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712A -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712A
KR20090107712A KR1020080033122A KR20080033122A KR20090107712A KR 20090107712 A KR20090107712 A KR 20090107712A KR 1020080033122 A KR1020080033122 A KR 1020080033122A KR 20080033122 A KR20080033122 A KR 20080033122A KR 20090107712 A KR20090107712 A KR 20090107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itial
character
korean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015B1 (ko
Inventor
진정우
Original Assignee
(주)엠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엠앤소프트
Priority to KR2008003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01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데이터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명칭 인덱스와 초성 인덱스를 이용하여 초성과 한글문자가 혼합된 검색어를 빠르고 간단하게 검색할 수 있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은 초성 및 한글문자가 혼합된 검색어의 검색 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를 통해 초성, 한글 문자 순서로 혼합된 검색어를 입력받아 각 글자 입력 순서에 따라 위치 포인터를 지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서 자음으로 구성된 초성부와 한글문자로 구성된 문자부를 분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초성부에 대하여 초성 인덱스에서 위치 포인터에 해당하는 위치와 매칭되는 초성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3단계와 상기 검색된 초성 데이터에서 상기 문자부의 한글문자에 대하여 위치 포인터에 해당하는 위치의 문자를 검색하는 제4단계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이용해 검색결과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옵션에 따라 결과를 필터링 또는 정렬하는 제5단계 및 상기 필터링 또는 정렬된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6단계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인덱스, 초성검색, 혼합검색, 더블 인덱싱, 한글 검색

Description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Korean data search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double indexing}
본 발명은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데이터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명칭 인덱스와 초성 인덱스를 이용하여 초성과 한글문자가 혼합된 검색어를 빠르고 간단하게 검색할 수 있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PDA, UMPC, 내비게이션과 같이 한글 입력이 쉽지 않은 소형 통신기기에서 한글 검색을 위해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되는 한글 단어 전체를 입력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초성만으로 검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998-019333호는 입력장치를 통해 두음문자열 즉, 초성으로 구성된 키워드를 입력받고,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문자열에서 초성만을 발췌하여 입력된 키워드와 비교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두음문자열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 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초성만으로 구성된 키워드를 입력해야 하므로 초성과 한글이 조합된 혼합형 키워드를 입력했을 경우 마땅한 검색방안을 제시할 수 없다. 더구나 데이터의 문자에서 일일이 초성을 발췌한 후, 입력받은 키워드와 비교해야 하기 때문에 검색 시간이 지연되고, 키워드와 데이터의 문자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메모리가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753779호는 초성과 한글이 함께 입력되는 경우를 대비한 검색 방법이다. 상기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가 초성만 입력되었는지 초성과 한글이 함께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검색어가 초성만 입력되었을 경우 초성으로 구성된 인덱스를 통해 검색어에 해당하는 단어를 검색하고, 초성과 한글이 함께 입력되었을 경우, 명칭ID, 명칭 및 초성명칭을 포함하는 N개의 튜플 리스트를 통해 단어를 검색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초성과 한글 단어가 함께 입력될 경우를 대비해 하나의 검색어에 대해 조합가능한 모든 혼합명칭을 튜플 내에 포함시켜야 한다. 일례로 '강남역'의 경우 'ㄱㄴㅇ', 'ㄱㄴ역', 'ㄱ남ㅇ', '강ㄴㅇ', '강남ㅇ', '강ㄴ역', 'ㄱ남역', '강남역' 등 8개의 데이터가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모든 데이터가 포함된 인덱스를 생성하기 위해선 저장 용량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고, 각 단어의 검색을 위해 수많은 튜플을 검색하고, 튜플 내의 혼합 명칭을 다시 조사해야 하는 등 검색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저장된 데이터에서 명칭 인덱스 및 초성 인덱스를 추출하여 초성과 한글문자가 혼합된 검색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고, 메모리 및 중앙 처리장치 등의 시스템의 사용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초성 및 한글문자가 혼합된 검색어의 검색 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를 통해 초성, 한글 문자 순서로 혼합된 검색어를 입력받아 각 글자 입력 순서에 따라 위치 포인터를 지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서 자음으로 구성된 초성부와 한글문자로 구성된 문자부를 분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초성부에 