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724A -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724A
KR20090104724A KR1020090026912A KR20090026912A KR20090104724A KR 20090104724 A KR20090104724 A KR 20090104724A KR 1020090026912 A KR1020090026912 A KR 1020090026912A KR 20090026912 A KR20090026912 A KR 20090026912A KR 20090104724 A KR20090104724 A KR 20090104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ing
power supply
main controller
d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오다
신이치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자이단호징 야마가타켄산교기쥬츠신코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단호징 야마가타켄산교기쥬츠신코기코 filed Critical 자이단호징 야마가타켄산교기쥬츠신코기코
Priority to KR102009002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724A/ko
Publication of KR2009010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EL 소자 등의 발광 소자를 사용한 복수의 조명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저비용으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다채로운 조명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급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각 발광 구동되는 1개 또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 기구(8), 또는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각 발광 구동되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1개의 조명 기구와, 상기 복수의 조명 기구(8), 또는 1개의 조명 기구에서의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광(調光, dimming)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일한 주컨트롤러(2)와,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조명 기구(8), 또는 1개의 조명 기구에서의 1개 또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단위로 하여,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 또는 상기 단위마다의 고체 발광 소자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주컨트롤러(2)로부터 송출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 또는 상기 단위마다의 고체 발광 소자의 조광을 각각 제어하는 종컨트롤러(7)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POWER SUPPLY APPARATUS FOR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직류 전원에 의해 점등 구동되는, 예를 들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나,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고체 발광 소자를 조명용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채택할 수 있는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옥내(실내)에서 사용되는 조명 장치는, 일반적으로 형광등으로 대표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조명용 광원이 각 방마다 설치되고, 또 각 방마다 스위치를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형광등을 사용한 조명 장치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고, 형광관의 형태도 직관부터 서클관까지 등의 다양화가 도모되고, 연색성(color rendering property)도 개선되는 등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구동원으로서 저전압의 직류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고휘도 및 효율 높은 발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유기 EL 소자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유기 EL 소자는 경량 및 박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휴대형 기기 등에 있어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 유기 EL 소자는 발광 기능층에 사용하는 소재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발광색을 얻을 수 있고, 따라서 각 발광색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발광색을 조합함으로써, 임의의 발광색을 얻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유기 EL 소자를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면발광체(발광 패널)로서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선전 광고용의 발광 포스터, 전식(electric illumination)용 광원 외에, 실내나 차내 등을 조명하는 고효율의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LED도 저전압의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높은 발광 효율을 나타내고, 사용하는 소재의 선택에 따라 각종 발광색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LED는 고수명이며 안정된 발광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옥외에서 사용되는, 예를 들어 신호기나 대형 디스플레이, 통신 분야에서의 전기-광 변환 수단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고, 또한 실내외의 조명 장치 등에의 응용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유기 EL 소자 및 LED를 조명용 광원으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특허는 이미 다수 출원되어 있고, 일례로서 전자인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27094호 공보를, 또 후자인 LED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05003호 공보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유기 EL 소자 또는 LED 등의 고체 발광 소자는, 구동원으로서 상기와 같이 저전압의 직류 전원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을 실내 조명 등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명 장치마다 상용 전원으로부터 각각 저전압의 직류를 생성하는 직류 공급 전원(AC/DC 변환기)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각 방 에 설치된 조명 기구마다 상기 직류 공급 전원을 구비시킨 구성에 의하면, 비효율적이고 고비용이 되는 문제를 안게 된다.
또, 상기 유기 EL 소자 또는 LED 등의 고체 발광 소자를 각각 복수 준비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1개의 조명 기구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조명 기구에서도, 이것을 구성하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마다 저전압의 직류 전원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와 동일한 문제를 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기 EL 소자 또는 LED 등의 고체 발광 소자를 주택 또는 사무소 등의 옥내(실내)에서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또 상기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조합하여 1개의 조명 기구를 형성하는 경우에, 효율적이고 저비용으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다채로운 조명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는,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각 발광 구동되는 1개 또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 기구, 또는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각 발광 구동되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1개의 조명 기구와, 상기 복수의 조명 기구, 또는 1개의 조명 기구에서의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광(調光, dimming)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일한 주컨트롤러와,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조명 기구, 또는 1개의 조명 기구에서의 1개 또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단위로 하여,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 또는 상기 단위마다의 고체 발광 소자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주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 또는 상기 단위마다의 고체 발광 소자의 조광을 각각 제어하는 종컨트롤러 가 구비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종컨트롤러는, 개별적으로 조광 조작을 받아 상기 종컨트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기 조명 기구 또는 상기 고체 발광 소자의 조광 제어가, 상기 주컨트롤러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는 조광 제어에 우선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를 전송하는 급전선과, 상기 주컨트롤러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이,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에 대응하여 설치된 종컨트롤러마다, 1개의 아웃렛(outlet)을 통해 각각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건축물의 방단위로, 적어도 1개의 상기 아웃렛이 배치된 구성이 된다.
