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386A -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 Google Patents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386A
KR20090109386A KR1020080034809A KR20080034809A KR20090109386A KR 20090109386 A KR20090109386 A KR 20090109386A KR 1020080034809 A KR1020080034809 A KR 1020080034809A KR 20080034809 A KR20080034809 A KR 20080034809A KR 20090109386 A KR20090109386 A KR 20090109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alance
shoes
coupled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899B1 (ko
Inventor
양승국
Original Assignee
(주)채널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채널티비 filed Critical (주)채널티비
Priority to KR102008003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89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안쪽에서 발의 후방 저면이 밀착되는 밀착면에 상향 개방되게 형성된 다각홈(100)과; 상기 다각홈(100)에 상하로 끼워져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되는 다각체(200)와; 상기 다각체(200)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는 스프링(300)과; 상기 스프링(3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면 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다각체(200)와 수평 상태로 결합되는 균형유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Description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A shoes bulit-in spring with a balance}
본 발명은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안쪽에서 발의 후방부 저면이 밀착 지지되는 밀착면에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균형유지부재가 제공되도록 하여 도보시 완충력을 제공함은 물론 이를 통해 고유 감각 회복을 위한 균형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신체에서 가장 큰 하중을 받고 있는 발을 보호함과 더불어 발의 착용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람의 발에 착용되는 것이며, 신발은 신체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기능 및 구조를 취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신체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신발밑창의 후방 부분에 공기실 형성 또는 에어백을 제공하여 완충력을 갖도록 하는 것, 그리고 신발 밑창의 저면 또는 후방에 스프링을 결합시켜 신체의 하중을 해소시킨 것이 제시된 바 있다.
최근에는 신발의 완충력을 보다 극대화시켜 다이어트 또는 신체 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목적 등으로 신발의 저면에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 신발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한 스프링 신발은, 신발의 저부에 스프링을 장착시킨 것으로 스프링 탄성력에 의한 점핑이 제공되는 유희용 신발로 과거 어린이들에 의해 유희용으로 적용되어 왔으나 동일한 시간동안 동일한 움직임을 반복하는 경우 일반적인 운동화 착용시 보다 많은 운동량을 얻을 수 있어 최근 운동시간이 부족한 성인층에 의해 다이어트 용으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신발의 저부에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 신발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신발의 저부와 밑창 사이에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 상기 스프링의 중심 위치에서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신발의 저부 또는 밑창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있어 초기 신발의 제조는 가능하나 스프링 등의 훼손시 보수 및 교체 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 신발은 신발 저면에 스프링이 고정상태로 제공되어 있어 훼손 또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장력을 갖는 다른 스프링 신발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완전히 분리시킨 후 스프링 만을 교체한 후 다시 재조립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 신발은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함은 물론 스프링 부위에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경우 안전사고에 위험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이 신발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도보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프링 탄성 계수에 따라 스프링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스프링을 압축하며 발을 지지하는 균형유지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균형 감각의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링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안쪽에서 발의 후방 저면이 밀착되는 밀착면에 상향 개방되게 형성된 다각홈과; 상기 다각홈에 상하로 끼워져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되는 다각체와; 상기 다각체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면 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다각체와 수평 상태로 결합되는 균형유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균형유지부재는, 상측 균형 유지판과 하측 스프링 고정판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에 상기 균형 유지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이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는 상기 다각체의 상면과 상기 스프링 고정판의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형상의 터널공이 각각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은, 스프링이 신발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도보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스프링 탄성 계수에 따른 스프링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한편 스프링을 압축하는 발의 후방부가 균형유지부재를 통해 회전될 수 있어 균형 유지 운동을 통한 평형 감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신발(10)의 안쪽에서 발의 후방 저면이 밀착되는 밀착면에 상향 개방되게 형성된 다각홈(100)과, 상기 다각홈(100)에 상하로 끼워져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되는 다각체(200)와, 상기 다각체(200)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는 스프링(300)과, 상기 스프링(3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면 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다각체(200)와 수평 상태로 결합되는 균형유지부재(400)로 구성된다.
상기 다각홈(100)은, 4각, 6각, 8각, 16각의 형태가 가능하며, 합성수지 또는 고무소재의 내주면이 금속재로 형성되도록 함이 가능하다.
상기 균형유지부재(400)는, 상측 균형 유지판(420)과 하측 스프링 고정판(440)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에 상기 균형 유지판(4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460)이 제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균형 유지판(420)은, 금속, 목재, 합성수지재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발에 맞도록 성형된 제품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00)이 결합되는 상기 다각체(200)의 상면과 상기 스프링 고정판(440)의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형상의 터널공(220)(4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터널공(220)(240)은 상기 다각체(200)와 스프링 고정판(440)의 형성시 또는 별도의 가공을 통해 형성됨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스프링(300)과 함께 사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도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300)은, 원뿔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단면은 원형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의 적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에는,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프링(3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다각체(200)와 균형유지부재(400)의 스프링 고정판(440)을 터널공(442)을 통해 결합 고정시키고 연속해서 다각체(200)를 신발의 다각홈(100) 에 삽입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착용자는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스프링(300)으로 발생되는 수직하중을 통해 상기 균형유지부재(400)의 편중을 판단하고 자신의 체형에 맞는 편안한 조건에 따라 다각체(200)를 다각홈(100)에 결합시키면 된다.
사용시에는, 평상시와 같이 뛰거나 걸어가게 되면 스프링(300)을 통해 완충력을 제공받아 무릎 관절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서있는 상태에서 한발을 들고 서 있거나 눈을 감아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어링(460)에 의해 균형유지판(420)이 하중 작용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평형에 의한 고유 감각을 유지 내지 회복할 수 있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의료용 신발, 스포츠용 신발, 다이어트용 신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스프링 신발의 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신발
100: 다각홈
200: 다각체 220: 터널공
300: 스프링
400: 균형유지부재
420: 균형 유지판 440: 스프링 고정판
442: 터널공 460: 베어링

