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072A - 알에프아이디용 태그 안테나 - Google Patents

알에프아이디용 태그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072A
KR20090111072A KR1020080036651A KR20080036651A KR20090111072A KR 20090111072 A KR20090111072 A KR 20090111072A KR 1020080036651 A KR1020080036651 A KR 1020080036651A KR 20080036651 A KR20080036651 A KR 20080036651A KR 20090111072 A KR20090111072 A KR 20090111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antenna
tag
stub
loop radiator
dielectric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211B1 (ko
Inventor
최재훈
김의선
유연식
최영백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3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21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4Screened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01Q9/045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eed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 기판의 재질 또는 패턴의 재질이 변화하더라도 그의 임피던스는 작게 변화하도록 개방 스터브를 이용하는 태그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태그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배열되는 원형의 루프 방사체 및 상기 루프 방사체의 외곽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스터브를 포함한다.
태그, 방사체, 스터브

Description

알에프아이디용 태그 안테나{TAG ANTENNA FOR A RFID}
본 발명은 RFID용 태그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전체 기판의 재질 또는 패턴의 재질이 변화하더라도 그의 임피던스는 작게 변화하도록 개방 스터브 및 단락 스터브를 이용하는 태그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RFID는 물품 등을 관리하기 위해서 자주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리더기 및 태그로 이루어진다.
상기 태그는 상기 물품에 부착되어 그 물체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태그 칩과 태그 안테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태그는 제조 방법의 편리함 및 저가의 생산 비용을 고려하여 PET 필름이나 종이 위에 에칭 또는 인쇄 기법을 이용하여 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이 경우, 상기 태그의 임피던스는 상기 물질의 특성에 따라 심하게 변화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와 상기 태그 칩의 내부 임피던스가 정합되지 않을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태그의 인식 거리가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정보 전달 능력이 상당히 떨어질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태그가 형성되는 매질, 즉 필름의 재질 또는 상기 도체 패턴의 특성, 즉 재질에 따라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상당히 변화하였다.
즉, 상기 태그가 부착되는 물체, 상기 필름 및 상기 도체 패턴의 재질에 따라 임피던스가 상당히 변화되므로, 해당 재질에 따라 상기 태그 안테나를 다시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유전체 기판의 재질 및 패턴의 재질이 변화하더라도 그의 임피던스가 작게 변화하는 태그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수행시킬 수 있는 태그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방사 패턴의 널(Null)을 감소시켜 등방성 패턴을 형성하는 태그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배열되는 원형의 루프 방사체; 및 상기 루프 방사체의 외곽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스터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그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배열되는 원형의 루프 방사체; 및 상기 루프 방사체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락 스터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용 태그 안테나는 루프 방사체의 외곽에 개방 스터브들을 대칭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태그 안테나의 리액턴스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태그 칩의 내부 임피던스와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가 용이하게 정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안테나에 포함된 유전체 기판의 재질 또는 패턴의 재질이 변화하더라도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가 작게 변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그 안테나는 루프 방사체의 내부에 단락 스터브들을 대칭적으로 연결시켜 해당 방사 패턴의 널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등방성 패턴을 가지는 방사 패턴이 출력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측면 인식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용 태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A)는 상기 태그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B)는 상기 태그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용 태그(Tag)는 태그 안테나와 태그 칩(104)을 포함한다.
상기 태그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100) 및 특정 패턴(102)으로 이루어진다.
유전체 기판(100)은 패턴(102)을 지지하는 절연체 부재로서, 소정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유전체 기판(100)은 제조 공정 및 제조 단가를 고려하여 얇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예를 들어 PET 필름, 종이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정 패턴(102)은 도전체로서, 루프 방사체(110), 적어도 하나의 단락 스터브들(Short Stubs, 112A 및 112B) 및 적어도 하나의 개방 스터브들(Open Stubs, 114A 및 114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루프 방사체(110),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 및 단락 스터브들(114A 및 114B)은 동일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루프 방사체(110)는 도체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100) 위에 원형 형상을 가지고 배열된다. 여기서, 루프 방사체(110)가 다이폴 방사체 등과 같은 다른 방사체에 비하여 높은 유도성(Inductive) 리액턴스(reactance)를 가지므로, 높은 용량성(Conductive) 리액턴스를 가지는 태그 칩(104)과의 임피던스 정합(Impedance Matching)에 적합하다.
