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958A - Seat-Linked footrest - Google Patents

Seat-Linked foot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958A
KR20090106958A KR1020080032390A KR20080032390A KR20090106958A KR 20090106958 A KR20090106958 A KR 20090106958A KR 1020080032390 A KR1020080032390 A KR 1020080032390A KR 20080032390 A KR20080032390 A KR 20080032390A KR 20090106958 A KR20090106958 A KR 20090106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ootrest
horizontal bar
plat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25953B1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953B1/en
Publication of KR2009010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47C16/025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adjustable, swivelling, r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Abstract

PURPOSE: A seat linked footrest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automatically drawn the footrest when the front seat is moved forward. CONSTITUTION: A seat linked footrest comprises a foot rest plate, a bracket, and a seat linkage type driving device. The foot rest plate(11) is to rest the feet of the back seat passenger. The bracket(12) supports the front-end of the foot rest plate. The bracket elevates while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slot(12a). The seat linkage type driving device(13) is connected between the front seat and footrest so it pulls or pushes the footrest plate when the front seat moves forward or backward.

Description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Seat-Linked footrest}Seat-linked footrest {Seat-Linked footres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풋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석과 후석 사이에 설치되어 후석의 승객이 발을 편안히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자동차용 후석 풋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foot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bile rearrest footrest provided between a front seat and a rear seat of a vehicle so that passengers of the rear seat can comfortably place their feet.

자동차의 풋레스트는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발을 편안히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주로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운전석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footrest of the vehicle is provided so that passengers seated on the seat can rest their feet comfortably, and it is gener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river's seat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최근에 생산되는 고급차의 경우에는 후석(後席)에 착석한 승객의 거주 자세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다양한 구성의 풋레스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거나, 반대로 설치비용을 줄이기 위해 고급감이 떨어지는 간단한 구성으로만 설치되어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Recently produced luxury car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footrests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attitude of passengers seated in the rear seats, and in most cases, the installation cost is excessive because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On the contrary, in order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it is a fact that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in use because it is installed only in a simple configuration with low quality.

후석의 풋레스트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2007-8566호에는 전석(前席)과 후석 사이의 바닥에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한 풋레스트가 개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prior art for the footrest of the rear seat, Patent Publication No. 2007-8566 discloses a footrest capable of sliding back and forth on the floor between the front seat and the rear seat.

그러나 풋레스트 및 그 구동을 위한 구성이 전체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전석과 후석 사이에 풋레스트가 배치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풋레스트의 전후 슬라이딩을 위해 별도의 트랙이 설치되어야 하고, 각도 조절을 위해 별도의 모터가 설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설치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ootrest and its configuration for driving are very complicated as a whole, and the footrest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eats occupy a lot of space. In particular, a separate track must be installed for the front and rear sliding of the footrest, and a separate motor must be installed for the angle adjustment,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excessive due to such a complicated configuration.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1998-51531호에는 후석의 플로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와 기어의 구동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풋레스트가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prior art,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51531 discloses a footrest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loor of a rear seat so that angle adjustment is possible by driving a motor and a gear.