한편, 상기 주컨트롤러는, 외광의 정도에 따라 상기 각 종컨트롤러에 대하여, 조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조명 기구에서의 광원으로서, 유기 EL 소자 또는 LED를 사용한 구성이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에 의하면, 고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 기구는,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직류를 공급받아 각각 발광 구동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명 기구마다 직류 공급 전원을 구비시키는 구성에 비해, 비효율 및 고비용이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조합하여 1개의 조명 기구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직류를 공급받아 각각 발광 구동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비효율 및 고비용이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1개 또는 복수의 조명 기구를 단위로 하여, 주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광 제어를 행하는 종컨트롤러를 구비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전체 조명 기구의 조광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외향에 따라 각 조명 기구의 조광을 일괄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밤낮에 따라 적절한 조광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컨트롤러는, 개별적으로 조광 조작을 받아 상기 종컨트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기 조명 기구의 조광 제어가, 상기 주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는 조광 제어에 우선하여 실행되도록 구성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개개의 조명 기구에서의 조광 조작을 개별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에 관해,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을 블록도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며, 이것은 예를 들어 1개의 가옥을 예로 하여, 쇄선으로 나타내는 각 방에 배치된 조명 기구에 대하여, 1개의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각각 급전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급전 장치에는 교류 전원(AC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직류 전력(direct-current power)으로 출력 변환하는 단일 한 직류 공급 전원(1)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직류 공급 전원(1)에는, 그 직류 출력을 급전하는 한쌍의 급전선(1a, 1b)이 접속되고, 이 급전선(1a, 1b)은 쇄선으로 나타내는 각 방 A, B, C를 경유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급전 장치에는 후술하는 각 방의 조명 기구를 대상으로 하여 조광 제어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일한 주컨트롤러(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주컨트롤러(2)에는, 마스터 조작반(3)으로부터의 조작 지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외광을 검출하는 조도계(4)의 계측 데이터, 및 필요에 따라 촬상 카메라(5)로부터의 촬상 데이터도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컨트롤러(2)로부터는 신호선(2a)이 도출되어 있고, 이 신호선(2a)은 상기 한쌍의 급전선(1a, 1b)과 함께, 쇄선으로 나타내는 각 방(A, B, C)를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컨트롤러(2)는 상기 직류 공급 전원(1)에 인접하는 장소에 배치되거나,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한편, 각 방(A, B, C)를 경유하도록 하여 설치된 급전선(1a, 1b) 및 신호선(2a)은, 각 방(A, B, C)의 적절한 위치에 면하도록(face) 배치된 아웃렛(6A, 6B, 6C)을 통해 각 실내로 도출되어 있다. 도 1에서는 A방에 설치된 급전 장치의 예에 관해 블록도로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B방 및 C방에 관해서도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그 기재는 생략하고 있다.
상기 A방을 예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선(1a, 1b)을 경유하는 직류 전력은, 아웃렛(6A)을 통하여 종컨트롤러(7)에 공급되고, 그 종컨트롤러(7)에서 조광 제어되어 조명 기구(8)에 급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체 발광 소자에 의한 조명 기구(8)로서,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를 이용한 것이 채택되고, 이 유기 EL 소자는 그 용도에 따라, 단일한 패널 또는 복수의 패널을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한 구성인 것이 채택된다.
또, 상기 신호선(2a)을 경유하는 주컨트롤러(2)로부터의 제어 신호도, 아웃렛(6A) 및 터미널 어댑터(9)를 통해 상기 종컨트롤러(7)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터미널 어댑터(9)는 상기 주컨트롤러(2)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 종컨트롤러(7)를 제어함으로써 조명 기구(8)의 조광 동작 등을 실행시키는 것이며, 그 작용에 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또, 상기 종컨트롤러(7)에는 수동 조작 단말(10)로부터의 제어 신호도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수동 조작 단말(10)에서의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방단위 또는 조명 기구(8) 단위로, 종컨트롤러(7)에 대하여 조광 제어 등의 지령이 입력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수동 조작 단말(10)은, 리모콘 조작부(11)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아, 종컨트롤러(7)에 대하여 동일한 지령 제어를 행할 수도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주컨트롤러(2)로부터 신호선(2a) 및 터미널 어댑터(9)를 통하여 종컨트롤러(7)에 송출되는 제어 신호의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주컨트롤러(2)로부터 송출된 제어 신호에 동기하여, 주컨트롤러(2)와 각 방의 종컨트롤러(7)와의 사이에서 시분할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제어 신호(데이터)가 교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각 방의 종컨트롤러(7)에는 개별적으로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주컨트롤러(2)는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종컨트롤러(7)를 식별하도록 동 작한다.
