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785A -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785A
KR20090105785A KR1020080090488A KR20080090488A KR20090105785A KR 20090105785 A KR20090105785 A KR 20090105785A KR 1020080090488 A KR1020080090488 A KR 1020080090488A KR 20080090488 A KR20080090488 A KR 20080090488A KR 20090105785 A KR20090105785 A KR 2009010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user
correction
content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135B1 (ko
Inventor
김성은
강성원
강태욱
엄낙웅
김경수
김정범
김진경
박형일
임인기
형창희
황정환
명혜진
박기혁
심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135B1/ko
Priority to JP2011502844A priority patent/JP2011516915A/ja
Priority to CN2009801120417A priority patent/CN101983090A/zh
Priority to EP09728583.7A priority patent/EP2262573A4/en
Priority to PCT/KR2009/000280 priority patent/WO2009123396A2/en
Priority to US12/922,751 priority patent/US20110006926A1/en
Publication of KR2009010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 상기 위치 정보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모션을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모션을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비교하여 모션 교정을 유도하는 모션 교정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모션 교정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자극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교정하는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연속되는 모션들에 대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모션의 교정 효과 또한 증대시켜 줄 수 있다.
Figure P1020080090488
모션 콘텐츠, 모션 제어, 모션 교정, 학습 서비스

Description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motion content}
본 발명은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습하고자 하는 모션들이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모션 콘텐츠를 구비하고, 이를 사용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72-02, 과제명: 인체통신 컨트롤러 SoC].
기존의 모션 제어 방법은 통상적으로 특정 위치에 위치 감지 센서와 위치 교정 센서를 설치하고, 해당 위치에 사용자의 임의의 신체 부위가 위치되면 해당 신체 부위에 힘 또는 진동을 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에 기존의 모션 제어 방법은 잘못된 움직임 또는 자세가 발생함을 감지하고 통보해주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특정 주제에 따라 연속되는 모션들을 학습하기 위해 사용자가 어떤 순서로 어떤 움직임과 자세를 취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제시 해주지는 못한다.
그 결과, 기존의 모션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교육, 의료 복지, 레포츠등과 같이 특정 주제에 따라 연속되는 모션을 가지는 모션 콘텐츠를 학습하도록 하는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비에 감각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장비 사용에 감각적인 제약을 가하는 모션 제어 방법이 있으나, 이 역시 사용자 모션에 제약을 둘 뿐 사용자에게 올바른 모션 방향을 제시해주지는 못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기준모션들이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모션 콘텐츠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모션 콘텐츠에 따른 모션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유도해 줄 수 있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 상기 위치 정보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모션을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모션을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비교하여 모션 교정을 유도하는 모션 교정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모션 교정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자극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교정하는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를 포함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모션 제어부는 상기 모션 감지 센서 및 모션 교정 센서와 상기 모션 제어부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신호 인터페이싱부; 상기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위치 정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모션을 파악하는 현재 모션 분석부; 상기 사용자 모션을 상기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비교하는 모션 비교부; 상기 사용자 모션과 상기 기준 모션과의 차이인 모션 오차를 계산하는 모션 오차 계산부; 및 상기 모션 오차를 기반으로 모션 교정을 유도하는 상기 모션 교정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교정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 제어부는 상기 모션 콘텐츠를 저장하는 모션 콘텐츠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모션 교정 신호는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 오차 방향 및 오차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션 교정 센서는 상기 모션 교정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별로 자극 방향 및 자극 정도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써,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획득하여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상기 사용자 모션을 비교하여, 모션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모션 오차가 발생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감각을 자극하여 모션 교정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모션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오차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상기 사용자 모션을 비교하여,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 오차 방향 및 오차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션 교정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를 통해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의 자극 방향 및 자극 정도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기준 모션들이 사전에 정의된 모션 콘텐츠에 따라 사용자 모션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속되는 모션들을 학습하기 위해 어떤 순서로 어떤 움직임 과 자세를 취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제시해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육, 의료 복지, 레포츠등과 같이 특정한 주제를 가지는 모션들에 대한 학습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사용자의 신체 또는 착용구상에 분산 배치하여 사용자 모션을 보다 정확하게 통보받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효과를 최대화시켜 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일실시예 따른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는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 및 모션 제어부(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 모션 교정 센서(11)는 3차원 위치 값을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위치 센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각 모션 교정 센서(12)는 감각 자극 방향 및 감각 자극 정도를 가변 할 수 있는 햅틱(haptic) 센서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모션 제어부(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 컨트롤러,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착용구상에 분산 배치되어, 사용자 모션(즉, 움직임 및 자세)에 따라 가변되는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획득하고, 이를 통보하기 위한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모션 제어부(20)에 제공한다.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은 상기의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착용구상에 분산 배치된다. 그리고 모션 제어부(20)로부터 제공되는 모션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모션 교정이 필요한 신체 부위에 대한 자극 방향 및 자극 정도를 가변함으로써, 모션 교정이 필요한 신체 부위가 어디인지, 그리고 해당 부위를 어느 방향으로 얼마큼 움직여야 하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때, 모션 교정 신호는 모션 제어부(2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로,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 오차 방향 및 오차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모션 제어부(20)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사용자 모션간을 비교하여 모션 오차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모션 오차가 발생하였으면 사용자가 올바른 모션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해준다.
