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411A -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결합 - Google Patents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411A
KR20090110411A KR1020080035899A KR20080035899A KR20090110411A KR 20090110411 A KR20090110411 A KR 20090110411A KR 1020080035899 A KR1020080035899 A KR 1020080035899A KR 20080035899 A KR20080035899 A KR 20080035899A KR 20090110411 A KR20090110411 A KR 20090110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safety
equipment
inspection
safety stand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080035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0411A/ko
Publication of KR20090110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4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을 관련된 내용끼리 통합적으로 편집한다.
국가화재안전기준,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

Description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결합{combining the NFSC(national fire safety code) and inspection item of table of total precise inspection}
.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하는 여러가지 고시들 중에 국가화재안전기준(NFSC)과 종합정밀점검표가 있다.
국가화재안전기준이라는 것은 소방시설의 설치 및 관리등의 유지기준을 규정하는 고시이면서도 아래의 점검항목에 관한 상세 사항이 되는 것이고,
종합정밀점검표라는 것은 소방시설이 설치된 일정조건의 대상물(현재는 연면적 5천제곱미터이상인 대상물)은 1년에 한번씩 종합정밀점검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데, 그때의 점검 체크리스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종합정밀점검표는 점검대상물에 설치된 각 소방설비에 관하여 "가. 설치상태개요"와 "나. 성능 및 종합정밀점검"으로 나뉘어져 있고,
"나. 성능 및 종합정밀점검"은 "점검항목"과 "점검결과"로 나뉘어져 있다.
이때의 "점검항목"과 위의 국가화재안전기준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이라는 것은 국가화재안전기준대로 소방설비가 관리되고 있는지를 체크하기위한 항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런데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을 소개하는 교재나 인터넷상의 문헌들이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을
관련된 내용끼리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편집하여 소개하지 않고,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그대로, 즉, 별도로 소개하고 있어서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을 공부하거나 업무에 적용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관련된 사항끼리 연결하여 연상하는 것에 어려움 또는 번거로움을 느낀다.
또 국가화재안전기준의 모든 사항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 모두가 1:1 로 대응되지 않고 국가화재안전기준에만 있는 사항도 있고,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에만 있는 사항도 존재하기도 한다. 그래서 위에서 언급한 어려움 또는 번거로움이 가중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사항의 이해를 돕기위해서 위에서 언급한 것을 아래의 A~H와 같은 순서로 언급하겠다.(A,B,C는 그야말로 소방분야를 전혀 모르는 사람을 위한 참고일 뿐이며, D~H는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서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일부분만을 예로 들었다.)
A.소방시설의 종류,
B.국가화재안전기준의 목차,
C.종합정밀점검표의 목차,
D.국가화재안전기준 중에서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중 '제4조 수원' 중에서 '6항 수조'에 관한 사항.(1~5항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 중 '수원'에 대응되어 있는데 본 출원에서는 제시하지 않는다.)
(-D 와 E가 서로 대응 된다.)
E.종합정밀점검표 옥내소화전설비의 점검항목 중 '수조'에 관한 사항.
F.국가화재안전기준 중에서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중 '제6조 배관 등' 에 관한 사항(F는 G와 H 2개에 대응된다.)
G.종합정밀점검표 옥내소화전설비의 점검항목 중 '배관 및 밸브류'에 관한 사항.
H.종합정밀점검표 옥내소화전설비의 점검항목 중 '옥외송수구'에 관한 사항.
