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153A -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 Google Patents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153A
KR20090115153A KR1020097017241A KR20097017241A KR20090115153A KR 20090115153 A KR20090115153 A KR 20090115153A KR 1020097017241 A KR1020097017241 A KR 1020097017241A KR 20097017241 A KR20097017241 A KR 20097017241A KR 20090115153 A KR20090115153 A KR 2009011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cabinet
refrigeration plant
evaporation tray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에드마르 바아르스
주니어 오타비오 산티니
Original Assignee
월풀 에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풀 에쎄.아. filed Critical 월풀 에쎄.아.
Publication of KR2009011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1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30Insulation with respect to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1Removal by evaporation using compressor heat

Abstract

The invention refers to a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said cabinet (3) defining a housing (1) and carrying, in the latter, a compressor (2) presenting a hermetic casing (2a) and a defrost water evaporating tray (10) comprising: a bottom wall (11), to be seated on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ing (2a) of the compressor (2); and a peripheral wall (12) superiorly projecting from the bottom wall (11),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ng tray (10) carrying a noise absorbing means turned to a noise generation region in said housing (1) and being dimensioned to define a certain reactive impedance and a certain dissipative impedance in the medium of the housing (1) for a determined frequency band.

Description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A REFRIGERATION APPLIANCE}Resonator arrangement for cabinets in refrigeration plants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본 발명은 냉동 설비의 캐비넷, 특히 상기 냉동 설비의 냉동 시스템의 콤프레서(compressor)를 수용하는 그의 영역에 제공되는 공명기 배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영역에 제공된 콤프레서 및/또는 팬(fan)의 작동으로부터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 특별한 방법에서, 본 발명은 냉동 설비의 냉동 시스템의 해동된 물 증발 트레이에 제공되는 공명기 배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증발 트레이는 상기 냉동 시스템의 밀폐된 콤프레서의 케이싱 상에 부착된 형태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nator arrangement provided in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in particular in its region for receiving a compressor of the refrigeration system of the refrigeration plant,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 or fan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housing. It is well known that noise is generated from the photonic acid. In a more particular method, the invention relates to a resonator arrangement provided in a thawed water evaporation tray of a refrigeration system of a refrigeration plant, wherein the evaporation tray is in the form of being attached on a casing of a hermetic compressor of the refrigeration system.

냉장고에 의해 발산된 노이즈는 스펙트럼에서 두 개의 영역으로 한정될 수 있다: 약 2kHz 이하의 진동수와 이러한 값보다 높은 이들 진동수로 한정될 수 있다.Noise emitted by the refrigerator can be limited to two regions in the spectrum: frequencies below about 2 kHz and those frequencies above this value.

보다 낮은 진동수에 의해 한정된 제1 스펙트럼 영역에서, 이러한 냉동 설비의 냉동 시스템의 콤프레서가 장착되는, 냉동 설비의 후방 하부 영역 내에 한정된 하우징의 제1 음파 공명(acoustic resonance)의 여진(excitation)을 통해, 냉동 설비와 콤프레서 사이에 강한 상호작용이 존재한다. 이러한 진동수는 근본적으로 콤 프레서의 하우징의 치수와 콤프레서에 의해 방사된 노이즈의 스펙트럼 구조(spectral composition)에 의존한다. 냉동 설비에서의 다른 공통적인 노이즈 발생원은 콤프레서가 장착되는 하우징 내에서 상기 냉동 설비 내에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팬(fan)이다. 난류에 의해 생성된 높은 진동 노이즈(frequency noises)를 발생시키는 것 외에도, 팬은 회전 진동수에 의해 블레이드의 수를 산출하는 블레이드 통과 진동수(blade passage frequency) 내에서 강한 방사 에너지(strong radiation)를 제공한다.In the first spectral region defined by the lower frequency, through excitation of the first acoustic resonance of the housing defined within the rear lower region of the refrigeration plant, to which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tion system of this refrigeration plant is mounted, There is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the refrigeration plant and the compressor. This frequency is fundamentally dependent on the dimensions of the housing of the compressor and the spectral composition of the noise emitted by the compressor. Another common source of noise in refrigeration plants is a fan that is generally located within the refrigeration plant in the housing in which the compressor is mounted. In addition to generating high frequency noises generated by turbulence, the fan provides strong radiation energy within the blade passage frequency, which calculates the number of blades by rotational frequency. .

진동수가 일반적으로 2kHz 의 위에 있는 제2 스펙트럼 영역에서, 콤프레서는 상기 콤프레서가 냉동 설비에 장착되는 하우징의 구조물 또는 형태의 많은 간섭 없이, 노이즈를 직접 방사한다.In the second spectral region, where the frequency is generally above 2 kHz, the compressor emits noise directly, without much interference of the structure or form of the housing in which the compressor is mounted in the refrigeration plant.

연구 보고서는 노이즈 제어 기술의 여러 실 예 및 적용들에서 다양하다. (한센, 에이치. "노이즈 제어 공학", 2003년, 스폰 출판사; 리용, 알. 에이치., "기계 노이즈 및 진단법", 1987년, 버터워쓰 출판사; 문잘, 엠. 엘. "덕트 및 머플러의 음향학", 1987년, 뉴욕 윌리-인터사이언스).Research reports vary in many examples and applications of noise control techniques. (Hansen, H. "Noise Control Engineering", 2003, Spawn Press; Lyon, R. H., "Machine Noise and Diagnostics", 1987, Butterworth Press; Munzal, M. L. "Acoustics of Ducts and Mufflers" ", Willy-International, New York, 1987).

공지된 종래의 기술에서, 콤프레서(2)가 장착되는 하우징(1)은 방음 소재 MA (도 2)로 코팅되고, 하우징(1)은 또한,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의 내측 벽들에서 상기 소재를 받아들일 수 없는 하우징을 코팅하기 위해 방음 소재 MA 가 내부에 제공되는 단부 리드(end lid)를 한정하는, 플레이트 P 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콤프레서는 하우징(1)을 폐쇄함으로써 하우징(1)의 내측에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In the known prior art, the housing 1 on which the compressor 2 is mounted is coated with soundproof material MA (FIG. 2), and the housing 1 is also in its inner side, as illustrated for example in FIG. 3. The walls can be closed by a plate P, which defines an end lid in which a soundproof material MA is provided therein for coating the housing which cannot accept the material. In this solution, the compressor is kept clos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1 by closing the housing 1.

상술한 제어 기술이 사용될 수 없을 때, 제어는 케이싱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그곳에 대해 완충 요소(dampening elements)를 추가함으로써, 콤프레서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When the control technique described above cannot be used, control must be made in the compressor, either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asing or by adding dampening elements thereto.

이러한 기술들은, 냉동 설비에서 콤프레서를 둘러싸는 하우징의 코팅 및 폐쇄 요소를 장착 및 배치하기 위한 공정에 필요한 기능으로서, 코팅 또는 폐쇄하기 위한 높은 비용의 방음 소재; 콤프레서를 변경시키기 위해 그의 비용을 상승시킬 필요성; 콤프레서 온도의 증대; 팬 효율의 감소; 콤프레서 효율의 감소; 및 냉동 설비를 얻기 위한 공정에서의 부가적인 단계들의 요건과 같은 그러한 결점들을 제공한다.Such techniques include the necessary functionality for a process for mounting and placing coating and closing elements of a housing surrounding a compressor in a refrigeration plant, including: high cost soundproof materials for coating or closing; The need to increase its cost to change the compressor; Increase in compressor temperature; Reduction in fan efficiency; Reduction in compressor efficiency; And such drawbacks as the requirement of additional steps in the process for obtaining the refrigeration plant.

[발명의 목적][Purpose of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낮은 진동수와 높은 진동수의 모두에서, 콤프레서에 의해 방사된 진동수를 넓은 진동수 대역에서 효과적으로 감쇠되게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in a refrigeration plant that allows the frequencies radiated by the compressor to be effectively attenuated in a wide frequency band, both at low and high frequencies.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콤프레서를 수용하는 그의 영역에서, 냉동 설비에 장착된 팬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의 넓은 진동수 대역에서, 효과적인 감쇠를 허용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명기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onator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which allows for effective attenuation in a wide frequency band of noise generated by a fan mounted in a refrigeration installation in its region containing the compressor.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냉동 시스템에 의해 방사된 노이즈의 넓은 진동수 대역에서, 효과적인 감쇠를 허용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명기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onator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which allows for effective attenuation in a wide frequency band of noise radiated by the refrigeration system.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콤프레서가 냉동 설비에서 장착되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공명의 효과적인 감쇠를 허용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명기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onator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which allows for effective damping of the resonance inside the housing in which the compressor is mounted in the refrigeration plant.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냉동 설비에서 콤프레서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방음 코팅을 요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의 치수를 변경하지도 않는 상술한 형태의 공명기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onator arrangement of the type described above which does not require a soundproof coating of the housing in which the compressor is mounted in the refrigeration plant, nor does it change the dimensions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제6 목적은 콤프레서 케이싱의 치수 및/또는 두께를 변경시키는 것을 요하지 않는 상술한 형태의 공명기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onator arrangement of the type described above that does not require changing the dimensions and / or thickness of the compressor casing.

[발명의 요약][Summary of invention]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하우징을 한정하고, 이 하우징내에 지지되는 캐비넷, 밀폐된 케이싱을 제공하는 압축기, 및 해동된 물 증발 트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해동된 물 증발 트레이는, 압축기의 케이싱의 상부 부분상에 설치되는 바닥 벽; 및 이 바닥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상부 주변 벽을 구비하고, 증발 트레이의 주변 벽과 바닥 벽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 내의 노이즈 발생 영역을 향한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에서 전체적으로 노이즈 흡수 수단을 지지하며, 예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하우징의 매개체 내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와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도록 치수가 설정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의 설비를 통해 얻어진다.Thes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 a housing and include a cabinet supported within the housing, a compressor providing a sealed casing, and a thawed water evaporation tray, wherein the thawed water evaporation tray comprises a casing of the compressor. A bottom wall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nd an upper peripheral wall projecting from the bottom wall,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wall and the bottom wall of the evaporation tray supports the noise absorbing means as a whole in the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facing the noise generating area in the housing, the predetermined frequency For the band, it is obtained through the provision of a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the refrigeration plant, dimensioned to define the desired reactive impedance and the desired dispersible impedance within the medium of the housing.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들의 실례에 의해 주어진 첨부 도면을 참 조하여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f possibl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도 1은 증발 트레이를 상부에서 외측으로 지지하는 냉동 콤프레서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아래에서 후방으로 한정하는 냉동 설비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1 schematically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ing installation defining from below a rear a housing on which a refrigeration compressor for supporting an evaporation tray from top to outside is mounted.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내지만, 여기서 냉동 콤프레서가 장착되는 하우징은 종래 기술에 따라서 노이즈 흡수 소재로 코팅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 diagrammatically shows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illustrated in FIG. 1, wherein the housing in which the refrigeration compressor is mounted is coated with a noise 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냉동 설비의 부분적인 측 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며 종래 기술에 따라 구성된 노이즈 흡수 벽에 의해 폐쇄된 냉동 콤프레서 하우징을 가지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3 show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ion plant illustrated in FIG. 1 and shows having a refrigeration compressor housing closed by a noise absorbing wall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증발 트레이를 지지하는 냉동 콤프레서의 확대된 도면을 도식적으로 나타내지만, 상기 증발 트레이는 본 발명의 제1 구조적인 선택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4 schematically shows an enlarged view of a refrigeration compressor supporting an evaporation tray, as illustrated in FIG. 1, but showing that the evaporation tray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first structural choice of the invention. .

