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980A -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 Google Patents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980A
KR20090112980A KR1020080038796A KR20080038796A KR20090112980A KR 20090112980 A KR20090112980 A KR 20090112980A KR 1020080038796 A KR1020080038796 A KR 1020080038796A KR 20080038796 A KR20080038796 A KR 20080038796A KR 20090112980 A KR20090112980 A KR 20090112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group
compound
leaving group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열
문종택
김영덕
오천림
Original Assignee
동우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신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980A/ko
Publication of KR2009011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8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5/00Preparation of sulfones; Preparation of sulfoxides
    • C07C315/02Preparation of sulfones; Preparation of sulfoxides by formation of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y oxidation of sulfides, or by formation of sulfone groups by oxidation of sulf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61K31/10Sulfides; Sulfoxides; Sulf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5/00Preparation of sulfones; Preparation of sulfoxides
    • C07C315/06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02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7/10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향과의 일종인 글리코스미스 앙구스티폴리아(Glycosmis angustifolia) 또는 무로부터 추출에 의해 얻었던 메틸이소제람블론을 용이하게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신규한 중간체, 및 이들 중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틸이소제람블론, 제조방법, 중간체

Description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Method of preparing methylisogerambullone and intermediates therefor}
본 발명은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틸이소제람블론을 용이하게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이를 위한 중간체, 및 이들 중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틸이소제람블론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 천연물로부터 추출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29883721-PAT00001
예를 들어, 참고문헌 [Liebigs Annalen , No 10, p 1789, 1995]에 따르면 태국에 있는 몇 가지 글리코스미스(Glycosmis) 종의 나뭇잎으로부터 5종의 메틸설포닐 프로펜산 아미드가 분리되었으며, 그 가운데 하나가 메틸이소제람블론이었다. 또한, 참고문헌 [Phytochemistry, Vol. 28, No. 3, p 1305, 1994]에 따르면, 스리랑카의 글리코스미스 앙구스티폴리아(Glycosmis angustifolia)의 나뭇잎으로부터 메탄올 추출방법에 의하여 메틸설폰프로펜산 아미드 유도체인 일곱 가지의 새로운 설폰 화합물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에 메틸이소제람블론, 메틸담블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주성분인 메틸담블린은 어느 정도의 항균 효과를 나타냄이 밝혀져 있다.
한편, 한국 특허 제10-0531635호에는 메틸이소제람블론을 무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약물학적 용도로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활성을 경유하여 위장관 운동 증진 효과를 나타내어 위장관 운동 저하로 기인한 변비 등의 질환에 치료적 약물로서의 사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Vol 57. pp 1653].
그러나 메틸이소제람블론을 추출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은 수율 및 순도가 극히 낮고, 추출에 대용량의 용매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환경적으로도 문제가 되어, 메틸이소제람블론을 합성에 의해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구조가 복잡하여 아직까지 메틸이소제람블론의 합성 방법에 관하여 보고된 예는 없다.
