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924A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924A
KR20090114924A KR1020080040807A KR20080040807A KR20090114924A KR 20090114924 A KR20090114924 A KR 20090114924A KR 1020080040807 A KR1020080040807 A KR 1020080040807A KR 20080040807 A KR20080040807 A KR 20080040807A KR 20090114924 A KR20090114924 A KR 2009011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hooting
imag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7412B1 (en
Inventor
최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412B1/en
Publication of KR2009011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9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7Upgrading or updating of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camera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conveniently and quickly setting up photographing information. CONSTITU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storing the currently set photographing setup information as the final photographing setup information(S310); showing stored candidate image files(S320); selecting one of the candidate image files as a source image file(S330); extracting photographing setup information from the source image file(S340); and setting up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the photographing setup information(S350).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촬영된 이미지 파일에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oring a photographed image as an image file and including information on shooting conditions together with the photographed image file. The control method is related.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Typicall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ll devices that process images such as a digital camera,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hone camera, a PC camera, or use an image recognition sensor.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이를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image an image received through an image pickup device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mpress the image, generate an image file, and store the image file in a memory.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display and display an image of an image file received through an imaging device or stored in a storage medium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한편, 사진의 촬영 시에는 설정된 촬영 정보에 의하여 영상을 입력받고, 입력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파일에는 촬영한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진 정보에는 촬영 시의 셔터 스피드, 노출 정도, 줌 레벨 등의 다양한 촬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aking a picture, an image may be input by the set shooting information, and the input image may be converted into an image file and stored. In this case, the image file may include picture information about the taken picture. The photograph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photographing information such as a shutter speed, an exposure level, a zoom level, and the lik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본 발명은,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에 필요한 촬영 정보를 설정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by which photograph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hotographing is set by using photographic information included in a stored image file and photographing is performed.

본 발명은, (a) 현재 설정된 촬영 설정 정보를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b) 저장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보여주는 단계; (c)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소스 이미지 파일로 선정하는 단계; (d)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toring the currently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as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b) showing the stored candidate image file; (c) selecting a selected image file among the candidate image files as a source image file; (d) extract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ource image file; And (e) sett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상기 (b) 단계에, 동일한 기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먼저 보여줄 수 있다. In step (b), the candidate image file photograph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ame model may be first shown.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상기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이미지 파일을 먼저 보여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ndidate image file includ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settable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first shown.

또한,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분류하여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displayed by classifying candidate image files in units of setting items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nd storing a database by divid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into units of setting items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 설정된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프리뷰 영상을 보여주는 단계; (g) 상기 촬영 설정 정보를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조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f) displaying a preview image according to the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g) adjusting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h) resett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setting is not made according to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이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소스 이미지 파일로 선정하고,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candidate image files includ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And a control unit selecting a selected image file among the candidate image files as a source image file, extract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ource image file, and setting the shooting file us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에 필요한 촬영 정보를 설정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촬영 시에 필요한 촬영 정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 정보 설정을 위한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phot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ored image file, it is possible to set the shoo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aking a picture to perform the shooting, so that By making it quick and easy to set, user convenience for setting shooting information can be impr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0)의 뒷면 외형이 도 시되어 있다. FIG. 1 is a rear view of a digital camera 100, which is an embodiment of a control apparatus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W), 망원(Telephoto)-줌(Zoom) 버튼(T), 및 디스플레이 패널(2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on the back of the digital camera 100, the direction button 21, the menu-OK button 22, the wide angle (Zoom) button (W), the telephoto (Zoom) ) Button T, the display panel 25 and the like.

방향 버튼(21)에는 상향 버튼(21a), 하향 버튼(21b), 좌향 버튼(21c), 우향 버튼(21d)의 총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이다. The direction button 21 may include four buttons, an up button 21a, a down button 21b, a left button 21c, and a right button 21d. The direction button 21 and the menu-OK button 22 are keys for executing various menus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camera.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진다.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The wide-angle zoom button W or the tele-zoom button T has a wider angle of view or a narrower angle of view depending on its input. In particular, it may be used to change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As the display panel 25,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ay be used.