도 4a는, 도 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증발 트레이에 대한 제1 구조적인 선택의 변형 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4a schematically illustrates a variant of the first structural choice for an evaporation tray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4.

도 5는 도 4에서 예시된 증발 트레이의 평면도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lan view of the evaporation tray illustrated in FIG. 4.

도 6은 상기 도 5에서 표시된 라인 VI-VI 를 따라서 취한 도 5에서 예시된 증발 트레이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ion tray illustrated in FIG. 5 taken along the line VI-VI indicated in FIG. 5 above.

도 7은, 도 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구조적인 선택을 위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matic view of a diagram for a second structural selection of the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5.

도 8은, 도 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도 7에서 표시된 제2 라인 VIII-VIII 을 따라서 취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view taken along the second line VIII-VIII indicated in FIG. 7, as illustrated in FIG. 6.

도 9는, 도 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및 제4의 구조적인 선택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matic view of the drawings for the third and fourth structural selections of the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5.

도 9a는, 도 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도 9에서 예시된 제3 및 제4의 구조적인 선택의 구조적인 변형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9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agram of a structural variant of the third and fourth structural selections illustrated in FIG. 9, as illustrated in FIG. 9.

도 10은 도 9에서 표시된 제2 라인 X-X 를 따라 취한 도 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matic view of the diagram as illustrated in FIG. 8 taken along the second line X-X indicated in FIG. 9.

도 11은, 도 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의 구조적인 선택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agram for a four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9.

도 12는, 도 1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도 11에서 표시된 제2 라인 XII-XII 을 따라 취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iew taken along the second line XII-XII indicated in FIG. 11, as illustrated in FIG. 10.

도 13은, 도 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의 구조적인 선택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agram for a fif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9.

도 14는, 도 1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도 13에서 표시된 제2 라인 XIX-XIX 을 따라 취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iew taken along the second line XIX-XIX indicated in FIG. 13, as illustrated in FIG. 13.

도 15a는, 도 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의 구조적인 선택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5A is a diagrammatic view of a diagram for a six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8.

도 15b는, 도 15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의 구조적인 선택의 변형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5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ariant of a six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5A.

도 15c는, 도 15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의 구조적인 선택의 또 다른 변형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5C is a diagrammatic view of another variant of the six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5A.

도 15d는, 도 15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의 구조적인 선택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5D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agram for the seven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5A.

도 16a는, 도 1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도 9에서 표시된 제2 라인 XVI-XVI 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제8의 구조적인 선택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6A is a diagrammatic view of a diagram of an eigh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invention taken along the second line XVI-XVI indicated in FIG. 9, as illustrated in FIG. 10.

도 16b는, 도 16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의 구조적인 선택의 변형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6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agram of a variant of the eigh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6A.

도 16c는, 도 16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의 구조적인 선택의 또 다른 변형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6C is a diagrammatic view of a diagram of another variant of the eigh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6A.

도 17a는, 도 1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도 9에서 표시된 라인 XVII-XVII 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9의 구조적인 선택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7A is a diagrammatic view of a nin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s XVII-XVII indicated in FIG. 9, as illustrated in FIG. 10.

도 17b는, 도 17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의 구조적인 선택의 제1 변형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7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agram of a first variant of the nin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7A.

도 17c는, 도 17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의 구조적인 선택의 제2 변형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7C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agram for a second variant of the nin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7A.

도 17d는, 도 17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의 구조적인 선택의 제3 변형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7D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agram of a third variant of the nin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7A.

도 17e는, 도 17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의 구조적인 선택의 제4 변형에 대한 도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7E is a diagrammatic view of a diagram of a fourth variant of the ninth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7A.

<예시된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냉장고 또는 냉동기의 형태로 된) 냉동 설비의 캐비넷(3)의 후방 하부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상술한 하우징(1)의 영역에서 생긴 노이즈를 감쇠시키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ution for attenuating noise generated in the region of the housing 1 described above, which is provided in the rear lower region of the cabinet 3 of the refrigeration plant (eg in the form of a refrigerator or freezer). .

상기 하우징(1)은 상기 냉동 설비의 캐비넷(3)의 후방 벽(3a)에 있는 리세스(recess)에 의해 정의된다.The housing 1 is defined by a recess in the rear wall 3a of the cabinet 3 of the refrigeration plant.

예시된 바와 같이, 콤프레서(2)는 냉동 설비의 냉동 시스템의 해동 공정(defrost process)으로부터 나오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기 위한 치수로 된 증발 트레이(4)를 상부에 가지며, 상기 증발 트레이(4)는 상기 냉동 시스템의 콤프레서(2)의 밀폐된 케이싱(2a)에 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As illustrated, the compressor 2 has an evaporation tray 4 dimensioned for receiving and storing water from the defrost process of the refrigeration system of the refrigeration plant, the evaporation tray 4 being It is attached to the sealed casing (2a) of the compressor (2) of the refrigeration system.

이러한 구조적인 해결책에서, 콤프레서(2)의 케이싱(2a)위에 증발 트레이(4)를 배치시키는 것은 첫째 작동중에 콤프레서(2)에 의해 생긴 열에 노출되게 하여, 수집된 물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증발 트레이(4)는 본 발명의 해결책의 특징이 아닌, 아교, 접착제 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콤프레서(2)에 지지된다.In this structural solution, placing the evaporation tray 4 on the casing 2a of the compressor 2 is to expose it to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pressor 2 during the first operation, thereby promoting the evaporation of the collected water. The evaporation tray 4 is supported by the compressor 2 by suitable means, such as glue, adhesive or the like, which is not a feature of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구조에서, 증발 트레이(4)는 고저항 폴리프로필렌(highly- resistant polypropylene)과 같은 고온-저항 플라스틱 소재로 생 산되고, 이것이 적용될 냉동 시스템에 의해 요구된 해동된 물의 수집 량을 한정하기에 충분한 높이를 갖는 주변 벽(4b)을 내장하는 바닥 벽(4a)을 구비하는 그의 최종 형태로 사출성형된다. 구조적인 선택으로서, 증발 트레이(4)는 단일체로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a possible configuration, the evaporation tray 4 is produced from a high-resistance plastic material, such as highly-resistant polypropylene, of which thawed water is required by the refrigeration system to which it is applied. It is injection molded into its final form with a bottom wall 4a which houses a peripheral wall 4b having a height sufficient to limit the collection amount. As a structural choice, the evaporation tray 4 is formed as a single piece.

증발 트레이(4)의 바닥 벽(4a)에는 콤프레서(2)의 케이싱(2a)의 단부 면의 소정 연장부상에 배치되도록 치수가 설정된, 전체적으로 하부 표면으로서 정의되는, 하부 리세스(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하부 리세스는 콤프레서(2)의 케이싱(2a)의 상기 상부 부분상에 증발 트레이(4)를 설치 및 배치하고, 상기 케이싱(2a)상에 대한 위치설정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콤프레서(2)와의 열 교환을 증가시키기 위해, 콤프레서(2)의 케이싱(2a)의 상부 부분의 윤곽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치수가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The bottom wall 4a of the evaporation tray 4 has a lower recess (not shown), which is defined as an overall lower surface, dimensioned to be placed on a predetermined extension of the end face of the casing 2a of the compressor 2. Is provided. The lower recess installs and positions the evaporation tray 4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2a of the compressor 2, increases the stability of positioning on the casing 2a, and the compressor 2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n order to increase heat exchange with, it can be formed and dimensioned to follow the contour of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2a of the compressor 2.

본 발명에 따라서, 하우징(1)내의 노이즈 감쇠(noise attenuation)는 상기 하우징(1)에서 노이즈 발생 지역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노이즈 흡수 수단을 가지는 증발 트레이(10)의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얻어지며, 상기 노이즈 흡수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특정 진동수 대역 또는 노이즈가 발생되는 모든 진동수에 대해, 하우징(1)의 매개물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와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도록 치수가 설정된다. 증발 트레이(10)가 지니는 노이즈 흡수 수단은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개념 내에서 상이한 구조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그의 일부가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noise attenuation in the housing 1 is obtained by providing a facility of the evaporation tray 10 having noise absorbing means arranged in the housing 1 towards the noise generating area, The noise absorbing means are dimensioned to define a predetermined reactive impedance and a predetermined dissipative impedance in the medium of the housing 1 for at least one determined specific frequency band or for all frequencies at which noise occurs. The noise absorbing means possessed by the evaporation tray 10 may take different structural forms within the concepts presented herein, some of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 설비의 하우징(1)내에 장착된 콤프레서(2) 또는, 예를 들면, 팬(fans)과 같은 다른 공급원에 의해 방사된 노이즈를 감쇠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노이즈 흡수 수단은 또한 냉동 설비의 캐비넷(3)의 하우징(1)내에서 생겨난 공명(resonances)의 효과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below, the invention allows attenuation of noise emitted by the compressor 2 mounted in the housing 1 of the refrigeration plant or by another source such as, for example, fans. Moreover, the noise absorb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to partially or partially cancel out the effect of resonances which occur in the housing 1 of the cabinet 3 of the refrigeration plant.