이를 위해 모션 제어부(20)는 신호 인터페이싱부(21), 현재 모션 분석부(22), 모션 콘텐츠 저장부(23), 모션 비교부(24), 모션 오차 계산부(25) 및 모션 교정 신호 생성부(26)를 구비한다.
신호 인터페이싱부(21)는 모션 감지 및 교정 센서(11a~11n, 12a~12n)과 접속되어, 모션 제어부(20)와 모션 감지 및 교정 센서(11a~11n, 12a~12n)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즉, 신호 인터페이싱부(21)는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복조하여 현재 모션 분석부(22)가 인식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거나, 모션 교정 신호 생성부(26)로부터 전송되는 모션 교정 신호를 변조하여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로 전송할 수 있는 신호 형태로 변환한 후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신호 인터페이싱부(21)는 공지된 기술에 따른 신호 변복조 방식을 이 용하며, 유선 통신 방식, 무선 통신 방식, 및 인체 통신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인터페이싱부(21)와 모션 감지 및 교정 센서(11a~11n, 12a~12n)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와 같은 전기적 신호이다.
현재 모션 분석부(22)는 신체 부위별 위치값과 모션간의 상관관계를 사전에 정의해둔다. 그리고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가 전송되면, 위치 정보 신호로부터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획득한 후 상기의 상관관계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현재 모션을 파악한다.
모션 콘텐츠 저장부(23)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기준 모션들이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모션 콘텐츠를 저장한다. 이때, 모션 콘텐츠로는 교육, 의료 복지, 레포츠 등에 관련된 주제를 가지는 연속되는 모션들 모두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무용 안무, 무술 권법 등이 있다.
모션 비교부(24)는 현재 모션 분석부(22)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현재 모션과 이에 대응되는 모션 콘텐츠의 기준 모션을 비교하여, 두 모션간 차이를 파악한다.
모션 오차 계산부(25)는 모션 비교부(24)를 통해 획득된 차이를 분석하여 모션 오차를 계산한다. 이때, 모션 오차는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 오차 방향 및 오차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모션 교정 신호 생성부(26)는 모션 오차 계산부(25)를 통해 파악된 모션 오차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모션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모션 교정 신호를 생성하고 모션 교정 센서(12a~12n)에 제공한다.
이에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는 모션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에 대한 자극 방향 및 자극 정도를 가변함으로써, 사용자가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가 어디인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움직여야 하는지를 인지하도록 해준다.
도1의 실시예에서는 모션 감지 센서(11)와 모션 교정 센서(12)를 분리하여 구성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이들 센서는 하나의 센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이 시작되면, 모션 제어부(20)는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획득한다(S1).
획득된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모션을 파악한 후(S2), 사용자의 현재 모션을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비교한다(S3).
단계 S3의 비교 결과, 사용자의 현재 모션과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이 상이하여 모션 오차가 발생하면(S4), 모션 제어부(20)는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 오차 방향 및 오차 정도를 파악한다(S5).
그리고 나서, 모션 제어부(20)는 단계 S6을 통해 계산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모션 교정 신호를 발생하여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에 제공하고,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은 모션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에 대한 교정을 유도한다(S6).
