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589A - 콘텐츠 보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보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589A
KR20090111589A KR1020080037278A KR20080037278A KR20090111589A KR 20090111589 A KR20090111589 A KR 20090111589A KR 1020080037278 A KR1020080037278 A KR 1020080037278A KR 20080037278 A KR20080037278 A KR 20080037278A KR 20090111589 A KR20090111589 A KR 20090111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ward
contents
information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162B1 (ko
Inventor
강장묵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주)인스비젼아이넷
강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스비젼아이넷, 강장묵 filed Critical (주)인스비젼아이넷
Priority to KR102008003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16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초 제작된 콘텐츠와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들의 집합을 가족 콘텐츠 그룹이라 할 때, 가족 콘텐츠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의 제작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의 보상과 관련된 정보가 콘텐츠의 고유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된 콘텐츠 관리 테이블, 보상을 위해 최초 콘텐츠 및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들을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부 및, 콘텐츠들의 평가에 따라 각 제작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제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초 콘텐츠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도 진정한 의미의 창작물로 인정하여 모든 제작자들에게 창작에 대한 공정한 공로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보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reator with remuneration}
본 발명은 인터넷 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그 제작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초 디지털 콘텐츠가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에 의해 수정이 가해진 경우 그 기여도에 따라 각 제작자에게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 급속히 보급되고 WWW(World Wide Web)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게시, 저장 및 최초 디지털 콘텐츠의 수정과 유통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콘텐츠 중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인 UCC(User Created Contents)가 각광을 받고 있다. UCC는 기존의 디지털 콘텐츠가 전문가나 기관 등에 의해 제작되던 것과는 달리,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만들어낸 콘텐츠를 뜻한다. 즉, 신문사나 방송사와 같은 전통적 대중매체에서 생산된 콘텐츠와 대립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 생산의 민주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웹 2.0의 개념이 도입되어 웹이 점점 개방화되고 사용자 들의 참여가 크게 늘어나게 되면서 발전하였다.
이러한 UCC는 UCC의 형태로는 게시판 댓글로부터 이용자가 인터넷에 올리는 모든 형태의 콘텐츠를 지칭하며, UCC의 매체로는 블로그, 미니홈피, 포털, 동영상 플랫폼, 신문, 오픈마켓, 전자쇼핑에서 활용되는 미디어형 콘텐츠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렇게 웹에서 사용자의 직접 참여가 중요한 화두로 부각되는 흐름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분리되던 것과 달리 소비자가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해내는 새로운 개념으로 진화된 것이다.
UCC를 포함한 디지털 콘텐츠는 유형의 상품과는 달리 무형이기 때문에 쉽게 복제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UCC를 포함한 디지털 콘텐츠는 최초 콘텐츠에 개변을 가하여 새로운 콘텐츠, 즉 2차적 저작물이나 편집 저작물을 만들기도 쉽다.
따라서, 진정한 저작자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할 뿐만 아니라, 최초 디지털 콘텐츠에 개변을 가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만든 저작자들에게 기여한 만큼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합리적인 보상 시스템이 요구되어 왔다. 특히, 이러한 합리적 보상 시스템은 웹 2.0이 표방하는 참여, 공유, 개방의 기본 취지에 부합하며, 디지털 콘텐츠의 참여와 생산에 따른 전체 수익의 공정한 배분과, 특히 참여에 대한 수익을 보장해 줌으로써 더 많은 사용자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어 문화창달에 기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최초 콘텐츠와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를 평가하여 그 제작자들에게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최초 제작된 콘텐츠와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들의 집합을 가족 콘텐츠 그룹이라 할 때, 가족 콘텐츠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의 제작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의 보상과 관련된 정보가 콘텐츠의 고유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된 콘텐츠 관리 테이블, 보상을 위해 최초 콘텐츠 및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들을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부 및, 콘텐츠들의 평가에 따라 각 제작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제공부를 구비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콘텐츠 관리 테이블에서, 콘텐츠의 보상과 관련된 정보는 콘텐츠의 개작 차수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제작자 정보,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콘텐츠의 위치정보는 콘텐츠가 인터넷 상에서 어느 콘텐츠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알려주는 정보이다.