디스플레이 패널(25)이 본 발명에 따라 후보 이미지 파일 또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영상이 재생되어 표시될 수 있는 표시부(도 4의 4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25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470 of FIG. 4, in which an image of a candidate image file or a captured image file may be reproduc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 또는 윗면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26), 플래시(미도시), 전원 스위치(28), 렌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과 뒷면에는 뷰 파인더(27)의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shutter release button 26, a flash (not shown), a power switch 28, and a lens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r top surface of the digital camera 100.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of the digital camera 100 may be provided with an objective lens and an eyepiece of the viewfinder 27.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셔터 릴리즈 버튼(26), 및 전원 스위치(28) 등은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조작하고자 하는 사항을 입력하는 사용자 조작 부(도 4의 46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button 21, the menu-OK button 22, the shutter release button 26, the power switch 28, and the like are inputted to the user operation unit 460 of FIG. May be included.

셔터 릴리즈 버튼(26)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The shutter release button 26 is opened and closed to expose the film or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shutter release button records an image on the image pickup device by properly exposing a subject in association with an aperture (not shown).

한편, 셔터 릴리즈 버튼(26)은 2단으로 눌려질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26)이 일단으로 눌려지면 제1신호(S1)가 생성되고, 이단으로 눌려지면 제2신호(S2)가 생성될 수 있다. 제1신호(S1)에 의하여 촬영 준비 작동이 수행되고, 제2신호(S2)에 의하여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utter release button 26 can be pressed in two stages.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26 is pressed in one end, the first signal S1 may be generated, and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26 is pressed in one step, the second signal S2 may be generated. A photographing prepar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signal S1, and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signal S2.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As an embodiment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 digital camera, a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0130650 (name: automatic using a secondary function of the camera).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atters relating to the digital camera, the control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US application will b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200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2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mounted in the digital camera 100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 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212)에 입력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an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a lens unit and a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When the user presses the wide-angle zoom button W or the tele-zoom button T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input to the microcontroller 212.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2)가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Accordingly, as the microcontroller 212 controls the lens driver 210, the zoom motor M Z is driven to move the zoom lens. That is, when the wide-zoom button W is 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is shortened to widen the angle of view, and when the tele-zoom button T is 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becomes long and the angle of view is narrowed.

한편, 자동 초점 모드(auto focusing mode)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2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즉,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하여 가장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자동 초점 모드는 사용자 입력부(INP)를 통하여 입력되는 셔터 릴리즈 버튼이 일단으로 눌려져 생성되는 제1신호(S1)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uto focusing mode, the main controller embedd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controls the lens driver 210 through the microcontroller 212, whereby the focus motor M F is driven. do. That is, the focus lens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sharpest picture is obtained by driving the focus motor M F. The auto focus mod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S1 generated by press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NP to one end.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The compensation lens compensates for the overall refractive index and is not driven separately. Reference numeral M 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not shown).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In the filter section of the optical system OPS, an optical low pass filter removes optical noise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Infra-Red cut filter cuts the infrared component of the incident light.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may include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converts light from the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may include a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device 201.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 frequency noise, adjusts the amplitude, and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20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201.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 소자(201) 등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이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도 4의 41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optical system OPS,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the CDS-ADC element 201,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input unit 410 of FIG. 4 to which an image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간 클럭(2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Y 값) 및 색도(R, G, B)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real time clock 203 provides time information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processes digital signals from the CDS-ADC element 201 to generate digital image signals classified into luminance (Y value) and chromaticity (R, G, B) signals.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2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212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built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includes a self-timer lamp, an auto-focus lamp, a mode indicating lamp, a flash standby lamp,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2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도 4의 4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도 4의 460)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입력부(INP)를 통하여 디지 털 신호 처리기(207)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212)로 입력되어 처리되고, 그에 따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and / or the microcontroller 212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430 of FIG. 4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user input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manipulation unit 460 of FIG. 4 is input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and / or the microcontroller 212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NP, and processed. The work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될 수 있다.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 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such as a boot program and a key input program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In the memory card interface 206, a user's memory card may be attached or detached.

DRAM(204) 또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를 통하여 인식되는 메모리 카드는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이미지 파일 또는 최종 촬영 설정 정보가 일시적으로 또는 비휘발성으로 저장되는 것으로 도 4의 제1 저장부(440) 및/또는 제2 저장부(45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memory card recognized through the DRAM 204 or the memory card interface 206 may store a candidate image file includ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or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emporarily or non-volatilely. 440 and / or the second storage unit 450.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215)은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is input to the display panel driver 214, whereby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5. 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215 may be driven by the display panel driver 214.

