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746A - Sole of a shoes - Google Patents

Sole of a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746A
KR20090111746A KR1020080120630A KR20080120630A KR20090111746A KR 20090111746 A KR20090111746 A KR 20090111746A KR 1020080120630 A KR1020080120630 A KR 1020080120630A KR 20080120630 A KR20080120630 A KR 20080120630A KR 20090111746 A KR20090111746 A KR 2009011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hollow
sole
window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조
Original Assignee
임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조 filed Critical 임성조
Priority to KR102008012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746A/en
Publication of KR2009011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7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A shoe sole is provided, which can compulsorily and continuously emit the air to the front part of a plantar from the heel. CONSTITUTION: A shoe sole comprises a bottom part, a periphery protrusion(120), a bottom sole(100), a midsole(200), and a non-permeable member(300). The bottom part is formed in the foot bottom shape. The periphery protrusion upwardly protrudes to the outer perimeter of the bottom part top surface. The bottom sole is formed of a space part(130) in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by being to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y protrusion at the predetermined depth. The midsole includes a hollow cushion protrusion(220) with more than one opened opening(222).

Description

신발창{SOLE OF A SHOES}Sole {SOLE OF A SHOES}

본 발명은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쿠션창에 형성된 에어챔버가 항상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여 신발창의 압축변형을 예방하고 지속적인 양호한 쿠션과 펌핑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sole capable of preventing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shoe sole by providing an air chamber formed i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at all times in an inflated state and providing a good cushioning and pumping action.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종래 발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225호에 따른 개량된 중간창을 갖는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12 and 13 discloses a shoe having an improved midsole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48225.

도 12는 종래 발명에 따른 중간창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종래 발명에 따른 중간창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window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termediate window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종래 발명의 요지는 중간창(106)이 매우 플렉시블하거나 공기가 침투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판상의 하부시트부(100)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에어홀(101)을 구비한 다수 개의 쿠션돌기(102)를 수직 설치하고, 그 상면에 다수 개의 통기구멍(104)을 형성한 상부시트부(105)를 부착 설치한 것이다.12 and 13,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iddle window 106 is injection molded from a thermoplastic resin that is very flexible or does not penetrate the air,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heet part 100 of the plate is open at the top. A plurality of cushioning projections 102 having air holes 101 are vertically installed, and an upper sheet portion 105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104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이러한 종래 발명을 채용한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걷게 되면, 상부시트부(105)가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그 하측의 쿠션돌기(102)가 순차적으로 압축되게 된 다.When walking in a state of wearing the shoes employing such a conventional invention, the upper seat portion 105 is to be sequentially compressed by the lower cushion projection 102 by the load of the wearer.

이때, 쿠션돌기(102)는 쿠션이 매우 양호한 소재로 형성되고, 에어홀(101)의 상부가 작은 통기구멍(104)을 형성한 상부시트부(105)로 막혀서 쿠션돌기(102)가 압축됨에도 불구하고 에어홀(101) 내의 에어가 압축되면서 쿠션 작용을 하여 소재 자체의 쿠션과 더불어 순간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ushion protrusion 102 is formed of a very good cushion material, even if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hole 101 is blocked by the upper seat portion 105 formed with a small ventilation hole 104, the cushion protrusion 102 is compressed. Nevertheless, the air in the air hole 101 is compressed to cushion the material and absorb the shock instantly along with the cushion of the material itself.

그리고, 상기 쿠션돌기(102)가 압축되면서 에어홀(101)에서 압축되었던 공기는 발바닥을 지면에서 듦과 동시에 팽창하면서 상부시트부(105)에 형성된 작은 통기구멍(104)을 통하여 발바닥 측으로 배출되어 발바닥을 쾌적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mpressed air is compressed in the air hole 101 while the cushion protrusion 102 is compressed and discharged to the sole side through the small vent hole 104 formed in the upper seat portion 105 while simultaneously expanding the sole from the ground. It is to make the sole comfortable.

그러나, 이는 에어홀(101) 상측의 상부시트부(105)에 작은 통기구멍(10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시트부(105)를 밟을 때와 발을 뗄 때에 공기가 통기구멍(104)을 통하여 발바닥 측으로 새어 나가게 되고, 도 12와 같이 하부시트부(100)의 전체 면에 쿠션돌기(102)들이 형성되어 있어 중간창(106)의 외곽 전체가 트여있는 상태이므로 쿠션돌기(102)들에 압축되는 공기가 중간창(106)의 외곽 전체로 새어나가서 에어홀(101) 내부와 쿠션돌기(102)들에 의해서 에어가 압축되는 정도가 극히 미미하여 에어홀(101)에서의 쿠션작용에 의한 공기의 유동거리가 짧아서 통풍효과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is because a small vent hole 104 is formed in the upper sheet portion 105 above the air hole 101 so that air passes through the vent hole 104 when stepping on the upper sheet portion 105 and when the foot is released. It is leaked to the sole side, as shown in Figure 12 cushion projections 102 a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lower seat portion 100, so that the entire outer periphery of the middle window 106 is opened and compressed to the cushion projections 102 The flow of air due to the cushioning action in the air hole 101 because the air leaks through the outside of the middle window 106 and the air is compressed by the inside of the air hole 101 and the cushion protrusions 102 is extremely smal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ort does not properly perform the ventilation effect.

그리고, 종래 발명에서 발바닥의 앞 부분에서 뒤축 부분까지 모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발뒤축에 의해 압축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후방측에서는 에어홀(101)의 외측으로 공기의 출입이 압축된 높낮이만큼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발바닥 의 앞 부분에서는 압축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아서 공기의 출입효과가 미미하였다.And, in the prior invention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ole to the heel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the rear side where the compression load acts largely by the heel of the foot can be made as much as the height of compressed air in and out of the air hole 101 However, in the front part of the sole, the compressive load did not work much, so the air inflow effect was insignificant.

이는 발바닥의 앞 부분에서 땀이 많이 나서 습기가 많이 차게 되는데, 정작 신발 앞 부분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미약함에 따라 신발 안쪽에 에어를 공급하여 발을 쾌적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This causes a lot of sweat in the front part of the sole of the foot, so that the moisture is too much. In the front part of the sho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urpose of comforting the foot by supplying air to the inside of the shoe as the air flow is weak is not achieved. Was doing.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중간쿠션창에 에어를 압축할 수 있게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형성하고, 중공쿠션돌기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챔버에서 에어가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는 비통기성 부재가 마련된 신발창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hollow cushion projection to compress the air i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the sole is provided with a non-breathable member to prevent the air from leaking in the air chamber formed inside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바닥창의 공간부를 전후방으로 구획하고, 보행에 의해 발뒤축에서 발바닥의 앞 부분으로 강제로 에어를 지속적으로 뿜어줄 수 있는 신발창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sole that can partition the space portion of the sole in the front and rear, and continuously forcing air from the heel of the foot to the front of the sole by walking.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은, 발바닥 형상을 지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상면의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테 두리턱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턱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공간이 파여서 상측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창, 상기 바닥창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바닥창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쿠션창시트부와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저면으로 발포팽창된 돌기가 하향 돌출되며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쿠션돌기를 포함하는 중간쿠션창, 그리고 상기 중간쿠션창의 외부를 둘러싸서 중공쿠션돌기의 중공 내부의 에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비통기성 부재를 포함한다.A sho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the bottom portion having a sole shape, includes a rim projection protruding upwar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he predetermined inside of the rim jaw The sole which is formed by the space is deep enough to open the upper side is formed, the cushion window shee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sole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and the foam-expanded projection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An intermediate cushion window including at least one hollow cushion protrusion having an opening that is open at one end or both ends thereof, and a non-breathable member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to prevent air from leaking inside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It includes.

