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856A - 음의 굴절률을 갖는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양의 굴절률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음의 굴절률을 갖는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양의 굴절률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856A
KR20090101856A KR1020090024914A KR20090024914A KR20090101856A KR 20090101856 A KR20090101856 A KR 20090101856A KR 1020090024914 A KR1020090024914 A KR 1020090024914A KR 20090024914 A KR20090024914 A KR 20090024914A KR 20090101856 A KR20090101856 A KR 2009010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retardation film
polarizing plate
film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0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의 굴절률을 갖는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양의 굴절률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의 위상차 값과, 제2편광판의 액정셀 쪽에 적층된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이축성 위상차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위상차 값을 조절함으로써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고 복합구성 편광판(편광판 및 위상차판)의 제조에 있어서 롤 대 롤(Roll To Roll) 생산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의 굴절률을 갖는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양의 굴절률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UNIAXIAL RETARDATION FILM WITH NEGATIVE REFRACTIVE PROPERTY AND BIAXIAL RETARDATION FILM WITH POSITIVE REFRACTIVE PROPERTY}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면상 스위칭 모드(IPS mode)에서 일축성 위상차필름 및 이축성 위상차필름을 이용하여 광시야각을 보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여러 우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시야각이 좁다는 단점이 있었다. 액정 구동 모드와 광학필름 등을 적용시킨 광시야각 기술의 등장으로 시야각의 개선이 가능해 졌으며, 특히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 구동 모드인 면상 스위칭 모드(IPS mode)는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특성 개선에 있어 가장 뛰어난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면상 스위칭 모드(IPS mode)는 횡(橫) 전계를 이용해 액정을 구동하는 모드로서, TN이나 VA 모드는 액정과 전기장의 방향이 상하판 사이에 형성되는데 반해(수직배향), IPS 모드는 수평 배향성 액정을 사용해 전기장의 방향을 액정배열방향에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면상 스위칭 모드에서도 액정이 포함되어 있는 액정셀의 외측에는 빛을 편광시키기 위한 편광판이 필요하고, 일반적으로 상기 편광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TAC(Triacetate Cellulose) 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필름이 편광자(PVA)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근래에는 이러한 면상 스위칭 모드 방식으로 대형 TV 등을 제조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더욱 넓은 시야각 특성이 요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저가형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TAC 필름이 Nx=Ny>Nz의 네거티브 C-플레이트 복굴절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필름 자체가 가진 복굴절성과 위상차 값(Rth)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을 현저히 좁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 위상차 값(Rth)은 필름의 두께가 d일 경우 Rth=((Nx+Ny)/2-Nz)×d로 정의된다(여기서, Nx, Ny는 면상 굴절률, Nz는 보호층의 두께 방향 굴절률, d는 보호층의 두께를 나타냄). 또한, 저가형 IPS-LCD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AC 필름의 Rth는 0nm를 초과하며 이러한 광학 특성은 IPS 모드에 있어서 시야각을 좁히는 악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네거티브 C-플레이트 복굴절 특성을 갖는 TAC 필름이 포함된 면상 스위칭 모드(IPS mode) 방식의 디스플레이 제품에서도 좀 더 우수한 광시야각을 가지는 보상필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현재 여러 가지 보상 구성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면상 스위칭 모드(IPS mode)에서의 시야각 보상은 음의 복굴절성을 가지는 위상차필름을 이용한 보상 구성으로서 광학적으로는 유리하나 편광판을 생산함에 있어 롤 대 롤(Roll To Roll) 생산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시야각 보상을 하면서 양산 과정에서 롤 대 롤 생산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면상 스위칭 모드(IPS mode)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의 위상차 값과, 제2편광판의 액정셀 쪽에 적층된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이축성 위상차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위상차 값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저가형 IPS-LCD에서 문제되는 시야각 협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편광판과 위상차필름의 복합체인 복합구성 편광판을 생산함에 있어 롤 대 롤 적용이 가능한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쪽에서부터 제1편광판, 액정셀 및 제2편광판의 순서로 적층된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로서, 제1편광판의 액정셀 쪽 보호필름의 두께방향 위상차 값(Rth, 수학식 1로 정의됨)이 589 nm 파장에서 0 내지 10 nm의 범위이고, 제2편광판의 편광자의 액정셀 쪽에는 보호필름 대신 액정셀과 가까운 곳에서부터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이축성 위상차필름이 적층되어 있으며, 일축성 위상차필름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0.1 < NZ < 0.1의 굴절률비를 갖고, 다음 수학식 3으로 정의되는 면상 위상차 값(R0)이 589 nm 파장에서 60 내지 140 nm 이며, 이축성 위상차필름은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1.3 < NZ < 3의 굴절률비를 갖고, 그 면상 위상차 값(R0)이 589 nm 파장에서 40 내지 80 nm 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Rth = [(Nx + Ny)/2-Nz]×d
