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879A - Mobile phone structur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9879A KR20090099879A KR1020080025113A KR20080025113A KR20090099879A KR 20090099879 A KR20090099879 A KR 20090099879A KR 1020080025113 A KR1020080025113 A KR 1020080025113A KR 20080025113 A KR20080025113 A KR 20080025113A KR 20090099879 A KR20090099879 A KR 200900998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sound
- sound collector
- collecto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의 집음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의 몸체 케이스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보호커버에 마이크가 수용된 집음기를 구비하여 통화음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은 소리로도 정확한 의사전달이 가능한 휴대전화의 집음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mobile phone collector, which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housed in a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body case or the outside of the mobile phone to enable accurate communication even with a small sound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call sou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a mobile ph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음기 구조는, 휴대전화의 케이스 또는 이 휴대전화에 장착되는 보호커버의 일측에 구비되고, 통화자의 음성을 내부로 수집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집음기 및 이 집음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집된 통화음을 휴대전화의 메인기판으로 전달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or the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mobile phone, and the sound collector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opened on one side to collect the caller's voice in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phone installed inside the collector to deliver the collected call sound to the main board of the mobile ph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전화의 집음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의 케이스 또는 외장 보호커버에 마이크가 수용된 집음기가 구비되어 통화내용이 외부로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집음기 내부에 수화용 이어폰을 수납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전화의 집음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mobile phone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a collector provided with a microphone is provided in a case or an external protective cover of the mobile phone to prevent the contents of a call from being disclosed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a mobile phone that can be conveniently housed with earphones.
근래에 들어 휴대전화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통화가 가능함에 따른 편리함과 함께 타인들이 함께 있는 장소에서 통화를 하게 됨에 따른 사생활 노출과 정보 유출, 주변의 소음 유발과 같은 문제점도 대두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mobile phones have become widespread, problems such as exposure to privacy, leakage of information, and noise generation caused by calls made in other people's places, along with the convenience of making a call without restriction of place and time have emerged. It is becoming.
예를 들어 공공장소에서 통화를 할 때, 통상의 휴대전화를 사용할 경우 상대방에게 정확한 의사 전달을 위해서는 일상적 대화 수준 이상의 큰 소리로 통화를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변의 사람들이 통화 내용을 듣게 되어 개인의 사적인 생활이 노출되고, 나아가서는 중요 정보가 노출될 수밖에 없다. 또한, 통화자의 주변 사람 입장에서도 통화 소리가 원치 않는 소음으로 느껴져 불쾌감을 갖게 되고, 자 신은 의도하지 않게 통화 내용을 듣게 되어 어색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한다.For example, when talking on a public place, if you use a normal mobile phone, you can speak louder than normal conversation for accurate communication to the other party, so people around you will hear the contents of the call. Private life is exposed, and important information is exposed. In addition, even from the person around the caller, the sound of the call is felt as unwanted noise, causing discomfort, and the user unintentionally listens to the call, causing awkwardness.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통화자가 주변에 들리지 않을 정도로 작은 소리로 통화를 행해야 되고, 이는 통화자나 상대방에 있어서나 답답하고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In order to avoid such a problem, the caller must make a call so small that it cannot be heard around, which makes the caller or the other party feel stuffy and uncomfortable.
한편,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마이크와 이어폰을 구비하여 운전이나 기타 업무를 하는 동안 양손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면서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핸즈프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핸즈프리의 주목적은 상기와 같이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나, 마이크를 입에 가까이 대고 말을 하면 보다 작은 소리로도 통화 상대방에게 보다 정확한 의사전달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용 여하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사용방법에 비해 전술한 문제 발생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hands-free has been widely used to provide a microphone and earphones connected to th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while using both hands for other purposes while driving or performing other tasks. The main purpose of this hands-free is to make a call without using your hand as described above, but if you talk with the microphone close to your mouth, you can communicate more accurately to the other party with a smaller voice. Compared with the general use metho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the aforementioned problem.
