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402A - 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402A
KR20090107402A KR1020087025301A KR20087025301A KR20090107402A KR 20090107402 A KR20090107402 A KR 20090107402A KR 1020087025301 A KR1020087025301 A KR 1020087025301A KR 20087025301 A KR20087025301 A KR 20087025301A KR 20090107402 A KR20090107402 A KR 2009010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data
interes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0411B1 (en
Inventor
알란 메세르
도린 쳉
아누기타 쿤지타파탐
프엉 뉴엔
프리양 라토드
미툰 세사기리
시몬 제이. 깁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969,778 external-priority patent/US8200688B2/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0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easily search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users of CE devices to easily access the Internet. CONSTITUTION: A method for enabling a user of a CE device to easily search informa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concern of the user; confirming candidate data which the user is interested in(46); extracting data related to the data in which the user is interested(47); and collecting the extracted data to display it on the device(48).

Description

전자 장치 상에서 정보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되며, 특히 사용자입력을 줄인 채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viding appropriate information to a user, and in particular to providing appropriate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reduced user input.

인터넷은 오락 및 정보의 대중적인 원천이 되었다. 대부분의 인터넷 컨텐트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접근하도록 설계되며, 이는 컴퓨터 키보드를 구비하지 않은 CE(Consumer Electronic)장치들을 통하여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인터넷은 PC 상에서 접근하거나 CE 장치에 부착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근하도록 제한된다. The Internet has become a popular source of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Most Internet content is designed to be accessed through a web brows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ess through Consumer Electronic (CE) devices that do not have a computer keyboard. As a result, the Internet is restricted to access on a PC or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attached to the CE device.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CE 장치는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 네트워크 인프라의 증가와 하드웨어 가격의 하락은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오락(entertainment) 장치를 증가시켜왔다. 많은 사용자들이 케이블 셋탑 박스, 디지털 티비셋, 홈 미디어 서버,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 개인 비디오 녹음기등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사용자는 CE 장치 및 PC를 통하여 보다 많은 디지털 컨텐트를 생성하고, 저장하고 접근하고 있다. As hardware and software technologies develop, CE devices become more powerful. Increasing network infrastructure and falling hardware pric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entertainment devices that can use the network. Many users are building home networks that include cable set-top boxes, digital TV sets, home media servers, digital audio players, and personal video recorders. In addition, home network users are creating, storing and accessing more digital content through CE devices and PCs.

네트워크로 연결된 오락 장치들의 출현과 병렬적으로 동작하는 두 번째 경향 은 컨텐트를 생성하고 배포하기 위한 인터넷의 사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보다 넓은 광대역의 확산 및 메모리 가격의 하락은 사용자가 텔레비전 쇼나 완전한 한편의 영화와 같은 대 용량의 파일들을 인터넷을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A second trend that works in parallel with the emergence of networked entertainment devices is increasing the use of the Internet to create and distribute content. The proliferation of wider broadband and falling memory prices allow users to move large files over the Internet, such as television shows or complete movies.

그러나, 대부분의 인터넷 컨텐트가 전형적인 CE 장치가 아닌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접근하도록 구성되고 조직된다는 점에서, 인터넷 상의 디지털 컨텐트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오락 장치들상에서의 컨텐트는 간극(gap)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거나, PC를 통하여 알고 있는 웹 사이트에 직접 접속함으로써 인테넛 정보를 검색한다. 검색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최초의 질의어(initial query)를 생성하여야 하며, 이후에는 얻어진 결과에 따라 질의어를 반복적으로 정제(refine)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접근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PC에서는 효과적이지만, 키보드 및 마우스가 없는 CE 장치에서의 검색/정제 과정은 어렵고 불편하다. 또한, 사용자가 그들의 가정 및 홈 네트워크 하에서 CE 장치를 사용하여 그것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lean-back' 경험을 기대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상에서 텔레비전 뉴스를 시청하는 사람은 원격 제어상의 몇 개의 버튼을 누르는 것보다 더 많은 검색 노력이 필요하다면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However, there is a gap between digital content on the Internet and content on networked entertainment devices in that most Internet content is organized and organized for access through a web browser rather than a typical CE device. For example, a user typically retrieves information by using a search engine or by directly accessing a known website through a PC. In the case of using a search engine, the user must generate an initial query, and then refine the query repeatedly according to the obtained result. As such,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 access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a huge amount of information must be understood and analyzed. While this process is effective on PCs, the search / purification process on CE devices without keyboards and mice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In addition, the user generally expects a 'lean-back' experience if the user performs it using a CE device under their home and home networks. For example, a person watching television news on television may not prefer to do an Internet search if more search effort is needed than to press a few buttons on the remote contro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CE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를 통하여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가정 내의 사용자들이 CE 장치에서 제공되는 컨텐트와 관련된 인터넷 컨텐트를 용이하게 검색하고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TV 상에서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인터넷 컨텐트를 용이하게 검색하고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제, 자신이 생활하는 방에서 TV를 시청하면서 'lean-back'상태에서 인터넷 상의 적절한 정보 및 비디오 컨텐트에 접근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that facilitates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E device. One embodiment includes allowing users in the home to easily retrieve and access Internet content associated with content provided by the CE device. For example, a user may easily search for and access Internet content related to a program he / she is watching on a TV. Now you can access the appropriate information and video content on the Internet in the 'lean-back' while watching TV in your living room.

인터넷 상에서의 정보 검색은 일반적으로 검색 질의 형성(search query formation)과 데이터 검색 및 분석의 두 단계를 수반한다. 질의 형성은 검색되는 정보의 타입을 설명하는 검색 질의(search query)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데이터 검색 및 분석은 다음의 단계에 따라 검색 질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후보 데이터의 소스들을 확인한다. 검색 질의들을 통하여 그러한 소스들로부터 적절한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후에 통합(aggregate)된다. 보다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기 위하여 통합된 데이터들 중 집합(assoaciation)의 형태에 관한 상관 관계가 확인된다. Information retrieval on the Internet generally involves two phases: search query formation and data retrieval and analysis. Query formation involves forming a search query that describes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retrieved. Data retrieval and analysis involves determining a search query according to the following steps. Identify the sources of candidate data. Appropriate data is extracted from such sources through search queries, which are then aggregated. In order to produce more meaningful results, a correlation of the type of association among the consolidated data is identified.

이하에서는 홈 네트워크와 같은 LAN(Local Area Network)에서 구현된 CE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LAN내에서의 전자 장치만이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전자 장치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장치들의 LAN과 같은 네트워크/시스템(10)의 기능적 블록도를 나타낸다. 네트워크/시스템(10)은 전기 제품(appliance)(20)과 같은 장치, PC(personal computer)(21), 컨텐트를 포함할 수도 있는 CE 장치(30) 및 네트워크/시스템(10)을 다른 지역네트워크나 인터넷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50)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한다. 외부 네트워크(5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51)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시스템(10)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또는 Jini, HAVi, IEEE 1394등등의 다른 네트워크 통신 규약들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시스템(10)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이둘의 결합일 수 있다. CE 장치의 일 예는 DTV, PDA, 미디어 재생기등과 같은 디지털 장치를 포함한다. Hereinafter, a CE device implemented in a local area network (LAN) such as a home network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not just electronic devices in a LAN. 1 illustrate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network / system 10, such as a LAN of home devic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twork / system 10 may include devices such as appliances 20, personal computers (PCs) 21, CE devices 30 that may contain content, and network / systems 10 to other local networks. Or an interface 40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network 50, such as the Internet. The external network 50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servers 51. The network / system 10 may implement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or othe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Jini, HAVi, IEEE 1394, and the like. The network / system 10 may be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or a combination of both. Examples of CE devices include digital devices such as DTVs, PDAs, media players, and the like.

