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030A - 방송 수신기,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030A
KR20090111030A KR1020080036586A KR20080036586A KR20090111030A KR 20090111030 A KR20090111030 A KR 20090111030A KR 1020080036586 A KR1020080036586 A KR 1020080036586A KR 20080036586 A KR20080036586 A KR 20080036586A KR 20090111030 A KR20090111030 A KR 20090111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network
authentication
user
broadcas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533B1 (ko
Inventor
이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5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이 개시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리소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 제어부는 외부 리소스로부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광고 콘텐츠 재생중에 외부 리소스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요청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콘텐츠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요청받은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수행하므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비정상적인 유통을 방지할 수 있고,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와 효율적으로 연동할 수 있으며, 광고 콘텐츠 재생 종료 후에 지연시간 없이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요청받은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어 지연시간 동안 화면에는 아무런 영상도 나타나지 않고 블랙화면으로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에서 느낄 수 있는 빠른 채널전환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방송 수신기, 콘텐츠, 네트워크, 디지털 저작권, 재생

Description

방송 수신기,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Broadcasting receiver, method for playing content and recording media for the method}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받고, 다운받은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라이센스를 확인하여 다운받은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의 동향과 통신망의 대역폭의 확장, 방송의 디지털화 등에 힘을 입어, 방송 통신의 융합 환경이 조성이 되면서, 디지털 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광고의 수익모델에 의존했던 방송 시장은 TPS(Triple Play Service) 기술을 토대로 통신시장에 진입을 시도하고 있고, 통신 시장의 포화로 인해 미디어 사업에 눈을 돌리고 있는 통신사업자들의 이해관계가 상호 충돌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은 이러한 환경에서 특히 통신 사업자들의 이해관계와 사업환경에 맞춘 기술적 자원으로 등장 하고 있다. IPTV은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Program Provider) 또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방송 신호 수신과 더불어 IP 셋탑 박스(STB: Set Top Box)에 연결된 텔레비젼 수상기(TV)로 초고속 인터넷망(IP Network)을 통해 TV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T-VOD) 등의 ICOD(Internet Contents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미국에 경우는 IPTV, 유럽의 경우 ADSL TV, 일본의 경우 브로드밴드 방송으로 불리고 있다.
IPTV 서비스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는 IPTV 헤드엔드(IPTV Headend) 시스템, IP 백본 네트워크(IP Backbone), 액세스 네트워크(예: xDSL, HFC, FTTC, FTTH), 가입자 단말기(STB, TV)를 포함한다.
IPTV 서비스 시스템은 프로그램 공급자(PP:Program Provider)의 방송 사업자와, 인터넷 시장의 콘텐츠 공급자(CP:Contents Provider)의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에 따른 통신과 방송이 융합된 형태의 양방향 TV 콘텐츠를 광대역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IP 셋탑박스(STB)에 연결된 TV가 오디오, 비디오, 패킷 데이타를 포함한 인터넷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리턴 패스(return path) 개념으로 양방향 통신 채널을 부수적으로 이용하여 인터랙티브하게(interactive) TV 서비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비정상적인 유통을 방지하고, 빠른 채널전환이 가능한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광고 영상 종료 후 지연시간이 없이 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의 디지털 저작권 인증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한 콘텐츠 재생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와 효율적으로 연동하는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리소스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광고 콘텐츠 재생중에 상기 콘텐츠에 대 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IPTV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외부 리소스는 콘텐츠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 또는 가입자망이거나 IP 네트워크 및 가입자망이 결합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아이디 및 장치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버로 송신하여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 확인을 수신하고, 인증이 확인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받는 단계;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다운받는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한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버로부터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광고 콘텐츠 재생을 종료하고 인증이 확인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 외부 리소스는 콘텐츠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 또는 가입자망이거나 IP 네트워크 및 가입자망이 결합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및 장치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 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 확인 정보는 복호화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콘텐츠 재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 및 콘텐츠 재생 방법에 의하면, 광고 콘텐츠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요청받은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수행하므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비정상적인 유통을 방지할 수 있고,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와 효율적으로 연동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콘텐츠 재생 종료 후에 지연시간 없이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요청받은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어 지연시간 동안 화면에는 아무런 영상도 나타나지 않고 불랙화면으로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에서 느낄 수 있는 빠른 채널전환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프로그램 프로바이더(Program Provider, 110),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120), 애플리케이션 프로바이더(Application Provider, 130) 및 방송 수신기(160)를 구비한다. 프로그램 프로바이더(Program Provider, 110),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120), 애플리케이션 프로바이더(Application Provider, 130)는 방송 수신기(16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140) 또는 가입자망(150)이거나, IP 네트워크(140) 및 가입자망(150)이 결합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IP 네트워크(140)는 멀티캐스팅 라우팅 프로토콜(Multicast Routing Protocol)을 제공하는 IP 백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또는 인터넷일 수 있다. 가입자망(150)은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중 어느 하나의 토폴로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광대역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일 수 있다. 광대역통합망은 통신·방송·인터넷 등을 통합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품질보장형 통합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으로, 차세대통합 네트워크(NGcN :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 등이 있다.