그러나 이 또한 풋레스트 및 구동부의 구성이 복잡하고, 특히 풋레스트의 각도 조절을 위한 고가의 모터가 필요하므로 설치비용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footrest and the driving unit is complicated, and in particular, an expensive moto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ootrest is required.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00-12669호에는 시트 쿠션의 하부에 수납되는 풋레스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시트 쿠션의 하부에 설치된 풋레스트를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수조작을 통해 인출 및 수납해야 하므로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utility model No. 2000-12669 discloses a footrest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but the user has to bend out and store the footrest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by hand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greatly fall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전석의 시트 이동에 연동하여 자동 인출 및 수납시킬 수 있고, 시트 이동만을 통해 쉽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및 설치비용 절감, 설치공간 축소 등의 여러 장점이 있는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can be automatically withdrawn and stored in conjunction with the seat movement of the seat without a separate actuator by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the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only through the sheet movemen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eat interlocking footrest with several advantages, such as user convenience, reduced installation cost, and reduced installation spa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거치하게 되는 풋레스트 플레이트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슬롯을 따라 전후로 안내하면서 승/하강시키는 브라켓과;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와 전석 사이에 연결되어 전석의 전후 이동시에 풋레스트 플레이트를 당겨주거나 밀어주어 풋레스트 플레이트를 전후로 이동 및 승/하강시키는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plate that the user seated in the rear seat is mounted on the foot;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and simultaneously moving up and down along a slot; The seat-linked footrest is connected between the footrest plate and all seats, including a seat-linked drive mechanism for moving and lifting / lowering the footrest plate forward and backward by pulling or pushing the footrest plate dur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at. to provid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는, 전석의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전석의 전후 이동시에 일체로 전후 이동하는 제1수평바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전단부와 결합된 제2수평바와; 상기 제1수평바와 제2수평바 사이에 연결되어 제1수평바의 전후 이동시에 제2수평바를 매개로 풋레스트 플레이트를 당겨주거나 밀어주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at-linked drive mechanism, the first horizontal bar coupled to the seat frame of the seat is moved back and forth integrally when the front and back movement of the seat; A second horizontal bar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And a link connect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ar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to pull or push the footrest plate through the second horizontal bar when the first horizontal bar moves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상기 제2수평바는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전단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양단부에 롤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롤베어링이 상기 브라켓의 슬롯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orizontal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 bearing is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stat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the roll bearing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bracket is guided.

또한 상기 브라켓에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전후로 안내하면서 승/하강시키기 위한 호형(弧形)의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c-shaped slots for lifting up / down while guid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ootrest plate is form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seat interlocking foo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링크 구조를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전석의 시트 이동에 연동하여 자동 인출 및 수납시킬 수 있으며, 간단히 전석의 시트 이동만을 통해 각도 조절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1) By the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using the link structure can be automatically withdrawn and stored in conjunction with the seat movement of the seat without a separate actua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simply through the seat movement of the seat.

2) 종래기술에서는 풋레스트를 사용하기 위해 전석의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풋레스트를 인출하는 동작이 분리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풋레스트에서는 전석의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인출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2) In the prior art, the operation of moving the seat of the seat forward and the operation of withdrawing the footrest was separated in order to use the footrest, but in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drawn out when the seat of the seat moves forward User convenience is greatly improved.

3) 본 발명의 풋레스트를 적용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3) If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due to the simple configur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이하,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첨부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풋레스트의 구성 및 작동 전,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작동 전 상태, 즉 사용 전에 풋레스트 플레이트가 플로어 바닥면에 접해 있는 상태(플로어 수납홈에 수납된 상태)를, 도 2는 작동 후 상태, 즉 전석의 전방 이동에 연동하여 풋레스트 플레이트가 자동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otrest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that is, the footrest plate on the floor bottom before use In the contacted state (stored in the floor receiving groove), FIG. 2 shows the state after the operation, that is, the footrest plate is automatically drawn out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movement of all seats.