네트워크/시스템(10)은 검색, 통합(aggregation)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 조력자(facilitator) 시스템(24)을 더 포함한다. 조력자(24)는 질의 형성, 데이터 검색 및 분석을 수행하며, 질의 형성은 사용자 환경에 기초하여 후보 검색 질의들(즉,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을 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검색 및 분석은 실행 엔진을 사용하여 관심 데이터를 추출, 통합하고 상관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network / system 10 further includes a search facilitator system 24 that provides search, aggregation and analysis functionality. The assistant 24 performs query formation, data retrieval and analysis, which includes classifying candidate search queries (ie,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environment. Data retrieval and analysis also includes the use of execution engines to extract, integrate and correlate data of interes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력자(24)를 포함하는 구조(60)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60)는 사용자 모듈(6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검색, 통합 및 분석 기능을 조력자(24)를 통하여 구현한다. 일 예로 사용자 모듈(64)은 DTV(30)와 같은 CE 장치에 구현된다.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참고하면, 질의 형성과 관련된 절차로부터 사용자가 자유롭도록 하기 위하여 단계 46에서, 조력자(24)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한다. 단계 47에서, 사용자가 관심있는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단계 48에서, 추출된 데이터들을 통합한다. 단계 49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관련된 데이터들의 상관 관계를 설정한다.2 shows a structure 60 comprising an assistant 24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mplements the search, integration and analysis functions through the helper 24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user module 64. As an example, the user module 64 is implemented in a CE device such as the DTV 30. Referring to the flowchar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FIG. 3, at step 46, the assistant 24 identifies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to free the user from procedures associated with query formation. In step 47, data related to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is extracted. In step 48, the extracted data are integrated. In step 49, a correlation of related data to be displayed to the user is established.

사용자가 관심있는 정보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프로파일,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가 이전/현재에 접근한 컨텐트,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한 용어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formation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or related to the user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user profile, user preferences, content previously / currently accessed by the user, and terms previously selected by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다음의 설명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모듈(64)은 조력자(24)를 활용하여 간단하고 직관적인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예를 들면 인터넷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lient module 64, which includes the following description, utilizes an assistant 24 to obtain desired information (eg from the Internet) through a simple and intui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pplication. .

1. 정보 검색을 지원하는 기능을 몇개의 숫자 키들에 맵핑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접근을 위하여 DTV(30)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일 예로 도 1의 TV 리모컨(31)의 몇 개의 키들에 그러한 기능을 맵핑한다. 1. Map a function that supports information retrieval to several numeric keys. For example, when using the DTV 30 for information access, an example for receiving a user input is to map such a function to several keys of the TV remote control 31 of FIG.

2. 사용자가 현재 접근한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관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리모턴(31)상에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info"버튼을 제공하고, 이 행위를 '상세 정보'의 요청에 맵핑시킨다. 2. The user may express interest in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ly accessed information. For example, a user may press an "info" button on the remote 31 and map this action to a request for 'detailed information'.

3. 사용자가 부가 정보에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부가 정보의 구체적인 타입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접근하고 있는 TV 프로그램이나 미디어 컨텐트와 같이 사용자가 관심을 표현한 데이터와 관련된 키워드들의 집합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키워드들 중 하나를 검색 질의로써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리모컨(31)상의 상향키/하향키/우향키/좌향키(up/down/right/left arrwo keys)들의 조합을 제공한다. 3. When the user wants to acces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 user can indicate the specific typ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search. For example, the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 set of keywords related to data expressing interest by the user, such as a TV program or media content that the user is accessing. Next, a combination of up / down / right / left arrwo keys is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31 to allow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keywords as a search query.

4. 선택된 키워드를 포함하거나 선택된 키워드와 관련되는 부가적인 질의 제안들의 집합을 디스플레이 하고 질의 제안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리모컨(31)상의 상향키/하향키/우향키/좌향키들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제안된 키워드/검색 질의를 정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GUI는 상술한 과정을 단순히 반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 만큼 검색 질의를 정제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데로 질의를 수정하도록 존재하는 문자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문자를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정 가능한 텍스트 상자 내에 질의 제안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는, 일 예로 무선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탑재한 리모컨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4. A combination of up / down / right / left keys on the remote control 31 to display a set of additional query suggestions that include or are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keyword and allow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query suggestions. As it provides, the user can refine or modify the proposed keyword / search query. The GUI allows the user to refine the search query as many times as desired by simpl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It also displays query suggestions in an editable text box that allows the user to delete existing characters or insert new characters to modify the query as desired. This may be performed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wireless keyboard or a keypad as an example.

5. 형성된 질의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앞서 사용자가 선택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결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정제된 검색 결과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리모컨(31)상의 상향키/하향키/우향키/좌향키들의 조합을 제공한다. 검색 결과의 일 예는 검색 질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로의 링크를 포함하며, 웹 페이지의 제목이 GUI상에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5. Perform a search based on the formed query. Next, the user may access the search result by displaying a list of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previously selected by the user. Thereafter, a combination of an up key / down key / right key / left key on the remote controller 31 is provided for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refined search results. One example of a search result includes a link to a web page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earch query, wherein the title of the web page is displayed to the user on the GUI.

사용자는 특정 컨텐트에 접근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모듈(64)를 사용하며, 조력자(24)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접근된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이 후, 사용자는 접근된 컨텐트에 관한 상세 정보를 조력자(24)가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면, 인터넷 데이터 소스(66)로부터 DTV(30)상에서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사전에 녹화되었거나 방송되는 TV 프로그램에 관한 상세 정보를 조력자(24)가 제공하도록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클라인트 모듈(64)를 사용한다. The user uses the client module 64 to access specific content, and the assistant 24 obtai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accessed for display to the user. The user then asks the assistant 24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ccessed content. For example, in order to request that the assistant 24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 pre-recorded or broadcast TV program that the user is watching on the DTV 30 from the Internet data source 66, the user may request a client module ( 64).

클라이언트 모듈(64)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키보드/마우스를 구비하지 않은 CE 장치상에서 최소한의 노력으로 제안된 키워드들/카테고리들과 같은 새로운 질의들을 선택, 수정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 특히, 조력자(24)는 TV 프로그램과 관련된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질의어 및 그러한 키워드들과 관련된 정보 카테고리들을 제안하고 디스플레이 한다. 제안된 키워드들 및 카테고리들을 검색 질의로 사용하면, 사용자는 검색을 위하여 제안된 질의들 중에서 간단하게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CE 장치를 통하여 인터넷상에서 사용가능한 관련된 정보를 끊임없이 브라우징/검색할 수 있다. 조력자(24)는 많은 적절한 검색 질의들을 분류하고, 사용자가 제안된 질의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질의를 삽입하도록 한다. 이 후, 조력자(24)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정보를 획득하고 그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Using the client module 64, a user can select, modify or insert new queries such as keywords / categories proposed with minimal effort on a CE device without a keyboard / mouse. In particular, the assistant 24 suggests and displays query terms including keywords associated with the TV program and categories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ose keywords. Using the proposed keywords and categories as a search query, a user can constantly browse / search the relevant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Internet through his CE device by simply selecting from the suggested queries for search. The assistant 24 categorizes many suitable search queries and allows the user to modify the proposed query or insert a new query. The assistant 24 then obtains the information of interest to the user and displays that information to the user.

도 2에 도시된 구조에서, 조력자(24)는 상술한 단계들을 구현하는 질의 확인부(identification function)(25) 및 질의 결정부(2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질의 확인부(25)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한다. 질의 결정부(27)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확인된 후보 데이터를 예를 들면 지역 소스(69) 또는/ 및 인터넷 소스(66)등으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통합하며,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수집된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설정한다. 질의 확인부(25) 및 질의 결정부(27)의 동작은 이하에서 후술한다.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the assistant 24 includes a query identification unit 25 and a query determination unit 27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steps. Specifically,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confirms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The query determination unit 27 extracts the identified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from, for example, the local source 69 or / and the Internet source 66, etc., integrates the extracted data, and collects it for display to the user. Correlate the generated data. The operation of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and the query determination unit 27 will be described later.

일 예에서, 질의 확인부(25)는 사용자의 현재 어플리케이션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한다. 현재 어플리케이션 상태는 사용자가 적절한 인터넷 컨텐트에 접근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DTV(30)상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DTV가 튜닝한 채널 및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어플리케이션 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identifies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application state of the user. The current application state refers to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being used by the user at the time the user wants to access appropriate Internet content. For example, when a user is watching a television program on the DTV 30, the channel tuned by the DTV and the program being broadcast may configure the application state.

질의 확인부(25)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사용된/출력된 컨텐트를 확인한다. 이후, 질의 확인부(25)는 메타 데이터 정보 및/또는 접근 중인 컨텐트에 관련된 다른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후보 검색 질의를 확인한다. 메타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텐트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질의 확인부(25)는 메타데이터로부터의 필드/값 페어(pair)들을 직접적으로 후보 검색 질의들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악가 "String"의 음악 앨범을 감상하고 있으며, 관련된 컨텐트에 접근하는 것에 관심을 나타내는 경우, 질의 확인부(25)는 앨범의 메타데이터로부터 (content="MusicAlbum" & artist = "Sting") 필드를 획득한다. 질의 확인부(25)는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동일한 음악가의 더 많은 앨범에 접근하는 것에 관심이 있을 수도 있음을 추론하고, (MusicAlbum, artist, "Sting")을 검색 질의 중 하나로써 사용자에게 제안한다.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confirms the content used / output by the application. Thereafter,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obtains metadata information and / or other data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accessed and identifies a candidate search query that may be of interest to the user. When a user accesses content configured to use metadata, the query checker 25 directly uses the field / value pairs from the metadata as candidate search queries. For example, if a user is listening to a music album of the artist "String" and expresses interest in accessing related content, the query checker 25 may generate the content of the album from the metadata of the album (content = "MusicAlbum" & artist = "Sting") field.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infers that the user may be interested in accessing more albums of the same musician using this, and proposes (MusicAlbum, artist, "Sting") to the user as one of the search queries. .