도 2에 나타내는 SY는 신호의 송출 개시를 나타내는 동기 신호이고, MY는 전송하는 제어 신호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드 데이터, AD는 상기 터미널 어댑터(9)와 이것에 접속된 종컨트롤러(7)를 개별적으로 호출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LD는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한 종컨트롤러(7)에 대하여 조광 지시를 행하는 조광 데이터, CS는 전송 오류를 검출하는 체크섬 데이터, WT는 필요에 따라 터미널 어댑터(9)와 이것에 접속된 종컨트롤러(7)의 감시 데이터를 회신시키는 회신 기간을 설정하는 타임 슬롯이다.
상기와 같이 시간적으로 직렬로 배열된 일련의 데이터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순서대로 바꾸면서 주컨트롤러(2)로부터 각 종컨트롤러(7)를 향해 반복적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어드레스가 일치한 종컨트롤러(7)는, 주컨트롤러(2)로부터의 상기 조광 데이터(LD) 등을 수취하여, 이것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8)에서의 조광 제어 등이 개별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마스터 조작반(3)에 의해 각 방의 조명 기구(8)에서의 조광 제어의 정도를 개별적으로 주컨트롤러(2)에 입력할 수 있고, 이 입력 지령에 기초하여 주컨트롤러(2)로부터 송출되는 도 2에 나타내는 신호 포맷에 따라, 각 방의 조명 기구(8)를 개별적으로 조광 제어할 수 있다.
또, 주컨트롤러(2)에는 상기와 같이, 외광을 검출하는 조도계(4)로부터의 계측 데이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밤낮에 따라 조광 데이터를 적절히 제어하여, 소등을 포함하는 조광 제어 등을 개별적으로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 다.
한편, 각 방의 조명 기구(8)에 대응하여 배치된 리모콘 조작부(11)를 포함하는 수동 조작 단말(10)은, 이것에 대응한 조명 기구(8)를 개별적으로 조광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조광 제어에서도, 도 2에 나타내는 신호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 조작 단말(10)에 의한 조광 제어가, 상기 주컨트롤러(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는 조광 제어에 우선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재실중에는 주컨트롤러(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관계없이, 수동 조작 단말(10)에 의해 조광 제어를 실현시킬 수 있다.
도 3은 상기 종컨트롤러(7)에 의해 이루어진 조광 제어의 기본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PWM에 의해 조광 제어를 실현시키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PWM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동기 신호이고, 이것은 예를 들어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SY)에 기초하여 생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도 3(A)에 나타내는 1사이클의 기간을,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6스텝으로 분할하고, 조광 제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텝수에 따라 점등 기간을 설정하도록 제어된다.
즉, 도 3(C)은 16스텝 중 "0"∼"5"의 6스텝의 기간에서 조명 기구의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상기 유기 EL 소자에 직류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점등 기간을 설정하는 상기 스텝수가 클수록, 조명 기구는 밝게 (고휘도) 발광하게 된다.