본 발명의 증발 트레이(10)는 공지 기술의 증발 트레이(4)의 그것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구조로 배열되는 바닥 벽(11)과 주변 벽(12)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노이즈 흡수 수단은 증발 트레이(10)에 제공되고, 증발 트레이(10)의 바닥 벽(11)과 주변 벽(12)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resonator conduct)(20)를 구비하며, 상기 증발 트레이(10)내에 배열된 상기 공명기 전도체(20)는 공명기 전도체(20)의 제1 단부(21)가 하우징(1)의 노이즈 발생 영역을 향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공명기 전도체(20)는 또한 제1 단부(21)의 반대쪽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제2 단부(22)를 제공한다.The evaporation tra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ttom wall 11 and a peripheral wall 12 arranged in a structure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evaporation tray 4 of the known art. In the method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noise absorbing means is provided in the evaporation tray 10 and at least one arranged along at least one extension of the bottom wall 11 and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A resonator conductor 20 of which the resonator conductor 20 arranged in the evaporation tray 10 has a first end 21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generating noise in the housing 1. It is formed so as to face the area. Resonator conductor 20 also provides a second end 22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way from the first end 21.

비록 본 발명의 목적이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로 달성될 수 있다고 할 찌라도, 도 4 내지 도 14에서 기술되고 예시된 구조적인 형태들은, 바닥 벽(11)과 주변 벽(12)의 적어도 하나에서, 다수의 공명기 전도체(20)를 구비하는 노이즈 흡수 수단을 가지는 증발 트레이(10)를 제공하며, 그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술한 배열을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각각의 제1 단부(21)는 하우징(1)내의 노이즈 발생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적어도 하나의 확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하우징(1)의 매개체 내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 스와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도록 산출되는 확정된 길이와 확정된 직경을 제공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공명기 전도체(20)의 길이는 감쇠되는 것이 바람직한 진동수 또는 진동수 대역을 고려하여 산출되고, 공명기 전도체(20)의 길이들 사이의 차이는 각각의 경우에 대해, 즉 각각의 하우징(1)의 고려될 특성에 대해 요구된 감쇠와 진동수 대역 폭(band width)에 의존한다.Althoug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with one resonator conductor 20, the structural form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FIGS. 4 to 14 are characterized by at least the bottom wall 11 and the peripheral wall 12. In one, there is provided an evaporation tray 10 having noise absorbing means having a plurality of resonator conductors 20, at least a portion of which provides the arrangement described above, wherein each first of each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is provided. The end 21 is arranged to face the noise generating area in the housing 1. Each resonator conductor 20 has a defined length and a determined diameter calculated to define a predetermined reactive impedance and a predetermined dispersive impedance within the medium of the housing 1 for at least one determined frequency band. Dimensioned to provide. The length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calculated taking into account the frequency or frequency band at which it is desired to be attenua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is to be considered for each case, i.e. of each housing 1. It depends on the attenuation and frequency band width required for the characteristic.

본 발명에 따라서, 여기서 기술된 구조물들의 어느 하나에서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은, 그들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거나 또는 변하는 횡단면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횡단면의 윤곽과 작용(behavior)은 얻어질 감쇠 효과, 및 그들을 형성하기 위한 용이성(facility), 등의 기능으로서 정의된다. 바람직한 감쇠 개념내의 가능한 횡단면의 일부는, 섬유 소재의 구멍들(fibrous material pores)의 경우처럼, 변형에 관해서는: 원통형, 원추형, 지수형(exponential) 또는 스텝형(stepped)이고, 윤곽에 관해서는: 직사각형, 원형, 다각형과 같은 그러한 규칙형, 또는 심지어는 불규칙형이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in any of the structures described herein can provide a constant or varying cross section along their length, the contour and behavior of the cross section being to be obtained. Function as damping effect, and facilility for forming them. Some of the possible cross sections within the preferred damping concept are, as in the case of fibrous material pores, in terms of deformation: cylindrical, conical, exponential or stepped, and in terms of contours. : Regular or even irregular such as rectangular, circular, polygonal.

바람직한 효과를 얻기 위해, 공명기 전도체(20)는 바람직한 제어 레벨을 제공하는 진동수 또는 진동수 대역에서 튜닝(tuned)되어야 하며, 이 튜닝은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폐쇄되든 개방되든, 제2 단부(22)의 말단부의 길이 및 형태를 통해 얻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the resonator conductor 20 must be tuned at a frequency or frequency band that provides the desired level of control, which tuning, whether closed or open, of the second end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Obtained through the length and shape of the distal end of (22).

본 발명의 양호한 형태에서,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제2 단부(22)는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제2 단부(22)는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조건은 증발 트레이(10)내에서 및/또는 아래에서 기술될 관형 슬리브(30) 또는 주 변 링(40)과 같은 그러한 상기 공명기 전도체(20)를 지지하는 다른 본체에서 또한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배열 및 바람직한 감쇠 특성의 기능으로서 정의된다.In a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the second end 22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closed. Howev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econd end 22 can be open, and the condition is such as the tubular sleeve 30 or the peripheral ring 40 to be described in and / or below the evaporation tray 10. In other bodies supporting such resonator conductors 20 are also defined as the function of the arrangement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and the desired damping characteristics.

공명기 전도체(20)의 수량은 여러 상이한 진동수에서 콤프레서(2)에 의해 방사된 노이즈를 상쇄시키기 위해, 상이한 진동수에서 그의 튜닝을 고려하여 산출된다. 그러한 진동수는 분리되거나 또는 폐쇄되어, 감쇠 대역(attenuation band)을 형성할 수 있다.The quantity of resonator conductor 20 is calculated taking into account its tuning at different frequencies in order to offset the noise radiated by the compressor 2 at several different frequencies. Such frequencies may be separated or closed to form an attenuation band.

증발 트레이(10)는, 예를 들면, 도 4, 도 4a,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의 바닥 벽(11)과 주변 벽(12)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및 외측 표면들의 하나를 통해, 내장됨으로써, 공명기 전도체(20)의 형태로, 본 명세서에서, 노이즈 흡수 수단을 가지거나, 또는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도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 트레이(10)의 바닥 벽(11) 또는 주변 벽(12) (또는 양쪽)의 두께에서 어느 한쪽에 형성된다.The evaporation tray 10 is one of at least one inner and outer surface of its bottom wall 11 and its peripheral wall 12, as illustrated, for example, in FIGS. 4, 4A, 7 and 8. By being embedded therein, in the form of a resonator conductor 20, in this specification, each resonator conductor 20 has a noise absorbing means, or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also evaporated,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It is formed on either side 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wall 11 or the peripheral wall 12 (or both) of the tray 10.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공명기 전도체(20)를 제공하는 증발 트레이(10)의 각각의 바닥 벽(11) 및/또는 주변 벽(12)의 인접한 표면 부분이, 예를 들면,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단일 피스(piece)로서 한정하는 경우에, 상기 공명기 전도체(20)가 증발 트레이(10)의 각각의 벽의 두께에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서처럼(도 11 내지 도 14), 전체적으로 내장된다 (도 4, 도 4a, 도 7 및 도 8). 이러한 경우에, 공명기 전도체(20)의 횡단면을 보완하는 부분은 관형 슬리브(30), 주변 링(40)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또한 증발 트레이(10)에 형성된 공명기 전도체(20)에 장착되어, 상기 공명기 전도체(20)가 설계 된 진동수 대역에서 노이즈를 감쇠시키기 위한,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길이를 따라, 그의 폐쇄된 횡단면에서 일어나는,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주변 윤곽을 보완하는 각각의 보완 부재를 적절한 수단에 의해 각 공명기 전도체(20)에 결합시킴으로써, 아래에서 기술된 구조적인 형태들 중의 하나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an adjacent surface portion of each bottom wall 11 and / or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providing a resonator conductor 20, for example the resonator. In the case of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conductor 20 as a single piece, as in the case where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formed partially or at the thickness of each wall of the evaporation tray 10 (Fig. 11 to 14), as a whole (FIG. 4, FIG. 4A, FIG. 7 and FIG. 8). In this case, the part which complements the cross sec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mounted by using the tubular sleeve 30, the peripheral ring 40, or also attached to the resonator conductor 20 formed in the evaporation tray 10, said Each resonator conductor 20 complements the peripheral contour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which occurs in its closed cross section, along at least the length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for attenuating noise in the designed frequency band. By coupling the complementary member to each resonator conductor 20 by appropriate means, it can be defined by one of the structural forms described below.

공명기 전도체(20)를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노이즈 흡수 수단을 구성하기 위해 하우징(1)내에서 감쇠될 노이즈의 분배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증발 트레이(10)내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상이한 배열의 설비와, 같은 배열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수량을 허용하며, 증발 트레이(10)의 같은 치수 및 배열 특성은 가장 높은 노이즈가 하우징(1)내에서 검출되는 영역과 이 영역에서 감쇠될 진동수 대역의 기능으로서 산출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공명기 전도체(20)는 같은 값을 갖는 직경 및 길이 매개 변수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그러나, 공명기 전도체(20)의 치수는 의도된 감쇠의 결과에 따라 같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감쇠될 수파수 대역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그러한 치수들은, 비록 서로 약간만 상이하다고 해도, 상이한 것이다. 감쇠가 예정된 더욱 좁은 진동수 대역에서 더 커야 한다면, 공명기 전도체(20)는 같은 치수를 가져야 한다.Using the resonator conductor 20, in view of the distribution of the noise to be attenuated in the housing 1 in order to construct the noise absorbing means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in the evaporation tray 10. With the arrangement of the arrangement and the quantity of resonator conductors 20 of the same arrangement, the same dimensions and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evaporation tray 10 are such that the highest noise is detected in the housing 1 and that it will be attenuated in this region. It is calculated as a function of the frequency band. In the method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resonator conductor 20 provides at least one of the diameter and length parameters having the same value.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mensions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ult of the intended attenuation. Thus, if it is desirable to widen the frequency band to be attenuated, such dimensions are different, although only sligh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the attenuation should be greater in the intended narrower frequency band, the resonator conductor 20 should have the same dimensions.

공명기 전도체(20)는 음파(sound waves)의 전달을 방지 또는 감쇠하고, 이들 음파를 반사 또는 분산시키기 위해, 증발 트레이(10)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한 공명기 전도체(20)는 임피던스를 국부적으로 변경시킨다. 최대 모드 압력(maximum modal pressure)의 영역에서 적용될 때, 공명기 전도체(20)는 하우징(1)의 영역으로부터 에너지를 철회(분산)시키도록 작용하여, 공명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인 방식에서, 공명기 전도체(20)는 이들이 튜닝되는 진파수에서 음향의 감쇠(acoustic attenuation)를 증가시킨다.Resonator conductor 20 is supported by evaporation tray 10 to prevent or attenuate the transmission of sound waves and to reflect or disperse these sound waves. Such resonator conductor 20 changes the impedance locally. When applied in the region of maximum modal pressure, the resonator conductor 20 acts to withdraw (dissipate) energy from the region of the housing 1, reducing the effect of resonance. In a general manner, the resonator conductor 20 increases the acoustic attenuation of the sound in the frequency at which they are tuned.