대하여 초성 인덱스에서 위치 포인터에 해당하는 위치와 매칭되는 초성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3단계와 상기 검색된 초성 데이터에서 상기 문자부의 한글문자에 대하여 위치 포인터에 해당하는 위치의 문자를 검색하는 제4단계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이용해 검색결과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옵션에 따라 결과를 필터링 또는 정렬하는 제5단계 및 상기 필터링 또는 정렬된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글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한글 및 초성으로 이루어진 검색어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와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검색어를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추출한 초성 인덱스 및 명칭 인덱스를 저장하여 제어부에서 상기 초성 인덱스 및 명칭 인덱스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해 각 문자의 위치별 포인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포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초성 또는 한글 문자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받은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해 검색된 결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저장된 데이터에서 초성 인덱스와 명칭 인덱스를 추출하여 인덱스를 생성하여 검색시 두 차례의 인덱스 검색을 통해 초성과 한글문자가 결합된 검색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검색을 위해 소모되는 메모리나 중앙처리장치의 불필요한 작동을 줄일 수 있는 현저하고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성 및 한글 문자가 순서대로 입력된 검색어의 검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성 및 한글문자가 결합된 검색어는 초성부와 한글문자가 순서대로 입력될 경우 초성 인덱스에서 초성을 검색한 후, 한글 문자를 검색하여 검색 수행속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어에 대해 문자별로 위치 포인터를 지정한다(S110). 검색어는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 모음, 자음순으로 결합된 한글문자뿐만 아니라 자음 하나로 구성된 각 문자의 초성을 입력하여도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위치 포인터는 검색어의 각 문자가 검색어 내에서 몇 번째 문자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지정한다. 예를 들어, 서울역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가 'ㅅ ㅇ 역'이라 고 입력했을 경우 첫 번째 문자는 'ㅅ', 두 번째 문자는 'ㅇ', 세 번째 문자는 '역'이되며 각각의 위치 포인터를 통해 문자가 위치한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초성과 한글이 혼합된 검색어는 초성부와 문자부를 분류하여(S120) 각각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초성부는 'ㅅㅇ', 문자부는 '역'이 된다.
초성부로 분류된 'ㅅㅇ'에 대해서는 위치 포인터를 이용해 초성 인덱스에서 'ㅅㅇ'로 시작되는 단어를 검색한다(S130). 또한 전체 문자 수는 3개 이므로 검색 시 첫 번째 위치포인터가 'ㅅ', 두 번째 위치 포인터가 'ㅇ'이며 세 번째 위치 포인터는 'ㄱ'~'ㅎ'까지 어떤 문자이던지 하나의 문자만이 추가된 단어를 검색한다.
상기 (S130) 단계에서 검색된 초성 데이터는 각각 명칭 인덱스의 데이터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된 명칭 데이터는 'ㅅㅇ'으로 시작되는 모든 명칭이 나타나는데, 나타난 명칭 중에서 세 번째 문자가 '역'인 데이터를 검색한다(S140).
따라서 'ㅅㅇ'으로 초성과 '역'이라는 한글 한글이 입력되면 두 차례의 인덱싱 검색을 통해 'ㅅㅇ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출하게 된다(S140). 'ㅅㅇ역'의 데이터는 본래 의도했던 '서울역' 외에 '수원역', '수유역', '수영역(부산)' 및 '상인역(대구)' 등이 검색되며, 이 중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옵션에 따라 필요없는 명칭은 필터링되고(S150), 남은 검색 결과를 빈도, 가나다순 등의 방법으로 정렬하여(S150) 출력부를 통해 결과를 출력한다(S160).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옵션은 검색 범위를 서울이나 수도권으로 한정하는 등의 범위 제한을 통해 검색 결과로 나타나는 데이터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성 및 한글 문자가 불규칙하게 입력된 검색어의 검 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초성 및 한글문자가 결합된 검색어는 초성부와 한글문자가 불규칙하게 입력될 경우 한글 문자를 글자의 위치별로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에 초성을 대입하여 검색함으로써, 검색 수행속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어에 대해 문자별로 위치 포인터를 지정한다(S210). 검색어는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 모음, 자음순으로 결합된 한글문자뿐만 아니라 자음 하나로 구성된 각 문자의 초성을 입력하여도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어의 구성이 초성+한글문자로 구성될 경우 상기 도 1의 방법에 의해 검색할 수 있으나, 자음인 초성과 한글 문자가 섞여 있을 경우 상기의 방법으로는 검색하기가 어렵다.
상기와 같이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서울역'을 검색하기 위해 '서ㅇ역'을 입력했을 경우를 가정한다. 입력받은 검색어는 상기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초성부와 한글 한글문자인 문자부로 분류한다(S220). 즉 초성은 두 번째 문자인'ㅇ' 이고, 문자부는 첫 번째 문자인 '서'와 두 번째 문자인 '역'으로 구성된다.
'서'와 '역'에는 각각의 위치 포인터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명칭 인덱스를 통해 첫 번째 문자가 '서'이고 세 번째 문자가 '역'인 데이터를 검색한다(S220). 또한 위치 포인터는 총 3개이므로 전체 문자는 3개인 명칭을 검색한다(S220). 명칭 포인터의 검색결과는 '서'로 시작하고 '역'으로 끝나는 세 개의 문자로 구성된 명칭인 '서울역', '서초역' 등 다수가 검색된다.