인간의 시감도는 저휘도의 범위에서 휘도 변화의 식별 능력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수가 작은 범위에서는 PWM의 듀티비의 변화가 적고, 스텝수가 커질수록 PWM의 듀티비의 변화가 커지는 보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정한 상기 스텝수에 기초하여 PWM의 듀티비를 결정하도록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조명 기구(8)에 대하여 종컨트롤러(7)가 구비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1개 또는 복수의 조명 기구를 단위로 하여, 상기 단위마다 종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조명 기구(8)를 구성하는 고체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LED 또는 직류 전원에 의해 발광 구동되는 다른 소자를 이용하더라도, 상기 효과 란에 기재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컨트롤러(2)로부터의 조광 제어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신호선(2a)을 통하여 종컨트롤러(7)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신호선(2a)을 통하지 않고 무선 전송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컨트롤러(2)측에 무선 송신 수단이, 또한 종컨트롤러(7)측에 무선 수신 수단을 배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교류 전원(AC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직류로 출력 변환하는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은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것을 상기 유기 EL 소자 등을 구동할 수 있는 직류로 전압 변환하는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5∼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 내는 것이며, 이것은 복수의 조명 기구를 대상으로 하여 조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일한 주컨트롤러와, 복수의 조명 기구를 단위로 하여,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주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의 조광을 각각 제어하는 종컨트롤러가 구비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에 나타내는 조명 기구(20)는, 장척형(elongated)으로 형성된 패널 케이스(21)의 한쪽 단부(端部)에 허브 케이스(22)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또 패널 케이스(21)의 다른쪽 단부에 종단 케이스(23)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5(A)에서 화살표 C1로 나타내는 부분에서 상기 패널 케이스(21)와 허브 케이스(22)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또 화살표 C2로 나타내는 부분에서 상기 패널 케이스(21)와 종단 케이스(23)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 케이스(21)의 전면(前面)에는 직사각형의 창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21)내에 배치된 고체 발광 소자로서의 유기 EL 소자(25)로부터의 발광이, 창구멍(24)을 통해 조명광으로서 출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26은 유기 EL 소자(25)에서 생기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유기 EL 소자(25)에 다수 형성한 슬릿형의 통기 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상기 패널 케이스(21), 허브 케이스(22), 종단 케이스(23)에서의 전면(前面)측의 패널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패널 케이스(21)내에는, 대략 전면(全面)을 차지하도록 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유기 EL 소자(2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 케이스(21)의 한쪽 단부에는 상기 허브 케이스(22) 를 착탈가능하게 접속하는 커넥터(27)가 배치되고, 패널 케이스(21)의 다른쪽 단부에는 상기 종단 케이스(23)를 착탈가능하게 접속하는 커넥터(2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 케이스(22)내에는 후술하는 전원 모듈(29)을 구성하는 회로 소자 등이 탑재된 회로 기판이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패널 케이스(21)의 상기 다른쪽 단부에 종단 케이스(23)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지만,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널 케이스(21)에 대하여 동일한 구성의 패널 케이스(21)를 상기 커넥터(27, 28)를 이용하여 순서대로 직렬 상태로 복수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케이스(23)는 직렬 접속된 최후의 패널 케이스(21)의 단부에 접속함으로써, 각 패널 케이스(21)를 경유하는 후술하는 전송 신호를 반환하는 기능을 하며, 이에 따라 전기적으로도 기계적으로도 종단인 것이 정의된다.
도 6은 상기 패널 케이스(21)만의 외관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내는 것이며, 패널 케이스(21)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상기 커넥터(27)는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고, 또한 패널 케이스(21)의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상기 커넥터(28)는 암형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패널 케이스(21)의 한쪽 단부에 수형 커넥터(27)를, 다른쪽 단부에 암형 커넥터(28)를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패널 케이스(21)를 순서대로 직렬 상태로 복수개 접속할 수 있어, 동시에 허브 케이스(22)내의 전원 모듈(29)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패널 케이스(21)내에는 후단에 접속되는 패널 케이스내의 유기 EL 장치에 대하여 순서대로 구동 전원을 공 급하기 위한 급전선, 및 전원 모듈(29)로부터의 전송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이 수용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고체 발광 소자로서의 유기 EL 소자(25)의 기본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을 층방향으로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즉, 이 종류의 유기 EL 소자는, 투명한 소재에 의한 소자 형성 기판(25a)의 한면에, 우선 제1 전극이 되는, 예를 들어 ITO에 의한 투명 전극(25b)이 형성된다.
