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752A - Folding ladder - Google Patents

Folding lad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752A
KR20090095752A KR1020080020880A KR20080020880A KR20090095752A KR 20090095752 A KR20090095752 A KR 20090095752A KR 1020080020880 A KR1020080020880 A KR 1020080020880A KR 20080020880 A KR20080020880 A KR 20080020880A KR 20090095752 A KR20090095752 A KR 20090095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xed
plate
support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77512B1 (en
Inventor
신제우
Original Assignee
(주)이랜드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랜드건설 filed Critical (주)이랜드건설
Priority to KR102008002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512B1/en
Publication of KR20090095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7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5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0Reinforcements for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4Holders for pails or other equipment on or for ladders

Abstract

A foldable ladder is provided to control the angle or location of a tool holder according to the need of an operator. A foldable ladder comprises a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ody(110,120,130,140). The body is consisting of a pair of support stands(100a) separated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 and a step(100b) arranged between the support stands. The bracket includes an angle adjustment unit having a stopper function, located at the end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forth body. A tool holder(180) moves a working tool and working material to one side of the support stan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contain them.

Description

절첩식 사다리{Folding ladder}Folding ladder

본 발명은 절첩식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형 또는 우마형의 다양한 형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공구 거치대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절첩식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lad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ladder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shapes of A-type or right-sided, and is provided with a tool holder movable.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작업자가 손이 닿지 않는 곳의 작업을 위한 것으로, 다수의 디딤대가 다단으로 연결된 지지대를 벽면에 세운 상태에서 작업자가 디딤대를 밟고 올라가 작업하기 위한 기구이다. In general, the ladder is for the work where the operator can not reach, the mechanism for the worker to step on the stepping up in the state of standing on the wall with a plurality of steps are connected to the multi-stage.

특히, 절첩식 사다리는 중앙부를 접는 타입이 주류를 이루며, 힌지 연결수단을 통해 일측과 타측의 사다리를 연결하되 사다리가 일정각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벽면에 지지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folding ladder is the main type of folding the central portion, connecting the ladder of one side and the other through the hinge connecting means so that the ladder does not open more than a certain angle so that it can be fixed without being supported on the wall.

도 1은 종래의 사다리 구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3440에 의한 절첩식 사다리(10)로, 한 쌍의 사다리몸체(11) 사이에 다수개의 발판(13)를 가로방향으로 고정한 두 개의 사다리몸체(11)의 상부를 절첩브라켓(15)으로 결합하여 벌리거나 작은 부피로 포갤 수 있도록 구성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conventional ladder structure. 1 is a folding ladder 10 according to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3440, two ladder bodies fix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scaffold 13 between a pair of ladder bodies (11) ( 11) by combi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olding bracket 15 is configured to be opened or poked in a small volume.

이와 같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사다리(10)는 두 사다리몸체(11)의 상부를 삼각형상으로 넓게 벌려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별도의 공구함(미도시)을 준비하여 작업을 할 경우, 작업중 공구를 교체하기 위해 사다리(10)를 오르내리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고, 작업위치의 이동이 있을 경우 사다리(10)와 공구함을 각각 작업할 수 있는 적당한 위치로 옮겨야 하므로 그 만큼의 시간과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conventional ladder 10 shown in Figure 1 is to open the work of the operator to open the two ladder body 11 wide open in a triangular shape, in general to prepare a separate tool box (not shown) If you do, you have to repeat the work to move up and down the ladder 10 in order to replace the tool during work, and if there is a movement of the work position, the ladder 10 and the tool box must be moved to the appropriate position to work each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ime and work efficiency is reduced.

따라서 도배 등과 같은 인테리어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자가 높은 벽 또는 천정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사용이 편리한 우마 사다리를 사용하게 된다. 우마 사다리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83698에 의한 인테리어 작업용 우마 사다리(20)로,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는 사각판상으로 형성된 두 사다리부재(21)와, 상기 사다리부재(21)의 저면에 접힐 수 있도록 연결수단(23)에 의해 설치되는 다리부재(25)로 구성된다. Therefore, when the interior work, such as the paper work, the worker uses a convenient uma ladder to efficiently work such as high walls or ceilings.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uma ladder is shown in FIG. 2. This is the uma ladder 20 for interior work according to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383698, two ladder members 21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o step on the worker, and connecting means so that they can be fol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dder member 21 The leg member 25 provided by 23 is comprised.

이와 같은 우마 사다리(20)는 작업자가 높은 곳을 작업을 하면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수평상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비교적 높이가 낮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고,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이 또한 상술한 도 1의 사다리(10)와 마찬가지로 작업중 공구를 교체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우마 사다리(20)를 오르내리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horse ladder 20 is made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worker can move while working in a high place, relatively low height and extends horizontally long, is configured to be folded, this also described above Figure 1 Like the ladder 10,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has to take the inconvenience of climbing up and down the ladder ladder 20 in order to replace the tool during the work.