그리고, 콘텐츠 관리 테이블에서, 콘텐츠 고유번호는 최초 콘텐츠가 제작될 때 콘텐츠 파일에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최초 콘텐츠에 대한 개작이 이루어지면 개작된 콘텐츠 파일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최초 콘텐츠가 동일한 다수개의 자식 콘텐츠들은 각 개작 차수에 따라 콘텐츠 고유번호가 규칙적으로 부여되며,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콘텐츠 트리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콘텐츠 보상 시스템에서, 콘텐츠 평가부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조회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거나,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들이 점수를 매기는 랭킹(ranking)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거나,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댓글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거나, 콘텐츠를 조회한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링크(link)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때, 링크는 사용자가 콘텐츠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를 복사하여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것, 사용자가 콘텐츠 전체를 복사해서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것, 사용자가 이메일에 콘텐츠를 첨부해서 타인에게 전달하는 것, 메신저로 콘텐츠를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SNS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RSS(RDF Site Summary or Really Simple Syndication)나 ATOM 등의 신디케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것, 콘텐츠에 태그(tag)를 붙이는 것, 또는 트랙백(trackback)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에서, 콘텐츠 평가부는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랭킹(ranking), 댓글 또는, 링크(link)를 이용하여 평가하되, 각 평가 결과에 대해 가중치를 주어 전체 점수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텐츠 보상 시스템에서, 보상 제공부는 보상을 받는 제작자에게 현금 또는 사이버머니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최초 제작된 콘텐츠와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들의 집합을 가족 콘텐츠 그룹이라 할 때, 가족 콘텐츠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의 제작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의 고유 번호가 콘텐츠 개작 차수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제작자 정보 및, 평가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는 콘텐츠 관리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b) 특정 가족 콘텐츠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 각각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 및, (c) 평가 결과에 따라 가족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a) 단계에서 콘텐츠 고유번호는 최초 콘텐츠가 제작될 때 콘텐츠 파일에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최초 콘텐츠에 대한 개작이 이루어지면 개작된 콘텐츠 파일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초 콘텐츠가 동일한 다수개의 자식 콘텐츠들은 각 개작 차수에 따라 콘텐츠 고유번호가 규칙적으로 부여되며,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콘텐츠 트리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 단계에서 콘텐츠의 위치정보는 콘텐츠가 인터넷 상에서 어느 콘텐츠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알려주는 정보이다.
콘텐츠 보상 방법에서, (b) 단계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조회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거나,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들이 점수를 매기는 랭킹(ranking)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거나,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댓글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거나, 콘텐츠를 조회한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링크(link)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때, 링크는 사용 자가 콘텐츠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를 복사하여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것, 사용자가 콘텐츠 전체를 복사해서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것, 사용자가 이메일에 콘텐츠를 첨부해서 타인에게 전달하는 것, 메신저로 콘텐츠를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SNS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RSS(RDF Site Summary or Really Simple Syndication)나 ATOM 등의 신디케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것, 콘텐츠에 태그(tag)를 붙이는 것, 또는 트랙백(trackback)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b) 단계에서,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랭킹(ranking), 댓글 또는, 링크(link)를 이용하여 평가하되, 각 평가 결과에 대해 가중치를 주어 전체 점수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텐츠 보상 방법에서, (c) 단계는 보상을 받는 제작자에게 현금 또는 사이버머니를 제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최초 콘텐츠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도 진정한 의미의 창작물로 인정하여 모든 제작자들에게 창작에 대한 공로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협업을 통한 집단 지성의 창작물 시장을 창출할 수 있고, 이러한 시장은 웹 2.0이 표방하는 참여/공유/개방의 기본 취지에 부합한다.