방송 수신기(160)는 셋탑 박스 내장형 TV 또는 사용자의 TV와 연결된 IP 셋탑박스가 될 수 있고, 또한 컴퓨터, 노트북, 개인 휴대용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기(160)는 IPTV 또는 ADSL TV가 될 수 있다.
한편, 당해 제1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하 후술될 다른 실시예에서도,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고려하여, 방송 수신기(160)가 IPTV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IP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송 수신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를 고려할 때, 이 점은 명백하다.
프로그램 프로바이더(Program Provider, 110)는 방송 수신기(160)의 각 채널을 채울 콘텐츠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자들이 운영하는 서버로서,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프로바이더(Program Provider, 110)는 가입자별로 IPTV 서비스 사용에 대한 일별, 월별 과금 처리를 제공하는 백 오피스 서버, TV 서비스를 위한 회원 가입 및 해지,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 관제 시스템으로서 IPTV 방송 신호 송출 장애, 다운 링크를 모니터링하여 수신 장애 및 자막 확인 등의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방송 업무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보(프로그램 편성 정보, 소재 정보, 계약 정보, 상품 정보 등)를 관리하는 미디어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관리 서버는 프로그램 편성 정보, 콘텐츠 및 미디어 관리 정보 관리, 방송 스케쥴 정보인 EPG 정보 획득/관리, 운영(operation) 측면에서 실시간 방송 및 VoD 채널편성 관리, 각 서브시스템과 연동하여 에이전트(Agent) 관리, VoD 카탈로그 생성 관리 및 각종 상품 관리, 분석(Analysis) 측면에서 CP/CA와의 정산, 가입자 시청 성향 등의 마케팅 분석 리포팅, 송출(Delivery) 측면에서 방송 송출 모니터링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120)는 방송 수신기(160)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120)는 IPTV 서비스를 위한 웹(Web) 또는 IPTV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방송 수신기(160)로 라이브 채널(Live Channel) 서비스(Video : PP 등의 비디오 채널 서비스, Audio: 음악 PP 서비스), VOD 서비스, 인핸스드(Enhanced) 서비스(Ticker, 프로그램 정보, 퀴즈/리서치), TCommerce 서비스(광고 : 연동형 광고, DAL, 배너광고, 쇼핑 : PP 연동 쇼핑, 독립형 쇼핑, 금융 : TV를 통한 홈뱅킹), T-Internet 서비스(정보 제공형 : 날씨, 지역정보, 교통 금융 등 기타 Web, 게임 : 보드 게임, 네트워크 게임, PS2 게임 등, 기타 : 노래방, 교육, 원격의료), T-Communication 서비스(Mail, SMS, Messenger, 화상 전화, VoIP, PVR(Personal Video Recoder)) 등의 여러 분야의 양방향 T-Content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바이더(130)는 방송 수신기(160)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 드라이버 또는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방송 수신기(160)의 구동이나 기타 부가적인 서비스(EPG, VOD) 등을 제공하기 위해 방송 수신기(16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방송 수신기(16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바이더(130)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이를 실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계층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200)는 애플리케이션(210), 미들웨어(220), 운영체제(230) 및 하드웨어(240)를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인 방송 수신기(160)와 대응한다.
