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274A - 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 - Google Patents

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274A
KR20090115274A KR1020080041029A KR20080041029A KR20090115274A KR 20090115274 A KR20090115274 A KR 20090115274A KR 1020080041029 A KR1020080041029 A KR 1020080041029A KR 20080041029 A KR20080041029 A KR 20080041029A KR 20090115274 A KR20090115274 A KR 20090115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nodes
work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갑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4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5274A/en
Publication of KR2009011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2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 is provided to increase the workability of shipping work by introducing various estimation elements for the container shipping work. CONSTITUTION: Workable slots are selected in a loading target slot group of a ship bay(S202). Candidate containers of searched each slot are selected(S204). By the combination of selected slots and candidate containers, candidate nodes are generated(S206). The generated all of the candidate nodes are evaluated(S207). Based on the estimation, nodes are selected as much as a beam width(S208). The evaluation is calculated according to each node. One node is selected among the generated beam nodes.

Description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

본 발명은 컨테이너 본선 작업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다양한 평가 요소를 도입하여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의해 본선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ainer ship opera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ship operations by introducing various evaluation elements to establish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최근 국가 간의 물동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선사에서는 증가한 물동량의 신속한 처리를 요구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increase in the volume of transportation between countries, shipping companies are demanding the rapid treatment of the increased volume.

따라서 컨테이너 터미널은 선박에 대한 하역작업의 생산성을 높여 물류비용을 줄이고 선박의 재항시간 단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개별 컨테이너에 대한 작업순서를 계획해야 한다.Therefore, the container terminal is trying to reduce the logistics cost by reducing the productivity of loading and unloading work for ships, and shorten the ship's flight time. As a result, the work order for each efficient container must be planned.

컨테이너 터미널은 안벽, 장치장, 게이트 영역으로 구분된다.Container terminals are divided into a quay wall, a storage area and a gate area.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작업은 선박에 실려 있는 수입컨테이너를 내려서 장치장에 적재하는 양하작업과, 장치장에 적재되어있는 수출컨테이너를 선박에 적재하는 적하작업과, 장치장에 적재되어있는 수입컨테이너를 외부트럭이 게이트를 통해 인출하는 반출작업과, 게이트를 통해 외부트럭으로부터 수출컨테이너를 받아 장 치장에 적재하는 반입작업으로 구성된다.At the container terminal, the unloading operation of loading and unloading the import container loaded on the ship, the loading operation of loading the export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dock, and the external container gated the import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dock. It consists of an export operation withdrawal through and an import operation with receiving export containers from an external truck through a gate and loading them into the storage.

이 중 양하작업과 적하작업을 흔히 본선작업이라 한다. 이러한 본선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계획이 필요하다.Among these, unloading and unloading are often referred to as ship operations. In order to carry out this onboarding work, planning is necessary.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이 선석에 정박하기 전에 계획자는 선사에서 전달받은 선적지시서(stowage plan)와 장치장에서 컨테이너의 장치상황을 보여주는 야드맵 (yard map)을 바탕으로 안벽 크레인(QC)의 작업 일정계획을 수립한다. 더불어, 개별 양하 컨테이너를 위한 장치위치 결정과 개별 적하 컨테이너의 인출순서를 결정하게 된다.In general, before the vessel is docked at the berth, the planner schedules the work of the quay-walled crane (QC) based on a shipping plan received from the shipping company and a yard map showing the status of the container at the dock. Establish. In addition, device positioning for individual unloading containers and the withdrawal order of the individual unloading containers are determined.

적하작업에 대한 계획은 개별 컨테이너를 장치장에서 찾아내 인출한 후 선박의 지정된 위치에 적재하는 과정에 대한 계획이므로 공간 확보만 요구되는 양하 작업에 대한 계획보다 많은 고려사항과 계획시간이 요구된다.The plan for unloading is a process of finding and withdrawing individual containers from the yard and loading them in a designated position on the ship, which requires more consideration and planning time than planning for unloading operations that only require space.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적하 작업시에 장치장의 상황 및 본선 작업 상황을 동시에 고려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As container traffic volume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tainer loading order plan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b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plant floor and the ship's working situation at the time of loading work.

그러나 현재 컨테이너 적하 작업시에 다양한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하 순서를 계획하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However, at present, there is no method to plan the loading sequence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various sites during container loading operation.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은 선박 작업효율성 또는 장치장 작업 효율성 어느 하나만을 고려하여 수립되거나, 선박 작업효율성 및 장치장 작업 효율성을 순차적으로 고려하여 수립되는 것으로 작업 생산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The container loading order plan of the prior art i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any one of the vessel work efficiency or the plant work efficiency, or i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ship work efficiency and the plant work efficiency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productivity.

또한,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계획 시스템은 적하작업계획 수립 시에 계획 수립자의 개입이 많이 필요하여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lanning system of the container terminal of the prior art has a problem of inefficient because the planner's intervention is required at the time of dripping work planning.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계획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적하작업계획 수립시에 계획 수립자의 개입을 많이 필요로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평가 요소를 도입하여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의해 본선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inefficient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planner's involvement in the establishment of the loading operation plan to apply to the operation plan system of the container terminal of the prior art, 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sequence by introducing various evaluation elements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method for planning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s that will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ship operations by planning.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의 본선작업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계획을 수립시에 본선 작업 및 장치장 작업을 동시에 고려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that can increase productivity by considering the main operation and the yard work at the same time when establishing 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 affecting the productivity of the container terminal. .