상기 쿠션창시트부는 상기 바닥창의 공간부를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로 구획하도록 횡방향으로 하향 돌출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관통설치된 공기유통로, 상기 바닥창의 전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내부유출입구, 그리고 상기 바닥창의 후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외부유출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penetrates the partition wall which protrudes down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partition the space portion of the outsole into the front space portion and the rear space portion, an air flow passage provid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an area where the front space portion of the sole is formed. 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outlet for allowing the circulation, and an external outlet for allowing air to flow through the area in which the rear space portion of the outsole is formed.

상기 쿠션창시트부는 상기 공기유통로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중간체크밸브, 상기 내부유출입구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전방체크밸브, 그리고 상기 외부유출입구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후방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 window seat part is installed in the air flow path and is opened in only one direction, the intermediate check valve, the front check valve is installed in the inner outflow inlet only open in one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the outer outflow inlet only open in one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rear check valve.

상기 중간쿠션창은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체나 액상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or a liquid filler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상기 비통기성 부재는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로 에어챔버를 형성하는 비통기성 택숀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 다.The non-breathable member may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taxon which seals the opening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to form an air chamber in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상기 비통기성 부재는 상기 중간쿠션창을 형성하는 발포성 소재에 형성된 미세한 통공을 통해 에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표면에 피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로 에어챔버를 형성하는 비통기성 코팅막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non-breathable member forms a coating layer on a surface of the non-ventilated material form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to prevent air from leaking out and seals the opening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to seal the opening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It may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coating film to form a.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은 폴리우레탄수지를 용재에 녹여서 안료나 염료를 혼합한 액상을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표면에 도포시킨 피막층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may be formed of a coating layer in which a polyurethane resin is dissolved in a solvent and a liquid mixed with a pigment or a dy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은, 발바닥 형상을 지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상면의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테두리턱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턱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공간이 파여서 상측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창, 상기 바닥창의 공간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공간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쿠션창시트부와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상면으로 발포팽창된 돌기가 상향 돌출되고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쿠션돌기를 포함하는 중간쿠션창, 그리고 상기 중간쿠션창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 내부의 에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비통기성 부재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sho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e having a sole shape, a rim jaw protruding upward towar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top of the bottom portion, and a space is dug into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the rim jaw. Therefore, the upper side is formed in the bottom window is formed,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ace portion and the projections expa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sole window protrudes upwards An intermediate cushion window including at least one hollow cushion protrusion having an opening at one or both ends thereof, and a non-breathable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to prevent air from leaking inside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do.

상기 중간쿠션창은,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상면을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로 구획하도록 횡방향으로 하향 돌출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관통설치된 공기유통로, 그리고 상기 공기유통로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중간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protruding down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divide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into a front space part and a rear space part; an air flow path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the air flow path installed only in one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check valve that is opened.

상기 중간쿠션창은,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체나 액상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or a liquid filler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상기 비통기성 부재는, 상기 중간쿠션창을 형성하는 발포성 소재에 형성된 미세한 통공을 통해 에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표면에 피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로 에어챔버를 형성하는 비통기성 코팅막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non-breathable member may form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non-ventilated material form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to prevent air from leaking, and seal the opening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to seal the air into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It may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coating film forming the chamber.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은, 폴리우레탄수지를 용재에 녹여서 안료나 염료를 혼합한 액상을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표면에 도포시킨 피막층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may be formed of a coating layer in which a polyurethane resin is dissolved in a solvent and a liquid mixed with a pigment or a dye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상기 비통기성 부재는,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로 에어챔버를 형성하는 비통기성 택숀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non-breathable member may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taxon which seals the opening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to form an air chamber in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상기 비통기성 택숀은,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전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내부유출입구,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후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외부유출입구, 상기 내부유출입구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전방체크밸브, 그리고 상기 외부유출입구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후방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on-breathable taxan may be passed through an inner outlet opening through which an air space flows through an area where the front space portion of the cushion window sheet is formed, and an air flow through the area where the rear space portion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is formed. It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outflow inlet, the front check valve is installed in the inner outlet inlet is opened in only one direction, and the rear check valve is installed in the outer outlet inlet only open in one direction.

상기 중간쿠션창의 상면에는 상기 중간쿠션창의 중공쿠션돌기가 위치하는 상측에 보조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may be an auxiliary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where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is loc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에 의하면 중간쿠션창에 에어를 압축하도록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형성하고, 발포층으로 된 이 중공쿠션돌기의 내부에서 에어가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는 비통기성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충격흡수와 복원력이 좋은 낮은 경도의 발포층으로 된 중공쿠션돌기가 항상 고무공과 같은 양호한 에어쿠션 작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보행 시 우수한 완충작용과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ollow cushion projection to compress the air i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and provides a non-breathable member that prevents air from leaking inside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made of foam layer As a result, the hollow cushioning protrusion made of a low hardness foam layer having good shock absorption and restoring force can continuously maintain a good air cushioning action such as a rubber ball,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buffering action and a comfortable ignition feeling when walk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에 의하면 지속적인 에어쿠션 작용을 하는 중공쿠션돌기들이 바닥창의 공간부에 갇혀있게 하면서 그 공간부가 전후방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부에서 중공쿠션돌기들이 압축과 복원을 할 때, 중공쿠션돌기 주위의 공간은 발뒤축으로부터 외부의 에어를 유입시켜 발의 앞 부분으로 뿜어져 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신발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습기를 제거하여 신발 내부를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hollow cushioning projections having a continuous air cushion action is trapp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outsole while the space portion is partition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hollow cushioning projections in the partitioned space portion is compressed and restored, hollow The space around the cushion protrusion allows the outside air to flow from the rear of the foot to the front part of the foot,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hoe and removing moisture to provide comfort to the inside of the sho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을 설명한다.First, a sho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창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 부분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ol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2, Figure 4 Is a planar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은, 상면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창(100)과, 상기 바닥창(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다수 개의 중공쿠션돌기(220)들이 형성되어 있어 쿠션작용과 에어(air) 펌핑 작용을 하는 중간쿠션창(200), 그리고 상기 중간쿠션창(200)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222)를 밀봉하여 중공내부의 에어가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신발창의 내부로 공간을 형성시키는 비통기성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a sho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 100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130 is opened on the upper surface, the sole 1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s 220 are formed is a cushion cushion and the air cushioning (air) the middle cushion window 200, and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formed o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t includes a non-breathable member 300 to seal the opening 222 of the air to prevent the air from leaking inside the hollow to form a space into the sole.

먼저, 바닥창(100)을 설명한다.First, the sole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바닥창(100)은 지면과 접촉하는 외면바닥을 이루는 것으로, 발바닥 형상을 지니는 바닥부(110)가 구비되고, 바닥부(110)의 상면에는 바깥쪽 둘레에 갑피의 단부를 지지하는 테두리턱(120)이 형성되고, 테두리턱(120)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 만큼 들어간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길고 소정의 깊이만큼 공간이 파여서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창(100)의 발뒤축 모서리부(140)는 경사지게 절단된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바닥창(100)의 바닥 전체면에는 바닥창(100)보다 질기고 경도가 높은 고무계열 또는 탄성을 지닌 무발포층으로 된 합성수지재로서 형성되어 내마모성이 우수한 논슬립창(150)이 부착 설치될 수 있다.The outsole 100 forms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s provided with a bottom portion 110 having a sole shape, and an upper edge of the bottom portion 110 supports an edge of the upper at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120 is formed, and a space portion 130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has entered the inner side from the edge jaw 120 by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space is dug up by a predetermined depth to open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instep foot portion 140 of the sole 100 is formed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form,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ole 100 is tougher than the sole 100, the hardness of the rubber series or It is formed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non-foaming layer having elasticity and can be attached to the non-slip window 150 excellent in wear resistance.