-0.1 < NZ = (Nx - Nz) / (Nx - Ny) < +0.1
R0 = d×(Nx - Ny)
1.3 < NZ = (Nx - Nz) / (Nx - Ny) < 3
(여기서, Nx, Ny는 면상 굴절률로써 Nx > Ny 이며,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 굴절률, d는 필름의 두께를 나타냄)
이러한 본 발명의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쪽에서부터 제1편광판, 액정패널, 제2편광판을 순차적으로 구비하며 시야각 보상을 위하여 제1편광판은 보호필름, 편광자 및 등방성 보호필름을 구비하며, 제2편광판은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가지는 일축성 위상차필름, 양(+)의 굴절률 특성을 가지는 이축성 위상차필름, 편광자 및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위상차필름들을 포함하는 복합구성 편광판인 제2편광판의 제조시 롤 대 롤 생산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기타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후술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자세하게 기재한다.
본 발명은 면상 스위칭 모드(IPS mode) 방식을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의 위상차 값과, 제2편광판의 액정셀 쪽에 적층된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이축성 위상차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위상차 값을 조절함으로써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액정셀과 편광자 사이에 별도의 2장의 위상차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위상차 값 및 편광판에 구비되는 보호필름의 위상차 값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저가형 IPS-LCD에서 문제되는 시야각 협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를 제공하고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복합구성 편광판 제조시 롤 대 롤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 원가절감 및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흡수축과 액정의 배향방향 배치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필름의 굴절율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위상차필름(40)와 제2위상차필름(50)의 최적 위상차 값을 탐색한 결과로 제1위상차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R0)이 각각 60 nm, 80 nm, 100 nm, 120 nm 및 140 nm일 때 암(Black) 상태의 전방위 투과도를 제2위상차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R0)과 NZ 계수에 따라 시뮬레이션한 결과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필름과 제2편광판의 연신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과정 상에서의 MD 방향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원좌표계에서 φ, θ로 표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에 대한 사면(Φ=45°, θ=60°일 때)에서의 위상차 보상을 뿌앙카레구상에 표현한 결과이고,
도 12는 종래기술에 따라 등방성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에 대한 전방위 투과도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의 기본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IPS-LCD는 제1편광판(10)과 제2편광판(20) 및 액정셀(30)을 포함하고, 제1편광판(10)의 흡수축(11)과 제2편광판(20)의 흡수축(21)은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제1편광판(10)의 흡수축(11)과 액정셀(30) 안에 포함되어 있는 액정의 배향방향(31)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도 2에는 시인 쪽에서 바라볼 때 상기 액정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배향방향(31)과 두 편광판의 흡수축(11), (21)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1편광판(10)과 제2편광판(20)에는 각각 연신과 염색을 통해 편광기능이 부여된 편광자인 폴리비닐알콜(PVA)층(12),(22)을 중심으로, 보호필름(13),(14),(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종래에 이러한 광학적 특징을 가지는 보호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은 IPS모드에 있어서 시야각이 좁은 단점이 있었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셀(30)과 편광자(21) 사이에 구비되는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일축성 위상차필름(40)과 양(+)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50)의 지상축(41)(51) 방향과 위상차 값을 조절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상필름이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제1편광판(10),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양(+)의 유전율 이방성(Δε>0)을 갖는 액정으로 채워진 수평 배향된 액정셀(30)과 제2편광판(20)을 구비하고, 액정셀(30)의 유리기판 중 하나에는 전극쌍을 포함하는 능동 매트릭스 구동 전극(active matrix drive electrode)이 액정셀(30)의 인접한 표면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편광판(10)의 흡수축(11)과 제2편광판(20)의 흡수축(21)은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1편광판(10)의 흡수축(11)과 액정셀(30) 안에 포함되어 있는 액정의 배향방향(31)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IPS-LCD에서는 액정셀(30)의 위상차 값이 589 nm 파장에서 200 내지 400 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IPS-LCD 패널에 전압 인가시 제1편광판(10)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이 액정셀(30)을 통과한 후에 수직방향으로 선편광되어 명(明)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IPS-LCD 패널의 액정셀(30) 위상차 값이 589 nm(사람이 느끼는 가장 밝은 단색광)의 반파장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백색(White Color)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반파장 보다 약간 길거나 짧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차 값은 589 nm 단색광의 반파장인 295 nm 전후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300 내지 330nm 이다.