또, 상기 투명 전극(25b)에 중첩되도록 하여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발광 기능층(25c)이 성막(成膜)된다. 이 발광 기능층(25c)은, 유기 발광층의 단일층, 또는 유기 정공 수송층과 유기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이층 구조, 또는 유기 정공 수송층과 유기 발광층 및 유기 전자 수송층으로 이루어진 삼층 구조, 또한 이들의 적절한 층간에 전자 또는 정공의 주입층을 삽입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도 7에서는 이들을 1층의 상태로 부호 25c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발광 기능층(25c)상에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를 주체로 한 금속제의 배면 전극(25d)이 제2 전극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면 전극(25d)상에는 밀봉 부재(25e)가 장착되고, 이 밀봉 부재(25e)에 의해 상기 투명 전극(25b), 발광 기능층(25c), 배면 전극(25d)으로 이루어진 유기 EL 소자(25)가 상기 기판(25a)과의 사이에서 밀봉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전극(25b)과 배면 전극(25d) 사이에는 직류 전원(E1)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발광 기능층(25c)에서 발생하는 광은, 상기 투명 전극(25b) 및 투명 기판(25a)을 투과하고, 이것을 조명광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유기 EL 소자의 발광을 조명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 발광색은 백색(주광색)이 바람직하지만, 유기 EL 소자는 상기 발광 기능층(25c)의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여러가지 발광색을 가져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상기 패널 케이스(21), 허브 케이스(22), 종단 케이스(23)를 사용하여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패널 케이스(21)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커넥터(27, 28)를 이용하여, 허브 케이스(22)를 선두로 하여 복수의 패널 케이스(21)를 순서대로 직렬 상태로 접속하고, 마지막으로 종단 케이스(23)를 접속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을 한 조로 하여, 이것을 복수조 구비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각 허브 케이스(22)에 수용된 상기 전원 모듈(29)에는 신호선(31)이 각각 캐스케이드 접속되며, 급전선(32)도 동일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급전선(32)에는 직류 공급 전원(33)으로부터의 구동 전원이 급전선(32)을 통해 각 허브 케이스(22)에 수용된 전원 모듈(29)에 각각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류 공급 전원(33)은, 예를 들어 교류 전원(AC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직류로 출력 변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것을 상기 유기 EL 소자 등을 구동할 수 있는 직류로 출력 변환하는 직류 공급 전원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신호선(31)은, 마스터 조작반(34)으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진 주컨트롤러(35)에 의해 생성되는 조광 제어 신호를, 각 허브 케이스(22)에 수용된 상기 전원 모듈(29)에 각각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9는, 허브 케이스(22)내에 수용된 전원 모듈(29)의 구성예를 블록도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전원 모듈(29)에는 상기 신호선(31)이 캐스케이드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41, 42)가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급전선(32)을 통해 직류 공급 전원(33)으로부터의 출력을 받는 커넥터(43)가 구비되어 있다.
부호 44로 나타내는 블록은, 커넥터(41, 42)에 접속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이며, 이 인터페이스 모듈(44)을 통해 시스템 제어 모듈(45)이 접속되어 있다. 이 시스템 제어 모듈(45)에는, 전원 모듈(29)이 수용된 상기 허브 케이스(22)에 접속되는 패널 케이스(21)(유기 EL 소자(25))마다, 독립된 조광 제어를 행하기 위한, 예를 들어 8비트의 DSP-SW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45)에는 조광 제어 모듈(46)이 접속되어 있고, 이 조광 제어 모듈(46)은,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45)로부터의 조광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패널 케이스(21)(유기 EL 소자(25))에 대한 조광 제어 드라이버(47)에 조광(발광) 제어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광 제어 드라이버(47)로부터의 구동 전원 출력은 커넥터(48)를 통해, 허브 케이스(22)를 선두로 하여 직렬 접속된 각 패널 케이스(21)에 공급되고, 각 패널 케이스(21)내의 유기 EL 소자(25)를 점등 구동하도록 동작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조명 기구와 그 급전 장치를 계단의 조명에 이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0은 계단을 측면에서 본 상태를, 또 도 11은 계단을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상기 전원 모듈(29) 이 수용되어 있는 허브 케이스(22)를 선두로 하여 복수의 패널 케이스(21)가 순서대로 직렬 상태로 접속되고, 마지막으로 종단 케이스(23)를 접속한 조(도 10에서는 패널 케이스와 동일한 부호 21만으로 나타내고 있다)가, 계단에 수직으로 배치된 챌면(riser)(51)에 개개로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단판(52)의 디딤면을 조명할 수 있는 계단의 조명 기구가 실현된다.
상기 계단의 조명 기구에서는, 통상은 도 8에 나타내는 마스터 조작반(34)에 의해 적절한 조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이벤트 회장과 같이 화려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경우에는, 계단마다 점멸시키거나, 직렬 접속한 복수의 패널 케이스(21)마다 여러가지 조광 제어를 행하게 하는 등의 다채로운 이용 방법이 채택된다.
