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422A -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422A
KR20090111422A KR1020080037024A KR20080037024A KR20090111422A KR 20090111422 A KR20090111422 A KR 20090111422A KR 1020080037024 A KR1020080037024 A KR 1020080037024A KR 20080037024 A KR20080037024 A KR 20080037024A KR 20090111422 A KR20090111422 A KR 20090111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ot water
heat exchange
tank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910B1 (ko
Inventor
홍희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37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91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05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combined with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4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성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온수시스템의 집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태양열을 집열하여 충전된 열매체를 가열시켜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가능하게 입구측과 배출측에 각 일단이 연결된 인입배관 및 배출관을 갖는 통상의 집열기를 갖는 온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열용 인입배관 및 배출관을 통하여 순환되는 열매체를 상부면에서 온수용 물과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커버에 의해 상면이 막힘되게 구비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를 상부에 기밀유지되게 연결시키되, 상기 열매체가 외주면으로 순환시키고 내부로는 온수용 물의 유입 및 유출가능하게 온수용 유입관과 온수용 배출관이 연결되어 유동가능하도록 이격공간부를 갖는 2중 원통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는 하부커버에 의해 막힘되게 구비되는 제2열교환부로 구성된 축열조와, 상기 집열기의 출구에 연결되는 집열용 배출관측과 상기 축열조의 출구에 연결되는 집열용 인입배관의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차온제어기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태양열, 집열기, 성층화, 축열기, 나선유로, 열매체

Description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Hot-water supply system using solar heat}
본 발명은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열조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의 열교환 면적을 크게 하여 열매체의 성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온수시스템의 집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 들어 석유 자원에 대한 대체 에너지로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온수 시스템을 적용한 기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은 특히 주택에 적용되어 온수 및 난방가능하도록 구성된바, 그 성능을 평가하는 평가지수로서는 집열효율과 태양열 의존도에 있다.
상기 집열효율은 태양열시스템의 집열기에 투사되는 일사량 중 열로 획득되는 비율로서, 이를 높이기 위해 고효율 집열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집열기는 평판형 집열기와 진공관형 집열기로 대분할 수 있는바, 상기 진공관형 집열기는, 집열기가 진공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평판형 집열기 보다 초기 집열효율은 높으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진공도의 저하로 집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가 발생되어, 상기 진공관형 집열기에 비하여 집열효율 및 고온에서의 성능저하는 다소 떨어지나 장시간 사용하여도 성능저하 및 고장이 적다는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집열기를 통하여 집열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그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축열조를 성층화하여 집열효율을 향상시킨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성층화형 축열조를 갖는 태양열 온수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열기(11)를 순환하는 열매체(부동액)를 열교환기(12)를 통하여 온수용 물을 가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의 성층화형 축열조를 갖는 태양열 온수시스템(10)은 태양열을 흡수하여 순환펌프(13)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가열시키기 위해 집열기용 인입배관 및 인출배관(11a,11b)을 갖추어 옥외에 설치되어 구비되는 집열기(11)와, 상기 집열기용 인입배관 및 인출배관(11a,11b)을 내부로 도관시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열교환기(12)와, 상기 열교환기(12) 내측으로 축열용 인입배관(14a)과 축열용 인출배관(14b)을 도관되게 각 일단이 내측과 연통되되, 상기 축열용 인출배관(14b) 도중에 설치된 축열용펌프(15)를 통하여 순환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기(12)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열교환된 온수를 온수용 인입배관 및 인출배관(14c,14d)을 통하여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축열조(14)와,
상기 축열조(14) 내측 상부에 상기 축열용 인입배관(14a)의 타단과 연통되게 내설되어 상기 열교환기(12)를 통하여 열교환된 온수를 축열조(14) 상부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축열조(14) 상부에서 성층화가 이루어지도록 측면과 상부에 배출공(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디퓨저(16)와,
