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301A - 이동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301A
KR20090108301A KR1020080033651A KR20080033651A KR20090108301A KR 20090108301 A KR20090108301 A KR 20090108301A KR 1020080033651 A KR1020080033651 A KR 1020080033651A KR 20080033651 A KR20080033651 A KR 20080033651A KR 20090108301 A KR20090108301 A KR 2009010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operation mode
terminal
reques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866B1 (ko
Inventor
성단근
김준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33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86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처리 장치는, 단말들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에 의거하여 각 단말에 대해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운영 모드 설정부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를 토대로 각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방법 또는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한다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채널, 할당, 트래픽, WCDMA, OCHM, OFCHM, ORHM, 스케쥴링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FFIC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모드로 트래픽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한 통신 방식은 채널의 활성도에 상관없이 호의 설정 시 가용 주파수 대역(FA : Frequency Allocation)을 제 1 통신국이 제 2 통신국에 할당하여 통신하고, 호의 해제 시 할당했던 주파수 대역을 다시 반납 받아서 다른 제 2 통신국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래의 시간 분할 다중화(TDM : Time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한 통신 방식은 채널의 활성도에 상관없이 호 설정 시 한 주파수 대역 내의 여러 개의 시간 슬롯 중에서 기 할당되지 않은 시간 슬롯을 제 1 통신국이 제 2 통신국에 할 당하여 통신하고, 호 해제 시 할당했던 시간 슬롯을 다시 반납 받아서 다른 제 2 통신국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래의 주파수 도약 다중화(FHM : Frequency Hopping Multiplexing)에 의한 통신 방식은 채널의 활성도에 상관없이 호의 설정 시 제 1 통신국과 제2 통신국간의 약속된 주파수 도약 패턴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제 1 통신국은 기 할당된 채널의 수에 따라 새로운 채널의 할당 여부를 결정한다.
종래의 직교 부호 분할 다중화(OCDM : Orthogonal Code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한 통신 방식은 기존의 CDMA 하향링크와 같이 채널의 활성도에 상관없이 호의 설정 시 직교 부호 군내에서 기 할당되지 않은 직교 부호(Orthogonal Codeword)를 제 1 통신국이 제 2 통신국에 할당하여 통신하고 호의 해제 시 할당받았던 직교 부호를 다시 제 1 통신국에 반납하여 다른 제 2 통신국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통신 방식에서의 자원 할당하는 방법으로는 다중화 기반의 스케쥴링(scheduling) 기법과 비 스케쥴링(Non-scheduling) 기법 등이 있다. 여기서, 스케쥴링 기법은 HSPDA, 1xEV-DO, VSF-OFCDM 등과 같은 3G 이동 통신망에 이용되며, 비 스케쥴링 기법은 CDMA2000, WCDMA, OCHM(Orthogonal Code Hopping Multiplexing, 이하 'OCHM'이라고 한다.), OFCHM(Orthogonal Frequency and Code Hopping Multiplexing, 이하 'OFCHM'이라고한다.)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에 이용된다.
비 스케쥴링 기법은 서비스에 참여하는 모든 통신국에게 균등하게 채널을 할 당하는 방법으로서, 크게 CDMA2000 및 WCDMA에서 이용되는 전용 채널 할당(dedicated channel allocation) 기법과 OCHM 및 OFCHM에서 이용되는 가상 전용 채널 할당 기법(Virtual dedicated channel allocation)인 도약 패턴 할당(hopping pattern allocation) 기법이 있다.
이와 같은, 스케쥴링 기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 통신국들 중 특정한 사용자 통신국에만 모든 자원을 할당함으로서, 특정한 사용자 통신국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 스케쥴링 기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 가능한 자원을 모든 사용자에게 동등하게 할당한다.
비 스케쥴링 기법에서 전용 채널 할당 기법은 기존의 2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과 같이 각 사용자 단말에 고정적인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자원은 서로 직교(orthogonal)하여 겹치지 않는다. 전용 채널 할당 기법이 이용되는 대표적인 통신 방식으로는 각 사용자 단말에 서로 다른 부호(codeword)를 할당하는 CDMA 방식과, 각 사용자 단말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할당하는 FDMA 방식과, 각 사용자 단말에 서로 다른 시간 슬롯을 할당하는 TDMA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가상 전용 채널 할당 기법은 각 사용자 단말에게 동시에 자원을 할당하는 전용 채널 할당 방식을 이용하면서, 각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자원 사이에 일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각 사용자 단말에 고정적인 자원 대신 자원 도약 패턴을 할당하는 OCHM, ORHM(Orthogonal Resource Hopping Multiplexing, 이하 'ORHM'이라 고 한다.)를 이용한다. 여기서 자원 도약 패턴(resource hopping pattern) 할당이란 사용자 단말이 통신을 하는 동안 똑같은 자원을 사용하는 대신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OCHM/ORHM에서는 심볼 주기(symbol duration)마다 다른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이때 매 순간 어떤 자원을 사용할지는 사전에 할당된 패턴에 의해 결정된다.