이것은 도 8에 나타내는 마스터 조작반(34)으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진 주컨트롤러(35)에 의해 생성되는 조광 제어 신호가, 신호선(31)을 통해 상기 각 허브 케이스(22)내의 전원 모듈(29)에 공급된다. 전원 모듈(29)은, 주컨트롤러(35)로부터 받는 조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 전원 모듈(29)에 접속된 각 패널 케이스(21)내의 유기 EL 소자(25)를 발광 제어하여, 상기 동작을 가져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5∼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허브 케이스(22)가, 상기 도 1에 나타내는 아웃렛(6A∼6C)에 해당하고, 허브 케이스(22)내에 수용된 전원 모듈(29)은, 도 1에 나타내는 터미널 어댑터(9) 및 종컨트롤러(7)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케이스내에 수용되는 면발광체로서,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밖에 상기 LED 등의 고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 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것은 고체 발광 소자로서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고, 이들 복수의 유기 EL 소자에 의해 1개의 조명 기구를 형성하여, 각 유기 EL 소자의 조광 제어를 실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메인 패널에 대하여 각 서브 패널을 수평으로 전개한 상태의 조명 기구를 경사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동일한 조명 기구를 경사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 도 14는 서브 패널의 1장을 위쪽으로 튀어오르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5는 메인 패널에 대하여 서브 패널을 점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조명 기구는 중앙에 직사각형의 메인 패널(61)이 구비되고, 그 메인 패널(61)의 하면에는 직사각형의 면발광부(61a)가, 메인 패널(61)에 대하여 액자형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메인 패널(61)의 사변을 따라 직사각형의 서브 패널(62, 63, 64, 65)이 각각 연결부(66)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서브 패널(62∼65)의 하면에는, 직사각형의 면발광부(62a, 63a, 64a, 65a)가 각각 액자형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 패널(61) 및 각 서브 패널(62∼65)은, 각각 정방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 거의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메인 패널(61) 및 각 서브 패널(62∼65)에 구비된 각 면발광부(61a∼65a)에서도 각각 정방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 거의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각 면발광부는 상기와 같이 유기 EL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패널(61)에 대하여 각 서브 패널(62∼65)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66)는, 각각 동일 구성의 힌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패널(61)에 대하여 각 서브 패널(62∼65)은,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약 180도의 범위에서 변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서브 패널은 변회동된 위치에서, 그 자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각 힌지는 회동 동작에 적절한 저항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 패널(61)은, 둘레측이 직사각형으로 하여 높이 방향이 얇게(편평하게) 형성된 케이스(67)의 하저부에 부착되어 있고, 이 케이스(67)내에는, 상기 각 면발광부(61a∼65a)를 구성하는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조광 제어한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조광 제어부, 및 리모콘 수광부 등이 수용되어 있다.
이 조광 제어부에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각 방(A∼C)에 각각 설치되는 설비와 동일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면발광부(61a∼65a)를 구성하는 각 유기 EL 소자는, 도 1에 나타내는 주컨트롤러(2)로부터의 조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조광 제어를 받아 다채로운 점등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 상기 케이스(67)내에서의 상기 리모콘 수광부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리모콘 조작부(11)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아, 종컨트롤러(7)에 대하여 조광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리모콘 조작부(11)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각 면발광부(61a∼65a)를 구성하는 각 유기 EL 소자는, 이 리모콘 조작 신호가 우선되어 조광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이 경우, 리모콘 조작부(11)에 의해 종컨트롤러(7)가 받는 조광 제어의 데이터는, 신호선(2a)을 통해 도 1에 나타내는 주컨트롤러(2)에 송출되도록 구성되고, 마스터 조작반(3)으로부터 주컨트롤러(2)에 입력된 조광 데이터를, 상기 리모콘 조작부(11)에 의해 지시된 조광 데이터로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명 기구를 소등하고 재점등시킨 경우에, 최후의 상기 리모콘 조작부(11)에 의한 조광 제어가 반영된 점등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7)의 상면 중앙에는 조명 기구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즉 천정으로부터의 현수용 파이프(hanger pipe)(68)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현수용 파이프(68)가 매달려지는 천정 부분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아웃렛(6A∼6C)과 동일하게 기능하는 분기 설비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67)내에 급전선(1a, 1b) 및 신호선(2a)에 해당하는 각 선이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67)에 수용된 조광 제어부로부터, 각 힌지부(68)를 각각 경유시켜 도시하지 않은 급전선이 배치되고, 이 급전선을 통해 상기 각 서브 패널(62∼65)에서의 유기 EL 소자에 의한 면발광부(62a∼65a)에 대하여 구동 전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힌지의 지지축에, 예를 들어 중공축을 사용하고, 이 중공축내에 상기 전류 공급선을 삽입 관통시키도록 한 구성 이 채택된다.
