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319A - 이차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319A
KR20090105319A KR1020080030692A KR20080030692A KR20090105319A KR 20090105319 A KR20090105319 A KR 20090105319A KR 1020080030692 A KR1020080030692 A KR 1020080030692A KR 20080030692 A KR20080030692 A KR 20080030692A KR 20090105319 A KR20090105319 A KR 2009010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ase
battery cell
termin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975B1 (ko
Inventor
윤석준
강석범
이준희
이태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아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아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아이지
Priority to KR102008003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97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 박판으로 둘러싸여진 팩키지 타입의 전지셀과; 상기 전지셀의 + - 전극에 용접 부착되면서 수직 상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갖춘 탭단자; 상기 전지셀이 삽입 안착되는 요홈부와, 상기 전지셀에 부착된 탭단자의 절곡부가 상하방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 슬로트를 갖춘 셀 케이스; 상기 셀 케이스의 삽입 슬로트속에 끼워진 아래쪽 전지셀의 탭단자와 위쪽 전지셀의 탭단자를 연결하는 직렬 연결단자; 상기 적층된 전지셀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기기와 연결하게 하는 + - 모듈단자; 상기 적층된 셀 케이스를 하나로 묶어 주기 위해 셀 케이스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된 고정볼트; 각각의 셀 케이스에 안착된 전지셀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 관리하는 기판을 갖춘 회로케이스 및; 상기 전지셀의 탭단자와 회로케이스의 기판 사이에 연결되어 전지셀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센싱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차 전지 모듈은 전지셀에 돌출된 전극에 탭단자가 용접 연결되고, 전지셀에 연결된 2개의 탭단자중 하나는 아래쪽 셀 케이스의 삽입 슬로트에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의 탭단자는 위쪽 셀 케이스의 삽입 슬로트에 삽입되어, 하나의 셀 케이스에 교차 삽입된 양쪽 2개의 탭단자가 직렬연결단자에 의해 연결되어서 상하 셀케이스에 안착된 전지셀을 직렬 연결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모듈은 알루미늄 박판을 케이스로 하는 파우치형으로 이루어진 전지셀을 간단하게 적층하여 직렬 연결할 수가 있으므로, 저항 을 최소화하고 출력특성과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차전지모듈, 셀케이스, 전지셀, 탭단자, 직렬연결단자

Description

이차전지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 박판을 케이스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을 간단하게 직렬 연결하여 적층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연결거리를 짧게 하여 저항으로 인한 손실 및 열발생과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 한 이차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차전지는 첨단 전자산업의 발달로 전자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가솔린이나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원으로의 사용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이러한 전기자동차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압 및 용량이 크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와는 달리 여러 개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전지모듈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 원통형이나 각형으로 이루어진 이차전지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원통형 및 각형의 이차전지는 외장케이스가 금속재질로 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에 대해서는 안전하고 직병렬 연결이 용이하지만, 중량이 크고 모듈 구성시 컴팩트한 구조로 제작하기 힘들다.
반면 케이스가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셀은 알루미늄 박판의 외장케이스가 외부 충격에 약하고 양, 음극 단자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직병렬 연결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이차전지 모듈의 종래 구성 방법으로는 여러 개의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 (-)의 단자 위치가 정방향(A type)과 반대 방향(B type)인 두 가지 형태로 제작한 전지를 적층하여 모듈을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는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전지를 취급함으로 인해 조립공정에서 모듈 구성하는데 있어 혼돈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인쇄기판회로를 이용해 여러 개의 전지를 직렬연결하기 위해 전극단자를 납땜하여 고정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납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와 생산 작업 환경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91736호에서는 판상형의 전극단자에 관통구를 천공하고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적층한 후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리드부재에도 천공한 후, 직렬 연결하여 모듈을 구성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방법 또한 전극단자와 리드부재에 관통구를 모두 천공해야 한다는 공 정상 불편함이 있으며, 전극 단자에 천공을 함으로써 전극단자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해 저항이 상승하는 문제와 전지를 고정하기 위해 관통구를 통과하는 금속성 고정물체와 전극단자간의 절연에 주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리드부재를 사용할 경우 직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전류가 이동하는 거리가 길어 저항 증가로 인한 열 발생 및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지셀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셀케이스를 이용해 전지셀을 고정시키고, 인접한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수평 및 수직부를 갖춘 절곡 탭단자를 