즉,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은 모션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에 대한 자극 방향 및 자극 정도를 가변해 줌으로써, 모션 교정이 필요한 신체 부위가 어디인지, 그리고 해당 부위를 어느 방향으로 얼마큼 움직여야 하는지를 사용자에게 통보해준다.
단계 S6이 완료되면, 모션 제어부(20)는 모션 콘텐츠를 참조하여 다음에 학습할 모션이 더 있는지를 확인한 후(S7), 있으면 다시 단계 S1로 진입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을 종료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은 학습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6과 단계 S7사이에 교정 완료 확인 단계(S8)를 추가해 줄 수도 있다.
즉,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을 통해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에 대한 교정을 유도한 후(S6), 사용자가 자신의 모션을 교정하여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을 취해야만(S8), 다음의 단계로 넘어 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모션이 정확하게 교정되었음을 확인받은 경우에만 다음의 모션을 학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모션 교정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은 모션 감지 및 교정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따라 연속되는 모션들을 학습하기 위해 사용자가 어떤 순서로 어떤 움직임과 자세를 취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제시해줄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 및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착용구(예를 들어 의복)상에 분산 배치되고, 모션 제어부(20)는 사용자 신체의 특정 부위나 신체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 및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과 모션 제어부(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선 통신 방식, 무선 통신 방식, 및 인체 통신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한다.
다만, 모션 제어부(20)가 모션 감지 및 교정 센서(11a~11n, 12a~12n)과 인체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한다면, 이때에는 모션 제어부(20)가 반드시 사용자 신체의 특정 부위와 접촉 또는 인접되도록 한다. 이는 모션 제어부(20)와 모션 감지 및 교정 센서(11a~11n, 12a~12n)이 인체를 전송 매질로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은 사용자의 신체상에 분산 배치됨으로써, 사용자 모션에 따른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 및 통보할 수 있으며, 모션 제어부(20)는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모션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동일한 원리로,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12a~12n)도 사용자의 신체상에 분산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잘못된 모션을 신체 부위별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사용자 모션 교정 효과 또한 증대되어 짐을 알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의 다른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사용자의 손과 팔에 착용된 착용구 상에 모션 감지 및 교정 센서(11a~11n, 12a~12n)을 분산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과 팔의 모션을 감지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감지 및 교정 센서(11a~11n, 12a~12n)는 사용자의 손과 팔, 특히 관절 부위에 분산 배치된다.
이에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1a~11n)은 손과 팔의 관절의 세밀한 모션을 감지하여 통보할 수 있고, 모션 제어부(20)는 이를 기반으로 보다 세밀한 신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지 손가락의 모션이 모션 콘텐츠가 제공하는 모션과 상이하면,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12a~12n)은 모션 제어부(20)의 제어하에 검지 손가락의 관 절 각각의 감각을 자극하여, 모션 콘텐츠에 의해 정의된 바와 동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1은 본 일실시예 따른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의 다른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9)

  1. 사용자의 신체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
    상기 위치 정보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모션을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모션을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비교하여 모션 교정을 유도하는 모션 교정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모션 교정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자극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교정하는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를 포함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제어부는
    상기 모션 감지 센서 및 모션 교정 센서와 상기 모션 제어부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신호 인터페이싱부;
    상기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위치 정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모션을 파악하는 현재 모션 분석부;
    상기 사용자 모션을 상기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비교하는 모션 비교부;
    상기 사용자 모션과 상기 기준 모션과의 차이인 모션 오차를 계산하는 모션 오차 계산부; 및
    상기 모션 오차를 기반으로 모션 교정을 유도하는 상기 모션 교정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교정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제어부는
    상기 모션 콘텐츠를 저장하는 모션 콘텐츠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교정 신호는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 오차 방향 및 오차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교정 센서는
    상기 모션 교정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별로 자극 방향 및 자극 정도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6.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획득하여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상기 사용자 모션을 비교하여, 모션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모션 오차가 발생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감각을 자극하여 모션 교정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위치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모션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오차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기준 모션과 상기 사용자 모션을 비교하여,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 오차 방향 및 오차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교정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모션 교정 센서를 통해 모션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의 자극 방향 및 자극 정도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방법.