아울러, 투명한 보상 체계를 통해 하나의 아이디어 창작물이 다양한 형태의 창작물을 탄생시킬 수 있으므로, UCC 등의 관련 산업을 더욱 전문화 및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보상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및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사용자(100)는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제공서버(200)와 연결된다. 콘텐츠 제공서버(200)는 사용자가 UCC와 같은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등록하면, 이를 웹페이지에 게시하여 다른 다수의 사용자들이 게시된 디지털 콘텐츠를 보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서버(200)로는 네이버(www.naver.com)나 다음(www.daum.net) 등의 포털사이트 서버, 또는 유투브(www.youtube.com)나 판도라 TV(www.pandora.tv) 등과 같은 UCC 전문 사이트 서버가 있다.
콘텐츠란 사용자(100)가 제작한 동영상, 사진, 음악 등의 모든 형태의 창작물을 의미한다. 콘텐츠에는 특정 사용자가 최초로 제작하여 게시한 것도 포함되고, 또는 특정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개작한 2차적 저작물 또는 편집 저작물도 포함된다. 사용자(100)는 특정 콘텐츠 제공서버(200)에 게시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개작된 콘텐츠를 만들어 다른 콘텐츠 제공서버에 업로드 할 수도 있다.
콘텐츠 보상 시스템(300)은 다수의 사용자(100)들이 만들어 업로드하거나 유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해 그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 하는 시스템이다. 즉, 최종 콘텐츠가 금전적 가치를 발생하거나 특정기업이나 사람이 활용을 하려고 할 때, 거기에서 발생하는 가치를 최초 제작자로부터 최종 개작자 까지 형평성 입각해서 이익을 나누어 주는 시스템이다.
도 1에서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300)이 다수의 콘텐츠 제공서버(200)와 분리되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이 콘텐츠 제공서버와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시스템이 다수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콘텐츠의 개작에 따라 보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최초 콘텐츠와 이를 개작한 다른 콘텐츠들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트리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콘텐츠를 개작한 콘텐츠는 1차 개작 콘텐츠가 되고, 1차 개작 콘텐츠를 개작한 콘텐츠는 2차 개작 콘텐츠가 된다. 또한, 지속적으로 콘텐츠의 개작이 이루어진다면 n차 개작 콘텐츠까지 트리구조가 이어질 수 있다. 이때, (n-1)차 개작 콘텐츠와 n차 개작 콘텐츠는 부모(parent)와 자식(child) 관계가 되며, 콘텐츠 트리 구조의 가로축은 개작의 정도를 나타내게 된 다.
최초 콘텐츠를 개작한 1차 개작 콘텐츠는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차수의 개작 콘텐츠는 동일한 부모(parent)를 갖는 형제(brother) 관계가 된다. 따라서, 콘텐츠 트리 구조의 세로축은 동일 차수의 개작이 행해진 콘텐츠의 그룹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트리 구조의 세로축에서, 동일 차수의 개작이 행해진 콘텐츠들은 콘텐츠 보상 시스템의 평가에 의해 평가 점수가 높은 콘텐츠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도 2에 도시된 트리구조에서, 하나의 최초 콘텐츠와 이로부터 파생된 다수개의 자식 콘텐츠들을 가족 콘텐츠 그룹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족 콘텐츠 그룹은 다수개가 존재한다. 이때, 하나의 가족 콘텐츠 그룹은 하나의 콘텐츠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여러 개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도 2에 도시된 트리구조를 이용하면, 최초 콘텐츠에 대해 여러 번의 개작이 행해진다고 해도 개작된 콘텐츠의 위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콘텐츠들 사이의 관계는 콘텐츠 파일에 삽입되는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보상 시스템(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보상 시스템(300)은 콘텐츠 관리 테이블(301), 콘텐츠 평가부(302), 보상 제공부(303)로 이루어진다.
콘텐츠 관리 테이블(301)은 콘텐츠의 보상과 관련된 모든 정보가 콘텐츠의 고유번호와 함께 저장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각 콘텐츠의 고유 번호는 콘텐츠의 개작 차수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제작자정보, 평가 정보 등과 매칭되어 저장된다.