용접하며, 상하 적층된 전지셀의 탭단자를 직렬 연결단자로써 연결하여 간단하게 전지셀을 직렬 연결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전지셀의 연결거리가 짧아지게 한 이차전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모듈은, 알루미늄 박판으로 둘러싸여진 팩키지 타입의 전지셀과; 상기 전지셀의 + - 전극에 용접 부착되면서 수직 상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갖춘 탭단자; 상기 전지셀이 삽입 안착 되는 요홈부와, 상기 전지셀에 부착된 탭단자의 절곡부가 상하방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 슬로트를 갖춘 셀 케이스; 상기 셀 케이스의 삽입 슬로트속에 끼워진 아래쪽 전지셀의 탭단자와 위쪽 전지셀의 탭단자를 연결하는 직렬 연결단자; 상기 적층된 전지셀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기기와 연결하게 하는 + - 모듈단자; 상기 적층된 셀 케이스를 하나로 묶어 주기 위해 셀 케이스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된 고정볼트; 각각의 셀 케이스에 안착된 전지셀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관리하는 기판을 갖춘 회로케이스 및; 상기 전지셀의 탭단자와 회로케이스의 기판 사이에 연결되어 전지셀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센싱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지셀의 탭단자에서 인출되어 전지 모듈의 제어부에 연결되어 개별 전지셀의 전압을 감지하는 센싱 케이블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직렬연결단자의 바깥에 단자커버를 설치하여, 상하 직렬연결단자간의 쇼트 현상을 방지하게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차 전지 모듈은 전지셀에 돌출된 전극에 탭단자가 용접 연결되고, 전지셀에 연결된 2개의 탭단자중 하나는 아래쪽 셀 케이스의 삽입 슬로트에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의 탭단자는 위쪽 셀 케이스의 삽입 슬로트에 삽입되어, 하나의 셀 케이스에 교차 삽입된 양쪽 2개의 탭단자가 직렬연결단자에 의해 연결되어서 상하 셀케이스에 안착된 전지셀을 상하로 직렬 연결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모듈은 알루미늄 박판을 케이스로 하는 파우치형으로 이루어진 전지셀을 간단하게 적층하여 직렬 연결할 수가 있으므로, 저 항을 최소화하고 출력특성과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차전지모듈은 알루미늄 박판을 케이스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을 간단하게 직렬 연결하여 적층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직렬 연결거리가 짧게 하여 저항으로 인한 손실 및 열발생과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모듈은 전지셀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셀케이스를 이용해 전지셀을 고정시키고, 인접한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수평 및 수직부를 갖춘 절곡 탭단자를 용접하며, 상하 적층된 전지셀의 탭단자를 직렬 연결단자로써 연결하여 직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모듈을 구성하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에 탭단자가 연결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도면 1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셀을 안착저장하기 위한 셀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케이스에 전지셀이 안착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모듈은 파 우치형 전지셀(10)과, 상기 전지셀(10)이 안착되는 셀 케이스(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지셀(10)은 박판 알루미늄으로 둘러싸인 파우치형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상기 셀 케이스(20)에 저장 보관한다.
한편, 상기 전지셀(10)의 선단에 + - 전극(11,12)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11,12)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극(11,12)에 + - 탭단자(13,14)가 부착되는데, 상기 탭단자(13,14)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부(13a,14a)와 수직 절곡부(13b,14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탭단자(13,14)는 도면1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는 수직 절곡부(13b)가 아래로 향하도록 부착하고, 다른 하나는 수직 절곡부(14b)가 위쪽을 향하게 부착한다.
상기 탭단자(13,14)를 전극(11,12)에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 탭단자(13)는 전기저항으로 인하여 용접면이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접합하는 심용접으로 부착하고, + 탭단자(14)는 초음파용접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 탭단자(13)를 심용접으로 하는 이유는 + 탭단자(14)에 비하여 - 탭단자(13)의 재질 강도가 더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탭단자(13,14)를 전극(11,12)에 연결할 때 구멍을 뚫지 않고 용접으로 연결함으로써, 구멍을 뚫으므로 인하여 전류 소통을 위한 단면적이 줄어드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 - 전극(11,12)에 구멍을 뚫지 않음으로써 상기 전극(11,12)이 셀전지(10)에 연결되는 연결부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하여 진동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셀전지(10)의 전극(11,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셀케이스(20)는 나일론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만드는데, 이와 같이 나일론을 사용하는 만드는 이유는 나일론의 용융점이 200℃ 이상으로 높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모듈을 구성한 후에 충방전을 할 때, 높은 전류로 충방전하는 경우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단자에서 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하는데, 높은 전류의 조건일수록 단자부에서 발생하는 온도가 더 높아지게 되므로, 용융점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면 단자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셀 케이스가 변형되거나 녹아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셀 케이스(20)는 도면 2와 도면 3 및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지셀(10)이 수평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는 요홈부(21)와, 상기 전지셀(10)에 부착된 + -탭단자(13,14)의 수직 절곡부(13b,14b)가 상하방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 슬로트(22,23)를 각각 갖추고 있다.