본 발명자들은 메틸이소제람블론의 합성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검 토한 결과, 신규한 특정 중간체들을 이용하여 메틸이소제람블론을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메틸이소제람블론을 용이하게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를 위한 신규한 중간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중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메틸이소제람블론을 용이하게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 이를 위한 중간체, 및 이들 중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기 화학식 1의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2의 (E)-N-(4-히드록시펜에틸)-N-메틸-3-(메틸설포닐)아크릴아미드와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짝지음 반응시킨 후, 연속적으로 디치안기를 탈보호 반응시키고 히드록시기를 탈수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29883721-PAT00002
[화학식 2]
Figure 112008029883721-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08029883721-PAT00004
[화학식 4]
Figure 112008029883721-PAT00005
상기 식에서,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이탈기이다. 상기 이탈기로서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실, 또는 토실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X가 히드록시기인 경우, 페놀기와 히드록시기의 짝지음 반응은 미츠노부(Mitsunobu) 조건 [Organic Reactions, vol. 42, p 335)]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트리페닐포스핀 또는 트리부틸포스핀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반응온도는 0℃부터 가열 환류 온도까지 사용될 수 있는데, 상온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치안기의 탈보호 반응 및 히드록시기의 탈수 반응은 트리플루오로아세틱산, 수은 수용액,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요오드화메탄/물/아세토니트릴, 3-클로로퍼벤조산/무수초산 등을 사용하여 한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메탄/물/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나, 이때 아세토니트릴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다이옥산,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초산에틸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0℃부터 가열 환류온도까지 가능하며, 상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화학식 1의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공정을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08029883721-PAT00006
상기 화학식 2의 (E)-N-(4-히드록시펜에틸)-N-메틸-3-(메텔설포닐)아크릴아미드는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2-(메틸아미노)에틸)페놀과 3-(메틸설포닐)아크릴산을 아미드 결합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08029883721-PAT00007
상기 아미드 결합 반응은 염산티오닐/염기 또는 옥시염화인/염기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염기로는 유기염기와 무기염기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기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등, 무기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반응은 디사이클로헥실디카보이미드/디메틸아미노피리딘, 디사이클로헥실디카보이미드/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염산염/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염산염/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존재하에서, 용매로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반응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염산염/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하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용매로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때 반응온도는 상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4-(2-(메틸아미노)에틸)페놀은 티라민을 메틸화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오드화메탄, 포름알데히드/팔라듐/수소, 포름알데히드/시아노수소화보론나트륨 등을 이용하여 티라민의 질소에 메틸기를 직접 도입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라민의 질소에 t-부틸옥시카르보닐기를 도입한 후 수소화리튬알루미늄 등으로 환원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08029883721-PAT00008
또한, 상기 3-(메틸설포닐)아크릴산은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피올릭산과 메틸티오금속, 바람직하게는 메틸티오나트륨을 반응시켜 3-(메틸티오)아크릴산을 수득한 다음 산화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08029883721-PAT00009
상기 산화 반응에서 사용되는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 3-클로로퍼벤조산, 옥손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3-클로로퍼벤조산을 사용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의 중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기 화학식 3의 중간체의 제조방법은
(i) 하기 화학식 5의 2-(2-메틸프로페닐)-[1,3]-디치안과 하기 화학식 6의 옥시란 화합물을 짝지음 반응시킨 후 실란 보호기를 탈보호 반응시키는 단계; 및
(ⅱ) 임의로 히드록시기를 이탈기로 치환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0
[화학식 6]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1