본 발명은 다양한 평가요소를 도입하여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계획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ncrease productivity by introducing various evaluation factors to establish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s and using them in an operation planning system of container terminal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은 컨테이너 적하 순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초기 빔 노드를 생성하고, 모든 빔 노드들을 탐색하여, 선박베이의 적하대상슬롯집합에서 작업이 가능한 슬롯들을 찾는 과정과 상기 찾아낸 각 슬롯들의 후보 컨테이너를 찾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찾아낸 슬롯들과 후보 컨테이너들의 각 원소의 조합으로 후보 노드들을 생성하는 단계;생성된 모든 후보 노드들을 평가하고 각 노드별로 계산된 평가를 기준으로 빔 상수(beam width)만큼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상기 선택에 의해 생성된 빔 노드들 중에 하나의 노드를 선택하고 해당 노드를 종점으로 두고 역추적하여 초기 노드부터 적하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create the initial beam node, search all the beam nodes, work in the loading target slot set of the ship bay Performing a process of finding the available slots and finding a candidate container of the found slots, and generating candidate nodes with a combination of the found slots and respective elements of the candidate containers; evaluating all generated candidate nodes and Selecting a node by a beam constant based on the evaluation calculated for each node; selecting one node among the beam nodes generated by the selection, and dropping from the initial node by backtracking the node as an end point Determining a work ord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Such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은 컨테이너 본선 작업을 위하여 다양한 평가 요소를 도입하여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의해 본선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various evaluation factors for the container final operation, the productivity of the main operation can be improved by establishing 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즉, 실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고려되는 현장의 제약사항과 평가사항들을 반영한 알고리즘을 제공하여 적하작업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한다.In other words, by providing algorithms reflecting on-site constraints and evaluations that are considered in actual container terminals,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loading ope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평가 요소를 고려한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도 1a내지 도 1c는 안벽크레인 작업일정계획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선적지시서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선박의 횡단면(cross-sectional view) 구성도이고, 도 3은 야드맵(Yard map)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A to 1C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quay-wall crane work schedule pla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ip as an example of a shipping instruction, and FIG. 3 is a yard map. Fig. 1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주어진 안벽 크레인의 작업일정계획을 이용하여 적하작업을 위한 개별 컨테이너의 선택과 선적순서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순서계획을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계획이라고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selection and shipping order of individual containers for loading operations using the work schedule of a given quay-walled crane, and this order planning is referred to as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이때 장치장에서 해당 컨테이너를 인출하는 작업은 야드 크레인(YC)이 담당하고, 선박의 특정한 위치에 장치시키는 작업은 안벽 크레인(QC)이 담당한다.At this time, the yard crane (YC) is in charge of pulling out the container from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quay-wall crane (QC) is in charge of placing the container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vessel.

본선작업의 적하작업은 장치장에 이미 반입되어있는 컨테이너를 본선에서 요구하는 컨테이너를 적하하는 작업이다. 이는 장치장 상황과 본선작업 상황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위 2가지 요건을 4가지 주요 변수로 정리한 후 이들을 동시에 고려하는 적하작업순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 제시한다.The loading operation of the ship operation is the operation of loading a container which is required by the ship on a container already loaded in the yard. Thi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as the site situation and the ship operations. The present invention summarizes the above two requirements into four main variables and proposes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the loading sequence which considers them simultaneously.

(개별 컨테이너 적하계획에 사용되는 정보)(Information used for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plans)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컨테이너 적하계획은 선박에 선적될 개별 컨테이너들의 작업순서와 선적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별 컨테이너 적하계획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정보가 이용된다.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working order and shipping position of individual containers to be loaded on a ship. In this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plan, three pieces of information are used:

즉, QC 작업일정계획(Quay Crane work schedule), 선적지시서(Stowage plan), 야드맵(yard map)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컨테이너 적하 계획을 수립한다.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plan is established by using QC work crane work schedule, stowage plan, and yard map information.

먼저, QC 작업일정계획(QC work schedule)에 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QC work schedule will be described.

QC 작업의 기본 단위는 선박 클러스터이고 이는 동일한 속성(목적항, 크기, 종류, 양/적하)을 지니고 동일 위치에 모여 있는 컨테이너의 집합으로 정의된다.The basic unit of QC work is a ship cluster, which is defined as a collection of containers that have the same attributes (destination port, size, type, quantity / load) and are gathered in the same location.

그러나 작업의 효율의 극대화를 위하여 가능한 경우에는 서로 다른 속성을 가진 컨테이너들을 동시에 하나의 QC가 적하작업을 할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클러스터를 주로 선박 베이를 단위로 생성된다고 가정하고 hold 혹은 deck로 구분한다.However, in order to maximize work efficiency, a single QC can simultaneously load containers with different properties if possibl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luster is mainly generated in units of ship bays and is divided into hold or deck.

따라서, QC 작업일정계획은 어느 클러스터를 어떤 QC가 담당하는지와 해당 클러스터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대를 결정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Thus, the QC work schedule can be seen as determining which cluster is responsible for which QC and what time zone the cluster will perform.

도 1a는 선적지시서의 일 예이고, 도 1b는 선적지시서에 따라 클러스터를 나누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1A is an example of a shipping instruction, and FIG. 1B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dividing a cluster according to a shipping instruction.

그리고 도 1c는 클러스터 단위로 QC 작업일정계획을 수행한 예를 보인 것이다. 하나의 클러스터에는 서로 다른 목적항에 갈 컨테이너들이 섞여있고 블록별 인출 개수도 할당되어있다.1C shows an example of performing a QC work schedule in units of clusters. One cluster contains containers for different destination ports, and is assigned a number of fetches per block.