다음으로, 중간쿠션창(200)을 설명한다.Next,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중간쿠션창(200)은 상기 바닥창(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창(100) 보다 경도가 낮으면서 매우 부드러우며 양호한 쿠션을 지닌 연질합성수지재(일예로 폴리우레탄발포수지)로 압축 변형률이 낮은 재질의 구조로 형성되는 쿠션창시트부(210) 및 중공쿠션돌기(2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100, and is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example, polyurethane foaming resin)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sole 100 and having a very soft and good cushion. It may be composed of a cushion window sheet 210 and a hollow cushioning projection 220 formed of a structure having a low compressive strain.

먼저, 상기 쿠션창시트부(210)는 가장자리 테두리(205)의 밑면이 상기 바닥창(100)의 테두리턱(120)의 상면에 걸쳐지게 접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창(100)의 공간부(130)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공간부(130)를 밀폐공간이 되게끔 하고, 저면에는 다수 개의 중공쿠션돌기(22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향 돌출되어 있다.First,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rim 205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jaw 120 of the sole 100, the space portion of the sole 100 It consists of a plate size of the size that can cover 130 to make the space 130 is a closed space, a plurality of hollow cushion projections 220 protrudes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그리고, 상기 쿠션창시트부(210)의 저면 중간에는 상기 바닥창(100)의 공간부(130)에 밀착되어 공간부(130)를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212)이 횡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격벽(212)에는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공기유통로(214)가(214)이 설치되고 이 공기유통로(214)에는 중간체크밸브(214a)가 설치되어 격벽(212) 후방측의 에어를 격벽(212)의 전방측으로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2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 130 of the sole 100 in the middl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to partition the space 130 into a front space portion and a rear space portion. It projects downward in the direction. The partition 212 is provided with air passages 214 and 214 for connecting the front and the rear, and the air passage 214 is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check valve 214a to provide air at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212. It serves to move only to the front side of the partition wall (212).

그리고, 상기 쿠션창시트부(210)의 전후방에는 상기 바닥창(100)의 전방공간부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내부유출입구(216)와 상기 바닥창(100)의 후방공간부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외부유출입구(218)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유출입구(216)에는 전방체크밸브(216a)가 설치되어 격벽(212)의 전방공간부 측의 에어를 발바닥 앞쪽으로 배출하게 하고, 외부유출입구(218)에는 후방체크밸브(218a)가 설치되어 상기 격벽(212)으로 구획된 쿠션창시트부(210)의 후방측의 외부 공기를 격벽(212) 후방의 쿠션창시트부(210) 하측의 후방공간부로 유입하게 한다.In addition,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is formed at the front space portion side of the outsole 100 at the front space portion side of the inlet outlet 216 and the rear space portion side of the sole 100 to allow air to flow. And an external outlet port 218 is formed therethrough to allow air to flow. A front check valve 216a is installed at the internal outlet port 216 to discharge air at the front space side of the partition 212 toward the front of the sole, and a rear check valve 218a is provided at the external outlet port 218. Installed to allow the outside air of the rear sid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212 to flow into the rear space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behind the partition wall 212.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212)이 중간쿠션창(200)의 저면에 형성되고, 그 격벽(212)에 중간체크밸브(214a)를 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격벽(212)을 중간쿠션창(200)에 형성하지 아니하고 그 대신에 격벽(212)을 바닥창(100)의 공간부(130)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은 당업자라면 쉽게 도출해 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artition wall 21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nd the intermediate check valve 214a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212. The partition wall 212 may be formed in the space 130 of the sole 100 instead of being formed in the window 200.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쿠션창시트부(210)의 상면에는 직물지와 같은 통풍이 자유로운 안창(3)이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may be attached to the insole (3) that is freely ventilated, such as fabric paper.

다음으로, 중공쿠션돌기(220)를 설명한다.Next,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will be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쿠션돌기(220)는 상기 쿠션창시트부(210)의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개구부(222)를 가지면 내부로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22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the hollow is formed in the interior when the one or both ends have an opening 222 is open have.

이러한 중공쿠션돌기(220)의 개구부(222)는 바닥창(100)의 상면에 부착되거나 인솔 등으로 폐쇄됨으로 해서 중공쿠션돌기(220)의 중공내부로 에어가 밀폐된 에어챔버(224)(이하, 중공쿠션돌기(220)의 개구부(222)가 밀폐되어 형성된 중공내부를 '에어챔버'라 칭하기로 함)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The opening 222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100 or closed by insoles, etc., so that the air is sealed in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n addition, a hollow inner portion formed by sealing the opening 222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as an 'air chamber'.

이와 같이, 상기 중공쿠션돌기(220)의 내부로 에어챔버가 형성되면 각각의 중공쿠션돌기(220)들이 외부의 압력을 받으면 마치 고무공과 같이 압축되어 에어챔버에서 압축된 에어에 의해 공기압이 발생되어 에어쿠션 작용을 유발시켜 충격 흡수 및 반발력이 발생된다. 또 한편으로는 외부의 압력이 해지되면 에어챔버(224)에서 압축된 에어가 순간적으로 복원되는 반발력과 중공쿠션돌기(220) 재질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중간쿠션창(200)은 원위치로 원상복귀되어 발바닥을 밀어올리는 추진력까지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air chamber is formed inside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each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s 220 is compressed like a rubber ball when air pressure is generated by air compressed in the air chamber. Induces air cushion action, shock absorption and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released,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pulsive force in which the air compressed in the air chamber 224 is instantaneously restored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material itself. It will be able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to push up the sole.

다음으로, 비통기성 부재(300)를 설명한다.Next, the non-breathable member 300 is demonstrated.

상기 비통기성 부재(300)는 중간쿠션창(200)의 중공쿠션돌기(220)의 개구부(222)를 밀봉하여 중공내부의 에어가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쿠션창시트부(210)의 저면을 밀폐공간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비통기성 택숀(310)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non-breathable member 300 seals the opening 222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to prevent leakage of air in the hollow and seals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To form a space, as shown in FIGS. 2 and 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breathable taxation 310 first.

상기 비통기성 택숀(310)은 비통기성 재질로서 단단한 판재로 형성되어 신발창의 심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중간쿠션창(200)의 상측, 하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어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20)에 형성된 개구부(222)를 폐쇄시켜 중공내부로 에어챔버(22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비통기성 택숀(310)은 중간쿠션창(200)의 각 각의 중공쿠션돌기(220)들의 사이 공간을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이 밀폐공간이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에어유로(228)가 되도록 한다.The non-breathable taxon 310 is formed of a non-breathable material to serve as a core material of the shoe sole, coupled to the upper, lower o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to a plurality of hollow cushion projections 220 The opening 222 is closed to form the air chamber 224 inside the hollow. In addition, the non-breathable taxon 310 forms an airtight space in the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hollow cushion projections 220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the airtight path 228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To be

이때 비통기성 택숀(310)은 중간쿠션창(200)에 중공쿠션돌기(220)가 형성된 영역을 덮을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쿠션창시트부(210)의 밑면에 접착되어 밀폐공간이 되도록 일체화된다.At this time, the non-breathable taxon 310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to a size sufficient to cover a region in which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formed o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nd is integrated to become a sealed space. .

