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982A -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982A
KR20090096982A KR1020080022111A KR20080022111A KR20090096982A KR 20090096982 A KR20090096982 A KR 20090096982A KR 1020080022111 A KR1020080022111 A KR 1020080022111A KR 20080022111 A KR20080022111 A KR 20080022111A KR 20090096982 A KR20090096982 A KR 2009009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group
mobile
subscriber station
base station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052B1 (ko
Inventor
하광준
윤세영
권상욱
정재호
오영철
조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22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0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페이징 그룹 설정 시, 이동 기지국을 각 페이징 그룹에 포함시켜 설정함으로써,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여도 자신의 위치정보 등록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위치정보 업데이트 횟수를 감소시켜 데이터 전송효율 및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에 있어서, 고정 기지국들에 대하여 페이징 그룹을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이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페이징 그룹 내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상기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탐색 메시지에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의 아이디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옥내 휴대 인터넷, 페이징 그룹 설정, 페이징 그룹 아이디, 이동 기지국, 탐색 메시지

Description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paging group in indoor Wibro system}
본 발명은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페이징 그룹 설정 시, 이동 기지국을 각 페이징 그룹에 포함시켜 설정함으로써,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여도 자신의 위치정보 등록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위치정보 업데이트 횟수를 감소시켜 데이터 전송효율 및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1 세대 아날로그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방식과, 제 2 세대 셀룰러(Cellular)/개인 휴대 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방식을 거쳐 발전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ITU-R에서 표 준으로 제정하고 있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이 상용화되고 있다.
IMT-2000은 CDMA 2000 1X, 3X, EV-DO, WCDMA(Wide band CDMA) 등으로 기존의 IS-95A, IS-95B 망에서 진화한 IS-95C 망을 이용하여, IS-95A, IS-95B 망에서 지원 가능한 데이터 전송 속도인 14.4 Kbps나 56 Kbps보다 훨씬 빠른 최고 144 Kbps의 전송 속도로 무선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특히, IMT-2000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존의 음성 및 WBS(Wireless Broadcasting Service)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AOD, VOD 등)를 더욱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구축 비용이 높기 때문에 무선 인터넷의 이용 요금이 높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제약이 있는 등 초고속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은 전파 간섭 및 좁은 사용 영역(Coverage) 등의 문제로 무선 서비스의 제공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동하면서도 저렴한 요금으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모바일 와이맥스 또는 와이브로라고도 함)이 대두하였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노트북, PDA, 핸드헬드(Handheld) PC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의 정지 환경에서와 보행 속도 및 중저속 이동 수준의 이동 환경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및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시속 60 km/h의 이동성을 제공하며, 24 Mbps의 하향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적용하면 50 Mbps의 하향 전송 속도까지도 제공할 수 있는 IP 기반의 무선 데이터 시스템이다.
또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2.3 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할당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듀플렉스(Duplex) 방식으로는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를, 그리고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방식으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라 칭함)을 사용한다.
또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이동하는 휴대 인터넷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휴대 인터넷 가입자가 이동하여 PSS(Portable Subscriber Station)의 위치가 변경되면, PSS는 위치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여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PSS의 위치 정보 업데이트 절차에 따라 PSS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그에 따라 변경된 PSS로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과 같이 PSS를 호출하여 PSS의 상태 및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PSS를 호출하는 절차를 페이징이라고 하는데,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페이징은 일정 영역을 페이징 지역으로 설정하고, 서비스 지역을 다수의 페이징 지역으로 구분하여 수행된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PSS가 특정한 무선 접속 장치(RAS: Radio Access Station)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PSS로 하여금 주기적으로 페이징 전파 메시 지(Paging Broadcast Message)만을 확인하도록 하여, PSS가 이동할 때 빈번한 핸드오버(Hand over)로 인한 오버헤드(Overhead)를 막기 위해 PSS에 유휴 모드라는 개념을 도입하였고, 유휴 모드 상태의 단말은 페이징 그룹 단위로 위치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한다.
즉, 휴대 인터넷 시스템(Wibro)은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휴대 가입자 단말(PSS)의 기지국 간의 이동 시, 불필요한 핸드오버 과정을 줄이고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기지국을 그룹으로 묶어서 해당 그룹 내에서의 이동은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그룹별로 위치만을 관리하도록 하는 유휴 모드(idle mode)를 지원한다. 이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이 변경되어도 자신의 위치를 등록할 필요가 없는 기지국들의 그룹을 페이징 그룹이라 한다.