그리고 선적지시서(Stowage plan)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scription of the Stowage Plan is as follows.

선적지시서는 선사에서 터미널로 보내는 정보이며 이 정보에는 선박에 실어야 할 개별 컨테이너의 정보가 담겨있다. 도 2는 특정 선박 베이에 대한 선적지시서의 예이다.The shipping instructions are sent from the shipping company to the terminal, which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containers to be loaded on board the ship. 2 is an example of a shipping instruction for a particular ship bay.

그리고 야드맵(yard map)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yard map is described as follows.

야드맵은 장치장에서의 컨테이너 적재정보를 보여주는 것으로, 장치장에 저장된 개별 컨테이너의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보여주는 지도라고 볼 수 있다.The yard map shows container load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area, and can be viewed as a map show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individual containers stored in the storage area.

일반적으로 야드 베이(yard bay) 단위로 표현하며 도 3과 같은 형태로 나타 낸다.In general, it is expressed in a yard bay unit and is represented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QC 작업일정계획(Quay Crane work schedule),선적지시서(Stowage plan), 야드맵(yard map)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컨테이너 적하 계획을 수립하고, 컨테이너 적하 계획 수립시에는 다음과 같은 작업 관련 사항들을 고려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plan is established by using the QC Work Crane work schedule, Stowage plan, and yard map information. Consider the points.

(개별 컨테이너 적하계획 수립시의 고려 사항)(Considerations when establishing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plans)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하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설명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container loading pl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첫째, 적하작업만을 대상으로 한다.First, only the loading work.

둘째, 문제의 크기는 하나의 선박클러스터로 국한하므로 하나의 안벽크레인만을 고려한다.Second, since the size of the problem is limited to one ship cluster, only one quay-crane is considered.

셋째, 적하작업에 필요한 모든 컨테이너는 장치장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ird, all containers required for the unload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tate stored in the equipment storage.

장치장에 저장되지 않고 곧바로 적하되는 직반입 컨테이너의 경우 가상의 더미(dummy) 블록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the direct-loading container which is loaded directly without being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s pre-stored in a virtual dummy block.

먼저, 작업 선호도와 관련된 고려 사항은 QC 작업 패턴, 컨테이너 무게 등급, 장치장 블록간 부하 분산, 재취급에 관한 사항이다.First, considerations related to work preferences are related to the QC work pattern, container weight class, load balancing between plant blocks, and rehandling.

첫째, QC 작업 패턴에 관한 사항을 고려한다.First, consider the QC work pattern.

QC 작업은 운전자의 작업 편의성과 선박의 안전성 그리고 작업 효율성을 위 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선내 (hold)에서 작업하는 경우 동일한 스택(stack)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 다른 스택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작업의 편의성에 기인한다. 다음 스택을 선택할 때에 선박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선상(deck)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하위 단(tier) 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위 단 (tier) 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작업의 효율성에 기인한다.QC work is oriented for operator convenience, ship safety and work efficiency. For example, when working on hold, work is done on another stack after the work is completed on the same stack. This is due to the convenience of work. When selecting the next stack, the ship's stability is taken into account. When the work is done on the deck, the work of the upper tier is performed after the lower tier work is completed. This is due to the efficiency of the work.

둘째, 컨테이너 무게 등급에 관한 사항을 고려한다.Second, consider the container weight class.

컨테이너 무게는 적하계획을 수립할 때 중요한 요소이다. 무게는 선박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선박 전체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무게 분포도를 고려하면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선사로부터 받는 선적지시서에는 무게에 대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Container weight is an important factor when developing loading plans. Since weight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ship, a plan should be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containers loaded throughout the ship. In general, shipping instructions from the shipping company describe the weight.

셋째, 장치장 블록간 부하 분산에 관한 사항을 고려한다.Third, consider the load balancing among the device length blocks.

블록내 공간자원과 취급(handling) 자원을 고려해야 하는데, 특정 블록에 집중되는 작업을 분산시킴으로써 블록의 작업부하를 분산시키고 본선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space and handling resources within the block. By distributing work that is concentrated on a particular block, you can distribute the workload of the block and improve productivity on board.

넷째, 재취급에 관한 사항을 고려한다.Fourth, consider the matter of rehandling.

작업 대상 컨테이너 위에 다른 컨테이너가 존재할 때 대상 컨테이너의 인출작업을 위해 상단의 컨테이너를 옮겨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재취급이라 한다. 이러한 재취급 작업은 QC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하고 본선작업 생산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재취급 작업이 최소화되도록 적하작업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When another container exists on the target container, the top container needs to be moved for the pulling out of the target container. This is called rehandling. This rehandling can lead to delays in QC working time and adversely affect the onboard productivity. Therefore, loading plans should be established to minimize rehandling.

(개별 컨테이너 적하계획 수립시에 지켜야 하는 제한 내용)(Restrictions to be followed when establishing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plans)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하계획 수립시에 지켜야 하는 제한 내용은 선적지시서와의 일치성, 선상에서의 적재 제약, 선내에서의 적재 제약을 포함한다.Restrictions that must be observed when establishing a container loading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nformity with the shipping instructions, loading restrictions on board, and loading restrictions on board.

첫째, 선적지시서와의 일치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선적지시서에 기술된 각 슬롯(slot) 마다 정의된 정보와 일치하는 컨테이너를 할당해야 한다.First, the correspondence with the shipping instructions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slot described in the shipping instructions, a container must be assigned that matches the information defined.