상기 요홈부(21)는 셀 케이스(2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삽입 슬로트(22,23) 중 하나는 아래쪽을 향하게 뚫려 있고, 다른 하나는 위쪽을 향하여 뚫린 구조도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 슬로트(22,23)에는 도면 6과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셀(10)의 선단에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된 탭단자(13,14)에서 아래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절곡부(14b)는 자신의 셀 케이스(20)에 형성된 삽입 슬로트(23)에 끼워지고,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절곡부(13b)는 위쪽에 차례로 결합되는 셀 케이스(20)의 삽입 슬로트(22)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케이스(20)의 앞쪽 측면에는 도면 2에 확대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삽입 슬로트(22,23)의 측면 앞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4)에 직렬연결단자(25)를 끼워 양쪽 탭단자(13,14)를 연결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직렬연결단자(25)는 나사를 사용하여 탭단자(13,14)와 체결시키는데, 이와 같이 나사를 사용하여 직렬연결단자(25)를 탭단자(13,14)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탭단자(13,14)에 미리 나사 구멍(13c,14c)을 형성시켜 두고, 상기 직렬연결단자(25)에도 나사구멍(25a)을 미리 형성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직렬연결단자(25)의 바깥에는 직렬연결단자의 노출로 인해 상하 직렬연결단자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단자커버(26)를 끼워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지셀(10)이 셀 케이스(20)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한쪽 탭단자(13)는 위쪽의 셀 케이스(20)에 형성된 삽입 슬로트(22)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의 탭단자(14)는 자신의 셀 케이스(20)에 형성된 삽입 슬로트(23)에 끼워지면서, 도면 4와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셀 케이스(20)가 상하로 차례대로 적층되며, 이렇게 적층된 상하 전지셀(10)의 탭단자(13,14)가 직렬연결단자(25)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셀 케이스(20)에 안착되어 상하로 배열된 전지셀(10)이 직렬 연결단자(25)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셀 케이스(20)와 전지셀(10)을 제조하고자 하는 전지모듈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 적재한 다음, 셀 케이스(20)의 최상단에는 회로케이스(27)를 결합하는데, 이와 같이 여러개의 셀 케이스(20)를 적재하고, 셀 케이스(20)의 최상단에 회로케이스(27)를 결합할 때, 적재된 셀 케이스(20)와 회로케이스(27)가 흔들거리지 않고 쉽게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 도면 6에 도시하여 나타난 배와 같이, 셀 케이스(20)의 뒤쪽 선단 윗면에 위쪽으로 돌출된 결합돌기(28)를 형성시키고, 셀 케이스(20)의 뒤쪽 선단 아랫면에는 오목한 결합홈(29)을 형성시켜, 셀 케이스(20)와 회로케이스(27)를 아래 위로 적재하였을 때, 이들의 결합이 흩트려지지 않고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적재된 제일 아래쪽의 셀 케이스(20)와 제일 위쪽의 회로 케이스(27)에는 + - 모듈단자(30,31)를 각각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이 완성되었을 때 전류를 인출하여 전자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탭단자(13,14)에 직렬연결단자(25)를 결합할 때, 상기 체결볼트(25a)에 센싱 케이블(32)의 선단을 함께 결합하는데, 상기 센싱 케이블(32)의 다른 한쪽 선단은 셀 케이스(20)의 상단에 설치된 회로케이스(27)의 제어기(도시안됨)와 연결된다.
