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250A -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250A
KR20090106250A KR1020080031831A KR20080031831A KR20090106250A KR 20090106250 A KR20090106250 A KR 20090106250A KR 1020080031831 A KR1020080031831 A KR 1020080031831A KR 20080031831 A KR20080031831 A KR 20080031831A KR 20090106250 A KR20090106250 A KR 2009010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ing
mail
spam
spam ma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180B1 (ko
Inventor
최원효
양병석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8003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18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수행 결과 스팸메일로서 판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관하여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근거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스팸 메일, 필터링, OCR

Description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FILTERING SPAM MAIL}
본 발명은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스팸메일에 대하여 신규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메일(E-mail)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컴퓨터 사용자 간에 편지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수단인데, 근래에 들어, 업무 및 개인 용도의 메시지 교환 수단으로서 전자메일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수신된 전자메일의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전자메일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그 비중이 커짐에 따라서, 광고 등의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대량으로 전달되는 전자메일인 스팸메일과 관련된 문제 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즉, 전자메일 서비스의 사용자는 불필요하게 대량의 스팸메일을 수신하게 되고, 스팸메일을 확인하거나 삭제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스팸메일은 하루에도 수십 통씩 수신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 스팸메일은 여간 귀찮은 존재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스팸메일이 수신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 이외에도, 스팸메일이 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 등의 악성 코드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유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도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스팸메일로 인한 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표적으로는, 스팸메일의 공통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즉, 전자메일의 제목이나 내용에 특정 단어 등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필터링하는 기술과, 스팸메일을 발신했던 것으로 신고된 도메인 또는 전자메일 주소에 대한 블랙 리스트를 작성하여 이러한 도메인 또는 전자메일 주소로부터 수신된 전자메일을 차단하는 기술 등이 있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전자메일에 포함된 텍스트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메일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해 문자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스팸메일을 필터링하는 기술도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팸메일을 필터링하는 과정은 전자메일 시스템의 내부에서 이루지는 것이므로, 전자메일 서비스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팸메일을 필터링하는 기준이나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팸메일의 필터링이 자신의 의사와 부합하여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떤지에 대한 확신을 갖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스팸메일을 필터링하는 기술의 정확도에는 한계가 있으며, 종종 정상적인 메일이 스팸메일로 잘못 필터링되는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자메일 서비스의 사용자는, 스팸메일로 필터링된 전자메일 중에 정상적인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노력과 시간을 따로 들여야 한다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팸메일을 필터링하는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스팸메일 필터링에 관한 근거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전자메일 시스템의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해 신뢰감을 갖도록 하고, 사용자가 스팸메일로서 필터링된 전자메일 중에서 정상적인 전자메일을 검색해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스팸메일 필터링에 관한 근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이 되는 문자열이나 기준값을 지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스팸메일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수행 결과 스팸메일로서 판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관하여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근거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수행 결과 스팸메일로서 판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관하여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필터링 근거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팸메일 서비스의 사용자가 전자메일 시스템의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해 신뢰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팸메일로서 필터링된 전자메일 중에서 정상적인 전자메일을 검색해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이 되는 문자열이나 기준값을 지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가 충족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팸메일이란, 전자메일에 포함된 내용이나 전자메일 수신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전자메일을 말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스팸메일은, 광고를 목적으로 전송되는 전자메일은 물론이고,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 등의 악성 코드를 유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전송되는 전자메일까지도 포괄하는 최광의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이란, 스캐너 혹은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에 포 함된, 손으로 쓴 문자나 인쇄된 문자를 컴퓨터 등의 디지털 기기로 판독 가능한 문자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근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네트워크(100), 네트워크(100)에 연결되어 스팸메일의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200), 서버(200)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300) 및 네트워크(100)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10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네트워크(10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200)는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400) 및 각종 메일 서버(미도시됨)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네트워크 포털 사이트의 메일 서버일 수 있는데, 이때, 서버(200)는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400)나 각종 메일 서버로부터 전자메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을 데이터베이 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와 