미들웨어(220)는 애플리케이션(210)과 운영체제(230) 간의 데이터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하드웨어(240)를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미들웨어(220)는 애플리케이션(210)의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요청을 실행하여 수신한 요청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며, 산출한 결과를 애플리케이션(21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미들웨어(220)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모듈(221), 다운로드/재생(DNP,Download and Play) 모듈(222) 및 스트리밍 모듈(223)을 구비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모듈(221)은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디지 털 저작권 관리 모듈(221)은 콘텐츠 프로바이더(120)로부터 다운받은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에게 요청하고,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로부터 복호화키를 수신한다. 그리고 디지털 저작권 관리 모듈(221)은 콘텐츠 프로바이더(120)로부터 다운받은 콘텐츠를 수신한 복화화키로 복호화한다. 다른 실시예로 디지털 저작권 관리 모듈(221)은 DRM 콘트롤러 하드웨어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미들웨어(220)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모듈(221)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운로드/재생 모듈(222)은 콘텐츠 프로바이더(120)로부터 DNP(Download and Play) 방식으로 콘텐츠를 다운받아 재생되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DNP(Download and Play) 방식은 비디오 등 전체 콘텐츠 파일을 메모리(243)에 다운로드 후 재생하는 방법으로 콘텐츠 재생의 품질이 완벽하고, 내용의 앞뒤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나중에 몇 번이고 즉시 재생해 볼 수 있는 장점 등이 있지만 다운로드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애플리케이션(210)이 DNP(Download and Play) 방식으로 특정 콘텐츠 재생을 요청한 경우에는, 다운로드/재생 모듈(222)은 애플리케이션(210)이 요청한 특정 콘텐츠를 콘텐츠 프로바이더(120)로부터 다운받아 메모리(243)에 저장한다. 그리고 다운로드/재생 모듈(222)은 요청된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 용량에 따라 재생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해, 디지털 저작권 관리 모듈(221)이 요청한 특정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스트리밍 모듈(223)은 콘텐츠 프로바이더(12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모듈이다. 스트리밍 방식은 콘텐츠 프로바이더(120)에서 물흐르듯 데이터를 읽으면서 전송받아 이를 실시간 재생하는 전송방식을 말한다.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 수신기(200)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 용량이 큰 비디오,오디오 자료를 메모리(243)에 내려받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다. 스트리밍 모듈(223)은 일예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및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240)는 IPTV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프로세서(241), 미디어 프로세서(242), 메모리(24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41)는 애플리케이션(210) 및 미들웨어(220)를 실행시키며, 일예로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4)는 프로그램 프로바이더(110), 콘텐츠 프로바이더(120)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바이더(1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일예로 네트워크 어댑터로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프로세서(242)는 역다중화부, 비디오 디코더 및 오디오 디코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디어 프로세서(242)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미들웨어(220)가 미디어 프로세서(24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230)는 하드웨어(240), 미들웨어(220) 및 애플리케이션(210)을 관리 또는 제어하고, 하드웨어(240) 및 미들웨어(220)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운영체제(230)는 미디어 프로세서(242) 및 네 트워크 인터페이스(244) 등의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231)를 탑재할 수 있고, 자바(Java)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자바 버츄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 232)을 탑재할 수 있으며, 기타 소프트웨어(Other Software)를 탑재할 수 있다.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230)로 Windows , Windows NT , Linux , Unix , OS/2 , MAC OS 등의 범용 운영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운영 시스템을 수정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200) 전용으로 새로 개발한 운영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10)은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미들웨어(220)을 사용한다. 즉 애플리케이션(210)이 바로 하드웨어 자원을 다루지 않고, 미들웨어(220)를 통해서 하드웨어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210)과 하드웨어(240) 간의 호환성을 유지시킨다. 애플리케이션(210)의 호환성을 위해 미들웨어(220)는 애플리케이션(210)을 하드웨어(240)로부터 분리시켜 준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210)에 관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3)에 초기 설치시에 저장되어 있거나 애플리케이션 프로바이더(13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메모리(24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요청, 미들웨어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서(241)는 메모리(243)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들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210)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VOD(Video On Demand), Watch TV, E-Mail, 채팅, 게임 및 PVR(Personal Video Recorder) 등의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210)은 웹브라우저(211), T-Contents 클 라이언트(212)를 포함한다. 웹브라우저(211) 또는 T-Contents 클라이언트(212)는 MPEG2, MPEG4, MPEC7, H.264, WMV-9 등 다양한 멀티 코덱(Multi Codec)을 지원하며 IPTV 서비스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PG : Electronin Program Guide), T-Contents를 제공한다.
