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120A - 투명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120A
KR20090112120A KR1020080037823A KR20080037823A KR20090112120A KR 20090112120 A KR20090112120 A KR 20090112120A KR 1020080037823 A KR1020080037823 A KR 1020080037823A KR 20080037823 A KR20080037823 A KR 20080037823A KR 20090112120 A KR20090112120 A KR 20090112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monolactylate
comparative example
weight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구형서
김윤덕
유철희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3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120A/ko
Publication of KR2009011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계면활성제 3 내지 50중량부, 아실 락틸레이트계 계면활성제 0.001 내지 10중량부, 양이온성 셀룰로오즈 폴리머 0.001 내지 1.0중량부 및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 0.001 내지 10중량부를 함유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투명 샴푸 조성물은 안정적으로 투명성이 유지되면서도,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기포감과 젖은 상태 혹은 마른 상태에서의 뛰어난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저온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모발용 샴푸, 아실 락틸레이트,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 양이온폴리머

Description

투명 샴푸 조성물{A transparent shampoo composition}
본 발명은 투명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만족스러운 세정효과와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기포감,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보이면서 저온 안정성이 우수한 투명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세정제인 샴푸는 모발 및 두피의 오염물과 피지를 제거함으로써 모발을 깨끗하게 만들어 주지만 샴푸과정을 통해 피지 및 모발의 보습성분이 제거되어 모발의 부드러움이 약해지고 건조해져 모발이 엉키고 다루기 힘든 상태가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불투명 샴푸의 경우에는 모발 컨디셔닝제를 포함시켜 모발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있지만, 투명 샴푸의 경우에는 통상적인 모발 컨디셔닝제 사용시 제형이 불투명해 지는 제약이 있다.
투명 샴푸는 청결하고 순한 이미지로 유아 또는 어린이용 샴푸로 선호되고, 미려한 외관으로 심미적인 장점을 제공하나, 통상적인 모발 컨디셔닝제 사용시 제형이 불투명해져 첨가하여야 할 컨디셔닝 성분들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제품 성능도 불만족스럽고 기포량도 부족하여 샴푸로서의 기능이 부족한 것이 문제이다. 어린이용 투명샴푸에서는 컨디셔닝제의 제한이 있다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모발손상이 적어 샴푸시 모발이 엉기거나 건조해지지 않기 때문에 유아용 제품에서는 상대적인 만족도가 높다는 것이 통상적인 업계의 견해이다. 그러나 성인들의 모발은 오염, 잦은 퍼머, 헤어 드라이, 염색, 빗질 등에 의한 손상이 심해 일정수준 이상의 컨디셔닝 효과를 가지는 모발세정제가 필요하고, 투명 샴푸의 경우 제형의 제약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수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모발의 컨디셔닝은 주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중합체, 실리콘 컨디셔닝 제제, 탄화수소 오일 및 지방알콜과 같은 원료의 사용을 통해 제공된다. 그러나 오일, 실리콘 성분은 샴푸 제형에서 불투명하여 투명 제형에 적용이 불가능 하다.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중합체, 탄화수소 오일 및 지방 알코올은 세정에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콤플렉스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아 외관을 불투명하게 하고 기포를 저해하는 단점이 있어 주 컨디셔닝제로 활용이 어렵다.
한국특허 제 1990-006825호에서는 라놀린 알코올 및 유화제로 실리콘 오일을 마이크로 에멀젼화시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기술을 사용하였으나 이들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기포력이 크게 저하되며 컨디셔닝 효과도 미미하다.
미국특허 제 5,145,607호에서는 오일, 실리콘 등을 배제시키고 음이온 계면활성제 처방에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시킨 기술로 투명 컨디셔닝 샴푸를 제안하고 있으나, 양이온성 폴리머는 과다 사용할 경우 끈적이거나 빌드업 현상이 초래되는 경향이 있으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저온 안정성, 투명도 및 자극성으로 인하여 과다 사용이 어려워 컨디셔닝 효과 측면에서는 여전히 부족함이 있다.