둘째, 선상(deck) 에서의 적재 제약을 고려해야 하는데, 선박 베이는 선내와 선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선내와 선상사이에 해치 덮개(hatch cover)가 존재한다.Seco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loading constraints on the deck, where the ship bay is divided into onboard and onboard, and a hatch cover exists between and onboard.

선상에서는 해치 덮개가 감당할 수 있는 무게를 초과해서 적재할 수 없다. 따라서, 선상에서의 스택별 허용된 최대중량을 초과할 수 없다.On board, hatch covers cannot be loaded in excess of the weight they can bear. Therefore, the maximum weight allowed per stack on board cannot be exceeded.

셋째, 선내(hold) 에서의 적재 제약을 고려해야 하는데, 각 스택별로 허용된 최대 높이를 초과해서 적재할 수 없다. 만일 초과하게 되면 선내와 선상을 구분해주는 해치 덮개를 닫을 수 없다. Thir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loading constraints on hold, which may not exceed the maximum height allowed for each stack. If exceeded, the hatch cover which distinguishes the ship from the ship cannot be closed.

이상에서 설명한 고려 사항들을 기준으로 컨테이너 적하계획 수립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Based on the consideration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loading plann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평가 요소를 고려한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을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은 빔 탐색 기법을 이용하여 수립한다.The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stablished using a beam search technique.

빔 탐색 기법은 너비우선 탐색(breadth first search)의 변형으로서 탐색 공 간인 빔(beam)의 너비(width)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해의 탐색을 진행한다.The beam search technique is a variation of breadth first search, and the solution search is performed while keeping the width of the beam, which is the search space, constant.

즉,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구성하여 각 단계(level)에서 좋은 해를 줄 가능성을 가진 일부 노드에 대해서만 가지를 확장해 나가고 나머지 노드를 제거함으로서 탐색공간을 줄여 계산시간을 줄이는 휴리스틱 탐색 기법이다.In other words, a heuristic search technique that constructs a decision tree, extends the branches to only some nodes that have the potential to do good harm at each level, and eliminates the remaining nodes, thereby reducing the computation time and reducing computation time. to be.

각 단계에서 노드의 수는 빔 상수(beam width)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문제에 적합한 평가함수와 빔 상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number of nodes in each step is determined by the beam width.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evaluation function and beam constant for the problem.

각 노드는 선박의 슬롯과 그 슬롯에 장치될 수 있는 장치장의 컨테이너 후보의 조합으로 생성된다. 각 단계에서 빔 노드는 빔 상수의 개수만큼 평가값이 좋은(낮은) 순으로 결정한다.Each node is created from a combination of a ship's slot and a container candidate of the device head that can be installed in that slot. In each step, the beam nodes determine the best (lowest) order of evaluation by the number of beam constants.

이때, 지역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빔 노드에서 적어도 1개의 자식노드가 선택되도록 한다.At this time, at least one child node is selected at each beam node in order to prevent falling into the local solution.

최종해는 제일 마지막 단계에서 결정된 빔 노드들에 대해 누적 평가값이 가장 좋은(작은) 노드를 선택한다. 해당 노드를 종점으로 두고 역추적하면 초기 노드부터 적하작업순서가 결정된다. The final solution selects the node with the best (smallest) cumulative evaluation value for the beam nodes determined in the last step. Backtracking the node as an end point determines the loading sequence from the initial node.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평가 요소를 고려한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에서 사용되는 각 요소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Definition of each element used in the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기호sign 의미meaning ΨΨ 작업 후보 슬롯의 집합Set of job candidate slots ΦΦ Ψ의 한 슬롯에 대해 장치장 블록에서의 작업 가능한 컨테이너의 집합The set of containers that can work in the storage block for one slot of Ψ ΩΩ Ψ와 Φ의 각 원소를이용해 생성된(슬롯과 장치장 컨테이너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노드의 집합Set of nodes (created by a combination of slots and field-length containers) created using each element of Ψ and Φ dd 빔 상수Beam constant rr 빔 노드가 결정되는 단계(level)Level at which the beam node is determined zz 적하대상슬롯집합에 포함된 총 슬롯의 수Total number of slots in the set of loaded slots

먼저, 초기 빔 노드를 생성하고(S101), 각 빔 노드에 대해 작업 가능한 슬롯 수집,슬롯 선택,후보 컨테이너 선택의 처리 과정을 진행한다.(S102)First, an initial beam node is generated (S101), and processing of slot collection, slot selection, and candidate container selection that can be performed for each beam node is performed (S102).

구체적으로 빔 노드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beam node process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빔 노드의 생성이 이루어지면, 현재 빔 노드들 중에 상기의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빔 노드를 선택한다.(S201)When the beam node is generated, the beam node that has not been processed above is selected among the current beam nodes (S201).

그리고 작업 가능한 슬롯을 수집한다.(S202)And collects a slot available for operation (S202).

작업 가능한 슬롯의 수집은, 작업 후보 슬롯의 집합(Ψ), 작업 후보 슬롯의 집합(Ψ)의 한 슬롯에 대해 장치장 블록에서의 작업 가능한 컨테이너의 집합(Φ)을 초기화한다.The collection of workable slots initializes the workable container set (Φ) in the device-length block for one slot of the work candidate slot (Ψ) and the set of work candidate slots (Ψ).

그리고 현재 적하 대상슬롯 집합에서 작업이 가능한 모든 슬롯을 찾는다. 즉, 현재 수준에서 최하단의 모든 슬롯을 탐색한다. 선택된 모든 슬롯을 (Ψ)에 추가한다.It finds all available slots in the current loading target slot set. In other words, the lowest level slot is searched at the current level. Add all selected slots to (Ψ).