A. 소방시설의 종류
1. 소화설비 : 물 그 밖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로서 다음 각목의 것
가. 소화기구
(1) 수동식소화기
(2) 자동식소화기캐비넷형자동소화기기 및 자동확산소화용구
(3) 소화약제에 의한 간이소화용구
나. 옥내소화전설비
다. 스프링클러설비간이스프링클러설비(캐비넷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포함한다) 및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설비
라. 물분무소화설비포소화설비이산화탄소소화설비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분말소화설비 및 강화액소화설비
마. 옥외소화전설비
2. 경보설비 : 화재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로서 다음 각목의 것
가. 비상벨설비 및 자동식사이렌설비(이하 “비상경보설비”라 한다)
나. 단독경보형감지기
다. 비상방송설비
라. 누전경보기
마.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기
바. 자동화재속보설비
사. 가스누설경보기
아. 통합감시시설
3. 피난설비 : 화재가 발생할 경우 피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 또는 설비로서 다음 각목의 것
가. 미끄럼대,피난사다리,구조대,완강기,피난교,피난밧줄,공기안전매트, 그 밖의 피난기구
나. 방열복공기호흡기 및 인공소생기(이하 “인명구조기구”라 한다)
다. 유도등 및 유도표지
라.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4. 소화용수설비 : 화재를 진압하는데 필요한 물을 공급하거나 저장하는 설비로서 다음 각목의 것
가. 상수도소화용수설비
나. 소화수조저수조 그 밖의 소화용수설비
5. 소화활동설비 :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구조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로서 다음 각목의 것
가. 제연설비
나. 연결송수관설비
다. 연결살수설비
라. 비상콘센트설비
마. 무선통신보조설비
바. 연소방지설비
B.국가화재안전기준의 목차
소화기구의화재안전기준(NFSC 101)
옥내소화전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2)
스프링클러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3)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3A)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3B)
물분무소화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4)
포소화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5)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화재안전기준안(NFSC 106)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7)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7A)
분말소화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8)
옥외소화전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9)
비상경보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201)
비상방송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202)
자동화재탐지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203)
자동화재속보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204)
누전경보기의화재안전기준(NFSC 205)
피난기구의화재안전기준(NFSC 301)
인명구조기구의화재안전기준(NFSC 302)
유도등및유도표지의화재안전기준(NFSC 303)
비상조명등의화재안전기준(NFSC 304)
상수도소화용수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401)
소화수조및저수조의화재안전기준(NFSC 402)
제연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501)
특별피난계단의계단실및부속실제연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501A)
연결송수관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502)
연결살수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503)
비상콘센트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504)
무선통신보조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505)
연소방지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506)
소방시설용비상전원수전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602)
C.종합정밀점검표의 목차.
1. 소방대상물의 개요표
2. 소화기구
○ 수동식소화기
○ 간이소화용구
○ 자동식소화기
3. 옥내소화전설비
4. 스프링클러소화설비간이스프링클러설비
5. 물분무소화설비
6. 포소화설비
7. 이산화탄소소화설비
8.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
9. 분말소화설비
10.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11. 옥외소화전설비
12. 자동화재탐지설비시각경보기
13. 통합감시시설
14. 누전경보기
15. 가스누설경보기
16. 방송설비비상벨설비자동식사이렌설비단독경보형감지기 등
17. 피난기구 및 인명구조기구
18. 유도등유도표지
19. 비상조명등휴대용비상조명등
20. 소화용수설비
21. 거실제연설비
2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의 제연설비
23. 연결송수관설비
24. 연결살수설비
25 연소방지설비
26. 비상콘센트설비
27. 무선통신보조설비
28. 변전설비개요표(소방관련)
29. 발전설비개요표(비상전원용)
30. 축전지설비개요표(비상전원용)
31. 부하설비개요표(비상전원용)
32. 전동기펌프 및 엔진펌프 성능시험표
33. 전동기펌프 운전시험성적표
34. 엔진펌프 운전시험성적표
D.국가화재안전기준 중에서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중 '제4조 수원' 중에서 '6항 수조'에 관한 사항.
⑥옥내소화전설비용 수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1. 점검에 편리한 곳에 설치할 것
2. 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3. 수조의 외측에 수위계를 설치할 것. 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수조의 맨홀 등을 통하여 수조 안의 물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수조의 상단이 바닥보다 높은 때에는 수조의 외측에 고정식 사다리를 설치할 것
5. 수조가 실내에 설치된 때에는 그 실내에 조명설비를 설치할 것
6. 수조의 밑부분에는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을 설치할 것
7. 수조의 외측의 보기 쉬운 곳에 "옥내소화전설비용 수조"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이 경우 그 수조를 다른 설비와 겸용하는 때에는 그 겸용되는 설비의 이름을 표시한 표지를 함께 하여야 한다.