상기 센싱 케이블(32)은 각각의 전지셀(10)에 개별적으로 하나씩 설치되어, 개개의 전지셀(10)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센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어느 특정 전지셀(10)의 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낮거나 문제가 있 는 경우에 전지셀(10)을 개별적으로 감지하여 교환 조치해 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여러 개의 셀 케이스(20)와 회로케이스(27)가 적재된 상태에서 흔들거리지 않고 단단하게 결속되게 하기 위해, 셀 케이스(20)의 앞쪽 부분은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케이스(20)를 상하로 관통 삽입한 고정볼트(33)로 고정하고, 셀 케이스(20)의 뒤쪽 부분은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케이스(20)의 뒷면에 상하로 덧대어 설치된 고정대(34)에 의해 고정하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정볼트(33)는 셀 케이스(20)의 앞쪽 부분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결합구멍(35)에 고정볼트(33)를 상하로 차례대로 관통 삽입하여 너트(36)로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대(34)는 셀 케이스(20)의 뒷쪽 측면에 형성된 오목홈(37)속에 상하 설치하여 스크류(38)를 사용하여 체결시키는데, 도면 9에서는 3개의 고정대(34)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필요에 따라 1개 이상 다수 개 설치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조립한 셀 케이스(20)의 상단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로케이스(27)를 설치하고, 상기 회로 케이스(27)에 전지모듈의 제어에 필요한 회로기판 등을 설치한 후에 커버를 덮어 완성시키면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모듈은 각각의 셀 케이스(20)에 전지셀(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지셀(10)의 선단에 돌출된 전극(11,2)이 탭단자(13,14)와 직렬연결단자(25)에 의해 직렬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상기 탭단자(13,14)의 수직부(13b,14b)가 셀 케이스(20)에 상하로 형성된 삽입 슬 로트(22,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직렬연결단자(25)에 의해 직렬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전지셀(10)이 각각 개별적으로 센싱케이블(32)에 의해 감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개별적으로 전지셀(10)을 교체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렬연결구조가 간단하게 저항 손실이 적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에 탭단자가 연결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도면 1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시셀을 안착저장하기 위한 셀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케이스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케이스에 전지셀이 안착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케이스가 상하로 적층되어 고정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케이스가 적층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 5의 A - 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케이스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아래위의 전지셀이 직렬연결단자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셀 케이스가 조립된 상태의 전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 조립된 이차 전지모듈의 배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전지셀 11,12 - 전극
13,14 - 탭단자 20 - 셀 케이스
21 - 요홈부 22, 23 - 삽입 슬로트
24 - 연결홈 25 - 직렬연결단자
26 - 단자커버 27 - 회로 케이스
28 - 결합돌기 29 - 결합홈
30,31 - 모듈단자 32 - 센싱케이블
33 - 고정볼트 34 - 고정대
35 - 결합구멍 36 - 너트
37 - 오목홈 38 - 스크류

Claims (3)

  1. 알루미늄 박판으로 둘러싸여진 팩키지 타입의 전지셀과; 상기 전지셀의 + - 전극에 용접 부착되면서 수직 상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갖춘 탭단자; 상기 전지셀이 삽입 안착되는 요홈부와, 상기 전지셀에 부착된 탭단자의 절곡부가 상하방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 슬로트를 갖춘 셀 케이스; 상기 셀 케이스의 삽입 슬로트속에 끼워진 아래쪽 전지셀의 탭단자와 위쪽 전지셀의 탭단자를 연결하는 직렬 연결단자; 상기 적층된 전지셀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기기와 연결하게 하는 + - 모듈단자; 상기 적층된 셀 케이스를 하나로 묶어 주기 위해 셀 케이스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된 고정볼트; 각각의 셀 케이스에 안착된 전지셀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관리하는 기판을 갖춘 회로케이스 및; 상기 전지셀의 탭단자와 회로케이스의 기판 사이에 연결되어 전지셀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센싱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차전지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연결단자의 바깥에 단자커버(26)가 설치되어 상하 직렬연결단자간의 쇼트를 방지해 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케이스(20)의 뒤면에 1개 이상의 고정대가 상하로 가로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된 셀 케이스(20)를 고정해 주게 이루어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모듈
KR1020080030692A 2008-04-02 2008-04-02 이차전지모듈 KR100928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92A KR100928975B1 (ko) 2008-04-02 2008-04-02 이차전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92A KR100928975B1 (ko) 2008-04-02 2008-04-02 이차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19A true KR20090105319A (ko) 2009-10-07
KR100928975B1 KR100928975B1 (ko) 2009-11-26

Family

ID=4153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692A KR100928975B1 (ko) 2008-04-02 2008-04-02 이차전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97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744A (ko) * 2010-01-27 2011-08-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직렬 연결형 이차 전지 모듈