이어, (Ψ)내의 모든 슬롯에서 하나의 슬롯을 선택한다.(S203)Next, one slot is selected from all slots in (Ψ). (S203)

그리고 선택한 슬롯에 대하여 장치장의 후보 컨테이너를 선택한다.(S204)Then, a candidate container of a device length is selected for the selected slot (S204).

여기서, 장치장의 후보 컨테이너 선택은, 장치장의 각 블록의 최상단에서 해당 슬롯과 동일 속성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찾는다. 재취급 작업의 최소화를 위해 최상단의 컨테이너만을 대상으로 한다.Here, the candidate container selection of the device length finds a container having the same attribute as the corresponding slot at the top of each block of the device length. Only the topmost containers should be covered to minimize rehandling.

만약 컨테이너를 찾을 수 없다면 재취급 작업을 감수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컨테이너를 찾는다. 조건을 만족한 모든 컨테이너를 (Φ)에 추가하고, (Ψ)에서 해당 슬롯을 삭제한다.If it can't find a container, it will rework and find a container that meets the conditions. Add all containers that meet the condition to (Φ) and delete the corresponding slot in (Ψ).

이와 같은 컨테이너의 선택 과정을 모든 슬롯에 대하여 이루어질 때까지 반복한다.(S205)This container selection process is repeated until all slots have been made (S205).

그리고 조합을 통해 노드를 생성한다.(S206) 즉, (Ψ)와 (Φ)의 각 원소들의 조합을 통해 노드를 생성한다. 생성된 노드들을 (Ψ)와 (Φ)의 각 원소들의 조합을 통해 생성된 노드들의 집합(Ω)에 추가한다.The node is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S206), that is, the node is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elements of (Ψ) and (Φ). The generated nodes are added to the set of nodes (Ω) gener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elements of (Ψ) and (Φ).

이상에서 설명한 처리 과정은 모든 빔 노드들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질 때까지 반복된다.(S103)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s repeated until processing for all beam nodes is made (S103).

이어, 모든 빔 노드들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면, 생성된 모든 노드의 평가를 수행한다.(S207)Subsequently, when processing is performed on all beam nodes, evaluation of all generated nodes is performed (S207).

여기서, 생성된 각 노드들의 평가 방법은 QC 작업패턴의 부합, 슬롯과 적하될 컨테이너의 무게등급 차이, 블록간 부하 평활화, 장치장에서의 재취급 작업의 항목을 점수화하여 패널티로 적용시키고 패널티 합을 평가값으로 결정한다.Here, the evaluation method of each generated node is applied to the penalty by assessing the items of the matching of the QC work pattern, the difference in the weight class of the slot and the container to be loaded, the load smoothing between blocks, the rehandling work in the equipment field, and the penalty sum. Determined by the value.

이와 같이 생성된 모든 노드의 평가가 이루어지면, 빔 상수만큼 노드를 선택한다.(S208)When all nodes generated in this manner are evaluated, nodes are selected by the beam constant (S208).

즉, 각 노드별로 계산된 평가값을 기반으로 가장 값이 좋은 개의 노드를 선택한다.That is, the best nodes are selected based on the evaluation values calculated for each node.

노드를 선택할 때 지역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diversification) 각 빔 노드에서 적어도 1개의 자식 노드가 선택되도록 한다. 선택된 d개의 노드가 빔 노드가 된다. r ≥ z 인지를 판단하여 모든 적하 대상 슬롯이 처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9)When selecting a node, at least one child node is selected at each beam node in order to avoid falling into local solutions. The selected d nodes become beam nodes. It is determined whether r ≥ z to determine whether all the loading target slots have been processed (S209).

r ≥ z 이면 최종해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210), 아니면 r을 1만큼 증가시키고 (Ω)를 초기화하고 S102 단계를 수행한다.If r ≥ z, perform the step of selecting the final solution (S210), otherwise increase r by 1, initialize (Ω), and perform step S102.

그리고 최종 r번째 단계에서도 d개의 빔 노드가 생성된다. 이 중에서 하나의 노드를 선택해야 한다. 최종 빔 노드는 누적 평가값이 가장 좋은 노드를 선택한다. 해당 노드를 종점으로 두고 역추적하면 초기 노드부터 적하작업순서가 결정된다.In the final r-th step, d beam nodes are generated. You must select one of these nodes. The final beam node selects the node with the best cumulative evaluation value. Backtracking the node as an end point determines the loading sequence from the initial node.

상기의 S207 단계에서의 생성된 각 노드들의 평가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evaluation method of each of the nodes generated in the above step S20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안벽크레인의 작업패턴을 점수화하여 평가항목에 반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First, a method of scoring the work pattern of the quay wall crane and reflecting it in the evaluation item is as follows.

안벽크레인의 작업패턴은 안벽크레인이 적하작업을 수행할 때 컨테이너의 적재방향을 정의한 것이다.The work pattern of the quay-crane defines the load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when the quay-crane is loading.

작업패턴은 도 5에서와 같이 크게 4가지 작업패턴으로 분류한다.Work patterns are classified into four work patterns as shown in FIG. 5.

선내에서의 작업은 스택단위의 작업이기에 3가지 방법으로 패널티를 부과한다. 해측(sea side)에서 육측(land side) 또는 육측에서 해측 방향의 작업과 중간에서부터 양쪽으로 퍼져나가는 방향의 작업으로 구분한다.The work on board is a stack-level work, so there are three ways to impose a penalty. The sea side is divided into the land side or the land side in the sea direction work and the work in the direction of spreading from the middle to both sides.

