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어정보인 CC 정보의 자원할당 정보이다. 공통 제어 정보로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 이하, SI), 페이징(paging) 정보, 단말이 전송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에 대한 응답 정보(Random access Response : 이하, RR), 그리고 시스템 정보 변경 알림 정보(System information Change : 이하, SC) 등이 있다. 여기서 SC는 별도의 제어 정보를 두지 않고 페이징 정보를 사용하여 알릴 수도 있다. 즉 페이징 정보에 SC임을 알리는 정보를 삽입합으로써 SC의 발생을 알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통 제어 정보로는 SI, 페이징, RR만이 고려된다. 한편, 서로 다른 종류의 공통 제어 정보를 구분하기 위해서 채널 식별자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 이하, RNTI)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하는데, SC- RNTI, P-RNTI, RR-RNTI, SC-RNTI 등의 식별자가 정의된다. SC-RNTI는 SI 식별용, P-RNTI는 페이징 정보 식별용, RR-RNTI는 RR 식별용, SC-RNTI는 SC 식별용이다.
4)사용자 그룹에 전송하는 전력제어 정보( Transmit Power Control : 이하, TPC ): 사용자 별 전력제어 정보는 전용 제어정보를 통해 전송되지만, 전용 제어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경우에도 전력제어가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그룹에 전송하는 전력제어 정보가 지원된다. TPC용 PDCCH에 포함된 정보는 TPC 채널 그룹 식별자(TPC-RNTI)와 그룹 내의 사용자별 TPC 정보이다. 복수의 사용자 TPC를 전송하기 위해 TPC PDCCH는 비트맵 형식으로 TPC 정보를 표현한다. TPC 정보가 1 비트로 정의되었다면 TPC PDCCH의 비트열을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그룹 내 사용자를 위한 TPC 정보이다.
전용 DL 제어정보 전송용 PDCCH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가)단말 식별자 (C-RNTI)
나)하향링크 자원 블록(Down Link Resource Block : 이하, DL RB) 할당 정보: 단말기가 성공적으로 DL 제어 정보를 복원하였다면 DL RB 정보를 통해 어느 자원 블록으로 자신의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인지하게 된다.
다)전송 포맷(Transport Format : 이하, TF): TF는 전송하는 신호의 변조 및 부호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AMC를 적용하고 있다면 단말기는 TF를 알고 있어야 복조 및 복호 과정을 수행 할 수 있다.
라)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 이하, HARQ) 관련 정보: HARQ는 전송 패킷을 수신기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송신기 에 전송하여 만약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송신기가 다른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을 실패하였다면 송신기가 이전 패킷을 재전송하는 동작이다. HARQ 관련 정보란 전송 신호가 초기 전송인지 재전송인지와 같은 HARQ와 관련된 정보와 HARQ process 번호 등을 뜻하는 것으로 이를 토대로 단말기는 이전 수신 패킷과 결합하여 복호할 것인지 새로 복호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마)그 외에 다중안테나 전송을 위한 추가 정보, 전력제어를 위한 추가 정보, 분산 전송 (distributed transmission) 여부를 나타내는 추가 정보 등이 DCI에 포함될 수 있다.
전용 UL 제어정보 전송용 PDCCH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가)단말 식별자(C-RNTI):
나)상향링크 자원 블록(Up Link Resource Block : 이하, UL RB) 할당 정보: 단말기가 성공적으로 제어 정보를 복원하였다면 UL RB 정보를 통해 어느 자원 블록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지를 인지하게 된다.
다)전송 포맷(Transport Format : 이하, TF): 단말기는 적용할 TF를 알고 있어야 기지국이 요청한 복조 및 복호 방식대로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라)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 이하, HARQ) 관련 정보
마)그 외에 상향링크 공간 다중 접속(Space Domain Multiple Access)을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기준 신호 (reference signal) 추가 정보, 분산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추가 정보, 채널 상태 정보 보고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추가 정보 등이 DCI에 포함될 수 있다.
CC 제어정보용 PDCCH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가)채널 식별자(RNTI)
나)하향링크 자원 블록(Down Link Resource Block : 이하, DL RB) 할당 정보: 단말기가 성공적으로 공통 제어 정보를 복원하였다면, DL RB 정보를 통해 어느 자원 블록으로 원하는 정보가 전송되는지 인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느 단말기가 SI-RNTI를 이용하여 공통 제어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이 제어 정보가 포함하는 DL RB 정보는 시스템 정보(SI)가 전송되는지를 지시하게 된다. 시스템 정보 변경 알림 정보(SC)는 시스템 정보가 변경 되었으므로 SI를 수신하라고 알리는 것일 뿐이므로 추가적으로 하향링크 공용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 이하, DL-SCH)로 전달되는 정보는 없다. 따라서 어느 단말기가 SC-RNTI를 이용하여 공통 제어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DL RB 정보는 아무 의미를 갖지 않는다.
