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310A -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그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그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310A
KR20090109310A KR1020080034695A KR20080034695A KR20090109310A KR 20090109310 A KR20090109310 A KR 20090109310A KR 1020080034695 A KR1020080034695 A KR 1020080034695A KR 20080034695 A KR20080034695 A KR 20080034695A KR 20090109310 A KR20090109310 A KR 20090109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image
reproduction information
portable multimedia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8301B1 (ko
Inventor
최성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08003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30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1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전체 영상을 다수의 분할면들로 분할할 때, 대응되는 분할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슬레이브 터미널들 및 상기 다수의 분할면들 중 하나의 분할면을 재생하고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의 동기화를 제어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터 터미널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 및 상기 마스터 터미널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서, 무선 네트워크로 네트워킹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은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에 의해 단말기의 크기에 따른 제약을 해결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Multivison System implemented by portable media reproducing devic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비전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하여, 하나의 화면을 다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분할하여 재생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비전이란 여러 개의 화면을 복수개의 영상 재생 장치를 통해 하나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말한다.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영상 재생 장치들을 격자형으로 배열하여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스크린)을 구성하고, 그 복수개의 영상 재생 장치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연상 신호가 출력되어, 전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렇듯,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고정된 크기와 개수의 영상 재생 장치들을 통해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므로, 전체 영상을 재생하는 스크린 사이즈 및 장소적 제약이 따르게 된다. 나아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별도의 영상 재생 장치들을 구비하여 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크린 사이즈의 제약을 극복하면서도 저렴하게 멀티비전 화면을 재생할 수 있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크린 사이즈의 제약을 극복하면서도 저렴하게 멀티비전 화면을 재생할 수 있는 멀티비전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전체 영상을 다수의 분할면들로 분할할 때, 대응되는 분할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슬레이브 터미널들 및 상기 다수의 분할면들 중 하나의 분할면을 재생하고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의 동기화를 제어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터 터미널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 및 상기 마스터 터미널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서, 무선 네트워크로 네트워킹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구현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로 네크워킹되는 복수개의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 중 마스터 터미널 및 슬레이브 터미널들을 설정하는 단계, 재생 정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전체 영상을 복수개의 분할면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단계상기 마스터 터미널 및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 각각이 상기 분할면들 중 대응되는 분할면을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로 네트워킹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제 1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제 1 영상을 다수의 분할면들로 분할할 때 상기 제 1 영상 중 재생 정보에 대응되는 분할면을 프로세싱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분할면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에 의해 멀티비전을 구현함으로써, 단말기의 크기 및 장소적 제약을 극복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100)은 무선 네트 워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터미널들을 구비한다. 이때, 터미널들은 각각, PMP 및 DMB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의 일면 전체가 평면 패널형 LCD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터미널들 중 하나가 마스터 터미널로 설정될 수 있다. 마스터 터미널로 설정된 터미널이 아닌 터미널들은 슬레이브 터미널들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a)에 도시되는 터미널 1이 마스터 터미널로 설정되는 경우, 터미널 2 내지 터미널 4는 슬레이브 터미널들로 설정될 수 있다.
각 터미널들은 전제 화면을 복수개로 분할한 분할면들 중 대응되는 분할면을 재생한다. 도 1의 (b)와 같이 전체 영상(FSCR)을 4개의 분할면들(PSCR1 ~ PSCR4)로 분할하여 멀티비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도 1의 (a)의 4개의 터미널들이 각각 대응되는 분할면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 1이 전체 영상(FSCR)의 좌측 상단(0,0)에 위치하는 제 1 분할면(PSCR1)을 재생하고, 터미널 2가 우측 상단(0,1)에 위치하는 제 2 분할면(PSCR2)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3이 전체 영상(FSCR)의 좌측 하단(1,0)에 위치하는 제 3 분할면(PSCR3)을 재생하고, 터미널 4가 우측 하단(1,1)에 위치하는 제 4 분할면(PSCR4)을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멀티비젼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터미널(MT)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스터 터미널의 동작(300)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4개의 터미널들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는 마스터 터미널(MT)은 먼저, 영상 수신부(210)를 통해 전체 영 상(FSCR)을 수신한다(S310). 영상 수신부(210)로 수신되는 전체 영상(FSCR)의 오디오 데이터(IAUD)는 오디오 처리부(220)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처리부(230)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터미널(MT)은 영상 분할기에 의해 전체 영상(FSCR)을 분할면들(PSCR1 ~ PSCR4)로 분할하고, 재생 정보(IPLY)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분할면을 결정하여 렌더링(rendering)한다(S360). 이때, 마스터 터미널(MT)은 전체 영상(FSCR) 중 각 터미널들에 할당되는 분할면에 대한 재생 정보를 수신 또는 생성한다. 전술된 예의 경우, 재생 정보(IPLY)는 터미널 1이 제 1 분할면(PSCR1)을 재생하고, 터미널 2이 제 2 분할면(PSCR2)을 재생하며, 터미널 3 및 터미널 4가 각각 제 3 분할면(PSCR3) 및 제 4 분할면(PSCR4)을 재생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터 터미널(MT)은 재생 정보 제어기(260)를 구비한다. 재생 정보 제어기(260)는 재생 정보(IPLY)를 재생 정보 수신기에 의해 수신하거나(S350), 재생 정보 생성기를 통해 재생 정보(IPLY)를 생성하여(S330) 슬레이브 터미널들로 전송(S340)한다.