명칭 데이터의 검색 결과로 얻은 리스트에서 두 번째 문자의 초성을 모두 추 출하여 초성이 'ㅇ'인 명칭을 검색한다(S240). 또는 초성을 추출하지 않고 초성 인덱스의 검색을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두 차례의 검색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첫 번째 문자 '서', 두 번째 문자의 초성 'ㅇ', 세 번째 문자 '역'으로 구성되는 세 글자의 명칭이 검색된다. 검색 결과는 검색어에 따라 다수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옵션에 따라 필요없는 명칭은 필터링되고(S250), 남은 검색 결과를 빈도, 가나다순 등의 방법으로 정렬하여(S250) 출력부를 통해 결과를 출력한다(S26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및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로 구성된다.
입력부(321)는 한글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한글 및 초성으로 이루어진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글 외에도 영어, 일어 등의 다국어 입력 및 특수 기호 등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받은 문자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출력부(322)는 제어부(3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영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입력부(321)와 출력부(322)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함으로 써 하나의 입출력부(320)로 구성할 수 있으며, 현대의 IT기기에 있어서 소형화에 더욱 유 리하고, 다양한 입력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입력부(321)를 통해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출력부(3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입력된 검색어에 대해 각 문자별로 위치 포인터를 지정하여 검색 시, 각 문자의 위치별로 지정된 위치에 대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초성 인덱스(331) 및 명칭 인덱스(332)에서 직접 검색어에 해당하는 명칭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어의 구성에 따라 초성 인덱스(331)에서 1차 검색 후, 명칭 인덱스(332)에서 2차 검색을 수행하거나 그 반대로 수행할 수 있다. 두 차례의 검색 후 생성된 결과 리스트는 각각의 명칭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링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한 명칭의 데이터를 불러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333)와 빠른 검색 수행을 위해 데이터 저장부(333)의 데이터와 링크된 명칭 인덱스(332) 및 초성 인덱스(331)로 구성된다.
명칭 인덱스(332)는 데이터 저장부(333)에 저장된 데이터의 명칭을 추출하여 리스팅한 목록이다. 따라서 명칭 인덱스(332)에 리스팅된 명칭들은 데이터 저장부(333)의 데이터와 링크되어 있다. 초성 인덱스(331)는 명칭 인덱스(332)의 명칭들에서 초성을 추출하여 리스팅된 목록이다. 초성 인덱스(331) 또한 명칭 인덱스(332)와 링크되어 있으나, 동일한 초성을 사용하는 다수의 단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초성 인덱스의 명칭은 다수의 명칭 인덱스(322)를 포괄하여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빠르고 간략하게 초성과 한글문자가 혼합된 검색어의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입력 인터페이스를 넉넉히 제공하기 힘든 휴대폰, PDA, 내비게이션 등의 소형 IT기기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성 및 한글 문자가 순서대로 입력된 검색어의 검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성 및 한글 문자가 불규칙하게 입력된 검색어의 검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제어부 320: 입출력부
321: 입력부 322: 출력부
330: 저장부 331: 초성 인덱스
332: 명칭 인덱스 333: 데이터 저장부

Claims (12)

  1. 초성 및 한글문자가 혼합된 검색어의 검색 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를 통해 초성, 한글 문자 순서로 혼합된 검색어를 입력받아 각 글자 입력 순서에 따라 위치 포인터를 지정하는 제1단계;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서 자음으로 구성된 초성부와 한글문자로 구성된 문자부를 분류하는 제2단계;
    상기 초성부에 대하여 초성 인덱스에서 위치 포인터에 해당하는 위치와 매칭되는 초성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3단계;
    상기 검색된 초성 데이터에서 상기 문자부의 한글문자에 대하여 위치 포인터에 해당하는 위치의 문자를 검색하는 제4단계;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이용해 검색결과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옵션에 따라 결과를 필터링 또는 정렬하는 제5단계; 및
    상기 필터링 또는 정렬된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포인터는,
    검색어로 입력되는 초성 또는 한글 문자의 첫 문자부터 마지막 문자까지 순서대로 입력된 위치를 가리키도록 지정되는 포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인 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 인덱스는,
    빠른 검색수행을 위해 데이터 베이스의 명칭에서 초성을 추출하여 생성하고, 상기 위치 포인터에 대해 해당 자음을 검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 인덱스는,
    빠른 검색수행을 위해 상기 초성 인덱스에 각각의 데이터가 링크되며 상기 위치 포인터에 대해 해당 한글 문자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 인덱스와 명칭 인덱스의 데이터 링크는
    상기 명칭 인덱스에서 추출한 초성과 총 글자 수가 서로 일치하는 데이터에 대해 링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6. 초성 및 한글문자가 혼합된 검색어의 검색 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를 통해 초성 및 한글문자가 불규칙하게 혼합된 검색어를 입력받아 각 문자 입력 순서에 따라 각 문자의 위치 포인터를 지정하는 제1단계;
    입력받은 상기 검색어에서 자음으로 구성된 초성부와 한글문자로 구성된 문자부를 분류하는 제2단계;
    상기 문자부에 대하여 명칭 인덱스에서 위치 포인터에 매칭되는 위치의 문자가 동일한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검색된 데이터 중, 초성부의 위치 포인터에 매칭되는 위치의 문자에서 초성을 추출하여 상기 초성부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4단계;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이용해 검색결과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옵션에 따라 결과를 필터링 또는 정렬하는 제5단계; 및