콘텐츠 고유번호란 최초 콘텐츠가 제작될 때 콘텐츠 파일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고유번호는 난수발생기를 이용하여 유추가 불가능한 번호를 생성하여 최초 콘텐츠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암호화 및 인증 기술로는 해쉬암호화 기법과 공개키 방식 그리고 스테가노그라피(Steganography) 기법을 포함한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이나 DWM(Digital Water Marking) 같은 관련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컨텐츠 파일 내에는 해쉬값 또는 암호값만이 존재하므로 임의의 사용자가 컨텐츠의 고유번호를 식별하거나 변경할 수 없게 된다.
암호화 기술로는 해쉬암호화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콘텐츠 파일 내에는 해쉬값만이 존재하므로 임의의 사용자가 콘텐츠의 고유번호를 식별하거나 변경할 수 없게 된다.
최초 콘텐츠에 대한 개작이 이루어지면, 개작이 이루어질 때 마다 새로운 고유번호가 부여된다. 다만, 최초 콘텐츠가 동일한 다수개의 자식 콘텐츠들은 각 차수에 따라 콘텐츠 고유번호가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콘텐츠의 고유번호가 12340000이라면, 1차로 개작된 콘텐츠의 경우 12341100, 12341200 등이 될 수 있고, 2차로 개작된 콘텐츠의 경우 12342100, 12342200 등으 로 규칙화하여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고유번호가 규칙화되어 부여되면, 고유번호만 가지고도 도 2에 의한 콘텐츠 트리구조를 그릴 수 있게 되어, 콘텐츠들간의 관계가 명확해진다.
콘텐츠의 개작 차수정보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고유번호 내에 삽입할 수 있으나, 고유번호와 매칭하여 콘텐츠 관리 테이블에 따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DRM이나 DWM 기술을 이용하여 동영상, 음악 파일이 재생될 때 또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프로그램에 특정 코드를 삽입하여 또는 이미지, 텍스트, 댓글이 보여질 때 리턴(Return) 값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콘텐츠의 위치정보는 해당 콘텐츠가 인터넷 상에서 어느 콘텐츠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알려주는 정보이다. 사용자는 최초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개작을 한 후 다른 콘텐츠 제공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기 때문에, 보상을 위해서는 콘텐츠가 어느 콘텐츠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위치정보가 필요하다.
위치정보는 해당 콘텐츠 제공 서버의 아이피 주소, 페이지 넘버, 파일 넘버 등으로 세분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콘텐츠 보상 시스템이 콘텐츠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서버를 추적하거나, 콘텐츠 제공서버가 콘텐츠 보상 시스템에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시간정보란 콘텐츠가 제작된 시간, 개작된 시간 등을 가리킨다.
콘텐츠 제작자정보란 콘텐츠를 최초 제작하거나 개작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가리킨다.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주소, 보상을 위한 계좌정보 등을 포함한다. 콘텐츠를 최초 제작하거나 개작한 사용자는 특정 콘텐 츠 제공서버에 자신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인증을 하므로, 그러한 인증정보가 콘텐츠의 고유번호와 함께 콘텐츠 보상 시스템(300)에 전달되어 저장된다. 또는 전자상거래에서 주로 사용하는 PKI(Public Key Infrastructure)를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평가 정보는 최초 콘텐츠 또는 개작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하여 그 제작자에게 합리적인 보상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텐츠 평가부(302)에서 평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다. 콘텐츠 평가의 기준 및 방법에 대해서는 콘텐츠 평가부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 콘텐츠 평가부(302)는 다양한 평가 방법과 기준에 의해 콘텐츠를 평가하는 것이다. 콘텐츠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조회수(Hit), 랭킹(ranking), 댓글(Comment), 링크(link), 다운로드(download), 추천(Recommend), 포드캐스팅(Pod casting), 트랙백(Trackback;댓글의 댓글), 폭소노미(Folksonomy) 등이 가능하다.