여기서 EPG는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TV 가이드(Guide) 기능뿐만 아니라, 방송 수신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들을 요청하는 Watch TV 프로그램의 성격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EPG를 이용하여, 페이 퍼 뷰(Pay-per-view)와 같은 서비스를 수행하기도 한다. VOD는 일반적인 VOD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RVOD(Real VOD), NVOD(Near VOD)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하드 디스크(Hard Disc)가 있을 경우,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여, VOD를 구현할 수도 있다. Watch TV는 TV를 시청하기 위한 기본적인 동작을 요청하는 프로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 역다중화부(320), 디코더(330), 제어부(340), 메모리(3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를 구비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4)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4)를 구동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231)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역다중화부(320), 디코더(330)는 미디어 프로세서(242)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제어부(340)는 프로세서(241)와 대응하는 구성요소로 볼 수 있고 프로세서(241)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 또는 미들웨어(220)와 대응하는 구성요소로도 볼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350)는 메모리(243)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리소스(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외부 리소스(301)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역다중화부(320), 제어부(340) 및 메모리(350)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리소스(301)는 프로그램 프로바이더(110), 콘텐츠 프로바이더(120)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바이더(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기(300)는 외부 리소스(301)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IPv4 주소 또는 IPv6 주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방송 수신기(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을 통해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IP 패킷을 수신한다. 여기서 IP 패킷은 일반 데이터를 IP 패킷화한 IP 패킷이거나 TS(Transport Stream)을 IP 패킷화한 IP 패킷일 수 있다.
역다중화부(3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로부터 출력된 신호 또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스트림을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여 디코더(330) 또는 제어부(340)로 출력한다.
디코더(330)는 역다중화부(320)가 역다중화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을 각각 디코딩하여 오디오(302), 비디오(303)로 재생되도록 출력하거나 제어부(3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코더(330)는 오디오 디코더, 비디 오 디코더, 데이터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역다중화부(320)에서 역다중화된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디코더에서,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에서, 데이터 스트림은 데이터 디코더에서 각각 복호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는 입력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화면 영상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되게 한다. 여기서 메뉴 화면은 Box List EPG, Text EPG, Mosaic EPG, Mini EPG, Navigator EPG 중 어느 하나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사용하여 서비스될 수 있다.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3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를 통하여 제어부(340)에 전달된다. 여기서 입력장치는 방송 수신기(300)에 장착된 것일 수 있고, 무선으로 사용자 요구 신호(304)를 전송하는 리모컨일 수 있다.
제어부(340)는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360)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다. 제어부(340)는 콘텐츠 서비스 방식에 따라 요청한 콘텐츠를 메모리(350)에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역다중화부(320) 및 디코더(330)를 제어하거나 요청한 콘텐츠가 바로 재생되도록 역다중화부(320) 및 디코더(3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콘텐츠 서비스 방식은 DNP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 등이 있다.