    상기 필터링 또는 정렬된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포인터는,
    검색어로 입력되는 초성 또는 한글 문자의 첫 문자부터 마지막 문자까지 순서대로 입력된 위치를 가리키도록 지정되는 포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 인덱스는,
    빠른 검색수행을 위해 상기 초성 인덱스에 각각의 데이터가 링크되며 상기 위치 포인터에 대해 해당 한글 문자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 인덱스의 데이터 링크는
    상기 명칭 인덱스에서 추출한 초성과 총 글자 수가 서로 일치하는 데이터에 대해 링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10. 초성 및 한글문자가 혼합된 검색어를 검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한글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한글 및 초성으로 이루어진 검색어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검색어를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추출한 초성 인덱스 및 명칭 인덱스를 저장하여 제어부에서 상기 초성 인덱스 및 명칭 인덱스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해 각 문자의 위치별 포인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포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초성 또는 한글 문자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받은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해 검색된 결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가 검색할 명칭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
    빠른 검색을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명칭들로 생성된 리스트로서 각 명칭의 글자 수와 각 위치별 글자에 대해 개별 검색이 가능하고, 리스트의 각 명칭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에 링크되어 있는 명칭 인덱스;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 또는 명칭 인덱스에 저장되어 있는 명칭으로부터 각 글자의 초성을 추출하여 생성된 리스트로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검색어가 초성으로 시작될 경우 초성의 수에 매칭되는 수를 갖는 초성 검색이 가능하고, 상기 리스트의 각 초성 문자열은 상기 명칭 인덱스의 명칭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에 링크되어 있는 초성 인덱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시스템.
KR20080033122A 2008-04-10 2008-04-10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0962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3122A KR100962015B1 (ko) 2008-04-10 2008-04-10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3122A KR100962015B1 (ko) 2008-04-10 2008-04-10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712A true KR20090107712A (ko) 2009-10-14
KR100962015B1 KR100962015B1 (ko) 2010-06-08

Family

ID=4155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3122A KR100962015B1 (ko) 2008-04-10 2008-04-10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9318A (zh) * 2014-09-09 2016-03-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779B1 (ko) 2006-05-29 2007-08-31 팅크웨어(주) 혼합형 초성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9318A (zh) * 2014-09-09 2016-03-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389318B (zh) * 2014-09-09 2019-09-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015B1 (ko) 201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69B1 (ko) 사전 단어 및 어구 판정
CN107748784B (zh) 一种通过自然语言实现结构化数据搜索的方法
CN101876878A (zh) 单词预测输入系统及方法
CN105701133B (zh) 一种地址输入的方法和设备
EP2207015A2 (en) Map display device and program therefor
KR100725520B1 (ko) 문자입력횟수 적응 다중 입력창을 이용한 검색방법 및 그장치
Inkpen et al. Detecting and disambiguating locations mentioned in Twitter messages
CN101369209B (zh) 用于全混合输入的手写输入装置及其方法
KR20150083961A (ko) 다국어 통합 자음 패턴 검색 방법, 자음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부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1538830A (zh) 法条检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2142030B (zh) 一种数据搜索方法和数据搜索装置
CN107679122B (zh) 一种模糊搜索方法及终端
KR1010011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2015B1 (ko) 더블 인덱싱을 이용한 한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0942123B1 (ko) 키스트로크 식별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시스템
CN102999639A (zh) 一种基于语音识别字符索引的查找方法及系统
CN112989011B (zh) 数据查询方法、数据查询装置和电子设备
CN104657433A (zh) 一种基于通讯录联系人的智能推荐方法及系统
KR100848834B1 (ko)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통합 검색 장치 및 방법
CN116685966A (zh) 调整查询生成模式
KR20180007183A (ko) 대표문자와 공백 입력을 통한 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문장입력방법 및 장치
CN102902363A (zh) 用于终端设备的汉字输入方法和系统
KR101050400B1 (ko) 초성 검색용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장치, 이를 이용한 문자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07665206B (zh) 清理用户词库的方法、系统和用于清理用户词库的装置
KR101247346B1 (ko) 사전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