또, 우마 사다리(20)와 일반 사다리(10)가 모두 필요한 경우에는 두 종류의 사다리(10,20)를 모두 구비해야 하고, 특히,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공간이 복잡해지며, 작업을 마친 후 사다리(10,20)를 제자리에 가져다 놓는데에도 시간과 인력소모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f both the ladder ladder 20 and the general ladder 10 is required to be equipped with both types of ladders (10, 20), in particular, if you need to work in a small space is complicated work space , After finishing the work,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ime and manpower consumption were also brought to place the ladder (10,20) in plac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A형 또는 우마형의 다양한 형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공구 거치대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되거나 각도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절첩식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shapes of A-type or right-sided, and the tool holder is provided to be moved or adjustable angl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or It is to provide a folding ladder that can b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한쌍의 지지대에 각각 양끝단이 연결되는 디딤대로 구성되는 제1 내지 제4몸체;와 상기 제1 내지 제4몸체의 지지대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고,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며 스토퍼기능을 가진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support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each to a pair of supports A first to fourth body configured as a stepping device to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and a bracket provided at one end or both ends of a support of the first to fourth body, connected by a hinge shaft, and having an angle adjusting part having a stopper fun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작업공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공구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공구거치대는 상기 지지대의 외면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이스와, 상기 이동바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힌지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다. One side of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tool holder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a work tool, the tool holder is a mobile vise movab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rota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vise rotatably 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y hinge assembly.

상기 이동바이스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지지판과;The moving vise and the support plate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상기 지지판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면에는 지지판에 형성된 조임공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조임쇠가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이동바이스가 상 기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 fixing plate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the supporting plates, the outer surface of which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projecting outward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upporting plate; It comprises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movable vise from being randomly moved in the state fixed to the support.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지지판의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면과 접촉되는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롤러와 동축으로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에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스토퍼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ocking means is installed to protrude into the interior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guide roller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A driven gear installed coaxially with the guide roller; A fixed gear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xed ge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iven gear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It is provided with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pper lever for controll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회동힌지어셈블리는 상기 이동바이스의 외면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홈이 형성되는 거치몸체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거치몸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otating hinge assembly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vise, the fixed bracket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A mounting body having a rotating groove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It comprises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pivoting body in the fixed state fixed to the fixing bracket.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기어와; 상기 거치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1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에 제1기어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면에 톱니형상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의 스토퍼에 단부가 맞물려 상기 기어축을 선택적으로 밀어올리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first gea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fixing bracket; A second gear provided in the mounting body a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gear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ge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ar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 gear shaf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and provided with a sawtooth stopper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n operation lever for engaging an end portion with the stopper of the gear shaft to selectively push up the gear shaft.

상기 회동힌지어셈블리는 상기 이동바이스의 외면에 고정되고, 중심에는 제1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축공을 기준으로 한 동일한 궤적상에는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에 결합되고, 중심에는 제2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타공과 동일한 궤적상에는 탄성지지되어 일단이 타공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에 중심이 일치되게 결합되어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거치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otating hinge assembly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obile vise, a perforated plate having a first shaft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on the same trajectory based on the first shaft hole; A control plate coupled to the perforated plate, having a second shaft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having a handle portion elastically supported on one of the same trajectories and having one end protruding into the perforated ho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body is coupled to match the center to the control panel is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control panel.

상기 거치몸체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거치몸체와, 상기 제1거치몸체의 내부에 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거치몸체로 구성된다. The mounting body includes a first moun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fixing bracket, and a second mounting body provided to be retractable in the first mounting body.

상기 제1 내지 제4몸체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제2 및 제3몸체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몸체의 지지대 사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작업디딤판이 구비된다. One side of the first to the fourth body is provided with a working step plate which is selectively placed between the support of the second and third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body are horizontal.

상기 작업디딤판은 일단이 디딤대에 설치되는 고정바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디딤대에 고정된 일단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work stepboard is fixed to a fixed vise,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a stepping tabl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fixed to the stepping table.

상기 고정바이스는 상기 디딤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면에는 지지판에 형성된 조임공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조임쇠가 구비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xed vise and the support plate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epping table; It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to be movable, the outer surfa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plate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상기 작업디딤판의 양 단부에는 상기 작업디딤판의 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일단부가 디딤대에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구비된다.At both ends of the work tread plate is provided with hook hooks, one end of which is hooked to the tread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work tread plate.

