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564A -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 Google Patents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564A
KR20090097564A KR1020080022785A KR20080022785A KR20090097564A KR 20090097564 A KR20090097564 A KR 20090097564A KR 1020080022785 A KR1020080022785 A KR 1020080022785A KR 20080022785 A KR20080022785 A KR 20080022785A KR 20090097564 A KR20090097564 A KR 20090097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adapter
generation equipment
integrated multi
regul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285B1 (ko
Inventor
송석진
김산홍
조휘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대한주택공사
(주)다산지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대한주택공사, (주)다산지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08002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2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 및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각각 소정의 전압비로 조절하여 출력하여 게이트웨이(Gateway), 멀티플렉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월 패드(Wall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대 장비에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레귤레이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어댑터를 통합함으로써 어댑터가 차지하는 공간 및 세대 단자함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마이콤을 통해 복수의 세대 장비에 공급되는 전압을 원격에서 통신으로 제어함으로써, 세대 장비의 장애 발생시 파워 리부팅을 통해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 세대 장비로의 공급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통합, 멀티 어댑터, 마이콤, 세대 장비

Description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An Intergrated Multi-Adapter for A Home Communication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통합형 멀티 어댑터로서 복수의 세대 장비로의 전원 공급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 네트워크 기술 및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대한 수요의 증대에 따라, 각 세대별 세대 단자함 내에는 각종 홈 네트워크 및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각종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이하, '세대 장비'라 함)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세대별 세대 단자함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는데 비해 내부에 설치되어야할 세대 장비들은 많은 관계로 단자함 내의 공간은 부족하게 된다. 또한, 여러 종류의 세대 장비에는 각 세대 장비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는 어댑터가 연결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대 장비에서의 어댑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Gateway), 멀티플렉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및 월 패드(Wall PAD) 등과 같은 복수의 세대 장비(10)는 각각 동작에 필요한 직류 전압을 공급받기 위해, 출력 전압이 다른 어댑터(20)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에 게이트웨이(Gateway), 멀티플렉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및 월 패드(Wall PAD) 등과 같은 세대 장비(10)들은 각각 별도의 어댑터(20)가 연결될 것을 요구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개개의 세대 장비(10)마다 별도의 어댑터(20)를 구비하여야 하는 바, 복수의 어댑터(20) 또는 멀티탭을 수용해야 하는 세대 단자함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작 비용 상승 및 관리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특정 세대 장비(10)에 발생한 장애를 제거하기 위해 해당 세대 장비(10)에 파워 리부팅을 실행하는 경우에 해당 세대 장비(10)의 어댑터(20)를 찾아서 직접 플러그를 뺐다 꽂는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각 세대 장비(10) 별로 요구되는 전원이 다양한 관계로 어댑터(20)에 대한 관리 및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통합형 멀티 어댑터로서 복수의 세대 장비로의 전원 공급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 및 상기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직류 전압을 각각 소정의 전압비로 조절하여 출력하여 게이트웨이(Gateway), 멀티플렉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및 월 패드(Wall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대 장비에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는, 외부로부터 직류 전압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전원입력단자로 입력된 직류 전압을 각각 소정의 전압비로 조절하여 출력하여 게이트웨이(Gateway), 멀티플렉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및 월 패드(Wall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대 장비에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레귤레이터에서의 상기 전압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레귤레이터에 각각 마련되어 외부조작에 의해 상기 전압 비를 각각 조절하는 복수의 전압조절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C/DC 컨버터와 상기 복수의 레귤레이터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A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레귤레이터로의 상기 직류 전압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의 차단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회로의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은 외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통신망 상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차단회로에 각각 마련되어,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차단회로의 개폐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리셋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는 데이터와 직류 전압을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어댑터를 통합함으로써 어댑터가 차지하는 공간 및 세대 단자함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마이콤을 통해 복수의 세대 장비에 공급되는 전압을 원격에서 통신으로 제어함으로써, 세대 장비의 장애 발생시 파워 리부팅을 통해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 세대 장비로의 공급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대 장비로의 출력 전압의 조절이 마이콤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압조절 노브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가능하게 됨으로써, 공급 전압 제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200)는, 게이트웨이(Gateway), 멀티플렉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및 월 패드(Wall PAD) 등과 같은 세대 장비(100)가 요구하는 각기 다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단일의 통합형 멀티 어댑터(200)를 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200)는 복수의 세대 장비(100)별로 요구되는 전압으로 각각 전압 조절된 출력 전압을 출력 포트(280)별로 출력하여 복수의 세대 장비(100)에 각각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200)는 전원입력단자(210), AC/DC 컨버터(220), 마이콤(230), 및 통신 포 트(240)를 구비하며, 그 외에도 게이트웨이(Gateway), 멀티플렉서, 및 월 패드(Wall PAD) 등과 같은 복수의 세대 장비(10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차단회로(250), 복수의 레귤레이터(260), 복수의 전압조절 노브(270), 복수의 출력 포트(280), 및 복수의 리셋 버튼(29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전원입력단자(210)로는 외부로부터의 AC 전원이 입력되며, AC/DC 컨버터(220)는 전원입력단자(210)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복수개의 세대 장비(10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차단회로(250)에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AC/DC 컨버터(220)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는 전원입력단자(210)에 외부의 외장 어댑터(AC/DC)로부터의 직류 전압이 직접 입력될 것이다.
