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165A -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165A
KR20090099165A KR1020080024257A KR20080024257A KR20090099165A KR 20090099165 A KR20090099165 A KR 20090099165A KR 1020080024257 A KR1020080024257 A KR 1020080024257A KR 20080024257 A KR20080024257 A KR 20080024257A KR 20090099165 A KR20090099165 A KR 20090099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ssage
service server
packet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384B1 (ko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3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8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specially adapted for link layer protocols, e.g.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or point-to-point protocol [PP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PPP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종료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중 중지를 수행할 수 있는 절차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 PPP, HTTP, TCP, IP

Description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CONNECTION CONTROL METHOD FOR NETWORK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와 서버 간에 세션이 항상 유지되는 모드에서 적절한 패킷 전송 중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계산기의 비약적인 발전을 통하여 빠른 연산처리가 가능함에 따라, 일정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계가 계발되었다. 이러한 기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빠른 연산처리 기능을 갖추게 되었으며, 주변기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제는 실생활의 필수 요소로서 자리 잡은 컴퓨터로서 변모하게 되었다. 이러한 컴퓨터는 최근 들어 서로 간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됨에 따라, 컴퓨터 간 신호 송수신이라는 네트웍을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네트웍은 작게는 회사 내에서 크게는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면서 인터넷이라는 사이버 공간을 형성하는 물리적 근간이 된다.
이러한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하여 컴퓨터는 더욱 빠른 발전을 거듭하게 되고, 전 세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체계 즉, 프로토콜을 규정하기에 이르렀 다.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앞으로도 이용될 가능성이 높은 프로토콜 중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는 컴퓨터 간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 방식을 신뢰성 있게 보장해주고 있다. 이중 IP는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과의 연결 즉 이동통신 네트웍을 위한 전송 방식으로 변형되면 MIP(Mobile IP)로서 제안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TCP/IP 기반 전송 방식에서는 개념적으로 IP 상부에 응용프로그램을 운용하게 되며, TCP 하부에 PPP(Point to Poin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세션(Session)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이동통신 네트웍에서, 휴대 단말기는 특정 서버에 IP 특히 MIP를 기반으로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는 수신하고 있는 데이터의 중단을 위한 적절한 방법이 제공되고 있지 않아, 서버에 적절한 데이터 송신 중단 요청을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이로 인하여, 서버와 휴대 단말기 간에 적절한 신호 송수신을 할 수 없어, 불필요한 패킷의 전송이나, 패킷 전송을 위한 네트웍 리소스(Resource)의 불필요한 점유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션이 항상 유지되는 모드에서 패킷 전송 중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PPP(Point to Point Protocol) 세션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TCP 연결을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수신 중 상기 휴대 단말기가 현재 수신 중인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던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TCP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PPP(Point to Point Protocol)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을 형성하며, 상기 TCP 연결을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중에 현재 수신 중인 데이터의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데이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위한 메시지,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송수신하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PPP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적절한 TCP 연결 종료 과정을 제공함을써, 데이터 전송 중지 과정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적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는 서버와 PPP(Point to Point Protocol) 세션을 형성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GSM/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이하 GPRS)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휴대 단말기와 통신망 및 서버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 및 데이터그램 등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실질적으로 각 신호는 해당 장치에 처리되는 과정에 따라 데이터, 패킷 및 데이터 그램 등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명칭을 부여하더라도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받는 동안에, 서버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것은 데이터이며, 이 데이터는 TCP/IP 규약 에 따라 패킷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된 패킷은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할 때는 데이터그램으로서 전송하게 된다. 