디스플레이 패널(215)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는 본 발명에 따라 후보 이미지 파일의 영상 또는 후보 이미지 파일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영상이 재생되어 표시될 수 있는 표시부(도 4의 470)에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215 and the display panel driver 214 may display an image of a candidate image file or a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and a display unit on which the image of the captured image file is reproduced and displayed. 4, 470).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2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2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via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ion portion 31a or an RS232C interface 208 and the connection portion 31b thereof, and a video filter ( 209 and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31c.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may incorporate a microcontroller therein.

오디오 처리기(2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The audio processor 2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to the speaker SP.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은 도 2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 및/또는 도 4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S300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S3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apparatus 2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2 and / or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400 of FIG. 4.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이 도 2 또는 도 4의 저장 수단에 저장되거나 펌웨어(Firmware) 등의 반도체 칩의 형태로 구현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이 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method S3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rogram or algorithm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FIG. 2 or 4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chip such as firmware.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은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촬영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에 필요한 설정 항목들을 설정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시에 필요한 촬영 정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 정보 설정을 위한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S3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shooting by setting setting items necessary for photographing by us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a stored image file. Therefore, by making it possible to quickly and simply set the shooting information necessary at the time of shooting, user convenience for setting the shooting information can be improved.

이를 위하여, 먼저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을 후보 이미지 파일로 하여,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할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정할 수 있다. 선정된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각각의 설정 항목을 설정하여 촬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o this end, first, image files that can be used by extract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is case, using the stored image files as candidate image files, a source image file from which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may be selected from the candidate image files.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from the selected source image file, and the setting items may be set based on the extracted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o perform shooting.

이때, 저장된 후보 이미지 파일에는 촬영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촬영 설정 정보는 이미지 파일에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EXIF)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이미지 파일은 촬영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설정 정보 영역과 이미지 정보가 저장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ored candidate image file may includ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n image file in an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EXIF). That is, the image file may include a setting information area in which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and an image area in which the image information is stored.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은 최종정보 저장단계(S310); 후보 이미지 표시단계(S320); 소스 이미지 선정단계(S330); 촬영정보 추출단계(S340); 및 설정단계(S35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S3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final information storing step (S310); Candidate image display step S320; Source image selection step (S330); Photographing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340); And setting step (S350) may be provided.

최종정보 저장단계(S310)에는 현재 설정된 촬영 설정 정보를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저장한다. 후보 이미지 표시단계(S320)에는 저장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보여준다. In the final information storing step (S310), the currently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as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candidate image display step S320, the stored candidate image file is shown.

소스 이미지 선정단계(S330)에는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소스 이미지 파일로 선정한다. 촬영정보 추출단계(S340)에는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한다. 설정단계(S350)에는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설정한다. In the source image selection step (S330), the selected image file among the candidate image files is selected as the source image file. In the shooting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340),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source image file. In the setting step S350,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set according to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은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촬영 설정 정보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설정할 수 있는 촬영 설정 정보 추출 모드와 같은 별도의 모드를 두고, 메뉴 또는 별도의 모드 다이얼에서의 선택에 해당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300) is a separate mode, such as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extraction mode that can se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 the extracted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by extract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tored image file. For example,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a corresponding mode is performed for selection in a menu or a separate mode dial.

이를 위하여, 먼저 현재의 설정 모드가 촬영 설정 정보 추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305), 촬영 설정 정보 추출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최종정보 저장단계(S310) 내지 설정단계(S350)를 수행할 수 있다. To this end,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setting mode is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extraction mode (S305), and whe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extraction mode is set, the final information storing step (S310) to setting step (S350) may be performed. .

최종정보 저장단계(S310)에는 현재 설정된 촬영 설정 정보를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최종정보 저장단계(S310)에서 새로운 이미지 파일로부터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설정 항목들을 새로이 설정하기 전에 현재의 촬영 설정 정보를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다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final information storing step (S310), the currently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as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final information storage step (S310), before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new image file and the setting items are newly set, the curren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as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so that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can be set again if necessary. can do.

이는, 새로운 촬영 설정 정보로 설정 항목들을 설정하였으나, 새로운 촬영 설정 정보가 마음에 들지 아니하여 이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새로운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한 설정 항목들의 설정이 실패되는 경우에, 그 전에 설정된 촬영 설정 정보를 다시 불러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setting items are set to the new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but the new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s not satisfied and the user wants to delete it, or when the setting items by the new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ail, the previously set shooting is performed. This is to recall the setting information and set it.