본 발명의 LCD는 다중 영역(multi-domain)으로 액정을 배향시키거나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다중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LCD는 전극 쌍을 포함하는 능동 매트릭스 구동 전극의 모드에 따라 IPS(In-Plane-Switching), 수퍼-IPS(Super-In-Plane-Switching) 및 FFS(Fringe-Field-Switching)로 구별된다. 본 발명에서 IPS-LCD 라고 하면 상기 수퍼-IPS 및 FFS 등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PS-LCD의 시야각 보상을 위한 제1위상차필름(40) 및 제2위상차필름(50)의 굴절률을 살펴보면, 면상 굴절율 중 굴절율이 큰 축(x축 방향)의 굴절률을 Nx(1), 굴절율이 작은 축(y축 방향)의 굴절률을 Ny(2), 두께 방향(z 축 방향)의 굴절률을 Nz(3)라 할 수 있고, 이때 굴절률의 크기에 따라서 위상차필름의 특성이 결정된다. 세 축 방향의 굴절률에 의해 전방위 굴절률 분포는 3차원 타원체의 형태를 가지며 이 때 빛이 3차원 굴절률 분포를 가지는 위상차필름을 통과할 때 위상차가 생기지 축을 광축이라 하며 굴절률 분포에 따라 하나의 광축을 포함하면 일축성(Uniaxial) 위상차필름, 두 개의 광축을 포함하면 이축성(Biaxial) 위상차필름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상차필름(40)은 음(-)의 굴절률, 즉 연신하는 방향으로 굴절률이 작아지는 특성을 가지는 일축성 위상차필름으로서 -0.1 < NZ = (Nx - Nz) / (Nx - Ny) < +0.1의 굴절률 분포를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NZ = (Nx - Nz) / (Nx - Ny) =0 인 것이 적합하다. NZ = 0 인 경우 (즉, Nx = Nz > Ny 일 때)의 위상차필름(40)을 네거티브 A-플레이트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위상차필름(50)은 양(+)의 굴절률, 즉 연신을 하는 방향으로 굴절률이 커지는 특성을 가지는 이축성 위상차필름으로 NZ = (Nx - Nz) / (Nx - Ny) > 1인 Nx > Ny > Nz 의 굴절률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면상에 놓인 두 굴절률 차와 필름의 두께를 이용하여 면상 위상차 값(in-plane retardation value)은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두 직교 편광판(10),(20) 사이에 놓인 IPS 액정판넬 또는 액정셀(30)에서 액정분자는 IPS-판넬 기판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러빙(액정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기판표면 처리방식)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시인 쪽에서 보았을 때, 제1편광판(10)의 흡수축은(11)은 액정판넬(30) 내의 액정 배향방향(31), 즉 러빙 방향과 평행하며, 제2편광판(20)의 흡수축(21)은 액정판넬(30)의 액정 배향방향(31)과 수직이다. 시야각 보상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위상차 보상층이 IPS 액정셀(30)과 제2편광판(20) 사이에 놓여져야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백라이트가 제1편광판(10) 외측에 위치할 경우 제1위상차필름(40)과 제2위상차필름(50)은 액정판넬(30)과 제2편광판(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백라이트 유닛 쪽 편광판의 흡수축은 도 1에서와 같이 시인 쪽에서 봤을 때 수직 방향이어야 한다.