8. 옥내소화전펌프의 흡수배관 또는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직배관과 수조의 접속부분에는 "옥내소화전설비용 배관"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다만, 수조와 가까운 장소에 옥내소화전펌프가 설치되고 옥내소화전펌프에 제5조제1항제14호의 규정에 따른 표지를 설치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E.종합정밀점검표 옥내소화전설비의 점검항목 중 '수조'에 관한 사항.
.점검의 편의성
.동결방지조치(또는 동결 우려없는 장소의 환경)상태
.수위계(또는 수위확인 조치)
.수조 외측사다리(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조명설비(또는 채광상태)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옥내소화전용 수조”의 표지 설치상태
.수조내부 청소상태 및 방청조치
F.국가화재안전기준 중에서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중 '제6조 배관 등' 에 관한 사항,
제6조(배관 등)
①배관은 배관용탄소강관(KS D 3507) 또는 배관내 사용압력이 1.2 ㎫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으로 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성능시험기술기준에 적합한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다.
1.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3.천장(상층이 있는 경우에는 상층바닥의 하단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반자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습식으로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③급수배관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옥내소화전의 기동장치의 조작과 동시에 다른 설비의 용도에 사용하는 배관의 송수를 차단할 수 있거나, 옥내소화전설비의 성능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설비와 겸용할 수 있다.
④펌프의 흡입측배관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1. 공기고임이 생기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고 여과장치를 설치할 것
2. 수조가 펌프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에는 각 펌프(충압펌프를 포함 한다)마다 수조로부터 별도로 설치할 것
⑤펌프의 토출측 주배관의 구경은 유속이 3㎧ 이하가 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하 여야 하고, 옥내소화전방수구와 연결되는 가지배관의 구경은 40㎜(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주배관중 수직배관의 구경은 50㎜(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32㎜)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⑥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은 구경 100㎜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65㎜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⑦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50%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이상이 되어야 하며, 펌프의 성능시험배관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2. 유량측정장치는 성능시험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5%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⑧가압송수장치의 체절운전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한 구경 20㎜ 이상의 배관에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⑨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⑩급수배관에 설치되어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옥내소화전방수구를 제외한다)는 개폐표시형으로 하여야 한다. 이 경우 펌프의 흡입측배관에는 버터플라이밸브외의 개폐표시형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⑪기계실공동구 또는 덕트에 설치되는 배관은 다른 설비의 배관과 쉽게 구분이 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거나, 그 배관표면 또는 배관 보온재표면의 색상은 적색으로 소방용설비의 배관임을 표시하여야 한다.
⑫옥내소화전설비에는 소방차로부터 그 설비에 송수할 수 있는 송수구를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노출된 장소에 설치할 것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다만, 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소화설비포소화설비 또는 연결송수관 설비의 배관과 겸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4. 구경 65㎜의 쌍구형 또는 단구형으로 할 것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이 경우 자동배수밸브는 배관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되,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 또는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하여야 한다.
⑬분기배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한국소방검정공사 또는 법 제42조제1항의 규정에 따라 성능시험기관으로 지정받은 기관에서 그 성능을 검증받은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G.종합정밀점검표 옥내소화전설비의 점검항목 중 '배관 및 밸브류'에 관한 사항.
.배관의 재질
.다른 설비와 급수배관을 겸용하는 경우 소화용으로의 사용시 장애 발생여부
.흡입측 배관의 공기고임방지조치 및 여과장치 상태
.토출측배관의 유속
.주배관 및 가지배관의 구경
.펌프성능시험배관의 구경 및 설치상태
.유량측정장치의 용량 및 설치(또는 유량측정장치 설치 생략시 펌프토출량의 적합 여부) 상태
.동결장치조치(또는 동결우려가 없는 장소의 환경)상태
.개폐표지형밸브의 종류설치위치 및 기능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방식 및 상태
.입상배관의 지지 및 수평배관의 행가의 배치간격설치상태 및 지지하중
.배관내부의 청소상태
.후드밸브의 규격 및 누수량
.체크밸브의 종류규격설치위치 및 상태
H.종합정밀점검표 옥내소화전설비의 점검항목 중 '옥외송수구'에 관한 사항.