따라서 유휴 모드의 휴대 가입자 단말은 상향링크(uplink) 메시지의 전송 횟수를 최소화하고, 해당 휴대 가입자 단말로 전달할 하향링크(downlink) 메시지가 발생한 경우, 해당 휴대 가입자 단말이 속한 페이징 그룹 내 기지국들이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전송하여 휴대 가입자 단말이 속한 기지국을 찾은 후, 해당 기지국이 휴대 가입자 단말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도 1 은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에 대한 일예시도로서, 논리적으로 구분한 페이징 그룹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페이징 그룹의 수는 다수이며, 하나의 페이징 그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도 2 는 일반적인 휴대 인터넷 망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 말의 이동을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페이징 그룹 내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은 서비스 기지국이 변경되어도 위치정보 등록 과정을 수행하지 않지만, "201"과 같이 제 1 페이징 그룹에서 제 2 페이징 그룹으로 이동시에는 위치 등록(location update) 과정을 통해 홈 위치 등록기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기지국이 유휴 모드의 휴대 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거나, 휴대 가입자 단말이 서비스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203"과 같이 페이징 그룹 내 기지국들은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응답을 통하여 휴대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페이징 그룹이 크면 휴대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얻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다수의 기지국에서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페이징 메시지의 오버헤드가 커지게 되며, 페이징 그룹이 작으면 위치 등록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져 위치등록 메시지의 오버헤드가 커지게 되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가 있다.
도 3 은 일반적인 휴대 가입자 단말의 유휴 모드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먼저, 유휴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PSS : Portable Subscriber Station)(31)은 등록해제 요청(DREG_REQ) 메시지를 라디오 액세스 서브시스템(RAS : Radio Access Subsystem)(32)으로 전송한다(301).
이후, 라디오 액세스 서브시스템(32)은 액세스 콘트롤 라우터(ACR : Access Control Router)와 연동하여 휴대 가입자 단말(31)의 위치정보 등록을 해제한다(302). 이때부터 휴대 가입자 단말(31)은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인지된다.
이후, 라디오 액세스 서브시스템(32)은 등록해제 명령(DREG_CMD) 메시지를 휴대 가입자 단말(31)로 전송한다(303).
이후, 휴대 가입자 단말(31)은 유휴 모드로 동작한다(304).
이후,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31)로의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면, 해당 휴대 가입자 단말(31)이 속한 페이징 그룹의 라디오 액세스 서브시스템(32)은 탐색(MOB_PAG_ADV)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 응답(RNG_REQ)을 통해 해당 휴대 가입자 단말(31)을 찾는다(305 내지 308).
이후, 네트워크 재등록 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 세션을 활성화한다(309, 310).
하기의 [표 1]은 탐색(MOB_PAG_ADV)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다.
Figure 112008017336721-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은 메시지에 탐색하고자 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의 MAC 주소(address) 및 페이징 응답을 요구하는 액션 코드(action code)를 기록하여 전송하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 가입자 단말은 레인징 요청(RNG_REQ) 메시지로 응답하게 되고, 재등록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이때,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은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얻은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와 탐색(MOB_PAG-ADV) 메시지를 통해 페이징 그룹 아이디(PG_ID)가 바뀌었는지 안 바뀌었는지를 확인하여, 바뀌었으면 자신의 위치를 다시 등록한다.
도 4 는 일반적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위치정보 업데이트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휴대 가입자 단말(41)은 탐색(MOB_PAG_ADV) 메시지를 통해 페이징 그룹 아이디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한 후 새로운 라디오 액세스 서브시스템(44)으로 레인징 요청(RNG_REQ) 메시지를 전송한다(401, 402).
이후, 새로운 라디오 액세스 서브시스템(44)은 레인징 응답(RNG_RSP) 메시지를 휴대 가입자 단말(41)로 전송한 후, 휴대 가입자 단말(41)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403).
이후, 휴대 가입자 단말(41)이 계속 유휴 모드를 유지하도록 등록해제 명령(DREG_CMD) 메시지를 휴대 가입자 단말(41)로 전송한다(404).
이러한 과정을 통해 휴대 가입자 단말(41)은 새로운 페이징 그룹에 속하게 된다.