데이터그램은 다시 휴대 단말기에 수신되는 경우 패킷이 되며, 패킷은 TCP/IP 규약에 따라 복원될 경우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 설명에서는 장치별로 전송되는 신호를 적절한 명칭으로서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전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200),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망(100), 휴대 단말기(200)가 요청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패킷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200)는 통신망(100) 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프로토콜들을 계층별로 관리하고, 상기 계층 중 PPP 세션은 직접적인 종료 요청이 없을 경우, 항상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는 통신망(100)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한 후,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패킷 수신 중지를 원하는 경우, 현재 수신 중인 데이터 패킷의 전송 중지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TCP 헤더에 기입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 중인 데이터 패킷의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TCP 패킷을 수신하면,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중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서도 정상적인 데이터 패킷 전송 중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망은 무선접속망(110), 외부 대행자(Packet Data Serving Node Foreign Agent : PDSN/FA)와 홈 대행자(PDSN Home Agent : PDSN/HA)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140), 인터넷 망(150),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 RAN)(110)은 휴대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300) 간의 데이터 호 기본인증이 완료되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외부 대행자와 GRE(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프로토콜에 대한 가상연결을 설정한다. 이러한 무선접속망(110)은 휴대 단말기(200)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외부 대행자 간에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의 인증, 등록 및 해지를 위한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접속망(110)은 휴대 단말기(200)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에게 전달하고, 휴대 단말기(200)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휴대 단말기(200)에 중계한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접속망(110)은 휴대 단말기(200)와의 세션 프 로토콜 계층을 통신망 접속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이전까지 유지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휴대 단말기(200)와 단대단 프로토콜(PPP : Point-to-Point Protocol) 연결을 설정하고 원격 인증 전화접속 사용자 서비스(RADIUS : 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 서버를 통해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 인증, 가입자 인증 및 과금정보를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상기 PPP 패킷 데이터를 상기 IP 패킷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PPP 디-프레임화(PPP De-Framing)'와 '바이트 디스터핑(byte de-stuffing)'을 수행한다. 이러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휴대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300) 간에 배치되어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휴대 단말기(200)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휴대 단말기(200)가 전송한 패킷 중에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TCP 패킷을 확인하는 경우, 해당 TCP 패킷을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함과 아울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200)에 전달한다. 그리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서비스 서버(300)가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면 이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해당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때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무선접속망(110)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300) 간의 PPP 세션 프로토콜을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데이터 패킷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망(150)은 외부 대행자와 홈 대행자 사이를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로서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인터넷망(150)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와 서비스 서버(300)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인가/인증/과금(AAA) 서버(160)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권한 검증, 및 과금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표준 원격 인증 전화 접속 사용자 서비스(Remote Access Dial-In User Service : RADIUS)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서비스 과금 정보 수집 기능, 모바일 IP 등록 인증 기능, 다이얼-인 서비스 사용자 인증/권한 검증 기능 등을 수행한다. 즉, 휴대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상기 AAA 서버(160)로부터 인증 받음으로써,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300)와 연결되고, 이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인터넷 연결에 필요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200)에 기 저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망(100) 특히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휴대 단말기(200)가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중에 데이터 수신을 중지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수신 중지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에서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함과 아울러, 데이터 전송 종료를 위한 서비스 서버(300)로부터의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및 서비스 서버 간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 구조는 휴대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300)의 경우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제 1 계층(10), 제 2 계층(20), 제 3 계층(30), 제4 계층(40) 및 응용 계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의 경우에는 응용 계층(50)을 제외한 스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5개 및 4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계층은 필요에 따라 더 세분화되거나, 혹은 통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계층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계층(10)은 물리 계층으로서, 특정한 처리율(throughput)과 데이터의 질(data quality)로 구성 되어지는 무선링크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 1 계층(10)에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UPCH(User Packet Channel), ACCH(Associated Control Channel),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 TCH(Traffic Channel) 등의 기능적인 채널들이 정의된다.