백라이트 유닛(60) 쪽의 제1편광판(10)의 흡수축(11)이 시인 쪽에서 봤을 때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백라이트 유닛(60) 쪽의 편광판의 흡수축이 수직방향일 때 제1편광판(10)을 통과한 빛은 수평방향으로 편광이 되며, 이는 판넬의 액정(30)을 통과해 명(明)의 상태가 될 경우 빛은 수직 방향이 되어 흡수축이 수평방향인 시인 쪽의 제2편광판(20)을 통과한다. 이 때 시인 쪽에서 흡수축이 수평방향인 편광 선글라스(편광 선글라스의 흡수축은 수평방향임)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도 액정표시장치로부터 나온 빛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백라이트 유닛(60)에 가까운 제1편광판(10)의 흡수축(11)이 수평방향일 경우에는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람에게는 화상이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시인 쪽에서 화상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주시야가 수직방향보다는 수평방향이 넓다는 것을 고려하여 광고용 등의 특수 목적 액정표시장치를 제외한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인간의 주시야가 수직방향보다는 수평방향으로 넓기 때문에 4:3 또는 16:9의 형태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은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인 쪽에서 흡수축이 서로 직교인 제1편광판(10)과 제2편광판(20) 사이에 제1편광판(10)의 흡수축(11)과 액정의 배향방향(31)이 평행한 액정셀(30)이 위치한다. 제1편광판(10)의 외측에는 백라이트 유닛(60)이 위치하며, 이 때 제1편광판(10)의 흡수축(11)은 수직방향이고, 제1위상차필름(40) 및 제2위상차필름(50)이 액정셀(30)과 편광자(21) 사이에 도 1의 순서로 적층된다. 또한, 제1위상차필름(40)과 제2위상차필름(50)의 지상축(41)(51)이 제2편광판(20)의 흡수축(21)과 직교한다. 즉, 액정셀(30) 내에 있는 액정의 배향방향(31)과 상기 지상축(41)(51)이 평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상축(Slow axis)(41)(51)은 위상차필름을 통과하는 빛이 수직으로 입사하는 경우에, 상기 위상차필름(40)(50)에 의해 빛이 가장 느리게 통과하는 축으로써, 굴절률이 가장 큰 축을 의미하며, 이는 위상차필름(40)(50)을 통과할 때 위상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광축(Optical axis)과 구별된다.
본 발명에서 발명자는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제1편광판의 액정 쪽 보호필름의 두께방향 위상차 값(Rth)이 589 nm에서 0 내지 10 nm일 때, 수학식 2의 굴절률비(-0.1 < NZ < +0.1)를 갖는 제1위상차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R0)의 범위가 60 내지 140 nm,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nm, 수학식 4의 굴절률비(1.3 < NZ < 3, 바람직하게는 1.9 < NZ < 2.5)를 갖는 제2위상차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R0)의 범위가 40 내지 80 nm일 때 시야각이 가장 넓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제1편광판(10)의 보호필름(13) 및 제2편광판(20)의 보호필름(23)은 두께방향 위상차 값(Rth)에 따른 시야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이들의 두께방향 위상차 값(Rth)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제1위상차필름(40) 및 제2위상차필름(50)의 최적의 위상차 탐색의 구체적인 실험 내용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의 경우에 시야각이 가장 넓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액정이 암(Black)을 표시할 때 직교된 편광판(10),(20)의 흡수축(11),(21)은 기하학적 특성으로 인해 정면이 아닌 사면에서는 직교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면에서는 빛이 새게 되고 이 빛 때문에 시야각이 좁아진다. 사면에서 새는 빛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편광판(10),(20)의 편광자(12),(22) 사이에서 액정셀(30)과 제1위상차필름(40)을 포함하는 광학계가 사면에서 편광판(10),(20)의 흡수축(11),(21)을 직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면 되는데, 그 조건을 만족하는 위상차필름(40)과 보호필름(14),(24)의 위상차 값이 상기 범위인 것이다. 이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Tech Wiz LCD 1D(사나이시스템, KOREA)를 통해 확인되었다. 제1위상차필름(40)의 면내 위상차 값(R0)과 제2위상차필름의 면내 위상차 값(R0)과의 상대적 굴절률비(NZ)를 변화시키며 암(BLACK) 상태의 전방위 투과도를 표현한 결과가 도 4 내지 도 8이다. 보호필름(14)의 실측 위상차 값(Rth)이 3 nm일 때 컬러필터를 제외한 편광자, 위상차필름 및 보호필름에 의해 결정되는 전방향 투과도가 0.2%를 넘게 되며 시야각이 나빠지며 디스플레이로서 상품 가치가 떨어진다. 따라서 제1위상차필름 및 제2위상차필름의 위상차 범위는 상기 범위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1위상차필름(40)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3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광학적 등방성을 가지는 두 장의 아크릴계 수지인 PMMA층 사이에 연신 방향으로 굴절률이 작아지는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가지는 폴리스티렌(PS)층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구조에서 PS층은 위상차필름(40)의 광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심층으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PS층의 양쪽에 구비되는 PMMA층은 아크릴계 수지로서 PS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제1위상차필름(40)으로서 광학적으로 음의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위상차필름과 동일한 위상차(R0)와 굴절률비(NZ)를 가지면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 변성폴리카보네이트(PC)가 있다. 