이러한 루프 방사체(100)는 예를 들어 에칭 또는 인쇄 기법 등을 이용함에 의해 유전체 기판(100) 위에 형성된다.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은 도체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방사체(110)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방사 패턴의 등방성을 고려하여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은 급전점 역할을 수행하는 태그 칩(104)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 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은 후술하는 실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태그 안테나의 방사 패턴에서 널(Null)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방사 패턴은 등방성 패턴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태그의 측면 인식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은 도체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방사체(110)의 외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 패턴의 등방성을 위하여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은 급전점 역할을 수행하는 태그 칩(104)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은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중 리액턴스 성분을 변화시킨다. 즉,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의 길이에 따라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태그 칩(104)이 저항 성분(R1)과 큰 용량성 리앤턴스(Xc)를 가지므로, 상기 태그 안테나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하여 저항 성분(R1)과 큰 유도성 리액턴스(Xa)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태그 안테나는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의 길이 변화를 통하여 리액턴스의 값을 증가시켜 큰 유도성 리액턴스(Xa)를 구현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실험 결과를 통하여 후술하겠다.
따라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와 태그 칩(104)의 내부 임피던스 를 정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의 길이를 변화시킴에 의해 상기 임피던스 정합을 구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 또는 패턴(102)의 재질에 따라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가 달라짐에 의해 상기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데, 이 경우 사용자는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임피던스를 용이하게 정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의 일 종단에 튜닝용 패턴을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등을 통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의 길이가 증가되며, 따라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상기 임피던스 정합에 적합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 또는 패턴(102)의 재질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는 않으므로,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 또는 패턴(102)의 재질이 달라지더라도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의 길이가 조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 또는 패턴(102)의 재질 변화에 따라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의 가변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태그를 다시 설계할 필요가 없이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임피던스 정합을 구현할 수 있다.
태그 칩(104)은 상기 태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태그 안테나의 급전부 역할을 수행한다. 즉, 태그 칩(104)으로부터 급전된 전류는 루프 방사체(110)를 통하여 스터브들(112A, 112B, 114A 및 114B)로 전달된다.
이러한 태그 칩(104)은 루프 방사체(110)의 어느 곳에도 연결될 수 있지만, 리액턴스의 증가를 고려할 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 사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본 발명의 태그 안테나는 원형의 루프 안테나(110), 루프 안테나(110)의 내부에 대칭적으로 연결된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 및 루프 안테나(110)의 외곽에 대칭적으로 연결된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을 포함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수행시킨다. 이 경우,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 또는 패턴(102)의 재질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는 크게 변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태그 안테나는 예를 들어 약 902㎒ 내지 약 922㎒ 주파수 대역(UHF 주파수 대역 포함)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안테나는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의 길이를 용이하게 변화시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를 원하는 임피던스로 구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태그 안테나는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을 이용하여 상기 방사 패턴의 널을 감소시켜 등방성 방사 패턴을 구현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측면 인식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는,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이 대칭적으로 배열되었지만, 상기 방사 패턴의 널을 감소시키는 한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이 대칭적으로 배열되었지만,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의 리액턴스를 변화시키는 한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 및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의 이러 한 변형은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 또는 패턴(102)의 재질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가 크게 변화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하, 이러한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 특성에 대한 실험 결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브에 따른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2(A)는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중 실수부, 즉 resistance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중 허수부, 즉 reactanc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만이 루프 방사체(102)에 연결된 태그 안테나의 리액턴스는 스터브가 전혀 연결되지 않은 채 루프 방사체로만 구현된 태그 안테나의 리액턴스보다 큰 값을 가짐이 확인된다.