전용 채널 할당 방식의 경우에는 통신하는 동안 고정적인 자원을 할당하면 해당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순간에도 자원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자원 낭비가 발생할 수 있지만,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식은 매순간 어떤 자원을 사용할지를 사전에 할당된 패턴에 의해 결정하기 때문에 자원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종래의 스케쥴링 기법은 인터넷을 통해 고용량의 데이터 전송에 유리한 반면에 저속/중속(low/medium data rate) 트래픽, 예컨대 호 연결과 같은 실시간 트래픽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비 스케쥴링 기법 중 전용 채널 할당 방법은 VoIP, 게이밍, 비디오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트래픽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반면에 데이터의 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채널을 점유하기 때문에 자원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비 스케쥴링 기법 중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은 실시간 트래픽 및 저속/중속 트래픽에 유리한 반면에 고용량 트래픽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말들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각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기법 또는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서,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케쥴링 기법과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각각에 할당되는 자원을 제어함으로서, 하나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는, 단말들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에 의거하여 상기 각 단말에 대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운영 모드 설정부와, 상기 운영 모드 설정부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를 토대로 상기 각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방법 또는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하는 트래픽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스케쥴링 방법으로 트래픽을 처리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모드부와, 상기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트래픽을 처리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모드부와, 상기 운영 모드 설정부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를 토대로 상기 단말들의 트래픽 요청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드부로 출력하는 제 1 다중화부와, 상기 제 1, 2 모드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무선 링크로 출력하는 제 2 다중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는, 상기 무선 링크로 출력되는 제 1, 2 모드부의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제 1, 2 모드부에 서로 다른 자원을 설정하는 대역폭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대역폭 관리부는, 상기 운영 모드 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동작 모드별 트래픽 양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2 모드부에 할당될 자원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방법은, 임의의 단말로부터 트래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단말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방법 또는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들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각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기법 또는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서,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케쥴링 기법과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각각에 할당되는 자원을 제어함으로서, 하나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단말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 종류에 의거하여 단말들의 트래픽 요청을 분류한 후 이를 스케쥴링 방법과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래픽 처리 장치는, 운영 모드 설정부(200), 제 1 다중화부(210), 제 1, 2 모드부(220, 230), 제 2 다중화부(240) 및 대역폭 관리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다중화부(210), 제 1, 2 모드부(220, 230) 및 제 2 다중화부(240)는 운영 모드 설정부(200)에 의해 설정된 단말별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각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분류한 후 이를 스케쥴링 방법 또는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 2 다중화부(240)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하나의 트래픽 처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운영 모드 설정부(200)는 다수의 통신국, 예컨대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트래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에 의거하여 동작 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 모드를 제 1 다중화부(210)에 제공한다. 즉, 운영 모드 설정부(200)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가 좋은 부분인 A 영역(Spot cell)에 있고 요청 서비스가 데이터, 예를 들어 고용량 데이터 서비스, 폭주 트래픽(bursty traffic) 요청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방법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을 제 1 동작 모드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요청 서비스에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B 영역인 경우이거나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A 영역이고 요청 서비스가 중/저속(Medium/Low) 트래픽 요청 또는 실시간성 트래픽 요청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을 제 2 동작 모드로 설정하여 제 1 다중화부(210)에 제공한다. 여기서, 폭주 트래픽은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이며, 실시간성 트래픽 요청은 음성, VoIP, 비디오 등과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이다.
여기서, A 영역은 셀 영역에서 간섭 프리(interference free) 영역을 의미하며, B 영역은 간섭 어베리징(interference averaging) 영역으로서, 그 예로 핸드오버 영역을 들 수 있다.
한편, 운영 모드 설정부(200)는 생성된 제 1, 2 동작 모드를 토대로 각 동작 모드별 트래픽 양의 정보를 생성하여 대역폭 관리부(250)에 제공한다. 즉, 운영 모드 설정부(200)는 제 1 및 제 2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 수 및 요청 서비스 종류를 토대로 각 동작 모드별 트래픽 양을 점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하여 대역폭 관리부(250)에 제공한다.
제 1 다중화부(21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트래픽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트래픽 요청을 운영 모드 설정부(200)에서 수신되는 동작 모드를 토대로 분류하여 제 1, 2 모드부(220, 230)에 출력한다. 즉, 제 1 다중화부(210)는 제 1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제 1 모드부(220)로 출력하고, 제 2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제 2 모드부(230)로 출력한다.