[화학식 3]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2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이탈기이다. 상기 이탈기로서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실, 또는 토실기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5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릴기는 단순 또는 융합 고리형이며 고리는 5 내지 15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불포화 탄화수소이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i)에서 화학식 5의 2-(2-메틸프로페닐)-[1,3]-디치안과 화학식 6의 옥시란 화합물의 짝지음 반응은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소화나트륨, n-부틸리튬, t-부틸리튬, sec-부틸리튬 등의 염기 존재 하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톨루엔 등을 용매로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반응온도는 -78 ~ -20℃가 바람직하며, -78℃가 가장 바람직하다. 실란 보호기의 탈보호 반응은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HF, 삼불소초산 등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ii)에서 히드록시기의 이탈기로의 치환 반응은 토실클로라이드, 메실클로라이드, PPh3/Br2, PPh3/I2, SOCl2,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나 수산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의 무기염기 등을 함께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반응식 5]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3
한편, 상기 화학식 5의 2-(2-메틸프로페닐)-[1,3]-디치안은 3-메틸크로톤알데히드와 1,3-프로판디치올을 산 촉매하에서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산 촉매로는 트리플루오로보론 에테르, 파라톨루엔설폰산, 황산, 캄포설폰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20℃ 내지 상온이 바람직하며, 반응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다이옥산, 디클로로메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클로로메탄을 용매로 하고 트리플루오로보론 에테르를 산 촉매로 하여 -10℃에서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6의 옥시란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메틸-3-부텐-1-올의 히드록시기에 실란기를 도입하여 보호한 후 산화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6]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4
상기 반응식 6에서 실란 보호기의 도입은 알킬/아릴실릴할라이드와 촉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촉매로는 이미다졸, 질산은, 피리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디아미노피리딘이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산화제로는 3-클로로퍼벤조산, 과산화수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클로로퍼벤조산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4의 중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기 화학식 4의 중간체의 제조방법은
(i) 하기 화학식 5의 2-(2-메틸프로페닐)-[1,3]-디치안과 하기 화학식 7의 알데히드 화합물을 짝지음 반응시킨 후 실란 보호기를 탈보호 반응시키는 단계; 및
(ⅱ) 임의로 히드록시기를 이탈기로 치환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5
[화학식 7]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6
[화학식 4]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7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이탈기이다. 상기 이탈기로서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실, 또는 토실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i)에서 짝지음 반응 및 실란 보호기의 탈보호 반응은 하기 반응식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짝지음 반응 및 탈보호 반응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7]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8
한편, 상기 화학식 7의 알데히드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메틸-디히드로푸란-2(3H)-온을 환원 반응시켜 락톨 화합물을 수득한 후, 락톨 화합물의 개환성을 이용하여 히드록시기에 실란 보호기를 도입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환원제로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디이소부틸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참조: J. Org . Chem , 1990, 55, 3147].
[반응식 8]
Figure 112008029883721-PAT00019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 로 나타내는 신규 중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0
[화학식 4]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1
상기 식에서,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이탈기이다. 상기 이탈기로서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실, 또는 토실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향과의 일종인 글리코스미스 앙구스티폴리아(Glycosmis angustifolia) 또는 무로부터 추출에 의해 얻었던 메틸이소제람블론을 신규한 중간체들을 이용하여 고수율 및 고순도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 E )-3-( 메틸티오 )아크릴산의 제조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9 mL에 프로피올릭산 5.2g을 천천히 가하고, 이 용액에 15% 메틸티오나트륨 수용액 35g을 천천히 가한 다음, 120℃에서 12 시간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0℃로 냉각한 후 진한 염산을 천천히 가하여 pH를 1로 맞추었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찬물로 세척하고 여액을 초산에틸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연노란색 고체를 얻었다. 앞서 얻은 고체와 합친 후 크실렌 1,000 mL를 가하고 48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크실렌을 완전히 제거한 후 초산에틸로 재결정하여 노란색 고체 화합물 5.6g (수율 65.05%)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 6 ) : δ=12.04(1H, s, -COOH), 7.71(1H, J=14.8Hz, -SCH=), 5.63(1H, J=14.8Hz, -SCH=CH-COOH), 2.34(3H,s, -SCH3)