Claims (3)

  1. 스프링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안쪽에서 발의 후방 저면이 밀착되는 밀착면에 상향 개방되게 형성된 다각홈(100)과;
    상기 다각홈(100)에 상하로 끼워져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되는 다각체(200)와;
    상기 다각체(200)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는 스프링(300)과;
    상기 스프링(3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면 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다각체(200)와 수평 상태로 결합되는 균형유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형유지부재(400)는,
    상측 균형 유지판(420)과 하측 스프링 고정판(440)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에 상기 균형 유지판(4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460)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0)이 결합되는 상기 다각체(200)의 상면과 상기 스프링 고정판(440)의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형상의 터널공(220)(44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KR1020080034809A 2008-04-15 2008-04-15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KR10099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09A KR100999899B1 (ko) 2008-04-15 2008-04-15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09A KR100999899B1 (ko) 2008-04-15 2008-04-15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386A true KR20090109386A (ko) 2009-10-20
KR100999899B1 KR100999899B1 (ko) 2010-12-09

Family

ID=4155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809A KR100999899B1 (ko) 2008-04-15 2008-04-15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8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1324A (en) 1994-04-01 1996-04-30 Smith; Roosevelt Shoe heel spring
US7395616B2 (en) 2005-10-14 2008-07-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pivoting sol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899B1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8995B2 (ja) 歩行矯正用靴底
CN105188445B (zh) 具有悬浮弹性网或网格支撑的鞋底结构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KR101056200B1 (ko)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
KR101713681B1 (ko)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KR101009578B1 (ko) 완충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하이힐
KR100999901B1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100999900B1 (ko) 스프링 완충 신발
KR100999899B1 (ko) 균형 유지를 위한 스프링 내장형 신발
CN201860901U (zh) 一种运动鞋
KR200381741Y1 (ko) 유희용 스프링 신발
US11839261B2 (en) Shock-absorbing heel having shock absorber and attached to high heel
KR100978122B1 (ko) 쿠션신발
KR101104615B1 (ko) 밸런스 다이어트용 스프링 신발
CN207202214U (zh) 一种具有外力缓冲层的童鞋
KR101187604B1 (ko) 덤블링 슈즈
CN101972064B (zh) 一种运动鞋
KR960014889B1 (ko) 신발밑창
KR101101415B1 (ko) 신발 중창
KR200397212Y1 (ko) 점핑용 탄성신발
KR10145137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CN201860900U (zh) 一种鞋底
KR200418896Y1 (ko) 기능성 신발
KR100885066B1 (ko) 벌집형 충격흡수층이 중창에 구비된 신발
KR20240029217A (ko) 아치 바운스 인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