제 1 모드부(220)는 제 1 다중화부(2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방법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를 서비스한다. 즉, 제 1 모드부(220)는 제 1 동작 모드로 분류된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방법으로 처리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여기서 스케쥴링 방법은 특정 사용자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제 2 모드부(230)는 제 1 다중화부(2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를 서비스한다. 즉, 제 2 모드부(230)는 제 2 동작 모드로 분류된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여기서 가상 채널 할당 방법은 각 사용자 단말에 고정적인 자원 대신 자원 도약 패턴을 할당한 후 자원 도약 패턴을 토대로 심볼 주기마다 다른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제 1, 2 모드부(220, 2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제 2 다중화부(240)를 통해 하나의 무선 링크로 사용자 단말에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동작 모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하나의 무선 링크를 통해 전송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입장에서 혼동되지 않고 데이터의 구분이 가능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대역폭 관리부(250)는 제 1, 2 모드부(220, 230)에 이용되는 자원, 즉 주파수, 시간, 부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결합을 이용하여 제 1, 2 모드부(220, 23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구분되도록 한다.
즉, 대역폭 관리부(25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모드부(220, 230)에서 데이터 전송 시 이용하는 부호(codeword)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모드부(220, 230)에서 데이터 전송 시 이용하는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모드부(220, 230)에서 데이터 전송 시 이용하는 시간 슬롯을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 서, 하나의 무선 링크를 통해 제 1, 2 모드부(220, 2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 1, 2 모드부(220, 230)에서 데이터 전송 시 이용되는 부호, 주파수 또는 시간 등을 다르게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하나의 무선 링크로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의 입장에서 혼동하지 않고 데이터의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대역폭 관리부(250)는 운영 모드 설정부(220)로부터 제공받은 모드별 트래픽 양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제 1, 2 모드부(220, 230)에 할당될 자원량을 설정한다. 즉, 제 1 모드부(220)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트래픽 양이 많은 경우에 대역폭 관리부(250)는 제 2 모드부(230)에 비해 제 1 모드부(220)에 많은 양의 자원을 할당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 제 1 모드부(220)에 비해 제 2 모드부(230)에 많은 양의 자원을 할당한다.
제 2 다중화부(240)는 제 1, 2 모드부(220, 2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무선 링크로 각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원 할당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트래픽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트래픽 처리 장치는 제 1 다중화부(210)를 이용하여 셀 영역 내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트래픽 요청을 수신한다(S500). 이때, 운영 모드 설정부(200)는 사용자 단말의 물리적 위치, 즉 셀 내 위치 정보 및 요청 서비스를 판단한 후(S502), 사용자 단말에 대해 설정될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즉,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영역이고, 요청 서비스가 데이터, 예컨대 고용량 데이터 서비스 또는 폭주 트래픽 요청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제 1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B 영역이고 요청 서비스가 데이터 서비스이거나,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A 영역 또는 B 영역이고 요청 서비스가 음성, VoIP, 비디오 등과 같이 실시간성 연결 또는 중속/저속 트래픽 요청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제 2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운영 모드 설정부(200)는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을 분류할 때 제 1, 2 동작 모드의 트래픽 양을 모니터링한 후 모니터링된 정보(제 1, 2 동작 모드의 트래픽 비율 정보)를 대역폭 관리부(250)에 제공하며, 대역폭 관리부(250)는 제 1, 2 동작 모드의 트래픽 비율 정보에 따라 제 1, 2 동작 모드에 할당될 자원량을 결정한 후 이를 제 1, 2 모드부(220, 230)에 제공한다(S504). 즉, 제 1 동작 모드로 설정된 각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양이 많은 경우에 제 2 동작 모드보다 제 1 동작 모드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한다.
제 1 다중화부(210)는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동작 모드를 토대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분류하여 제 1 모드부(220) 또는 제 2 모드부(230)에 출력한다. 즉, 제 1 다중화부(210)는 제 1 동작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제 1 모드부(220)에 출력하고, 제 2 동작 모드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제 2 모드부(230)에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이 제 1 동작 모드로 설정된 경우(S506)에는 제 1 모드부(220)는 스케줄링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처리한 후 이에 따른 데이터를 제 2 다중화부(240)에 출력하고(S508), 사용자 단말이 제 2 동작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 2 모드부(230)를 이용하여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처리한 후 이에 따른 데이터를 제 2 다중화부(240)에 출력한다(S510).