상기 구성의 조명 기구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66)로서의 힌지를 이용하여 각 서브 패널(62∼65)의 설정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리모콘 조작에 의해, 메인 패널 및 서브 패널에서의 각 면발광부를 독립적으로 점등 제어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조명 기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5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메인 패널(61)에 대한 서브 패널(62∼65)의 연결부(69)는, 점회동할 수 있도록 볼 조인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 조인트의 구성에 의하면, 서브 패널의 자유단측을 상하 방향 뿐만아니라, 좌우 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도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 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것은 고체 발광 소자로서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고, 이들 복수의 유기 EL 소자에 의해 1개의 조명 기구를 형성하여, 각 유기 EL 소자의 조광 제어를 실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 나타내는 조명 기구(71)는, 천정 현수형을 구성하고 있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면(도시하지 않음)에 일단이 부착된 3개의 와이어(79)에 의해 늘어뜨려진다. 그리고 도 17에 평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3 구경의 발광부가 동심원형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부호 72는 최내주에서의 제1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평판형상의 프레임의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또, 부호 73은 상기 제1 구경의 발광부의 외측에 형성된 제2 구경의 발광부 를 구성하는 평판형상의 프레임의 하나를 나타내고 있고, 부호 74는 상기 제2 구경의 발광부의 더 외측에 형성된 제3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평판형상의 프레임의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제3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의 외형 형상은 거의 정방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제3 구경의 발광부에서는 동일수인 12개의 프레임이 각각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최내주인 제1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프레임(72)은 그 외형 형상이 최소가 되고, 제2 및 제3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73, 74)은 그 외형 형상이 순서대로 커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또, 제1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72)은, 대향하는 구석부(corner portion)끼리 환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구경의 발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73)은, 대향하는 구석부끼리 마찬가지로 환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구경의 발광부가 형성되고, 또한 이들 프레임(73)은, 제1 구경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상기 각 프레임(72)의 주위에 외접하도록 하여, 대향하는 프레임(72, 73)의 구석부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3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74)은, 대향하는 구석부끼리 마찬가지로 환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3 구경의 발광부가 형성되고, 또한 이들 프레임(74)은, 제2 구경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상기 각 프레임(73)의 주위에 외접하도록 하여, 대향하는 프레임(73, 74)의 구석부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72, 73, 74)에서의 후 술하는 면발광체(75, 76, 77)측이 돔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 기구(71)를 늘어뜨린 경우에, 조명 기구의 중앙부측이 아래쪽을 향하여 완만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부호 78은, 도 16에 나타낸 3개의 와이어(79)의 부착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상기 각 프레임(72∼74)에 대한 면발광체(75∼77)의 장착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제3 구경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각 1개의 프레임(72∼74)의 연결체에 의해 1유닛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8에 나타내는 연결체를 12유닛 준비하고, 이들을 환상으로 연결함으로써,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형태의 조명 기구가 형성되게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유닛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72∼74)에는 스테인레스 플레이트가 사용되고, 여기에, 예를 들어 헤어 라인 가공 등의 장식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72∼74)에는, 각각에 거의 정방형으로 형성된 창구멍(72a∼74a)이 형성되고, 그 이면으로부터 유기 EL 소자(75∼77)의 발광면이 상기 창구멍(72a∼74a)에 면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EL 소자(75∼77)의 발광면이 각 창구멍(72a∼74a)에서 액자를 형성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A-A선에서 절단한 상태의 상기 1유닛의 단면도가 도 19에 B로서 나타나 있다. 도 19에 B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구경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프레임(72)을 기준으로 하여, 제2 구경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프레임(73)은 15 도 전후로 굴곡되어 있고, 또 제3 구경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프레임(74)은 같은 방향으로 15도 전후로 더 굴곡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각 프레임(72∼74)에서의 EL 소자(75∼77)측이 돔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9에는 각 프레임(72∼74)과 그 이면에 장착되는 EL 소자(75∼77)와의 관계가 나타나 있다. 제1∼제3 구경의 발광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EL 소자(75∼77)는 상기와 같이 대소(36)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각 구경마다 점등시키거나, 1개의 구경의 발광부에서도 간헐적으로 점등시키는 등, 점멸 동작도 추가하여 다채로운 점등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점멸 동작도 추가한 다채로운 점등 동작은, 예를 들어 도 8에서 설명한 급전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허브 케이스(22)와, 여기에 수용된 상기 전원 모듈(29)을 대신한 것으로서, 제2 구경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프레임(73)의 이면에 제어 기판(8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기판(80)은, 1유닛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72∼74)에 배치된 EL 소자(75∼77)의 조광 제어를 실행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유닛의 제2 구경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프레임(73)의 이면에 제어 기판(80)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어 기판(80)에는 도 8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주컨트롤러(35)로부터 신호선(31)이 각각 캐스케이드 접속되고, 직류 공급 전원(33)으로부터 급전선(32)도 동일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6∼도 1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제어 기 판(80)에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 신호의 수광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리모콘 수광부에서 받은 신호는 제어 기판(80)내에서 처리되고, 각 프레임(72∼74)에 배치된 EL 소자(75∼77)는, 리모콘 조작 신호가 우선되어 조광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리모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 기판(80)내의 처리 회로가 받는 조광 제어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신호선(31)을 통해 주컨트롤러(35)에 송출되도록 구성되고, 마스터 조작반(34)으로부터 주컨트롤러(35)에 입력된 조광 데이터를, 상기 리모콘 조작에 의해 지시된 조광 데이터로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명 기구를 소등하고 재점등시킨 경우에, 최후의 리모콘 조작에 의한 조광 제어가 반영된 점등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주컨트롤러로부터 종컨트롤러에 송출되는 제어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포맷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종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지는 PWM에 의한 조광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PWM에 의한 조광 제어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보정 테이블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조명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패널 케이스와 허브 케이스의 전면(前面)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동 패널 케이스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조명 기구에 사용되는 발광 소자로서의 유기 EL 소자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조광 제어 장치의 예를 설명하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9는 허브 케이스에 수용된 전원 모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10은 조명 기구를 계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동 계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 장치의 제3 실시형태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조명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조명 기구를 경사 아래쪽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서브 패널 1장을 위쪽으로 튀어오르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메인 패널에 대하여 서브 패널을 점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 조명 기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 장치의 제4 실시형태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조명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 바닥면도이다.