13C NMR (100MHz, DMSO-d 6 ) : δ=166.16, 147.22, 114.35, 14.17
제조예 2: ( E )-3-( 메틸설포닐 )아크릴산의 제조
2.02g의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E)-3-(메틸티오)아크릴산을 디클로로메탄 250 mL에 녹인 후 0℃로 냉각하였다. 그런 다음, 70% 3-클로로퍼벤조산 8.04g을 가한 후 12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아황산수소나트륨 4g을 가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100 mL로 농축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다음, 여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결정하여 백색 고체 화합물 2.7g (수율 100%)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 6 ) : δ=13.54(1H, s, -COOH), 7.64(1H, J=15.6Hz, -S(O)2CH=), 6.62(1H, J=15.6Hz, -OSCH=CH-COOH), 3.18(3H,s, -S(O)2CH3)
13C NMR (100MHz, DMSO-d 6 ) : δ=165.17, 143.01, 132.19, 41.96
제조예 3: 4-(2-( 메틸아미노 )에틸)페놀 염산염의 제조
티라민 10g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현탁시키고 디-t-부틸디카보네이트 17.5g을 가한 다음,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무수 다이옥산 250 mL에 녹인 후 0℃로 냉각하였다. 수소화리튬알루미늄 13.8g을 가하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 90℃에서 24시간 가열하였다. 메탄올 10 mL를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더 이상 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면 메탄올 200 mL를 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에 진한 염산을 가하여 pH를 1로 맞추었다. 연속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한 후 초산에틸을 감압 농축하여 백색의 고체 화합물 10.2g (수율 93%)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 δ=7.11(2H, dd , J=6.4, 1.6 Hz, phenyl), 6.77(2H, dd , J=6.4, 1.6Hz, aryl),3.19(2H, m, -CH2-), 2.89(2H, m, -CH2-), 2.70(3H, s, -NCH 3 )
13C NMR (100MHz, CD3OD) : δ=156.45, 129.41, 126.64, 115.36, 50.39, 32.32, 31.12
제조예 4: ( E )- N -(4- 히드록시펜에틸 )- N - 메틸 -3-( 메틸설포닐 ) 아크릴아미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수득한 4-(2-메틸아미노에틸)페놀 염산염 1.44g, 제조예 2에서 수득한 (E)-3-(메틸설포닐)아크릴산 1.15g,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 93m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0 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1.28 mL를 가하였다. 0℃로 냉각한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염산염 1.16g을 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M 염산 수용액을 가하여 pH를 5~6으로 맞춘 후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처리하여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초산에틸:헥산 = 2:1)하여 백색 고체 화합물 1.1g (수율 : 51%)을 얻었다.
Cis-soid
1H NMR (400MHz, CDCl3) : δ=7.33(1H, d , J=14.4Hz, -SO2CH=CH-), 7.05(2H, d, J=8.4Hz, aryl), 6.79(2H, d, J=8.4Hz, aryl), 3.67(2H, t, J=7.2Hz, -CH2CH 2 N), 3.01(3H, s, -CH3), 2.91(3H, s, -CH 3 ), 2.81(2H, t, J=7.2Hz, -CH 2 CH 2 N)
13C NMR (100MHz, CDCl3) : δ=162.82, 154.87, 139.57, 133.13, 129.86, 129.77, 115.55, 50.34, 42.40, 36.29, 31.60
Tran-soid
1H NMR (400MHz, CDCl3) : δ=6.93~6.89 (3H, m, aryl and vinyl), 6.77~6.73(3H, m, aryl and vinyl), 3.60(2H, t, J=6.0Hz, -CH2CH 2 N), 3.08(3H, s, -CH 3 ), 2.86(3H, s, -CH 3 ), 2.79(2H, t, J=6.0Hz, -CH 2 CH 2 N)
13C NMR (100MHz, CDCl3) : δ=163.52, 155.59, 138.22, 132.03, 130.31, 128.65, 116.24, 52.44, 42.47, 34.28, 33.61
제조예 5: 2-(2- 메틸프로페닐 )-[1,3]- 디치안의 제조
3-메틸크로톤알데히드 6.7g을 디클로로메탄 30 mL에 녹인 후, 1,3-프로판디치올 8.6g을 가하고 -10℃로 냉각하였다. 그런 다음, 트리플루오로보론 에테르 용액 1 mL를 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유기층을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무색의 액체 화합물인 표제 화합물 12.1g (수율 87.35%)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 δ=5.12(1H, =CH), 4.85(1H, d, J=10.0Hz, -SCHS-), 2.96~2.75(4H, m, -SCH 2 CH2CH 2 S-), 2.10~2.04(1H, m, -SCH2 CH 2CH2S-), 1.87~1.79(1H, m, -SCH2 CH 2CH2S-), 1.73(3H, d, J=1.6Hz, -CH3), 1.73(3H, d, J=1.2Hz, -CH3)
13C NMR (100MHz, CDCl3) : δ=137.76, 121.19, 44.44, 30.61, 25.63, 25.00, 18.40