상기 제 2 계층(20)은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서 2개의 부-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위쪽 부-계층은 매체 접근 제어(MAC : Media Access Control) 계층이며, 상위쪽 부-계층은 연결 접근 제어(LAC : Link Access Control) 계층이다. 여기서, MAC 계층은 물리계층에서 제공하는 무선링크를 제어하고 상위계층으로부터 내려오는 데이터를 무선링크로 보내는 일을 담당한다. 따라서 MAC 계층의 일부 기능들은 물리계층에 속할 수 있다. LAC 계층은 논리적인 링크를 설정하고 관리하며 종료하는 일을 담당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LAC 계층은 사용자가 요구한 하나의 호(call)에 대하여 하나의 논리적인 링크를 설정한다.
상기 제 3 계층(30)은 PPP(Point to Point Protocol) 등이 적용되는 계층이다. PPP 계층인 제 3 계층(30)은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이다. PPP 계층은 구내 정보 통신망(LAN) 접속 장치의 라우터는 대부분의 제품이 점 대 점 통신 규약(PPP)을 지원하고 있다. PPP 계층은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이나 비밀 번호 인증 규약(PAP) 또는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하고 있어서 접속 설정 시 이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 PPP 계층은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에 자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PPP 계층은 패킷(packet) 기반의 주소 제공 및 단말과 망 간의 연결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 사이의 PPP 계층은 휴대 단말기(200)의 상위 제4 계층 및 응용 계층이 변경되거나 종료되더라도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4 계층(40)은 전송제어 프로토콜(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 계층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는 응용 계층(5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TCP/IP를 기반으로 패킷화하고, 이를 제3 계층(3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3 계층(30)은 제2 계층(20) 및 제1 계층(10)을 거쳐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의 제1 계층(10)으로 전달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수신된 패킷을 제2 계층(20)과 제3 계 층(30) 및 제4 계층(40)으로 전달한 후, 제4 계층(40)에서 패킷의 특성을 확인하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200)에서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응용 계층(50)에서 생성하고, 이를 제4 계층 내지 제1 계층(10)을 거쳐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의 제1 계층(10)으로 전달하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제4 계층(40)에서 해당 패킷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제4 계층(40)에서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될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이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하게 된다.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메시지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로부터 수신하면,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할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중지하고, 데이터 전송 종료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에 전달한다.
상기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50)은 사용자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 등 사용자 위주의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계층이다. 서비스 서버(300)의 경우에도 서버를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관리자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계층(50)은 MIP(Mobile 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인터넷 웹, MIP 기반의 통신, SIP(Simple 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인터넷 접속, PTT(Push to Talk) 기반의 통신, HTTP 기반의 통신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활성화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응용 계층(50)은 휴대 단말기(200)의 경우 데이터 전송 중지를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4 계층(4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300)의 경우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중지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데이터 전송 종료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를 거쳐 휴대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본 발명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중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데이터 전송 중지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해당 데이터 전송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달하고,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서비스 서버(300)가 데이터 전송 중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패킷 전송을 중단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휴대 단말기(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휴대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300) 간의 제3 계층(30)을 유지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제3 계층(30)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종료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의 각 스택들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데이터 전송 중지 및 종료 과정 중에 적절한 패킷의 전송과 중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절차를 지원한다. 