후보 이미지 표시단계(S320)에는 저장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보여줄 수 있다. 이때, 후보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표시부(도 4의 470)에 보여주면서, 사용자가 버튼 등의 조작에 의하여 후보 이미지들을 탐색하여, 선정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ndidate image display step S320, the stored candidate image file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while displaying the image of the candidate image file on the display unit 470 of FIG. 4, the user may select the image file to be selected by searching for the candidate images by manipulation of a button or the like.

다른 실시예로서,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주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는 썸네일(thumbnail) 또는 파일 이름들의 리스트의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displayed and may be selecte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or a list of file names.

이때,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보여줄 때, 보여지는 후보 리스트 파일들의 촬영 설정 정보를 읽어들여, 같은 기종의 카메라로 촬영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먼저 보여줄 수 있도록 이미지 파일에 순서를 부여하는 이미지 랭킹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andidate image files are displayed, the image ranking may be performed by read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list files to be shown, and assigning the order to the image files so that the candidate image files photographed by the same camera can be shown first. have.

또한,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이미지 파일을 우선해서 보여줄 수 있도록 순서를 부여하는 이미지 랭킹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mage ranking may be performed in order to display a candidate image file includ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at may be set by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또한,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분류하여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종류, ISO, 환산 계수 등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이용하여 검색하거나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저장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리스트 업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displayed by classify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in units of setting items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tored candidate image file may be listed by performing a function of searching or sorting using setting values of setting items such as image type, ISO, and conversion factor.

이때, 사용자에 의한 설정 항목에 대한 지정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designation of a setting item by the user, the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displayed by sorting based on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item designated by the user.

또한, 사용자에 의한 설정 항목에 대한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designation of the setting item by the user, the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displayed by sorting based on the setting value of the preset setting item.

이를 위하여,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tep of generating and storing a database by divid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into units of setting items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 설정 정보를 더욱 편리하고 용이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set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소스 이미지 선정단계(S330)에는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소스 이미지 파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파일 선택 단계(S3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 선택 단계(S325)에는 후보 이미지 표시단계(S32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In the source image selection step (S330), an image file selected from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selected as a source image file. To this end, an image file selection step S325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mage file selection step S325, an image file to extract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image files displayed in the candidate image display step S320.

이때,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이미지 파일이 선택될 수 있다. 즉, 표시되는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는 소스 이미지 선정단계(S330)에는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소스 이미지 파일로 선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an image file may be selected by a user input.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user's selection among the candidate image files to be displayed, the selected image file may be selected as the source image file in the source image selection step S330.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없는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설정에 의하여 디폴트 이미지 파일이 후보 이미지 파일로 선택될 수 있다. 디폴트 이미지 파일은 특정 이미지 파일이 될 수 있으나,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특정 순서,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에서 첫 번째 이미지 파일이 디폴트 이미지 파일로 선택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re is no selection by the user or by a preset setting, the default image file may be selected as the candidate image file. The default image file may be a specific image file, but the first image file may be selected as the default image file in a specific order, for example, from the list of image files among the image files shown to the user.

촬영정보 추출단계(S340)에는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선정된 소스 이미지 파일의 설정 정보 영역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In the shooting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340),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from the source image file. That is,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from the setting information area of the selected source image file.

설정단계(S350)에는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된 설정 항목에 대하여 지정된 지정 설정값으로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설정이 불가한 경우에,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지정 설정값과 가장 유사한 설정값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In the setting step S350,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At this time, if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annot be set as the designated setting value for the setting item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e setting value most similar to the designated setting value can be set in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an be set by.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은 프리뷰 영상 표시단계(S360); 설정정보 조정단계(S370); 및 설정정보 재설정 단계(S38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S3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preview image display step (S360); Setting information adjusting step (S370); And setting information resetting step (S380).