변성폴리카보네이트(PC)가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한층 이상의 변성폴리카보네이트(PC)를 갖는 제1위상차필름(4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위상차필름(50)은 양(+)의 굴절률 특성을 가지고, 투명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며 재료로 셀룰로오스계열(예를 들어, 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 셀룰로오스계열 또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1편광판의 보호필름(14)의 위상차 값(Rth)은 상기와 같이 0 내지 10 nm이며 투명한 등방성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편광판의 보호필름(14)은 특정 재료로 제조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편광판(10)의 보호필름(13) 및 제2편광판(20)의 보호필름(23)의 위상차 값(Rth)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보호필름(13),(23)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편광판(20)과 제1위상차필름(40), 제2위상차필름(50)은 동일한 MD 방향을 갖도록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Roll) 상태의 필름 묶음에서 필름이 롤에 감기는 방향을 MD 방향(Machine Direction)이라고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제공되는 광학 필름의 제조시, 제2편광판(20)의 흡수축(21)은 제2편광판(20)의 MD 방향과 일치하고, 제1위상차필름(40)과 제2위상차필름(50)의 지상축(41)(51)은 MD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제2편광판(20)의 흡수축(21)과 제1위상차필름(40) 및 제2위상차필름(50)의 지상축(41)(51)이 직교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제2편광판(20)과 제1위상차필름(40) 및 제2위상차필름을 일체화시킬 때 롤 대 롤(Roll To Roll) 방식에 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에 따르면 제2편광판(20)과 제1위상차필름(40) 및 제2위상차필름은 동일한 MD 방향을 갖도록 접합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상차필름(40) 또는 이것의 중심층으로 사용되는 폴리스티렌(PS)층은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제1위상차필름(40)의 지상축(41)은 그 제조과정에서 연신을 통해 위상차를 부여할 때 연신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는 PS가 음(-)의 굴절률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Roll) 상태의 필름 묶음에서 필름이 롤에 감기는 방향을 MD 방향이라고 하며,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필름을 도 9에 나타난 MD 방향으로 연신하면 NZ = (Nx - Nz) / (Nx - Ny) =0 의 굴절률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와 비교하여,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필름을 MD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신하게 되면 (Nx - Nz)/(Nx - Ny) < 0 인 굴절률 특성을 갖게 지상축(Slow axis)이 MD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위상차필름(40)으로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편광판(20)의 흡수축(21)은 PVA를 연신과 염색함으로써 부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흡수축(21)은 PVA의 연신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제1위상차필름(40)의 MD 방향과 제2편광판(20)에서 편광자(22)의 MD방향은 평행하게 되고, 이는 편광자(22)와 제1위상차필름(40)을 포함하는 제2편광판을 생산함에 있어서 롤 대 롤 접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롤 대 롤 생산은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도 낮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제2위상차필름(50)은 양(+)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물질을 갖기 때문에 연신 방향과 동일하게 지상축(Slow axis)이 형성된다. 지상축이 MD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MD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신해야 하며 이 때 NZ = (Nx - Nz) / (Nx - Ny) >1의 굴절률 특성을 갖게 된다. 이와 비교하여 양(+)의 굴절률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MD 방향으로 연신하게 되면 NZ = (Nx - Nz) / (Nx - Ny) = 1인 굴절률 특성을 갖게 되고 지상축은 MD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위상차필름(50)으로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제1위상차필름(40)과 동일하게 제2위상차필름(50)의 MD 방향은 제2편광판(20)의 MD 방향과 평행하게 되고, 이는 제2편광판(20)과 제2위상차필름(50)을 붙일 때 롤 대 롤 접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경사면 보상원리는 뿌앙카레구(Poincare Sphere)상에 각 광학층을 통과할 때 편광상태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건에서 반원좌표계에서 Φ=45°, θ=60°의 시각에서 편광상태 변화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Φ+90°방향을 축으로 Φ방향의 면을 시인측으로 θ 만큼 회전시켰을 때 정면방향으로 나오는 빛에 대한 편광상태 변화를 뿌앙카레구상에 나타낸 것이며 뿌앙카레구상에서 S3 축의 좌표가 양(+)을 나타낼 때 우원편광을 나타내며 여기서 우원편광이라함은 임의의 편광수평성분을 Ex, 수직성분을 Ey라 할 때 Ex성분의 빛이 Ey성분의 빛에 비해 위상의 느림이 0 보다 크고 반파장 보다 작은 빛을 말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연신 방향을 갖도록 접합된 제2편광판(20)과 제1위상차필름(40)과 제2위상차필름(50)은 제조과정에서 롤 대 롤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고, 이렇게 제조된 물품은 비용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한 광시야각 개선 효과를 하기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정리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 특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와 비교예에서는 LC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TECH WIZ LCD 1D(사나이시스템, KOREA)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했다.