한편, 상기 쿠션창시트부(210) 및 중공쿠션돌기(220)를 형성하는 발포성 소재인 폴리우레탄발포수지는 공기가 내외측으로 유동되면 장기간의 사용으로 공기 중에 있는 수분에 의해 가수분해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폴리우레탄발포수지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통공으로 공기가 새어나가서 충격흡수력과 복원력이 상실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간쿠션창(200)의 외면을 감싸는 비통기성 코팅막(3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yurethane foam resin, which is a foam material forming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and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may cause hydrolysis due to moisture in the air for a long time when air flows in and ou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hock absorbing force and the restoring force may be lost because the air leaks into the fine through-holes formed in the polyurethane foam resi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t may be further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에 있어 비통기성 부재가 비통기성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중간쿠션창이 구비된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cushion window made of a non-breathable coating layer of the non-breathable member in a sho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320)은 얇은 막의 형태로 금형 조각홈과 같은 형상으로 미리 진공성형된 폴리우레탄시트를 쿠션창시트부(210)가 성형되는 금형 조각홈 속에 삽입하여 폴리우레탄시트막 표면에 발포팽창되는 원액을 주입하여 발포 팽창시킴으로써 쿠션창시트부(210)의 저면을 비롯한 중공쿠션돌기(220)의 외부 전체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5,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is inserted into a mold engraving groove in which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is molded into a polyurethane sheet, which is pre-vacuum molded in a shape such as a mold engraving groove, in a thin film. By injecting the raw solution to be expanded and foamed on the surface of the polyurethane sheet membrane is expanded to expand and surround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cushioning projection 220, including the bottom of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여기서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320)을 형성하는 발포성 소재로는 중공쿠션돌기(220)와 함께 신축성이 좋고 에어가 통하지 않는 막으로 된 소재가 사용될 수 있 는데, 이는 발포층과 같은 재질인 폴리우레탄수지로 가공된 무발포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비닐과 같이 수분 및 에어가 통하지 않는 성질을 띠게 되어 비통기성 소재라고 칭한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비닐시트를 이용한 진공성형 방법은 널리 알려진 공지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 as the foamable material forming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a material having a good elasticity and air-permeable membrane together with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may be used, which is a polyurethane resin having the same material as the foam layer. The non-foamed sheet can be used, and it has a property of being impermeable to moisture and air, such as vinyl, to be called a non-breathable material. And the vacuum molding method using a vinyl sheet is well known,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320)은 쿠션창시트부(210)의 저면과 중공쿠션돌기(220)를 형성하는 발포성 소재에 형성된 미세한 통공을 통해 에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습기에 의한 가수분해를 방지하고, 상기 중공쿠션돌기(220)의 개구부(222)를 폐쇄시켜 중공쿠션돌기(220)의 중공내부에 에어챔버(224)를 형성한다.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prevents air from leaking through the minute holes formed in the foam material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and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and also prevents hydrolysis due to moisture. In addition, the opening 222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closed to form an air chamber 224 in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또한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320)으로 둘러싸인 중간쿠션창(200)의 저면으로도 중공쿠션돌기(220)들의 주위공간을 밀폐공간으로 만들기 위하여 비통기성 부재(300)인 비통기성 택숀(31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중간쿠션창(200)의 상면에는 비통기성 택숀(310)과 직물지와 같은 통풍이 자유로운 안창(3)이 더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breathable taxon 310, which is a non-breathable member 300, is further formed to make the surrounding spac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s 220 into a closed space with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surrounded by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It may be provided,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may be further attached to a non-breathable taxon 310 and the insole (3) freely ventilated, such as woven paper.

한편, 상기 중공쿠션돌기(220)의 중공내부에는 고탄력성 재질의 탄성체(2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226)는 실리콘 오일과 같은 점성이 있는 액상의 액상충진재 또는 대기압보다 높은 공기압이 내장된 팩과 같은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쿠션창(200)의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정도를 신발의 종류나 사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llow insid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226 of a high e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elastic body 226 may be provided in a form such as a liquid liquid filler having a viscosity such as silicone oil or a pack with a built-in air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erefore, the degree of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r specification of the sho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쿠션창(200)을 성형함과 더불어 중간쿠션창(200)에 비통기성 코팅막(320)을 코팅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forming a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o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while form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중간쿠션창과 비통기성 코팅막을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ld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and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shown in FIG. 5 by using a mold.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쿠션창(200)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금형(10)에는 저면으로 시트부성형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중간쿠션창(200)의 쿠션창시트부(210)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금형(20)에는 다수 개의 성형홈(22)이 형성되어 있어 중간쿠션창(200)의 중공쿠션돌기(220)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20)에는 성형홈(22) 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에어배출구멍(24)이 뚫려있어 발포 팽창시 성형홈(22)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어 정확한 중공쿠션돌기(220)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6 (a), the upper mold 10 and the lower mold 20 is provided to form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The upper mold 10 has a seat portion molding space portion 12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to enable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to be molded, the lower mold 20 a number Two forming grooves 22 are formed to allow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to be molded. In addition, the lower mold 20 has an air discharge hole 24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molding groove 2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ir in the molding groove 22 escapes during expansion and expansion, so that the correct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form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be molded into the shape of.

이러한 하부금형(20)의 성형홈(22)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미리 진공 성형된 비통기성 코팅막(320)을 준비하여 먼저 성형홈(22) 내부에 결합시킨 후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320)의 상부에 겔(gel) 상태의 중간쿠션창 소재용액(200A)을 주입한다.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which is vacuum-formed in advance so as to fit into the molding groove 22 of the lower mold 20, is first prepared and bonded to the molding groove 22, and then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of the Inject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material solution (200A) in the gel state at the top.

그 다음에는 하부금형(20)의 상부에 상부금형(10)을 결합시킨 후 가열·가압하면 수 분의 시간의 경과 후, 상부금형(10) 및 하부금형(20)의 열과 중간쿠션창 소재용액(200A)의 화학반응에 의해 중간쿠션창 소재용액(200A)이 발포팽창되면서, 그 쿠션창 소재용액(200A)이 위로는 상부금형(10)의 하부에 형성된 시트부성형공간부(12)로 채워지게 되고 아래로는 고무풍선과 같이 얇고 신축성이 양호한 비통기성 코팅막(320) 표면에 쿠션창 소재용액(200A)이 발포팽창되면서 팽창하는 압력에 의 해 성형홈(22)의 빈 공간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비통기성 코팅막(320)과 밀착된 채로 성형되는 것이다.Then, after the upper mold 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old 20 and heated and pressurized, after several minutes of time, the heat of the upper mold 10 and the lower mold 20 and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material solution As the middle cushion window material solution 200A expands and expands due to the chemical reaction of 200A, the cushion window material solution 200A is upwardly formed into a sheet part molding space part 12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mold 10. While being filled and pushed down into the empty space of the molding groove 22 by the pressure that expands as the cushion window material solution 200A expands and expands on the surface of the thin and elastic non-permeable coating film 320 such as a rubber balloon It is mold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창 소재용액(200A)이 화학반응에 의해 발포팽창됨에 따라 상부금형(10) 및 하부금형(20)의 내측에 형성된 시트부성형공간부(12)와 성형홈(22)으로 발포팽창되는 쿠션창 소재용액(200A)이 금형의 내부공간을 틈새 없이 모두 채워지게 되고, 하측에 놓여 있던 비통기성 코팅막(320)은 하부금형(20)의 내측홈 전체면에 밀착된 채로 쿠션창 소재용액(200A)에 대해 설정한 가교 시간이 경과한 후 상부금형(10) 및 하부금형(20)을 열고 하부금형(20)에서 중간쿠션창(200)을 꺼내면 쿠션창시트부(210)의 저면과 중공쿠션돌기(220)의 외부가 비통기성 코팅막(320)으로 코팅 형성된 중간쿠션창(200)의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금형 내부의 조각면 높낮이에 따라 비통기성 코팅막(320)을 진공성형을 하지 않고도 평면으로 된 시트로도 쿠션창시트부(210)의 저면과 중공쿠션돌기(22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6, as the cushion window material solution 200A is expanded and expanded by a chemical reaction, the sheet part molding space part 12 formed inside the upper mold 10 and the lower mold 20 is formed. ) And the foamed window material solution 200A foamed and expanded into the molding groove 22 fills the inner space of the mold without any gap, and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placed on the lower side is the inner groove of the lower mold 20. After the cross-linking time set for the cushion window material solution 200A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surface, the upper mold 10 and the lower mold 20 are opened and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removed from the lower mold 20.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and the outsid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are completed to manufacture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coated with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Her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engraving surface inside the mold,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may be covered with a flat sheet without covering the bottom of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and the outsid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이때 하부금형(20)의 성형홈(22)의 저면에는 에어가 빠져나가는 에어배출구멍(24)이 형성되어 있어서 비통기성 코팅막(320)이 중간쿠션창(200)에 완전히 밀착 코팅이 된 중공쿠션돌기(220)의 형상이 금형 내부의 공간의 형상대로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molding groove 22 of the lower mold 20 is formed with an air discharge hole 24 through which air escapes, so that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is completely coated o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n a hollow cushion.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20 is made in the shape of the space inside the mold.

