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703A -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703A
KR20090099703A KR1020080024850A KR20080024850A KR20090099703A KR 20090099703 A KR20090099703 A KR 20090099703A KR 1020080024850 A KR1020080024850 A KR 1020080024850A KR 20080024850 A KR20080024850 A KR 20080024850A KR 20090099703 A KR20090099703 A KR 20090099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stoppers
slid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0000B1 (ko
Inventor
안성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08002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0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지되어 수평 슬라이딩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탄지되어 수직 슬라이딩되는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자류롭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할 수 있게 하게 함으로써 화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힌지,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자류롭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할 수 있게 하게 함으로써 화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바타입(bar type), 플립타입(flip type), 플립업타입(flip-up type), 폴더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타입(slide type), 가로 보기 타입 등 사용되는 시대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형태가 진화해 왔다.
최근에는 플립타입이나 플립업 타입 등은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폴더타입, 슬라이드타입 및 가로 보기 타입 등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타입들에 대해 더 슬립하고 작게 제작하는 기술이 많이 연구 개발되는 실정이다.
또한, 근래에는 휴대 단말기로 단순한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기기 위해 대형 LCD창이 요구되고 있는 바, 휴대폰에 대형 LCD창을 탑재 할 수 있으면서 소형·경량화 구조가 가능한 휴대폰이 각광을 받게 되었으며, 이러한 휴대폰의 일종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일정 및 주소 관리 외에도 메모와 데이터 축적 등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단말기도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 액정화면을 크게 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크기 무게 등을 경감시키고 멀티미디어 기능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되왔으며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게 힌지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자류롭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할 수 있게 하게 함으로써 화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지되어 수평 슬라이딩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탄지되어 수직 슬라이딩되는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는 하나의 탄성체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안내공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된 공간부 내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한쌍의 스토퍼;가 더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 대각진 위치에 마련되게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되면,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이 제안되도록 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키버튼부; 상기 키버튼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액정화면부; 및 상기 키버튼부와 액정화면부 사이에서 상호 탄지되게 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지되어 수평 슬라이딩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탄지되어 수직 슬라이딩되는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액정화면부에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하게 상기 키버튼부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는 하나의 탄성체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플렐이트에 형성되는 안내공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한쌍의 스토퍼;가 더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 대각진 위치에 마련되게 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되면,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이 제안되게 하고, 상기 한쌍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자류롭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할 수 있게 하게 함으로써 화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 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지되어 수평 슬라이딩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탄지되어 수직 슬라이딩되는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는 하나의 탄성체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안내공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된 공간부 내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한쌍의 스토퍼;가 더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 대각진 위치에 마련되게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되면,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이 제안되도록 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키버튼부; 상기 키버튼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액정화면부; 및 상기 키버튼부와 액정화면부 사이에서 상호 탄지되게 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지되어 수평 슬라이딩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탄지되어 수직 슬라이딩되는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액정화면부에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 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하게 상기 키버튼부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는 하나의 탄성체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플렐이트에 형성되는 안내공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한쌍의 스토퍼;가 더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 대각진 위치에 마련되게 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되면,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이 제안되게 하고, 상기 한쌍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힌지장치(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수평 플레이트(120), 수직 플레이트(130), 탄성체(140) 및 브라켓(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직사면 형태를 한 길이 방향 양측에 안내홈(112)이 형성된 "ㄷ" 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111)이 형성하어 있으며, 폭 방향 일측에는 후술하는 브라켓이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게 하는 한쌍의 하우징(114)이 관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4)은 상기 가이드 레일(111) 형성 되는 반대측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는 직사면을 하는 길이 방향 양단을 가압 성형하여 단차진 안내편(122)을 형성하고, 폭 방향 양단에 안내홈(125)이 형성된 "ㄷ" 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1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 중앙 부분에는 공간부(128)를 마련하고 있고, 공간부(128) 측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공(126)을 개구시키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124)은 상기 안내편(122)의 단차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124)을 도면상의 상부방향으로 "ㄷ"자가 형성하면 상기 안내편(124)은 하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는 판체 양측을 가압 성형하여 단차진 안내편(13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탄성체(140)는 한쌍의 푸쉬로드 사이에 스프링이 위치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푸쉬로드 양단의 전체 길이가 변화되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체(140)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가 연결되어 탄성력을 갖고 지지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평 및 수직 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50)은 축 방향으로 핀축(151)이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14)에 삽입 회동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는 상기 힌자장치(10)를 액정화면부(21)와 키버튼부(22) 사이에 내설하여 상기 키버튼부(22)에 대해 액정화면부(21)의 슬라이딩 위치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 딩시킬 수 있게 하거나 액정화면부를 키버튼부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20)는 액정화면부(21)를 통해 화면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키버튼부(22)는 다수개의 키를 이용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11) 단부상에 각각 스토퍼(116,118)를 더 돌출 형성하는데, 각각의 스토퍼(116,118)는 서로 대각이 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16,118) 중 어느 하나의 스토퍼(118)에는 걸림홈(118a)이 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에는 에지 부분 상에 한쌍의 걸림핀(134)이 마련되는데 상기 걸림핀(134)은 서로 대각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보면,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가이드 레일(124) 상에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의 안내편(132)을 삽입하여 안내홈(12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공간부(128) 측에 탄성체(140)를 위치시킨 후 상기 탄성체(140) 일측 단부가 안내공(1126)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 하단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탄성체(140)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단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체(140) 양단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은 주지사실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안내편(122)을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가이드 레일(111) 측에 삽입시켜 안내편(122)이 안내홈(112)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우징(114) 측에 브라켓(150)을 위치시킨 후 핀축(151)을 하우징(114)에 삽입하여 하우징 내에서 핀축(151)이 회동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 측을 액정화면부(21)에 위치시키고, 브라켓(150)을 키버튼부(22)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는 액정화면부(21)에 고정하고, 브라켓(150)은 키버튼부(22)에 고정되게 하여 액정화면부(21)와 키버튼부(22)가 중첩된 상태가 되게 하여 수평 플레이트(120) 및 수직 플레이트(13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액정화면부(21)가 키버튼부(22)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브라켓(150)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하여 액정화면부(21)가 키버튼부(22)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수직 슬라이딩 상태를 설명하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화면부(21)와 키버튼부(22)가 중첩된 상태에서 액정화면부(21)를 도면상의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시키면 수직 플레이트(130)는 탄성체(140)를 압축시키며 안내공(126)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수직 플레이트(130)는 압축된 탄성체(140)의 압축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이를 통해 키버튼부(22)가 액정화면부(21)에 대해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 대각 에지 부분에는 걸림핀(134)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여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스토퍼(116)에 밀착되어 수직 플레이트가 수평 플레이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승한 수직 플레이트(120)의 걸림핀(134)이 스토퍼(116)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수직 플레이트(12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스토퍼(116)에 의해 수평 플레이트(120)가 수평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수평 슬라이딩 상태를 설명하면 도 7a 및 도 7b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화면부(21)를 키버튼부(22)에 대해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며 탄성체(140)를 압축시키게 되고 압축된 탄성체(140)는 압축력을 이용해 수평 플레이트(120)를 베이스 플레이트(110) 좌측으로 완전히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에 마련된 걸림핀(134)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스토퍼(118) 측에 위치되며 스토퍼(118)에 형성된 걸림홈(118a)에 결착하게 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18)는 걸림홈(118a)에 결착된 걸림핀(134)에 의해 수평 플레이트(120)가 이동한 상태에서는 수직 플레이트(130)의 이동을 제안하게 함으로써 수평 개방된 액정화면부(21)가 키버튼부(22)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정화면부(21)가 키버튼부(22)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였을 때에는 스토퍼(116)를 이용해 액정화면부가 수평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반대로 액정화면부(21)가 수평 이동되었을 때에는 스토퍼(118)를 이용해 액정화면부가 수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액정화면부를 수평 방향 수직 방향 어느 한 방향으로 제안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화면부(21)를 수평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상기 키버튼부(22)에 대해 액정화면부(21)를 도면상의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키버튼부에 내설된 브라켓을 기준으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회동하며 액정화면부가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상기 키버튼부를 통한 정보 입력시 사용자가 액정화면부의 시야 확보를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수평 슬라이딩된 액정화면부를 수평 상태 또는 경사진 상태 등 다양한 각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가 부과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슬라이딩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슬라이딩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상태에서의 회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힌지장치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수평 플레이트 130 : 수직 플레이트
140 : 탄성체 150 : 브라켓