.설치장소 및 위치(높이 포함)
.개폐밸브 설치금지 여부
.송수구간 이격거리
.송수구의 규격 및 접결나사의 보호상태
.자동배수밸브체크밸브의 설치위치 및 상태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을 소개하는 교재나 인터넷상의 문헌들이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을
관련된 내용끼리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편집하여 소개하지 않고,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그대로, 즉 별도로 소개하고 있어서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을 공부하거나 업무에 적용하는 사람들이 관련된 내용끼리 연결하여 연상하는 것에 어려움 또는 번거로움을 느낀다.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을 관련된 내용끼리 통합적으로 편집한다.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을 공부하거나 업무에 적용하는 사람들이 관련된 내용끼리 연결, 연상 하는 것에 어려움 또는 번거로움을 감소 또는 해결한다.
위의 D,E처럼, 또는 F,G,H처럼 별도로 되어 있는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 중 서로 연관된 것을 통합적으로 편집한다.
D와 E를 통합하여 편집하고, F와 G,H를 통합편집하는 예만 들어서 본 출원에서 주장하는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을 관련된 내용끼리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편집하는 것의 설명을 하는것으로 가름한다.
왜냐하면 부분적인 예를 드는 것만으로도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에 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을 관련된 내용끼리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편집할 수 있게 하는 것의 설명이 충분하기 때문이다.람(사실은 이제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을 막 공부하는 학생일지라도 아래의 예만 보면 본 출원의 의도대로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래 '수조'에 관한 사항의 통합편집의 예에서 'D'는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의 사항을 의미하고, 'E'는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재로 교재 또는 인터넷 문헌 작성시에는 'D' 또는 'E'라는 알파벳 표시외에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의 사항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사항 중 하나는 아무표시를 하지않고 나머지를 괄호를 한다든지, 밑줄을 긋는 다든지, 글씨체를 달리하는 것을 포함한 서로 다르게 표현하여 보는 사람이 어느 것이 국가화재안전기준에 관한 사항이고, 어느 것이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인지를 구분 할 수 있도록만 표현하면 된다.
또 국가화재안전기준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서 계속하여 추가, 변경, 삭제를 포함한 변동이 계속 있고,
종합정밀점검표도 국가화재안전기준의 변동에 따라 같이 변동할 수 있으므로, 관련된 사항의 매칭도 변동할 수 있다.
또 아래의 D와 E의 수조에 관한 사항의 연관성 연상은 비교적 쉬우나 F와 G,H의 배관, 밸브, 송수구에 관한 사항의 연관성 연상은 쉽지 않아서 통합편집의 필요성을 더욱 느끼게 해준다. 왜냐하면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공통사항이 아닌 사항도 많고,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문구가 국가화재안전기준의 사항을 상당히 많이 축약하거나 삭제한 문구이기 때문이다. 물론 추가된 사항도 있기도 하다. 어쨋든 공통사항인지 아닌지 바로 구분되는 것도 둘의 관련성 이해 증진시키므로 학습 및 업무 활용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수조'에 관한 사항의 통합편집의 예(위의 D와 E의 결합 편집)
1. D : 점검에 편리한 곳에 설치할 것
E : 점검의 편의성
2. D : 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E : 동결방지조치(또는 동결 우려없는 장소의 환경)상태
3. D : 수조의 외측에 수위계를 설치할 것. 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수조의 맨홀 등을 통하여 수조 안의 물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E : 수위계(또는 수위확인 조치)
4. D : 수조의 상단이 바닥보다 높은 때에는 수조의 외측에 고정식 사다리를 설치할 것
E : 수조 외측사다리(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5. D : 수조가 실내에 설치된 때에는 그 실내에 조명설비를 설치할 것
E : 조명설비(또는 채광상태)
6. D : 수조의 밑부분에는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을 설치할 것
E :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E : 수조내부 청소상태 및 방청조치
(국가화재안전기준은 1개의 문장인데 점검항목은 2개로 분리되면서 '방청조치'라는것이 추가되었다고 볼수도 있다고 해설을 달아준다.)