증발 트레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 벽(11)과 주변 벽(12)의 적어도 하나에서, 또는 관형상 슬리브(30) 또는 주변 링(40)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한정된 공명기 전도체(20)를 지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The evaporation tray 10 is directly defined, at least in part, at least one of the bottom wall 11 and the peripheral wall 12, as described above, or through the tubular sleeve 30 or the peripheral ring 40.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resonator conductor 20 can be supported.

증발 트레이(10)가 공명기 전도체(20)를 지지하는 가능한 모든 형태에 대해, 냉동 설비의 캐비넷(3)의 하우징(1)의 치수를 설정하는 기능으로서, 공명기 전도체(20)는 양호하게는 증발 트레이(10)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최대로 일치하여, 상기 증발 트레이(10)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대적으로 돌출하지 않고, 증발 트레이(10)상에서 상부에 배치된 그들의 단부를 가져야 한다. 증발 트레이(10)상에서 아래에 배치된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단부는 상기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의 하부 윤곽의 범위를 넘어서 위치될 수 있고, 이러한 돌출하는 위치는 냉동 콤프레서(1)상에 대한 증발 트레이(10)의 배열과 간섭하지 않고, 냉동 콤프레서(1)의 치수 및 작동과도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As a function of setting the dimensions of the housing 1 of the cabinet 3 of the refrigerating plant, the resonator conductor 20 preferably evaporates for all possible forms in which the evaporation tray 10 supports the resonator conductor 20. In maximum agreement with the upper edge of the tray 10, they should have their ends disposed above on the evaporation tray 10 without relatively protruding from the upper edge of the evaporation tray 10. The end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disposed below on the evaporation tray 10 may be positioned beyond the range of the lower contour of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the protruding position being refrigerate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evaporation tray 10 on the compressor 1, nor does it interfere with the dimensions and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ompressor 1.

증발 트레이(10)가 관형 슬리브(30)를 지지하는 구조에서, 관형 슬리브(30)는 이것에 대해 내부에서 또는 외부에서 증발 트레이(10)의 바닥 벽(11)과 주변 벽(12)의 하나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인접한 바닥 벽(11) 또는 주변 벽(12)의 전체 주변 윤곽의 주위에 배치되며, 증발 트레이(10)와 관형 슬리브(30)의 부품들에 의 해 한정된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의 횡단면은 상기 부품들의 각각에서 부분적으로 한정된다.In a structure in which the evaporation tray 10 supports the tubular sleeve 30, the tubular sleeve 30 has one of the bottom wall 11 and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therein or external thereto. At least one resonator provided adjacent and disposed around the entire peripheral contour of the adjacent bottom wall 11 or peripheral wall 12 and defined by the components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tubular sleeve 30. The cross section of the conductor is partially defined in each of the parts.

관형 슬리브(30)는 이것을 지지하는 증발 트레이(10)의 벽의 길이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에워싸며,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의 상기 벽과 관형 슬리브(30)의 마주보고 인접한 표면들의 하나에서 한정된 횡단면의 일부를 가진다.The tubular sleeve 30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wall of the evaporation tray 10 supporting it, each resonator conductor 20 of the tubular sleeve 30 and the wall of the evaporation tray 10. It has a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defined opposite one of the adjacent surfaces.

본 발명을 수행하는 이러한 방법에서,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은 두 부품들의 상보 관계(complementation)로부터 한정된 그들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공한다: 한 부품은 증발 트레이(10)의 벽에서 한정되고 다른 부품은 증발 트레이(10)에 의해 지지된 관형 슬리브(30)에 의해 한정된다.In this method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provides at least a portion of their length defined from the complementation of the two components: one component is defined at the wall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other part is defined by the tubular sleeve 30 supported by the evaporation tray 10.

예시된 구조에서, 관형 슬리브(30)는 구조적인 강도의 기능으로서 미리 한정된 예정된 벽 두께, 이것이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전도체의 횡단면을 제공하며, 상기 관형 슬리브(30)는 증발 트레이(10)의 인접한 표면과 마주보는 내부 표면을 제공하고, 공명기 전도체(20)의 윤곽 및 횡단면은 관형 슬리브(30)의 인접한 마주보는 표면들과 증발 트레이(10)의 인접한 벽의 각각에서 부분적으로 한정된다.In the illustrated structure, the tubular sleeve 30 provides a predetermined wall thickness predefined as a function of structural strength, the cross section of the conductor which it defines in part, wherein the tubular sleeve 30 is an adjacent surface of the evaporation tray 10. It provides an inner surface facing away, the contour and cross sec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being defined in part at each of the adjacent opposing surfaces of the tubular sleeve 30 and the adjacent wall of the evaporation tray 10.

본 발명에 따라서,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하나는, 수직하거나 또는 곡선의 형태로, 각각의 바닥 벽(11) 및/또는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 및/또는 관형 슬리브(30)의 연장부를 따라서 연장하는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진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공명기 전도체(20)는 그들의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공명기 전도체(20)는 그들의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수직하게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in the form of a vertical or curved line, has a peripheral wall 12 and / or a tubular sleeve of each bottom wall 11 and / or evaporation tray 10. At least a portion of its length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of 30). In the method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resonator conductors 20 are form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ir extensions perpendicular. In the method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resonator conductors 20 are formed vertically in at least part of their extensions.

본 발명의 구조적인 변형에서, 적어도 두 개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서로 평행하거나, 또는 공명기 전도체(20)의 세트(sets)에서 서로 평행하며, 상기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 및/또는 관형 슬리브(30)의 각각의 일부분에서 수직하거나 또는 수평하게 배열된다.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의 배열은 또한 증발 트레이(10)의 벽 및/또는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공되는 관형 슬리브(30)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관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배열은 예를 들면 공명기 전도체(20)가 제공되는 상기 벽에 대해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증발 트레이(10)의 인접한 벽에 관하여 공명기 전도체(20)의 다른 기울기를 갖는 이러한 구조적인 배열들은 또한 상기 공명기 전도체(20)가 관형 슬리브(30)에 의해 또는 주변 링(40)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지지되는 구조에서 일어난다.In a structural variant of the invention, at least two resonator conductors 20 are parallel to each other or parallel to each other in sets of resonator conductors 20, the resonator conductors 20 being evaporated tray 10 and And / or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in each portion of the tubular sleeve 30. The arrangement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may als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all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 or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tubular sleeve 30 provid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The arrangement is for example form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wall on which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provided. These structural arrangements with different inclina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wall of the evaporation tray 10 also allow the resonator conductor 20 to be partially supported by the tubular sleeve 30 or by the peripheral ring 40. Or in a fully supported structure.

예를 들면, 평행하거나, 수평하거나, 수직하거나, 경사지거나, 일직선이거나, 곡선모양이거나, 또는 그의 조합인 공명기 전도체(20)의 형태는 상기 공명기 전도체(20)가 하우징(1)내에서 수행해야 하는 원하는 감쇠 효과(attenuation effect)에 달려있고, 및/또는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부의 노이즈 발생 영역에 관한 방향에 달려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that is parallel,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straight, curved, or a combination thereof requires that the resonator conductor 20 be carried out within the housing 1. It depends on the desired attenuation effect and / or on the direction of the noise generating region of at least one first end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도 4a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상에서 수평으로 배치되고, 다른 것들은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들을 지지하는 부분에서, 공명기 전도체(20)의 배열은 노이즈가 감쇠되는 하우징(1)의 영역에 대한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필요한 방향설정의 기능으로서 한정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증발 트레이(10) 및/또는 관형 슬리브(30)상에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공명기 전도체(20)의 다발들(bundles)을 갖는 가능한 구조는 또한 공명기 전도체(20)의 각각의 다발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제1 단부(21)가 감쇠될 하우징(1)의 결정된 영역으로 방향이 정해지도록 한정되며, 공명기 전도체(20)의 상기 다발들은 제1 단부(21)의 다발이 향해지는 각각의 영역에서 감쇠될 진동수 대역의 기능으로서 치수가 설정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FIG. 4A,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others are disposed vertically. In the part supporting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rrangement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is limited as a function of the necessary orienta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relative to the area of the housing 1 where the noise is attenuated. Thus, a possible structure with bundles of resonator conductors 20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evaporation tray 10 and / or tubular sleeve 30 is also possible for each bundle of resonator conductors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The first end 21 of 20 is defined to be oriented to the determined area of the housing 1 to be attenuated, wherein the bundles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are each directed towards the bundle of the first end 21. The dimension is set as a function of the frequency band to be attenuated in the region.

본 발명의 공명기 전도체(20)의 배열은 각 공명기 전도체를 상이한 진동수에서 튜닝시키지만,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배열에 의해 감쇠될 넓은 진동수 대역을 초래하기 위해, 또 다른 공명기 전도체(20), 예를 들면 인접한 공명기 전도체(20)의 그것에 매우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unes each resonator conductor at a different frequency, but in order to result in a wider frequency band to be attenuated by the arrangement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eg another resonator conductor 20, eg For example, it is located very close to that of the adjacent resonator conductor 20.

공명기 전도체(20)가 증발 트레이(10)의 각각의 벽의 인접한 표면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구조적인 형태에서, 이들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의 상기 벽 표면 부분에 부착된 폐쇄된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는 공명기 전도체(20)의 횡단면의 일부분을 한정할 수 있고, 한편 다른 부분은 증발 트레이(10)와 관형 슬리브(30)의 부분들에 의해 한정된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주변 윤곽을 성취하기 위해, 증발 트레이(10)상에 배치된 관형 슬리브(30)의 인접한 마주보는 표면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선택에서,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와 관형 슬리브(30)의 마주보는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형성된, 전술한 리세스에 의해 한 정된다.In a structural form in which resonator conductors 20 are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adjacent surface portions of each wall of evaporation tray 10, these resonator conductors 20 attach to the wall surface portions of evaporation tray 10. Or a pipe may define a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while the other portion is in the portions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tubular sleeve 30. In order to achieve a peripheral contour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defined by it, it is defined by adjacent opposing surface portions of the tubular sleeve 30 disposed on the evaporation tray 10. In this structural choice,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defined by the recess described abov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tubular sleeve 30.