위와 같이 성형된 중간쿠션창(200)은 액상 상태인 쿠션창 소재용액(200A)이 화학반응에 의해 발포팽창되면서 비통기성 코팅막(320)과 한 몸처럼 일체로 접착되어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는 발포층의 중간쿠션창(200) 과 비통기성 코팅막(320)은 같은 재질인 폴리우레탄수지로 사용되기 때문이다.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foamed and expanded by a chemical reaction as a cushion window material solution 200A in a liquid state, and is integrally bonded to the non-breathable coating membrane 320 as one body without using an additional adhesive. Will be. This is because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nd the non-breathable coating layer 320 of the foam layer are used as the polyurethane resin of the same material.

한편, 중간쿠션창(200)의 발포층과 같은 재질인 폴리우레탄수지를 용재에 녹여서 안료나 염료를 혼합해서 농도와 점도 조정을 한 액상(이하, '액상'이라고 한다)을 스프레이 방법이나 붓으로 성형이 완성된 상기 중공쿠션돌기(220)의 외부에 도포하여 비통기성 코팅막(320)을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같은 재질끼리는 접착력이 뛰어나고 아주 엷은 피막으로 도포되어도 한 몸체로 일체화되고 재질 자체의 피막형성력과 인장력, 탄성이 매우 우수해서 비통기성 코팅막(320)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이렇게 같은 재질로서의 물성을 가진 액상을 중공쿠션돌기(2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도포한 후 액상 자체에 함유된 용재가 건조된 후에는 피막이 형성된다. 이런 방법으로 비통기성 코팅막(320)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진공성형된 시트로 가공하여 부착시키는 방법보다 피막을 형성시키는 과정이 간단하면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중공쿠션돌기(220)의 표면에 부착된 피막도 비통기성 코팅막(320)이라 한다.Meanwhile, a liqu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quid') in which a polyurethane resin,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am layer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dissolved in a solvent and mixed with pigments or dyes to adjust concentration and viscosity, is referred to as a spray method or a brush. The molding may be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to form a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Such materials are excellent in adhesive strength, even if coated with a very thin film is integrated into one body, and the film forming force, tensile force, elasticity of the material itself is very excellent, it will be described as a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After applying a liquid having physical properties as the material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the coating film is formed after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liquid itself is dried. The method of forming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in this way has the advantage that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lm is simpler than the method of attaching by processing into a vacuum molded sheet and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As such, the film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also referred to as a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신발창에 있어 중공쿠션돌기에 보조돌기가 더 구비된 신발창의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projection to the hollow cushioning projections in another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은 중공쿠션돌기(220)가 상면으로 연장되어진 보조돌기(22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돌기(220a)는 상기 중공쿠션돌기(220)의 상면에만 중점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중공쿠션돌기(220)의 상하 작동이 좀 더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격흡수력과 탄성력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7,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cushion 220a is formed in which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extended to the upper surface. The auxiliary protrusion 220a is intended to increase the shock absorbing force and elastic force by applying pressure to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so that the up and down operation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made more quickly. .

그리고, 상기 보조돌기(220a)의 외측 테두리에는 비통기성 택숀(31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돌기(220a)의 상면에는 직물지와 같은 통풍이 자유로운 안창(3)이 더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protrusion 220a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non-breathable taxon 310,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rotrusion 220a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insole (3) that is freely ventilated, such as woven paper. .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에 있어서 바닥창이 무발포층의 아웃솔과 발포층의 미드솔로 구성된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oe so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 is composed of the outsole of the non-foaming layer and the midsole of the foam laye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창(100)이 서로 다른 재질인 무발포층의 아웃솔(102)과 발포층의 미드솔(1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드솔(104)은 갑피(1)와 아웃솔(102)을 결합시키는 발포층으로 형성되고, 갑피(1)의 끝자락이 보조판재(240)의 테두리를 감싼 채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le 100 is composed of the outsole 102 of the non-foamed layer and the midsole 104 of the foamed layer having different materials. Here, the midsole 104 is formed of a foam layer for coupling the upper 1 and the outsole 102, and the ends of the upper 1 may be coupled to cover the edge of the auxiliary plate 240.

그리고, 상기 보조판재(240)도 중공쿠션돌기(220)들의 상면을 수평이 되게 하고 압력을 분산하여 발바닥을 골고루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The auxiliary plate 240 also serves to support the soles of the soles by leveling the upper surfaces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s 220 and dispersing the pressure.

또한, 상기 중공쿠션돌기(220)의 개구부(222)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측의 개구부(222)는 보조판재(24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판재(240)의 상면에도 직물지와 같은 통풍이 자유로운 안창(3)이 더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측의 개구부(222)는 비통기성 코팅막(320)이 부착되어 밀폐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s 222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are formed at both sides, the upper openings 222 may be sealed by the auxiliary plate 240. An insole 3 that is freely ventilated, such as a woven paper, may be furthe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240. The lower opening 222 may be sealed by attaching the non-breathable coating layer 320.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신발창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hoe sole shown in FIG.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을 토대로 설명한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상술한 중간쿠션창(200)을 뒤집은 상태로 중공쿠션돌기(220)가 위로 향하도록 하여 바닥창(100)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9 and 10, the present embodiment is generally similar to the embodiment described based on FIGS. 1 to 8, but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placed upward with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nve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sole 100 to face. Therefor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쿠션창(200)은 상기 바닥창(100)의 공간부(130)의 형상과 대응되는 쿠션창시트부(210)와, 상기 쿠션창시트부(210)의 상면으로 상향 돌출되고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된 개구부(22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쿠션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다.The middle cushion window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pwardly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and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pace portion 130 of the sole window 100. At least one hollow cushioning protrusion 220 having an opening 222 that protrudes and opens at one or both ends thereof is formed.

또한 상기 중간쿠션창(200)은, 상기 쿠션창시트부(210)의 상면으로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로 구획하도록 횡방향으로 하향 돌출형성된 격벽(212), 상기 격벽(212)에 관통설치된 공기유통로(214), 그리고 상기 공기유통로(214)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중간체크밸브(214a)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the partition wall 212 protruding down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partition the front space portion and the rear spac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210, air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212 An intermediate check valve 214a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214 and the air flow path 214 and is opened in only on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중간쿠션창(200)의 상면으로 비통기성 부재(300)가 구비된다.The non-breathable member 3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상기 비통기성 부재(3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쿠션창(200)의 상면과 중공쿠션돌기(220)의 개구부(222)를 밀폐시키고 중공쿠션돌기(220)들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비통기성 택숀(310)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non-breathable member 300 seals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nd the opening 222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and is uniform to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s 220. In order to disperse the pressure by applying a pressur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breathable taxation 310.