상기 제1 내지 제4몸체의 어느 일측에는 착탈가능한 이동수단이 구비된다.Either side of the first to fourth body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moving means.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본 발명의 절첩식 사다리는 제1내지 제4몸체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다. 따라서 사다리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작업위치 또는 작업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First, in the folding la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bodies are foldably connected. Therefore, not only the space for storing the ladder is minimized, but also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by transforming it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work location or work type.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사다리에는 작업자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위치에 맞게 각도조절 할 수 있는 공구거치대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공구 등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요시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위치의 이동시 간단한 조작을 통해 공구거치대의 위치이동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이 보다 증대된다. In addition, the folding la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ool holder that can move to a desired position of the operator,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operator can minimize the loss of the work tool and can easily find and use when necessary, as well as the position movement and angle adjustment of the tool hold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when moving the work position. Therefore, the worker's work convenience is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사다리는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 사이에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절첩식 사다리의 사용중에는 받침대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고 이동중에는 사다리를 기울임에 의해 이동이 편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절첩식 사다리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된다. In addition, the folding la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between the pedestal for supporting the ground, it is fixed to the ground by the pedestal during the use of the folding ladd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by tilting the ladder during movement. Therefore, the ease of use of the folding ladder is increa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사다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lding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사다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업디딤판이 절첩식 사다리에 설치된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a 및 5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동바이스가 사시도 및 내부구성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회동힌지어셈블리가 사시도 및 내부구성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채용 된 회동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실시예에 의한 타공판과 조절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절첩식 사다리의 다양한 응용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lding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working step plate installed in the folding lad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illustrate a perspective view and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vi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and 6B illustrate a rotating hinge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otating hinge assembly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erforated plate and a adjust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to 11 show in a perspective view various applications of a folding ladd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사다리(100)(이하, '사다리'라 칭함)를 구성하는 몸체는 제1 내지 제4몸체(110,120,130,140)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각각의 몸체(110,120,130,14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지지대(110a)와, 상기 지지대(110a)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디딤대(100b)로 구성된다. As shown therein, the body constituting the folding ladd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to fourth bodies 110, 120, 130 and 140 are foldably connected to respective bodies 110, 120, 130 and 140. ) Is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 (110a)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tep (100b)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110a).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사다리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한쌍의 지지대(100a)가 병렬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지지대(100a) 사이에 구성되는 디딤대(100b)는 양끝단이 용접 또는 나사결합 또는 기타 결합수단에 의해 지지대(100a)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디딤대(100b)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지지대(100a)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00a)에 일정 간격을 두고 천공되는 관통공(미도시)에 디딤대의 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대(100a) 사이에 디딤대(100b)가 횡방향으로 배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This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ladder. The pair of supports 100a are spaced apart in parallel, and the steps 100b configured between the supports 100a have both ends connected to the supports 100a by welding or screwing or other coupling means. It is common. At this time, the step (100b)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support (100a)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 of the step is coupled to the through-hole (not shown) that is dri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support (100a) is a step (100b)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support (100a).

제1 내지 제4몸체(110,120,130,140)의 대응되는 단부에는 힌지축(미도시)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50)이 구비된다. 브라켓(150)에는 스토퍼기능을 가진 각도조절부(151)가 구비된다. 각도조절부(151)는 제1 내지 제4몸체(110,120,130,140)를 서로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각도조절부(151)에 의해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 제2몸체(120) 및 제3몸체(130), 제3몸체(130) 및 제4몸체(140)는 각도 조절된 상태가 고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Corresponding ends of the first to fourth bodies 110, 120, 130, and 140 are provided with brackets 150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hinge axes (not shown). The bracket 150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unit 151 having a stopper function. The angle adjusting unit 151 is for adjusting the first to fourth bodies 110, 120, 130, and 140 in various angle rang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by the angle adjusting unit 151. The second body 120 and the third body 130, the third body 130 and the fourth body 140 may be fixed or released in an angle-adjusted state.

제2 및 제3몸체(120,130)에는 작업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제2 및 제3몸체(120,130)의 지지대(100a) 사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작업디딤판(160)이 각각 설치된다. 작업디딤판(160)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및 제3몸체(120,130)의 지지대(100a) 사이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are provided with working step plates 160 selectively placed between the supports 100a of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so that an operator can step on and climb up. As shown in FIG. 10, the work tread plate 16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length between the supports 100a of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각각의 작업디딤판(160)은 일측이 제2 및 제3몸체(120,130)가 결합되는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 및 제3몸체(120,130)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됨에 의해 제2 및 제3몸체(120,130)의 지지대(100a) 사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때, 작업디딤판(160)은 제2 및 제3몸체(120,130)가 결합되는 일단부에 고정된 일측에 대해 타측이 회동하여 제2 및 제3몸체(120,130)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작업디딤판(160)의 고정된 일측과 회동가능한 타측은 작업자가 밟고서는 일면만이 서로 연결된다. Each work tread 160 is fixed to one end to which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are coupled, and the second side is selectively fixed to the othe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And it is selectively placed between the support (100a) of the third body (120,130). At this time, the working stepboard 160 is rotat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one side fixed to one end to which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are coupled, and is selectively fixed to the othe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To this end, the fixed one side of the work stepping plate 160 and the other side that can be rotate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by one side of the worker.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디딤판(160)의 일측에는 고정바이스(161)가 설치된다. 고정바이스(161)는 작업디딤판(160)의 일측을 제2 및 제3몸체(120,130)의 마주보는 일단부에 위치한 디딤대(100b)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바이스(161)는 일면이 작업디딤판(160)에 볼트 또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a fixed vise 161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orking step plate 160. The fixed vise 161 is configured to fix one side of the work step plate 160 to a step 100b positioned at one end portion facing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The fixed vise 161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work step plate 160 by using a bolt or welding.