다)전송 포맷(Transport Format : 이하, TF): TF는 전송하는 신호의 변조 및 부호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AMC를 적용하고 있다면 단말기는 TF를 알고 있어야 복조 및 복호 과정을 수행 할 수 있다. 특정 사용자의 채널에 적합하게 AMC하는 것이라면, 채널 상태가 매우 좋은 사용자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므로 TF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변조 및 부호 방식의 범위가 넓어야 한다. 그러나 셀 내의 모든 사용자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공통 제어 정보에는 매우 넓은 범위의 TF를 적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공통 제어 정보의 자원 할당을 위한 PDCCH의 TF는 사용자 별 하향링크 자원할당을 위한 PDCCH의 TF에 비해 적은 bit를 사용 한다.
라)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 이하, HARQ) 관련 정보
TPC용 PDCCH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가)채널 식별자(RNTI): RNTI로는 TPC 그룹의 TPC-RNTI가 적용된다.
나)TPC 비트맵: TPC 정보가 1 비트로 정의되었다면 TPC PDCCH의 비트열을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그룹 내 사용자를 위한 TPC 정보이다. TPC 정보가 2비트로 정의되었다면 TPC PDCCH의 비트열을 구성하는 매 2비트들은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그룹 내 사용자를 위한 2비트 TPC 정보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이 광대역 OFDMA 방식으로 진화하면서 할당의 대상이 되는 자원의 양이 증가하였지만 사용하는 할당의 단위가 되는 자원의 양은 그와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비해 동시에 전송되는 PDCCH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단말기는 여러 하향링크 제어채널 중 자신에게 전송된 것을 찾기 위해 가능한 후보군(candidate group)에서 블라인드 복호(blind decoding)를 시도해야 한다. 여기서 블라인드 복호란 기지국은 제어채널 후보군 내에 정의된 제어채널 후보 중 하나를 이용하여 PDCCH를 전송 할 수 있는데, 단말기가 어떠한 제어채널 후보로 제어채널 정보가 전송될 것인지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이 수신하는 것을 뜻한다.
PDCCH에 사용되는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과 스케줄러의 자유도를 위해서는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를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러나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 수가 늘어날수록 단말 수신기의 복잡도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하게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블라인드 복호는 두 가지 종류의 모호성에서 발생한다. 첫째는 자원의 모호성이다. PDCCH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 중에 어느 자원으로 특정 사용자가 수신해야 하는 PDCCH가 전송될 것인가를 단말 수신기가 모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모호성이다. 개별 사용자별로 PDCCH용 자원을 제한함으로써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를 줄일 수 있다. 둘째는 정보량의 모호성이다. CRC는 RNTI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단말 수신기는 CRC 체크를 통해 자신이 받아야 하는 PDCCH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RNTI를 가정하여 CRC 체크를 하는 것은 복호 자체를 새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블라인드 복호의 수가 늘어난다고 간주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용 DL 제어정보와 TPC 제어정보가 동일한 bit수로 정의되었지만 서로 다른 RNTI인 C-RNTI와 TPC-RNTI를 사용하여 구분된다고 가정하면, 수신 PDCCH가 전용 DL 제어정보용인지 TPC 제어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CRC 체크만하면 되고 복호를 서로 다르게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동일한 자원에 전송되더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비트 수를 가지고 정의된 PDCCH간에는 블라인드 복호가 적용된다.
PDCCH의 정보량은 동일한 용도의 제어정보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비트 수를 가질 수도 있고 사른 용도의 제어정보라 하더라도 같은 비트 수를 가질 수도 있다. PDCCH는 포함하는 정보에 따라 아래 <표 1>과 같은 PDCCH 포맷이 지원된다.
Format 용도 정보량
Format 0 전용 UL 제어정보 전송용 Format 1A, 3, 3A와 동일
Format 1 전용 DL 제어정보 전송용 동일한 정보량의 format 없음
Format 1A RB 할당정보가 압축된 전용 DL 제어정보 전송용 Format 0, 3, 3A와 동일
Format 1B Precoding 정보를 포함하고 RB 할당정보가 압축된 전용 DL 제어정보 전송용 동일한 정보량의 format 없음
Format 1C CC 제어정보 전송용 동일한 정보량의 format 없음
Format 2 MIMO 정보를 포함한 전용 DL 제어정보 전송용 동일한 정보량의 format 없음
Format 3 2bit TPC 제어정보 전송용 Format 0, 1A, 3A와 동일
Format 3A 1bit TPC 제어정보 전송용 Format 0, 1A, 3와 동일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Format 0, 1A, 3, 3A는 동일한 정보량을 가지므로 이들 포맷 사이에는 블라인드 복호가 필요하지 않다.
LTE 시스템에서 PDCCH 자원의 모호성은 CCE(Control Channel Element) 모음에서 발생한다. CCE란 PDCCH를 구성하는 논리 자원의 단위를 뜻한다. 연속된 CCE L개 모아서 하나의 PDCCH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데, 여기서 L은 모음 수준(aggregation level)을 나타내는 값으로, 1, 2, 4, 8을 포함한다. 모음수준이 높다는 것은 더 많은 자원을 이용하여 PDCCH를 구성한다는 것으로 주로 채널상태가 열악한 사용자에게 제어정보를 전달하여야 할 때 사용된다. 일 예로, 동일한 CCE 8개가 주어져 있는 경우, L=1에 대해 PDCCH는 총 8개를 만들 수 있다. 다른 예로, LTE에서는 PDCCH 구성에 나무 구조(tree structure)를 적용하고 있어서, 8개의 CCE로는 L=2에 대해서는 총 4개의, L=4에 대해서는 총 2개의, L=8에 대해서는 총 1개의 PDCCH를 만들 수 있다. 즉 8개의 CCE가 주어져 있을 경우, PDCCH를 구성하는 자원의 경우의 수는 총 15개가 된다.