같은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근거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수신된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은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서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00)에는,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400)나 각종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자메일 및 상기 전자메일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00)는 메일 데이터베이스(310), 단어 데이터베이스(320), 주소 데이터베이스(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일 데이터베이스(310)에는 서버(200)에 수신된 전자메일의 제목, 본문, 첨부 파일, 이미지 등 전자메일에 포함된 일체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어 데이터베이스(320)에는 서버(200)에 수신된 전자메일의 제목이나 본문에 포함된 단어 및 전자메일에 첨부된 이미지에 대하여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얻어진 단어 등이 저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이 되는 단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단어 데이터베이스(320)에는 어학적으로 완결된 하나의 단위인 단어만 저장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이 될 수 있는 문자열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단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는 단어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주소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서버(200)에 수신된 전자메일의 주소가 저장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팸메일이 발신된 바 있는 도메인이나 전자메일의 주소가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300)는 서버(200)와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0)는 서버(2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300)란,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컴퓨터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단순한 연산 처리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300)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사용자가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서버(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 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네트워크(1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200)에 연동된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전자메일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이용하여 서버(200)로부터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근거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메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서버(200)로부터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서버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필터링부(210), 필터링 근거 제공부(220), 필터링 기준 수정부(또는 필터링 기준 변경부)(230), 스팸메일 관리부(240), 통신부(250), 인터페이스부(260) 및 제어부(270)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부(210), 필터링 근거 제공부(220), 필터링 기준 수정부(230), 스팸메일 관리부(240), 통신부(250), 인터페이스부(260) 및 제어부(27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4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부(210)는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서버(200)에 수신된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한다. 필터링부(210)가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예로서, 전자메일의 제목이나 내용에 특정 단어 등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필터링하는 공지의 기술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스팸메일을 발신한 도메인 또는 전자메일 주소에 대한 블랙 리스트를 작성하여 이러한 도메인 또는 전자메일 주소로부터 수신된 전자메일을 차단하는 기술을 상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부(210)는, 광학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메일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해 문자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스팸메일을 더 필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메일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단어들을 인식한 후에, 상기 단어들 중에 해당 전자메일이 스팸메일임을 암시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부(210)는, 스팸메일을 필터링함에 있어서,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수치화하고, 상기 수치화된 값을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으로 삼거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근거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링부(210)는, 전자메일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해 수행한 광학 문자 인식의 정확도(즉,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부분과 해당 문자 부분이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 단어 간의 프로파일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정확도를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수행 결과를 수치화한 값을 계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부(210)는 전자메일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하여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인식된 문자로부터 파악되는 단어들 중에서 해당 전자메일이 스팸메일임을 암시하는 특정 단어의 개수를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수행 결과를 수치화한 값으로서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전자메일의 이미지가 "대출"이라는 특정 단어를 5회 이상 포함하는 경우, 해당 전자메일이 대출 관련 스팸메일일 확률이 높으므로 스팸메일 필터링 수행 결과를 100이라는 수치로 수치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출"이라는 단어가 3회만 포함되어 있다면, 스팸메일 필터링 결과는 60이라는 수치로 수치화될 수 있다. 또한, 단지 "대출"이라는 단어만으로는 위와 같은 스팸메일 필터링과 그에 따른 수치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출"과 연관된 단어인 "금리", "이자", "원금" 등의 단어를 더 검색하여 해당 전자메일이 대출 관련 스팸메일인지 여부에 대한 수치화된 필터링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한 결과에 대하여 단어 검색을 하여 수치화된 결과를 도출하는 것에 관하여 언급하였지만,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텍스트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수치화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상에서와 같이, 스팸메일 필터링의 수행 결과를 수치화한 값은, 백분율로 계산된 형태인 매칭(matching) 퍼센티지로 표현될 수 있다. 