또한,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과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이 루프 방사체(110)에 연결된 태그 안테나의 리액턴스가 어떠한 스터브의 연결도 없는 루프 방사체로만 구현된 태그 안테나의 리액턴스보다 큰 값을 가짐이 확인된다. 물론, 이 경우에는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로 인하여 해당 리액턴스가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만이 루프 방사체(102)에 연결된 태그 안테나의 리액턴스보다 작다.
즉,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을 이용함에 의해 본 발명의 태그 안테나의 리액턴스가 증가됨이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와 태그 칩(104)의 내부 임피던스가 용이하게 정합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태그 안테나에서 널 개선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브에 따른 상기 태그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3(A)는 X-Z 평면에서 상기 태그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X-Z 평면에서 상기 태그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유전체 기판(100)의 두께를 0.0254㎜로 설정하고,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에 의해 형성된 원의 지름을 43.28㎜로 설정하였으며,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에 의해 형성된 원의 반지름을 9.74㎜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단락 스터브(112A 또는 112B)와 해당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 사이의 거리는 21.64㎜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터브(112A, 112B, 114A 또는 114B)가 루프 방사체(110)로 연결된 태그 안테나의 방사 패턴의 최대 복사가 Z축 방향으로 이루어짐이 확인된다. 이 경우, RFID용 리더기의 안테나(미도시)가 일반적으로 Z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태그 안테나가 Z축 방향으로 최대 복사를 출력하면 상기 리더기의 안테나로 더 많은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태그 안테나는 RFID에 적합한 안테나이다.
도 3(A) 및 도 3(B)를 다시 참조하면,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만이 루프 방사체(110)에 연결된 태그 안테나보다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과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이 루프 방사체(110)에 연결된 태그 안테나의 널이 감소됨이 확인된다(90도 위치 참조). 즉,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을 이용함에 의해 상 기 태그 안테나의 널이 감소하여 상기 방사 패턴이 등방성 패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측면 인식 능력이 향상된다.
이하, 이러한 태그 안테나에서 재질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에 대한 실험 결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질 변화에 따른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A)는 패턴(102)의 재질 변화에 따른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 변화에 따른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유전체 기판(100)의 두께를 0.0254㎜로 설정하고, 개방 스터브들(114A 및 114B)에 의해 형성된 원의 지름을 43.28㎜로 설정하였으며, 단락 스터브들(112A 및 112B)에 의해 형성된 원의 반지름을 9.74㎜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단락 스터브(112A 또는 112B)와 해당 개방 스터브(114A 또는 114B) 사이의 거리는 21.64㎜이다.
도 4(A)는 패턴(102)의 재질을 PEC, 알루미늄, 구리 및 도전성 잉크로 변화시키면서 측정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보여준다. 도 4(A)를 참조하면, 패턴(102)의 재질이 변하더라도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는 크게 변화되지 않음이 확인된다.
도 4(B)는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을 PET 및 폴리이미드로 변화시키면서 측정된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보여준다. 도 4(B)를 참조하면,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이 변하더라도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는 크게 변화되지 않음 이 확인된다.