그리 고 휴대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호간에 제3 계층을 유지하여 제3 계층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상기 제3 계층 상위에서 운용되는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주파수부(Radio Frequency : 이하 "RF"부)(210), 입력부(240), 메모리(250), 표시부(270) 및 제어부(2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RF부(210)는 휴대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RF부(21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망(100)과 이동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이동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응용 계층에서 활성화되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서비스 서버(3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RF부(210)는 상기 프로토콜 스택 구조에서 물리 계층인 제 1 계층(10)에 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채널은 다양한 통식 방식 예를 들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 Access),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 Access), 휴대 인터넷(Portable Internet) 예컨대, 무선 광대역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등의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CDMA 및 휴대 인터넷의 조합된 방식에 의한 통신채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4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기능 중 사용자가 활성화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의 메뉴 선택 및 데이터 요청을 위한 키 신호 등을 생성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상기 메모리(25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가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가지기 위해 필요한 각 프로토콜 유닛을 저장하며, 이 프로토콜 유닛은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와의 프로토콜 형성 시 활성화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2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따라 통신망(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물리 계층인 제1 계층(10)에 필요한 각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제1 계층 프로토콜 유닛뿐만 아니라 제2 계층을 지원하는 제 2 계층 프로토콜 유닛, 제3 계층을 지원하는 제3 계층 프로토콜 유닛, 제4 계층을 지원하는 제4 계층 프로토콜 유닛 및 응용 계층(40)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즉, 본 발명의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200)의 특성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형성에 필요한 프로토콜 유닛과, 해당 프로그램 및 그에 대응하는 루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토콜 유닛 및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및 사용자 설정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200)가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특정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경우, 그에 상응하여 발생하는 데이터 패킷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70)는 휴대 단말기(200)의 사용에 따른 기능화면 및 메뉴화면 등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표시부(27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메모리(2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사용에 따라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27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가 MIP 기반의 인터넷 웹을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부(240)로부터 발생하는 인터넷 웹 접속을 위한 키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 화면을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부(270)는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 시, 접속 진행 중 화면 및 접속이 완료된 경우 상기 인터넷 웹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70)는 PTT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표시하며, 통화 중일 경우 통화 중 송신 상태 화면 및 수신 대기상태 화면, 수신 상태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27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중지를 하고자 할 경우, 입력부(240)로부터 발생한 전송 중지 입력신호에 따라, 전송 중지 확인 팝업 메시지 또는 전송 중지 확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60)는 RF부(210), 입력부(240), 메모리(250), 표시부(270) 간의 신호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260)는 입력부(240)로부터의 서비스 서버(300) 접속에 대응하는 입력신호 전달에 따라, 메모리(250)에 저장된 인터넷 망 접속 응용 프로그램 들 즉, 상술한 프로토콜들을 활성화하고, 무선주파수부(210)를 운용하여 통신망(100)을 통한 서비스 서버(300)와의 통신채널 형성을 제어한다. 통신채널 형성이 완료되면, 제어부(260)는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데이터 예를 들면 접속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웹 응용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표시부(270)에 접속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260)는 입력부(24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특정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패킷 전송을 요청하거나, 서비스 서버(300)가 전송한 다양한 컨텐츠들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부(260)는 서비스 서 버(3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중에 입력부(240)로부터 데이터 수신 중지에 대한 입력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주파수부(210) 및 통신망(100)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제어부(26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6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26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하여 통신망(100)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통신망(100) 즉,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와 PPP 세션을 형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서버(300)와 TCP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상술한 PPP 세션을 TCP 연결 및 해제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PPP 세션 형성 과정에서, 제어부(260)는 별도의 사용자 요청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이 완료되면, 해당 프로토콜을 메모리(250)로부터 활성화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와 PPP 세션이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PPP 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300)와 TCP/IP 연결을 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데이터 전송 중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한 구성만을 기재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모듈, 음악 재생 모듈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 중 TCP 패킷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는 TCP 헤더와 옵션(Option) 및 데이터(data)를 포함한다. 