고정바이스(161)는 작업디딤판(160)의 일측면에 그 중심면이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지지판(163)과, 상기 지지판(163)의 일면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판(165)으로 구성된다. The fixed vise 161 is movable toward or away from the 'c' shaped support plate 163 having its center surface fixed to one side of the work treading plate 160 and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63. It is composed of a fixed plate 165 is provided.

고정판(165)의 일면에는 지지판(163)의 대응되는 일면에 형성되는 조임공(16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조임쇠(166)가 구비된다. 조임쇠(166)는 고정판(165)을 지지판(163)의 일면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이거나 풀어 작업디딤판(160)의 일측을 제2 및 제3몸체(120,130)의 디딤대(100b)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조임공(164)의 내경 및 이에 대응되는 조임쇠(166)의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딤대(100b)에 고정된 지지판(163) 또는 고정판(165)의 단부에는 디딤대(100b)의 일부를 감싸도록 직교하게 돌출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On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65 is provided with a fastener 166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fastening hole 164 form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63. Fasteners 166 fasten or loosen the fixing plate 165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63 to fix one side of the working step plate 160 to the step 100b of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It plays a role. To this end, threads may be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hole 164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astener 166 corresponding thereto. 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63 or the fixing plate 165 fixed to the step 100b may be formed to protrude perpendicularly to surround a part of the step 100b.

또한, 작업디딤판(160)의 일측이 디딤대(100b)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디딤판(160)의 타측이 임의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디딤판(160)의 회동되는 단부에 걸이후크(167)가 구비되어 디딤대(100b)에 걸어짐으로써 작업디딤판(160)의 회동이 허용 또는 제한된다. 상기 걸이후크(167)는 일단이 디딤대(100b)에 걸어질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걸이후크(167)는 작업디딤판(160)의 일측에 힌지연결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67a)와, 고정부(167a)에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이부(167b)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for preventing the other side of the working step plate 160 is randomly rotated in a state where one side of the work step plate 160 is fixed to the step table (100b). For example, the hook hook 167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ork tread 160 to be rotated, and the work hook 160 is allowed to be restricted by being hooked on the tread 100b. The hook hook 167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as long as the hook hook 167 has a shape that can be hooked to the step 100b. As shown in FIG. 4B, the hook hook 167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ixing portion 167a fixed to one side of the work tread plate 160 by a hinge conn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hook hook 167a about the one end thereof. It is comprised by the hook part 167b install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100)의 하단에는 사다리(100)의 이동을 자 유롭게 하는 이동수단(170)이 구비된다. 이동수단(170)은 사다리(100)의 하단을 형성하는 받침대(171)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수단(170)은 제1몸체(110)와 제4몸체(140)의 지지대(100a)의 하단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대(100a)의 일측에도 탈부착 가능하다. 이동수단(170)으로는 일반적인 캐스터 또는 바퀴가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 the lower end of the ladder 100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170 to freely move the ladder (100). The moving unit 170 is detachably provided between the pedestals 171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ladder 100 so as to be separated as necessary. The moving unit 17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00a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fourth body 140 by using a bolt or the like, and in some cases, may be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100a. As the moving unit 170, a general caster or a wheel may be used.

이때, 이동수단(170)은 지지대(100a)의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사다리(100)를 사용중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받침대(171)가 사다리(100)를 지면으로부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시에는 사다리(100)를 기울임에 의해 이동이 간편하도록 한다. 여기서 받침대(171)는 지지대(100a)의 양측으로 소정각도로 돌설되어 사다리(100)를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moving means 17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00a) so that the pedestal 171 to be described below when using the ladder 100 to fix the ladder 100 from the ground, and during the movement By tilting the ladder 100 to facilitate the movement. The pedestal 171 is protrud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100a)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ladder 100 from the ground.

참고로, 본 실시예에의 사다리(100)는 'A'형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작업디딤판(160)의 일측이 고정바이스(161)에 의해 디딤대(100b)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을 향한 상태가 되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디딤대(100b)에 걸어진 걸이후크(167)가 작업디딤판(160)의 임의회동을 방지하므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For reference, when the lad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in an 'A' type, one side of the work treading plate 160 is fixed to the treadmill 100b by the fixed vise 161 and the other side faces the ground. It does not interfere with work. In addition, since the hook hook 167 hooked to the stepping board 100b prevents random rotation of the work stepping plate 160, stable work is possible.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마형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제1몸체 내지 제4몸체(110,120,130,1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조절하고 고정하여 작업디딤판(160)이 디딤대(100b)의 상면에 놓여지도록 하므로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는 작업디딤판(160)의 강도가 보강된다. 따라서 작업디딤판(160)이 놓여진 상태의 사다리(100)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And, as shown in Figure 10, when used in the right horse shape to rotate the first body to the fourth body (110, 120, 130, 14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adjust and fix the working step plate 16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100b) Since the worker stepped on the stepped up the strength of the work step 160 is reinforced. Therefore, the ladder 100 in a state where the working stepboard 160 is placed maintains a stable state.