즉, 본 발명의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는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 또는 패턴(102)의 재질이 변화하더라도 크게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전체 기판(100)의 재질 또는 패턴(102)의 재질이 변화하더라도 상기 태그 안테나를 다시 설계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용 태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브에 따른 상기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브에 따른 상기 태그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질 변화에 따른 태그 안테나의 임피던스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1)

  1.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배열되는 원형의 루프 방사체; 및
    상기 루프 방사체의 외곽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스터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방사체의 외곽에 제 1 개방 스터브 및 제 2 개방 스터브가 연결되되,
    상기 개방 스터브들은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안테나는,
    상기 개방 스터브들 사이에서 상기 루프 방사체의 외곽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급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스터브는 상기 태그 안테나의 리액턴스를 변화시키며, 상기 유전체 기판의 특성에 따라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안테나는,
    상기 루프 방사체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락 스터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락 스터브의 길이에 따라 상기 태그 안테나의 널(Null)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방사체의 내부에 제 1 단락 스터브 및 제 2 단락 스터브가 연결되되,
    상기 제 1 단락 스터브와 상기 제 2 단락 스터브는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PET 필름, 종이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이며, 상기 루프 방사체는 금속 또는 전도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8.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 위에 배열되는 원형의 루프 방사체; 및
    상기 루프 방사체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락 스터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방사체의 내부에 제 1 단락 스터브 및 제 2 단락 스터브가 연결되되,
    상기 제 1 단락 스터브와 상기 제 2 단락 스터브는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안테나는,
    상기 루프 방사체의 외곽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급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급전부는 상기 단락 스터브들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PET 필름, 종이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이며, 상기 루프 방사체는 금속 또는 전도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안테나.
KR1020080036651A 2008-04-21 2008-04-21 알에프아이디용 태그 안테나 KR100968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651A KR100968211B1 (ko) 2008-04-21 2008-04-21 알에프아이디용 태그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651A KR100968211B1 (ko) 2008-04-21 2008-04-21 알에프아이디용 태그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072A true KR20090111072A (ko) 2009-10-26
KR100968211B1 KR100968211B1 (ko) 2010-07-06

Family

ID=4153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651A KR100968211B1 (ko) 2008-04-21 2008-04-21 알에프아이디용 태그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2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9411A (zh) * 2010-06-16 2011-12-28 日精株式会社 基板型天线
KR101601599B1 (ko) * 2015-04-22 2016-03-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착용형 장비 안테나
KR102249313B1 (ko) * 2020-01-02 2021-05-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주파수 안테나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35B1 (ko) * 2009-07-15 2012-01-04 한국후지필름 주식회사 등방성 태그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6813B2 (ja) * 2005-07-08 2009-07-01 富士通株式会社 アンテナ及びこれを搭載するrfid用タグ
KR100797172B1 (ko) * 2006-08-0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합회로가 일체로 형성된 루프 안테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9411A (zh) * 2010-06-16 2011-12-28 日精株式会社 基板型天线
CN102299411B (zh) * 2010-06-16 2014-10-01 日精株式会社 基板型天线
KR101601599B1 (ko) * 2015-04-22 2016-03-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착용형 장비 안테나
KR102249313B1 (ko) * 2020-01-02 2021-05-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주파수 안테나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211B1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8884B2 (ja) 無線タグ及び無線タグの製造方法
US7504998B2 (en) PIFA and RFID tag using the same
JP5057786B2 (ja) タグ
US7978141B2 (en) Couple-fed multi-band loop antenna
US7405664B2 (en) Radio frequency IC t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324416B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d antenna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JP2007249620A (ja) 無線タグ
TWI273744B (en) Monopole antenna
JP2004104344A (ja) ダイポールアンテナ、それを用いたタグ及び移動体識別システム
US8917211B2 (en) Antenna and wireless IC device
JPWO2006064540A1 (ja) アンテナ及び非接触型タグ
JP2009060217A (ja) タグアンテナ、およびタグ
CN101118985B (zh) 由低温共烧陶瓷天线构成的甚高频射频识别标签天线
CN109219906A (zh) 天线装置
KR100968211B1 (ko) 알에프아이디용 태그 안테나
KR101459768B1 (ko) 안테나
US8360324B2 (en) Wireless IC device
JP5630499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デバイス
CN103280631A (zh) Rfid特种标签用pifa天线
KR100724491B1 (ko) 등방성 복사패턴을 갖는 광대역 안테나
CN203225348U (zh) Rfid特种标签用pifa天线
KR101349519B1 (ko) 안테나
JP2011049926A (ja) 小形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給電方式
JP4772017B2 (ja) 無線周波数識別タグ用のアンテナ
TW200905973A (en) RFID t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FID t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