도 18은 평판형상의 각 프레임을 유닛화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유닛화한 각 프레임에 대한 면발광체의 장착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Claims (6)

  1.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각 발광 구동되는 1개 또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 기구, 또는 단일한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각 발광 구동되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1개의 조명 기구와,
    상기 복수의 조명 기구, 또는 1개의 조명 기구에서의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광(調光, dimming)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일한 주컨트롤러와,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조명 기구, 또는 1개의 조명 기구에서의 1개 또는 복수의 고체 발광 소자를 단위로 하여,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 또는 상기 단위마다의 고체 발광 소자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주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 또는 상기 단위마다의 고체 발광 소자의 조광을 각각 제어하는 종컨트롤러
    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컨트롤러는, 개별적으로 조광 조작을 받아 상기 종컨트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기 조명 기구 또는 상기 고체 발광 소자의 조광 제어가, 상기 주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는 조광 제어에 우선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공급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를 전송하는 급전선과, 상기 주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이, 상기 단위마다의 조명 기구에 대응하여 설치된 종컨트롤러마다, 1개의 아웃렛을 통해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방단위로, 1개 이상의 상기 아웃렛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컨트롤러는, 외광의 정도에 따라 상기 각 종컨트롤러에 대하여, 조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 소자 또는 LED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KR1020090026912A 2008-03-31 2009-03-30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KR20090104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12A KR20090104724A (ko) 2008-03-31 2009-03-30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0809 2008-03-31
JPJP-P-2009-041074 2009-02-24
KR1020090026912A KR20090104724A (ko) 2008-03-31 2009-03-30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724A true KR20090104724A (ko) 2009-10-06

Family

ID=4153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912A KR20090104724A (ko) 2008-03-31 2009-03-30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4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260B1 (ko) * 2015-07-31 2015-12-24 주식회사 에스티씨 다수의 led 조명등 디밍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260B1 (ko) * 2015-07-31 2015-12-24 주식회사 에스티씨 다수의 led 조명등 디밍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66804A (ja) 照明器具の給電装置
US10566895B1 (en) Tube light with improved LED array
US11940103B1 (en) Multicolored tube light with improved LED array
US7614767B2 (en) Networked architectural lighting with customizable color accents
KR20170059394A (ko) 조명패널 및 조명시스템
WO2013151565A1 (en) Non-curvilinear led luminaries
US20110157893A1 (en) Oled luminaire having observable surfaces with differential visual effects
JP2010177048A (ja) 照明装置
EP3754246B1 (en) Lighting apparatus in closet
US11668442B2 (en) Multi-color flat rope light string system
CN101553061A (zh) 照明设备的供电装置
CN106922051B (zh) 信号发送及接收装置、点亮系统、照明器具和照明系统
JPS6230386A (ja) 多色表示型ledランプ
KR20100052985A (ko)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90104724A (ko) 조명 기구의 급전 장치
CN101904223A (zh) 使用冷阴极荧光灯的照明用照明器材系统
KR20140132491A (ko) 통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JP2009054585A (ja) 群管理型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50051842A (ko) 스마트폰모듈을 이용한 밝기가 조절되는 엘이디조명시스템
KR200463413Y1 (ko) 불단용 인등의 엘이디 장치
CN213152442U (zh) 一种用于户外照明的智能控制系统
KR101280395B1 (ko)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 중앙통제 시스템
US10969068B1 (en) LED box apparatus
JP2012204174A (ja)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を用いた照明制御システム
US20230044955A1 (en) Led lighting incorporating dmx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