패널티 계산 방식은 작업후보 슬롯을 포함하는 스택마다 부여된 순위를 작업대상 스택의 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The penalty calculation method is a rank given to each stack including a candidate slot divided by the number of target stacks.

예를 들어, 전체 스택의 개수가 6개이고 해측으로부터 육측으로 작업하는 패턴을 적용할 경우, 제일 해측의 스택부터 1/6, 2/6 등과 같은 순서로 패널티가 적용된다. 작업은 패널티가 작은 순서대로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점수화하여 반영하면 쉽게 수치적으로 평가에 반영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otal number of stacks is 6 and the pattern of working from sea side to land side is applied, the penalty is applied in the order of 1/6, 2/6, etc. from the first sea side stack. Work is advantageously done in small order, so scoring and reflecting in this way can easily be reflected in the evaluation.

선상(deck)에서의 작업은 단(tier) 단위로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단순히 단의 차이로만 패널티를 부과한다. Because work on the deck works on a tier basis, it only penal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ers.

그리고 슬롯과 컨테이너의 무게등급 차이를 점수화하여 평가항목에 반영하는 방법은 도 6a에서와 같이 무게등급을 나누는 기준과 도 6b에서와 같이 무게등급 차이에 따른 패널티 값을 계획자가 적용하여 반영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coring the weight grade difference between the slot and the container and reflecting it in the evaluation item reflects the planner by dividing the weight grade as shown in FIG. 6A and the penalty value according to the weight grade difference as shown in FIG. 6B.

그리고 블록간의 부하 평준화에 대한 패널티를 부과하여 평가항목에 반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And the method of imposing a penalty on load leveling among blocks and reflecting it in the evaluation items is as follows.

부하 평준화 대상은 선박 클러스터에 대응하는 블록들로 한정한다. 각 블록은 해당 클러스터에 적하하기 위한 서로 다른 개수의 컨테이너를 저장하고 있다. The load leveling object is limited to blocks corresponding to the ship cluster. Each block stores a different number of containers for loading into the cluster.

특정 불록에서 연속적으로 적하작업이 수행된다면 그 블록의 작업부하는 증가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블록의 평균 작업부하를 계산하고 누적부하와 기준부하 간의 차이가 작은 블록을 선택하여 작업을 계획한다. 이러한 차이를 패널티로 사용한다.If the load is carried out continuously in a particular block, the workload of that block will increase. To prevent this, the average workload of each block is calculated and the task is planned by selecting a block with a small difference between the cumulative load and the reference load. Use this difference as a penalty.

여기서, 기준부하를 구하는 수식은 도 7에서와 같이 정의된다.Here, the equation for obtaining the reference load is defined as in FIG.

n은 클러스터 내 슬롯의 총 개수, k는 적하 작업 회수,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1
는 k회차 적하작업시 블록i에서의 누적 적하 작업 컨테이너 수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2
,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3
는 QC 작업 일정 계획에서 블록 i에 할당된 적하 컨테이너 개수로 정의되고, 블록 i의 기준 부하는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4
이고, k회차 적하 작업시 블록 I에서의 부하 평활화에 대한 패널티는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5
으로 정의된다.n is the total number of slots in the cluster, k is the number of loading operations,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1
Is the cumulative number of stacked job containers at block i for k times of load.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2
,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3
Is defined as the number of load containers assigned to block i in the QC work scheduling, and the reference load for block i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4
The penalty for load smoothing at block I in k times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5
Is defined.

그리고 장치장에서의 재취급에 대한 패널티를 부과하여 평가항목에 반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And the method of imposing penalties for rehandling at the equipment site and reflecting them in the evaluation items is as follows.

패널티 값은 재취급 기대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총 적재가능한 단의 수를 k라 하면, 총 기대 재취급 횟수는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6
이 된다.The penalty value is determined by the expected number of rehandling. In other words, if the total number of stackable stages is k,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6
Becomes

이를 대상 컨테이너가 위치한 단의 기대 재취급횟수로 나눈 값으로 결정한다. 도 8은 재취급 기대횟수에 따른 패널티를 정리한 것이다.This is determined by dividing the expected number of rehandling times by the target container. 8 summarizes the penalty according to the expected number of rehandling.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은 컨테이너 본선 작업을 위하여 다양한 평가 요소를 도입하여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의해 본선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The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ship operation by introducing a variety of evaluation factors for the container ship operation to establish the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a내지 도 1c는 안벽크레인 작업일정계획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Figures 1a to 1c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quarry wall work schedule plan

도 2는 선적지시서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선박의 횡단면(cross-sectional view) 구성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ip as an example of a shipping instruction

도 3은 야드맵(Yard map)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yard map (Yard map)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평가 요소를 고려한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을 위한 플로우 차트4 is a flow chart for a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valuation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안벽크레인의 작업패턴을 종류별로 나타낸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work pattern of the quay wall crane by type

도 6a와 도 6b는 컨테이너 무게그룹과 무게그룹의 차이로 인한 패널티를 정리한 테이블6A and 6B are tables listing penaltie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ainer weight group and the weight group.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 수립시에 블록간 부하 평활화를 고려하기 위한 수식 테이블7 is a formula table for considering load smoothing between blocks when establishing a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야드베이에서 재취급에 관한 패널티를 도시화한 테이블8 is a table depicting penalties for rehandling in a yard bay.