상기 집열기(11)의 출구에 연결되는 집열용 배출관(11b)측과 상기 축열조(14)의 출구에 연결되는 축열용 인출배관(14a)의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축열용펌프(15)와 순환펌프(13)를 제어(집열용 배출관측과 집열용 인입배관의 수온의 차가 3℃ 이하이면 상기 순환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집열기에 의해 태양열이 집열되어 10℃ 이상 수온 차가 나면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함)하기 위해 구비되는 미도시된 차온제어기를 갖는 제어부(17)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성층화형 축열조를 갖는 태양열 온수시스템은, 축열조와 연통되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온수용 인출배관을 통하여 다량의 온수가 배출되면, 상기 축열조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디퓨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열교환됨 없이 상기 온수용 인출배관을 통하여 곧바로 유출되므로 축열조에서는 성층화가 이루어질 수 없어 집열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축열조의 상부에 순환되는 열매체와의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열교환면적을 크게 하여 성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온수시스템의 집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열을 집열하여 충전된 열매체를 가열시켜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가능하게 입구측과 배출측에 각 일단이 연결된 인입배관 및 배출관을 갖는 통상의 집열기를 갖는 온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열용 인입배관 및 배출관을 통하여 순환되는 열매체를 상부면에서 온수용 물과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커버에 의해 상면이 막힘되게 구비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를 상부에 기밀유지되게 연결시키되, 상기 열매체가 외주면으로 순환시키고 내부로는 온수용 물의 유입 및 유출가능하게 온수용 유입관과 온수용 배출관이 연결되어 유동가능하도록 이격공간부를 갖는 2중 원통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는 하부커버에 의해 막힘되게 구비되는 제2열교환부로 구성된 축열조와, 상기 집열기의 출구에 연결되는 집열용 배출관측과 상기 축열조의 출구에 연결되는 집열용 인입배관의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차온제어기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축열조의 제1열교환부는, 상기 상부커버를 상부에 용접에 의해 기밀유지되게 연결시켜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성단부에는 열매체를 상기 제2열교환부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열교환판과, 상기 제1열교환판의 상면에 일단이 용접 고정되어 상기 상부커버를 연통되게 배관된 집열용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열매체와의 열교환이 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열교환유로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나선형의 유로격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열조의 제2열교환부는, 상기 제1열교환부를 상부에 기밀유지되게 고정시켜 상부가 밀폐되어 온수용 물을 유입하여 저장 및 유출시키도록 형성된 온수조와, 상기 온수조를 내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시켜 이격공간부를 갖도록 내부로 수용하되, 하단부 외주면에는 집열용 인입배관측와 연결되는 열매체조와, 상기 이격공간부에 그 양단이 상기 온수조의 외주면과 열매체조의 내주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되, 상기 제1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유출되는 열매체가 2차 열교환가능하도록 나선타입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2열교환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에 따르면, 축열조의 상부에 순환되는 열매체와의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열교환면적을 크게 하여 성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온수시스템의 집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100)은, 태양열을 집열하여 충전된 열매체를 가열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상의 집열기(110)와, 상기 집열기(110)의 입구측과 배출측에 각 일단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집열용 인입배관 및 배출관(111,112)과, 상기 집열용 인입관(111)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집열기(110)에 충전된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순환펌프(130)와, 상기 집열용 인입배관 및 배출관(111,112)을 통하여 순환되는 열매체를 상부면에서 온수용 물과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커버(151)에 의해 상면이 막힘되게 구비되는 제1열교환부(153)와, 상기 제1열교환부(153)를 상부에 기밀유지되게 연결시키되, 상기 열매체가 외주면으로 순환시키고 내부로는 온수용 물의 유입 및 유출가능하게 온수용 유입관(A)과 온수용 배출관(B)이 연결되어 유동가능하도록 이격공간부를 갖는 2중 원통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부커버(157)에 의해 저면이 막힘되게 구비되는 제2열교환부(155)로 구성된 축열조(150)와, 상기 집열기(110)의 출구에 연결되는 집열용 배출관(112)측과 상기 축열조(150)의 출구에 연결되는 집열용 인입배관(111)의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130)를 제어 즉,상기 집열용 배출관(112)측과 집열용 인입배관(111)의 열매체의 온도 차가 3℃ 이하이면 상기 순환펌프(13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집열기(110)에 의해 태양열이 집열되어 10℃ 이상 열매체의 온도 차가 나면 상기 순환펌프(13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미도시된 차온제어기를 갖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1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한 축열조(150)의 