상기 비통기성 택숀(310)은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내부유출입구(312)가 전방 일측에 관통형성되고 외부유출입구(314)가 후방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유출입구(312)에는 상측으로만 개방되는 전방체크밸브(312a)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유출입구(314)에는 하측으로만 개방되는 후방체크밸브(314a)가 설치되어 비통기성 택숀(310)의 하부와 중간쿠션창(200)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공간부에서 에 어펌핑 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바닥창(100)의 공간부(130)에 결합시켜서 일체화된 바닥창이 되게 한다.The non-breathable taxon 310 has an internal outlet port 312 through which the air flows through is formed in the front one side and the external outlet port 314 is formed in the rear one side. The inner check inlet 312 is provided with a front check valve (312a) is opened only to the upper side, the outer check inlet 314 is provided with a rear check valve (314a) is opened only to the lower side non-breathable taxi 310 The air pumping action is actively performed in the enclosed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and the middle cushion window 200, and is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130 of the outsole 100 to become an integrated sole.

도 11은 도 9에서 비통기성 부재로서 비통기성 코팅막이 구비된 신발창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oe sole provided with a non-breathable coating film as the non-breathable member in FIG. 9.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쿠션창시트부(210)의 상면과 중공쿠션돌기(220)의 개구부(222)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중간쿠션창(200)의 외부 전체면을 둘러싸는 비통기성 코팅막(320)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비통기성 코팅막(320)을 성형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entir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enclosed to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0 and the opening 222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Since the process of molding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is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중공쿠션돌기(220)의 개구부(222)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측의 개구부(222)는 비통기성 코팅막(320)에 의해 밀폐될 수 있고, 하측의 개구부(222)는 바닥창(100)의 상면에 접착됨으로써 밀폐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s 222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formed on both sides, the upper opening 222 may be sealed by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320, the lower opening 222 is the bottom It may be sealed by adher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10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이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11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은 중간쿠션창(200)을 바닥창(100)의 상면에 설치하면 중간쿠션창(200)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중공쿠션돌기(220)와 중간의 격벽(212)이 바닥창(100)의 공간부(1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In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100, the plurality of hollow cushion protrusions 220 and the middle partition wall 212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re bottomed. The state is inserted into the space 130 of the window 100.

이때, 바닥창(100)의 공간 상면과 중간쿠션창(200)의 저면이 접착되어 있음에 따라 중간쿠션창(200)의 중공쿠션돌기가 형성된 영역 하부와 공간부(130)의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고, 격벽(212)이 공간부(130)를 막고 있어서 공간부(130)에는 전후방으로 구획되는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 2개의 밀폐된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of the sole 100 and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re bonded,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nd the space 130 is formed. The space is formed, and the partition wall 212 blocks the space 130 so that the space 130 is formed with two closed spaces, the front space portion and the rear space portion, which are partitioned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중간쿠션창(200)의 저면에 다수 개의 중공쿠션돌기(220)들 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방공간부 및 후방공간부 내에서의 중공쿠션돌기(220) 간의 사이에는 에어가 통할 수 있는 에어유로(228)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as a plurality of hollow cushion projections 22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ownward, the air is disposed between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s 220 in the front space portion and the rear space portion. The air flow path 228 that can pass through is naturally formed.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작한 신발을 착용하고 걸음을 걷게 되면, 발바닥은 제일 먼저 발뒤축을 시작해서 발바닥 중간과 발끝이 순서대로 지면을 딛으면서 보행(구름보행)을 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walks with a shoe manufactur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 of the sole first starts the heel and walks while walking on the ground in the middle of the sole and the toe in order.

이렇게 보행을 할 때 제일 먼저 지면을 딛게 되는 뒷굽의 후방 모서리부분이 경사지게 경사부(14)를 형성하고 있어서, 종래에 모서리가 각진 뒷굽이 지면과 선 접촉으로 지면을 딛는 것보다 경사부(14)의 경사면이 지면에 면접촉식으로 먼저 딛어지게 되어 경사면 내부의 중공쿠션돌기(220)들에 직접 전달된 충격은 분산되어 흡수되면서 안정된 보행이 시작되어 뒤축에 전달되는 충격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되고, 지면에서 분리될 때는 중공쿠션돌기(220)들이 동시에 복원되면서 발을 밀어올리는 반발탄성으로 추진력이 발생되게 된다.When walking in this way,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heel that is first stepped on the ground forms the inclined portion 14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14 than the conventional angled heel hitting the ground in line contact with the grou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is first contac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shock transmitted directly to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s 220 inside the inclined surface is dispersed and absorbed, so that stable walking can be started and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heel can be more effectively alleviated.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the hollow cushioning projections 220 are restored at the same time as the driv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resilience to push up the foot.

보행 시에 발뒤축이 지면을 디뎌질 때는 발뒤축에 밟히는 중간쿠션창(200)이 먼저 압축되는데, 이 중간쿠션창(200)은 하방에 매우 부드럽고 경도가 낮으면서 복원력이 좋고 압축변형율이 낮은 발포성 소재로서 형성되어 쿠션이 우수한 재질로 다수 개의 중공쿠션돌기(220)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중간쿠션창(200)이 밟히면서 압력이 골고루 분산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When the heel of the foot stepped on the ground during walk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stepped on the heel of the foot is first compressed, and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a foam material having a very low softness and low hardness, low resilience, and a low compressive strain. As a plurality of hollow cushion projections 220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ushion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absorbed while the pressure is evenly distributed as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stepped on.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중간쿠션창(200)이 밟힐 때 각각의 중공쿠션돌기(220)의 내측에는 에어가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에어챔버(224)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이 중공쿠션돌기(220)는 마치 고무공과 같이 에어챔버(224)에서 에어가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에어쿠션 작용을 유발시켜 충격 흡수하고 중공쿠션돌기(220)들의 기능이 지속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stepped on the inside of each hollow cushion projection 220, the air chamber 224 is formed so that air does not leak, each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s 220 is Like the rubber ball, the air is elastically compressed in the air chamber 224 to induce an air cushion action to absorb shock and also serve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s 220.

이렇게 하측으로 딛던 발을 들게 되면, 중간쿠션창(200)을 형성하는 발포성 소재 자체의 양호한 쿠션과, 에어챔버(224)에서 압축되던 내부 에어가 순간적으로 복원되고, 중공쿠션돌기(220)는 재질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중간쿠션창(200)은 원위치로 원상복원되어 발바닥에는 매우 부드럽고 리드미컬한 접지감을 제공하게 되고, 이와 같은 접지감은 발뒤축에서 발끝까지 순차적으로 반복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oot stepped down like this, a good cushion of the foamable material itself form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and the internal air compressed in the air chamber 224 are instantaneously restored, and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is made of a material. Due to its restoring force,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provide a very soft and rhythmic grounding on the sole, and this grounding is repeated sequentially from the toe of the toe to the toe.

상기와 같이 발바닥에 의해 중간쿠션창(200)이 밟히고 발을 드는 동작을 반복할 때, 중간쿠션창(200)의 하부와 바닥창(100)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공간부에는 에어펌핑 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When the middle cushion window 200 is stepped on by the sole a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foot is repeated, an air pumping action is performed in the closed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cushion window 200 and the sole 100. Actively done

이는 발뒤축이 중간쿠션창(200)의 후방측을 밟을 때, 격벽(212)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방공간부가 순간적으로 수축하면서 후방공간부에 차 있던 에어가 격벽(212)에 설치된 공기유통로(214)를 통하여 중간체크밸브(214a)를 통해 빠져나가 발바닥의 앞 부분에 해당하는 전방공간부로 유입되면서 전방공간부의 에어량이 충만하여 충만해진 만큼의 공기량이 전방체크밸브(216a)를 통해 상측인 신발 내부로 강제 배출되게 된다.This is because when the rear of the foot step on the rear sid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the air space passage installed in the partition wall 212, the air filled in the rear space portion while the rear space portion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wall 212 momentarily contracted As the air flows out through the middle check valve 214a and flows into the front space corresponding to the front part of the sole, the air volume of the front space is filled and filled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front check valve 216a. Forced discharge into the shoe.