실시예 1 : 트리이소프로필(2-(2- 메틸옥시란 -2-일) 에톡시 )실란의 합성
3-메틸-3-부텐-1-올 5.3g과 트리이소프로필실릴클로라이드 11.19g을 디클로로메탄 60mL에 녹인 후. 이미다졸 8g을 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미다졸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물로 씻어주었다. 여액을 50mL로 농축한 후 0℃로 냉각하고 3-클로로퍼벤조산 16.7g을 가하였다.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피하여 무색의 액체인 표제 화합물 12.4g (수율: 79.7%) 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 δ=3.86~3.81(2H, m), 2.72(1H, d, J=4.8), 2.60(1H, d, J=4.8Hz), 1.78~1.68(1H, m), 1.38(3H, s), 1.09(6H, s), 0.85~0.93(1H, m)
실시예 2 : (3- 메틸 -4-(2-(2- 메틸프로프 -1-엔일)-[1,3]- 디치안 -2-일)부탄-1,3-디올 의 합성
상기 제조예 5에서 수득한 2-(2-메틸프로페닐)-[1,3]-디치안 2g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 mL에 녹이고 -78℃로 냉각하였다. 1.7M의 t-부틸리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6.75 mL를 천천히 가하고, -2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다시 -78℃로 냉각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트리이소프로필(2-(2-메틸옥시란-2-일)에톡시)실란 2.3g을 천천히 가하고, -78℃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4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한 후 수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1M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10 mL를 가하고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물을 가한 후 수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초산에틸:헥산 = 1:3)하여 액체인 표제 화합물 2.06g (수율 : 65%) 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 δ=5.35(1H, s), 3.86(2H, s), 3.80~3.65(2H, m), 3.00~2.89(2H, m), 2.66~2.60(2H, m), 2.53(1H, d, J=15.2Hz), 2.16(1H, d, J=15.2Hz), 2.0~1.7(3H, m), 1.88(3H, d, J=1.2Hz), 1.64(3H, d, J=1.2Hz), 1.56~1.48(1H, m), 1.23(3H, s)
실시예 3 : 4-( tert - 부틸디페닐실릴옥시 )-2- 메틸 -1-(2-(2- 메틸프로프 -1-엔일)-[1,3]- 디치안 -2-일)부탄-1-올의 합성
상기 제조예 5에서 수득한 2-(2-메틸프로페닐)-[1,3]-디치안 1.67g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mL에 녹이고 -78℃로 냉각하였다. 1.6M의 n-부틸리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6.6 mL를 천천히 가하였다.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다시 -78℃로 냉각하였다. 4-(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2-메틸부타날 400mg을 천천히 가하고 -4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후 수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초산에틸:헥산 = 1:1)하여 무색의 오일성 표제 화합물 56mg(수율: 14%)을 얻었다.
실시예 4 : 메틸이소제람블론의 합성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3-메틸-4-(2-(2-메틸프로프-1-엔일)-[1,3]-디치안-2-일)부탄-1,3-디올 560mg, 상기 제조예 4에서 수득한 (E)-N-(4-히드록시펜에틸)-N-메틸-3-(메틸설포닐)아크릴아미드 574mg 및 트리페닐포스핀 637m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 mL에 녹였다.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IAD) 0.48ml을 가한 후 3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용매를 감압 농축하고 아세토니트릴 30 mL에 녹인 후 물 5 mL를 가하였다. 요오드화메탄 10 mL를 가하고 상온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하여 요오드화메탄과 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초산에틸:헥산 = 3:1)하여 무색의 오일성 표제 화합물 100mg (수율: 9.5%)을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 δ=6.97(1H, d), 6.96(2H, d), 6.81(1H, d), 6.79(2H, d), 6.09(1H, s), 6.01(1H, s), 4.07(2H, t), 3.55(2H, t), 3.00(3H, s), 2.99(2H, t), 2.82(3H, s), 2.75(2H, t), 2.12(3H, d), 1.95(3H, d), 1.84(3H, s).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2의 (E)-N-(4-히드록시펜에틸)-N-메틸-3-(메틸설포닐)아크릴아미드와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짝지음 반응시킨 후, 연속적으로 디치안기를 탈보호 반응시키고 히드록시기를 탈수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의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2
    [화학식 3]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3
    [화학식 4]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4
    [화학식 1]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5
    상기 식에서,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이탈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이탈기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실, 또는 토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i) 하기 화학식 5의 2-(2-메틸프로페닐)-[1,3]-디치안과 하기 화학식 6의 옥시란 화합물을 짝지음 반응시킨 후 실란 보호기를 탈보호 반응시키는 단계; 및
    (ii) 임의로 히드록시기를 이탈기로 치환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5]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6