미국특허 제 5,990,059호에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구아르 검 유도체를 사용하고, 실리콘 오일을 마이크로에멀젼화 시켜 컨디셔닝을 구현하였다. 하지만 양이온 구아르 검 유도체 폴리머는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지 못하며, 컨디셔닝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과량 사용하면 끈적이거나 빌드업의 소지가 있다. 또한,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의 경우에도 점도 800,000cPs 이상의 고점도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을 사용하지 않으면 컨디셔닝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고, 심한 손상 모발의 소비자에게는 여전히 사용시 모발이 엉기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 제 10-0564223호에서는 양쪽성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폴리머를 컨디셔닝제로 하는 투명 컨디셔닝 샴푸를 제안하고 있으나 음이온계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샴푸의 기본 속성인 기포력과 세정력이 뛰어나지 못하다.
따라서, 투명성을 유지하여 청결한 느낌을 주는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샴푸 본연의 역할인 세정력이 저하되지 않고, 기포가 풍부하고, 빌드업이 없는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낼 수 있는 투명 샴푸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도, 만족스러운 세정효과와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기포감,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보이면서 저온 안정성이 우수한 투명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 샴푸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계면활성제 3 내지 50중량부, 아실 락틸레이트계 계면활성제 0.001 내지 10중량부, 양이온성 셀룰로오즈 폴리머 0.001 내지 1.0중량부 및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 0.00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 설페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일 수 있다 :
[화학식 1]
ROSO3M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0내지 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M은 암모늄, 나트륨, 칼륨과 같은 다가 금속 양이온으로, 수용성 양이온 중에서 선택되며,
[화학식 2]
RO(C2H4O)xSO3M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0내지 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x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이며, M은 암모늄, 나트륨, 칼륨과 같은 다가 금속 양이온으로, 수용성 양이온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실락틸레이트계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로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미리스토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스테아로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이소스테아로일락틸레이트, 소듐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코코일모노락틸레이트, 포타슘도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포타슘도데카노일디락틸레이트, 소듐미리스토일디락틸레이트, 소듐라우로일디락틸레이트, 라우로일디락틸릭애씨드, 팔미토일디락틸릭애씨드, TEA-라우로일모노락틸레이트, TEA-도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암모늄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및 TEA-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셀룰로오즈 폴리머로는 폴리쿼터늄-10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은 입자 크기가 0.05micron 이하로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 및 아모디메티콘 마이크로에멀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샴푸 조성물은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기포감과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의 모발의 빗질감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뿐 아니라, 빌드업 없이 모발의 부드러움과 매끄러움을 부여하고 저온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목적하는 세척 및 거품 발생 성능을 제공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투명 샴푸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부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이하로 첨가되면, 세척 효과가 떨어지며, 상기 범위 이상으로 첨가되면, 컨디셔닝 효과가 저해된다.
본 발명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 우레트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트 설페이트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아실 락틸레이트계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
[화학식 3]
RCO(OC2H4CO)xOM
상기 식에서 RCO는 탄소수 6내지 16인 아실 라디칼이며, x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M은 암모늄, 나트륨, 칼륨과 같은 다가 금속 양이온이다.
상기 아실 락틸레이트는 보조계면활성제로서 투명 제형에 어울리는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거품 느낌을 주고 헹굼시 모발의 유연효과에도 크게 기여한다. 따라서 헹굼시 컨디셔닝이 크게 향상되어 고점도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을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을 활용하여도 충분한 컨디셔닝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아실 락틸레이트 성분의 농도는 목적하는 거품 발생 성능 및 모발의 유연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투명 샴푸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내지 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이하로 첨가되면 거품 발생 성능 및 컨디셔닝 효과가 저하되고 과량 첨가되면, 투명도 및 안정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아실 락틸레이트의 예로는 소듐라우로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미리스토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스테아로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이소스테아로일락틸레이트,소듐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코코일모노락틸레이트, 포타슘도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포타슘도데카노일디락틸레이트, 소듐미리스토일디락틸레이트, 소듐라우로일디락틸레이트, 라우로일디락틸릭애씨드, 팔미토일디락틸릭애씨드, TEA-라우로일모노락틸레이트, TEA-도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암모늄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및 TEA-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가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즈 폴리머는 컨디셔닝제로서, 일반적으로 폴리쿼터늄으로 불리고 있으며, 트리메틸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가 중합된 4급 암모늄염의 반응생성물로서 실리콘의 모발흡착을 도와 향상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이온성 셀룰로오즈 폴리머는 투명 샴푸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이하로 첨가되면 컨디셔닝 효과가 떨어지며 그 이상으로 첨가되면 빌드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양이온성 셀룰로오즈 폴리머로는 다양한 폴리쿼터늄 시리즈가 있으나 본 발명에 적합한 양이온성 셀룰로오즈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0이다. 