사용자가 방송 TV 프로그램이나 DVD등과 같은 컨텐트에 접근하는 경우, 질의 확인부(25)는 후보 검색 질의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트림에 내재된 캡션 데이터(클로즈드 캡션, closed caption)들을 사용한다. 이 내재된 캡션 데이터는 키워드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관련된 컨텐트에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 질의 확인부(25)는 중요한 키워드를 확인하기 위하여 TV 프로그램의 캡션 텍스트를 분석하고, 후보 검색 질의로써 이를 사용자에게 제안한다. When the user accesses content such as a broadcast TV program or a DVD,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uses caption data (closed captions) embedded in the stream to confirm the candidate search query. This embedded caption data contains information useful in forming the keyword. When the user wants to access related content while watching a TV program,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analyzes the caption text of the TV program to identify important keywords and proposes it to the user as a candidate search query.

질의 확인부(25)는 독립적인 모듈내에서 구현되거나, 셋탑 박스와 같은 장치(20)내에서 구현되거나 DTV와 같은 CE 장치(30)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CE 장치와 같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네트워크/시스템(10)내의 장치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클로즈드 캡션을 분석하고 클로즈드 캡션으로부터 키워드를 확인하기 위하여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사용하는 질의 확인부(25)를 통하여 키워드를 확인하고 이들을 후보 검색 키워드로 제안하는 일 예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may be implemented in an independent module, in a device 20 such as a set-top box, or in a CE device 30 such as a DTV. The user interface (UI) may be displayed on a device in the network / system 10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 CE device. An example of identifying keywords and suggesting them as candidate search keywords through the query confirmation unit 25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to analyze the closed caption and confirm the keyword from the closed ca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TV 프로그램의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 CC)은 방송이 시작되기 전에 컨텐트 제공자에 의하여 TV 신호에 내재(embedded)된다. 이것들은 주로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것이다. 이 텍스트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캡션들은 일반적으로 어떠한 케이스 정보도 포함하지 아니하며, 케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명사들을 추출하는 어떠한 시도도 배재한다. 또한, 이들은 컨텐트의 구어체적인 특성 때문에 종종 문법에 맞지 아니하며, 뛰어쓰기에 어긋나고, 오타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한계에 의하여 텍스트 문서들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키워드 추출 기술들은 캡션 텍스트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캡션 컨텐트는 프로그램의 타입에 크게 좌우된다. 뉴스 프로그램의 캡션은 하이-컨텐트(high-content)이며, 사실적이다. 반면에 시트콤의 캡션은 일반적으로 로우-컨텐트(low on content)이며, 속어가 많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션 분석기(closed caption analyzer, CCA)(70)를 나타낸다. CCA(70)는 다양한 타입의 프로그램들에 대한 추출 메카니즘을 커스토마이즈 하기 위하여 NPL 기술 및 EPG 정보(75)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클로즈드 캡션으로부터 검색 질의를 추출한다. The closed caption (CC) of the TV program is embedded in the TV signal by the content provider before the broadcast is started. These are mainly for the deaf. Extracting useful information from this text is not simple. Captions generally do not contain any case information and exclude any attempt to extract the proper nouns based on the case information. Also, because of the colloquial nature of the content, they are often incompatible with grammar, run-off, and typos may exist. Due to this limitation, general keyword extraction techniques used in text documents may not be suitable for caption text. In addition, caption content is highly dependent on the type of program. The caption of the news program is high-content and realistic. Sitcom captions, on the other hand, are generally low on content and have a lot of slang. 4 illustrates a closed caption analyzer (CCA)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CA 70 extracts a search query from the closed caption of the program using NPL technology and EPG information 75 to customize the extraction mechanism for various types of programs.

CCA(70)은 방송 신호상에서 실시간으로 동작하며,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캡션 텍스트의 규칙적인 스트림(74)을 처리한다. CCA는 입력되는 텍스트의 스트림에 걸쳐서 두 개의 내력(history) 창을 운영한다(도 5). 더 작은 '가장 최근 창'(most recent window)은 마지막 N개의 문장들(Si)(본 실시예에서는 N=5)에 미치고, 더 큰 '프로그램 와이드 창'(program wide window)은 전체 TV 프로그램/현재 뉴스 스토리/현재 프로그램 섹션등을 커버한다. '프로그램 와이드 창'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들만이 저장되고, 추천을 위하여 인덱스화 된다. 또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키워드들의 리스트의 최 상위에 가장 최근 키워드들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하여, '가장 최근 창'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들은 다른 것들보다 더 높은 순위를 갖는다. 프로그램 또는 뉴스 스토리가 변경되자마자 각각의 창들이 초기화되어, 재 시작된다. 변화는 캡션내의 특별한 문자들(미국에서는 '>>>')에 의하여 암시되거나, EPG 및 현재 시간을 확인함으로써 결정된다. The CCA 70 operates in real time on broadcast signals and processes a regular stream 74 of caption text entering the system. The CCA operates two history windows over the stream of incoming text (FIG. 5). The smaller 'most recent window' spans the last N sentences Si (N = 5 in this embodiment), while the larger 'program wide window' covers the entire TV program / Covers the current news story / current program section. Only keywords extracted from the 'program wide window' are stored and indexed for recommendation. Also, in order for the most recent keywords to appear at the top of the list of keywords displayed to the user,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most recent window' have a higher rank than others. As soon as the program or news story is changed, each window is initialized and restarted. The change is implied by special characters in the caption ('>>>' in the US) or determined by identifying the EPG and the current time.

CC 토크나이저(Tokenizer)(78)는 CC 텍스트의 스트림(74)을 수신하여 문장으로 분할한다. 이는 텍스트의 문법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다음으로 태거(tagger)(73)는 문장들에 태그를 부가한다. 예를 들면, Brill의 품사(part of speech) 태그를 부가한다.(Brill 1992) 태거(73)는 문장을 분석하여, 각각의 단어가 문장내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판단한다. 태거(73)는 문장내의 각각의 단어들에 초기 태그를 할당하기 위하여 사전적인 법칙을 사용한 후, 단어가 사용된 문맥에 기초하여 태그를 업데이트 하기 위하여 문맥적인 법칙을 사용한다. 문맥적인 법칙은 입력된 문장의 문법에 민감하다. 문법에 맞지 않거나 불완전한 문장은 문장내의 단어들에 잘못된 태그가 부가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CC tokenizer 78 receives stream 74 of CC text and splits it into sentences. This is done to preserve the grammar of the text. Next, a tagger 73 adds tags to the sentences. For example, add Brill's part of speech tag. (Brill 1992) Tagger 73 analyzes sentences to determine how each word is used in the sentence. Tagger 73 uses lexical rules to assign initial tags to each word in the sentence, and then uses contextual rules to update the tag based on the context in which the words are used. Contextual laws are sensitive to the grammar of the entered sentence. Incorrect or incomplete sentences can result in incorrect tagging of words in a sentence.

예를 들면, 입력 문장 "John Wayne ran home"에 관하여 태거(73)의 출력은 'John<PROP> Wayne<PROP> ran<VB_PST> home<NOUN>'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of the tagger 73 with respect to the input sentence "John Wayne ran home" may be "John <PROP> Wayne <PROP> ran <VB_PST> home <NOUN>.

이는 이전 문장에서 "John"과 "Wayne"는 고유 명사로써 사용되며, "ran"은 과거형 동사이며 "home"는 명사임을 나타낸다. This means that in the previous sentence, "John" and "Wayne" are used as proper nouns, "ran" is a past tense and "home" is a noun.