또한, 본 실시예의 사다리(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0) 내지 제3몸체(130)를 중첩되게 절첩하고, 제4몸체(140)는 세워 짐을 싣는 이동식 카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지면과 접하는 제1몸체(110)의 지지대(100a)에는 이동수단(170)을 부착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ladd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1, folded the first body 110 to the third body 130, the fourth body 140 is a mobile cart to load the load. Can also be used. At this time, the movement means 170 is attached to the support 100a of the first body 110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facilitate movement.

한편, 사다리(100)에는 공구거치대(180)가 지지대(100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공구거치대(180)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바이스(190)와 이동바이스(190)에 결합되는 회동힌지어셈블리(200)에 의해 사다리(100)에 이동 또는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구거치대(180)는 작업공구 및 작업물품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공구거치대(180)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구획된 1단 또는 2단의 일반적인 공구함이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adder 100, the tool holder 180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00a). The tool holder 180 is installed to be movable or angle-adjustable to the ladder 100 by the rotary vise assembly 200 coupled to the mobile vise 190 and the mobile vise 190 to be described below. Tool holder 180 is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ork tool and the article. The tool holder 180 may be a one or two-stage general tool box having an interior partitioned to form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이동바이스(190)는 공구거치대(180)를 사다리(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moving vise 190 is a component for installing the tool holder 180 on the ladder 100 to be movable.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바이스(190)는 'ㄷ'자 형상의 지지판(191)과, 지지판(191) 사이에 구비되고 지지판(191)의 일면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동바이스(190)를 사다리(100)의 지지대(100a)에 1차 고정하는 고정판(19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판(193)에는 조임쇠(194)가 구비되고, 지지판(19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조임쇠(194)가 관통하는 조임공(19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술한 고정바이스(16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5A and 5B, the moving vise 19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91 having a 'C' shape and the support plate 191, and moves toward or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9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ed plate 193 for fixing the movable vise 190 to the support (100a) of the ladder (100). The fixing plate 193 is provided with a fastener 194, and a fastening hole 192 through which the fastener 194 penetrates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191. Since this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fixed vise 161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이동바이스(190)를 지지판(191)의 일면에 고정판(193)이 이동되는 구조로 형성한 것은 이동바이스(190)가 설치되는 지지대(100a)의 폭이 사다리(100) 마다 다르게 형성되므로 모든 사다리(1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movable vise 19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plate 193 is mov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91, so that the width of the support 100a on which the movable vise 190 is installed is different for each ladder 100. This is to be applicable to all ladders (100).

지지판(191)에는 조임쇠(194)를 이용하여 이동바이스(190)를 사다리(100)에 1차 고정한 상태에서 이동바이스(190)를 2차 고정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다. 잠금수단은 이동바이스(190)를 사다리(100)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동바이스(190)의 조임쇠(194)를 풀지 않고도 이동바이스(190)가 지지대(100a)를 따라 쉽게 이동하고 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 plate 191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for secondarily fixing the mobile vise 190 in a state where the mobile vise 190 is first fixed to the ladder 100 by using the fastener 194. The locking means can be easily moved and fixed along the support 100a without releasing the fastener 194 of the mobile vise 190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vise 190 is installed on the ladder 100. To help.

잠금수단은 지지판(191)의 내부로 돌출되어 지지대(100a)의 외면과 접촉됨으로써 이동바이스(190)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롤러(195)와, 안내롤러(195)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종동기어(196)와, 종동기어(196)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고정기어(197)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98)는 지지판(191)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두 고정기어(197)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기어(197)에 종동기어(196)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의 안내롤러(195)는 지지대(100a)의 외면과 접촉되게 지지대(100a)를 감싸는 지지판(191) 및 고정판(193)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The locking means protrudes into the support plate 191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00a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vise 190 and the guide rollers 195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guide rollers 195. A coaxially driven driven gear 196 and an elastic member 198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xed gear 197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n gear 196 is engaged. Here, the elastic member 198 is installed between two fixed gears 197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191 to provid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gear 197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196. For reference,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95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191 and the fixing plate 193 surrounding the support 100a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00a.

탄성부재(199)의 양단에는 스토퍼 레버(199)가 설치된다. 스토퍼 레버(199)는 지지판(191)에 형성된 통공(199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선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스토퍼 레버(199)의 선단부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부재(199)가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스토퍼 레버(199)는 탄성부재(199)를 압축시켜 고정기어(197)가 종동기어(196)에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Stopper levers 199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199. The stopper lever 199 has a free end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99a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91, and presses the front ends of the stopper lever 199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199 Configured to be compressed. The stopper lever 199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199 to release the state in which the fixed gear 197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196.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스토퍼 레버(199)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고정기어(197)와 종동기어(196)의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바이스(19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고, 스토퍼 레버(199)의 가압한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탄성부재(199)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기어(197)가 종동기어(196)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종동기어(196)가 고정기어(197)에 맞물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동기어(196)에 연결된 안내롤러(195)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동바이스(190)가 사다리(10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stopper lever 199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engaged state of the fixed gear 197 and the driven gear 196 is released to free the movement of the moving vise 190, and the stopper lever When the pressurized state of 199 is released, the fixed gear 197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gear 197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19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99 so that the driven gear 196 is fixed gear 197. Will be engaged.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guide roller 195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196 is limited and the moving vise 190 is fixed to the ladder 100.