폴리쿼터늄-10으로는 Amerchol 사의 Polymer LR, JR, JP, KG 시리즈의 제품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은, 컨디셔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샴푸 제형에서는 오일 성분인 실리콘의 안정화를 위하여 에멀젼화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이를 투명 제형으로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입자 크기를 줄여 마이크로에멀젼화시킨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을 투명 샴푸 제형에 활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활용된 투명샴푸에 사용하기 적합한 마이크로에멀젼은 입자 크기가 0.05micron 이하인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 및 아모디메티콘 마이크로에멀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리콘 상기 마이크로에멀젼은 투명 샴푸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이하로 첨가되면 컨디셔닝 효과가 떨어지며 그 이상으로 첨가되면 기포력이 저하되고 빌드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임의적으로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된 성분들, 예를 들어 양쪽성 계면활성제, 기타 다른 계면활성제, 보습제, 지방물질, 습윤물질, 향료, 방부제, 비타민, 단백질 등과 같이 두발 화장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는 파라옥시안식향에스테르와 같은 방부제; 가수분해 밀 단백질(hydrolyzed wheat protein)과 같은 모발 보수제; PEG-150 pentaerythrityl Tetrastearateate,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등 과 같은 점도 조정 제; 등이 당해 분야의 전문가의 통상의 지식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을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모발 보호 조성물의 숙련자들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 는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총 조성물의 중량% 이고 모든 비는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중량비이다.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언급되는 성분의 모든 %, 비 및 함량은 성분의 실제의 양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시판 제품에서 상기 성분과 합쳐질 수 있는 용매, 충전제 또는 기타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 실시예 1 내지 8 >
본 발명에 따라 표 1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8의 조성을 갖는 투명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 성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 6 실시예7 실시예8
소듐 라우레트-2 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8 1.8 1.8 1.8 1.8 1.8 1.8 1.8
소듐라우로일락틸레이트1 ) 0.1 5.0 2.0 - 2.0 2.0 2.0 2.0
소듐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2 ) - - - 2.0 - - - -
폴리쿼터늄-103) 0.5 0.5 0.5 0.5 1.0 - 0.5 0.5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A (25%)4) 3.0 3.0 3.0 3.0 3.0 5.0 - -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B (25%)5) - - - - - - 3.0
아모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A(33%)6) 2.3
염화나트륨 0.3 0.3 0.3 0.3 0.3 0.3 0.3 0.3
PEG-150 pentaerythrityl Tetrastearate 7) 0.2 0.2 0.2 0.2 0.2 0.2 0.2 0.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시트릭애씨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1) 상품명: STEPAN SLL-FB(Maker: STEPAN)
2) 상품명: Priazul 2134(Maker: Cognis)
3) 상품명: JR-400(Maker: Amerchol)
4) 상품명: 2-1870 emulsion(Maker: Dow Corning , 25% 수성에멀젼, 원액점도 50,000 cPs, 입자 크기 0.040micron이하)
5) 상품명: 2-1391 emulsion(Maker: Dow Corning, 25% 수성에멀젼, 0.02% 가교율, 원액점도 800,000 ~ 1,500,000, 입자 크기 0.043micron이하)
6) 상품명: Silsoft ME-82(Maker: Crompton, 33% 수성에멀젼, 원액점도 1,000 cPs, 입자 크기 0.038micron이하)
7) 상품명: Crothix(Maker: Croda)
상기에 언급한 실시예 1 ~ 8 에 따른 본 조성물은 표 1의 조성에 따라 다음의 제조과정을 거친다. 정제수에 소듐라우레트-2 설페이트,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소듐라우로일락틸레이트, 폴리쿼터늄-10 등을 가하여 70℃까지 가온한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교반한다. 45℃까지 냉각교반시킨 후 이 혼합물에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 등을 가하여 30분간 교반시켜 샴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및 2 >
상기 실시예에 따른 투명샴푸 조성물과 기존의 마일드 보조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제품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마일드 보조계면활성제로 많이 활용되는 소듐라우릴 술포아세테이트 함량을 제외한 다른 조성물의 양을 동일하게 하였으며, 마일드 보조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차이도 관찰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조성으로 하여 비교예 1~2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및 4 >
양이온 폴리머 및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제품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양이온 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3과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4를 제조하였다. 양이온 폴리머로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폴리쿼터늄-10을 사용하였다.