조회수를 이용한 평가는 콘텐츠 제공서버(200)에 등록된 해당 콘텐츠를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이 조회했느냐를 기준으로 한다. 콘텐츠의 품질이 높거나 재미가 있다면 많은 사용자들이 조회할 것이므로, 콘텐츠 제공 회사에는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다. 이러한 조회수가 높은 콘텐츠의 제작자에게 더 많은 보상을 하기 위해 조회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는 것이다.
랭킹이란 콘텐츠를 조회한 사용자들이 콘텐츠에 대해 점수를 매겨 콘텐츠간 순위를 정렬하는 것이다. 순위가 높은 콘텐츠의 제작자에게는 당연히 많은 보상이 가해진다.
댓글이란 콘텐츠를 조회한 사용자들이 해당 콘텐츠에 대해 간단한 글을 남기는 것으로, 보통 호감이나 비호감을 표시한다거나 추천 등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호감이나 추천 회수가 많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평가 점수가 높고, 비호감이나 비추천 회수가 많은 콘텐츠에 대해서는 평가 점수가 낮게 책정된다.
링크란 콘텐츠를 조회한 사용자들이 해당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추천하기 위해 콘텐츠 전달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다. 링크의 방법으로는 직접 아이피 주소(IP address)를 복사하거나(Hyperlink) 콘텐츠 전체를 복사해서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것, 이메일에 콘텐츠를 첨부해서 타인에게 전달하는 것, 메신저로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SNS를 이용하여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또한, 링크의 방법으로 최신 신디케이션 기술인 RSS(RDF Site Summary or Really Simple Syndication), 아톰(ATOM) 등을 이용하거나, 태그(tag)를 붙이거나 트랙백(trackback)을 이용하는 등 어떠한 기술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폭소노미(Folksonomy)란 일반인에 의하여 콘텐츠에 대한 분류 및 체계를 달아주는 태그를 뜻한다. 따라서 폭소노미를 이용하여 일반인들의 참여와 컨텐츠에 대한 태그의 수와 이로 인한 연결이 늘어날수록 콘텐츠의 가치는 증대한다. 폭소노미를 이용한 참여 횟수 역시 콘텐츠 평가에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여러 콘텐츠 평가 방법을 조합하여 점수로서 계산하는 방법은 시간적 기준이나 관계적 기준에 따라 가중치를 두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문사 및 언론사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콘텐츠의 가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조회수를 시간대별로 나누어 점수를 계산하고, 평가하는 시점에서 1시간 이내는 1회의 조회에 0.7의 가중치를 주며, 3시간 이내의 조회는 1회의 조회에 0.2의 가중치를 주며, 3시간 이후의 조회는 1회의 조회에 0.1의 가중치를 준다.
또한, 댓글에서 추천의 개수에 대한 점수도 위와 같이 시간대 별로 가중치를 두어 점수를 계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평가점수를 공표하는 시점에 1시간 이내의 추천은 1회 추천당 0.7의 가중치를, 1시간과 2시간 사이의 추천은 1회 추천당 0.5의 가중치를 주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콘텐츠의 가치가 달라지기 보다는 사람과의 관계에 의한 추천이 중요한 경우에는 이메일로 추천한 경우에는 1회 추천에 0.5의 가중치를 주고, RSS로 연결된 곳으로 전달한 경우에는 0.3의 가중치를 주는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시간이나 관계 등 각각의 평가척도에 가중치를 주어 각 평가 항목을 계산한 후, 계산된 각 평가 항목에 대해서도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주어 합산함으로써 특정 콘텐츠의 평가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회수에는 0.7의 가중치를, 랭킹에는 0.8의 가중치를, 댓글에는 0.5의 가중치를, 링크에는 0.3의 가중치를 주어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전체 평가 점수를 계산한다. 이러한 콘텐츠의 평가 점수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다수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의미하며, 콘텐츠 가치에 대한 반증값이 된다. 이러한 콘텐츠 평가 점수는 콘텐츠 고유 번호와 매칭되어 콘 텐츠 관리 테이블(301)에 기록된다. 물론 연결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자에 의해 추가되고 시스템으로 검색될 때 더 많은 조회로 연결되며, 이와 같은 과정은 집단의 조회와 참여 그리고 검증을 통한 우수 콘텐츠가 여과될 수 있기 때문에 광고료 등을 계산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상 제공부(303)는 콘텐츠 평가에 따라 제작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트리 구조에서 최초 콘텐츠가 동일한 자식 콘텐츠 들의 집합을 하나의 가족 콘텐츠 그룹이라 할 때, 각 가족 구성원 제작자에게 콘텐츠 평가 점수에 따라 합리적인 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최초 콘텐츠 제작자에게는 무조건 일정한 금액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모든 제작자에게 보상을 하거나 일정 수준의 평가 점수를 갖는 제작자에게만 보상을 하는 등 여러 가지로 실시 형태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상을 제공하는 시점은 가족 콘텐츠 중 전부 또는 일부를 누군가가 필요해서 상업적으로 이용하거나 콘텐츠를 구입하려고 하는 등의 시점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가족 콘텐츠 중 전부 또는 일부로 인해 일정 수익을 올렸을 때 이를 제작자들에게 분배하고자 하는 시점을 보상 시점으로 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시점을 특정 시간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할 수도 있다.