실시예 :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에 따른 각 광학필름과 액정셀 및 백라이트 등의 실측데이터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조로 TECH WIZ LCD 1D(사나이시스템, KOREA) 상에 적층하였다. 도 1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백라이트 유닛(60), 제1편광판(10), 액정셀(30), 제2편광판(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편광판(10)은 백라이트 유닛(60) 쪽에서부터 보호필름(13), PVA편광자(12), 보호필름(14) 순서로 구성되며, 제2편광판은 액정셀 쪽으로부터 제1위상차필름(40), 제2위상차필름(50), PVA편광자(22), 보호필름(23)의 순서로 구성된다. PVA 편광자(12),(22)는 연신과 염색을 통해 편광자 기능을 부여하여 IPS 모드 액정셀(30)의 양면에 흡수축(11),(21)이 서로 직교하게 배치시켰다. 상기 IPS 모드 액정셀(30)로는 시인 쪽에서 암(BLACK)을 표시할 때 액정의 배향 방향(31)이 시인 쪽에서 볼 때 수직방향이다. 단, 액정셀(30)은 시뮬레이션상의 편의를 위해 컬러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백라이트 유닛(60) 쪽의 편광판을 제1편광판(10), 시인 쪽의 편광판을 제2편광판(20)이라고 하면, IPS 모드 판넬(30)의 액정 배향방향(31)과 제1편광판(10)의 흡수축(11)은 평행하며 제2편광판(20)의 흡수축(21)은 직교한다. 또한, 시인 쪽의 제2편광판(20)과 IPS 모드 액정셀(30) 사이에는 액정셀(30) 쪽으로부터 제1위상차필름(40), 제2위상차필름(5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제1위상차필름(40)으로 두 장의 PMMA 사이에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PS(Polystyrene)을 적층한 필름(I-필름, Optes사, 일본)을 배치시키고 제2위상차필름(50)으로 COP(Zeonor필름, Zeon사,Japan)를 배치시켰다. 그리고, 제1위상차필름(40) 및 제2위상차필름(50)의 지상축(41)(51)은 제2편광판(20)의 흡수축(21)과 직교하도록 배치하였다.
각 광학필름 및 백라이트의 상세한 광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제1편광판(10) 및 제2편광판(20)의 편광자는 연신된 PVA에 요오드를 염색시켜 편광자 기능을 부여하였으며, 이러한 편광자의 편광 성능은 370 ~ 780 nm 가시광선 영역에서 시감도 편광도 99.9% 이상, 시감도 단체투과율 41% 이상이었다. 시감도 편광도와 시감도 단체투과율은 파장에 따른 투과축의 투과율을 TD(λ), 파장에 따른 흡수축의 투과율을 MD(λ), JIS Z 8701 : 1999 에 정의된 시감도 보정치를 라고 할 때 하기의 수학식 5 내지 9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S(λ)는 광원스펙트럼이며 보통 C광원을 사용한다.
편광판(10),(20)의 보호층인 TAC의 광학적 특성은 두께방향을 z축으로 하는 직교좌표계에 대해 각 축에 대응되는 굴절률이 Nx, Ny 및 Nz 이고 두께가 d 일 때, Nx=Ny>Nz인 네거티브 C-플레이트 굴절률 특성을 가지며, 입사광 589.3 nm에 대해 위상차 값(Rth)이 TAC(14)의 경우에는 3 nm, TAC(13)(23)의 경우에는 50 nm를 갖는다.