< 비교예 5 및 6 >
상기 실시예에 따른 투명 샴푸 조성물과 기존의 양이온 구아르 검 유도체를 사용한 제품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양이온 구아르 검 유도체를 제외한 다른 조성물의 양을 동일하게 하여 하기 표2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5 및 6을 제조하였다. 양이온성 구아르 검 유도체로는 구아르 하이드록시 프로필 트리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고, 자구아로서 시판된다.
< 비교예 7 >
양이온 구아르 검 유도체와 고점도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 7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8 >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이 아닌 일반 실리콘에멀젼을 사용한 경우와 제품의 투명도
를 비교하기 위해서 표2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8를 제조하였다.
조 성 성 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소듐 라우레트-2 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14 1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8 1.8 1.8 1.8 1.8 1.8 2 1.8
소듐라우릴 술포아세테이트1 ) 4.0 2.0 - - - - - -
소듐라우로일 락틸레이트 - - 2.0 2.0 2.0 2.0 - 2.0
폴리쿼터늄-10 0.5 0.5 0.5 - - - - -
Jaguar 2) - - - - 0.1 0.5 0.5 0.5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A 3) 3.0 3.0 - 3.0 3.0 3.0 - -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B 4) - - - - - - 2.4 -
디메치콘 에멀젼 C 5) - - - - - - - 1.5
염화나트륨 0.3 0.3 0.3 0.3 0.3 0.3 0.3
PEG-150 pentaerythrityl Tetrastearate 6) 0.2 0.2 0.2 0.2 0.2 0.2 0.2 0.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시트릭애씨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1) 상품명: Lantanol LAL flake(Maker: STEPAN)
2) 상품명: Jaguar C13S(Maker: Rhodia)
3) 상품명: 2-1870 emulsion(Maker: Dow Corning, 25% 수성에멀젼, 원액점도 50,000 cPs, 입자 크기 0.040micron이하)
4) 상품명: 2-1391 emulsion(Maker: Dow Corning, 25% 수성 에멀젼, 0.02% 가교율,원액점도 800,000 ~ 1,500,000 cPs, 입자 크기 0.043micron이하)
5) 상품명: DC-1132 emulsion(Maker: Dow Corning, 50% 수성에멀젼, 원액점도 60,000cPs, 입자 크기 5.0~15.0micron이하)
6) 상품명: Crothix(Maker: Croda)
< 실험예 1: 코아세르베이트 형성능 평가 >
컨디셔닝 효과의 평가는 당업계에서 범용적으로 샴푸의 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코아세르베이트 형성능 평가를 이용하였다. 코아세르베이트는 실리콘 에멀젼을 모발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여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증가시킨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투명샴푸 10% 희석액 100mL을 준비하여, 현미경으로 희석액 코아세르베이트 형성정도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3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정도는 도 1과 같으며, 비교예 1 내지 7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정도는 도 2 내지 도 7과 같다. 비교예 1 내지 7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능은 실시예 3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희석액 100mL을 원심 분리시켜(3,000rpm, 30분) 침전된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제시하였다.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mg) 78 34 28 8 12 21 25 19
상기 표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7의 조성물보다 코아세르베이트 형성능이 뛰어나며, 따라서 컨디셔닝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소비자 사용감 평가 - 사용감 및 컨디셔닝 >
상기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비교예3, 비교예 4, 비교예 6, 비교예 7 에서 제조한 투명 샴푸의 사용감 및 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염색 및 퍼머로 인해 비교적 손상된 모발을 보유한 25 ~ 40 세의 여성 200 명을 선정하여 1 개월 동안 하기의 표 4에 나타낸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낮은 점수는 1 점으로 하고, 가장 높은 점수는 5 점으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평 가 항 목 실시예3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6 비교예7
샴푸시 기포량이 풍부하다 4.5 3.8 4.4 4.5 4.0 3.6 3.8 4.6
샴푸시 기포의 느낌이 좋다 4.5 4.5 4.4 3.0 3.5 3.3 3.2 4.3
샴푸시 모발이 엉기지 않는다. 4.2 4.1 4.3 3.4 3.2 3.5 2.5 2.7
헹굼시 모발이 엉기지 않는다. 4.0 4.0 3.8 1.5 1.8 2.6 1.3 2.0
건조한 후 모발이 부드럽다 4.0 3.8 3.8 2.0 1.6 1.4 2.2 2.5