한편, 휴대 가입자 단말은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경우, 유휴 모드로 동작하여 불필요한 메시지를 감소시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기지국을 하나의 페이징 그룹으로 묶어 관리하는데, 옥내 환경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서의 통신 지원을 위하여 엘리베이터에 기지국을 설치할 경우, 엘리베이터 기지국은 어느 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 가입자 단말을 가진 사용자가 유휴 모드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할 경우, 엘리베이터를 탑승할 때와 엘리베이터에서 하차할 때 페이징 그룹 아이디가 바뀌어 두 번의 위치정보 업데이트(location update)를 하게 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업데이트 과정은 다수의 메시지가 교환되는 과정으로, 이는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고, 휴대 가입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정보 업데이트가 발생하는 경우의 수를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페이징 그룹 설정 시, 이동 기지국을 각 페이징 그룹에 포함시켜 설정함으로써,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여도 자신의 위치정보 등록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위치정보 업데이트 횟수를 감소시켜 데이터 전송효율 및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에 있어서, 고정 기지국들에 대하여 페이징 그룹을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이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페이징 그룹 내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상기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탐색 메시지에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의 아이디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을 탐색하는 경우,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이 속하는 페이징 그룹의 고정 기지국들을 먼저 탐색하여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을 찾지 못한 경우에 상기 이동 기지국을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 고정 기지국들에 대하여 페이징 그룹을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이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각 페이징 그룹 내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상기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탐색 메시지에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의 아이디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을 탐색하는 경우,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이 속하는 페이징 그룹의 고정 기지국들을 먼저 탐색하여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을 찾지 못한 경우에 상기 이동 기지국을 탐색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그룹으로 설치되는 옥내용 기지국은 기업이나 대형 빌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옥내용 기지국 그룹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기지국의 탐색(MOB_PAG-ADV) 메시지 내 페이징 그룹 아이디를 작성하는 과정과 기지국들이 단말을 페이징하는 과정 및 엘리베이터 기지국 내에서 휴대 가입자 단말의 유휴 모드 동작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페이징 그룹 설정 시, 이동 기지국을 각 페이징 그룹에 포함시켜 설정함으로써,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여도 자신의 위치정보 등록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위치정보 업데이트 횟수를 감소시켜 데이터 전송효율 및 전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등록 메시지(Location Update)의 감소로 인하여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들의 위치 등록 절차에 필요한 메시지들과 절차 들을 감소시킴으로써,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네트워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 기지국이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건물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의 위치는 층별로 관리되며, 엘리베이터 기지국을 모든 층의 페이징 그룹에 포함되도록 페이징 그룹을 설정함으로써,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엘리베이터의 영역에 위치하여도 위치 등록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즉, 유휴 모드의 휴대 가입자 단말은 자신이 선호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한 탐색(MOB_PAG-ADV) 메시지를 통해 페이징 그룹 아이디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표 1]과 같이 탐색(MOB_PAG-ADV) 메시지 포맷은 다수의 페이징 그룹 아이디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기지국의 탐색(MOB_PAG-ADV) 메시지가 모든 페이징 그룹 아이디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결국, 엘리베이터 기지국이 모든 페이징 그룹에 속하게 하여, 건물 내 모든 유휴 모드 단말을 포함하게 한다.
이렇게 엘리베이터 기지국을 모든 페이징 그룹에 포함시키면, 유휴 모드의 휴대 가입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페이징 과정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되지만, 엘리베이터는 공간이 좁으며 탑승자의 지체 시간이 길지 않으므로, 유휴 모드의 휴대 가입자 단말이 엘리베이터 안에 있을 확률은 다른 기지국 영역에 있을 확률보다 적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휴 모드 단말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단말을 탐색할 때, 엘리베이터 기지국을 다른 기지국들과 페이징 우선순위에 차별을 두어, 유휴 모드 단말이 속한 페이징 그룹의 다른 기지국에서 먼저 유휴 모드 단말을 탐색한 후 응답이 없을 경우 엘리베이터 기지국에서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휴대 가입자 단말이 유휴 모드로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기지국은 모든 페이징 그룹에 속한 상태이므로 어느 페이징 그룹 아이디를 단말로 전송해 주어야 하는지 결정해야 한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탑승자는 조금 후에 엘리베이터에서 내리게 되며, 페이징 그룹 아이디의 변경이 생기게 될 것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안에서 유휴 모드로의 동작을 시작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엘리베이트 기지국은 엘리베이터 안에서 휴대 가입자 단말의 유휴 모드 동작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도 3에서 휴대 가입자 단말로부터 등록해제 요청을 받아도 엘리베이터 기지국은 응답을 하지 않고 무시하여 휴대 가입자 단말이 유휴 모드로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각 층별로 고정 기지국들의 페이징 그룹을 설정하되, 상기 각 층별 페이징 그룹이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도록 설정한다(601).