제1위상차필름(40)은 I-필름 (Optes, 일본)을 MD 방향으로 1축 연신하여 위상차를 구현하였고, 그 광학적 특성은 입사광이 589.3nm 일 때 z축을 두께방향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에 대해 두께 d, 지상축이 x축으로 각 축에 대응되는 굴절률이 Nx, Ny, Nz일 때, NZ가 0 이다.
제2위상차필름(50)은 Zeonor(Zeon, 일본)를 MD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신하여 위상차를 구현하였고, 그 광학적 특성은 입사광 589.3nm 일 때 z축을 두께방향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에 대해 두께 d, 지상축이 x축으로 각 축에 대응되는 굴절률이 Nx, Ny, Nz 일 때, MD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신하면 Nx는 커지고, Nz는 작아져서 NZ가 1 이상이 되며, 본 발명에서는 NZ값이 1.3과 3 사이, 바람직하게는 1.9와 2.5 사이에서 안정적인 위상차를 구현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50)으로는 LG. PHILIPS LCD사의 32인치 TV LC320WX4 모델에 탑재된 실측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제1위상차필름의 면내 위상차 값(R0)과 제2위상차필름의 면내 위상차 값(R0)과 NZ 계수를 변화시켜 최적의 위상차 값을 탐색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도 4 내지 도 8에 기재하였다. 도 4 내지 도 8은 암 (BLACK)을 화면에 표시할 경우의 시감도 전방위 투과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스케일상의 범위는 투과율 0 내지 0.2 %이며, 흑색을 표시할 때 투과도가 높은 부위는 붉은색, 낮은 부위는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중앙의 파란색의 범위가 넓을수록 시야각이 넓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구성에서 디스플레이 장축의 방향을 x축, 단축의 방향을 y축, 두께 방향을 z축으로 하고 시선의 방향이 z축과 이루는 각 θ, 시선의 방향이 xy평면에 투영되어 x축과 이루는 각을 φ라고 하면 이는 도 9의 원좌표계로 나타낼 수 있고, 시선의 방향이 Φ=45°, θ=60°일 때 각 광학계에서의 편광상태는 도 10에서와 같이 논문 등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보상 원리는 상기에서 전술한 뿌앙카레구(Poincare Sphere)상에 표현하였다.
도 11는 486 nm, 589 nm, 656 nm 파장의 빛에 대한 편광상태를 뿌앙카레구 상에 나타낸 것으로 편광상태 1은 제 1편광판(10)의 편광자(12)를 통과했을 때의 편광상태이고, 편광상태 2는 제 1편광판(10)의 보호층(14)을 통과했을 때의 편광상태이고, 편광상태 3은 액정판넬(30)을 통과했을 때, 편광상태 4는 제1위상차필름(40)을 통과했을 때, 편광상태 5는 제2위상차필름(50)을 통과했을 때의 편광상태이고, 제2 편광판(20)의 편광자(22)를 통과하기 직전의 편광상태인 편광상태 5의 편광방향이 제 2편광판(20)의 편광자(22)의 흡수축(21)과 일치하는 직선편광 즉 도 11에 도시한 편광자(22)의 흡수점과 일치할 때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편광상태가 파장에 따라 변화가 없을 때 시선방향에 따른 색변화가 적은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비교예: 등방성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상기 실시예와 대응되는 비교예로서 등방성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도 12에 나타내었고, 이것은 도 1에서 제1위상차필름 및 제2위상차필름을 제거하고 두께방향 위상차값(Rth)이 3 nm인 TAC 필름으로 대체하였다. 이는 현재 저가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구성이다. 다른 구성요소 및 그것의 광학적 특성은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상기한 구성으로 실시예와 같이 Tech Wiz LCD 1D(사나이시스템, Korea)에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는 도 13에 기재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실험결과는 액정표시장치가 암(Black)을 표시할 때의 상태이고, 도 4 내지 도 8과 도 13은 각각의 광학시뮬레이션에서 투과도 결과이다.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제1위상차필름(40)의 면상 위상차 값(R0)이 각각 60 nm, 80 nm, 100 nm, 120 nm 및 140 nm일 때 투과도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중앙의 파란색, 즉 투과도가 낮은 부분이 넓을수록 시야각이 넓음을 의미하며, 실시예에서의 중앙 파란색 부분이 비교예의 그것보다 더 넓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보다 더 넓은 시야각을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컬러필터 영향을 제외한 전방향 최대 투과도는 실시예의 경우 0.098%, 비교예의 경우 1.23%로 계산되며 이는 비교예가 실시예에 비해 전방위 최고 투과율이 약 12.6배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롤 대 롤 방식을 통해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는 보상필름 및 이를 적용한 면상 스위칭 모드(IPS mode) 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백라이트 유닛 쪽에서부터 제1편광판, 액정셀 및 제2편광판의 순서로 적층된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IPS-LCD)로서,
    제1편광판의 액정셀 쪽 보호필름의 두께방향 위상차 값(Rth)이 589 nm 파장에서 0 내지 10 nm의 범위이고,
    제2편광판의 편광자의 액정셀 쪽에는 보호필름 대신 액정셀과 가까운 곳에서부터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이축성 위상차필름이 적층되어 있고,
    일축성 위상차필름은 -0.1 < NZ < 0.1의 굴절률비를 갖고, 그 면상 위상차 값(R0)이 589 nm 파장에서 60 내지 140 nm 이고,