구체적으로, 재생 정보가 마스터 터미널(MT)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S320의 "YES"), 마스터 터미널(MT)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슬레이브 터미널들의 개수, 크기 및 종류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각 슬레이브 터미널들이 재생해야 하는 분할면에 대한 재생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 슬레이브 터미널들에 전송한다. 반면, 재생 정보가 각 터미널들의 설정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S320의 "NO"), 마스터 터미널(MT)의 재생 정보 수신기로 재생 정보(IPLY)가 전송된다. 이때, 슬레 이브 터미널들은 사용자에 의해 재생하고자 하는 분할면이 설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터 터미널(MT)의 영상 재생부(240)는 재생 정보(IPLY)에 대응되는 분할면을, 동기 신호(XSYN)에 응답하여 재생한다(S380). 또한, 마스터 터미널(MT)의 영상 재생부(240)는 전체 영상(FSCR)에 대한 오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OAUD). 즉, 복수개의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마스터 터미널만이 오디오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터미널(MT)은 동기 신호 생성부(250)에 의해, 오디오 처리부(22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IAUD)를 수신하여 동기 신호(XSYN)를 생성하고, 동기 신호(XSYN)를 슬레이브 터미널들로 전송한다(S380).
도 4는 도 1의 멀티비젼 시스템에서의 슬레이브 터미널(ST)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슬레이브 터미널의 동작(500)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4개의 터미널들 중 마스터 터미널을 제외한 나머지 터미널들이 슬레이브 터미널들로 설정된다. 슬레이브 터미널(ST)은 도 2의 마스터 터미널(MT)과 마찬가지로, 영상 수신부(410)를 통해 전체 영상(FSCR)을 수신하고(S510). 전체 영상(FSCR)의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처리부(430)를 통해 프로세싱한다.
또한, 슬레이브 터미널(ST)도 영상 분할기에 의해 전체 영상(FSCR)을 분할면들(PSCR1 ~ PSCR4)로 분할하고, 재생 정보(IPLY)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분할면을 결정하여 렌더링(rendering)한다(S530). 전술된 바와 같이, 재생 정보(IPLY)는 재생 정보 제어부(450)에 의해 마스터 터미널로부터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S520).
슬레이브 터미널(ST)의 비디오 재생부(440)는 할당된 분할면을 동기 신호(XSYN)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50). 동기 신호(XSYN)는 전술된 바와 같이, 마스터 터미널로부터 수신된다. 동기 신호(XSYN)에 동기되어 각 터미널들이 할당된 분할면들을 재생함으로써, 하나의 전체 영상이 복수개의 터미널들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렇듯,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마스터 터미널 및 슬레이브 터미널들은 재생 정보에 의해 할당되는 분할면들을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재생함으로써, 전체 영상을 멀티비젼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인 터미널들의 개수, 크기 및 종류에 무관하게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 멀티비전 시스템의 장소 및 크기적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복수개의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을 통해 하나의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 개 이상의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가 서로 다른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재생 장치의 일부는 휴대용이 아닌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비젼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터미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스터 터미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멀티비젼 시스템에서의 슬레이브 터미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슬레이브 터미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25)

  1.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전체 영상을 다수의 분할면들로 분할할 때, 대응되는 분할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슬레이브 터미널들; 및
    상기 다수의 분할면들 중 하나의 분할면을 재생하고,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의 동기화를 제어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터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 및 상기 마스터 터미널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서, 무선 네트워크로 네트워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상기 전체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마스터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터미널들에 할당되는 상기 분할면들은 재생 정보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재생 정보는,
    각 슬레이브 터미널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터미널들에 할당되는 상기 분할면들은 재생 정보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재생 정보는,
    상기 마스터 터미널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터미널은,
    상기 전체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전체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전체 영상 중 재생 정보에 대응되는 분할면을 프로세싱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상기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비디오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분할면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터미널은,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로 전송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들의 설정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재생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재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로 전송하는 재생 정보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상기 재생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전체 영상을 대응되는 분할면으로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은,
    상기 전체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전체 영상 중 재생 정보에 대응되는 분할면을 프로세싱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상기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분할면을 재생하는 비디오 재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은,
    상기 마스터 터미널로부터 상기 재생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상기 재생 정보를 설정되는 재생 정보 제어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 전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상기 재생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전체 영상을 대응되는 분할면으로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3. 무선 네트워크로 네크워킹되는 복수개의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 중 마스터 터미널 및 슬레이브 터미널들을 설정하는 단계;
    재생 정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전체 영상을 복수개의 분할면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마스터 터미널 및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 각각이 상기 분할면들 중 대응되는 분할면을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구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상기 전체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구현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마스터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구현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정보는,
    각 슬레이브 터미널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구현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정보는,
    상기 마스터 터미널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구현 방법.