또한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가 전석의 시트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 및 풋레스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석의 전후 이동 및 위치에 따른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작동상태 및 각도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interlocking drive mechanism coupled to the seat frame of the seat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footres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sea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and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footrest pl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본 발명은 전석(1)과 후석(2) 사이에 설치되어 후석에 착석한 승객이 발을 편안히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석 전용의 풋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 전에는 후석의 승객이 발을 거치하도록 된 풋레스트 플레이트(11)가 플로어 바닥면의 수납홈(도 4에서 도면부호 4임)에 수납되어 있게 되나, 전석(1)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풋레스트 플레이트(11)가 자동 상승함으로써 후석(2)의 승객이 발을 거치할 수 있도록 인출되는 구성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rest for a rear seat provided between the front seat (1) and the rear seat (2) so that the passenger seated in the rear seat can comfortably put the foot, so that the passenger of the rear seat to mount the foot before use The footrest plate 11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groove (reference numeral 4 in FIG. 4) of the floor bottom, but when the seat 1 moves forward, the footrest plate 11 is automat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a configuration that is drawn out so that the passengers of the rear seat (2) can mount the foot.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풋레스트는, 후석(2)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거치하게 되는 풋레스트 플레이트(11)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전후로 안내하면서 승/하강시키는 브라켓(12)과,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와 전석(1)의 시트 프레임(또는 쿠션 프레임)(1a) 사이에 연결되어 전석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를 당겨주거나 밀어주어 풋레스트 플레이트(11)를 상기 브라켓(12)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되면서 자동 상승 및 인출되도록 구동시켜주는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oo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footrest plate 11 and the footrest plate 11 on which the user seated on the rear seat 2 and the footrest plate 11 are supported. The footrest is connec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footrest plate 11 and the seat frame (or cushion frame) 1a of the front seat 1 while moving up and down while moving the front and rear seats. It comprises a seat interlocking drive mechanism 13 for driving the footrest plate 11 to be automatically raised and drawn out while being guided forward by the bracket 12 by pulling or pushing the front end of the plate 11. .

우선 상기 브라켓(12)은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 양 측단을 잡아줄 수 있도록 플로어(3)상의 좌우 양측에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2)의 상부에는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를 전방 이동과 동시에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호형(弧形)의 슬롯(12a)이 길게 형성된다.First, the bracket 12 is install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or 3 so as to hold both ends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ootrest plate 1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12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otrest plate 11. An arc-shaped slot 12a is elongated to guide the front end portion upward while simultaneously moving forward.

또한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는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13)의 제2수평바(15)에 결합되고, 상기 제2수평바(15)의 양단부에는 브라켓(12)의 슬롯(12a)에 삽입되어 슬롯을 따라 안내되는 롤베어링(15a)이 설치되며,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와 브라켓(12)이 제2수평바(15) 및 롤베어링(15a)에 의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is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of the seat-linked drive mechanism 13, the slot 12a of the bracket 12 on both ends of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The roll bearing 15a is inserted into and guided along the slot, and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and the bracket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and the roll bearing 15a. It is.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에는 전석(1)의 시트 프레임(1a)과의 사이에 연결 구성되는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13)가 설치되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는 전석(1)의 시트 프레임(1a)에 결합되어 전석의 전 후 이동시에 일체로 전후 이동하는 제1수평바(14)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와 결합된 제2수평바(15)와, 상기 제1수평바(14)와 제2수평바(15) 사이에 전후로 연결되어 제1수평바(14)의 전후 이동시에 제2수평바(15)를 매개로 풋레스트 플레이트(11)를 당겨주거나 밀어주는 링크(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is provided with a seat-linked drive mechanism 1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seat frame 1a of the seat 1, the seat-linked drive mechanism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horizontal bar 14 is coupled to the seat frame (1a) of the front seat (1)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tegrally when moving back and forth of the seat, and the second horizontal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A footrest is connect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bar 15 and the first horizontal bar 14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so as t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ar 14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through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And a link 16 for pulling or pushing the plate 11.