7. D : 수조의 외측의 보기 쉬운 곳에 "옥내소화전설비용 수조"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이 경우 그 수조를 다른 설비와 겸용하는 때에는 그 겸용되는 설비의 이름을 표시한 표지를 함께 하여야 한다.
E : "옥내소화전용 수조”의 표지 설치상태
8. D : 옥내소화전펌프의 흡수배관 또는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직배관과 수조의 접속부분에는 "옥내소화전설비용 배관"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다만, 수조와 가까운 장소에 옥내소화전펌프가 설치되고 옥내소화전펌프에 제5조제1항제14호의 규정에 따른 표지를 설치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E :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에는 언급없음
옥내소화전 설비에 관한
국가화재안전기준의 '배관 등' 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 중'배관 및 밸브류' 및 '옥외송수구'에 관한 사항의 통합편집의 예(위의 F와 G,H의 결합 편집)
(국가화재안전기준에 관한 사항은 아무표시 하지 않고,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에 관한 사항은 밑줄을 그어서 국가화재안전기준에 관한 사항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에 관한 사항을 구분하여 보았다.
즉, 국가화재안전기준의 모든 사항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 모두가 1:1 로 대응되지 않으므로 국가화재안전기준에만 있는 사항 또는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에만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그에 대한 해설 또는 표시를 해두어서 보는 사람의 편의 및 이해를 증진시켜 보았다. )
제6조(배관 등)
입상배관의 지지 및 수평배관의 행가의 배치간격설치상태 및 지지하중
배관내부의 청소상태
후드밸브의 규격 및 누수량
체크밸브의 종류규격설치위치 및 상태
(위의 4줄의 내용은 점검항목에만 있고 국가화재안전기준에는 없는 내용임을 해설해주면 더욱 좋다.
그리고 이하에서 국가화재안전기준 사항 밑에 밑줄친 문구가 없는 사항은 국가화재안전기준에만 있고, 점검항목에는 없는 사항임을 쉽게 알 수 있다.)
①배관은 배관용탄소강관(KS D 3507) 또는 배관내 사용압력이 1.2 ㎫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으로 하여야 한다.
배관의 재질
②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성능시험기술기준에 적합한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다.
1.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3.천장(상층이 있는 경우에는 상층바닥의 하단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반자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습식으로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③급수배관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옥내소화전의 기동장치의 조작과 동시에 다른 설비의 용도에 사용하는 배관의 송수를 차단할 수 있거나, 옥내소화전설비의 성능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설비와 겸용할 수 있다.
다른 설비와 급수배관을 겸용하는 경우 소화용으로의 사용시 장애 발생여부
④펌프의 흡입측배관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1. 공기고임이 생기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고 여과장치를 설치할 것
흡입측 배관의 공기고임방지조치 및 여과장치 상태
2. 수조가 펌프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에는 각 펌프(충압펌프를 포함 한다)마다 수조로부터 별도로 설치할 것
⑤펌프의 토출측 주배관의 구경은 유속이 3㎧ 이하가 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하여야 하고, 옥내소화전방수구와 연결되는 가지배관의 구경은 40㎜(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주배관중 수직배관의 구경은 50㎜(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32㎜)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토출측배관의 유속
주배관 및 가지배관의 구경(아래의 6항도 같이 언급되어 있다고 해설해주면 더욱 좋다.)
⑥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은 구경 100㎜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65㎜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⑦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50%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이상이 되어야 하며, 펌프의 성능시험배관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2. 유량측정장치는 성능시험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5%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펌프성능시험배관의 구경 및 설치상태(-⑦항의 머리말과 ⑦항의 1,2호에 모두 대응되는 문구라고 해설해주면 더욱 좋다.)