그러나, 종래의 핸즈프리는 통화자의 입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 음향 중 극히 일부만을 마이크가 취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통화 내용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여전히 피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ands-free has a structure in which only a part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uth of the caller is picked up by the microphone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contents of the call can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종래의 핸즈프리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휴대전화와 분리한 상태로 항상 휴대해야 하고, 이처럼 별도로 휴대할 시에 마이크와 이어폰, 신호케이블 등이 공간을 차지할 뿐 아니라 신호케이블이 복잡하게 엉켜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andsfree should always be carried away from the mobile phone even when not in use. In addition, the microphone, earphone, signal cable, etc. occupy space, and the signal cable is tangled and re-used again. There is also a problem when you are uncomfortabl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전화의 몸체 케이스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보호커버에 마이크가 수용된 집음기를 구비하여 통화음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의 집음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body case or a protective cover mounted to the outside provided with a microphone is housed in the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the mobile phone to prevent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call sound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집음기의 내부에 수화용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핸즈프리를 별도 휴대함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의 집음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a mobile phone that can accommodate the earpiece for the hydration in the sound collector so a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a hands-free separate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전화의 케이스 또는 이 휴대전화에 장착되는 보호커버의 일측에 구비되고, 통화자의 음성을 내부로 수집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집음기 및 이 집음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집된 통화음을 휴대전화의 메인기판으로 전달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휴대전화의 집음기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or the protective cover moun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sound collector and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o collect the caller's voice inside; Provided is a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a mobile phone including a microphone installed inside the sound collector and transferring the collected call sound to the main board of the mobile phone.
상기 집음기는 휴대전화의 케이스 또는 보호커버에 삽입되어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und collector may be inserted into a case or a protective cover of the cellular phone to have a structure coupled to wander.
또한, 상기 집음기는 신축되는 주름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collector may be made of a corrugated pipe structure that is stretched.
그리고, 본 발명의 집음기 구조는, 상기 집음기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수화용 이어폰과, 수납된 이어폰을 집음기 내부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이어폰과 휴대전화 간에 수화음을 전송하는 유선 또는 무선 신호전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ation earphones are stored or withdrawn in the interior of the sound collector, th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ived earphones in the sound collector, and transmitting the handset sound between the earphone and the mobile phone It may further comprise a wired or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mean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집음기에 의해 수집된 통화자의 음성이 마이크에 입력되어 사용자가 작은 소리로 말해도 충분한 음량이 입력되므로, 통화중 사생활 노출이나 정보 유출, 주변에 대한 소음 유발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oice of the caller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or is input to the microphone and a sufficient volume is input even when the user speaks with a small sound, problems such as privacy exposure, information leakage, and noise generation during a cal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olved.
또한, 집음기의 내부에 수화용 이어폰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휴대전화와 별도로 핸즈프리를 휴대하고 다닐 필요가 없고, 휴대중 케이블의 엉킴 등으로 인한 불편도 발생하지 않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earpiece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sound collector, there is no need to carry the hands free separately from the mobile phone as in the prior art,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entanglement of the cable, etc., does not occur. .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집음기 구조의 제1실시예를 사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음기 구조가 적용된 휴대전화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phone to which the sound collector structure shown in FIG. 1 is appli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음기 구조는, 휴대전화(100)의 케이스(110) 일측에 집음기(120)가 구비되고, 이 집음기(120)의 내측에 마이크(13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집음기(120)는 내부공간(121)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이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의 통화음을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이 집음기(120)의 외형과 위치는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휴대전화(100)를 잡은 상태로 집음기(120)를 향해 말하기 용이하도록, 또한 발성된 통화음을 수집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 및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마이크(130)는 집음기(120) 내부로 수집된 통화음을 휴대전화 본체의 메인기판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집음기(1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부가적으로, 사용자에게 수화음을 출력하는 이어폰(143)이 구비된다. 