여기서 제1수평바(14) 및 제2수평바(15)와, 이들을 연결하는 링크(16)의 연결부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2수평바(15)의 중앙부에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Her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bar 14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and the link 16 connecting them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a footrest plate (at the center of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The front end of 11 is connec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13)의 제1수평바(14)는 양단부가 전석(1)의 시트 프레임(또는 쿠션 프레임)(1a)에 고정 결합되며, 이에 전석의 전후 이동시에 제1수평바(14)가 시트 프레임(1a)과 일체로 전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rizontal bar 14 of the seat interlocking drive mechanism 13 has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seat frame (or cushion frame) 1a of the front seat 1, thereby front and rear of the seat. At the time of movement, the first horizontal bar 14 can move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seat frame 1a.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전석(1)의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시트 프레임(또는 쿠션 프레임)(1a)에 고정된 제1수평바(14)는 전석의 시트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수평바(15)는 롤베어링(15a)에 의해 플로어(1)에 고정된 브라켓(12)의 슬롯(12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한다.First, when the seat of the front seat 1 is moved forward, the first horizontal bar 14 fixed to the seat frame (or cushion frame) 1a moves forward together with the seat of the front seat,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 Moves forward along the slot 12a of the bracket 12 fixed to the floor 1 by the roll bearing 15a.

이때 제2수평바(15)에 결합된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도 슬롯(12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고,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후단부는 플로어 수납홈(4)의 바닥면과 접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전방 이동한다.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also moves forward along the slot 12a, and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is the bottom of the floor receiving groove 4. It moves forward while slid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이와 같이 전석(1)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 단부가 브라켓(12)의 슬롯(12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고, 또한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후단부가 플로어 수납홈(4) 바닥면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므로,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가 전방으로 많이 이동할수록,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전단부 높이가 높아질수록,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각도(풋레스트의 각도)가 증가하게 된다.Thus, when the front seat 1 sheet moves forward,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moves forward along the slot 12a of the bracket 12, and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Since the sliding motion moves forward along the bottom of the floor receiving groove 4, the more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moves forward, the higher the height of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the angle of the footrest plate (footrest) Angle) increases.

즉 전석 시트의 전방 이동량을 조절함에 따라 풋레스트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며, 원하는 풋레스트의 각도가 나올 때까지 전석의 시트를 앞으로 충분히 이동시키고 발을 거치하게 된다. That is, the angle of the footres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forward movement of the seat, and the seat of the seat is sufficiently moved forward and the foot is mounted until the desired footrest angle comes out.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풋레스트는 링크 구조를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전석의 시트 이동에 연동하여 자동 인출 및 수납시킬 수 있으며, 간단히 전석의 시트 이동만을 통해 각도 조절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is way,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utomatically withdrawn and stored in conjunction with the seat movement of the seat without a separate actuator by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using a link structure, the angle can be adjusted simply by moving only the seat of the seat It is.

특히 종래기술에서는 풋레스트를 사용하기 위해 전석의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풋레스트를 인출하는 동작이 분리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풋레스트에서는 전석의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인출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Particularly in the prior art, the operation of moving the seat of the seat forward and the operation of drawing out the footrest were separated in order to use the footrest, but in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of the seat is automatically drawn out when it moves forward. The convenience is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풋레스트를 적용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if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due to a simple configur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 의 원리를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a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erely represent some of various embodiments to whic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풋레스트의 구성 및 작동 전,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ootrest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가 전석의 시트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 및 풋레스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ootrest and the seat interlocking drive mechanism coupled to the seat frame of the sea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석의 전후 이동 및 위치에 따른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작동상태 및 각도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and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footrest plate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nd position of the front sea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풋레스트 플레이트 12 : 브라켓11: footrest plate 12: bracket

12a : 슬롯 13 :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12a: slot 13: seat linkage drive mechanism

14 : 제1수평바 15 : 제2수평바14: first horizontal bar 15: second horizontal bar

16 : 링크16: link

Claims (4)