물론, 스팸메일을 필터링 하는 기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를 적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스팸메일 필터링 기술과 관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공지된 기술 문헌인 "Research, Innovation and Vision for the Future, 2007"에 게재된 논문인, Hrishikesh B. Aradhye, Gregory K. Myers, James A. Herson의 "Image Analysis for Efficient Categorization of Image-based Spam E-mail"에 개시된, 광학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스팸메일 필터링 기술 등을 참고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를 적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필터링 근거 제공부(220)는, 사용자에게 특정 전자메일이 스팸메일로서 필터링된 근거 혹은 특정 전자메일이 스팸메일로서 필터링되지 않은 근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하는 전자메일의 카테고리가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로서 제시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광고", "보험", "성인", "복권", "대출" 등의 카테고리를 상정할 수 있다(이러한 카테고리의 전자메일은 통상적으로 스팸메일이므로 상기 카테고리를 스팸메일 카테고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수치화한 값이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로서 제시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팸메일 필터링의 수행 결과를 수치화한 값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표현한 형태인 매칭 퍼센티지가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로서 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 근거 제공부(220)에 의해서 제공된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근거 정보는, 서버(200)의 통신부(270)에 의해서 네트워크(1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필터링 기준 수정부(230)는, 필터링부(210)에서 수행되는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은 앞에서 언급한 스팸메일 필터링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상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 기준 수정부(230)는 소정 전자메일이 스팸메일임을 암시하는 특정 단어, 즉,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이 되는 단어를 추가, 삭제 및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터링 기준 수정부(230)는 스팸메일을 발신했던 것으로 신고된 특정 도메인 또는 전자메일의 주소, 즉,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이 되는 발신자 주소를 추가, 삭제 및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 기준 수정부(230)는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가 되는 스팸메일 카테고리를 추가, 삭제 및 변경하는 기능을 수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 기준 수정부(230)는 소정 전자메일이 스팸메일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수치화한 값과 비교되는, 기준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칭 퍼센티지가 70% 이상인 경우에 해당 전자메일이 스팸메일이라고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이와 같은 기준값은 80%로 또는 60%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설명된 단어, 카테고리 및 기준값의 수정, 변경 등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팸메일 관리부(240)는 일단 스팸메일로서 필터링된 전자메일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팸메일 관리부(240)는 메일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되어 있는 스팸메일을 관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이용하여 상기 스팸메일에 액세스(access)하여 이를 확인하고 읽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팸메일 관리부(2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스팸메일로서 필터링된 전자메일의 제목이나 내용에 포함된 특정 단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스팸메일로서 필터링된 전자메일을 발신했던 것으로 확인된 도메인 또는 전자메일 주소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팸메일 관리부(240)는 스 팸메일로서 필터링된 전자메일을 메일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고,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이 되는 특정 단어를 단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스팸메일을 발신한 도메인 또는 전자메일의 주소를 주소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서버(200)로부터의/로의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스팸메일 필터링에 관한 근거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26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메일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260)는 사용자가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근거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소정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필터링부(210), 필터링 근거 제공부(220), 필터링 기준 수정부(230), 스팸메일 관리부(240), 통신부(250) 및 인터페이스부(26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70)는 외부로부터 의 또는 서버(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필터링부(210), 필터링 근거 제공부(220), 필터링 기준 수정부(230), 스팸메일 관리부(240), 통신부(250) 및 인터페이스부(26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활용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이용하여 서버(200)로부터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근거 정보를 제공 받고,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하는 실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서버(200)가 수신된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하였다고 가정하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전자메일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인식한 후에, 인식된 문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어들 중에 스팸메일임을 암시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단어의 빈도수를 검출함으로써,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스팸메일 필터링이 수행된 후, 서버(200)의 필터링 근거 제공부(220)는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근거 정보로서 스팸 메일의 카테고리 및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수치화한 값인 매칭 퍼센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도면부호 301 부분을 통해, 보낸이가 "캐쉬만세"이고, 제목이 "3일만에 가능한 목돈마련비법"인 스팸메일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가 제공되는데, 해당 스팸메일의 카테고리는 "대출"이고, 매칭 퍼센티지는 90%임을 알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가 이러한 스팸메일 카테고리나 매칭 퍼센티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기준, 특히 스팸메일 필터링을 위한 카테고리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는 도면부호 401 부분에서 간단하게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거나 변경함으로써 스팸메일 카테고리를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크 리스트의 작성, 변경을 통해서 스팸메일 카테고리 중 일부에 대한 스팸메일 필터링을 요청하면,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단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특정 단어들을 사용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이 수행된다(특히, 전자메일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광학 문자 인식을 통해서도 스팸메일 필터링이 수행된다). 또한, 도 4의 도면부호 402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팸메일 필터링을 위한 단어들을 스스로 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근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210: 필터링부
220: 필터링 근거 제공부
230: 필터링 기준 수정부
240: 스팸메일 관리부
250: 통신부
260: 인터페이스부
270: 제어부

Claims (17)