상부커버(151)는, 제1열교환부(153)의 상부를 막음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열매체를 제1열교환부(153)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커버(15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상기 집열용 배출관(112)의 타단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집열용 배출관(112)의 일측 에는 제1열교환부(153)를 관통하여 배관된 연결관(152)과 연결되어 열교환된 온수를 배출 공급시키기 위한 온수용 배출관(B)의 일단이 용접방식에 의해 기밀유지되게 연결된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열교환부(153)는, 상기 상부커버(151)를 상부에 용접에 의해 기밀유지되게 연결시켜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선단부에는 열매체를 상기 제2열교환부(155)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1531a)이 형성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열교환판(1531)과, 상기 제1열교환판(1531)의 상면에 일단이 용접 고정되어 상기 상부커버(151)를 연통되게 배관된 집열용 배출관(112)을 통하여 배출되는 열매체와의 열교환이 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열교환유로부(1533a)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관(152)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비접촉되게 나선형의 유로격벽(15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열교환부(155)는, 상기 제1열교환부(153)를 상부에 용접으로 기밀유지되게 고정 연결시켜, 열매체와 온수용 물이 2차 열교환가능하도록 2중 관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2열교환부(15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용 물을 유입하여 저장 및 유출시키도록 형성된 온수조(1551)와, 상기 온수조(1551)를 내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시켜 이격공간부(1553)를 갖도록 내부로 수용하되, 하단부 외주면에는 집열용 인입배관(111)측와 연결되는 열매체조(1555)와, 상기 이격공간부(1553)에 그 양단이 상기 온수조(1551)의 외주면과 열매체조(1555)의 내주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되, 상기 제1열교환부(151)를 경유하여 유출되는 열매체가 2차 열 교환가능하도록 나선타입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2열교환판(155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하부커버(157)는 상기 제2열교환부(155)의 저면부를 용접에 의해 기밀유지되게 막음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온수의 유입이 온수조(1551)로 유입가능하도록 온수용 유입배관(A)과 연통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열교환부(155)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공간부(1553)에 제2열교환판(1557)이 나선타입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서 열교환이 증대되도록 제2열교환부(155')는 온수용 물을 유입하여 저장 및 유출시키도록 형성된 온수조(1551')와, 상기 온수조(1551')를 내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시켜 이격공간부(1553')를 갖도록 내부로 수용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외주면에는 집열용 인입배관(111)측와 연결되는 열매체조(1555')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부(1553')에 그 양단이 상기 온수조(1551')의 외주면과 열매체조(1555') 내주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153)를 경유하여 유출되는 열매체가 2차 열교환가능하도록 나선타입의 제2열교환판(1557')을 구비되되, 상기 제2열교환판(1557')의 간격은 상부(Ⅰ)에 대한 중간부(Ⅱ)와, 상기 중간부(Ⅱ)에 대한 하부(Ⅲ)가 각각 배율되게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열교환판(1557')의 상부(Ⅰ)는 예컨대, 2㎝간격으로 구비되면, 중간부(Ⅱ)는 4㎝ 간격으로 구비되며, 하부(Ⅲ)는 8㎝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열교환부(155')의 상부측에서 열매체와 온수용 물의 열교환이 보다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의 구동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시스템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온제어기는, 집열기(110)에서 태양열을 집열하여, 상기 집열기(110)의 출구측과 연결된 집열기용 배출관(112)의 열매체 온도와 축열조(150)를 경유하여 상기 집열기(110)의 유입측과 연결되는 집열기용 인입배관(111)의 열매체 온도의 차가 10℃가 되면, 제어부는 순환펌프(130)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130)의 구동으로 상기 집열기(110)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는 축열조(150)의 상부커버(151)와 연결된 집열기용 배출관(112)을 통하여 제1열교환부(153)의 중앙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열교환부(153)측으로 유입된 열매체는 제1열교환판(1531)의 상면에 나선형의 유로격벽(1533)에 형성된 제1열교환유로부(1533a)를 따라 유동되면서 제2열교환부(155)의 온수조(1551)에 저장된 온수용 물과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열교환판(1531)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1531a)을 통하여 제2열교환부(155)의 열매체조(1555)와 온수조(1551)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부(1553)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열교환부(155)의 열매체조(1555)측으로 유입된 열매체는 이격공간부(1553)에 나선으로 구비된 제2열교환판(1557)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온수조(1551)에 저장된 온수용 물과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열매체는 상기 열 매체조(1555)의 하단부에 연결된 집열용 인입배관(111)을 통하여 순환펌프(130) 측으로 유동되어 순환한다.