후석(2)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거치하게 되는 풋레스트 플레이트(11)와;A footrest plate 11 on which the user seated on the rear seat 2 mounts the foot;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슬롯(12a)을 따라 전후로 안내하면서 승/하강시키는 브라켓(12)과;A bracket 12 supporting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and simultaneously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slot 12a;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1)와 전석(1) 사이에 연결되어 전석(1)의 전후 이동시에 풋레스트 플레이트(11)를 당겨주거나 밀어주어 풋레스트 플레이트(11)를 전후로 이동 및 승/하강시키는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13);The seat is connected between the footrest plate 11 and the front seat 1 to move or lift and lower the foot rest plate 11 forward and backward by pulling or pushing the foot rest plate 11 when the front seat 1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terlocking drive mechanism 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Seat interlocking footres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시트 연동형 구동기구(13)는 The seat interlocking drive mechanism 13 전석(1)의 시트 프레임(1a)에 결합되어 전석의 전후 이동시에 일체로 전후 이동하는 제1수평바(14)와;A first horizontal bar (14) coupled to the seat frame (1a) of the front seat (1) and integrally moved back and forth dur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ront seat;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와 결합된 제2수평바(15)와;A second horizontal bar 15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상기 제1수평바(14)와 제2수평바(15) 사이에 연결되어 제1수평바(14)의 전후 이동시에 제2수평바(15)를 매개로 풋레스트 플레이트(11)를 당겨주거나 밀어주는 링크(16);The footrest plate 11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ar 14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to pull the footrest plate 11 through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when the first horizontal bar 14 moves forward and backward. A pushing link 1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Seat-linked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제2수평바(15)는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양단부에 롤베어링(15a)이 설치되고, 상기 롤베어링(15a)이 상기 브라켓(12)의 슬롯(12a)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horizontal bar 15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plate 11, roll bearings 15a are installed at both ends, and the roll bearings 15a are slots 12a of the bracket 12. Seat interlocking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is insert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브라켓(12)에 풋레스트 플레이트(11)의 전단부를 전후로 안내하면서 승/하강시키기 위한 호형(弧形)의 슬롯(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Seat bracket-type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bracket (12) of the arc-shaped slot (12a) for raising and lowering while guid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ootrest plate (11).
KR1020080032390A 2008-04-07 2008-04-07 Seat-Linked footrest KR100925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90A KR100925953B1 (en) 2008-04-07 2008-04-07 Seat-Linked foot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90A KR100925953B1 (en) 2008-04-07 2008-04-07 Seat-Linked foot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58A true KR20090106958A (en) 2009-10-12
KR100925953B1 KR100925953B1 (en) 2009-11-09

Family

ID=4153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390A KR100925953B1 (en) 2008-04-07 2008-04-07 Seat-Linked foot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9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68U (en)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Led pain and inflammation relief pat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5494A1 (en) 2020-09-30 2022-03-3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hicle seat with a foot and/or calf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695A (en) * 2001-02-15 2002-08-27 Minebea Co Ltd Footrest device of sheet for vehicle
JP2007237769A (en) * 2006-03-06 2007-09-20 Tachi S Co Ltd Footres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68U (en)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Led pain and inflammation relief p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953B1 (en) 2009-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3385B2 (en) Automotive seat device
US7517019B2 (en) Vehicle driving posture adjusting device
US6364415B1 (en) Head rest for vehicle seat
US6817645B2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US5048886A (en) Power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s
US8708408B2 (e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US7533936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20100026068A1 (en) Apparatus for tilting vehicle seat cushion
JP2006340735A (en) Tip-up automotive seat provided with interlocking mechanism
CN103153692A (en) Longitudinally adjustable vehicle seat
JP2005199993A (en) Seat device of vehicle
JP2006502042A (en) Adjustable pedal unit for automobile
KR100925953B1 (en) Seat-Linked footrest
JP2006273021A (en) Seat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automobile
CN211468229U (en) Chair back
JP3894169B2 (en) Vehicle seat
JP4244773B2 (en) Vehicle seat
JPS5911796Y2 (en) Posture adjustable power seat
JP4618063B2 (en) Wheelchair step device
JP4290499B2 (en) Seat device and vehicle seat using the same
CN217793616U (en) Concealed elevator
KR20120032201A (en) 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JP3915751B2 (en) Vehicle seat
JP2008049846A (en) Automotive seat device
KR100287330B1 (en) Automotive power seat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