Claims (14)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지되어 수평 슬라이딩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탄지되어 수직 슬라이딩되는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는 하나의 탄성체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안내공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된 공간부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한쌍의 스토퍼;가 더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 대각진 위치에 마련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되면,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이 제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8. 키버튼부;
    상기 키버튼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액정화면부; 및
    상기 키버튼부와 액정화면부 사이에서 상호 탄지되게 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지되어 수평 슬라이딩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탄지되어 수직 슬라이딩되는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액정화면부에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하게 상기 키버튼부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는 하나의 탄성체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플렐이트에 형성되는 안내공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한쌍의 스토퍼;가 더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 대각진 위치에 마련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휴대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수평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되면,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이 제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24850A 2008-03-18 2008-03-18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00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50A KR101000000B1 (ko) 2008-03-18 2008-03-18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50A KR101000000B1 (ko) 2008-03-18 2008-03-18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703A true KR20090099703A (ko) 2009-09-23
KR101000000B1 KR101000000B1 (ko) 2010-12-10

Family

ID=4135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850A KR101000000B1 (ko) 2008-03-18 2008-03-18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0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654Y1 (ko) * 2006-05-02 2006-07-18 (주)나노텍 게임폰 단말기용 양방향 슬라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000B1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013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587938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cradle apparatus thereof
US20110157819A1 (en) Electronic device
KR101101073B1 (ko) 단말기
US8520378B2 (en) Sw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mechanism thereof
KR101750117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US20120293927A1 (en) Slid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KR101000000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0998877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096644B1 (ko) 개폐장치 및 이를 장착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JP2011146025A (ja) 携帯式電子装置
US20110195762A1 (en) Terminal including rotatable body
KR101051410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652638B1 (ko) 슬라이드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KR101106145B1 (ko) 오토 틸트 힌지모듈
KR100702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작동방법
KR100941433B1 (ko) 휴대폰의 개폐장치
KR101086723B1 (ko) 슬라이드 앤 스윙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144133B1 (ko) 스플릿 키패드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KR100987406B1 (ko) 휴대폰 개폐장치
KR100970470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090010681A (ko) 휴대폰의 듀얼 힌지장치
KR20120028679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20090107229A (ko) 패드 팝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