도 4 내지 도 6에서 예시된 구조적인 선택에서, 공명기 전도체(20)는, 예를 들면, 증발 트레이(10)의 형성중, 증발 트레이(10)를 갖는 단일 피스에서 한정되며, 상기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를 형성하는 몰드에서 미리 한정된다. 그러나, 공명기 전도체(20)는, 예를 들면, 그의 주변 벽(12)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각각 공명기 전도체(20)를 한정하는 다수의 파이프를 장착함으로써, 증발 트레이(10)의 형성 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형에서, 주변 벽(12)은 공명기 전도체(20)가 수용되거나 및/또는 유지되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인접한 주변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의 주변 윤곽의 전체 또는 주변 플랜지 주위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In the structural selection illustrated in FIGS. 4 to 6,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defined in a single piece with the evaporation tray 10, for example during the formation of the evaporation tray 10, the resonator conductor ( 20 is previously defined in the mold forming the evaporation tray 10. However,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provided after formation of the evaporation tray 10, for example by mounting a plurality of pipes, each defining a resonator conductor 20, for at least a portion of its peripheral wall 12. Can be. In this structural variant, the peripheral wall 12 may be hollow in which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received and / or maintained, or supports adjacent peripheral edge portions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and evaporates the evaporation. It may support the entirety of the peripheral contour of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tray 10 or the peripheral flange peripheral portion.

도 4, 도 4a,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구조적인 변형에서, 공명기 전도체(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증발 트레이(10)의 형성중, 증발 트레이(10)와 함께 단일 피스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공명기 전도체(20)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주변 벽(12)의 외측 표면에 부착된다. 공명기 전도체(20)를 내장하는 증발 트레이(10)의 구조적인 형태가 감소된 비용으로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한편, 장착 및/또는 부착에 의해, 증발 트레이(10)에서 상기 공명기 전도체(20)를 지지하는 구조적인 형태는 감쇠될 더욱 높은 량의 노이즈를 가질 것 같은 하우징(1)의 결정된 영역에 대해, 그리고 국부적으로 감쇠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동수 대역에 대해 상술된 공명기 배열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더욱 높은 유연성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의 다른 장점은 그러한 배열이 이미 상용화된 증발 트레이에서 또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In the structural variant illustrated in FIGS. 4, 4 a, 7 and 8,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during the formation of the evaporation tray 10, with the evaporation tray 10. Together provided as a single piece, or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12 by suitable means. The structural form of the evaporation tray 10 incorporating the resonator conductor 20 provide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at a reduced cost, while mounting and / or attaching the evaporation tray. The structural form supporting the resonator conductor 20 at 10 is for a determined area of the housing 1 that is likely to have a higher amount of noise to be attenuated, and to one or more frequency bands to be locally attenuated. It offers the advantage of higher flexibility in the preferred form of the resonator arrangement described above. Another advantage of this structure is that such an arrangement can also be provided in an already commercially available evaporation tray.

아래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조적인 선택에서, 증발 트레이(10)는 그의 주변 벽(12)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의 주위에서, 공명기 전도체(20)를 전체적으로 (도 9, 도 9a 및 도 10) 또는 부분적으로 (도 11 내지 도 14) 한정하는 관형 슬리브(30)를, 장착함으로써 공명기 전도체(20)를 지지한다.In another structural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evaporation tray 10 is configured to resonate the resonator conductor 20 entirely (at least in part around the contour of its peripheral wall 12) (FIGS. 9, 9A and Resonator conductor 20 is supported by mounting a tubular sleeve 30, which is defined in FIG. 10 or in part (FIGS. 11-14).

도 9a에서 예시된 구조적인 형태에서, 관형 슬리브(30)는 상기 관형 슬리브(30)가 그곳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증발 트레이(10)의 상기 주변 벽(12)의 외측 표면과 마주보는 내측 표면을 가지도록, 증발 트레이(10)의 인접한 주변 벽(12)의 전체 윤곽의 주위에서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관형 슬리브(30)는, 그 주위에 단단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의 그것과 일치하거나, 또는 이 설계에서 이미 한정된 방사상의 갭과 일치하는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In the structural form illustrated in FIG. 9A, the tubular sleeve 30 has an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in which the tubular sleeve 30 is provided adjacent thereto. So that it is mounted around the entire contour of the adjacent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In this structure, the tubular sleeve 30 coincides with that of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or in accordance with the radial gap already defined in this design, so as to be firmly installed around it. It is formed to provide a profile.

도 9에서 예시된 구조에서, 증발 트레이(10)는 증발 트레이(10)와 관형 슬리브(30)의 상기 부분들에 제공된 암-수 형태(male-female type)의 피팅(fittings), 클램프, 접착제와 같은 그러한 적절한 수단,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기 증발 트레이(10)에 부착된 관형 슬리브(30), 그의 주변 벽(12)의 윤곽의 일부분의 주위에 지지된다. 이러한 예시된 구조에서, 증발 트레이(10)에 대한 관형 슬리브(30)의 고정은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의 인접한 가장자리에 대항하여 내측 플랜지(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는 기계적인 간 섭, 클램프, 스크류 등과 같은 그러한 적절한 고정 수단을 통해 유지된다. 관형 슬리브(30)는 공명기 전도체(20)에 대해 외부에서 관형 슬리브(30)의 가장자리를 주변에서 한정하는 상부 플랜지(30a)를 제공한다.In th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9, the evaporation tray 10 is a male-female type fittings, clamps, adhesive provided on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portions of the tubular sleeve 30. Supported by such suitable means, or other suitable means, around the tubular sleeve 30 attached to the evaporation tray 10, a portion of the contour of the peripheral wall 12 thereof. In this illustrated structure, the fixing of the tubular sleeve 30 to the evaporation tray 10 is achieved by installing an inner flange (not shown) against the adjacent edge of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The installation is maintained through such suitable fastening means as mechanical interference, clamps, screws and the like. The tubular sleeve 30 provides an upper flange 30a that peripherally defines the edge of the tubular sleeve 30 externally to the resonator conductor 20.

도 11 내지 도 14에서 예시된 구조적인 선택에서,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주변 윤곽은, 상기 윤곽들의 상보 관계가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횡단면을 한정하도록, 관형 슬리브(30)의 인접한 마주보는 표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고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In the structural selections illustrated in FIGS. 11-14, the peripheral contours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define the cross section of the tubular sleeve 30 such that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the contours defines the cross section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t is defined in part by adjacent opposing surfaces and in part by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도 11 및 도 12에서 예시된 구조적인 변형에서, 관형 슬리브(30)는, 예를 들면,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아치형 부분을 한정하는 리세스(33)의 형태로,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일부분을 한정하도록 형성되고,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의 인접한 단부 표면은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에 대한 직선으로 둘러싸인 윤곽을 한정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형에서, 증발 트레이(10)는 종래의 증발 트레이(4)와 같은 구조를 제공하며,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체적은 관형 슬리브(30)의 형태에 의해 한정된다. 비록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윤곽이 아치형으로 되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다른 형태의 윤곽이 여기에 제공된 개념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structural variant illustrated in FIGS. 11 and 12, the tubular sleeve 30 is each resonator conductor,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recess 33 defining an arcuate portion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t is formed to define a portion of (20), and adjacent end surfaces of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define a contour enclosed by a straight line for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n this structural variant, the evaporation tray 10 provides the same structure as a conventional evaporation tray 4, with the volume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defined by the shape of the tubular sleeve 30. Although a structure is illustrated in which the contour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arcuat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forms of contour are possible within the concepts provided herein.

이러한 구조에서, 관형 슬리브(30)는,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일부분을 각각 한정하는, 예를 들면, 아치형 리세스(33)와 함께 제공된다.In this structure, the tubular sleeve 30 is provided with an arcuate recess 33, for example, each defining a portion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각각의 리세스(33)는 증발 트레이(10)의 각각의 주변 벽(12)의 길이를 따라 제공되거나, 또는 하우징(1)이 한정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3)의 후방 벽의 평면 에 관하여 경사질 수 있다.Each recess 33 is provided along the length of each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or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rear wall of the cabinet 3 of the refrigeration plant in which the housing 1 is defined. Can be tilted.

도 13 및 도 14에서 예시된 구조적인 변형에서, 관형 슬리브(30)의 내측 표면과 증발 트레이(10)의 외측 표면은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의 윤곽의 일부분을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증발 트레이(10)와 관형 슬리브(30)의 각각의 일부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리세스(13, 33)가 제공되며, 이것은 공명기 전도체(20)의 윤곽의 각각의 일부분을 한정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선택에서, 각각의 리세스(13, 33)는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아치형 윤곽의 일부분을 한정한다.In the structural variant illustrated in FIGS. 13 and 14,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sleeve 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ion tray 10 are formed to define a portion of the contour of each resonator conductor. In this structure, each portion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tubular sleeve 30 is provided with respective recesses 13, 33, as described above, which is each of the contours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Qualify part. In this structural choice, each recess 13, 33 defines a portion of the arcuate contour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기 트레이(10) 및/또는 관형 슬리브(30)의 주변 벽(12)의 연장부의 일부분에만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공명기 전도체(20)의 위치 설정은 또한 노이즈 또는 결정된 원하는 진동수 대역의 특정한 감쇠를 위해 소정 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검파된 필요성에 따라, 하우징(1)의 영역에서 공명기 전도체(20)의 특정한 통제된 배열을 허용한다.The resonator conductor 20 may only be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extension of the evaporator tray 10 and / or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tubular sleeve 30, and the positioning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may also be noise or determined desir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defined in a given direction for specific attenuation of the frequency band. This structure allows for a specific controlled arrangement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in the region of the housing 1, depending on the detected need.

본 발명에 따라서, 관형 슬리브(30)의 증발 트레이(10)의 바닥 벽(11)과 주변 벽(12)의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이것이 작은 구멍들을 한정하는 한,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도 15d)에서 또한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방법에서, 다공질 소재에서 한정된 부분은, 예를 들면, 다공질 소재에서 직접 주입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다공질 소재의 증발 트레이(10)의 경우에, 단일 피스로, 예를 들면, 폴리머 또는 섬유 소재로 주입된다. 증발 트레이(10)가 공명기 전도체(20)를 갖는 단일 피스를 한정하는 구조에서, 공명기 전 도체(20)는 또한 다공질 소재의 주입중 얻어질 수 있고, 이것은 또한 본 발명의 노이즈 흡수 수단을 한정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bottom wall 11 and parts of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of the tubular sleeve 30 and the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this defines small holes. So long as it can also be defined in porous or fibrous materials (FIG. 15D). In this solution, the defined part of the porous material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direct injection in the porous material. In the case of the porous evaporation tray 10, it is injected in a single piece, for example in a polymer or fibrous material. In a structure in which the evaporation tray 10 defines a single piece with a resonator conductor 20, the resonator conductor 20 can also be obtained during the injection of the porous material, which also defines the noise absorb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

그러나, 바람직한 노이즈 감쇠 효과는 다공질 소재로 코팅된 상기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로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도 15a 내지 도 15c). 코팅은, 예를 들면, 적절한 고착 수단에 의해 각각의 부분에 첨가된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의 플레이트의 형태로 된 피스에서 얻어질 수 있고, 코팅 소재는 감쇠될 노이즈를 제공하는 영역의 기능으로서 한정된 모든 위치 및 구조로 상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sired noise damping effect can be obtained with at least one of the above parts coated with a porous material (FIGS. 15A-15C). The coating can be obtained, for example, on a piece in the form of a plate of porous or fibrous material added to each part by suitable fixing means, the coating material being limited as a function of the area providing the noise to be attenuated. It can be arranged in this part in position and structure.