뒤이어 다음 동작인 발바닥의 앞 부분에 의해 중간쿠션창(200)의 전방측이 밟혀질 때, 그 하측의 전방공간부가 수축되면서 전방공간부에 차있던 에어가 중간쿠션창(200)의 전방측 상향 설치된 전방체크밸브(216a)를 통하여 발바닥의 앞 부분으로 뿜어져 나가게 되어 땀이 많이 나고 습기가 많이 차는 발바닥의 앞 부분을 통풍시켜 주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front side of the middle cushion window 200 is stepped on by the front part of the sole, which is the next operation, the air that has been filled in the front space while the lower front space part contracts is moved upward of the front side of the middle cushion window 200. Through the installed front check valve (216a)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part of the sole to ventilate the front part of the sole is sweaty and humid much cold.

이렇게 발바닥의 앞 부분이 중간쿠션창(200)의 전방측을 밟을 때는 발뒤축이 들려 올라가게 되는데, 발뒤축에 밟혀서 압축되었던 후방측의 중간쿠션창(200)은 발뒤축이 들림과 동시에 팽창하는데, 이때에 후방측 중간쿠션창(200)에 설치된 후방체크밸브(218a)가 외부 에어를 후방공간부로 흡입하여 후방공간부에 에어가 충만해지게 되어 다음 동작에서 발바닥 앞 부분으로 뿜어져 나가게 된다.When the front part of the sole is stepped on the front side of the middle cushion window 200, the heel of the foot is lifted up, the middle cushion window 200 of the rear side compressed by being stepped on the heel of the foot is expanded at the same time as the foot heel is lifted up. The rear check valve 218a installed in the rear sid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sucks the outside air into the rear space portion to fill the rear space portion with the air,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front part of the sole in the next operation.

위에서 설명한 3개의 전후방 및 중간체크밸브(214a,216a,218a)는 일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된 것이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방공간부의 에어를 전방공간부로 이동시키고, 전방공간부의 에어는 신발 내측의 발바닥 앞 부분으로 이동시키며, 발뒤축 쪽의 외부 에어는 후방공간부로만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즉, 발의 앞쪽과 뒷쪽이 순차적으로 지면에 착지될 때마다 앞쪽에서부터 뒤쪽으로 순차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신발의 특성에 따라서 체크밸브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공기의 흐름을 반대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Since the three front and rear and intermediate check valves 214a, 216a, and 218a described above are designed to flow fluid in only one direction, the air in the rear space portion is moved to the front space por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air in the front space portion is It moves to the front of the sole, and the outside air toward the rear of the foot is only introduced into the rear space. That is, whenever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foot is landed on the ground sequentially, a large amount of air is circulated sequentially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of course, the flow of air can be reversed by reversing the direction of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e.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닥창(100)과 중간쿠션창(200)의 사이에 완전히 밀봉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에 쿠션이 우수한 소재로 된 중공쿠션돌기(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공쿠션돌기(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챔버(224)는 에어가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는 비통기성 부재(300)가 구비되어 있음 에 따라 고무공이 항상 탱탱한 탄력을 유지하는 바와 같이 항상 우수한 쿠션작용과 우수한 펌핑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pace part completely sealed between the sole 100 and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200 is formed, and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ushioning is formed in the space. In addition, the air chamber 224 formed inside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 has a non-breathable member 300 to prevent air from leaking, so that the rubber ball always maintains firm elasticity. Cushioning and excellent pumping action.

이에 따라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달리기를 했을 때 몸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발바닥을 밀어올리는 추진력까지 있어서 몸의 피로도를 덜어주는 효과와, 신발 내부에 많은 양의 공기가 순환되어 항상 사용자의 발을 편안하고 쾌적하게 하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신발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본 발명의 기능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This reduces the fatigue of the body by relieving the shock that is transmitted to the body when walking or running for a long time, and reduces the fatigue of the body, and the large amount of air circulates inside the shoe so that the user's feet are always comfortable. Shoes can be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life of the sho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창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ole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 부분단면도,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에 있어 비통기성 부재가 비통기성 코팅막으로 이루어진 중간쿠션창이 구비된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cushion window made of a non-breathable coating layer of the non-breathable member in a sho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중간쿠션창과 비통기성 코팅막을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and 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shown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에 있어 중공쿠션돌기에 보조돌기가 더 구비된 신발창의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sole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projection to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in the sho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에 있어서 바닥창이 무발포층의 아웃솔과 발포층의 미드솔로 구성된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in the so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outsole of the non-foamed layer and the midsole of the foam layer,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신발창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ole shown in Figure 9,

도 11은 도 9에서 비통기성 부재로서 비통기성 코팅막이 구비된 신발창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oe sole provided with a non-breathable coating film as a non-breathable member in FIG. 9;

도 12는 종래 발명에 따른 중간창을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12 is a plan view of an intermediate window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도 13은 종래 발명에 따른 중간창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termediate window according to the prior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s of drawing>

1: 갑피 3: 안창1: upper 3: insole

10: 상부금형 12: 시트부성형공간부10: upper mold 12: seat portion molding space portion

20: 하부금형 22: 성형홈20: lower mold 22: molding groove

24: 에어배출구멍 100: 바닥창24: air discharge hole 100: the sole

102: 아웃솔 104: 미드솔102: outsole 104: midsole

110: 바닥부 120: 테두리턱110: bottom 120: chin

130: 공간부 140: 모서리부130: space portion 140: corner portion

150: 논슬립창 200: 중간쿠션창150: non-slip window 200: middle cushion window

205: 테두리 210: 쿠션창시트부205: frame 210: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212: 격벽 214: 공기유통로212: bulkhead 214: air passage

214a: 중간체크밸브 216: 내부유출입구214a: intermediate check valve 216: internal outlet

216a: 전방체크밸브 218: 외부유출입구216a: front check valve 218: external outlet

218a: 후방체크밸브 220: 중공쿠션돌기218a: rear check valve 220: hollow cushion protrusion

220a:보조돌기 222: 개구부220a: auxiliary protrusion 222: opening

224: 에어챔버 226: 탄성체224: air chamber 226: elastic body

228: 에어유로 230: 우레탄시트228: air flow path 230: urethane sheet

232: 관통공 240: 보조판재232: through hole 240: auxiliary plate

300: 비통기성 부재 310: 비통기성 택숀300: non-breathable member 310: non-breathable taxon

320: 비통기성 코팅막320: non-breathable coating film

Claims (15)