여기서, TCP 헤더는 프로토콜에서 정의하고 있는 바와 같이, 16비트 소스 포트 번호와, 16비트 목적지 번호를 포함하며, 32비트 순차번호와 32비트 응답 번호를 포함하다. 그리고 TCP 헤더는 4비트 헤더 크기와 예약된 6비트 및 16비트 TCP 체크섬 영역, 16비트 긴급을 알리는 포인터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TCP 헤더 중 패킷의 메시지 타입을 정의하는 "URG, ACK, PSH, RST, SYN, FIN" 등의 영역과 16비트 윈도우 사이즈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 타입은 상술한 영역 중 일정 영역 예를 들면, "URG 영역과, FIN 영역 및 16비트 윈도우 사이즈" 영역을 정의함으로써 타입이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는 "URG=1", "FIN=1" 및 "Windowsize=0"으로 설정함으로써,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이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임을 알릴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 측에서는 상술한 영역을 검색하여,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인지 여부 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 타입은 옵션영역을 정의하여 결정할 수 도 있다. 즉, 옵션 영역에 현재 전송하는 패킷이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위한 메시지임을 명시하는 코드를 삽입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패킷을 확인하여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임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300)는 옵션 영역에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에 대응하는 코드를 사전에 정하고, 정해진 규격에 맞는 코드를 수신하였을 경우, 데이터 전송 중지에 관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TCP 헤더 옵션 영역 중 "Unassigned" 영역에 각각 정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비스 서버(300)는 이 영역을 검사하여 미리 정한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가 기재되어 있을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전송 종료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망(100) 및 서비스 서버(300)의 각 구성과 위치 및 역할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중지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 간 송수신되는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200)가 S101 단계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와 제3 계층 즉 PPP 세션을 형성(PPP session established)한다. 이러한 PPP 세션은 휴대 단말기(200)가 전원을 턴-온하는 시점이나, 또는 휴대 단말기(200)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연결을 위한 입력신호를 발생한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PPP 세션이 형성되면, 휴대 단말기(200)는 S103 단계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00)와 TCP 연결을 수행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와 TCP 연결을 형성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서비스 서버(300)와 TCP 연결을 형성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휴대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300) 간에 TCP 연결이 형성된다. TCP 연결 이후, 휴대 단말기(200)는 HTTP 기반의 웹 응용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할 수 도 있다. 실질적으로, 휴대 단말기(200)가 웹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게 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미 형성된 PPP 세션 위에 TCP/IP 프로토콜 유닛을 활성화하고, 그 상위에 웹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게 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는 웹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서비스 서버(300)를 검색하게 되면, 서비스 서버(300)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를 통하여 인터넷 망으로 진입하게 되며, 인터넷 망에서 제공하는 도메인 네임 서비스 등의 주소 찾기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 서버(300)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200)는 검색된 서비스 서버(300)에 TCP 기반의 연결 즉, 3-Hand Shaking을 수행하여 가상의 통신 채널을 점유하게 된다.
이후, 휴대 단말기(200)는 S104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서비 스와 관련된 컨텐츠 전송 요청 즉,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는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접속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미 접속 화면이 제공되고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의 입력부(240)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지정한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300)는 S10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가 요청한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를 거쳐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서버(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계층들을 거쳐서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는 S107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 중지하고 싶을 경우, S109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 중지에 대응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300)와 기 설정된 메시지 타입 즉, TCP 패킷의 특정 영역값을 설정하여 현재 전송하는 메시지가 데이터 전송 중지를 위한 메시지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는 TCP 패킷의 옵션 영역에 서비스 서버(300)와 미리 약속된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현재 전송하는 메시지가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 임을 나타낼 수 도 있을 것이다.