상기와 같이 축열조(150)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온수용 물을 저장 공급가능하게 구비된 온수조(1551)의 상부에서 제1열교환부(153)와 제2열교환부(155)의 제2열교환판(1557)에 의해 집중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축열조(150)에 의해 열매체는 성층화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집열효율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열매체가 순환하는 중에 차온제어기는, 상기 집열기(110)의 출구측과 연결된 집열기용 배출관(112)의 열매체 온도와 축열조(150)를 경유하여 상기 집열기(110)의 유입측과 연결되는 집열기용 인입배관(111)의 열매체 온도의 차가 3℃가 되면, 제어부는 순환펌프(130)를 정지시켜 온수시스템(1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성층화형 축열조를 갖는 태양열 온수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의 축열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의 축열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의 축열조에 있어서 제2열교환부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수시스템
110 ; 집열기
130 ; 순환펌프
150 ; 축열조
180 ; 제어부

Claims (4)

  1. 태양열을 집열하여 충전매체를 가열시켜 순환펌프(130)에 의해 순환가능하게 입구측과 배출측에 각 일단이 연결된 인입배관 및 배출관(111,112)을 갖는 통상의 집열기를 갖는 온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열용 인입배관 및 배출관(111,112)을 통하여 순환되는 열매체를 상부면에서 온수용 물과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커버(151)에 의해 상면이 막힘되게 구비되는 제1열교환부(153)와, 상기 제1열교환부(153)를 상부에 기밀유지되게 연결시키되, 상기 열매체가 외주면으로 순환시키고 내부로는 온수용 물의 유입 및 유출가능하게 온수용 유입관(A)과 온수용 배출관(B)이 연결되어 유동가능하도록 이격공간부를 갖는 2중 원통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는 하부커버(157)에 의해 막힘되게 구비되는 제2열교환부(155)로 구성된 축열조(150)와;
    상기 집열기(110)의 출구에 연결되는 집열용 배출관(112)측과 상기 축열조(150)의 출구에 연결되는 집열용 인입배관(111)의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13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차온제어기를 갖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150)의 제1열교환부(153)는, 상기 상부커버(151)를 상부에 용접에 의해 기밀유지되게 연결시켜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선단부에는 열매체를 상기 제2열교환부(155)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1531a)이 형성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열교환판(1531)과, 상기 제1열교환판(1531)의 상면에 일단이 용접 고정되어 상기 상부커버(151)를 연통되게 배관된 집열용 배출관(112)을 통하여 배출되는 열매체와의 열교환이 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열교환유로부(1533a)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나선형의 유로격벽(15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150)의 제2열교환부(155)는, 상기 제1열교환부(153)를 상부에 기밀유지되게 고정시켜 상부가 밀폐되어 온수용 물을 유입하여 저장 및 유출시키도록 형성된 온수조(1551)와, 상기 온수조(1551)를 내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시켜 이격공간부(1553)를 갖도록 내부로 수용하되, 하단부 외주면에는 집열용 인입배관(111)측와 연결되는 열매체조(1555)와, 상기 이격공간부(1553)에 그 양단이 상기 온수조(1551)의 외주면과 열매체조(1555)의 내주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되, 상기 제1열교환부(151)를 경유하여 유출되는 열매체가 2차 열교환가능하도록 나선타입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2열교환판(155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부(155')는, 온수용 물을 유입하여 저장 및 유출시키도록 형성된 온수조(1551')와, 상기 온수조(1551')를 내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시켜 이격공간부(1553')를 갖도록 내부로 수용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외주면에는 집열용 인입배관(111)측와 연결되는 열매체조(1555')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부(1553')에 그 양단이 상기 온수조(1551')의 외주면과 열매체조(1555') 내주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153)를 경유하여 유출되는 열매체가 2차 열교환가능하도록 나선타입의 제2열교환판(1557')을 구비되되, 상기 제2열교환판(1557')의 간격은 상부(Ⅰ)에 대한 중간부(Ⅱ)와, 상기 중간부(Ⅱ)에 대한 하부(Ⅲ)가 각각 배율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KR1020080037024A 2008-04-22 2008-04-22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KR100944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024A KR100944910B1 (ko) 2008-04-22 2008-04-22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024A KR100944910B1 (ko) 2008-04-22 2008-04-22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422A true KR20090111422A (ko) 2009-10-27