    이축성 위상차필름은 1.3 < NZ < 3의 굴절률비를 갖고, 그 면상 위상차 값(R0)이 589 nm 파장에서 40 내지 80 nm 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편광판의 흡수축과 제2편광판의 흡수축은 수직을 이루고 액정셀의 액정 배향방향이 제1편광판의 흡수축과 평행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일축성 위상차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R0)이 589 nm 파장에서 80 내지 120 nm 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이축성 위상차필름이 1.9 < NZ < 2.5의 굴절률비를 갖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편광판의 편광자 양쪽에 보호필름이 구비되어 있고, 보호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편광판의 편광자를 기준으로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이축성 위상차필름이 적층된 쪽의 반대쪽에는 보호필름이 구비되어 있고, 보호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일축성 위상차필름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3층 구조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일축성 위상차필름은 적어도 한층 이상의 변성폴리카보네이트(PC)를 갖는 구조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이축성 위상차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2편광판과 일축성 위상차필름 및 이축성 위상차필름은 동일한 MD(Machine Direction) 방향을 갖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KR1020090024914A 2008-03-24 2009-03-24 음의 굴절률을 갖는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양의 굴절률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KR20090101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107 2008-03-24
KR20080027107 2008-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856A true KR20090101856A (ko) 2009-09-29

Family

ID=4135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914A KR20090101856A (ko) 2008-03-24 2009-03-24 음의 굴절률을 갖는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양의 굴절률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18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3502A (ja) * 2015-03-17 2016-09-29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3502A (ja) * 2015-03-17 2016-09-29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6576B (zh) 耦合偏光板組和包含該耦合偏光板組的平面轉換模式液晶顯示器
KR101605031B1 (ko)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110066255A (ko)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632611B1 (ko) 복합구성 편광판 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푸른 상 액정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56501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90117641A (ko)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 필름과 양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 필름이 구비된 면상 스위칭 액정 표시장치
KR20100101981A (ko) 시야각이 좁은 액정표시장치
KR101576220B1 (ko)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632610B1 (ko) 복합구성 편광판 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푸른 상 액정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100060092A (ko) 상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100060091A (ko) 상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565009B1 (ko) 하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486748B1 (ko) 상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512711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시야각 트위스트네마틱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100022919A (ko) 광시야각을 갖는 트위스트네마틱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90056210A (ko)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 표시 장치
KR20090101871A (ko)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과 네거티브 c-플레이트 특성의 편광자 보호필름이 구비된 면상 스위칭액정표시장치
KR20100071457A (ko) 하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90101856A (ko) 음의 굴절률을 갖는 일축성 위상차필름과 양의 굴절률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KR20100071255A (ko) 하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100071254A (ko) 하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609313B1 (ko) 복합구성 편광판 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푸른 상 액정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629742B1 (ko)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512710B1 (ko) 광시야각 수직배향 액정표시장치
KR20110012129A (ko) 수직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위상차 제어 방법과 그 방법이 적용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