회동힌지어셈블리(200)는 공구거치대(180)를 이동바이스(190)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The rotating hinge assembly 200 is a component for rotating the tool holder 180 in various angle ranges with respect to the moving vise 190.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동힌지어셈블리(200)는 이동바이스(190)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10)과 고정브라켓(210)의 회전축(21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몸체(220a,220b)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210)의 회전축(211)의 중심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227)에 의해 제2기어(225)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1기어(213)가 형성된다. 6A and 6B, the rotating hinge assembly 200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fixed bracket 210 and the rotating shaft 211 of the fixed bracket 210 fixed to one end of the mobile vise 190. It includes a mounting body (220a, 220b). The first gear 213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225 by the elastic member 227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211 of the fixing bracket 210.

거치몸체(220a,220b)는 속이 빈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거치몸체(220a,220b)는 고정브라켓(210)의 회전축(2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거치몸체(220a)와, 제1거치몸체(220a)의 내부에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선단에는 공구거치대(180)가 설치되는 제2거치몸체(220b)로 구성된다. The mounting bodies 220a and 220b are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ounting body (220a, 220b) is provided with a first mounting body (220a)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211) of the fixing bracket 210, and the inside of the first mounting body (220a) is possible to enter and exit the The tool holder 180 is composed of a second mounting body (220b) is installed.

제1거치몸체(220a)의 하단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거치몸체(220a)가 회동되는 전후방향의 하단부에는 절개된 간섭방지홈(221)이 형성되며, 간섭방지 홈(221)과 직교되는 면에는 고정브라켓(210)의 회전축(211)이 결합되는 회전홈이 (223)형성된다. 간섭방지홈(221)은 회전축(221)에 대한 제1거치몸체(220a)의 회동시 제1거치몸체(220a)의 하단부와 고정브라켓(210)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body 220a is formed in an open shape, and a cutoff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221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body 220a is rotated, and an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221. The groove orthogonal to the rotating shaft 211 of the fixed bracket 210 is coupled to the rotating groove (223) is formed. The interference preventing groove 221 serve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mounting body 220a and the fixing bracket 210 when the first mounting body 220a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221.

제1거치몸체(220a)의 내부에는 회전축(211)의 제1기어(213)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기어(225)가 구비된다. 제2기어(225)의 상부에는 제2기어(225)에 제1기어(213)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27)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탄성부재(227)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레버(235)의 작동에 의해 제2기어(225)에 제1기어(213)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제2기어(225)는 내부가 제1기어(213)와 맞물리는 반달형상의 기어로 형성되고, 탄성부재(227)와 접촉되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A second gear 225 that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gear 213 of the rotation shaft 211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support body 220a. An elastic member 227 is provided on the second gear 2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mpart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ar 225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213. The elastic member 227 impart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ar 225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213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35 to be described below. In this case, the second gear 225 is formed of a half moon-shaped gear that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213, and the surface contacting the elastic member 227 is formed in a plane.

탄성부재(227)의 상부에는 외면에 톱니형상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기어축(228)이 구비된다. 기어축(228)은 상단부가 제1거치몸체(220a)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229)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탄성부재(227)에 연결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227 is provided with a gear shaft 228 having a serrated stopper on the outer surface. The gear shaft 228 is supported by the frame 229 provided at the upp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mounting body 220a,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227.

제1기어(213)와 제2기어(225)의 맞물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레버(235)가 구비된다. 조작레버(235)는 일단부가 기어축(228)의 스토퍼에 맞물리고, 타단부는 제1거치몸체(220a)의 외면에 관통되게 형성된 조작공(235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조작레버(235)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조작레버(235)를 누르면 기어축(228)의 스토퍼에 맞물린 톱니가 원운동하면서 탄성부재(227)에 연결된 기어축(228)을 밀어올려 제1기어(213)와 제2기어(225)의 맞물린 상태를 해제하 게 된다. 이때, 기어축(228)은 도시되지 않은 탄성부재 등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다. 그리고 조작레버(235)를 누른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기어축(228)의 원위치복귀로 탄성부재(227)의 탄성력이 제2기어(225)를 제1기어(213)에 맞물리게 한다. An operating lever 235 for releasing the engaged state of the first gear 213 and the second gear 225 is provided.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235 is engaged with the stopper of the gear shaft 228,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hrough the operation hole 235a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body 220a. Such a control lever 235 uses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when the control lever 235 is pressed, the gear mesh engaged with the stopper of the gear shaft 228 pushes the gear shaft 228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227 while circularly moving. The engaged state of the first gear 213 and the second gear 225 is released. At this time, the gear shaft 228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an elastic member or the like not shown. When the operation lever 235 is releas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7 engages the second gear 225 with the first gear 213 by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gear shaft 228.