리뷰 영상 표시단계(S360)에는 설정된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프리뷰 영상을 보여줄 수 있다. 설정정보 조정단계(S370)에는 촬영 설정 정보를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적합하도록 조정한다. 설정정보 재설정 단계(S380)에는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재설정 한다. In the review image display step S360, the preview image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setting information adjusting step (S370),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s adjusted to be suitable for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setting information resetting step (S380), when not set by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reset to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프리뷰 영상 표시단계(S360)에는 설정된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입력된 프리뷰 영상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현재의 촬영 설정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S365)하도록 할 수 있다. 설정정보 조정단계(S370)에는 사용자가 현재의 촬영 설정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촬영 설정 정보를 원하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정 항목들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In the preview image display step (S360), the preview image input by the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nd the user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current shooting setting (S365). In the setting information adjusting step (S370),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urrent shooting setting, the setting items may be adjusted in detail so that the user can take a picture for which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s desired.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설정되어 촬영 준비가 완 료되는 경우에, 촬영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S385) 그에 따라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S390). Whe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set by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and preparation for photographing is completed, when a photographing start signal is input (S385),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S390).

본 발명에 따르면, 선정된 소스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취득이 가능한 촬영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셔터 스피드나 노출 정도, 줌 레벨 등의 정보를 일치 시켜서, 사진 촬영 시에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한 환경과 같은 환경으로 빠르고 편하게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조절하여 촬영 시의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set by extract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source image file. Therefore, by us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at can be acquired from the source image fil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shutter speed, the exposure level, the zoom level, etc. of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matched, and thus the same environment as the image taken from the source image file at the time of taking the picture is obtained. By adjust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quickly and conveniently to the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user convenience during shooting.

또한, 전문가가 촬영한 이미지 파일을 소스 이미지 파일로 사용하는 경우에, 전문가가 촬영한 이미지의 촬영 설정 정보를 같은 방식으로 취득하여, 전문가가 선택한 카메라 설정값과 비슷한 환경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입문하는 초보자들에게 좋은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the image file photographed by the expert as a source image file,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expert in the same manner, and to shoot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camera settings selected by the expert. Thus, a good guide can be provided for beginners.

또한, DSLR을 가진 사용자나 수동기능을 즐겨 사용하는 사용자도 촬영 설정값들을 보다 빠르게 조정을 할 수 있다. 인물, 환경, 야경모드와 같이 일반적으로 설정된 모드의 경우가 아닌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특수한 환경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users with DSLRs or those who enjoy manual functions can adjust the shooting settings more quickly. Even if the mode is not generally set such as a person, an environment, and a night view mod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use a special environment.

한편, 초보자의 경우 복잡한 수동기능을 굳이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자동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수동기능은 대부분의 사용자에게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카메라가 설정을 하는 과정이 복잡하거나, 관계된 지식의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eginners do not use complicated manual functions, and most of them take images using automatic functions. Thus, complex manual functions may not be necessary for most users. This may be due to the complexity of most camera settings or lack of knowledge.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여, 초보자라고 하더라도, 특정 영상에 대하여 전문가가 사용한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a beginner can take a picture according to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used by an expert for a specific image.

또한, 여러 가지 렌즈를 사용하는 DSLR의 경우에, 그때그때 환경에 따라 셔터스 피드와 노출, 줌 레벨 등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렌즈 교환 후 이전 사진과 같은 조건에서 찍고 싶을 경우 사진을 조절하는데 더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 사진에서 사용한 촬영 설정 정보를 불러와서 용이하게 동일한 촬영 설정에 의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Also, in case of DSLR using various lenses, the shutter speed, exposure, zoom level, etc.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t that time. Even in this case, it may take longer to adjust the picture if you want to take pictures in the same condition as the previous picture after changing the len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used in the previous picture can be loaded to easily take a picture by the same shooting setting.

또한, 수동 카메라는 설정이 번거롭거나 변경이 빈번한 경우 조절하기 불편하거나 어떤 상태로 조절해야 하는지 답답한 경우가 있다. 이때, 이전에 찍었던 사진과 같은 환경이나 전문가의 사진을 참조로 같은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면 좋은 가이드가 될 것이다. 특히, 예시 이미지 파일 등을 배포하여 그 이미지 파일과 같은 인물, 풍경과 같은 일반적인 환경이 아니라 특수한 환경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ual camera may be difficult to adjust when the setting is cumbersome or changes frequently, or may be frustrating in which state. At this time, it would be a good guide if the sam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referring to the environment and the expert's photo as the previous photograph. In particular, by distributing an example image file and the like, it may be helpful to easily control the special environment instead of a general environment such as a person and a landscape as the image file.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40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method S3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3.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는 영상 입력부(410); 제어부(430); 저장부(440, 450); 표시부(460); 및 사용자 조작부(470)를 구비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30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도 3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 는 이를 참조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400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410; Control unit 430; Storage units 440 and 450; Display unit 460; And a user manipulation unit 470.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4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ethod S3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3, and the same as in the description of FIG. 3 is referred to.