보상의 방법은 보상을 받는 제작자에게 현금을 주거나 사이버머니를 제공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제작자가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서버에 등록시, 콘텐츠 마다 고유번호와 매칭된 개인정보가 콘텐츠 관리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개인정보에 따라 보상을 실시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콘텐츠 보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보상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100)는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제공서버(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콘텐츠 보상시스템()과 연결된다. 콘텐츠 제공서버(200)에는 다수개의 콘텐츠가 등록되어 있는데, 콘텐츠에는 각각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콘텐츠 제공서버(200)에는 최초 제작된 콘텐츠와 이로부터 개작된 여러 콘텐츠들이 등록되어 있고, 이러한 콘텐츠들간의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리 구조를 갖는다.
우선, 콘텐츠의 고유 번호가 콘텐츠 개작 차수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제작자 정보 및, 평가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는 콘텐츠 관리 테이블(301)을 작성한다(제500단계). 콘텐츠 관리 테이블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어서, 특정 가족 콘텐츠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 각각에 대해 평가한다(제501단계). 평가의 방법으로는 도 3의 콘텐츠 평가부(30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회수, 랭킹, 댓글, 링크 등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이러한 여러 콘텐츠 평가 방법을 조합하여 점수로서 계산한다. 이때, 각 평가 항목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어서, 평가 결과에 따라 가족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한다(제502단계). 보상을 제공하는 시점은 가족 콘텐츠 중 전부 또는 일부를 누군가가 필요해 서 상업적으로 이용하거나 콘텐츠를 구입하려고 하는 등의 시점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서 가족 콘텐츠 중 전부 또는 일부로 인해 일정 수익을 올렸을 때 이를 제작자들에게 분배하고자 하는 시점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시점을 특정 시간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할 수도 있다. 보상의 방법은 보상을 받는 제작자에게 현금을 주거나 사이버머니를 제공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제작자가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서버(200)에 등록시, 콘텐츠 마다 고유번호와 매칭된 개인정보가 콘텐츠 관리 테이블(301)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개인정보에 따라 보상을 실시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보상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및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최초 콘텐츠와 이를 개작한 다른 콘텐츠들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트리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보상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콘텐츠 관리 테이블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보상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23)

  1. 최초 제작된 콘텐츠와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들의 집합을 가족 콘텐츠 그룹이라 할 때, 가족 콘텐츠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의 제작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의 보상과 관련된 정보가 콘텐츠의 고유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된 콘텐츠 관리 테이블;
    보상을 위해 최초 콘텐츠 및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들을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부 및;
    콘텐츠들의 평가에 따라 각 제작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테이블에서,
    콘텐츠의 보상과 관련된 정보는 콘텐츠의 개작 차수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제작자 정보,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테이블에서,