서비스 서버(300)는 S109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S111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FIN Ack)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300)는 S113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을 종료할 것임을 나타내는 메시지(FIN Flg:1)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300)는 TCP 헤더의 플래그(Flag) 값 중 FIN 영역을 1로 설정함으로써, 현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가 휴대 단말기(200)가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메시지의 종료를 수행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300)는 S11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하던 데이터 전송을 중지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300)가 S11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는 동안 휴대 단말기(200)는 서비스 서버(300)가 전송한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S117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FIN Ack)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200)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 간에는 S121 단계에서처럼 데이터 전송 트래픽이 감소(Down)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S123 단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 간에는 PPP 세션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PPP 세션은 휴대 단말기(200)가 별도의 직접적인 종료 작업을 하지 않는 이상 상술한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과, 중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 교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기(200)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 간에 PPP 세션을 형성한 후, PPP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300)와의 TCP 연결을 수행하고, TCP 연결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을 하는 도중에,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고자 할 경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응답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과정을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중 TCP 헤더의 특정 영역을 정의하여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PDSN(140)과 PPP 세션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와 TCP 연결을 형성한다. 이후 휴대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에 컨텐츠 요청(Http download 요청)을 수행한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300)는 휴대 단말기(200)에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중에,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입력부로부터 받는 경우, TCP 패킷의 헤더 영역을 일정 규약에 따라 설정한 후, 해당 TCP 패킷을 서비스 서버에 전송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는 TCP 패킷의 헤더 영역 중 "URG" 플래그 영역의 값을 "1"로 세팅하고, "FIN" 플래그 영역을 "1"로 세팅함과 아울러, "WND(윈도우 사이즈" 영역을 "0"으로 세팅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URG 플래그 영역과 FIN 플래그 영역이 각각 1로 세팅되고, WND 영역이 0으로 세팅된 TCP 패킷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TCP 패킷의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FIN Ack"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300)는 현재 휴대 단말기(200)에게 전송하고 있 는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한다는 의미의 메시지를 TCP 패킷의 헤더 영역 중 FIN 플래그 영역 값을 1로 세팅함으로써 정의하고, 이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URG 플래그 영역과 FIN 플래그 영역이 1로 세팅되고 WND 영역이 0으로 세팅된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FIN 플래그 영역이 1로 세팅된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FIN Ack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상술한 과정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300) 간의 TCP 연결을 상호 해제하고,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는 PDSN과의 트래픽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면서 휴대 단말기(200)와 PDSN은 PPP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를 정의하기 위하여 URG 플래그 영역, FIN 플래그 영역 및 WND 영역을 세팅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서버(300)와 휴대 단말기(200) 간에 사전 약정된 영역을 세팅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해당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중 TCP 패킷의 옵션 영역을 정의하여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 8에서와 유사하게 휴대 단말기(200)는 PDSN(140)과 PPP 세션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와 TCP 연결을 형성한다. 이후 휴대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에 컨텐츠 요청(Http download 요청)을 수행한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300)는 휴대 단말기(200)에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중에,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입력부로부터 받는 경우, TCP 패킷의 옵션 영역을 일정 규약에 따라 설정한 후, 해당 TCP 패킷을 서비스 서버에 전송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는 TCP 패킷의 옵션 영역 중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Unassigned" 영역에 특정 코드를 기재한다. 여기서 특정 코드는 서비스 서버(300)와 사전에 약정된 코드로서, 다양한 이진 데이터 값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작성된 TCP 패킷은 PDSN(140)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된다.
서비스 서버(30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TCP 패킷을 수신하면, 해당 TCP 패킷을 언패킹하고, 옵션 영역을 검사하고, 특정 코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300)는 데이터 전송 중지에 대한 특정 코드를 사전에 약정하여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비스 서버(300)는 특정 코드가 옵션 영역에 기재된 TCP 패킷을 수신하면, 해당 TCP 패킷의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FIN Ack"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300)는 현재 휴대 단말기(200)에게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한다는 의미의 메시지를 TCP 패킷의 헤더 영역 중 FIN 플래그 영역 값을 1로 세팅함으로써 정의하고, 이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옵션 영역에 특정 코드를 기재한 TCP 패킷을 전송한 후,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FIN 플래그 영역이 1로 세팅된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FIN Ack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상술한 과정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300) 간의 TCP 연결을 상호 해제하고,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는 PDSN과의 트래픽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면서 휴대 단말기(200)와 PDSN은 PPP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은 TCP 패킷의 특정 영역을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에 대응하도록 조정함으로써, 서비스 서버에 수신 중인 데이터의 전송 중지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중지를 위한 TCP 패킷을 수신하고, 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에 전송 중인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근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CP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CP 패킷의 구조 중 옵션 영역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웍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웍 접근 제어 시스템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흐름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PPP(Point to Point Protocol) 세션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TCP 연결을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수신 중 상기 휴대 단말기가 현재 수신 중인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던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TCP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하는 PPP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PPP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TCP 패킷을 정의하는 TCP/IP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TCP/IP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응용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하는 PPP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상기 PPP 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의 주소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확인하는 TCP/IP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점대점 방식으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하는 PPP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PPP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TCP 패킷을 확인하는 TCP/IP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TCP/IP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응용 계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TCP 패킷 헤더의 옵션 영역에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삽입하는 과정; 및
    상기 TCP 패킷 헤더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TCP 패킷 헤더에 정의된 "URG" 영역, "FIN" 영역 및 "Window Size" 영역을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도록 정의하는 과정; 및
    상기 TCP 패킷 헤더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TCP 연결이 해제되는 중에도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의 PPP 세션은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방법.