KR100944910B1 KR100944910B1 (ko) 2010-03-03

Family

ID=4153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024A KR100944910B1 (ko) 2008-04-22 2008-04-22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9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653B1 (ko) * 2009-12-16 2012-01-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제순환식 태양열 축산분뇨 발효조
CN109974301A (zh) * 2019-04-30 2019-07-05 河南辉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安全紧凑型加热装置
CN113266864A (zh) * 2021-04-21 2021-08-17 日出东方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分层蓄热水箱及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33B1 (ko) * 2009-08-04 2011-06-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제 순환식 태양열 온수 가열기 및 그 제조 방법
CN102313382A (zh) * 2010-07-07 2012-01-11 侯国山 多螺旋管式全塑承压双循环内胆
KR102181516B1 (ko) * 2018-11-22 2020-11-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부 원통형 열교환기를 구비한 자연순환형 태양에너지 온수조 장치 및 태양에너지 온수조 장치에서의 보조열원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449B1 (ko) 1999-09-10 2002-06-12 박완종 태양열 난방시스템용 보일러
KR200336272Y1 (ko) 2003-09-16 2003-12-24 (주)쏠라맥스 나선형 유로를 갖는 강제순환식 이중탱크 온수가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653B1 (ko) * 2009-12-16 2012-01-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제순환식 태양열 축산분뇨 발효조
CN109974301A (zh) * 2019-04-30 2019-07-05 河南辉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安全紧凑型加热装置
CN113266864A (zh) * 2021-04-21 2021-08-17 日出东方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分层蓄热水箱及其系统
CN113266864B (zh) * 2021-04-21 2022-03-18 日出东方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分层蓄热水箱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910B1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910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US9243616B2 (en) Heat-electricity combined production system that utilizes solar energy and geothermal heat
CN105692748B (zh) 一种辅助加热太阳能系统及海水淡化系统
CN105731573B (zh) 一种太阳能蓄热系统及具有蓄热功能的海水淡化系统
WO2023231300A1 (zh) 一种高温换热蓄热单元及结构和装置
CN107747813B (zh) 闭式模块化平板相变蓄能箱及太阳能供热系统供热方法
CN109217812A (zh) 光伏组件的降温装置、光伏组件及光伏发电系统
KR101923976B1 (ko) 히트펌프에 연계된 태양열 및 공기열 복합집열기의 공기순환 방지구조를 이용한 복합 시스템
CN209823712U (zh) 光伏装置
KR102152864B1 (ko) 축열조 및 열공급 시스템
CN107576078A (zh) 一种管径变化的太阳能集热器及音乐五线谱系统
CN110108045A (zh) 一种太阳能供能装置
KR101602755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난방용 하이브리드 전기보일러
CN206540327U (zh) 一种高倍聚光型太阳能蓄热器
CN202547093U (zh) 一种水源热泵用加热水箱
CN214039001U (zh) 一种高效换热的承压式太阳能热水器
CN206546036U (zh) 一种太阳能热水器
CN109959272A (zh) 一种循环式节能换热器
CN213873242U (zh) 一种高转化效率的太阳能热水器的水循环装置
BR112016027079A2 (pt) módulo para receptor solar de partículas sólidas, receptor solar e método operando em conjunto com o mesmo
KR102181516B1 (ko) 내부 원통형 열교환기를 구비한 자연순환형 태양에너지 온수조 장치 및 태양에너지 온수조 장치에서의 보조열원 제어방법
KR100340449B1 (ko) 태양열 난방시스템용 보일러
CN210128635U (zh) 热交换器及蒸汽发生设备
CN217236076U (zh) 一种节能型低温补偿的空气能热水器
KR102114863B1 (ko) Pcm적용 판형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