블라인드 복호 제한을 위한 규칙이 없다면, 8개의 CCE에 대해 자원 관점에서 단말 수신기는 15개의 후보가 복호 대상이 된다. 만약 서로 다른 정보량을 갖는 PDCCH가 2가지가 지원된다면 정보량 관점에서 모호성이 2배 증가하기 때문에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횟수는 30가지가 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8개보다 많은 CCE가 주어지기 때문에 블라인드 복호 시도 수를 줄이기 위한 규칙이 마련되어 한다.
블라인드 복호 시도 수를 줄이기 위해 LTE에서 정의하는 규칙은 검색공간(search space)를 정의하는 것이다. 개별 단말 수신기는 검색 공간에 정의된 후보만을 복호 시도하게 함으로써 최대 복호 시도 회수를 조정한다. 검색공간은 전용 검색공간(Dedicated Search space : 이하, DSP)과 공용 검색공간(Common Search space : 이하, CSP)로 분류된다. DSP는 전용 DL 제어정보 또는 전용 UL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PDCCH의 후보를 포함한다. DSP는 사용자 별로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므로 C-RNTI를 인자로 하는 해쉬(hash) 함수에 의해 규정된다. CSP는 주로 CC 제어정보 또는 TPC를 전송할 수 있는 PDCCH의 후보를 포함하지만, TCP용 PDCCH와 동일한 비트(bit) 수로 정의된 포맷(format) 0를 이용한 전용 UL 제어정보와 format 1A를 이용한 전용 DL 제어정보는 CSP에서도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용 검색공간 정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총 NCCE개의 CCE(100~119)가 주어진 상황에서 전용 검색공간(Dedicated Search space : 이하, DSP) 정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DSP 정의의 일 예에서는 모음수준 1과 8(L=1, 8)은 편의상 도시하지 않고, 모음수준 2와 4 (L=2, 4)만을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용 검색공간내의 후보(DSP PDCCH Candidate : 이하, DPC)는 사용자의 C-RNTI를 사용하는 해쉬 함수에 의해 결정된다. DPCL[k]는 전용 검색공간 내의 모음수준 L에서 k번째 후보를 지칭한다. 해쉬 함수는 모음 수준 별로 서로 다른 출력을 제공하는 데, 그 출력은 해당 모음수준에서의 첫 번째 PDCCH의 첫 번째 CCE를 지적한다.
CCE 모음은 나무 구조를 따라야 하기 때문에 모음 수준 L은 항상 CCE 번호가 L의 배수인 CCE부터 모음수준별 후보가 정의된다. 모음수준별로 서로 다른 개수의 후보가 정의되는데 모음수준이 1인 후보는 6가지, 모음수준이 2인 후보는 6가지, 모음수준이 4인 부호는 2가지, 모음수준이 8인 후보는 2가지가 주어진다. 모음수준별 후보의 수는 상위 시그널링으로 바꿀 수 있다.
도 1의 DSP 정의의 일 예에서 해쉬 함수의 출력은 모음수준 2에 대해서 6이고 모음 수준 4에 대해서는 4이다. 모음수준 2에서는 CCE #6(106)부터 후보가 정의되고 모음수준 4에서는 CCE #4(104)부터 후보가 정의된다. 모음수준 2에서는 6개의 후보가 정의되어야 하므로, CCE #6(106)과 CCE #7(107)로 구성된 DPC2[0](130)가 첫번째 후보가 되고, 이어서 CCE #8(108)과 CCE #9(109)로 구성된 DPC2[1](131)가 두번째 후보가 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CCE #16(116)과 CCE #17(117)로 구성된 DPC2[5]까지 총 6개의 후보가 정의된다.
모음수준 4에서는 2개의 후보가 정의되어야 하므로, CCE #4(104). CCE#5(105), CCE #6(106), CCE #7(107)로 구성된 DPC4[0](140)가 첫번째 후보가 되고, 이어서 CCE #8(108), CCE #9(109), CCE #10(110), CCE #11(111)로 구성된 DPC4[1](141)가 두번째 후보가 된다.
이와 같이 해쉬 함수에 의해 각 모음 수준별 시작점을 구하면 후보를 모두 정의할 수 있다. 모음수준 별로 {6, 6, 2, 2}개의 후보가 정의되므로 자원의 모음 관점에서 후보는 16가지이다. 각 DPC에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은 format 0/1A, 1, 1B, 2 등이지만 그 중 format 0/1A, 1 또는 format 0/1A, 1B 또는 format 0/1A, 2 등의 조합으로 제한되며 허용된 포멧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다. Format 0과 1A간에는 블라인드 복호 대상이 아니므로 자원 후보당 2가지 블라인드 복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용 검색공간에서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는 32가지로 제한된다.