상기 상술한 부분들의 일부분은 다공질 소재로 코팅될 수 있고, 한편 다른 것들은, 적어도 하나의 예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하우징(1)의 매개물 내의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 및/또는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는 원하는 노이즈 흡수 특성을 가지는 다공질 소재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Some of the above-mentioned parts may be coated with a porous material, while others define, for at least on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 predetermined reactive impedance and / or a predetermined dispersive impedance in the medium of the housing 1. It can be provided directly from the porous material having the desired noise absorption properties.

원하는 효과를 갖기 위해, 작은 구멍들이 제공된 부분은 증발 트레이(10)에 제공된 물과 접촉하는 표면의 구멍들이 폐쇄되고, 반면 반대쪽 표면은 개방된 구멍들을 가지도록, 제조되거나 또는 코팅되어야 한다. 작은 구멍들은 특정한 제조 공정에 의해 얻어지며, 예를 들면, 20 마이크로미터보다 더 큰 치수를 가져야 한다.In order to have the desired effect, the part provided with the small holes must be manufactured or coated so that the holes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ater provided in the evaporation tray 10 are closed, while the opposite surface has open holes. Small holes are obtained by a specific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must have dimensions greater than 20 micrometers.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고려된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폴리스티렌 및 금속성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그러한 소재에 의해 한정된다. 비금속성 다공질 소재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상기 소재의 작은 구멍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개방된다. 그러나, 금속성 다공질 소재의 구조에서, 상기 소재의 작은 구멍들은 폐쇄된다.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orous material contemplated is defined by such materials as polystyrene polymers, polystyrene and metallic materials, for example aluminum. In a structure using a non-metallic porous material, at least some of the small holes of the material are open. 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metallic porous material, the small holes of the material are cl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조적인 형태에서, 노이즈 흡수 수단은 그의 주변 벽(12)에 대해 내측 또는 외측에서 증발 트레이(10)에 의해 지지되는 주변 링(40)을 구비하며, 이미 앞에서 기술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와 함께 제공된다. 도 9, 도 9a, 및 도 17a 내지 도 17e에서 예시된 구조에서, 주변 링(40)은 다수의 공명기 전도체(20)를 지지한다.In another structural form of the invention, the noise absorbing means has a peripheral ring 40 supported by the evaporation tray 10 either inward or outward with respect to its peripheral wall 12 and of the type already described above.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In the structures illustrated in FIGS. 9, 9A, and 17A-17E, the peripheral ring 40 supports a number of resonator conductors 20.

본 발명에 따라서, 주변 링(40)은 상기 주변 링(40)에 의해 지지된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이 형성될 수 있는 소정의 예정된 두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주변 링(40)은, 그의 주입 공정 시, 증발 트레이(10)와 함께 제공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공명기 전도체(20)는 또한 모두 단일 피스로 주입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증발 트레이(10), 주변 링(40) 및 공명기 전도체(20)의 각각의 부분은 주입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에 의해 개별적으로 얻어질 수 있거나, 또는 같은 몰드 및 소재로 한정된 부분들과 함께 단일 피스를 형성할 수 있고, 다른 피스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나중에 결합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pheral ring 40 provides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hickness at which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supported by the peripheral ring 40 can be formed. In the method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eripheral ring 40 is provided with the evaporation tray 10 in its injection process. In this process, the resonator conductors 20 can also be provided by injection all in a single piece. However, each portion of the evaporation tray 10, the peripheral ring 40 and the resonator conductor 20 may be obtained separately by injection or other suitable technique, or may be a single piece with portions defined by the same mold and materia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ieces can be formed and the other pieces later joined by appropriate means.

주변 링(40)의 구조는, 예를 들면, 그의 주변 벽(12)의 주위에서, 그의 입수 후 또는 증발 트레이(10)상에 대한 상기 주변 링(40)의 장착 후, 상기 주변 링(40)에서 장착된 공명기 전도체(20)의 배열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주변 링(40)에서의 공명기 전도체(20)는 물론, 증발 트레이(10)에 대한 주변 링(40)의 설치 및 지지는, 예를 들면, 접착제, 클램프, 용접, 기계적인 간섭(mechanical interference), 등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peripheral ring 40 is, for example, around its peripheral wall 12, after its acquisition or after mounting of the peripheral ring 40 on the evaporation tray 10, the peripheral ring 40. Permits to form an array of resonator conductors 20 mounted in the array. The resonator conductor 20 in the peripheral ring 40 as well as the installation and support of the peripheral ring 40 to the evaporation tray 10 can be, for example, adhesive, clamps, welding, mechanical interference. ), And the like.

예시된 구조적인 형태에서, 주변 링(40)은 증발 트레이(10)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다음에 다수의 공명기 전도체(20)를 수용하기 위해 크래들(cradles)을 한정하는 주변 링(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예를 들면, 상기 주변 벽(12)의 상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상기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에 대해 외측에서, 증발 트레이(10)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주변 링(40)은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를 상부에서 지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여기에서 예시된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 다른 구조에서, 주변 링(40)은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의 주위에서 중앙에 제공되고,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의 상부 가장자리와 관련하여, 그의 상부 단부의 바람직한 위치 설정과 공명기 전도체(20)의 길이에 따라, 중앙에 또는 상부에 지지된 상기 주변 링(40)에 의해 지지된다.In the illustrated structural form, the peripheral ring 4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n of the peripheral ring 40 defining cradles to receive a plurality of resonator conductors 20. At least a portion is mounted to the evaporation tray 10, for example, adjacent to the upper edge of the peripheral wall 12, outside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In this structure, the peripheral ring 40 supports each resonator conductor 20 at the top.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structure is not limitative, but merely a method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illustrated herein. In another structure, the peripheral ring 40 is provided centrally around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in relation to the upper edge of the evaporation tray 10, at the top thereof. Depending on the preferred positioning of the end and the length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it is supported by the peripheral ring 40 supported at the center or at the top.

본 해결책을 수행하는 또 다른 방법에서, 주변 링(40)은, 예를 들면, 주변 플랜지(10a)로부터, 증발 트레이(10)를 갖는 단일 피스로 한정되고,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선택에서, 주변 플랜지(10a)는 상기 주변 벽(12)으로부터 외측으로 그리고 상부로 돌출한다.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주변 윤곽은 주변 링(40)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고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윤곽들의 상보 관계는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횡단면을 한정한다. 이러한 구조를 위해, 주변 링(40)은, 예를 들면, 각각의 공명 기 전도체(20)의 아치형 부분을 한정하는, 이미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리세스의 형태로,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윤곽의 일부를 한정하도록 형성된다.In another method of carrying out this solution, the peripheral ring 40 is defined, for example, from the peripheral flange 10a as a single piece with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peripheral wall of the evaporation tray 10 ( Protrude radially from 12). In this structural choice, the peripheral flange 10a projects outwardly and upwardly from the peripheral wall 12.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peripheral contour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may be partly defined by the peripheral ring 40 and partly by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us the contour. Their complementary relationship defines the cross section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For this structure, the peripheral ring 40 is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n the form of a recess, as previously described above, which defines, for example, the arcuate portion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defined to define a portion of the contour.

관형 슬리브(30)를 갖는 구조에 대해 이미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주변 링(40)을 제공하는 해결책은 종래의 형상을 갖는 증발 트레이에 적용되어 이미 상용화될 수 있고, 공명기 전도체(20)에 대한 구조적인 형상들은 또한 이미 앞에서 기술된 것들이다. 이 경우에, 주변 링(40)은 여기에서 전체적으로 일치된 공명기 전도체(20)를 지니거나, 또는 부분적인 일치의 경우에,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의 인접하고 마주보는 외측 표면 부분에 의해 한정된 그의 윤곽의 일부분을 가진다.As already described above for the structure with the tubular sleeve 30, the solution for providing the peripheral ring 40 can be applied to an evaporation tray having a conventional shape and already commercialized, for the resonator conductor 20 Structural shapes are also those previously described. In this case, the peripheral ring 40 has here a fully matched resonator conductor 20, or in case of partial matching,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a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Has a portion of its contour defined by the adjacent and opposing outer surface portions of the &lt; RTI ID = 0.0 &gt;

관형 슬리브(30)처럼, 주변 링(40)은 접착제, 용접, 클램프, 핀, 기계적인 간섭, 등과 같은 그러한 적절한 지지 수단에 의해 증발 트레이(10)상에서 지지된다.Like the tubular sleeve 30, the peripheral ring 40 is supported on the evaporation tray 10 by such suitable supporting means such as adhesives, welding, clamps, pins, mechanical interference,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라서, 주변 링(40)의 증발 트레이(10)의 바닥 벽(11)과 주변 벽(12)의 일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는 다공성 소재로 한정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노이즈 감쇠 효과는 다공질 소재로 코팅된 상기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부분들의 일부는 다공질 소재로 코팅될 수 있고, 한편 다른 것들은, 적어도 하나의 예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바람직한 노이즈 흡수 특성을 제공하는 다공질 소재에서 직접 생산될 수 있고, 하우징(1)의 매개체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 및/또는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할 수 있다는 것이 더 이상 고려되어야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of the peripheral ring 40 and portions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are defined by a porous material.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sired noise damping effect can be ob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above parts coated with the porous material. Some of the above-mentioned parts may be coated with a porous material, while others may be produced directly from the porous material which provides the desired noise absorption properties for at least on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in the medium of the housing 1 It should further be considered that it may define a given reactive impedance and / or a given dispersible impedance.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고려된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금속성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에 의해 한정된다. 비금속성 다공질 소재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상기 소재의 작은 구멍들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성 다공질 소재를 사용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소재의 작은 구멍들은 폐쇄된다.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orous materials considered are defined by polystyrene polymers, polypropylene and metallic materials, for example aluminum. In a structure using a nonmetallic porous material, at least some of the small holes of the material can be opened. However, in the structure using the metallic porous material, the small holes of the material are closed.