Claims (11)

컨테이너 적하 순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To plan the container loading order, 초기 빔 노드를 생성하고, 모든 빔 노드들을 탐색하여, Create an initial beam node, search all beam nodes, 선박 베이의 적하대상슬롯집합에서 작업이 가능한 슬롯들을 찾는 과정과 상기 찾아낸 각 슬롯들의 후보 컨테이너를 찾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찾아낸 슬롯들과 후보 컨테이너들의 각 원소의 조합으로 후보 노드들을 생성하는 단계;Performing a process of finding slots capable of working in the loading target slot set of the ship bay and finding a candidate container of the found slots, and generating candidate nodes using a combination of the found slots and respective elements of the candidate containers; 생성된 모든 후보 노드들을 평가하고 각 노드별로 계산된 평가를 기준으로 빔 상수(beam width)만큼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Evaluating all the generated candidate nodes and selecting nodes by a beam constant based on the evaluation calculated for each node; 상기 선택에 의해 생성된 빔 노드들 중에 하나의 노드를 선택하고 해당 노드를 종점으로 두고 역추적하여 초기 노드부터 적하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Selecting one of the beam nodes generated by the selection, and backtracking the corresponding node as an end point to determine a loading operation order from an initial n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노드들의 탐색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arch for the beam nodes comprises: 탐색 공간인 빔(beam)의 너비(width)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구성하여, 각 단계(level)에서 좋은 해를 줄 가능성을 가진 일부 노드에 대해서만 가지를 확장해 나가고 나머지 노드를 제거하여 계산시간을 줄이는 휴리스틱 탐색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Constructing a decision tree while keeping the width of the beam, the search space constant, to extend branches only to some nodes that have the potential to do good at each level.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using a heuristic search technique to reduce the computation time by eliminating the remaining nodes. 제 1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적하 순서 계획을 수립을 위하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order to establish a container loading order plan, QC 작업 일정 계획, 선적 지시서, 야드맵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using QC work scheduling, shipping instructions, yard map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후보 컨테이너를 찾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 of finding a candidate container comprises: 재취급 작업의 최소화를 위하여 각 블록의 최상단에서 해당 슬롯과 동일 속성을 갖는 컨테이너를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An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which finds a container having the same property as a corresponding slot at the top of each block to minimize rehandling. 제 1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적하 순서 계획을 수립시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establishing a container loading order plan, 선적지시서에 기술된 각 슬롯(slot) 마다 정의된 정보와 일치하는 컨테이너를 할당하는 선적 지시서와의 일치성과,Correspondence with the shipping instructions, which assigns a container that matches the information defined for each slot described in the shipping instructions; 선상에서의 스택별 허용된 최대중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적재 제약과,Loading constraints not to exceed the maximum weight allowed for each stack on board; 각 스택별로 허용된 최대 높이를 초과해서 적재하지 않는 선내에서의 적재 제약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A method for planning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s, which considers loading constraints on board ships that do not exceed the maximum height allowed for each stack. 제 1 항에 있어서, 생성된 모든 후보 노드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evaluating all generated candidate nodes, 적하작업을 수행할 때 컨테이너의 적재방향을 정의하는 안벽크레인의 작업패턴을 분류하여, 해측(sea side)에서 육측(land side) 방향의 작업과, 육측에서 해측 방향의 작업과, 중간에서부터 양쪽으로 퍼져나가는 방향의 작업으로 구분하여 패널티를 부과하여 평가항목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When carrying out the loading operation, the work pattern of the quay-crane which defines the load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is classified, and the work from the sea side to the land side, the work from the sea side to the sea side, and from the middle to both sides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characterized by imposing a penalty by dividing the work in the direction of spreading to the evaluation items. 제 6 항에 있어서, 패널티 계산 방식을 스택 단위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선내 작업은 작업후보 슬롯을 포함하는 스택마다 부여된 순위를 작업대상 스택의 수로 나눈 값으로 하고,According to claim 6, Inner work in which the penalty calculation method is performed in units of stacks, the rank given to each stack including the job candidate slot divided by the number of target stacks, 단(tier) 단위로 작업을 진행하는 선상(deck)에서의 작업은 단의 차이로만 패널티를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A method of planning an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in which a work on a deck that works in tiers imposes penalties only on the difference of tiers. 제 1 항에 있어서, 생성된 모든 후보 노드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evaluating all generated candidate nodes, 무게 등급을 나누는 기준과 슬롯과 컨테이너의 무게등급 차이에 따른 패널티값을 계획자가 적용하여 점수를 구하여 평가항목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A method for planning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ner applies scores based on criteria for dividing the weight classes and penal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grades of the slots and containers. 제 1 항에 있어서, 생성된 모든 후보 노드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evaluating all generated candidate nodes, 서로 다른 개수의 컨테이너를 저장하고 있는 각 블록의 평균 작업부하를 계산하고 누적부하와 기준부하 간의 차이가 작은 블록을 선택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누적부하와 기준부하 간의 차이를 패널티로 부과하여 평가항목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Calculate the average workload of each block that stores different numbers of containers, and select a block with a small difference between the cumulative load and the reference load to impose a penalt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mulative load and the reference load.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reflecting. 제 9 항에 있어서, 기준부하 및 패널티를,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ference load and the penalty, n은 클러스터 내 슬롯의 총 개수, k는 적하 작업 회수,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7
는 k회차 적하작업시 블록i에서의 누적 적하 작업 컨테이너 수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8
,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9
는 QC 작업 일정 계획에서 블록 i에 할당된 적하 컨테이너 개수로 정의되고, 블록 i의 기준 부하는
Figure 112008031613466-PAT00010
이고, k회차 적하 작업시 블록 I에서의 부하 평활화에 대한 패널티는
Figure 112008031613466-PAT00011
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
n is the total number of slots in the cluster, k is the number of loading operations,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7
Is the cumulative number of stacked job containers at block i for k times of load.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8
,
Figure 112008031613466-PAT00009
Is defined as the number of load containers assigned to block i in the QC work scheduling, and the reference load for block i
Figure 112008031613466-PAT00010
The penalty for load smoothing at block I in k times
Figure 112008031613466-PAT00011
Individual container loading order plan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efined as.
제 1 항에 있어서, 생성된 모든 후보 노드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evaluating all generated candidate nodes, 장치장에서의 재취급에 대한 패널티를 부과하여 평가항목에 반영하고,Penalties for re-handling at the site will be imposed on the assessment items, 패널티 값은 총 적재가능한 단의 수를 k라 하면, 총 기대 재취급 횟수는
Figure 112008031613466-PAT00012
이고, 이를 대상 컨테이너가 위치한 단의 기대 재취급횟수로 나눈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
The penalty value is the total number of stackable stages.
Figure 112008031613466-PAT00012
And determining this by the value divided by the expected rehandling frequency of the stage in which the target container is located.
KR1020080041029A 2008-05-01 2008-05-01 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 KR200901152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29A KR20090115274A (en) 2008-05-01 2008-05-01 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29A KR20090115274A (en) 2008-05-01 2008-05-01 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274A true KR20090115274A (en) 2009-11-05