태그가 부가된 문장은 태거(73)로부터 법칙 엔진(rule enginee)(79)에 전달된다. 법칙 엔진(79)는 법칙 라이브러리(rule library)(71)로부터의 추출 정책 법칙(extraction policy rule)에 기초하여 태그가 부가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법칙 라이브러리(R)(71)는 문장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문구들을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법칙들의 집합을 규명한다. 법칙은 태그 패턴들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연속적인 고유 명사들을 추출하기 위한 법칙(<PROP>+)을 가질 수도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명사에 연속하는 부사를 추출하는 다른 법칙(<ADJ>+<NOUN>+)등을 가질 수도 있다. 법칙 선택기(72)는 장르를 추출 정책에 맵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시청 중인 프로그램의 장르가 캡션들로부터 추출될 키워드들의 타입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시청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뉴스와 같이 하이-컨텐트이면서 사실적인 프로그램인 경우, 추출 정책은 매우 공격적이며 명사의 연속, 복합 명사, 고유 명사 등등과 같이 키워드들의 타입을 구분하는 부가물을 필수적으로 추출한다. 반면, 프로그램이 시트콤과 같이 로우-컨텐트이면서 비 사실적인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매우 선택적으로 키워드를 추출하며 고유 명사와 같은 더 실용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여겨지는 그러한 키워들만을 추출하는 매우 보수적인 추출 정책이 사용된다. 법칙 엔진(79)은 시청되는 프로그램의 타입에 따라서 추출 습성을 변경한다. The tagged sentence is passed from the tagger 73 to the rule engine 79. The law engine 79 extracts keywords from tagged sentences based on an extraction policy rule from a rule library 71. The Law Library (R) 71 identifies a set of laws that can be used to extract the various kinds of phrases present in a sentence. The law is expressed in tag patterns. For example, you may have a law (<PROP> +) for extracting consecutive proper nouns, and another law (<ADJ> + <NOUN> +) for extracting adverb consecutive to one or more nouns. May have Law selector 72 includes mapping genres to extraction policies. The genre of the program being watched determines the type of keywords to be extracted from the captions. For example, if the program being watched is a high-content and realistic program such as news, the extraction policy is very aggressive and requires the addition of identifying the types of keywords such as continuation of nouns, compound nouns, proper nouns, etc. To extract. On the other hand, if the program is a low-content and non-realistic program like sitcom, then a very conservative extraction policy is used that extracts keywords very selectively and only those keywords that are considered to be more practical, such as proper nouns. do. The law engine 79 changes the ex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rogram being watched.

각각의 추출 정책(Pe)은 R 내의 법칙의 부분 집합에 대응한다. 맵핑은 사전에 설정되거나 획득될 수 있다. 맵핑은 특정 장르(타입)의 프로그램으로부터 키워드들(76)을 추출하는데 사용될 패턴의 종류를 필수적으로 정의한다. 일 예에서, 맵핑은 뉴스, 시트콤, 토크쇼, 리얼리티 TV등의 4가지 타입의 샘플 프로그램의 CC 복사본으로부터 그들이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표시하도록 요청된 네가지 주제와 연관되는 작은 사용자 연구(small user study)를 수행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복사본은 Brill의 태거를 이용하여 태그가 부가되고, 표시된 키워드들의 태그들은 법칙에 따라 추출된다. 예를 들면, 뉴스 프로그램 내에 키워드 "Global Warming"이 표시되고, 그 단어에 "Global<ADJ> Warming<NOUN>"와 같이 태그가 부가되면, "<ADJ><NOUN>"가 "뉴스"장르를 위한 법칙에 따라서 추출된다. 최 상위에 랭크된 법칙(빈도 및 임계치에 기초함)들은 해당 타입의 프로그램에 관하여 추출 정책을 형성하는 법칙으로 사용되고, 모든 타입의 프로그램을 위한 모든 법칙들의 집합이 R을 형성한다. 이는 법칙 및 추출 정책의 재 사용성을 용이하게 한다. 법칙 엔진(79)은 태거(73)로부터 수신된 텍스트에 추출 정책을 적용하고, 그것으로부터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이 후, 이러한 키워드들은 "가장 최근 창"에 나타났는지에 기초하여 가중치가 부가된다. 가중치가 부가된 키워드들은 정렬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Each extraction policy Pe corresponds to a subset of the laws in R. The mapping can be set or obtained in advance. The mapping essentially defines the type of pattern that will be used to extract the keywords 76 from the program of a particular genre (type). In one example, the mapping is a small user study associated with four topics requested to indicate the keywords they wish to search from CC copies of four types of sample programs: news, sitcoms, talk shows, reality TV, etc. Can be determined by performing. The copy is tagged using Brill's tagger, and the tags of the displayed keywords a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law. For example, if the keyword "Global Warming" is displayed in a news program, and the word is tagged with "Global <ADJ> Warming <NOUN>", then "<ADJ> <NOUN>" will contain the "news" genre.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law. The highest ranked laws (based on frequency and thresholds) are used as the rules for forming extraction policies for that type of program, and the set of all laws for all types of programs form R. This facilitates the reusability of laws and extraction policies. The law engine 79 applies the extraction policy to the text received from the tagger 73 and extracts keywords from it. These keywords are then weighted based on whether they appear in the "most recent window". The weighted keywords are sorted and displayed to the user.

추출된 키워드들은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정보로 간주된다. 질의 결정부(27)은 사용자가 관심있는 것으로 확인된 후보 데이터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통합하고, 통합된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설정한다. 그러한 상관 관계는 데이터간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A는 데이터 B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The extracted keywords are regarded as candidate information of interest to the user. The query determining unit 27 extracts data related to candidate data identified as interested by the user, integrates the extracted data, and sets the correlation of the integrated data. Such correlation includes identifying associations between data. For example, data A is 'like' or 'same' as data B.

질의 결정부(27)는 독립적인 모듈로 구현되거나, 셋탑 박스와 같은 장치(20)내에서 구현되거나, DTV와 같은 CE 장치(3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질의 계획을 사용하는 질의 결정부(27)에 의하여 데이터 추출, 통합 및 상관 관계 설정을 구현하는 일 예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검색 질의 결정 과정과 관련된 단계들을 캡슐화하는 XML 기반의 실행 계획이 제공된다. 실행 계획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획 단계(plan-step)를 포함하고, 각각의 계획 단계는 필수적으로 데이터 추출, 통합 또는 상호 관계 설정등과 같은 수행될 작업의 타입을 명기한다. The query determiner 27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module, implemented in the device 20 such as a set-top box, or implemented in the CE device 30 such as a DTV. An example of implementing data extraction, integration, and correlation setting by the query decision unit 27 using the query plan will be described later. An XML-based execution plan is provided that encapsulates the steps involved in the search query decision process. An action plan includes one or more plan-steps, each of which essentially specifies the type of work to be performed, such as data extraction, consolidation, or correlation.

또한, 룰렛(RuleLet)들로 지칭되는 특정 그룹들(classes)이 일반적인 질의 결정 과정내의 데이터 추출, 수집 또는 상호 관계 설정의 세 개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룰렛들은 'GetDataRuleLet', 'MergeDataRulet' 및 'GetContentNotInHomeRuleLet'을 포함한다. 'GetDataRuleLet'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MergeDataRulet'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병합하고, 'GetContentNotInHomeRuleLet'은 가정 장치내에서 사용할 수 없는 데이터/컨텐트(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집합으로부터)를 분류한다. In addition, specific classes, called roulettes, are provided to perform the three tasks of data extraction, collection, or correlation establishment within the general query decision process. Roulettes include 'GetDataRuleLet', 'MergeDataRulet' and 'GetContentNotInHomeRuleLet'. 'GetDataRuleLet' acquires data from various data sources, 'MergeDataRulet' merges data obtained from various data sources, and 'GetContentNotInHomeRuleLet' extracts data / content that cannot be used in home devices (extracted from various sources). From a set of compiled data).

계획 단계는 실행될 룰렛 및 룰렛의 실행에 필요한 입력 및 출력 파라미터들의 집합을 필수적으로 명기한다. 계획 단계내의 특정 필드는 실행될 룰렛의 이름, 룰렛의 실행에 필요한 입력 데이터, 룰렛의 실행으로부터 예측되는 출력의 타입 및 출력 데이터가 요구되는 범위(적용할 수 있는지)를 포함한다. 범위 필드는 요청된 데이터가 가정(Local)내에서 사용가능 하여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인터넷 상에서 사용가능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다양한 종류의 검색 질의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계획들을 포함하는 계획 라이브러리가 운영된다. 사용자가 검색 질의를 선택하면, 질의 결정부(27)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지, DVD 또는 뮤직 비디오를 시청하고 있는지, 음악 앨범을 듣고 있는지와 같은 사용자의 환경에 기초하여 계획을 확인한다.The planning phase essentially specifies the roulette to be executed and the set of input and output parameters required for the execution of the roulette. Specific fields within the planning phase include the name of the roulette to be executed, the input data required for the execution of the roulette, the type of output expected from the execution of the roulette, and the range in which the output data is required (if applicable). The range field indicates whether the requested data should be available in the local or on the Internet. In order to satisfy various kinds of search queries, a plan library containing various kinds of plans is operated. When the user selects a search query, the query determining unit 27 plans based on the user's environment, such as whether the user is watching a TV program, watching a DVD or a music video, or listening to a music album. Check.