본 발명을 수행하는 또 다른 방법에서, 노이즈 흡수 수단은 다수의 작은 구멍(50)에 의해 한정되고, 각각의 작은 구멍(50)은 증발 트레이(10)가 배치된 하우징(1)의 노이즈 발생 영역을 향해 개방된 제1 단부 부분(51)과, 제1 단부 부분(51)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간격진 제2 단부 부분(52)을 제공하며, 각각의 작은 구멍(50)은, 예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하우징(1)의 매개체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와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도록 산출된 예정된 내측 부분(5)을 제공하도록 치수가 설정된다.In another method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noise absorbing means is defined by a plurality of small holes 50, each small hole 50 having a noise generating area of the housing 1 in which the evaporation tray 10 is arranged. A first end portion 51 open toward and a second end portion 52 spaced away from the first end portion 51 in an opposite direction, each small hole 50 in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With respect, the dimensions are set to provide a predetermined inner portion 5 calculated to define a predetermined reactive impedance and a predetermined dispersible impedance in the medium of the housing 1.

작은 구멍(50)은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과 바닥 벽(11)의 적어도 하나의 형성을 위해, 다공질 소재로 한정되거나, 또는 상기 증발 트레이(10)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면 상기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과 바닥 벽(11)의 적어도 하나를 코팅하도록 사용되며, 상기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금속성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다.The eyelets 50 are limited to a porous material or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evaporation tray 1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the porous material being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mer, polypropylene and metallic material, for example aluminum. Is made.

그러나, 바람직한 노이즈 감쇠 효과는 다공질 소재로 코팅된 상기 상술한 부분들의 일부에서 얻어질 수 있고, 한편 다른 것들은, 적어도 하나의 예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하우징(1)의 매개체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 및/또는 소정의 분 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는 바람직한 노이즈 흡수 특성을 제공하는 다공질 소재에서 직접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a desirable noise attenuation effect can be obtained in some of the above-mentioned parts coated with a porous material, while others, for at least on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have a desired reactive impedance and / or at the media of the housing 1. Or it can be produced directly from a porous material that provides the desired noise absorption properties that limit the desired dispersion impedance.

비금속성 다공질 소재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상기 소재의 작은 구멍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성 다공질 소재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상기 소재의 작은 구멍들은 폐쇄된다.In a structure using a nonmetallic porous material, at least a portion of the small holes of the material can be opened. However, in a structure using a metallic porous material, the small holes of the material are closed.

비록 상술한 구조들의 일부분만이 예시되었지만, 상술한 개념은 상기 예시들에 대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only a portion of the above structures are illustrat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concep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본 발명의 장점들 중의 하나는 결함이 검출되는 불연속 진동수 또는 진동수 대역에서, 냉동 설비의 캐비넷(3)의 하우징(1)의 영역에서의 감쇠를 증가시키는 것이다.One of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attenuation in the region of the housing 1 of the cabinet 3 of the refrigeration plant at discrete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at which defects are detected.

본 발명의 공명기 전도체(20)의 배열은, 냉동 설비의 하우징(1)에 장착된 콤프레서와 팬(fan)에 의해(블레이드 진동수 통로 및 공기와 이들 블레이드 사이의 난류의 결과로서), 그리고 공지 기술과 관련하여 감소된 비용으로, 상기 하우징(1)내에 존재할 수 있는 공명 (및 그들의 부정적인 효과) 을 더 이상 감쇠시키는, 냉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노이즈를 감쇠시키는 것을 허용한다.The arrangement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means of a compressor and a fan mounted in the housing 1 of the refrigeration plant (as a result of the blade frequency passage and turbulence between the air and these blades) and known techniques. With reduced cost in connection with this, it allows to attenuate the noise formed by the refrigeration system, which further attenuates resonances (and their negative effects) which may be present in the housing 1.

공명기 전도체(20)가 증발 트레이(10)와 함께 단일 피스로서 제공되는 구조는 하우징(1)내에 부품들 또는 다른 소재들을 추가하지 않는 장점을 더 이상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각각의 제2 단부를 각각 개방시키는 공명기 전도체(20)의 설비는 또한 각각의 상기 공명기 전도체(20)를 해동된 물 축적장치로서 작용시키도록 허용한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provided as a single piece with the evaporation tray 10 further provides the advantage of not adding parts or other materials in the housing 1. In this configuration, the provision of a resonator conductor 20 that opens each second end also allows each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to act as thawed water accumulators.

공명기 전도체(20)는 여러 진동수, 또는 더욱 폭 넓은 대역의 감쇠를 가능하게 하는 다른 길이들을 이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직경과 각각의 횡단면의 형상은 감쇠 및 치수에 대한 필요성과 제조 공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1 밀리미터까지 또는 더 큰 직경에 의한 정의(definition)는 전체적으로 분산성인 (더욱 작은 직경)과 전체적으로 반응성인 (더욱 큰 직경) 사이에서 공명기 전도체의 감쇠 작용을 한정한다.Resonator conductor 20 allows using various frequencies, or other lengths that allow attenuation of a wider band. The diameter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and the shape of each cross sectio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need for damping and dimensions. Definitions by diameters up to 1 millimeter or larger define the damping ac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between the overall dispersive (smaller diameter) and the overall reactive (larger diameter).

공명기 전도체(20)는 주변 벽(12)의 윤곽을 따라 분배될 수 있고, 따라서 그의 길이는 결정된 또는 임의의 진동수 대역을 감쇠하기 원하는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분배되며, 어떤 특정 진동수도 감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진동수는 또한 하우징(1)내에서 임의로 존재한다.The resonator conductor 20 can be distributed along the contour of the peripheral wall 12, so that its length is distributed stepwise in a direction to attenuate the determined or any frequency band, if no particular frequency is attenuated, The frequency is also optionally present in the housing 1.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얻어진 노이즈 감소는 본 발명의 공명기 배열에서, 튜닝 진동수로, 5dB 내지 20dB에 이를 수 있다.Although not illustrated, the resulting noise reduction can range from 5 dB to 20 dB, in tuning frequency, in the resonator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들이 편리함을 위해서만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되어 있지만, 각각의 특징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다른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인식되며, 이것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범주를 예시하는 것이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한 모든 명백한 변경 및 변형은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 특허 범주 내에 들어간다.While certain feature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nly, each feature may be combined with other features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Other embodiments are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not of limitation. All such obv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aten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47)