발바닥 형상을 지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상면의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테두리턱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턱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공간이 파여서 상측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창,A sole having a sole shape, a bottom jaw including an edge jaw projecting upward toward an outer periphery of the top of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 space portion open to an upper side by digging a space into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the edge jaw, 상기 바닥창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바닥창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쿠션창시트부와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저면으로 발포팽창된 돌기가 하향 돌출되며 일단 또는 양단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쿠션돌기를 포함하는 중간쿠션창, 그리고At least one hollow cushion protrusion having a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ole window and a protrusion expa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so as to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ole, and having an opening open at one or both ends thereof; Intermediate cushion window, including 상기 중간쿠션창의 외부를 둘러싸서 중공쿠션돌기의 중공 내부의 에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비통기성 부재를The non-breathable member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to prevent air from leaking inside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포함하는 신발창.Containing sole.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쿠션창시트부는,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상기 바닥창의 공간부를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로 구획하도록 횡방향으로 하향 돌출형성된 격벽,A partition wall protruding downwar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partition the space part of the outsole into a front space part and a rear space part; 상기 격벽에 관통설치된 공기유통로,An air passage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상기 바닥창의 전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내부유출입구, 그리고An internal outlet opening through which an air flows through an area where the front space of the outsole is formed, and 상기 바닥창의 후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외부유출입구를An external outlet opening through the area where the rear space of the sole i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더 포함하는 신발창.Sole containing more.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쿠션창시트부는,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상기 공기유통로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중간체크밸브,An intermediate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air passage and opened only in one direction; 상기 내부유출입구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전방체크밸브, 그리고A front check valve installed at the inner outlet and opened only in one direction, and 상기 외부유출입구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후방체크밸브를The rear check valve is installed at the external outlet and opens only in one direction. 더 포함하는 신발창.Sole containing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중간쿠션창은,The middle cushion window,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체나 액상충진재를An elastic body or a liquid filler provided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더 포함하는 신발창.Sole containing more.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비통기성 부재는,The non-breathable member,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로 에어챔버를 형성하는 비통기성 택숀으로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A shoe sole formed of a non-breathable taxon which seals the opening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to form an air chamber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비통기성 부재는,The non-breathable member, 상기 중간쿠션창을 형성하는 발포성 소재에 형성된 미세한 통공을 통해 에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표면에 피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로 에어챔버를 형성하는 비통기성 코팅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Non-breathable to form a film layer on the surface to prevent air from leaking through the fine through-hole formed in the foam material form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and to seal the opening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to form an air chamber into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Shoe sole formed with a coating film. 제6항에서,In claim 6,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은,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폴리우레탄수지를 용재에 녹여서 안료나 염료를 혼합한 액상을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표면에 도포시킨 피막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A shoe sole formed of a coating layer in which a polyurethane resin is dissolved in a solvent and a liquid mixed with a pigment or a dy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발바닥 형상을 지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상면의 바깥쪽 둘레로 상향 돌출된 테두리턱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턱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공간이 파여서 상측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창,A sole having a sole shape, a bottom jaw including an edge jaw projecting upward toward an outer periphery of the top of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 space portion open to an upper side by digging a space into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the edge jaw, 상기 바닥창의 공간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공간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쿠션창시트부와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상면으로 발포팽창된 돌기가 상향 돌출되고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쿠션돌기를 포함하는 중간쿠션창, 그리고At least one hollow having a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ace portion and a protrusion expa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por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sole, and having an opening at one or both ends thereof opened; An intermediate cushion window including cushion projections, and 상기 중간쿠션창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 내부의 에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비통기성 부재를The non-breathable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to prevent the air inside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from leaking out. 포함하는 신발창.Containing sole. 제8항에서,In claim 8, 상기 중간쿠션창은,The middle cushion window,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상면을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로 구획하도록 횡방향으로 하향 돌출형성된 격벽,A partition wall protruding downwar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divide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window sheet into a front space portion and a rear space portion; 상기 격벽에 관통설치된 공기유통로, 그리고An air passage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상기 공기유통로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중간체크밸브를Intermediate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air flow path to open only in one direction 더 포함하는 신발창.Sole containing more. 제9항에서,In claim 9, 상기 중간쿠션창은,The middle cushion window,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체나 액상충진재를An elastic body or a liquid filler provided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더 포함하는 신발창.Sole containing more. 제8항에서,In claim 8, 상기 비통기성 부재는,The non-breathable member, 상기 중간쿠션창을 형성하는 발포성 소재에 형성된 미세한 통공을 통해 에어 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표면에 피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로 에어챔버를 형성하는 비통기성 코팅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Non-breathable to form a film layer on the surface to prevent air from leaking through the fine through-hole formed in the foam material forming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and to seal the opening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to form an air chamber into the hollow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Shoe sole formed with a coating film. 제11항에서,In claim 11,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은,The non-breathable coating film, 폴리우레탄수지를 용재에 녹여서 안료나 염료를 혼합한 액상을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표면에 도포시킨 피막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A shoe sole formed of a coating layer in which a polyurethane resin is dissolved in a solvent and a liquid mixed with a pigment or a dy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제8항에서,In claim 8, 상기 비통기성 부재는,The non-breathable member,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중공쿠션돌기의 중공내부로 에어챔버를 형성하는 비통기성 택숀으로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A shoe sole formed of a non-breathable taxon which seals the opening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to form an air chamber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hollow cushion projection. 제13항에서,In claim 13, 상기 비통기성 택숀은,The non-breathable taxon,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전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내부유출입구,An internal inlet and outlet for penetrating the area where the front portion of the cushion window sheet i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상기 쿠션창시트부의 후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외부유출입구,An external outlet opening through which an air is circulated through an area in which the rear space portion of the cushion window sheet is formed; 상기 내부유출입구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전방체크밸브, 그리고A front check valve installed at the inner outlet and opened only in one direction, and 상기 외부유출입구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후방체크밸브를The rear check valve is installed at the external outlet and opens only in one direction. 더 포함하는 신발창.Sole containing more. 제9항에서,In claim 9, 상기 중간쿠션창의 상면에는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cushion window 상기 중간쿠션창의 중공쿠션돌기가 위치하는 상측에 보조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신발창.A shoe sole having an auxiliar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hollow cushion protrusion of the intermediate cushion window.
KR1020080120630A 2008-04-22 2008-12-01 Sole of a shoes KR200901117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630A KR20090111746A (en) 2008-04-22 2008-12-01 Sole of a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53 2008-04-22
KR1020080049213 2008-05-27
KR1020080067535 2008-07-11
KR1020080120630A KR20090111746A (en) 2008-04-22 2008-12-01 Sole of a sh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46A true KR20090111746A (en) 2009-10-27

Family

ID=4153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630A KR20090111746A (en) 2008-04-22 2008-12-01 Sole of a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74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228A (en) 2019-11-26 2021-06-04 주식회사 소노엠 Ultrasonic Lesion Extraction Method Using Medical Image Big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228A (en) 2019-11-26 2021-06-04 주식회사 소노엠 Ultrasonic Lesion Extraction Method Using Medical Image Bi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782A (en) Sole of a shoes
US4219945A (en) Footwear
US7802378B2 (en) Insert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insert
US781025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having fluid-filled support elements
US5675914A (en) Air circulating footbed
US5950332A (en) Fluid circulating cushioned insole
US20150305436A1 (en) Pneumatically inflatable air bladder devices contained entirely within shoe sole or configured as shoe inserts
US20100275468A1 (en) Air circulating footbed and method thereof
US20130174447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Sealed Chamber
US6112432A (en) Insole, footw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KR20090111746A (en) Sole of a shoes
KR20090117593A (en) Shoes of which formed at one body mold outsole and hollowness cushion protrusion and the making mold of the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hoes
US20220225731A1 (en) Footwear midsole comprising a support and one or more internal bladders
JP2009502228A (en) Vented sole
US20070101611A1 (en) Shoe Sole
CN101112260A (en) Insole for footwear
KR100932018B1 (en) Shoe sole with hollow cushion protru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34568A (en) Outsole with built-in hollow cushion projection
KR20170019952A (e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with the shock-absorbing function, and pressure
KR100367214B1 (en) Shoes medium sole containing air-cushion
WO2000010414A1 (en) Dispersed-air footpad
KR20090111748A (en) The functional rolling sole of shoes
KR20090111749A (en) The non-breathable midsole of a shoe with hollowness cushion protrusion and resin-formed layer
KR20090111747A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and the sole of shoes with ventilating function attached hollow-cushion-protrusion
KR100791038B1 (en) 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