제 1, 2 모드부(220, 230)는 대역폭 관리부(250)에서 설정된 자원 할당량에 의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처리하며, 서로 다른 부호, 시간 슬롯 또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트래픽 요청의 처리에 따른 데이터를 제 2 다중화부(24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요청 서비스 종류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토대로 두 가지 모드로 처리함으로서,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에 할당되는 자원의 제어를 통해 스케쥴링 기법과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구분함으로서, 하나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스케쥴링 방법을 이용한 자원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b는 종래의 비 스케쥴링 방법을 이용한 자원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셀 내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요청 서비스 종류 및 단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부호가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요청 서비스 종류 및 단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가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요청 서비스 종류 및 단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이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3)

  1. 단말들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에 의거하여 상기 각 단말에 대해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운영 모드 설정부와,
    상기 운영 모드 설정부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를 토대로 상기 각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방법 또는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하는 트래픽 처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처리부는,
    상기 스케쥴링 방법으로 트래픽을 처리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모드부와,
    상기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트래픽을 처리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모드부와,
    상기 운영 모드 설정부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를 토대로 상기 단말들의 트래픽 요청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드부로 출력하는 제 1 다중화부와,
    상기 제 1, 2 모드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무선 링크로 출력하는 제 2 다중화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로 출력되는 제 1, 2 모드부의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제 1, 2 모드부에 서로 다른 자원을 설정하는 대역폭 관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관리부는, 상기 운영 모드 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동작 모드별 트래픽 양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2 모드부에 할당될 자원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모드 설정부는,
    상기 단말의 물리적 위치가 셀 영역의 소정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단말의 상기 요청 서비스가 데이터 서비스인 경우 상기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상기 스케쥴링 방법으로 처리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모드 설정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가 셀 영역의 소정 범위 밖이고 상기 요청 서비스가 데이터인 경우 상기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모드 설정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요청 서비스가 실시간성 서비스 또는 중/저속 트래픽 요청인 경우 상기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8. 임의의 단말로부터 트래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단말의 위치 및 요청 서비스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스케쥴링 방법 또는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처리 방법은,
    상기 단말의 물리적 위치가 셀 영역 내 소정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단말의 상기 요청 서비스가 데이터 서비스인 경우 상기 단말의 트래픽 요청을 상기 스케쥴링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처리 방법은,
    상기 단말의 위치가 셀 영역 내 소정 범위 밖이고 상기 요청 서비스가 데이터인 경우 상기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처리 방법은,
    상기 단말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요청 서비스가 실시간성 서비스이거나 중/저속 트래픽 요청인 경우 상기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으로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처리 방법은,
    상기 동작 모드별 트래픽양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모드별 트래픽 양에 의거하여 상기 스케쥴링 방법 및 상기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에 이용될 자원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처리 방법은,
    상기 스케쥴링 방법 및 상기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에 이용되는 주파수, 부호 또는 시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스케쥴링 방법 및 상기 가상 전용 채널 할당 방법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하나의 무선 링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방법.
KR1020080033651A 2008-04-11 2008-04-11 이동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6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651A KR100968866B1 (ko) 2008-04-11 2008-04-11 이동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651A KR100968866B1 (ko) 2008-04-11 2008-04-11 이동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301A true KR20090108301A (ko) 2009-10-15
KR100968866B1 KR100968866B1 (ko) 2010-07-09

Family

ID=4155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651A KR100968866B1 (ko) 2008-04-11 2008-04-11 이동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8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3544B1 (en) 1999-12-10 2005-11-08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statistically multiplexing real-time and non-real-time voice and data traffic in a wireless system
KR100627937B1 (ko) * 2004-10-15 2006-09-29 한국과학기술원 동기화된 상향 링크에서의 직교 주파수 도약 다중접속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통신 방식
KR100654316B1 (ko) * 2004-12-08 2006-12-08 한국과학기술원 직교 주파수 및 직교 부호 도약 다중화 통신 방식
BRPI0611465A2 (pt) * 2005-03-28 2010-09-08 Pantech Co Ltd método de comunicação digital de múltiplos acessos em redes de acesso via rádio de banda ultralarg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866B1 (ko) 201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18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ime slotte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11455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이나믹하게 직교 코드를 할당하는장치 및 방법
US78224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llocating a channel resource in wireless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systems
RU223419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 обратно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US10708909B2 (en) Techniques for reducing overhead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5461174B2 (ja) マルチキャリア割当て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049772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EP24855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frequency-hopping-based frequency physical resources
KR101060363B1 (ko) 멀티캐스트 신호의 전송을 인터럽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90005133A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 내의 자원 교환 디스커버리
KR20110063801A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자원 할당을 요청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7110960A1 (ja) 通信装置および端末
JP2006229778A (ja) 無線周波数割当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周波数割当方法
EP22508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hannel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8245141A (ja) 基地局装置
KR10096886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02071652A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EP1734775A1 (en) Back to back dynamic allocation
KR2012007048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고정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9005215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속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EP1576838B1 (en) Allocating a channel resource in a system
KR1009032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지국 및단말기
KR20050110268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방법 및 장치
JP2005318135A (ja) 符号/復号機能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基地局装置
KR2010008855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