이후, 상기 설정된 페이징 그룹 중 임의의 페이징 그룹 내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상기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탐색(MOB_PAG-ADV) 메시지에 각 층별 페이징 그룹의 아이디를 기록하여 전송한다(602).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에 대한 일예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휴대 인터넷 망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의 이동을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3 은 일반적인 휴대 가입자 단말의 유휴 모드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일반적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위치정보 업데이트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휴대 가입자 단말 32 : 라디오 액세스 서브시스템
33 : 액세스 콘트롤 라우터

Claims (6)

  1.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에 있어서,
    고정 기지국들에 대하여 페이징 그룹을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이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페이징 그룹 내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상기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탐색 메시지에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의 아이디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을 탐색하는 경우,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이 속하는 페이징 그룹의 고정 기지국들을 먼저 탐색하여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을 찾지 못한 경우에 상기 이동 기지국을 탐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지국은,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의 유휴 모드 요청을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지국은,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5. 프로세서를 구비한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
    고정 기지국들에 대하여 페이징 그룹을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이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각 페이징 그룹 내에서 유휴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 가입자 단말이 상기 이동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탐색 메시지에 상기 설정된 각 페이징 그룹의 아이디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을 탐색하는 경우,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이 속하는 페이징 그룹의 고정 기지국들을 먼저 탐색하여 상기 휴대 가입자 단말을 찾지 못한 경우에 상기 이동 기지국을 탐색하는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22111A 2008-03-10 2008-03-10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KR10096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11A KR100966052B1 (ko) 2008-03-10 2008-03-10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11A KR100966052B1 (ko) 2008-03-10 2008-03-10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982A true KR20090096982A (ko) 2009-09-15
KR100966052B1 KR100966052B1 (ko) 2010-06-28

Family

ID=4135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111A KR100966052B1 (ko) 2008-03-10 2008-03-10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0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6003B2 (en) 2009-10-01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Routing graphs for buildings
US9143899B2 (en) 2009-10-12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oor context information
US9313615B2 (en) 2009-10-01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locating in conjunction with localized environments
US9389085B2 (en) 2010-01-22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Map handling for location based services in conjunction with localized environments
CN109319611A (zh) * 2017-07-31 2019-02-12 东芝电梯株式会社 电梯的楼层信息设定系统以及电梯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973B1 (ko) * 1998-06-30 2001-05-02 이계철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선택적위치등록방법및그를이용한선택적다단계페이징방법
KR20060005671A (ko)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198825B1 (ko) * 2006-01-03 2012-11-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록 시스템 및 방법
US7640028B2 (en) 2006-06-30 2009-12-2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enhanced location update scheme for mobile station in a relay-based networ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6003B2 (en) 2009-10-01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Routing graphs for buildings
US9140559B2 (en) 2009-10-01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Routing graphs for buildings using schematics
US9313615B2 (en) 2009-10-01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locating in conjunction with localized environments
US9143899B2 (en) 2009-10-12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oor context information
US9894490B2 (en) 2009-10-12 2018-0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oor context information
US9389085B2 (en) 2010-01-22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Map handling for location based services in conjunction with localized environments
CN109319611A (zh) * 2017-07-31 2019-02-12 东芝电梯株式会社 电梯的楼层信息设定系统以及电梯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052B1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1912B2 (en) Paging process in a home cellular network
US756778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paging mechanism within wireless networks including multiple access points
KR101537604B1 (ko) 페이징 캐리어 할당방법
US7457620B2 (en) Off-channel beacons in a wireless network
US8259634B2 (en) Sleep-mode wireless cell reselec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8451777B2 (en) Techniques to assign multiple identifiers in a wireless network
JP4602967B2 (ja) 無線ローカル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検出及び選択
US7720490B2 (en) Location update operations for idle mode terminals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s
US7725115B2 (en) Paging operation for idle mode terminals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interfaces
JP5059126B2 (ja) 無線基地局装置の検索方法、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
US20070140185A1 (en) Radio network communication
US89299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paging areas
US20070086395A1 (en) Wireless pag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1101957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KR100966052B1 (ko) 옥내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그룹 설정 방법
KR20100135679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대기 모드 지원 방법
US20070042776A1 (en) Wireless packet-switched pag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CN102118355A (zh) 多播广播业务信息处理方法
JPWO2010035842A1 (ja) 基地局および基地局の制御方法
US10051556B2 (en) Method for scanning for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system
KR20040051909A (ko) 이중 모드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104708B1 (ko) 와이브로 망에서 pss를 페이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14845A (ko) 휴대 인터넷에서 페이징 지역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개인가입자 단말기를 페이징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0125460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multicarrier and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coordination
CN101103644A (zh) 用于将移动台重新分配到不同信道的方法、设备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