  18. 무선 네트워크로 네트워킹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제 1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제 1 영상을 다수의 분할면들로 분할할 때, 상기 제 1 영상 중 재생 정보에 대응되는 분할면을 프로세싱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분할면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들과 동기되어 상기 제 1 영상을 재생한다고 할 때,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전송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상기 제 1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상기 제 1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들의 설정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재생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재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전송하는 재생 정보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들과 동기되어 상기 제 1 영상을 재생한다고 할 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들 중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재생부로 전송하는 동기 신호 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들 중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재생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상기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재생 정보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상기 재생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영상을 대응되는 분할면으로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KR1020080034695A 2008-04-15 2008-04-15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그 구현 방법 KR101048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695A KR101048301B1 (ko) 2008-04-15 2008-04-15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그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695A KR101048301B1 (ko) 2008-04-15 2008-04-15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그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310A true KR20090109310A (ko) 2009-10-20
KR101048301B1 KR101048301B1 (ko) 2011-07-13

Family

ID=4155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695A KR101048301B1 (ko) 2008-04-15 2008-04-15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그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3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930A (ko) *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채널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8750A (ko) * 2014-12-24 2016-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선 타일드 디스플레이
KR20200120502A (ko) * 2019-04-12 2020-10-2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360도 영상 표시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413B1 (ko) * 2014-03-07 2015-04-22 큐보스 주식회사 안드로이드 기반 uhd 매트릭스 영상 배열 장치
KR102603339B1 (ko) 2016-08-18 2023-11-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 디바이스 기반 화면 확장 방법
KR102486622B1 (ko) 2016-08-23 2023-01-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 디바이스 기반 화면 확장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958A (ko) * 2001-01-19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개인정보단말기를 이용한 멀티 비전 표시방법
KR100594065B1 (ko) * 2004-12-01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개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분할 디스플레이하는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100710301B1 (ko) * 2005-01-14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930A (ko) *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채널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8750A (ko) * 2014-12-24 2016-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선 타일드 디스플레이
KR20200120502A (ko) * 2019-04-12 2020-10-2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360도 영상 표시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301B1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301B1 (ko)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그 구현 방법
KR102500264B1 (ko) 가상화 디스플레이 출력 포트들의 구성
KR101891147B1 (ko) 에이치디엠아이 신호로 방송 수신기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JP2017532795A (ja) 音声映像再生設備、データ表示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02229927B1 (ko) 멀티스크린 시스템, 영상분할서버 및 그 영상분할방법, 분할영상단말기 및 멀티스크린 제어방법
US20110164181A1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992441B2 (en) Displaying multiple videos on sink device using display information of source device
CN110809226A (zh) 一种音频播放方法及电子设备
US20170055028A1 (en) Device for playing audio and video
TW201344676A (zh) 螢幕組合顯示系統及方法
WO2024046269A1 (zh) 显示模组、显示系统、显示驱动器、显示方法和电子设备
KR20070076272A (ko) 비디오월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10547660B2 (en) Advertising media processing capabilities
TWI566173B (zh) 音訊播放裝置及方法
JP2004236192A (ja) 音響機器制御方法、情報機器及び音響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00067955A (ko) 신호 처리 장치와 음향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5086592A (ja) 動画表示制御システム
JP7452526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WO2017032115A1 (zh) 音视频播放设备和音视频播放方法
US9933987B2 (en) Multi-display system
EP3477485B1 (en) Distribution destination designation device, distribution destination designation method, and distribution destination designation program
KR20210011916A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N213958042U (zh) 一种显示装置
CN104244071A (zh) 一种音频播放系统及控制方法
JP5928243B2 (ja) コンテンツ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