제2거치몸체(220b)는 제1 및 제2거치몸체(220a,220b)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조절공(231)에 별도의 조임구(233)가 조여져 제1거치몸체(220a)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공구거치대(180)는 제2거치몸체(220b)의 선단에 용접 또는 볼트 또는 기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mounting body 220b is tightened by a separate fastener 233 to the adjustment hole 231 dri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odies 220a and 220b, thereby allowing the first mounting body ( 220a) is fixed to the adjustable length. The tool holder 180 may be fixed to the tip of the second mounting body 220b by welding or bolts or other fixing means.

상술한 고정브라켓(210)과 거치몸체(220a,220b)로 구성되는 회동힌지어셈블리(200)는 다양한 실시예가 채용될 수 있다. Rotating hinge assembly 200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bracket 210 and the mounting body (220a, 220b) may be employed in various embodiments.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동힌지어셈블리(300)는 타공판(310)과 조절판(320)에 거치몸체(330)가 결합된 구성으로 조절판(320)에 구비된 손잡이부(321)를 잡아당겨 회전시킴에 의해 거치몸체(330)가 조절판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7, the rotating hinge assembly 300 has a handle 321 provided in the adjusting plate 320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unting body 330 is coupled to the punching plate 310 and the adjusting plate 320. By pulling and rotating the mounting body 330 is configured to rotate with the adjustment plate.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타공판(3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에는 제1축공(311)이 형성된다. 타공판(310)에는 제1축공(311)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동일한 궤적상에 다수개의 타공(313)이 천공된다. 타공(313)은 거치몸체(330)의 임의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부(321)의 일단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8, the perforated plate 310 is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first shaft hole 311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n the perforated plate 310, a plurality of perforations 313 are drilled on the same trajector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aft hole 3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erforation 313 is a portion into which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321 is inserted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mounting body 330.

조절판(320)은 타공판(310)과 동일한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절판(320)에는 타공판(310)의 타공(313)과 동일한 궤적을 그리는 손잡이부(321)가 구비된다. 손잡이부(321)는 일단이 탄성지지되어 조절판(320)이 타공판(310)과 결합되면 타공판(310)의 타공(313)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손잡이부(321)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일단이 타공판(310)의 타공(313)에 선택적으로 돌출됨으로써 거치몸체(330)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자유롭게 한다. 조절판(320)의 중심에는 제2축공(323)이 형성된다. The control plate 320 is formed in the same disk shape as the perforated plate 310. The control plate 320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321 drawing the same trajectory as the perforation 313 of the perforated plate 310. When the handle part 321 is elastically supported at one end and the control plate 320 is coupled to the perforated plate 310, the handle part 321 is configured to protrude into the perforated 313 of the perforated plate 310. That is, the handle portion 321 is selectively projected to the perforations 313 of the perforated plate 310 by the operator's operation to limit or freely rotate the mounting body 330. A second shaft hole 32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trol plate 320.

여기서 제1 및 제2축공(311,323)은 타공판(310)에 조절판(320), 거치몸체(33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을 이동바이스(190)의 지지판(191)에 결합하는 회전축(331)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회전축(331)은 타공판(310)에 대한 조절판(320)과 거치몸체(330)의 회동중심이 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shaft holes (311, 323) is a rotary shaft 331 for coupling them to the support plate 191 of the mobile vise 190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rol plate 320, the mounting body 330 is sequentially coupled to the perforated plate 310 ) Is installed. And the rotating shaft 331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ntrol plate 320 and the mounting body 330 for the perforated plate 310.