이 이어폰(143)은 종래의 핸즈프리와 유사한 구조를 갖되,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 상기 집음기(120) 내부의 마이크(13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게 되므로, 별도의 마이크(13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a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집음기 구조가 적용된 휴대전화는, 상기 이어폰(143)을 귀에 꽂고 휴대전화를 들어 상기 집음기(120)를 입과 가깝게 위치시킨 상태로 통화를 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음성 중 상당 부분이 집음기(120)에 의해 수집되어 마이크(140)에 전달되므로, 사용자가 아주 작은 소리로 말을 해도, 충분한 음량이 마이크(140)에 입력되어 상대방에게 정확한 송화음을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통화 내용이 다른 사람에게 들려 발생되었던 사생활 노출이나 정보 유출, 주변에 대한 소음 유발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phone to which the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 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집음기(120)가 휴대전화 케이스(110)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케이스(110)에 내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집음기(120)가 휴재전화 내부에 삽입되거나 인출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집음기(120)의 외부 내측과 외측에 각각 걸림홈(123)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ound collec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이와 같이 집음기(120)가 출몰식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시에는 집음기(120)를 외부로 인출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를 행하고, 비사용시에는 집음기(120)를 휴대전화(100) 내측으로 삽입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전화(100)의 외관을 유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s such,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집음기(120)가 신축되는 주름관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전화(100)의 내외측으로 출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조 역시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비사용시 휴대전화 내부에 집음기(120)가 수용되어 휴대전화의 외관 및 편의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gure 4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집음기(120)가 휴대전화(100)의 외부에 장착되는 보호커버(140)에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140)의 집음기(120) 내부에 마이크(130)가 설치될 수도 있고, 휴대전화(100)의 외부 상기 집음기(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이크(1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FIG. 5 illustrate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와 같이 보호커버(140)에 집음기(12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휴대전화(100) 몸체에 구비되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집음기(120)의 경우처럼, 상기 집음기(120)가 삽입 또는 신축 방식으로 출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case where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집음기(120)의 내부에 상기 마이크(130) 외에, 수화용 이어폰(143) 및 연결케이블(141)이 삽입 상태로 수납되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집음기(120) 내부에 수용된 이어폰(143)의 이탈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130)이 삽입 고정되는 안착공(113a)이 형성된 홀더(113)가 구비될 수 있고, 집음기(120)의 개구부를 덮어 외부와 차단하는 마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수용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6 illustrate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집음기 구조는, 평상시 상기 이어폰(143)과 연결케이블(141)을 집음기(120) 내부에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휴대전화와 별도로 핸즈프리를 휴대하고 다닐 필요가 없고, 휴대중 케이블의 엉킴 등으로 인한 불편도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The sound collector struc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veniently carried by accommodating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집음기(120)의 내부에 이어폰(143)이 수납되는 구조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케이블(141)이 직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통상적으 로 휴대전화(100)에 구비되는 송수신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142)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집음기(120)의 위치는 상기 송수신포트의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어폰(143)이 유선송수신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송수신 방식의 이어폰(143)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거추장스럽고 부피를 차지하는 케이블이 없어지므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상기 집음기(120)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집음기 구조의 제1실시예를 사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used stat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집음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und collect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113A KR20090099879A (en) | 2008-03-18 | 2008-03-18 | Mobile phone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113A KR20090099879A (en) | 2008-03-18 | 2008-03-18 | Mobile phone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9879A true KR20090099879A (en) | 2009-09-23 |
Family
ID=4135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5113A KR20090099879A (en) | 2008-03-18 | 2008-03-18 | Mobile phone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99879A (en) |
-
2008
- 2008-03-18 KR KR1020080025113A patent/KR2009009987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34780A1 (en) | Speakerphone with detachable ear bud | |
US6990197B2 (en) | Hands-free speaker telephone | |
JP2000106594A (en) | Portable telephone set | |
KR20100021199A (en) | Mobile phone headset with sound insulation | |
RU166740U1 (en) | PRIVACY MASK | |
KR100977116B1 (en) | Cell Phone Accessory Handsfree | |
KR20090099879A (en) | Mobile phone structure | |
CN100490462C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ing loudhailer with hands-free function | |
KR200284358Y1 (en) | Earphone retractor built into the inside of mobile phone embedded antenna | |
KR100991346B1 (en) | Phone Accessible for Privacy Calls | |
KR20040003096A (en) | Earmicrophone wherein speaker and mik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 |
JP3059555U (en) | Wristwatch type mobile phone | |
KR200194028Y1 (en) | Wire and wireless picture phone with earphone being enable to attach and detach | |
JP6903194B1 (en) | Cover for earphones with microphone | |
CN2504843Y (en) | Earhook Wireless Headphone Talking Device | |
JP3069249U (en) | Mobile phone accessories | |
KR200296816Y1 (en) | Earmicrophone wherein Speaker and Mik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 |
KR20000055477A (en) | Wrist cellular phone | |
JPH09307614A (en) | Simple transmitter for mobile telephone set | |
KR200199056Y1 (en) | Wireless earphone and microphone | |
KR200240650Y1 (en) | a vibration of transmission sound prevention structure for a car use hands free | |
GB2439765A (en) | Passive telephone privacy device | |
KR200191837Y1 (en) | One body type earphone of mobile-phone for speaker, microphone, transmission | |
KR200205534Y1 (en) | a transmission sound isolation apparatus for a portable phone | |
KR200202418Y1 (en) | Tele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2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