영상 입력부(410)는 입력 영상을 입력받는다. 저장부(440, 450)에는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된다. 표시부(470)에는 후보 이미지 파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460)는 외부로부터 원하는 지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한다. The image input unit 410 receives an input image. The storage units 440 and 450 store at least one candidate image file includ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70. The user operation unit 460 manipulates the user to input a desired command from the outside.

제어부(430)는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소스 이미지 파일로 선정하고,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설정한다. The controller 430 selects an image file selected from the candidate image files as a source image file, extracts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ource image file, and sets the shooting file us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이때, 촬영 설정 정보가 후보 이미지 파일에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EXIF)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exchange image file format (EXIF) in the candidate image file.

제어부(430)는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된 설정 항목에 대하여 지정된 지정 설정값으로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설정이 불가한 경우에,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지정 설정값과 가장 유사한 설정값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30 may be set in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setting is specified in the setting items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Can be set by similar settings.

또한, 설정된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프리뷰 영상을 보여주고, 촬영 설정 정보를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view image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adjust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addition, when not set by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reset to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입력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410)는 도 2의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 소자(2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input unit 410 that receives the input image may include the optical system OPS,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the CDS-ADC device 201, and the like of FIG. 2.

표시부(470)에는 도 2의 디스플레이 패널(215)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가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470)에는 후보 이미지 파일의 영상 또는 후보 이미지 파일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영상이 재생되어 표시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470 may include the display panel 215 and the display panel driver 214 of FIG. 2. The display unit 470 may display an image of the candidate image file or a list of the candidate image files, and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image file may be reproduced and displayed.

한편, 표시부(470)에는 저장된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가장 채택할 가능성이 큰 이미지 파일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같은 기종의 카메라로 촬영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먼저 보여줄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이미지 파일을 우선해서 보여줄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unit 470 may display an image of an image file that is most likely to be adopted among the stored candidate image files. In this case, the candidate image file photographed by a camera of the same type as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first shown. In addition, the candidate image file includ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at can be set by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first displayed.

또한,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분류하여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displayed by classify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in units of setting items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저장부(440, 450)에는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이미지 파일 또는 최종 촬영 설정 정보 등이 일시적으로 또는 비휘발성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440, 450)는 제1 저장부(440) 및 제2 저장부(450)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storage units 440 and 450, candidate image files includ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or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may be temporarily or nonvolatile. The storage units 440 and 450 may include a first storage unit 440 and a second storage unit 450.

제1 저장부(44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DRAM(도 2의 204) 또는 캐시 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 제2 저장부(450)는 데이터가 비휘발성으로 저장되는 것으로, 플래시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도 2의 206)를 통하여 인식되는 메모리 카드 등이 될 수 있다. The first storage unit 440 may be a DRAM (204 of FIG. 2) or a cache memory that temporarily stores data. The second storage unit 450 stores data non-volatilely and may be a flash memory or a memory card recognized through the memory card interface 206 of FIG. 2.