실행 계획들과 결합된 검색 시나리오상에서 실행 계획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일 예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검색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TV를 통하여 "드럼 기술"(Drumming Techniques)이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와 관련된다. 사용자가 관련된 인터넷 컨텐트에 접근하는 것에 관심을 나타내면, 검색 조력자(24)는 다음의 계획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클로즈드 캡션으로부터 후보 검색 질의를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TV 프로그램과 관련된 EPG를 획득한다. 이전 단계에서 획득한 EPG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획득한다. TV 프로그램의 장르를 확인한다. 장르에 기초하여 TV 프로그램의 캡션으로부터 중요한 키워드들을 획득한다. 그리고, EPG 및 클로즈드 캡션으로부터 확인한 키워드를 병합한다. 상술한 계획에 관한 XML 버전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using an execution plan on a search scenario combined with execution plans is described below. The search scenario relates to the case where a user is watching a documentary program broadcast entitled "Drumming Techniques" on TV. If the user is interested in accessing relevant Internet content, search assistant 24 identifies and displays candidate search queries from the closed caption of the program by executing the following planning steps. Acquire an EPG associated with the TV program the user is watching. A keyword is obtained from the EPG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Check the genre of the TV program. Obtain important keywords from the caption of the TV program based on the genre. Then, the keywords identified from the EPG and the closed caption are merged. An example of the XML version of the above-described plan is as follows.

<?xml version="1.0" ?> <? xml version = "1.0"?>

<Plan><Plan>

<Plan-step><Plan-step>

<RuleLet>GetDataRule</RuleLet> <RuleLet> GetDataRule </ RuleLet>

<OutputType>EPGInfo</OutputType> <OutputType> EPGInfo </ OutputType>

<Scope>Internet</Scope> <Scope> Internet </ Scope>

</Plan-step>       </ Plan-step>

<Plan-step> <Plan-step>

<RuleLet>GetDataRule</RuleLet> <RuleLet> GetDataRule </ RuleLet>

<InputType>EPGInfo</InputType<InputType> EPGInfo </ InputType

<OutputType>KeywordsFromEPG</OutputType> <OutputType> KeywordsFromEPG </ OutputType>

<Scope>Local</Scope> <Scope> Local </ Scope>

</Plan-step>       </ Plan-step>

<Plan-step>       <Plan-step>

<RuleLet>GetDataRule</RuleLet> <RuleLet> GetDataRule </ RuleLet>

<OutputType>ProgramGenre</OutputType> <OutputType> ProgramGenre </ OutputType>

<Scope>Local</Scope> <Scope> Local </ Scope>

</Plan-step>       </ Plan-step>

<Plan-step>       <Plan-step>

<RuleLet>GetDataRule</RuleLet> <RuleLet> GetDataRule </ RuleLet>

<InputType>ProgramGenre</InputType<InputType> ProgramGenre </ InputType

<OutputType>KeywordsFromCaptions</OutputType> <OutputType> KeywordsFromCaptions </ OutputType>

<Scope>Internet</Scope> <Scope> Internet </ Scope>

</Plan-step>       </ Plan-step>

<Plan-step>       <Plan-step>

<RuleLet>MergeDataRule</RuleLet> <RuleLet> MergeDataRule </ RuleLet>

<InputType>KeywordsFromEPG</InputType> <InputType> KeywordsFromEPG </ InputType>

<InputType>KeywordsFromCaptions</InputType> <InputType> KeywordsFromCaptions </ InputType>

<OutputType>LiveTVKeywords</OutputType> <OutputType> LiveTVKeywords </ OutputType>

<Scope>Local</Scope> <Scope> Local </ Scope>

</Plan-step>       </ Plan-step>

</Plan></ Plan>

상술한 계획을 실행함으로써 획득된 키워드들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디스플레이 된 키워드들/후보 검색 질의들 중 하나는 "다중 리듬 드러밍"(Polyrthymic Drumming)이다. 사용자는 "다중 리듬 드러밍"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하지 못한 더 많은 관련된 영상을 보고자한다. 이러한 요청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력자(24)는 "다중 리듬 드러밍"를 키워드로 설정한 채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계획을 실행한다. "다중 리듬 드러밍" 키워드와 관련된 인터넷 소스(도 2의 66)상에서 사용 가능한 비디오들을 획득한다. "다중 리듬 드러밍"과 관련되는 이전에 녹화된 가정 내에서 사용가능한 비디오들을 확인한다. 이전 단계를 수행한 후의 결과로 생긴 리스트내에서 지역 소스(69)에서 이전부터 사용할 수 있었던 비디오들을 필터링한다. 상술한 계획에 관한 XML 버전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Keywords obtained by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plan are displayed to the user. One of the displayed keywords / candidate search queries is "Polyrthymic Drumming". The user selects "multiple rhythm drumming" and wants to see more related images that the user has not previously viewed. To resolve this request, the assistant 24 executes a plan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with "multiple rhythm drumming" set as a keyword. Obtain videos available on the Internet source (66 in FIG. 2) associated with the keyword "multiple rhythm drumming". Identify videos available in previously recorded homes related to "multiple rhythm drumming". Filter previously available videos from local source 69 in the resulting list after performing the previous step. An example of the XML version of the above-described plan is as follows.

<?xml version="1.0" ?>  <? xml version = "1.0"?>

<Plan><Plan>

<Plan-step>       <Plan-step>

<RuleLet>GetDataRule</RuleLet> <RuleLet> GetDataRule </ RuleLet>

<InputType>Keyword </InputType<InputType> Keyword </ InputType

<OutputType>RelatedVideos</OutputType> <OutputType> RelatedVideos </ OutputType>

<Scope>Internet</Scope> <Scope> Internet </ Scope>

</Plan-step>       </ Plan-step>

<Plan-step>       <Plan-step>

<RuleLet>GetDataRule</RuleLet> <RuleLet> GetDataRule </ RuleLet>

<InputType>Keyword </InputType><InputType> Keyword </ InputType>

<OutputType>RecordedVideos</OutputType> <OutputType> RecordedVideos </ OutputType>

<Scope>Local</Scope> <Scope> Local </ Scope>

</Plan-step>       </ Plan-step>

<Plan-step>       <Plan-step>

<RuleLet>GetContentNotInHomeRule</RuleLet> <RuleLet> GetContentNotInHomeRule </ RuleLet>

<InputType>RelatedVideos</InputType> <InputType> RelatedVideos </ InputType>

<InputType>RecordedVideos</InputType> <InputType> RecordedVideos </ InputType>

<OutputType>InternetVideosNotInHome</OutputType> <OutputType> InternetVideosNotInHome </ OutputType>

<Scope>Local</Scope> <Scope> Local </ Scope>

</Plan-step>       </ Plan-step>

</Plan></ Plan>

지역 소스(69)내에서 이전에는 사용할 수 없었던 관련된 인터넷 비디오들이 클라이언트 모듈상에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Relevant internet videos that were not previously available in local source 69 are displayed to the user on the client modu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환경 검색 조력자 시스템(Context-specific Search Facilitator system, 이하 CSF)(82)로 구현된 조력자 시스템에 관한 기능적 블록도(80)를 도시한다. CSF(82)는 상술한바와 같이 키워드 추출과 같은 질의 확인 기능 및 데이터 추출, 통합 및 상관 관계 설정과 같은 질의 결정 기능을 제공한다. CSF(82)는 데이터 소스들(81)로부터의 CE 장치 컨텐트와 인터넷 컨텐트에 끊임없이 검색 및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층을 포함한다. 6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80 of an assistance system implemented with a context-specific search facilitator system (CSF) 82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SF 82 provides query confirmation functions such as keyword extraction and query determination functions such as data extraction, integration and correlation setup as described above. CSF 82 includes various layers to allow for constant search and access to CE device content and Internet content from data sources 81.