KR1020080090488A 2008-04-03 2008-09-12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108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488A KR101087135B1 (ko) 2008-04-03 2008-09-12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
JP2011502844A JP2011516915A (ja) 2008-04-03 2009-01-19 モーションコンテンツベースの学習装置及び方法
CN2009801120417A CN101983090A (zh) 2008-04-03 2009-01-19 基于动作内容的训练装置和方法
EP09728583.7A EP2262573A4 (en) 2008-04-03 2009-01-19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MOVEMENT CONTENT
PCT/KR2009/000280 WO2009123396A2 (en) 2008-04-03 2009-01-19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motion content
US12/922,751 US20110006926A1 (en) 2008-04-03 2009-01-19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motion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348 2008-04-03
KR1020080090488A KR101087135B1 (ko) 2008-04-03 2008-09-12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785A true KR20090105785A (ko) 2009-10-07
KR101087135B1 KR101087135B1 (ko) 2011-11-25

Family

ID=4153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488A KR101087135B1 (ko) 2008-04-03 2008-09-12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1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181A1 (ko) * 2015-05-12 2016-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피드백 제공 방법
KR20170140756A (ko) * 2016-06-13 2017-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교본 저작 장치, 동작 자가 학습 장치 및 방법
US9987187B2 (en) 2013-04-03 2018-06-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wear
KR20200001897A (ko) * 2018-06-28 2020-01-07 박정민 팰트니스용 골반 자극 운동기
KR20200098970A (ko) * 2019-02-13 2020-08-21 임혜민 동작인식 기반의 스마트 미용기술 러닝 장치 및 방법
US11113988B2 (en) 2016-06-13 2021-09-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writing motion script, apparatus for self-teaching of mo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298B1 (ko) 2014-07-23 2015-10-2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수부 모션인식 기반의 수부 재활치료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1318B2 (en) * 2005-12-22 2010-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vice for monitoring a user's postur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7187B2 (en) 2013-04-03 2018-06-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wear
WO2016182181A1 (ko) * 2015-05-12 2016-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피드백 제공 방법
US10409374B2 (en) 2015-05-12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f wearable device
US11016569B2 (en) 2015-05-12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f wearable device
KR20210116383A (ko) * 2015-05-12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피드백 제공 방법
KR20170140756A (ko) * 2016-06-13 2017-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교본 저작 장치, 동작 자가 학습 장치 및 방법
US11113988B2 (en) 2016-06-13 2021-09-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writing motion script, apparatus for self-teaching of mo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200001897A (ko) * 2018-06-28 2020-01-07 박정민 팰트니스용 골반 자극 운동기
KR20200098970A (ko) * 2019-02-13 2020-08-21 임혜민 동작인식 기반의 스마트 미용기술 러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135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6915A (ja) モーションコンテンツベースの学習装置及び方法
KR101087135B1 (ko)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
RO133954A2 (ro) Sistem şi metodă pentru monitorizarea optimizată a articulaţiilor în kinetoterapie
KR102212716B1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283464B1 (ko) 동작 인식용 신발을 이용한 동작 인식 시스템
EP2678757B1 (en) Gesture recognition system
US20170031453A1 (en) Movement det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a hand movement
KR20160127872A (ko) 거북목 측정 및 교정 치료기
US111229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jury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KR101651429B1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US11237632B2 (en) Ring device having an antenna, a touch pad, and/or a charging pa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based on user motions
Gauthier et al. Human movement quantification using Kinect for in-home physical exercise monitoring
JP6521420B1 (ja) 筋電信号が由来する動作を認識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65773B1 (ko) 의류 장착형 자세교정 시스템
KR20180031610A (ko) 밴드형 운동 및 생체정보 측정 장치
KR20150089371A (ko) 인체 동작 분석 장치
US9949685B2 (en) Instrumented sleeve
KR20200119753A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36299A1 (en) Muscle activity amount determining device, muscle activity amount determin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method
JP2019534062A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180049317A (ko) 운동량에 따른 근피로도 측정방법
WO2018020513A1 (en) A system for recognizing muscle activities and method thereof.
US20180211557A1 (en) Teaching compatibility determining device,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546733B2 (ja) 健康モニタシステム
KR20210000567A (ko) 관성 정보 기반 보행 안정성 평가 장치 및 보행 안정성 평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