콘텐츠 서비스 방식이 DNP 방식인 경우에는, 제어부(340)는 요청한 콘텐츠를 메모리(350)에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역다중화부(320) 및 디코 더(33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40)는 요청한 콘텐츠의 저장량이 사전에 설정된 용량 이상 저장된 경우에 요청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에 설정된 용량은 전체 용량일 수 있고 전체 용량에 대한 일정 비율의 용량일 수 있고 10초당 재생되는 영상 프레임의 수에 영상 프레임의 크기를 곱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방식이 스트리밍 방식인 경우에는, 제어부(340)는 요청한 콘텐츠가 바로 재생되도록 역다중화부(320) 및 디코더(3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0)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재생하기 전에 광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는 사전에 메모리(3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필요시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0)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가 재생되기 위해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PTV 서비스에 사용되는 콘텐츠는 디지털 콘텐츠로써 아날로그 콘텐츠와 달리 쉽게 복사가 가능하여 유포되기가 용이하고,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품은 원본에 비해 질적인 저하가 없으므로, 사용자들의 무료 선호 의식이 충만한 콘텐츠 시장 환경에 비추어 보면,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비정상적인 유통 문제가 야기 될 수 있다. 따라서 IPTV 서비스에 사용되는 콘텐츠의 불법복제 및 불법 유통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해 디지털 저작권 인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 Managemnet)가 적용되고 있다.
제어부(340)는 광고 콘텐츠 재생 후에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광고 콘텐츠 재생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360)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가 재생시작되기까지 1초 가까이 지연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시간은 네트워크 상황 및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의 상황에 따라 훨씬 더 늘어날 수도 있다. 특히 지연시간 동안 화면에는 아무런 영상도 나타나지 않고 불랙화면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반 아날로그 TV에서의 빠른 채널전환과 비교하여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지연시간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이기 위해, 제어부(340)는 광고 콘텐츠 재생중에 다운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절차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300)는 광고 콘텐츠 재생 종료 후에 지연시간 없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아날로그 TV에서 느낄 수 있는 빠른 채널전환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제어부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40)는 다운로드/재생 매니저(410), 스트리밍 매니저(420),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 및 네트워크 제어부(440)를 구비한다. 여기서 다운로드/재생 매니저(410), 스트리밍 매니저(420) 및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각각 다운로드/재생 모듈(221), 스트리밍 모듈(223) 및 디지털 저작권 모듈(221)과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운로드/재생 매니저(410)는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DNP(Download and Play) 방식으로 콘텐츠를 다운받아 재생되도록 지원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를 통해 DNP 방식으로 특정 콘텐츠 재생을 요청한 경우에는, 다운로드/재생 매니저(410)는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콘텐츠를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다운받도록 네트워크 제어부(440)에 요청한다. 그리고 다운로드/재생 매니저(410)는 역다중화부(320) 및 디코더(330)를 제어하여 광고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 다운로드/재생 매니저(410)는 광고 콘텐츠 재생중에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해,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에게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광고 콘텐츠 재생중에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다운로드/재생 매니저(410)는 광고 콘텐츠 재생이 종료하거나 디지털 저작권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 용량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 용량에 따라 재생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부(440)는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네트워크 제어부(440)는 DNP 방식으로 다운로드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다운받은 콘텐츠를 메모리(350)에 저장한다. 이때 네크워크 제어부(440)은 다운받은 콘텐츠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를 메모리(350)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방송 수신기(300)가 다운받는 콘텐츠를 바로 재생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제어부(4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로 하여금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역다중화부(320)로 출력하게 한다.