마이콤(230)은 통신 포트(240)를 통해 외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통신망 상의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차단회로(250)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마이콤(230)은 외부 통신망 상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레귤레이터(260)가 AD/DC 컨버터(220)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을 각각 소정의 전압비로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복수의 차단회로(250)는 AC/DC 컨버터(220)와 복수의 레귤레이터(260)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마이콤(230)의 제어에 따라 AC/DC 컨버터(220)로부터 복수의 레귤레이터(260)로 직류 전압의 공급을 단속한다.
아울러, 복수의 리셋 버튼(290)은 복수의 차단회로(250)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는 장애 등이 발생하여 파워 리부팅이 필요한 세대 장비에 대응되는 리셋 버튼(290)을 조작함으로써, 마이콤(230)의 제어에 의하지 않으면서도 AC/DC 컨버터(220)로부터 복수의 레귤레이터(260)로 직류 전압의 공급을 단속하여 해당 세대 장비에서의 파워 리부팅을 수동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레귤레이터(260)는 마이콤(23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소정의 전압비로 AC/DC 컨버터(22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자동으로 조절하거나(이 경우에 전압조절 노브(270)는 'AUTO'를 표시하게 된다.), 전압조절 노브(270)를 이용한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AC/DC 컨버터(22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3V, 5V, 9V, 및 12V 등의 소정의 전압비로 조절하기도 한다.
즉, 복수의 전압조절 노브(270)는 사용자가 레귤레이터(260)에서 직류 전압이 조절되는 소정의 전압비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복수의 출력 포트(280)는 복수의 세대 장비(100)에 각각 연결되어 레귤레이터(260)에 의해 소정의 전압비로 조절된 전압을 복수의 세대 장비(100)에 각각 공급한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200)의 정면에는 외부로부터의 AC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210)가 구비되어 있고, 복수의 세대 장비(100)에 각각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 포트(280)가 구비되으며, 복수개의 출력 포트(28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전압조절 노브(270)가 구비되어 있고, 외부통신망 상의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통신 포트(240)가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출력 포트(280) 중 어느 하나는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미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인젝터의 출력 포트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는 PoE(Power over Ethernet) 기술을 구현함에 있어서, 원격의 디바이스인 액세스 포인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파워 인젝터(300)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PoE(Power over Ethernet)는 이더넷에서 데이터와 함께 전력을 원격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기술로서, 특히 액세스 포인트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유용한 기술인 바,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출력 포트(280) 중 어느 하나를 이루는 파워 인젝터(300)의 출력 포트(280)는 액세스 포인트(3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포트(280)가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4a에서의 파워 인젝터(300)의 입력 포트는 외부의 데이터통신 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게 되고, 출력 포트(280)는 입력된 데이터를 공급받은 DC 출력 전압과 함께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통신 포트에 전달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4a에서의 통신 포트(240)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외부통신망 상의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통신 포트(24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파워 인젝터(300)의 입력 포트가 외부 데이터의 통신 포트(240)의 기능까지 수행하게 될 것이다.
즉, 특정 세대 장비에 대한 파워 리부팅 신호와 같은 외부통신망 상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가 파워 인젝터(300)의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됨으로써, 별도의 통신 포트(240)없이도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2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통합형 멀티 어댑터(200) 내부의 마이콤(230)은 통신 포트(240)를 통해 세대 장비(100)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출력전압 제어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10).
특정 세대 장비(100)에 대한 출력전압 제어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마이콤(230)은 해당 세대 장비(100)에 전압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260)에 출력전압 설정정보를 전송한다(S520).
마이콤(230)은 해당 세대 장비(100)에 대응되는 전압조절 노브(270)의 설정이 자동(AUTO) 모드인지를 확인한 후(S525), 자동 모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마이콤(230)으로부터 출력전압 설정정보를 수신한 레귤레이터(260)는 출력전압 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세대 장비(100)에 공급되는 출력전압을 조절하게 된다(S530).
만약, 마이콤(230)이 해당 세대 장비(100)에 대응되는 전압조절 노브(270)의 설정이 자동(AUTO) 모드인지를 확인한 결과(S525), 수동 모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레귤레이터는 전술한 S520 단계에서의 출력전압 설정정보에 따라 출력전압을 조절하지 아니하고, 해당 세대 장비(100)에 대응되는 전압조절 노브(270)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된 전압에 따라, 해당 세대 장비(100)로 출력되는 전압을 조절하 게 된다.