도 2는 일반적인 공용 검색공간의 정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SP(200)는 CCE #0(100)부터 CCE #15(115)까지 총 16개의 CCE로 구성된다. 공용 검색공간내의 후보(CSP PDCCH Candidate : 이하, CPC)는 모음수준 1과 2(L=1, 2)에서는 정의되지 않고 모음수준 4와 8(L=4, 8)에서만이 정의된다. 그리고 CSP 내에 특정 CPC로 구성된 부집합을 CC 제어정보 송신용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CSP 내의 모든 CPC는 TPC PDCCH 전송 또는 전용 자원할당용 PDCCH 전송에 사용할 수 있지만 부집합 내의 CPC만 CC 제어정보용 PDCCH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CC 제어정보를 위한 부집합은 도 2에서 CPC4[0](210)과 CPC8[0](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CSP(200)는 채널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셀 경계의 사용자도 수신해야 하는 CC 제어 정보나 TPC용 PDCCH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낮은 모음수준은 배제한 것이다. CPCL[k]는 공용 검색공간 내의 모음수준 L에서 k번째 후보를 지칭한다.
모음수준 4에서는 CCE #0(100)~ CCE #3(103)으로 구성된 CPC4[0](210), CCE #4(104)~ CCE #7(107)으로 구성된 CPC4[1](211), CCE #8(108)~ CCE #11(111)으로 구성된 CPC4[2](212), CCE #12(112)~ CCE #15(115)으로 구성된 CPC4[3](213) 등 4가지 후보가 정의된다. 그리고 모음수준 2에서는 CCE #0(100)~ CCE #7(107)으로 구성된 CPC8[0](220), CCE #8(108)~ CCE #15(115)으로 구성된 CPC8[1](221)등 2가지 후보가 정의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CSP(200)에서는 자원 모음 관점에서 후보는 6가지이다. TPC PDCCH는 상기 6가지 후보 모두로 전송될 수 있다. TPC PDCCH는 format 3 또는 3A를 사용하는데 format 0와 1A가 같은 정보량을 가지기 때문에 format 0와 1A가 전용 자원할당 제어 정보를 위한 포맷이더라도 CSP(200)의 6가지 후보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추가적인 블라인드 복호는 발생하지 않는다.
CSP(200)에서는 CC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format 1C를 허용해야 한다. 그런데 모든 후보에 이를 허용하면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가 6 증가하게 된다. 즉 CSP(200)에서만 12가지 블라인드 복호를 허용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 CSP(200)에서만 12가지 블라인드 복호를 허용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ormat 1C를 이용한 CC 제어정보는 제한된 후보에서만 전송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제약을 적용한다. CPC4[0](210)와 CPC8[0](220)만이 format 1C를 이용한 CC 제어정보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후보로 정의하면 추가적인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사는 2가 되어 CSP에서만 8가지 블라인드 복호를 허용하게 된다.
연결 상태가 아닌(아이들(idle) 상태의) 단말은 전용 자원할당을 위한 PDCCH를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CC 제어정보 수신을 위해 모든 후보에 대한 블라인드 복호 시도를 수행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이들 상태의 단말은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CPC4[0](210)와 CPC8[0](220)만을 이용하는 제약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이미 DSP에서의 블라인드 복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CSP에서만 12가지 블라이드 복호를 허용하더라도 총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는 12이기 때문이다. 즉, 연결 상태 (connect 상태) 단말에게만 CPC4[0] (210)와 CPC8[0] (220)만이 format 1C를 이용한 CC 제어정보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후보가 되도록 정의하는 제약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은 DSP에서 32가지 블라인드 복호를 허용하고 CSP에서 8가지 블라인드 복호를 허용하여, 하나의 단말이 PDCCH 수신을 위한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를 총 40가지로 제한을 둔 것이다. CC 제어정보는 모음수준 4의 첫번째 후보인 CPC4[0](210) 또는 모음수준 8의 첫번째 후보인 CPC8[0](220)으로만 전송될 수 있도록 제약을 가함으로써 CC 제어정보 수신을 위한 추가적인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를 2로 제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설정은 스케줄링의 기본 시간 단위가 되는 매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최대 하나의 CC 제어정보만을 송신하게 된다는 가정에서 유효하다. 상기 가정에서 CC 제어정보는 SI 전송용, 페이징 전송용, RR 전송용, SC 전송용이 있다. 페이징 전송이나 SC 전송은 사전에 약속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페이징이나 SC가 발생하지 않으면 약속된 서브프레임에서도 이러한 페이징 전송용 또는 SC 전송용 CC 제어정보는 전송되지 않는다. 페이징 전송이나 SC 전송은 정해진 시간 내에만 수신되면 되며 그 시간 내에 충분히 많은 서브프레임을 사전에 페이징 전송이나 SC 전송용으로 설정해 두기 때문에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지 못하거나 수신되지 못하더라도 다음 기회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으므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RR 전송은 어떤 단말이 약속된 시간에 RACH를 전송하면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RACH를 전송한 단말은 사전에 약속된 일정 시간동안 RR이 전송될 것을 기대하고 수신을 준비한다. 따라서 급한 CC를 우선 전송하고 RR 전송은 주어진 시간 내에서만 송수신이 되도록 하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SI 전송은 가용한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되면 된다.