CSF(82)는 데이터 및 질의 처리(data and query processing, 이하 DQP) 계층(83)을 포함한다. DQP(83)는 사용자 질의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며, 또한 그것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API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들(64)은 CSF(82)의 외부에 도시되어 있으나, CSF(82)의 구성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DQP(83)는 질의 실행 계획자(query execution planner, 이하 QEP)(84) 및 정보 소스 관리자(information source manager, 이하 ISM)(85)를 포함한다. CSF(82)는 데이터 실행(data excution, 이하 DE)계층(86)을 더 포함한다. DE(86)는 데이터 추출 관리자(data extraction manager, 이하 DEM)(87) 및 복수의 플러그인들(88)을 포함한다. CSF 82 includes a data and query processing (DQP) layer 83. DQP 83 assists in determining user queries and also provides APIs for client applications to make use of it. Client applications 64 are shown outside of CSF 82, but may be included as components of CSF 82. The DQP 83 includes a query execution planner (QEP) 84 and an information source manager (ISM) 85. CSF 82 further includes a data exclusion (DE) layer 86. DE 86 includes a data extraction manager (DEM) 87 and a plurality of plug-ins 88.

QEP(84)는 인터넷 상에서 사용가능한 관련된 데이터 및 지역적으로 사용가능한 데이터(즉, 장치(30) 및/또는 장치(20)에 저장된 데이터)의 검색 및 접근을 위하여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QEP(84)는 데이터 요청을 해결하는데 사용될 사전에 결정된 실행 계획을 포함하는 계획 라이브러리(89)를 운영한다. QEP(84)는 계획의 일부로써 실행되는 룰렛(90) 클래스들을 운영한다. QEP(84)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질의를 수신하면, QEP(84)는 계획 라이브러리(89)로부터 적절한 계획을 획득하여 이를 실행한다. 계획이 실행되는 동안, QEP(84)는 데이터 추출 계층(86)내의 플러그인들(88)을 사용하는 사용자가(ISM(85)를 통하여) 요청한 정보/컨텐트를 획득한다. ISM(85)는 각각의 데이터 추출 플러그인 컴포넌트가 추출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및 그렇게 하기 위한 플러그인(88)에 의하여 예측되는 입력된 데이터의 타입에 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디렉토리를 관리한다. 이는 특정 타입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러그인(88)을 QEP(84)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QEP 84 provides an interface for client applications for searching and accessing relevant data available on the Internet and locally available data (ie, data stored on device 30 and / or device 20). QEP 84 operates a plan library 89 that includes a predetermined execution plan to be used to resolve data requests. QEP 84 manages roulette 90 classes that are executed as part of the plan. When QEP 84 receives a query from a client application, QEP 84 obtains the appropriate plan from plan library 89 and executes it. While the plan is being executed, the QEP 84 obtains the information /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via ISM 85) using the plug-ins 88 in the data extraction layer 86. ISM 85 maintains a directory contain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data each data extraction plug-in component can extract and the type of input data predicted by plug-in 88 to do so. This allows QEP 84 to identify plug-ins 88 that provide a particular type of data.

DE(86)는 지역 및 인터넷 데이터 소스들(81)로부터 컨텐트/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많은 플러그인(88)들을 포함한다. 지역 데이터 소스들은 예를 들면 가정 장치들을 지칭한다. 인터넷 데이터 소스들은 'BarnesandNoble.com, Youtube.com'과 같은 시드 소스들 및 'Google, Yahoo'와 같은 인터넷 검색 엔진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플러그인(88)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능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웹 스크래퍼(scraper) 플러그인은 특정 웹 사이트들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2) 컨텐트 관리자 플러그인은 홈 장치들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3) 인터넷 비디오 검색 플러그인은 인터넷상의 비디오 컨텐트를 검색하거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4) 캡션 분석 플러그인은 TV 캡션으로부터 키워드들을 분석하고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5)EPG 플러그인은 TV 프로그램들로부터 EPG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DE 86 includes a number of plug-ins 88 for extracting content / information from local and Internet data sources 81. Local data sources refer to, for example, household devices. Internet data sources include seed sources such as 'BarnesandNoble.com, Youtube.com' and Internet search engines such as 'Google, Yahoo'. Functions provided by the various plug-ins 88 include the following. (1) Web scraper plug-ins allow you to extract specific information from specific web sites. (2) The Content Manager plug-in provides access to media content stored on home devices. (3) The Internet Video Search Plug-in allows you to search or access video content on the Internet. (4) Caption Analysis Plug-in allows to analyze and classify keywords from TV captions. (5) The EPG plug-in makes it possible to obtain EPG information from TV programs.

DE(86)는 플러그인(88)들을 관리하고, 최소한의 코드 변경을 통하여 새로운 플러그인들(88)이 삽입되거나 제거되도록 하며, 더 높은 계층의 컴포넌트들이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DE 86 manages plug-ins 88, allows new plug-ins 88 to be inserted or removed with minimal code changes, and provides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higher layer components to use plug-ins. do.

본 발명에 따른 CSF(82)에 의한 검색 조력 과정의 일 예로써, 인터넷에 접근하는 TV 시청자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트리샤는 그녀의 TV를 통하여 "드러밍 기술"에 관한 TV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으며, 이는 비디오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녀는 이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는 주제에 관하여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 한다. 특히, 방금 전에 언급된 "다중 리듬 드러밍"에 관하여 알고 싶어한다. 그녀는 TV 리모컨(31)을 누르고,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의 호스트를 검색한다. 클라이언트 모듈 스크린상의 UI 그래픽은 두 가지 메뉴를 제공한다. 하나의 메뉴(64A)는 CSF(82)의 질의 확인부에 의하여 수집된 TV 프로그램과 관련된 키워드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며, 첫 번째 키워드 "다중 리듬 드러밍"에 하이라이트가 위치한다. 다른 메뉴(64B)는 키워드 "다중 리듬 드러밍"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비디오들을 포함하는 웹 링크가 포함된 검색 결과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검색 결과는 CSF(82)의 질의 결정부에 의하여 수집된다. 트리샤는 이 메뉴상의 두 번째 링크가 "방법" 비디오임을 확인한다. 리모컨 상의 탐색 버튼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를 이 링크로 이동시키고, 비디오를 선택하고 감상하기 위하여 선택 버튼을 누른다. As an example of a search assistance process by the CSF 8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V viewer accessing the Internet is as follows. User Tricia is watching a TV program on "Druming Technology" through her TV, which is accomplished by video. She wants to know more about the topics covered in this program.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know about the "multiple rhythm drumming" just mentioned. She presses the TV remote control 31 and searches for a host of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he is watching. The UI graphic on the client module screen provides two menus. One menu 64A provides a list of keywords related to the TV program collected by the query confirmation unit of the CSF 82, with a highlight placed on the first keyword "multiple rhythm drumming." Another menu 64B shows a list of search results that include a web link including information and / or videos related to the keyword "multiple rhythm drumming." The search results are collected by the query deciding portion of the CSF 82. Trisha confirms that the second link on this menu is a "how to" video. Use the navigation buttons on the remote to move the highlight to this link and press the Select button to select and watch the video.

상술한 시나리오는 다음의 필수적인 특징들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어떤 시점에서도 텍스트나 질의어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상호 작용은 종래의 리모컨 상의 검색 버튼을 통한다. 둘째, 사용자는 검색 페이지 또는 검색어를 입력할 필요가 없이 몇 개의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원하는 관련 인터넷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같은 사용자의 환경은 적절한 컨텐트를 집중 검색하는데 도움을 준다.The scenario described above describes the following essential features. First, the user does not have to enter text or query terms at any point in time. The interaction is via a search button on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Second, the user can access the relevant relevant Internet information by pressing a few buttons without having to enter a search page or a search word. In such a scenario, the user's environment, such as the program being watched, helps to search for the appropriate content.

홈 네트워크와 같은 지역 네트워크 상의 CE 장치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The process of providing appropriate information to a user of a CE device on a local network, such as a home network, generally includes the following.

1. 음악을 듣거나,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과 같이 지역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의 현재 활동 사항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1. Gather information about your current activity on your local network, such as listening to music or watching TV programs.

2. 노래의 메타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TV 프로그램의 메타 데이터를 검색하는 등과 같이 지역 네트워크 상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2. Collect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ctivity on the local network, such as searching the song's metadata or searching the TV program's metadata.

3. 지역 네트워크 상의 장치와 같은 다른 소스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외부 소스들로부터의 정보로부터 상술한 단계에 의하여 획득한 정보와 밀접하게 관련되는(interrelated) 부가적인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노래 또는 TV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3.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above-mentioned steps from information from other sources such as devices on the local area network and / or external sources such as the Internet. For example,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a song or TV program.