WO2012044065A2 (ko) * 2010-09-29 2012-04-05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US20120202109A1 (en) * 2011-02-08 2012-08-09 Samsung Sdi Co., Ltd. Battery unit and battery pack having less resistance and improved contacts
WO2012148211A2 (ko) * 2011-04-27 2012-11-0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0467903Y1 (ko) * 2011-08-09 2013-07-16 세방전지(주) 전지탭 연결장치
KR200468011Y1 (ko) * 2011-08-09 2013-07-16 세방전지(주) 금속성 도전체를 이용한 전지탭 연결장치
KR101357593B1 (ko) * 2012-04-13 2014-02-05 주식회사 프로파워 배터리 팩
KR101382543B1 (ko) * 2012-03-26 2014-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US9876203B2 (en) 2013-05-15 2018-01-2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US10868285B2 (en) 2015-10-15 2020-12-15 Lg Chem, Ltd. Pouch type battery cell including electrode lead of bending structure
WO2024106865A1 (ko) * 2022-11-16 2024-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4106864A1 (ko) * 2022-11-16 2024-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697A (ko) 2011-08-17 2013-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한 전지 모듈
KR102212449B1 (ko) 2017-05-22 2021-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310033B1 (ko) 2021-03-03 2021-10-08 에이에프더블류 주식회사 전기차용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차용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101B1 (ko) * 2003-12-16 2006-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KR100965049B1 (ko) * 2005-03-23 2010-06-21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고출력 리튬 2차 전지 유닛셀의 적층 구조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744A (ko) * 2010-01-27 2011-08-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직렬 연결형 이차 전지 모듈
WO2012044065A2 (ko) * 2010-09-29 2012-04-05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WO2012044065A3 (ko) * 2010-09-29 2012-06-21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101312274B1 (ko) * 2011-02-08 2013-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20120202109A1 (en) * 2011-02-08 2012-08-09 Samsung Sdi Co., Ltd. Battery unit and battery pack having less resistance and improved contacts
US8790823B2 (en) 2011-02-08 2014-07-29 Samsung Sdi Co., Ltd. Battery unit and battery pack having less resistance and improved contacts
WO2012148211A2 (ko) * 2011-04-27 2012-11-0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WO2012148211A3 (ko) * 2011-04-27 2013-01-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9843032B2 (en) 2011-04-27 2017-12-12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module
KR200468011Y1 (ko) * 2011-08-09 2013-07-16 세방전지(주) 금속성 도전체를 이용한 전지탭 연결장치
KR200467903Y1 (ko) * 2011-08-09 2013-07-16 세방전지(주) 전지탭 연결장치
KR101382543B1 (ko) * 2012-03-26 2014-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357593B1 (ko) * 2012-04-13 2014-02-05 주식회사 프로파워 배터리 팩
US9876203B2 (en) 2013-05-15 2018-01-2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US10868285B2 (en) 2015-10-15 2020-12-15 Lg Chem, Ltd. Pouch type battery cell including electrode lead of bending structure
WO2024106865A1 (ko) * 2022-11-16 2024-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4106864A1 (ko) * 2022-11-16 2024-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975B1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975B1 (ko) 이차전지모듈
KR100880389B1 (ko) 이차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CN102077390B (zh) 电池单元互连和电压感测组件以及用于将电池单元组件与其耦合的方法
JP5231424B2 (ja) バッテリーセルを電気接続するための接続部材
KR100889243B1 (ko) 전지 코어 팩의 제조방법
KR101293952B1 (ko)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KR101326196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US7875378B2 (en)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KR101194161B1 (ko) 전지셀의 회전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용접 방법
KR101051483B1 (ko)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접속부재
KR100884944B1 (ko)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4400235B2 (ja) 組電池間の接続構造
KR20060073432A (ko)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JP2007087944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2011507181A (ja) Pcmアセンブリー及び新規な構造の絶縁性取付部材を有する二次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448297B1 (ko) 배터리 팩
KR101067625B1 (ko) 전극단자 접속부재 및 절연성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중대형전지모듈
JP5142521B2 (ja) パック電池
CN102859755A (zh) 用于蓄能器模块的重新布线元件及其制造方法和蓄能器模块
JP2008198435A (ja) バッテリパック
KR101124963B1 (ko) 이차전지 모듈
WO2014136929A1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913375B1 (ko) 배터리 모듈
KR101822879B1 (ko) 이차전지모듈
US20180159098A1 (en) Lithium-io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