테스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은 아실 락틸레이트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샴푸 시의 기포느낌, 헹굼 및 건조한 후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은 양이온 폴리머가 단독으로 사용된 비교예 3,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이 단독으로 사용된 비교예 4보다 기포의 느낌, 헹굼시 엉기지 않는 정도, 건조한 후의 부드러움이 월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은 양이온 폴리머로 자구아를 사용한 비교예 6보다 기포의 느낌, 헹굼시 엉기지 않는 정도, 건조한 후의 부드러움에서 탁월한 개선 효과가 있다고 평가되었다. 또한 비교예 6에서 자구아가 과량 사용되는 경우 빌드업이 발생하여 건조 후 부드러움이 저하되는 단점이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은 양이온 구아르 검 유도체와 고점도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을 사용한 비교예 7에 대비하여 정발감, 건조한 후의 부드러움에서 탁월한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실험예 3: Combing Test 평가 - 빗질감 평가 >
상기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비교예3, 비교예 4, 비교예 6, 비교예 7 에서 제조한 투명 샴푸의 건조상태의 빗질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염색 및
퍼머로 손상시킨 헤어트레스를 각 제조샘플로 5회 처리한 후 Combing test로 비교하였다. Combing test란 당 업계에서 실시하는 일반적인 테스트 방법으로서, 모발을 빗질할 때 소요되는 힘을 측정하는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컨디셔닝 효과가 좋지 않음을 의미한다. 테스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기록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3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6 비교예7
Dry Combing Force(g) 68.1 70.5 71.8 103.5 97.8 101.4 91.7 88.4
테스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은 아실 락틸레이트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건조후 빗질감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은 양이온 폴리머가 단독으로 사용된 비교예 3,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이 단독으로 사용된 비교예 4보다 건조후 빗질감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은 양이온 폴리머로 자구아를 사용한 비교예 6 보다 건조후 빗질감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실시예 7, 실시예 8은 미국 특허 5,990,059의 일실시예에 따라 양이온 구아르 검 유도체와 고점도 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을 사용한 비교예 7에 대비하여 건조 후 빗질감에 있어 탁월한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실험예 4: 저온안정성 평가 - Hazy Point 측정 >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8 에서 제조한 투명샴푸의 온도를 낮추어
가면서 불투명해지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샴푸저온안정성 평가기준은 Hazy point가 영하 4℃ 이하일 경우 우수, 영하 3℃ ~ 영하 1℃ 일 경우 보통, 0℃ 이상일 경우
열세로 평가하였다. 테스트 결과를 하기의 표 6 및 7 에 기록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저온 안정성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평가항목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저온 안정성 보통 보통 우수 우수 보통 보통 보통 불량
테스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8은 아실락틸레이트나 폴리쿼터늄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에 비해 저온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실험예 5: 투명도 평가 - 탁도 측정 >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8 에서 제조한 투명샴푸의 탁도를 측정하여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탁도계는 Hach 2100N Laboratory Turbidimeter를 사용하였으며 탁도가 100NTU이하일 경우 투명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탁도 측정 결과를 하기의 표 8 및 9에 기록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탁도(NTU) 48.0 46.2 42.1 44.8 45.4 70.0 48.0 21.5
평가항목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탁도(NTU) 44.4 41.3 8.3 38.7 55.8 64.1 49.0 234.2
테스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8은 탁도 100NTU 이하로 투명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 실리콘 에멀젼을 사용한 비교예 8은 투명도가 불량하였다.
도 1 은 실시예 3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정도를 보여준다.
도 2 는 비교예 1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정도를 보여준다.