이때, 제1 저장부(440)에는 최종 촬영 설정 정보,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된 촬영 설정 정보, 새로이 설정된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입력되는 프리뷰 영 상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저장부(740)에는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습니다. In this case, the first storage unit 440 may store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ource image file, and the preview image input by the newly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second storage unit 740, candidate image files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a database by divid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into setting item units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사용자 조작부(460)는 외부로부터 원하는 지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한다. 방향 버튼(도 1의 21), 메뉴-OK 버튼(도 1의 22), 셔터 릴리즈 버튼(도 1의 26), 및 전원 스위치(도 1의 28) 등은 하는 사용자 조작부(46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user operation unit 460 manipulates the user to input a desired command from the outside. The direction button (21 in FIG. 1), the menu-OK button (22 in FIG. 1), the shutter release button (26 in FIG. 1), and the power switch (28 in FIG. 1) may be included in the user control unit 460.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에 필요한 촬영 정보를 설정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시에 필요한 촬영 정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촬영 정보 설정을 위한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by sett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hotographing by using photographic information included in a stored image fi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imply set the shooting information necessary at the time of shooting,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for setting the shoo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aliz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I can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s an embodiment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apparatu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A and 3b are flowchart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a) 현재 설정된 촬영 설정 정보를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a) storing the currently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as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b) 저장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보여주는 단계; (b) showing the stored candidate image file; (c)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소스 이미지 파일로 선정하는 단계; (c) selecting a selected image file among the candidate image files as a source image file; (d)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extract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ource image file; And (e)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and (e) sett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단계에, 동일한 기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먼저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And in step (b), first display candidate image files photographed by the same type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단계에,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상기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이미지 파일을 먼저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And in step (b), first showing a candidate image file includ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settable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단계에,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분류하여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In step (b), the candidate image files are classified into setting item units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is displayed.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설정 항목에 대한 지정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주고, If there is a designation for the setting item by a user, the list of candidate image files is displayed by sorting based on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item specified by the user.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설정 항목에 대한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상기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If there is no designation of the setting item by a user,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list of the candidate image files sorted based on a preset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ite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And generating and storing a database by divid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into units of setting items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영 설정 정보가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에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EXIF)으로 포함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And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andidate image file in an exchange image file format (EXIF).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을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하거나,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디폴트로 선정되는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source image file is selected by a user input or the candidate image file is selected by default by a preset metho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e) 단계에,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된 설정 항목에 대하여 지정된 지정 설정값으로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설정이 불가한 경우에,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지정 설정값과 가장 유사한 설정값에 의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In the step (e), if it is impossible to set in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 the designated setting value specified for the setting item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e designation is possible in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set by a setting value most similar to the setting valu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f) 설정된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프리뷰 영상을 보여주는 단계; (f) displaying a preview image according to the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g) 상기 촬영 설정 정보를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조정하는 단계; 및 (g) adjusting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h)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and (h) resett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the final image capturing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image is not set by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되는 저장부; A storage unit storing at least one candidate image file including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이 표시되는 표시부; 및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And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소스 이미지 파일로 선정하고,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서 촬영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a control unit which selects an image file selected from the candidate image files as a source image file, extracts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ource image file, and sets the shooting file us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동일한 기종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후보 이미지 파일을 먼저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first shows a candidate image file photographed by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ame model.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상기 촬영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이미지 파일을 먼저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a candidate image file including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settable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분류하여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divid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into setting item units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to display a list of the candidate image files.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저장부에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들을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 단위로 구분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a database generated by dividing the candidate image files into setting item units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촬영 설정 정보가 상기 후보 이미지 파일에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EXIF)으로 포함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the photographing sett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an exchange image file format (EXIF) in the candidate image file.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포함된 설정 항목에 대하여 지정된 지정 설정값으로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설정이 불가한 경우에, 현재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지정 설정값과 가장 유사한 설정값에 의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In the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set in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y the designated setting value specified for the setting item included in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the setting value which is most similar to the designated setting value as being settable in the cur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et by the.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설정된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프리뷰 영상을 보여주고, 상기 촬영 설정 정보를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조정하고, Show a preview image according to the set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adjust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촬영 설정 정보에 의하여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최종 촬영 설정 정보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재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resett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the final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setting is not made according to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KR1020080040807A 2008-04-30 2008-04-30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57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807A KR101457412B1 (en) 2008-04-30 2008-04-30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807A KR101457412B1 (en) 2008-04-30 2008-04-30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924A true KR20090114924A (en) 2009-11-04
KR101457412B1 KR101457412B1 (en) 2014-11-03

Family

ID=4155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807A KR101457412B1 (en) 2008-04-30 2008-04-30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4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3589B2 (en) 2010-10-14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obtaining sensibility-based im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9739B2 (en) 2001-03-26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Imaging device
JP4324727B2 (en) 2003-06-20 2009-09-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Shooting mode setting information transfer system
JP4555192B2 (en) 2005-08-10 2010-09-29 株式会社リコー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JP4965836B2 (en) 2005-09-13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3589B2 (en) 2010-10-14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obtaining sensibility-based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412B1 (en)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409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apturing pictures by user setting continuous shooting mode, and apparatus thereof
KR2009005267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058025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dual thumbnail mode
KR20100056280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6270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ng object to image in digital camera
KR101457412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9634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78335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6453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KR2010007771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6954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80090174A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141131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873042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1442604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64535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1436834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7748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3632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56591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81223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75163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702954B1 (en)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2010005627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7250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