한편, 통신 포트(240)를 통해 세대 장비(100)에 대한 출력전압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마이콤(230)은 통신 포트(240)를 통해 특정 세대 장비(100)에 대한 전압 공급 차단을 명령하는 차단회로 제어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S54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특정 세대 장비(100)에 오작동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작동이 발생한 세대 장비(100)의 파워 리부팅이 이루어지도록, 외부 통신망 상의 통신 장치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200)의 통신 포트(240)에 소정의 차단회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200) 내의 마이콤(230)은 통신 포트(240)를 통해 차단회로 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음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때 마이콤(230)은 해당 세대 장비에 대응되는 차단회로(250)에 차단회로 개폐 명령(또는, 파워 리부팅 명령)을 입력하게 되고(S550), 그 결과 차단회로(250)가 개폐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오동작이 있었던 세대 장비에는 파워 리부팅이 실행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이콤(230)은 해당 세대 장비에 대응되는 차단회로(250)에 '디스에이블 신호'를 특정시간(예를 들어, 3초간)동안 입력하면, 차단회로(250)에 의해 특정시간 동안 해당 세대 장비로의 전압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파워 리부팅이 실행되게 된다.
아울러, 차단회로(250)는 마이콤(230)으로부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리셋 버튼(290)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리셋 버튼(290)이 누름상태에 있는 특정시간(예를 들어, 3초간)동안 해당 세대 장비로의 전압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파워 리부팅을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특정 출력 포트(280)를 미사용 상태로 두고자 하는 경우라면, 마이콤(230)은 해당 출력 포트(280)에 대응되는 차단회로(250)에 지속적으로 '디스에이블 신호'를 입력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대 장비에서의 어댑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 및
    상기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직류 전압을 각각 소정의 전압비로 조절하여 출력하여 게이트웨이(Gateway), 멀티플렉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및 월 패드(Wall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대 장비에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는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2. 외부로부터 직류 전압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전원입력단자로 입력된 직류 전압을 각각 소정의 전압비로 조절하여 출력하여 게이트웨이(Gateway), 멀티플렉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및 월 패드(Wall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대 장비에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는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귤레이터에서의 상기 전압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콤을 더 포함하는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귤레이터에 각각 마련되어 외부조작에 의해 상기 전압비를 각각 조절하는 복수의 전압조절 노브를 더 포함하는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와 상기 복수의 레귤레이터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A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레귤레이터로의 상기 직류 전압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의 차단회로를 더 포함하는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회로의 개폐가 제어되는 것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외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통신망 상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단회로에 각각 마련되어,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차단회로의 개폐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리셋 버튼을 더 포함하는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는 데이터와 직류 전압을 함께 출력하는 것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인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KR1020080022785A 2008-03-12 2008-03-12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KR100998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785A KR100998285B1 (ko) 2008-03-12 2008-03-12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785A KR100998285B1 (ko) 2008-03-12 2008-03-12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564A true KR20090097564A (ko) 2009-09-16
KR100998285B1 KR100998285B1 (ko) 2010-12-03

Family

ID=4135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785A KR100998285B1 (ko) 2008-03-12 2008-03-12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23B1 (ko) * 2021-12-30 2022-11-09 주식회사 삼화기술단 정보통신 케이블의 벽체 매립형 배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65Y1 (ko) * 2002-03-19 2002-06-24 지희일 Usb 및 cd-rom 겸용 전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23B1 (ko) * 2021-12-30 2022-11-09 주식회사 삼화기술단 정보통신 케이블의 벽체 매립형 배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285B1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2128B1 (en) Communication device, power supplying method therefor,and power supply system
US20060145535A1 (en) Communication unit and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the same
RU2606876C2 (ru) Каскадная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через ethernet
US7023357B2 (en) Pluggable mechanism for wireless remote control
EP3125374B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US20060183510A1 (en) Automatic sensing power systems and methods
US20090322159A1 (en) Load condition controlled wall plate outlet system
US83326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mmunications over HDMI in standby mode
US20100049994A1 (en) Universal Ethernet Power Adapter
US20100156176A1 (en) Dc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multiple variable voltage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US20130015714A1 (en) Smart Power Portal
US11119550B2 (en) USB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U2009262848A1 (en) Load condition controlled power circuit
US2014004281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KR102091366B1 (ko)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34332A1 (en) Using a power over ethernet device to supply multiple dc power to connected devices and application thereof
KR100998285B1 (ko) 세대 장비용 통합형 멀티 어댑터
KR101932025B1 (ko) PoE 스위칭 허브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54199A (ko) 전원 공급 메니지먼트 poe허브
CN111629424B (zh) 功率管理方法、对应的系统及装置
US20170324270A1 (en) Standby circuit, and outlet, plug, and device having the same
JP2003235119A (ja) 配電装置
US20090091191A1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WO2002013351A1 (fr) Controleur pour dispositif electrique et systeme de commande de puissance de travail utilisant ce dernier
CN105227872B (zh) 一种电视控制方法及分离式电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