스트리밍 매니저(420)는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스트링 방식으로 콘텐츠를 다운받아 재생되도록 지원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를 통해 스트링 방식으로 특정 콘텐츠 재생을 요청한 경우에는, 스트리밍 매니저(420)는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콘텐츠를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다운받도록 네트워크 제어부(440)에 요청한다. 여기서 광고 콘텐츠는 특정 콘텐츠가 다운로드 되기 전에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재생되거나 네트워크 제어부(440)에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기 전에 스트리밍 매니저(42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매니저(420)는 광고 콘텐츠 재생중에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해,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에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광고 콘텐츠 재생중에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가 수신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한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가 수신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한 시스템(500)은 콘텐츠 프로바이더 워크스테이션(Content Provider Workstation, 510), 디지털 저자권 관리 서버(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Server, 520) 및 콘텐츠 서버(Contnet Server, 530) 및 방송 수신기(3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콘텐츠 프로바이더 워크스테이션(510) 및 콘텐츠 서버(530)는 외부 리소스(301)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에게 요청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디지털 저작권 인증 요청으로 인증 요청 정보를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요청 정보는 콘텐츠 식별값, 사용자 아이디 및 장치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콘텐츠 식별값은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식별하기 위한 값으로 콘텐츠 프로바이더 워크스테이션(510)이 콘텐츠를 패키징(Packaging)하는 과정에서 생성하는 값이다. 프로그램 프로바이더(110)가 콘텐츠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시에 콘텐츠 식별값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를 통해 콘텐츠 재생을 요청한 경우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콘텐츠 식별값이 다운로드/재생 매니저(410) 또는 스트리밍 매니저(42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 아이디는 방송 수신기(300)의 초기 설정시, 부팅시 또는 사용자가 콘텐츠 재생 요청시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식별값은 방송 수신기(300)를 식별하기 위한 값으로 방송 수신기(300)의 MAC 어드레스, 시리얼넘버, 플래시 메모리 넘버 등이 장치 식별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부터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인증 확인 정보는 복호화키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외부 리소스(301)로부터 다운받은 콘텐츠를 수신한 복화화키로 복호화한다. 다른 실시예로 디지털 저작권 관리 매니저(430)는 DRM 콘트롤러 하드웨어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프로바이더 워크스테이션(Content Provider Workstation, 510)는 콘텐츠에 DRM을 적용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 콘텐츠 패키징(Packaging) 과정을 수행한다. 콘텐츠 패키징(Packaging) 과정을 통해 콘텐츠 정보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에 등록되고, 콘텐츠에 대한 암호화가 이루어 진다. 여기서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식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Contnet Server, 530)는 콘텐츠 프로바이더 워크스테이션(510)이 패키징한 콘텐츠인 콘텐츠 패키지를 콘텐츠 프로바이더 워크스테이션(510)로부터 제공받아 방송 수신기(300)이 다운받을 수 있도록 게시한다. 방송 수신기(300)가 적합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 절차를 거쳐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면, 실제로 다운로드 되는 것은 콘텐츠 패키지 형태의 파일이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는 콘텐츠 패키지를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한 라이센스를 발급한다. 방송 수신기(300)가 디지털 저작권 인증 요청을 한 경우에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는 라이센스 발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방송 수신기(300)는 디지털 저작권 인증 요청으로 인증 요청 정보를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에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요청 정보는 콘텐츠 식별값, 사용자 식별값 및 장치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는 인증 요청 정보를 기초로 방송 수신기(300) 및 방송 수신기(300)의 사용자가 콘텐츠 식별값이 지칭하는 콘텐츠에 대한 라이센스를 발급받을 수 있 는 지를 조사한다.
방송 수신기(300) 및 방송 수신기(300)의 사용자가 콘텐츠 식별값이 지칭하는 콘텐츠에 대한 라이센스를 발급받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는 인증 확인 정보를 생성하여 방송 수신기(300)에 발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확인 정보는 복호화키 및 사용 권한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 권한은 다운받은 콘텐츠를 복사, 배포, 유통 등을 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는 콘텐츠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S6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0)는 요청된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다(S610). 제어부(340)는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620). 제어부(340)는 DRM 자원을 초기화한다(S630). 그리고 제어부(340)는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한 인증 요청 정보를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 송신한다(S640).
제어부(340)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부터 인증 확인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S650). 여기서 인증 확인 정보는 콘텐츠 식별값, 사용자 식별값 및 장치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부터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는, 제어부(340)는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한 인증 요청 정보를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 다시 송신하거나, 요청된 콘텐츠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부터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요청된 콘텐츠 다운로드가 사전에 설정된 용량이상 진행되었는가를 조사한다(S660). 여기서 인증 확인 정보는 복화화키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요청된 콘텐츠 다운로드가 사전에 설정된 용량이상 진행된 경우에는, 제어부(340)는 광고 콘텐츠 재생을 종료한다(S670). 그리고 제어부(340)는 요청한 콘텐츠를 인증 확인 정보에 포함된 복화화키를 기초로 복호화하여 재생한다(S68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는 콘텐츠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S7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0)는 요청된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다(S710). 제어부(340)는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720). 제어부(340)는 DRM 자원을 초기화한다(S730). 그리고 제어부(340)는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한 인증 요청 정보를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 송신한다(S740).