수신 단말기 입장에서는 서브프레임 별 CC 제어정보의 전송을 하나 이하로 가정하는 데 문제가 없다. RR을 기다리는 단말은 RR 제어정보를 수신을 시도하고, 페이징이나 SC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이 되면 다른 CC를 기다리는 상태가 아니라면 페이징이나 SC 수신을 시도한다. 이렇게 수신 단말기 입장에서는 한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CC 제어정보를 수신하여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송신 기지국 입장에서는 서브프레임 별 CC 제어정보의 전송을 하나 이하로 가정하면 스케줄링의 제약이 발생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CC 전송을 미루다가 전송이 허용된 시점에 마지막에 다다라서 다른 CC를 반드시 전송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기지국은 어쩔 수 없이 둘 중 하나의 CC 전송을 포기해야 한다. 따라서 비록 단말은 최대 하나의 CC만을 수신하도록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에 제한을 두더라도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CC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최대 두 개의 CC를 송신하면 단말은 어떻게 원하는 CC 제어정보 하나를 수신할 것인가에 대한 규칙을 정의하여 효율적인 블라인트 복호를 관리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최대 두 개의 CC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연결 상태의 단말기는 수신이 긴급한 하나의 CC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정보,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전력제어 정보 등을 알려주기 위해 전송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단말기가 수신할 때 복호 시도 횟수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는, 공통 제어 정보의 자원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상기 공용 제어 정보에 따라 공용 검색공간 내 제1 부집합 및 제2 부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전송된 PDCCH를 상기 단말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부집합 및 상기 제2 부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 블라인드 복호하는 상기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방법은, 공통 제어 정보의 자원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상기 공용 제어 정보에 따라 공용 검색공간 내 제1 부집합 및 제2 부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PDCCH를 상기 단말의 연결 상태에 따 라 상기 제1 부집합 및 상기 제2 부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 블라인드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블라인트 복호 관리에 따라 연결 상태의 단말기는 하나의 CC만을 수신할 것이므로 CC 제어정보를 하나만 수신하여 블라인드 복호 시도 회수가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두 개의 CC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스케줄링의 제약을 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주된 요지는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정보,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전력제어 정보 등을 알려주기 위해 전송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단말기가 수신할 때 복호 시도 횟수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블라인드 복호 관리 를 하는 것이다.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용 검색공간의 부집합 정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SP에는 두 개의 부집합이 정의된다. 제1 부집합(300)은 CPC4[0](310)과 CPC8[0](320)으로 구성되고 제2 부집합(302)은 제1 부집합(300)과는 격리된 CPC4[2](312)과 CPC8[1](321)로 구성된다. 제2 부집합(302)은 제1 부집 합(300)과 격리되는 특성만 유지하면 되므로 다른 CPC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집합(302)을 CPC4[1](311)과 CPC8[1](321)로 구성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제1 부집합(300)과 제2 부집합(302)에서 각각 하나의 CPC를 선택하여 두 개의 CC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연결 상태의 단말은 단말의 상태에 따라서 두 부집합(300, 302) 중 하나에서만 CC 제어정보를 수신 가능하다. 예를 들어 RACH를 전송한 단말은 주어진 시간 동안 RR을 기다리게 되는데, 이 기간 동안에는 RR이 전송될 수 있는 부집합에서 CC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단말의 상태에 따라서 단말이 CC 제어정보 수신을 위한 동작이 다르게 정의되기 때문에 기지국은 두 개의 CC 제어정보를 전송할 때 단말의 동작을 감안하여 적절한 부집합에 CC 제어정보를 할당해야 한다.
CC 제어정보가 송신될 수 있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i)SI 단독 전송
(ii)SC 단독 전송
(iii)RR 단독 전송
(iv)SI와 SC의 동시 전송
(v)SI와 RR의 동시 전송
(vi)SC와 RR의 동시 전송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 상태의 단말은 페이징을 수신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SC 제어정보를 별도로 정의하지 않고 페이징을 이용하여 시스 템 정보 변경을 알려주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결 상태의 단말도 페이징을 수신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SC를 페이징으로 대체하면 상기의 6가지 상황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SI, SC, RR이 단독으로 전송될 경우에는 종래 기술과 같이 제1 부집합(300)으로 CC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제약을 도입하여도 무방한다.
SI와 SC가 동시 전송 될 경우에는 SI 제어정보를 제1 부집합(300)에, SC 제어정보를 제2 부집합(302)에 할당한다. 이렇게 되면 단말 별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SC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따라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SC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은 제2 부집합(302)에서 SC 제어정보를 블라인드 복호 시도한다. 그렇지 않은 단말은 SI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제1 부집합(302)에서 블라인드 복호 시도한다.