Family

ID=4155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029A KR20090115274A (en) 2008-05-01 2008-05-01 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5274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20B1 (en) * 2011-11-15 2013-06-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he Method Of Laying Plan Considering Working Completion Time And Job Completion Time Of Crane Work For Loading or Unloading of Cargo Using Train At The Container Terminal
CN107808270A (en) * 2017-10-25 2018-03-16 湖北信鸥供应链管理有限公司 A kind of data intelligence management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based on multimodal transport
CN112862269A (en) * 2021-01-20 2021-05-28 复旦大学 Efficient optimal scheduling algorithm for shore bridge
KR20210061909A (en) * 2019-11-20 2021-05-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Ro-Ro Cargo Shipment Planning
WO2021145579A1 (en) * 2020-01-16 2021-07-22 (주)토탈소프트뱅크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cargo shipping
KR20210092461A (en) 2020-01-16 2021-07-26 (주)토탈소프트뱅크 System and method for cargo ship management
WO2022080510A1 (en) * 2020-10-12 2022-04-21 (주)토탈소프트뱅크 Method for providing container loading work instruction information
WO2023090515A1 (en) * 2021-11-22 2023-05-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ntainer load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20B1 (en) * 2011-11-15 2013-06-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he Method Of Laying Plan Considering Working Completion Time And Job Completion Time Of Crane Work For Loading or Unloading of Cargo Using Train At The Container Terminal
CN107808270A (en) * 2017-10-25 2018-03-16 湖北信鸥供应链管理有限公司 A kind of data intelligence management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based on multimodal transport
KR20210061909A (en) * 2019-11-20 2021-05-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Ro-Ro Cargo Shipment Planning
WO2021145579A1 (en) * 2020-01-16 2021-07-22 (주)토탈소프트뱅크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cargo shipping
KR20210092461A (en) 2020-01-16 2021-07-26 (주)토탈소프트뱅크 System and method for cargo ship management
WO2022080510A1 (en) * 2020-10-12 2022-04-21 (주)토탈소프트뱅크 Method for providing container loading work instruction information
CN112862269A (en) * 2021-01-20 2021-05-28 复旦大学 Efficient optimal scheduling algorithm for shore bridge
CN112862269B (en) * 2021-01-20 2022-03-18 复旦大学 Efficient optimal scheduling method for shore bridge
WO2023090515A1 (en) * 2021-11-22 2023-05-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ntainer loading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The storage location assignment problem for outbound containers in a maritime terminal
KR20090115274A (en) Method for planning load sequence of containers
Dorndorf et al. Scheduling automated triple cross-over stacking cranes in a container yard
Kim et al. A crane scheduling method for port container terminals
Chen et al. A tabu search algorithm for the integrated scheduling problem of container handling systems in a maritime terminal
Kim et al. Deriving decision rules to locate export containers in container yards
Monaco et al. The terminal-oriented ship stowage planning problem
Tao et al. Joint planning of berth and yard allocation in transshipment terminals using multi-cluster stacking strategy
Ambrosino et al. Computational evaluation of a MIP model for multi-port stowage planning problems
Güven et al. Trip allocation and stacking policies at a container terminal
Wang et al. A feasibility-based heuristic for the container pre-marshalling problem
Ambrosino et al. A MIP heuristic for multi port stowage planning
Ambrosino et al. A new three-step heuristic for the master bay plan problem
Parreño-Torres et al. Minimizing crane times in pre-marshalling problems
Parreño-Torres et al. Solution strategies for a multiport container ship stowage problem
Ozcan et al. A reward-based algorithm for the stacking of outbound containers
Iris et al. A survey on the ship loading problem
Li et al. An integer linear programming for container stowage problem
Karakaya et al. Relocations in container depots for different handling equipment types: Markov models
KR100841682B1 (en) Method for generating loading and unloading schedule of quay crane
Golias et al. Scheduling of inbound trucks at a cross-docking facility: Bi-objective vs bi-level modeling approaches
Rahsed et al. A rule-based greedy algorithm to solve stowage planning problem
Chao et al. Minimizing overstowage in master bay plans of large container ships
Liu et al. Randomized algorithm with tabu search for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large containership stowage plans
Hamdi et al. A heuristic for the container stacking problem in automated maritime 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