제어부(340)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부터 인증 확인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S750). 여기서 인증 확인 정보는 콘텐츠 식별값, 사용자 식별값 및 장치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부터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는, 제어부(340)는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한 인증 요청 정보를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 다시 송신하거나, 요청된 콘텐츠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버(520)로부터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어부(340)는 광고 콘텐츠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요청된 콘텐츠 다운로드가 사전에 설정된 용량이상 진행되었는가를 조사한다(S760). 여기서 인증 확인 정보는 복화화키 및 사용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요청된 콘텐츠 다운로드가 사전에 설정된 용량이상 진행된 경우에는, 제어부(340)는 광고 콘텐츠 재생을 종료한다(S770). 그리고 제어부(340)는 요청한 콘텐츠를 인증 확인 정보에 포함된 복화화키를 기초로 복호화하여 재생한다(S78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계층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제어부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가 수신한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한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리소스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광고 콘텐츠 재생중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는 IP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소스는 콘텐츠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 또는 가입자망이거나 IP 네트워크 및 가입자망이 결합한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아이디 및 장치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버로 송신하여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 확인을 수신하고, 인증이 확인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7.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받는 단계;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다운받는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저작권 인증을 위한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버로부터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광고 콘텐츠 재생을 종료하고 인증이 확인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 또는 가입자망이거나 IP 네트워크 및 가입자망이 결합한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소스는 콘텐츠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및 장치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확인 정보는 복호화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2.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 재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36586A 2008-04-21 2008-04-21 방송 수신기,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KR10095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586A KR100959533B1 (ko) 2008-04-21 2008-04-21 방송 수신기,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586A KR100959533B1 (ko) 2008-04-21 2008-04-21 방송 수신기,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030A true KR20090111030A (ko) 2009-10-26
KR100959533B1 KR100959533B1 (ko) 2010-05-27

Family

ID=4153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586A KR100959533B1 (ko) 2008-04-21 2008-04-21 방송 수신기,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857A3 (ko) * 2010-12-14 2012-10-04 주식회사 포드림 영상정보 오남용 감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65794A1 (en) * 2003-09-05 2006-06-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forced commercial viewing
KR100761270B1 (ko) * 2004-11-06 200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컨텐츠가 첨부된 디지털저작권관리 컨텐츠 처리 방법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857A3 (ko) * 2010-12-14 2012-10-04 주식회사 포드림 영상정보 오남용 감사 시스템
US8781296B2 (en) 2010-12-14 2014-07-15 4Dream Co., Ltd. Auditing system for misuse of an imag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533B1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624B2 (en) Media stream generation based on a category of user expression
US97695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delivery
CA2402318C (en) Personal record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nd using same
Schwalb iTV handbook: technologies & standards
US8868463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igital rights
US8719441B2 (en) System and method of recording and accessing multimedia data
US20080015932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istribute media content
US20070199039A1 (en)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video content
US20080013555A1 (en) Receiving system or terminal for contents via ip network
JP2009543407A (ja) テレビジョン番組への広告の挿入
KR20080030899A (ko) 맞춤형 방송 신호 수신기 및 방송 수신 방법
KR20090056848A (ko) 방송 수신기 및 맞춤형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0823410B1 (ko) Vod 콘텐츠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US10764627B2 (en) System for deployment of value-added services over digital broadcast cable
US20080313680A1 (en) Method of Providing an On-Demand Multimedia Service, Service Platform, Program and Decoder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US20030033612A1 (en) Software appliance method and system
KR100951938B1 (ko) Iptv 화면의 분할 처리 방법
KR100959533B1 (ko) 방송 수신기,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US201100670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 content presentation
US20100106508A1 (en) System for providing audio recordings
KR100928717B1 (ko) Iptv의 방송 프로그램과 연계된 광고 방법
KR101153278B1 (ko) 타겟팅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62279B1 (ko) Iptv에서의 시청 예약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308916B1 (ko) 셋톱박스 메모리 사용 없이 배경화면을 처리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678068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送受信方法ならびに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