SI와 RR이 동시 전송될 경우에는 SI 제어정보를 제1 부집합(300)에, RR 제어정보을 제2 부집합(302)에 할당한다. 이렇게 되면 RACH를 전송하고 일정 기간 동안 RR을 기다리는 단말은 제2 부집합(302)에서 RR 제어정보를 블라인드 복호 시도한다. 그렇지 않은 단말은 SI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제1 부집합(300)에서 블라인드 복호 시도한다.
SC와 RR이 동시 전송될 경우에는 SC 제어정보를 제1 부집합(300)에, RR 제어정보을 제2 부집합(302)에 할당한다. 이렇게 되면 RACH를 전송하고 일정 기간 동안 RR을 기다리는 단말은 제2 부집합(302)에서 RR 제어정보를 블라인드 복호 시도한다. 그리고 SC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은 제2 부집합(302)에서 SC 제어정보를 블라 인드 복호 시도한다.
아래 <표 2>는 CC 제어정보 송신 상황에 따른 연결 상태의 단말을 위한 CC 제어정보의 부집합 할당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황 제1 부집합 제2 부집합
SI 단독 전송 SI 제어정보 사용 안 함
SC 단독 전송 SC 제어정보 사용 안 함
RR 단독 전송 사용 안 함 RR 제어정보
SI와 SC 동시 전송 SI 제어정보 SC 제어정보
SI와 RR 동시 전송 SI 제어정보 RR 제어정보
SC와 RR 동시 전송 SC 제어정보 RR 제어정보
상기 <표 2>에서 CC 제어정보 송신 상황에 따른 연결 상태의 단말을 위한 CC 제어정보의 부집합 할당의 제1 실시 예에서 RR을 수신하는 단말은 항상 제2 부집합(302)에서 RR 제어정보를 블라인드 복호 시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를 위한 PDCCH 배치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 단계에서 기지국은 이번 서브프레임에 SI 제어정보를 송신하는가를 판단하여, SI 제어정보를 송신한다면 402 단계에서 SI 제어정보를 제1 부집합에 할당하고, SI 제어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면 404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4 단계에서 기지국은 RR 제어정보가 전송되는가를 판단하여 RR 제어정보가 전동되어야 하는 경우 406 단계로 진행하고, RR 제어 정보가 전송되어야 하지 않은 경우 41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6 단계에서 기지국은 해당 RR 제어정보가 연결 상태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인 경우 408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RR 제어정보를 제2 부집합에 할당한다. 반면에, 상기 406 단계에서 기지국은 해당 RR 제어 정보가 연결 상태 단말에게 전송되지 않는 경우, 즉,아이들 상태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경우 41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0 단계에서 기지국은 SC 제어정보가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SC 제어정보가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41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12 단계에서 해당 SC 제어정보가 연결 상태 단말에게 전송되는 경우 414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해당 SC 제어정보가 연결 상태 단말에게 전송되지 않은 경우 즉, 아이들 상태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경우 420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410 단계에서 기지국은 SC 제어정보가 전송되어야 하지 않은 경우 다시 400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414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부집합이 다른 CC 제어정보에 의해 선점되었는지 판단하여, 제1 부집합이 다른 CC 제어정보에 의해 선점되지 않았다면 즉, 사용 가능하다면 418 단계에서 SC 제어 정보를 제1 부집합에 할당하고, 제1 부집합이 다른 CC 제어정보에 의해 선점되었다면 416 단계로 진행하여 SC 제어정보를 제2 부집합에 할당한다.
상기 420 단계에서 기지국은 공용 검색공간 내에서 아직 할당하지 못한 모든 CC 제어정보(가용 후보에 해당 CC 제어정보)를 PDCCH에 배치한다.
그리고 422 단계에서 기지국은 공용 검색공간 내 가용 후보에 TPC PDCCH를 배치한다. 424 단계에서 기지국은 사용자 별 전용 검색공간 중 가용한 후보에 전용 자원할당용 PDCCH 배치하고 전용 검색공간에 가용 후보가 없다면 공용 검색 공간 중 가용 후보에 배치한다.
도 5는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를 위해 CC 제어정보를 위한 PDCCH 복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0 단계에서 단말이 연결 상태확인하여, 연결 상태 인경우 502 단계로 진행하고, 연결 상태가 아닌 경우 즉 아이들 상태인 경우 508 단계로 진행한다.아이들 상태의 단말은 전용 검색공간에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공용 검색공간에서 블라인드 복호에 제약을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508 단계에서 단말은 공용 검색공간에서 모든 가능한 CC 제어정보의 복호를 시도한다.
반면, 연결 상태 단말이라면 502 단계에서 단말이 RR을 수신할 상태인지 판단한다. 상기 RR을 수신할 상태라는 것은 RACH를 전송한 단말이 일정 기간 동안 RR의 수신을 대기하게 되는 상태에 있는 것을 뜻한다.