4. 상술한 단계에서 획득된 정보의 상관 관계를 확인한다. 4. Check the correlation of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above-mentioned steps.

5. 지역 또는/ 및 인터넷과 같은 외부 소스내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관 관계를 이용한다. 5. Use correlations in forming queries to retrieve information from external sources such as regions or / and the Internet.

6. 검색 결과를 현재 사용자의 활동과 관련된 정보(즉, 사용자가 관심 있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6. The search results show the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user's activity (ie information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상관 관계를 확인하는 것은 다음의 방법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Confirming the correlation may be performed b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methods.

(1)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정보와 지역 소스들로부터 획득한 밀접하게 관련된 정보들 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한다. (1)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activity and closely rel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local sources.

(2) 현재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정보와 외부 소스들로부터 획득한 밀접하게 관련된 정보들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한다. (2)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user's activity and closely rel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external sources.

(3) 현재 사용자의 활동과 관련된 정보와 지역 및 외부 소스들로부터 획득된밀접하게 관련된 정보들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한다. (3)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user's activity and closely rel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local and external sources.

사용자의 현재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여야 하는 키의 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보 검색을 몇 개의 키들에 맵핑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일 예로, 검색을 리모컨의 키들에 맵핑한다. 그리고나서, CE 장치상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특정 정보가 획득된다. 이것은 컨텐트를 렌더링하는 CE 장치에 의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미디어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CE 또는 DVD내에 포함된 컨텐트의 길이 및 타입을 들 수 있다. In order to minimize the number of keys that the user must enter in order t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current activity, the function supports mapping of information retrieval to several keys. For example, search maps to keys on the remote control. Then,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ctivity on the CE device is obtained. This involves acquiring metadata contained in media that can only be accessed by the CE device that renders the content. For example, the length and type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E or DVD.

상기 과정은 수신/렌더링을 하는 CE 장치에 의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방송 스트림에 내재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타이틀 및 캡션들이다. 또한, 가정 네트워크상에서 이미 존재하는 컨텐트에 관한 정보가 획득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미 소유하고 있는 스팅의 노래 및 메타데이터이다. 또한,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적절하게 구조화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획득된다. 예를 들면, CD 데이터베이스(compact disk database, CDDB)로부터 사용자가 이미 소유한 노래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획득한다.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부분적으로 구조화(semi-structured)된 데이터로부터 부가적인 적절한 정보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inter movie database, IMDB) 및/또는 적절한 웹 페이지로부터 음악가의 전기를 획득한다. 또한,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구조화되지 않은 정보로부터 적절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뉴스에서 보도되는 주된 사건들로부터 위치에 관한 지리학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정보를 전달하는 웹 페이지의 주소이다. The process may further include acquiring information embedded in a broadcast stream accessible only by the CE device that receives / renders. For example, subtitles and captions.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content that already exists on the home network is obtained. For example, Sting's songs and metadata already owned by the user. In addition, information regarding appropriately structured data residing on the Internet is obtained. For example, metadata about a song already owned by a user is obtained from a compact disk database (CDDB). Additional relevant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partially semi-structured data present on the Internet. For example, a biography of the musician is obtained from an internet movie database (IMDB) and / or an appropriate web page. In addition, appropriat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unstructured information present on the Internet. For example, it is the address of a web page that conveys geographic,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from the main events reported in the news.

수집된/얻어진 정보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information at hand)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CE 장치를 동작시키면,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 형성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CE 장치에 입력하는 것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간의 상관 관계가 설정된다. 이는 사용자가 질의어를 생성하기 위한 필요를 최소화하거나, 질의어를 생성하기 위한 키보드의 사용을 최소화한다. Collected / obtained information defines information at hand. Nex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E device, a correl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user's input to the CE device and ready-to-use information to automatically perform query formation to retrieve relevant information. This minimizes the need for a user to generate a query or minimizes the use of a keyboard to generate a query.

다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부터, 정확한 검색을 위한 질의를 정재하기 위하여 인터넷 소스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홈 네트워크 컨텐트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간의 상관 관계가 설정된다. 질의 계획은 사용자의 입력을 요구함이 없이 인터넷 또는 다른 리소스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상에서 질의를 검색하기 위하여 실행된다. 질의 실행 결과는 검색 결과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보여 진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력을 요구함이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보이기 위하여 검색 결과로부터의 가장 적절한 정보가 선택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여질 정보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와 관련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있는 후보 정보를 포함한다. Next, from readily available information, a correl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ata extracted from the Internet source and the data extracted from the home network content in order to refine the query for accurate search. A query plan is executed to retrieve a query on an external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other resource without requiring user input. Query execution results are shown to the user in the form of search results. Preferably, the most appropriate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s is selected to be presented to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available immediately without requiring user input. Thus, the information to be shown to the user includes candidate information of interest to the user as it relates to information that is readily available.

사용자를 위하여 조력 검색하는 것에 관한 다른 예는 지역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의 현재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 지역 네트워크 상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것,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상황 정보와 밀접하게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 부가 정보, 환경 정보 및 사용자 활동 정보간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는 것, 사용자의 현재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를 형성하는데 상관 관계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Other examples of assisted search for a user include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current activity on the local network, obtaining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ctivity on the local network, user activity information and contextual information, and Obtaining closely related side information, obtaining correlations between side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user activity information, and using the correlation to form a query to retrie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current activity. .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지역 네트워크 및/또는 외부 소스들을 포함하는 소스들로부터 상황 정보와 밀접하게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사용자 활동 정보와 밀접하게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관 관계를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정보와 지역 소스들로부터 획득된 밀접하게 관련된 정보들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관 관계를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정보와 외부 소스들로부터 획득된 밀접하게 관련된 정보들 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정보와 지역 및 외부 소스들로부터 획득된 밀접하게 관련된 정보들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closely related to contextual information from sources including local network and / or external sources and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closely related to user activity information. Identifying the correlation may include verifying a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activity and closely rel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local sources. Identifying the correlation may include verifying a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activity and closely rel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external sources. Identifying the interrelationship may include verifying a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activity and closely rel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local and external sources.

질의를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입력 요청 없이 자동적으로 질의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질의는 사용자의 현재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실행된다. 질의를 실행하는 것은 지역 네트워크 및/또는 외부 소스들 상에서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질의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검색 결과는 CE 장치와 같은 장치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보여 진다. Forming a query includes automatically forming a query without requesting input from the user. The query is run to obtain a search result that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current activity. Executing the query includes executing the query to retrieve relevant information on the local network and / or external sources. The search results are shown to the user at this stage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 the device, such as the CE device.

지역 네트워크 상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장치로의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것,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외부의 구조화된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부가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지역 미디어 컨텐트 소스들로부터 사용자가 관심있는 적절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activity on the local network includes obtaining information from user input to the device, and obtaining information from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network.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from external structured data sources.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obtaining appropriate additional information of interest to the user from local media content sources.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외부의 조직화되지 않은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 외부의 부분적으로 조직화된(semi-structured)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것, 외부의 방송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quiring side information includes acquiring side information from external, unorganized data sources, acquiring information from external, semi-structured data sources, and from external broadcast data sources. May include obtaining information.

지역 네트워크 내에서의 현재 사용자 활동에 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지역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가능한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의를 형성하는 것은 질의 형성을 위한 상황을 결정하기 위하여 지역 네트워크 상의 컨텐트와 관련된 메타데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질의 형성을 위한 상황을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입력을 요청함이 없이 네트워크 내의 컨텐트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및 지역 네트워크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는 사용자의 현재 활동 또는 관심사와 관련된 정보를 위하여 인터넷을 검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술한 과정들은 또한 CE 장치들의 사용자가 인터넷으로의 개선된 접근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Obtaining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current user activity within the local area network may include obtaining relevant metadata available on the local area network. As such, forming the query may include using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on the local network to determine a situation for forming the query. In addition, determining the context for query formation may include using metadata associated with content in the network and information from applications on the local network without requesting user input. Queries can be used to search the Internet for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s current activity or interests. As such, the processes described above can also enable a user of CE devices to have improved access to the Internet.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조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미디어에 저장된 프로그램 매체, 방법이 구현된 컴퓨터, 논리 회로,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는 집적 회로, 펌웨어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호되는 특정 버전을 참고하여 사용가능한 범위내에서 서술되었으나, 다른 버전도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 및 사상은 여기에 포함된 선호되는 버전의 설명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s the above-described program instructions executed by a processor, a program mediu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a computer on which a method is implemented, and a logic circuit. It can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firmware, or the like for describing an applica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in the scope of use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version preferred, other vers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and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versions contained herein.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for example, a CD-ROM, a DVD, etc.)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he Internet). Storage medium).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입력 요청 없이 자동적으로 질의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CE 장치들의 사용자가 인터넷으로의 개선된 접근을 가능하도록 한다. By automatically forming a query without a user's request for input, it allows a user of CE devices to have improved access to the Intern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정보 검색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1 illustrates a network implementing a method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retrieval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retrie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과 관련된 전체적인 단계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3 shows a flowchart of the overall steps involved in a method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retrie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선택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keyword se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나이징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orqueiz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행 계획을 사용하여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searching using an execution pla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potential)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추출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collec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information about user interests; Identifying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Extracting data related to th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And collecting the relevant data extracted for presentation to the user on the device.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는, 컨텐트로의 사용자 접근을 감시하는 단계; 정보 추출을 위한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추출 법칙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트에 관한 메타데이터로부터 핵심(key)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dentifying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includes: monitoring user access to content; Selecting a set of extraction laws for extracting information; And extracting key information from metadata regarding the content based on the selected extraction rule.