도 3 은 비교예 3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정도를 보여준다.
도 4 는 비교예 4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정도를 보여준다.
도 5 는 실시예 5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정도를 보여준다.
도 6 는 비교예 6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정도를 보여준다.
도 7 은 비교예 7의 코아세르베이트 형성 정도를 보여준다.

Claims (7)

  1.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계면활성제 3 내지 50중량부; 아실 락틸레이트계 계면활성제 0.001 내지 10중량부; 양이온성 셀룰로오즈 폴리머 0.001 내지 1.0중량부; 및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 0.0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 설페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화학식 1]
    ROSO3M
    상기 식에서 R이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M이 암모늄, 나트륨, 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양이온이며,
    [화학식 2]
    RO(C2H4O)xSO3M
    상기 식에서 R이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x는 1 내지 10이며, M은 암모늄, 나트륨, 칼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가 금속 양이온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이 암모늄 또는 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 락틸레이트계 계면활성제가 소듐라우로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미리스토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스테아로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이소스테아로일락틸레이트, 소듐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소듐코코일모노락틸레이트, 포타슘도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포타슘도데카노일디락틸레이트, 소듐미리스토일디락틸레이트, 소듐라우로일디락틸레이트, 라우로일디락틸릭애씨드, 팔미토일디락틸릭애씨드, TEA-라우로일모노락틸레이트, TEA-도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암모늄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 및 TEA-데카노일모노락틸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셀룰로오즈 폴리머가 폴리쿼터늄-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이 디메치콘 또는 아모디메치콘 마이크로에멀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이 입자 크기가 0.05 micro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KR1020080037823A 2008-04-23 2008-04-23 투명 샴푸 조성물 KR20090112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823A KR20090112120A (ko) 2008-04-23 2008-04-23 투명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823A KR20090112120A (ko) 2008-04-23 2008-04-23 투명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120A true KR20090112120A (ko) 2009-10-28

Family

ID=4155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823A KR20090112120A (ko) 2008-04-23 2008-04-23 투명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1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161A1 (ko) * 2015-09-23 2017-03-30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용 투명 제형 조성물
KR20170035632A (ko) 2015-09-23 2017-03-31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용 조성물
KR20170035634A (ko) 2015-09-23 2017-03-31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161A1 (ko) * 2015-09-23 2017-03-30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용 투명 제형 조성물
KR20170035632A (ko) 2015-09-23 2017-03-31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용 조성물
KR20170035634A (ko) 2015-09-23 2017-03-31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용 조성물
KR20170035622A (ko) 2015-09-23 2017-03-31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용 투명 제형 조성물
CN108024934A (zh) * 2015-09-23 2018-05-1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毛发的透明制剂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2013B1 (en) Hair compositions with increased deposition of active agents
EP2729112B1 (en) Use of microemulsions in cosmetic cleaning compositions
KR101155749B1 (ko) 점토를 함유하는 구조화된 조성물
WO2012029514A1 (ja) 頭皮頭髪洗浄用組成物
EP2756838B1 (en) Shampoo composition
JP5041894B2 (ja) 洗浄剤組成物
KR20150081248A (ko) 샴푸 조성물
JP2013522424A (ja) ワックスを含有する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を含む洗浄剤の使用
US2022006213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leansing keratin materials
TW200400052A (en) Hair cleansing compositions
JPH0748236A (ja) コンディショニングシャンプー組成物
JPH02175799A (ja) 洗浄剤組成物
JP2007145726A (ja) ノンエアゾール型泡吐出毛髪洗浄剤製品、及び毛髪洗浄剤組成物
KR20090056321A (ko) 천연 오일을 함유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US20020081274A1 (en)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that contain surfactants, co-surfactants, water insoluble solids and/or liquids and cationic conditioning polymers
JP2008127329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US20030133899A1 (en)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that contain surfactants, co-surfactants, water insoluble solids and/or liquids and cationic conditioning polymers
KR20090112120A (ko) 투명 샴푸 조성물
JP2010509341A (ja) 化合物
KR20180003263A (ko) 모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WO2015075098A2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JPH0433999A (ja)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KR10240148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CN111491609B (zh) 不含硫酸盐的清洁组合物
US20240156706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 biosurfac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