  1.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수행 결과 스팸메일로서 판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관하여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근거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 수행 단계는 가변적인 기준값에 따라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인 기준값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 수행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문자열을 수신하고 상기 문자열에 해당하는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을 스팸메일로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 정보는 스팸메일로서 판별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광고, 보험, 성인, 복권 및 대출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 정보는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수치화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 수행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하여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대하여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수행 결과 스팸메일로서 판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에 관하여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근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필터링 근거 제공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의 기준값을 변경하는 필터링 기준 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필터링 기준 변경부에서 변경되는 기준값에 따라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기준 변경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준값을 참조하여 상기 기준값을 변경하는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문자열을 수신하고 상기 문자열에 해당하는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을 스팸메일로서 판별하는 시스 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 정보는 스팸메일로서 판별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광고, 보험, 성인, 복권 및 대출 중 적어도 하나인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 정보는 상기 스팸메일 필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수치화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메일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하여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광학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80031831A 2008-04-04 2008-04-04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77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831A KR100977180B1 (ko) 2008-04-04 2008-04-04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831A KR100977180B1 (ko) 2008-04-04 2008-04-04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250A true KR20090106250A (ko) 2009-10-08
KR100977180B1 KR100977180B1 (ko) 2010-08-23

Family

ID=4153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831A KR100977180B1 (ko) 2008-04-04 2008-04-04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1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283A1 (ko) * 2018-05-03 2019-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72447B1 (ko) * 2022-06-13 2022-11-30 (주)유알피시스템 머신러닝을 이용한 복합 문서내 특정 콘텐츠 자동 차단 시스템 및 방법
WO2024071451A1 (ko) * 2022-09-26 2024-04-04 시큐레터 주식회사 Ocr 기술을 이용하여 비실행 파일의 악성 매크로를 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778B2 (en) 2012-01-25 2015-09-08 Bitdefender IPR Management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pam detection using frequency spectra of character strings
KR101565821B1 (ko) 2014-12-12 2015-11-0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메시지 필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711A (ko) * 2004-10-13 2006-04-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수신자 기준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7735A (ko) * 2005-01-31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스팸성 메시지 필터링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288078B2 (en) * 2005-03-25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exchange on a wireless device
KR100791552B1 (ko) * 2006-02-03 2008-01-03 주식회사 위더스정보 스팸 게시물 차단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283A1 (ko) * 2018-05-03 2019-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27191A (ko) * 2018-05-03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2075068A (zh) * 2018-05-03 2020-12-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11893063B2 (en) 2018-05-03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72447B1 (ko) * 2022-06-13 2022-11-30 (주)유알피시스템 머신러닝을 이용한 복합 문서내 특정 콘텐츠 자동 차단 시스템 및 방법
WO2024071451A1 (ko) * 2022-09-26 2024-04-04 시큐레터 주식회사 Ocr 기술을 이용하여 비실행 파일의 악성 매크로를 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180B1 (ko)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4411B2 (en) Security classification of E-mail and portions of E-mail in a web E-mail access client using X-header properties
US791765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mploying phone number analysis to detect and prevent spam and e-mail scams
US10489606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venting image-related data loss
KR100723867B1 (ko) 피싱웹페이지 차단 장치 및 방법
AU2011338871B2 (en) Electronic communications triage
US8095602B1 (en) Spam whitelisting for recent sites
US20090144619A1 (en) Method to protect sensitive data fields stored in electronic documents
US20110246584A1 (en) Personalized Email Interactions Applied To Global Filtering
US20100205259A1 (en) Email management based on user behavior
JP4380686B2 (ja) 電子メール送信端末装置、電子メール送信方法、及び電子メール送信プログラム
US20090106369A1 (en) Duplicate email address detection for a contact
US11677783B2 (en) Analysis of potentially malicious emails
US10958684B2 (en) Method and computer device for identifying malicious web resources
KR100977180B1 (ko) 스팸메일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2001200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reporting and cleaning metadata from inbound attachments
US20210390510A1 (en) Dynamically Providing Cybersecurity Training Based on User-Specific Threat Information
US20100161748A1 (en) Apparatus, a Method, a Program and a System for Processing an E-Mail
US20100299752A1 (en) Identification of Content
RU269332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действий, потенциально связанных с рассылкой спама, при регистрации учетной записи
US837508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tecting E-mail addresses in publicly available network content
AU2014215972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essage classification of web email
WO2023127105A1 (ja) サーバ、サービス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KR102501227B1 (ko) 인터넷 주소 검색량에 기반한 금융 사기 탐지 시스템 및 방법
US11768950B2 (en) Method for data protection across sharing platforms
KR100480878B1 (ko) 유인메일주소를 이용한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스팸메일차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