상기 502 단계에서 단말이 RR을 수신할 상태라면 504 단계로 진행하여 제2 부집합에서 RR제어정보의 복호를 시도하며, RR을 수신할 상태가 아니라면 506 단계로 진행하여 제1 부집합에서 CC 제어정보 복호를 시도한다. 상기 제1 부집합에는 SI 제어정보나 SC 제어정보가 전송되었을 수 있다. 그리고 51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수신한 CC 제어정보를 토대로 CC 즉 SI, 페이징, RR, SC 등을 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복호 관리를 위한 기지국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스케줄러(scheduler)(600)는 어느 사용자에게 PDCCH를 전송하여 하향링크 자원이나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사용자 별로 우선 순위를 매기고, 어떤 공통 제어(CC) 정보를 전송할 것인가를 판단한다. CC는 연결 상태 단말들을 위해서 한 서브프레임에 동시에 최대 두 개까지 전송될 수 있도록 허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줄러(600)는 어느 CC를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제어기(Controller)(602)는 스케줄러(600)의 결정에 따라 다른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602)의 판단에 따라서 스케줄러(600)의 결정은 갱신될 수도 있다. PDCCH 해쉬 함수기(PDCCH Hash function)(604)는 전용 검색공간을 정의하기 위한 모음수준별 시작 CCE 번호를 출력하여 제어기(602)에 전달하고, 제어기(602)는 상기 전달된 값을 토대로 전용 검색공간을 모음수준 별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기(602)는 상기 PDCCH 해쉬 함수기(604)의 인자인 가용 CCE의 개수, 가용 PDCCH 후보의 개수, C-RNTI, 시간 변수 등을 전달한다. 스케줄러(600)의 결정은 제어기(602)를 통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로 변환된다. DCI에 따라 상기 <표 1>에 나타낸 PDCCH 포맷이 결정된다.
DCI 신호 생성기(Signal generator)(606)는 제어기(602)로부터 DCI를 받아 DCI 신호를 생성한다. 연결 상태 단말에게 전송되는 CC 제어정보 용 DCI 신호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규칙에 따라 제어기(602)에 의해 공용 검색공간의 제1 또는 제2 부집합에서 선택된 PDCCH에 실려 전송된다. 아이들 상태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CC 제어정보 용 DCI 신호나 TPC용 DCI 신호는 공용 검색공간 내 가용 자원에서 선택된 PDCCH에 실려 전송된다. 한편 전용 자원할당용 DCI 신호는 PDCCH 해쉬 함수기(604)에서 결정된 전용 검색공간 중에서 제어기(602)가 선택한 PDCCH에 실려 전송된다. 전용 검색공간에 가용 자원이 없을 경우에는 제어기(602)가 전용 자원할당용 DCI 신호를 공용 검색공간의 자원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CCE 매핑 장치(CCE mapping unit)(608)는 상기 DCI 신호를 PDCCH에 실는다.
한편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는 채널 부호화/변조기(Channel eoncoder/Modulator)(612)는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채널 부호화 및 변조하여 다중화기(Mutiplexer)(614)로 전달한다. 그리고 다중화기(614)는 채널 부화화 및 변호한 신호를 PDCCH 신호와 다중화 한다. 그리고 송신기(Tx Process)(616)는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복호 관리를 위한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수신기(RX Processor)(700)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역다중화기(De-multiplexer)(702)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로 구분한다.
그리고 CCE 디맵핑 장치(de-mapping unit) (704)는 상기 제어신호를 PDCCH 후보별로 역다중화한다.
제어기(Controller)(70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정을 수행한다. 즉, 제어기(708)는 단말이 연결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연결 상태라면 CC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기 위한 규칙에 따라 상기 CCE 디맵핑 장치(704)에 PDCCH 후보들을 알려준다. 그리고 제어기(708)는 채널 복조기/복호기(706)로부터 각 PDCCH 후보별로 복로 성공 여부를 전달받는다.
만약 제어기(708)는 특정 PDCCH 후보에 대해서 복호를 실패하였다면 다른 PDCCH 후보에 대해 CCE 디맵핑과 복호과정이 수행되도록 CCE 디맵핑 장치(704)과 채널 복조기/복호기(706)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708)는 PDCCH의 성공적인 복호를 통해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CC나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역다중화기(702)에서 추출된 데이터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도록 채널 복조기/복호기(706)를 제어한다.
상기 설명한 CC 제어정보 송신 상황에 따른 연결 상태의 단말을 위한 CC 제어정보의 부집한 할당의 제1 실시예는 RR의 수신을 기대하는 단말이 공용 검색공간의 제2 부집합에서 RR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아래 <표 3>은 CC 제어정보 송신 상황에 따른 CC 제어정보의 부집합 할당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황 제1 부집합 제2 부집합
SI 단독 전송 SI 제어정보 사용 안 함
SC 단독 전송 SC 제어정보 사용 안 함
RR 단독 전송 RR 제어정보 사용 안 함
SI와 SC 동시 전송 SI 제어정보 SC 제어정보
SI와 RR 동시 전송 SI 제어정보 RR 제어정보
SC와 RR 동시 전송 SC 제어정보 RR 제어정보
상기 <표 3>에서 CC 제어정보 송신 상황에 따른 연결 상태의 단말을 위한 CC 제어정보의 부집한 할당의 제2 실시예에서는 RR을 수신하는 단말이 SI와 동시 전송 될 수 있는가에 따라 RR 제어정보 수신을 위해 어느 부집합에 대해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할 것인가가 달라지게 된다. SI가 전송 될 수 있는 시점이 미리 약속되어 있다면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에 따라 어느 부집합에서 RR 제어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용 검색공간 정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공용 검색공간의 정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용 검색공간의 부집합 정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를 위한 PDCCH 배치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를 위해 CC 제어정보를 위한 PDCCH 복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복호 관리를 위한 기지국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복호 관리를 위한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

Claims (2)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에 있어서,
    공통 제어 정보의 자원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상기 공용 제어 정보에 따라 공용 검색공간 내 제1 부집합 및 제2 부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전송된 PDCCH를 상기 단말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부집합 및 상기 제2 부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 블라인드 복호하는 상기 단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방법에 있어서,
    공통 제어 정보의 자원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상기 공용 제어 정보에 따라 공용 검색공간 내 제1 부집합 및 제2 부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PDCCH를 상기 단말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부집합 및 상기 제2 부집합 중 적어도 하나에서 블라인드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방법.