상기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의 타입에 기초하여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electing the set of extraction laws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 set of extraction laws based on the type of content.

상기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 타입에 기초하여 법칙 라이브러리(rule library)로부터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법칙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키워드들을 추출하기 위한 법칙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Selecting the set of extraction laws further includes selecting a set of extraction laws from a rule library based on the content type, wherein the law library is a list of rules for extracting various keywords. It may include.

상기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interests may include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activity on the device.

상기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지역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상황(contextual)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interests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ctivity of the user on a local network.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될 상기 관련된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stablishing a correlation of the related data to be displayed to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extract)하는 단계는, 관심있는 데이터의 후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search)하기 위한 질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Extracting data related to th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may include forming a query to search the related data based on candidates of the data of interest.

상기 지역 네트워크 및 외부 소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ecuting a query to retrieve relate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local network and an external source.

상기 장치는, C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vice may comprise a CE device.

상기 질의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관련된 데이터를 위하여 인터넷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Executing the query may include searching the Internet for the related data.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사용자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도록 구성된 확인부;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부; 및 상기 장치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상기 추출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nfigured to identify information about user interests; A verification unit configured to identify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An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data related to th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And a collecting unit configured to collect the extracted related data for showing to the user on the device.

Claims (25)

CE 장치의 사용자가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allowing a user of a CE device to easily retrieve information, 사용자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Ob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user interests;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potential)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Identifying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data related to th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And 상기 장치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collec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Collecting the extracted related data for presentation to the user on th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dentifying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comprises: 컨텐트로의 사용자 접근을 감시하는 단계;Monitoring user access to the content; 정보 추출을 위하여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및Selecting a set of extraction laws for extracting information; And 상기 선택된 추출 법칙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트에 관한 메타데이터로부터 핵심(key)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Extracting key information from metadata regarding the content based on the selected extraction ru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lecting of the set of extraction laws comprises: 상기 컨텐트의 타입에 기초하여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Selecting a set of extraction laws based on the type of conten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는,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electing a set of extraction laws comprises: 상기 컨텐트 타입에 기초하여 법칙 라이브러리(rule library)로부터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Selecting a set of extraction rules from a rule library based on the content type, 상기 법칙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키워드들을 추출하기 위한 법칙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law library comprises a list of rules for extracting various keywor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btaining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interest of the user comprises: 상기 장치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ctivity of the user on the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btaining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interest of the user comprises: 지역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상황(contextual)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Obtaining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ctivity of the user on a local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될 상기 관련된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Establishing a correlation of said related data to be displayed to said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extract)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xtracting data related to th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comprises: 관심있는 데이터의 후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search)하기 위한 질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orming a query for searching the related data based on candidates of the data of interest.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역 네트워크 및 외부 소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Executing a query to retrieve relevant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local network and an external sour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evice, CE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 CE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를 실행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executing the query comprises: 상기 관련된 데이터를 위하여 인터넷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Searching the Internet for the related data. CE 장치의 사용자가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A device for allowing a user of a CE device to easily retrieve information, 사용자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수집부;An information collector configured to identify information about user interests;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도록 구성된 확인부;A verification unit configured to identify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부; 및An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data related to th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And 상기 장치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상기 추출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nd a collecting unit configured to collect the extracted related data for showing to the user on the devic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dentification unit, 컨텐트로의 사용자 접근을 감시하고, 정보 추출을 위하여 추출 법칙들의 집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추출 법칙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트에 관한 메타데이터로부터 핵심(key)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Monitoring user access to content, selecting a set of extraction laws for information extraction, and extracting key information from metadata about the content based on the selected extraction law to obtain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And further configured to check.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identification unit, 상기 컨텐트 타입에 기초하여 추출 법칙의 집합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select a set of extraction rules based on the content typ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dentification unit, 상기 컨텐트 타입에 기초하여 법칙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 법칙의 집합을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Select a set of extraction rules from a law library based on the content type, 상기 법칙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키워드들을 추출하기 위한 법칙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rule library includes a list of rules for extracting various keywords.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상기 장치상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terest by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activity on the devic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상기 지역 네트워크상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obtain information about user interests by obtaining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a user's current activity on the local network.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llecting unit,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될 상기 관련된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설정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o correlate the related data to be displayed to the us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extraction unit, 관심있는 데이터의 후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를 형성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form a query to retrieve the related data based on candidates of the data of interest.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extraction unit, 상기 지역 네트워크 및/또는 외부 소스에서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를 실행시키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execute a query to retrieve relevant information from the local network and / or external source.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device, CE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 device comprising a CE devic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extraction unit, 상기 관련된 데이터를 위하여 인터넷을 검색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nd further search the Internet for the related data. 사용자가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In a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retrieve information, 컨텐트로의 접근을 위한 전자 장치; 및 An electronic device for access to content; And 조력자(facilitator)를 포함하고, Including facilitator, 상기 조력자는, The assistant, 상기 사용자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정보 수집부;An information collector configured to identify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terests;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도록 구성된 확인부;A verification unit configured to identify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부; 및An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data related to th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And 상기 장치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추출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 collector configured to collect relevant data extracted for presentation to the user on the device. 제 1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 CE 장치의 사용자가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하도록 하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 에 있어서,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allowing a user of a CE device to easily retrieve information, 사용자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Ob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user interests;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후보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Identifying candidat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data related to the data of interest to the user; And 상기 장치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상기 추출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Collecting the extracted related data for presentation to the user on the device.
KR20087025301A 2007-01-29 2008-01-29 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KR1014804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825707P 2007-01-29 2007-01-29
US60/898,257 2007-01-29
US11/969,778 US8200688B2 (en) 2006-03-07 2008-01-04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US11/969,778 2008-01-04
PCT/KR2008/000537 WO2008093989A1 (en) 2007-01-29 2008-01-29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402A true KR20090107402A (en) 2009-10-13
KR101480411B1 KR101480411B1 (en) 2015-01-12

Family

ID=4153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25301A KR101480411B1 (en) 2007-01-29 2008-01-29 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4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1041B2 (en) 2010-04-12 2014-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mantic-based search and semantic metadata providing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486B1 (en) * 2000-07-08 2004-03-02 주식회사 라스이십일 System for providing network-based personalization service having a analysis function of user disposition
KR20040052339A (en) * 2002-12-16 2004-06-23 전자부품연구원 The targeting service method of 3D mesh content based on MPEG-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1041B2 (en) 2010-04-12 2014-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mantic-based search and semantic metadata providing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411B1 (en)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20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US88434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to a user of a device in a local network
US200801836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US89352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ual search and query refinement on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US81760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ggesting search queries on electronic devices
US8510453B2 (en) Framework for correlating content on a local network with information on an external network
JP55233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pre-processing potential user queries related to content in a network
US85778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arch of content
US90641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electronic content
US200802352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 result snippet analysis for query expansion and result filtering
US89724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ents aggregation and carryover in word pages
US200702141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application and presenting information thereon
US200900553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based on metadata information
US20090043739A1 (en) Method of displaying customized data and browser agent
US200802088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supplementary device
Messer et al. SeeNSearch: A context directed search facilitator for home entertainment devices
KR1009163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ation of music and moving video based on audio signal processing
KR101480411B1 (en) 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information searching on electronic devices
JP2008262468A (en) Content retrieval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content retrieval reques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tent retrieval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Zhang et al. An optimal pairing scheme in associative memory classifier and its application in character recognition
KR20130066045A (en) Apparatus for retrievaling contents using watching preferenc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