    콘텐츠 고유번호는 최초 콘텐츠가 제작될 때 콘텐츠 파일에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최초 콘텐츠에 대한 개작이 이루어지면 개작된 콘텐츠 파일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최초 콘텐츠가 동일한 다수개의 자식 콘텐츠들은 각 개작 차수에 따라 콘텐츠 고유번호가 규칙적으로 부여되며,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콘텐츠 트리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콘텐츠의 위치정보는 콘텐츠가 인터넷 상에서 어느 콘텐츠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알려주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 평가부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조회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 평가부는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들이 점수를 매기는 랭킹(ranking)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 평가부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댓글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 평가부는 콘텐츠를 조회한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다 른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링크(link)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링크는 사용자가 콘텐츠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를 복사하여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것, 사용자가 콘텐츠 전체를 복사해서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것, 사용자가 이메일에 콘텐츠를 첨부해서 타인에게 전달하는 것, 메신저로 콘텐츠를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SNS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RSS(RDF Site Summary or Really Simple Syndication)나 ATOM 등의 신디케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것, 콘텐츠에 태그(tag)를 붙이는 것, 또는 트랙백(trackback)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 평가부는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랭킹(ranking), 댓글 또는, 링크(link)를 이용하여 평가하되, 각 평가 결과에 대해 가중치를 주어 전체 점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제공부는 보상을 받는 제작자에게 현금 또는 사이버머니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시스템.
  13. 최초 제작된 콘텐츠와 이로부터 개작된 콘텐츠들의 집합을 가족 콘텐츠 그룹 이라 할 때, 가족 콘텐츠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의 제작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의 고유 번호가 콘텐츠 개작 차수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제작자 정보 및, 평가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는 콘텐츠 관리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b) 특정 가족 콘텐츠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 각각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 및;
    (c) 평가 결과에 따라 가족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콘텐츠 고유번호는 최초 콘텐츠가 제작될 때 콘텐츠 파일에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최초 콘텐츠에 대한 개작이 이루어지면 개작된 콘텐츠 파일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최초 콘텐츠가 동일한 다수개의 자식 콘텐츠들은 각 개작 차수에 따라 콘텐츠 고유번호가 규칙적으로 부여되며,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콘텐츠 트리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콘텐츠의 위치정보는 콘텐츠가 인터넷 상에서 어느 콘텐츠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지 알려주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조회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들이 점수를 매기는 랭킹(ranking)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댓글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콘텐츠를 조회한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링크(link)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링크는 사용자가 콘텐츠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를 복사하여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것, 사용자가 콘텐츠 전체를 복사해서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것, 사용자가 이메일에 콘텐츠를 첨부해서 타인에게 전달하는 것, 메신저로 콘텐츠를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SNS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추천하는 것, RSS(RDF Site Summary or Really Simple Syndication)나 ATOM 등의 신디케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것, 콘텐츠에 태그(tag)를 붙이는 것, 또는 트랙백(trackback)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랭킹(ranking), 댓글 또는, 링크(link)를 이용하여 평가하되, 각 평가 결과에 대해 가중치를 주어 전체 점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보상을 받는 제작자에게 현금 또는 사이버머니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보상 방법.