KR1020080042026A 2008-05-06 2008-05-06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90116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026A KR20090116220A (ko) 2008-05-06 2008-05-06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026A KR20090116220A (ko) 2008-05-06 2008-05-06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220A true KR20090116220A (ko) 2009-11-11

Family

ID=4160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026A KR20090116220A (ko) 2008-05-06 2008-05-06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22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1911A1 (zh) * 2010-10-18 2012-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中继节点的公共搜索空间的映射方法及装置
WO2013009098A2 (ko) * 2011-07-11 2013-01-17 주식회사 팬택 전송단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그 전송단,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 방법, 그 단말
WO2013025050A2 (ko) * 2011-08-15 201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
WO2014137138A1 (ko) * 2013-03-04 2014-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장치
CN103701564B (zh) * 2013-12-12 2016-09-21 北京邮电大学 一种lte系统中pdcch全盲检测的实现方法
US9572146B2 (en) 2011-07-15 2017-02-14 Lg Electronics Inc. Downlink signal receiv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downlink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ase station
CN106535338A (zh) * 2012-09-28 2017-03-22 英特尔公司 用于增强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epdcch)的盲解码
JP2020017965A (ja) * 2011-11-03 2020-01-30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合同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制御情報をマッピ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7910A (zh) * 2010-10-18 2012-05-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中继节点的公共搜索空间的映射方法及装置
WO2012051911A1 (zh) * 2010-10-18 2012-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中继节点的公共搜索空间的映射方法及装置
WO2013009098A2 (ko) * 2011-07-11 2013-01-17 주식회사 팬택 전송단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그 전송단,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 방법, 그 단말
WO2013009098A3 (ko) * 2011-07-11 2013-03-14 주식회사 팬택 전송단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그 전송단,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 방법, 그 단말
US9572146B2 (en) 2011-07-15 2017-02-14 Lg Electronics Inc. Downlink signal receiv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downlink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ase station
WO2013025050A2 (ko) * 2011-08-15 201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9276721B2 (en) 2011-08-15 2016-03-01 Lg Electronics Inc. Decoding data in group search space based on group control information
WO2013025050A3 (ko) * 2011-08-15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디코딩 방법 및 장치
JP2020017965A (ja) * 2011-11-03 2020-01-30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合同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制御情報をマッピ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7070983B2 (ja) 2011-11-03 2022-05-18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制御情報をマッピ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6535338A (zh) * 2012-09-28 2017-03-22 英特尔公司 用于增强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epdcch)的盲解码
CN106535338B (zh) * 2012-09-28 2019-12-03 英特尔公司 用于增强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的盲解码的电路与装置
WO2014137138A1 (ko) * 2013-03-04 2014-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장치
US9768926B2 (en) 2013-03-04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701564B (zh) * 2013-12-12 2016-09-21 北京邮电大学 一种lte系统中pdcch全盲检测的实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649B2 (en) Communication support for low capability devices
KR101893460B1 (ko)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확장
TWI474739B (zh) 用於多載波無線通訊的下行鏈路分配指示符設計
US110954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4540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ing a single physical uplink channel
RU25011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US8412222B2 (en) Broadcast-multicast transmission with rate adaption
JP5498506B2 (ja) 動的pdschに対するharqack/nack
CN107465492B (zh) 移动通信系统及其信道发送/接收方法
KR101086742B1 (ko) 공유 제어 채널 구조
US8885556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HARQ in a multiple carrier system
US936381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20110194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5016594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using a single channel to provide acknowledgement and assignment messages
US2011012282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640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multiple carrier system
US20120082145A1 (en) Harq ack/nack transmission for multi-carrier operation
KR20100048496A (ko) 이동무선 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페이로드 크기결정장치 및 방법
KR20090116220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복호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20016057A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긍정/부정 수신 확인 메시지를 피드백하는 방법
KR2009008326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검색 방법
CN109565850B (zh) 用于在无线蜂窝通信中减少等待时间的发射方法和设备
KR20080088127A (ko)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 및 다중 안테나 기법을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긍정적/부정적 인지검파를 사용하는 상향 링크 긍정적/부정적 인지 채널 자원할당을 위한 암시적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CN113498167A (zh) 利用群组广播方式传送小数据包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