하우징(1)을 한정하고, 이 하우징(1)내에 지지되는 캐비넷(3), 밀폐된 케이싱(2a)을 제공하는 압축기(2), 및 해동된 물 증발 트레이(10)를 구비하며, 상기 해동된 물 증발 트레이(10)는, 압축기(2)의 케이싱(2a)의 상부 부분상에 설치되는 바닥 벽(11); 및 이 바닥 벽(11)으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주변 벽(12)을 구비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에 있어서,A housing (3) defining a housing (1), having a cabinet (3) supported in the housing (1), a compressor (2) providing a sealed casing (2a), and a thawed water evaporation tray (10); The water evaporation tray 10 has a bottom wall 11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2a of the compressor 2; And 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having a peripheral wall 12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wall 11,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과 바닥 벽(11)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1)내의 노이즈 발생 영역을 향한 노이즈 흡수 수단(20, 30, 40, 50)을 지지하며, 예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하우징(1)의 매개체 내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와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도록 치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supports the noise absorbing means 20, 30, 40, 50 toward the noise generating area in the housing 1, and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in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band, dimensions are set to define a predetermined reactive impedance and a predetermined dispersible impedance within the medium of the housing (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노이즈 흡수 수단은 증발 트레이(10)의 각각의 벽(11, 12)의 연장부를 따라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ng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oise absorbing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extending along an extension of each wall (11,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상기 하우징(10) 내의 노이즈 발생 영역을 향해 개방되는 제1 단부(21), 및 제1 단부(21)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간격진 제2 단부(22)를 제공하며,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예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하우징(1)의 매개체 내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와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도록 산출되는 예정된 길이 및 예정된 직경을 제공하도록 치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Each resonator conductor 20 provides a first end 21 that opens toward a noise generating area in the housing 10, and a second end 22 spaced in an opposite direction from the first end 21.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dimensioned to provide, for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edetermined diameter calculated to define a predetermined reactive impedance and a predetermined dispersible impedance within the medium of the housing 1.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the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의 각각의 벽(11, 12)의 인접한 표면 부분과 함께 단일 피스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is formed at least in part in a single piece together with adjacent surface portions of each wall (11,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은 증발 트레이(10)의 각각의 벽(11, 12)의 두께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t least a portion of the length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formed at the thickness of each wall (11,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증발 트레이(10)는 관형 슬리브(30)를 지지하며, 공명기 전도체(20)의 횡단면은 증발 트레이(10)와 관형 슬리브(30)의 부분들의 각각에서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evaporation tray 10 supports the tubular sleeve 30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defined in part at each of the portions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the tubular sleeve 30 of the refrigeration plant. Resonator array for the cabine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관형 슬리브(30)는 증발 트레이(10)의 인접한 벽 표면(11, 12)과 마주보는 표면을 제공하며,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증발 트레이(10)의 인접한 벽(11, 12)과 관형 슬리브(30)의 적어도 하나의 마주보는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13, 33)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tubular sleeve 30 provides a surface facing the adjacent wall surfaces 11,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with each resonator conductor 20 having an adjacent wall 11,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by a recess (13, 33) formed in at least one opposing surface of the tubular sleeve (30).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관형 슬리브(30)는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에 관하여 내측 및 외측 위치들 중의 하나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tubular sleeve (30) occupies one of the inner and outer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관형 슬리브(30)의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 및 바닥 벽(11)의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는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t least one of the portions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of the tubular sleeve 30 and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fined by a porous or fibrous material. Resonator arrangement for cabinets in refrigeration plant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관형 슬리브(30)의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 및 바닥 벽(11)의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는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t least one of the portions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of the tubular sleeve 30 and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ated with a porous or fibrous material. Resonator array for the cabinet. 제9항 및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and 10,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금속성 소재로부터 선택된 소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porous material is a resonator array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fined by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mer, polypropylene and metallic material.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다공질 소재는 다수의 폐쇄된 작은 구멍들(5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in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material provides a plurality of closed small holes (50). 제9항 및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and 10,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된 소재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다공질 소재는 다수의 작은 구멍들(50)을 제공하고, 이 작은 구멍들(50)의 적어도 일부분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porous material is defined by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mer and polypropylene, the porous material providing a plurality of small holes 50,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mall holes 50 are opened.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the installa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증발 트레이(10)는 다수의 공명기 전도체(20)가 제공된 주변 링(4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Evaporator tray 10 is 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a peripheral ring (4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sonator conductors (20).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주변 링(4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주변 링(40)의 벽 두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peripheral ring (4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formed in the wall thickness of the peripheral ring (40).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주변 링(40)은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에 관하여 내측 및 외측 위치들 중의 하나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 peripheral ring (40) occupies one of the inner and outer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peripheral wall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주변 링(40)의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과 바닥 벽(11)의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는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t least one of the portions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of the peripheral ring 40 and the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defined by a porous or fibrous material. Resonator arrangement for cabinets in refrigeration plants.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주변 링(40)의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과 바닥 벽(11)의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는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t least one of the portions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of the peripheral ring 40 and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ated with a porous or fibrous material Resonator arrangement for cabinets in refrigeration plants. 제17항 및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and 18,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금속성 소재로부터 선택된 소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porous material is a resonator array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fined by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mer, polypropylene and metallic material.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다공질 소재는 다수의 폐쇄된 작은 구멍들(5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in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material provides a plurality of closed small holes (50). 제17항 및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and 18,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된 소재에 의해 한정되고, 작은 구멍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porous material is defined by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mer and polypropylene, and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mall hole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공명기 전도체(20)는 그들의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ir extension is formed vertically.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적어도 두 개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resonator conductors 20 are parallel to each other.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하나는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is vertical.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is horizontal.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공명기 전도체(20)는 이들이 제공되는 벽의 축에 관하여 경사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resonator conductor (20) is 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wall on which they are provid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의 제2 단부(22)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nd (22) of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clos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은 그들의 길이를 따라서 일정한 횡단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provide a constant cross section along their length.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은 그들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횡단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s (20) provide cross sections that vary along their length.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스텝형 횡단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provides a stepped cross section.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원추형 횡단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provides a conical cross section.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지수 횡단면(exponential cross-section)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provides an exponential cross-section. 제28항 내지 제3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8 to 32, 공명기 전도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원형 및 다각형의 횡단면 중의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onator conductor 20 has one of circular and polygonal cross sect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노이즈 흡수 수단은 다수의 작은 구멍들(5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noise absorbing means provide a plurality of small holes (50).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각각의 작은 구멍(50)은 상기 하우징(1) 내에서 노이즈 발생 영역을 향해서 개방되는 제1 단부 부분(51)과, 제1 단부(21)로부터 반대방향으로 간격진 제2 단부 부분(52)을 제공하며, 각각의 작은 구멍(50)은 예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하우징(1)의 매개체 내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 및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도록 산출된 예정된 내측 부분을 제공하도록 치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Each of the small holes 50 has a first end portion 51 which opens in the housing 1 toward the noise generating region and a second end portion 52 which is spaced in an opposite direction from the first end 21. Each eyelet 50 is dimension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inner portion calculated to define a predetermined reactive impedance and a predetermined dispersive impedance within the media of the housing 1 for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the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과 바닥 벽(11)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is defined by a porous or fibrous material.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과 바닥 벽(11)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is coated with a porous or fibrous material. 제36항 및 제3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38. A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6 and 37,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금속성 소재로부터 선택된 소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porous material is a resonator array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fined by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mer, polypropylene and metallic material. 제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작은 구멍들(50)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ll holes (50) are closed. 제36항 및 제3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38. A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6 and 37,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된 소재에 의해 한정되고, 작은 구멍들(5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porous material is defined by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mer and polypropylene, and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mall holes (5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노이즈 흡수 수단은 증발 트레이(10)의 각각의 벽(11, 12)의 연장부를 따라서 연장하고 다수의 작은 구멍들(50)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noise absorb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which extends along the extension of each wall 11, 12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provides a plurality of small holes 50. Resonator arrangement for cabinets in refrigeration plants.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상기 하우징(1) 내에서 노이즈 발생 영역을 향해서 개방되는 제1 단부(21)와, 제1 단부(21)로부터 반대방향으로 간격진 제2 단부(22)를 제공하며, 각각의 공명기 전도체(20)는, 예정된 진동수 대역에 대해, 하우징(1)의 매개체 내에서 소정의 반응성 임피던스 및 소정의 분산성 임피던스를 한정하도록 산출된 예정된 길이 및 예정된 직경을 제공하도록 치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Each resonator conductor 20 provides a first end 21 that opens in the housing 1 toward the noise generating area and a second end 22 spaced opposite from the first end 21. Each resonator conductor 20 is dimensioned to provide, for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edetermined diameter calculated to define a predetermined reactive impedance and a predetermined dispersible impedance within the medium of the housing 1.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the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set.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과 바닥 벽(11)의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는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ortions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of the evaporation tray 10 and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are defined by a porous or fibrous material. Arrangement.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증발 트레이(10)의 주변 벽(12)과 바닥 벽(11)의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공명기 전도체(20)는 다공질 또는 섬유질 소재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Resonator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wall 12 and parts of the bottom wall 11 and at least one resonator conductor 20 of the evaporation tray 10 is coated with a porous or fibrous material. Arrangement. 제42항 및 제4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2 and 43,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금속성 소재로부터 선택된 소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porous material is a resonator array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fined by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mer, polypropylene and metallic material. 제4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4, 다공질 소재는 다수의 폐쇄된 작은 구멍들(5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A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in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material provides a plurality of closed small holes (50). 제42항 및 제4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2 and 43, 다공질 소재는 폴리스티렌 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된 소재에 의해 한정되고, 작은 구멍들(5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설비의 캐비넷용 공명기 배열.The porous material is defined by a material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mer and polypropylene, and resonator arrangement for a cabinet of a refrigeration plant, characterized in that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mall holes (50).
KR1020097017241A 2007-01-30 2008-01-29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KR2009011515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0700554-7 2007-01-30
BRPI0700554-7A BRPI0700554A (en) 2007-01-30 2007-01-30 resonator arrangement for refrigeration cabi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153A true KR20090115153A (en) 2009-11-04

Family

ID=3958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241A KR20090115153A (en) 2007-01-30 2008-01-29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095698A1 (en)
EP (1) EP2115367A2 (en)
JP (1) JP2010516992A (en)
KR (1) KR20090115153A (en)
CN (1) CN101641559A (en)
BR (1) BRPI0700554A (en)
IN (1) IN2009KN02416A (en)
RU (1) RU2415354C1 (en)
WO (1) WO2008092223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0950U1 (en) * 2008-10-21 2010-01-15 Acc Austria Gmbh REFRIGERANT COMPRESSOR
KR101558576B1 (en) * 2009-01-09 2015-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E102011007423A1 (en) * 2011-04-14 2012-10-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ousehold refrigerator
WO2016034223A1 (en) * 2014-09-03 2016-03-10 Arcelik Anonim Sirketi Refrigeration appliance compressor variable volume water collection receptac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3320A1 (en) * 1992-12-21 1994-06-23 Illbruck Gmbh Refrigeration cabinets
US5499514A (en) * 1994-09-15 1996-03-19 Whirlpool Corporation Defrost water drain system for a refrigerator
JPH0933159A (en) * 1995-07-20 1997-02-07 Fujitsu General Ltd Refrigerator
NZ286458A (en) * 1996-04-26 1999-01-28 Fisher & Paykel Evaporation tray to catch defrost water from refrigerator, bottom consists of flexible membrane
US5699677A (en) * 1996-11-07 1997-12-23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mpressor mounted drain pan utilizing polyurethane adhesive
KR19980083487A (en) * 1997-05-15 1998-12-05 윤종용 Refrige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US6512831B1 (en) * 1997-10-21 2003-01-28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Noise abatement apparatus for appliance cabinet and method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by an appliance
TW418309B (en) * 1998-02-20 2001-01-11 Matsushita Refrigeration Refrigerator
BR9802115A (en) * 1998-05-19 2000-03-08 Brasilerira De Compressores S Evaporation tray.
US6629429B1 (en) * 1999-03-12 2003-10-07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Refrigerator
IT251755Y1 (en) * 2000-10-18 2004-01-20 Zanussi Elettromecc REFRIGERATOR COMPRESSOR WITH EVAPORATION TANK
JP2003172575A (en) * 2001-12-05 2003-06-20 Fujitsu General Ltd Refrigerator
US6595013B1 (en) * 2002-02-25 2003-07-22 Carrier Corporation Sound attenuator for a refrigeration unit
US6593525B1 (en) * 2002-03-04 2003-07-15 Andrew Corporation Direct burial outdoor membrane pressurization system
US6708518B1 (en) * 2003-03-20 2004-03-23 Eangla Taylor Jones Refrigerator door dispenser spill shelf drain
DE10322681A1 (en) * 2003-05-20 2004-12-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Increase in the evapor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compressor capsule as the evaporation tray bottom
JP2005098559A (en) * 2003-08-26 2005-04-14 Toshiba Corp Refrigerator
KR20040052964A (en) * 2004-05-21 2004-06-23 최재숙 Device for manufacturing frozen sweet by a quick freezing and mel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2223A3 (en) 2008-09-18
IN2009KN02416A (en) 2015-08-07
BRPI0700554A (en) 2008-09-16
EP2115367A2 (en) 2009-11-11
US20100095698A1 (en) 2010-04-22
RU2415354C1 (en) 2011-03-27
JP2010516992A (en) 2010-05-20
CN101641559A (en) 2010-02-03
WO2008092223A2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572B1 (en) Refrigerating apparatus having noise attenuation
KR101936192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90115153A (en) Resonator arrangement for the cabinet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JPH0297877A (en) Silencer for cooling device
WO2007124552A1 (en) Resonator arrangement in an acoustic muffler for a refrigeration compressor
CN204594036U (en) Refrigeration plant
US20110293446A1 (en) Coolant compressor with evaporator shell
EP1875461A1 (en) Broadband sound reduction with acoustic resonator
KR102004047B1 (en) A tray drip fir compact machine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using the same
CN104567229A (en) Refrigerating device
US20220178557A1 (en) Heat source unit for a heat pump
CN113757124B (en)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equipment
US20060120548A1 (en) Speaker device
CN220871202U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WO2020055626A1 (en) Oil separator with integrated muffler
US20240118016A1 (en) Refrigerator and noise-reducing device mounted thereto
JPH02122183A (en) Muffler for cooling apparatus
JPH083397B2 (en) Silencer for cooling system
JP7072642B2 (en) Electrical equipment housing,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and electrical equipment
JP2513809B2 (en) Silencer for cooling system
JPH0297879A (en) Silencer for cooling device
JPH02103365A (en) Muffling device for cooling device
JPH02225975A (en) Noise suppressor for cooling device
JP2018109395A (en) Resonator element in suction filter for hermetic compres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onator element
CN115014022A (en) Refrigerator with a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