    [화학식 6]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7
    [화학식 3]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8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이탈기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이탈기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실, 또는 토실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R1, R2 및 R3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또는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 6의 옥시란 화합물이 3-메틸-3-부텐-1-올의 히드록시기에 실란기를 도입하여 보호한 후 산화 반응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i) 하기 화학식 5의 2-(2-메틸프로페닐)-[1,3]-디치안과 하기 화학식 7의 알데히드 화합물을 짝지음 반응시킨 후 실란 보호기를 탈보호 반응시키는 단계; 및
    (ii) 임의로 히드록시기를 이탈기로 치환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5]
    Figure 112008029883721-PAT00029
    [화학식 7]
    Figure 112008029883721-PAT00030
    [화학식 4]
    Figure 112008029883721-PAT00031
    상기 식에서,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이탈기이고,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이탈기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실, 또는 토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R1, R2 및 R3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또는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112008029883721-PAT00032
    상기 식에서,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이탈기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이탈기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실, 또는 토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2.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112008029883721-PAT00033
    상기 식에서,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이탈기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이탈기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실, 또는 토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KR1020080038796A 2008-04-25 2008-04-25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KR20090112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96A KR20090112980A (ko) 2008-04-25 2008-04-25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96A KR20090112980A (ko) 2008-04-25 2008-04-25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80A true KR20090112980A (ko) 2009-10-29

Family

ID=4155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796A KR20090112980A (ko) 2008-04-25 2008-04-25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9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indon et al. Regiocontrolled opening of cyclic ethers using dimethylboron bromide
EP1806338B1 (en) Process for producing 2-amino-2-[2-[4-(3-benzyloxy-phenylthio)-2-chlorophenyl[ethyl]-1,3-propanediol hydrochloride and hydrates thereof. and intermediates the production thereof
CN113365992B (zh) 用于沃塞洛托的制备的方法和中间体
JP5646706B2 (ja) C−グリコシド誘導体の製造方法
KR101777634B1 (ko) 3-((2s,5s)-4-메틸렌-5-(3-옥소프로필)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프로판올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RU227203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ерапроста и его солей
JP6212429B2 (ja) 1,3,4,5−テトラカフェオイルキナ酸の製造方法および中間体化合物
WO2000010986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2r, 3s)-3-amino-1,2-oxirane
KR20090112980A (ko) 메틸이소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KR101176892B1 (ko) 메틸제람블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JPH0481589B2 (ko)
JP2023548914A (ja) ピロリノン系化合物及びその合成方法
US4395561A (en) Synthesis of 3-hydroxyoxetane
CZ20697A3 (en) Process of stereoselective preparation of heterobicyclic alcohol enantiomer
US558098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4-[(substituted phenyl)alkylheterocyclic]-N
KR102436114B1 (ko) 신규한 이노토디올의 제조방법
JP2011520876A (ja) HMG−CoA還元阻害剤の製造のためのキラル中間体の製造方法
CN114685553B (zh) 一种艾地骨化醇中间体的制备方法及其中间体
JP4336913B2 (ja) アミド誘導体の製造方法
JP3084578B2 (ja) 光学活性化合物の製造法
JP4162891B2 (ja) テトラヒドロチオフェ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2893473B2 (ja) (+)―エキレニンの製造法および中間体
JPH11140071A (ja) バッカチン誘導体及びその製法
JP2014169239A (ja) 核酸誘導体とその製造方法
JP5763313B2 (ja) 2−(1−ベンゾチオフェン−5−イル)エタノール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