KR1020080037278A 2008-04-22 2008-04-22 콘텐츠 보상 시스템 및 방법 KR10101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78A KR101012162B1 (ko) 2008-04-22 2008-04-22 콘텐츠 보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78A KR101012162B1 (ko) 2008-04-22 2008-04-22 콘텐츠 보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89A true KR20090111589A (ko) 2009-10-27
KR101012162B1 KR101012162B1 (ko) 2011-02-07

Family

ID=4153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278A KR101012162B1 (ko) 2008-04-22 2008-04-22 콘텐츠 보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1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0639A3 (en) * 2011-11-09 2013-07-11 Microsoft Corporation Event-based media grouping, playback, and sharing
KR101430305B1 (ko) * 2012-06-28 2014-09-23 (주)엠젠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운동 처방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9280545B2 (en) 2011-11-09 2016-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and updating event-based playback experiences
KR101993802B1 (ko) * 2018-12-07 2019-06-27 김하얀 크리에이터 콘텐츠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CN114372831A (zh) * 2022-01-10 2022-04-19 北京值得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Sigmoid函数实现内容奖励计算的方法及系统
KR20230000048A (ko) * 2021-06-24 2023-01-02 조수민 일기 분석을 통한 개인화 콘텐츠 추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923B1 (ko) * 2018-07-30 2020-07-28 서지훈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716611B1 (ko) 2023-01-03 2024-10-11 전태수 블록체인과 nft를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수익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258A (ko) * 2000-06-19 2001-12-28 이교용 디지털 콘텐츠 유료로 제공하는 개인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수익 분배 방법 및 관리 시스템
KR100952391B1 (ko) * 2005-04-14 2010-04-1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콘텐츠의 평가에 따른 가치 분석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 매체
KR20070075753A (ko) * 2006-01-16 2007-07-24 (주)케이알라인 원 소스 멀티버전 컨텐츠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70110813A (ko) * 2007-10-02 2007-11-20 (주)코인미디어 랩 복제콘텐츠를 포함한 매체 내 광고 수익 분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0639A3 (en) * 2011-11-09 2013-07-11 Microsoft Corporation Event-based media grouping, playback, and sharing
US9143601B2 (en) 2011-11-09 2015-09-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vent-based media grouping, playback, and sharing
US9280545B2 (en) 2011-11-09 2016-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and updating event-based playback experiences
US11036782B2 (en) 2011-11-09 2021-06-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and updating event-based playback experiences
KR101430305B1 (ko) * 2012-06-28 2014-09-23 (주)엠젠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운동 처방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93802B1 (ko) * 2018-12-07 2019-06-27 김하얀 크리에이터 콘텐츠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20230000048A (ko) * 2021-06-24 2023-01-02 조수민 일기 분석을 통한 개인화 콘텐츠 추천 시스템
CN114372831A (zh) * 2022-01-10 2022-04-19 北京值得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Sigmoid函数实现内容奖励计算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162B1 (ko) 2011-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ukert The next wave of digital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cultural industries
US20190279241A1 (en) Content-based mining via blockchain
KR101012162B1 (ko) 콘텐츠 보상 시스템 및 방법
US10127325B2 (en) Amplification of a social object through automatic republishing of the social object on curated content pages based on relevancy
RU2549113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оставк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содержания
US202203983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rypting and Controlling Access to Encrypted Data Based Upon Immutable Ledgers
KR102298461B1 (ko)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위한 중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방법
US20090307003A1 (en) Social advertisement network
CN101583945A (zh) 提供虚拟的真正简单聚合(rss)订阅源
Krämer et al. The role of data for digital markets contestability: case studies and data access remedies
US20160012454A1 (en) Database systems for measuring impact on the internet
CN110637317A (zh) 用于在数字通信网络上跨多个设备建立数字接触点的分布式节点群集
KR20100125697A (ko) 블로그를 이용한 광고 및 정보 제공 시스템
Diwanji et al. Deconstructing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ogrammatic advertising: at the intersection of automation and transparency
Sorensen Bestseller lists and the economics of product discovery
CN104641314A (zh) 计算机化的互联网搜索系统和方法
Chang et al. Detecting fake review with rumor model—Case study in hotel review
Hochstein et al. Toward a theory of consumer digital trust: meta-analytic evidence of its role in the effectiveness of user-generated content
CN112948775A (zh) 基于区块链的转介跟踪系统
Geng et al. Internet Celebrity Endorsement: How Internet Celebrities Bring Referral Traffic to E-commerce Sites?
Yin et al. A study on fraud reviews: Incentives to manipulate and effect on sales
DiCicco et al. Blockchain technology-based solutions to fight misinformation: a survey
Christakopoulou Moving beyond linearity and independence in top-n recommender systems
Fong The influence of online reviews: Case study of TripAdvisor and the effect of fake reviews
Naranjo The impact of Technology on Consumer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