유량측정장치의 용량 및 설치(또는 유량측정장치 설치 생략시 펌프토출량의 적합 여부) 상태
⑧가압송수장치의 체절운전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한 구경 20㎜ 이상의 배관에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⑨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동결장치조치(또는 동결우려가 없는 장소의 환경)상태
⑩급수배관에 설치되어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옥내소화전방수구를 제외 한다)는 개폐표시형으로 하여야 한다. 이 경우 펌프의 흡입측배관에는 버터플라이밸브외의 개폐표시형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폐표지형밸브의 종류설치위치 및 기능
⑪기계실공동구 또는 덕트에 설치되는 배관은 다른 설비의 배관과 쉽게 구분이 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거나, 그 배관표면 또는 배관 보온재표면의 색상은 적색으로 소방용설비의 배관임을 표시하여야 한다.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방식 및 상태
⑫옥내소화전설비에는 소방차로부터 그 설비에 송수할 수 있는 송수구를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송수구간 이격거리(점검항목에만 있고 국가화재안전기준에는 없는 사항임을 알 수 있다고 해설해주면 더욱 좋다.)
1.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노출된 장소에 설치할 것
.설치장소 및 위치(높이 포함)-(아래의 3번의 사항도 언급되어 있다고 해설해주면 더욱 좋다.)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다만, 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소화설비포소화설비 또는 연결송수관 설비의 배관과 겸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폐밸브 설치금지 여부
3.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4. 구경 65㎜의 쌍구형 또는 단구형으로 할 것
.송수구의 규격 및 접결나사의 보호상태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이 경우 자동배수밸브는 배관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되,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 또는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하여야 한다.
.자동배수밸브체크밸브의 설치위치 및 상태
⑬분기배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한국소방검정공사 또는 법 제42조제1항의 규정에 따라 성능시험기관으로 지정받은 기관에서 그 성능을 검증받은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Claims (1)

  1.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 중 서로 관련된 사항을 통합적으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연관성 이해를 증진하는 방법
KR1020080035899A 2008-04-18 2008-04-18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결합 KR20090110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899A KR20090110411A (ko) 2008-04-18 2008-04-18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결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899A KR20090110411A (ko) 2008-04-18 2008-04-18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결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411A true KR20090110411A (ko) 2009-10-22

Family

ID=4153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899A KR20090110411A (ko) 2008-04-18 2008-04-18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결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04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6398A (ko) 대형화재 초기진화 및 인명구조를 위한 소방방재 시스템.
CN101833883B (zh) 消防教学演示系统
Global Property Loss Prevention Data Sheets 2-1
RU2722615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насосно-рукавная система
CN201780715U (zh) 消防教学演示系统
CN108635714B (zh) 一种深部地下消防系统
CN114870315A (zh) 一种变电站消防设施检测系统
KR20090110411A (ko)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종합정밀점검표의 점검항목의 결합
US9022052B2 (en) Standpipe emergency bypass method and kit for firefighters
US20160346578A1 (en) Fire fighting apparatus for tall buildings
정주박 et al. Effective use of fire department connections
CN106178323A (zh) 图书馆消防系统安装施工方法
KWON et al. Analyzing Safety Factors of Swimming Pool
Hwang et al. Study on improved measures for fire safety management in sports facilities
Hong et al. Study on Applying Value Engineering in the Fire Brigade by Analysis of Case
CN114360307A (zh) 一种流动培训设备
Nurhakim et al. Water Distribution in a Fire Protection System (Case Study Of DKK Semarang Building Simulation by Epanet 2.0)
Duan et al. Research on the Countermeasures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of Indoor Water Fire Fighting System [C]
Mun et al.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ydraulic Calculations Considering the Corrosion Coefficient of Steel Piping for Fire Protection
Baek et al. Study on the Upgrading of Inspection Periods in Itself
KR20070000633U (ko) 수도 직결 스프링클러
Superseding USACE/NAVFAC/AFCESA/NASA UFGS-21 13 17.00 10 (May 2009)
NM Electrical Switchgear Building No. 5010-ESF Fire Hazards Technical Report
Superseding USACE/NAVFAC/AFCEC/NASA UFGS-21 13 22.00 20 (November 2009)
Nerat Woodward Willis Building-Fire and Life Safety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