  8.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에 PPP(Point to Point Protocol)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을 형성하며, 상기 TCP 연결을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중에 현재 수신 중인 데이터의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데이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위한 메시지,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송수신하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하는 PPP 계층;
    상기 PPP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TCP 패킷을 정의하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계층; 및
    상기 TCP/IP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 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응용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하는 PPP 계층; 및
    상기 PPP 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의 주소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확인하는 TCP/IP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
  11.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물리 계층 및 데이터 링크 계층;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점대점 방식으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하는 PPP 계층;
    상기 PPP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TCP 패킷을 확인하는 TCP/IP 계층; 및
    상기 TCP/IP 계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응용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위한 메시지 작성을 위하여 TCP 패킷 헤더의 옵션 영역에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삽입하고, 상기 TCP 패킷 헤더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을 위한 메시지 작성을 위하여 상기 TCP 패킷 헤 더에 정의된 "URG" 영역, "FIN" 영역 및 "Window Size" 영역을 데이터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도록 정의하고, 상기 TCP 패킷 헤더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TCP 연결이 해제되는 중에도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의 PPP 세션은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웍 접속 제어 시스템.
KR1020080024257A 2008-03-17 2008-03-17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5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257A KR100951384B1 (ko) 2008-03-17 2008-03-17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257A KR100951384B1 (ko) 2008-03-17 2008-03-17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165A true KR20090099165A (ko) 2009-09-22
KR100951384B1 KR100951384B1 (ko) 2010-04-08

Family

ID=4135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257A KR100951384B1 (ko) 2008-03-17 2008-03-17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721B1 (ko) * 2021-09-03 2022-03-29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주식회사 Tcp 세션 제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72B1 (ko) * 2005-03-03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사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전송방법
KR100691431B1 (ko) * 2005-12-09 2007-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망에서 컨텐츠 패킷 전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721B1 (ko) * 2021-09-03 2022-03-29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주식회사 Tcp 세션 제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3033586A1 (ko) * 2021-09-03 2023-03-09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주식회사 Tcp 세션 제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384B1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4078B1 (en)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102570017B1 (ko)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872345B1 (ko)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 스위칭 속도 개선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TWI309937B (en) Provisioning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638539B2 (ja) 通信デバイスを設定する方法
US2006020377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emote tunnel endpoint for accessing packet data services
US8665853B2 (en)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4854576A (zh) 接入网络的系统和方法
KR101117941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네트워크 내에서의 데이터 세션 재시도 메카니즘의 커스텀화
WO2005115028A1 (en) A method for communication over an ip-based wireless wide are network and the internet
US200201814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ting point to point protocol session termination points
WO2006106434A1 (en) Device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6095253A1 (en) Method, mobile station, system, network entity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covery and selection of a home agent
KR20200100738A (ko) 장치 부트스트랩 방법, 단말, 및 서버
JP2012531134A (ja) 発展型パケット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マルチアクセス方法及びシステム
US82139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via a mobile internet protocol registration
US8634394B1 (en) Mechanism to verify packet data network support for internet protocol mobility
KR100951384B1 (ko)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81846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packet data network
CA2511047C (en)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040050578A (ko) 데이터 전용망에서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