거치몸체(330)에는 회전축(331)이 결합되도록 타공판(310) 및 조절판(320)의 제1 및 제2축공(311,323)과 그 중심이 일치되는 회전축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길이조절 가능한 거치몸체(330)의 구조는 전술한 거치몸체(220a,220b)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ounting body 33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hole (not shown) in which the center and the first and second shaft holes 311 and 323 of the punching plate 310 and the adjusting plate 320 are align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331 is coupled thereto.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length-adjustable mounting body 330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bodies 220a and 220b described abov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사다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lding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사다리를 절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하는 것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ladder in various shapes by folding the lad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다리(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각의 몸체가 최대한 인접되도록 한다. 즉, 제1 내지 제4몸체(110,120,130,140)를 연결하는 브라켓(150)에 구비된 각도조절부(15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각각의 몸체가 중첩되도록 한 후 각도조절부(151)를 다시 잠금상태로 조절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좁은 공간에도 사다리(100)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9, when not using the ladder 100, the bodi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ladder 100. That is, by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angle adjuster 151 provided in the bracket 150 connecting the first to fourth bodies 110, 120, 130, and 140 so that the bodies overlap each other, the angle adjuster 151 is again locked. Adjust to the state. Therefore, the worker can more efficiently store the ladder 100 even in a narrow space.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100)를 'A'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브라켓(150)에 구비된 각도조절부(15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각각의 몸체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즉,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를 연결하는 브라켓(150)을 중심으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그리고 제3몸체(130)와 제4몸체(14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때,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 제2몸체(120) 및 제3몸체(130) 그리고 제3몸체(130) 및 제4몸체(140)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A'형상이 완성되면 각각의 브라켓(150)에 구비된 각도조절부(151)를 잠금상태로 하면 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1, in the case of using the ladder 100 in the 'A' type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angle adjustment unit 151 provided in each bracket 150 and each body is predetermined Rotate at an angle of. That is,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he third body 130 and the fourth body (centering around the bracket 150 connecting the second body 120 and the third body 130) 140) is level. At this tim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body 120 and the third body 130 and the third body 130 and the fourth body 140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do. When the 'A' shap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adjusting unit 151 provided in each bracket 150 may be lock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마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몸체 내지 제4몸체(110,120,130,140)를 연결하는 각도조절부(15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도 1의 상태에서 각각의 몸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조절한 후 각도조절부(151)를 잠금상태로 하면 된다. 이때, 제2 및 제3몸체(120,130)는 작업디딤판(160)이 그 상부에 올려지도록 수평인 상태로 만든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다 편리하게 사다리(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0, in the case of using the right horse shape, the locking state of the angle adjusting unit 151 connecting the first to fourth bodies 110, 120, 130, and 140 is released, and the respective bodies are reversed in the state of FIG. 1. After the angle is adjusted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the angle adjusting unit 151 may be locked. At this time,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are made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working stepboard 160 is placed on top thereof. Therefore, the worker can use the ladder 100 more conveniently.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짐을 싣는 카트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몸체 내지 제3몸체(110,120,130)만 절첩시켜 고정하고 제4몸체(140)를 제1 내지 제3몸체(110,120,130)에 대해 수직으로 세우면 된다. 그리고 지면과 접하는 제1몸 체(110)의 지지대(100a)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이동수단(170)을 부착함으로써 무거운 짐의 이동도 용이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11, when used as a cart-carrying baggage, only the first body to the third body (110, 120, 130) by folding and fixing the fourth body 140 with respect to the first to third body (110, 120, 130) It is upright. In addition, by attaching the moving means 170 to the support 100a of the first body 110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using a bolt or the like, the movement of heavy loads is also facilita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공구거치대를 사다리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Nex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tool holder on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공구거치대(180)를 사다리(10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판(191)과 고정판(193) 사이에 사다리(100)의 지지대(100a)가 삽입되도록 이동바이스(19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조임쇠(194)를 회전시켜 지지대(100a)가 지지판(191)과 고정판 (193)사이에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동바이스(190)가 지지대(100a)에 설치되면 실질적으로 잠금수단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안내롤러(195)의 외주면과 지지대(100a)의 외면이 서로 밀착되어 공구거치대(180)를 포함한 이동바이스(190)가 사다리(100)에 고정 설치된다. In order to install the tool holder 180 on the ladder 100, first, the movable vise 190 is positioned so that the support 100a of the ladder 100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91 and the fixed plate 193. Then, the fastener 194 is rotated so that the support 100a is tightly fix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91 and the fixing plate 193. As such, when the moving vise 19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100a,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ller 195 substantially limited in rotation by the locking mean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00a ar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to include the tool holder 180. The mobile vise 190 is fixed to the ladder 10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공구거치대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Next, a process of using a tool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공구거치대(180)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바이스(190)를 지지대(1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스토퍼레버(199)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동바이스(190)를 원하는 위치를 이동시키면 된다. 이때, 스토퍼레버(199)의 가압은 탄성부재(198)를 압축시켜 고정기어(197)와 종동기어(196)의 맞물린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100a)의 외면과 접촉된 안내롤러(195)의 회전이 자유로워지고 지지대(100a)에서 이동바이스(19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바이스(190)의 이동 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스토퍼레버(199)를 가압한 힘을 제거하면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간단하게 공구거치대(18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move the tool holder 180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operator, the movable vise 190 may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00a. To this end, the worker presses the stopper lever 199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moves the movement vise 190 to a desired position. At this time, the pressing of the stopper lever 199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198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fixed gear 197 and the driven gear 196.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guide roller 195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00a) is free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vise 190 in the support (100a) is free. In this way, when the movement of the moving vise 190 is completed, the worker may remove the force pressurizing the stopper lever 199. Therefore, the operator can simply move the tool holder 180 to a desired position.

그리고 공구거치대(18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회동힌지어셈블리(200)의 조작레버(235)를 누른 상태에서 거치몸체(220a,220b)를 원하는 위치로 잡아당겨서 작업자의 위치 등에 따라서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킨 후 조작레버(235)를 누른 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And when adjusting the angle of the tool holder 180, while holding the operation lever 235 of the rotating hinge assembly 200, pull the mounting body (220a, 220b) to a desired position 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etc. After rotating, press the operation lever 235 to release the state.

이때, 조작레버(235)를 누르면 조작레버(235)의 일단부의 톱니부분이 회전되면서 기어축(228)을 밀어올리므로 제1기어(213)와 제2기어(225)의 맞물린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거치몸체(220a,220b)의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lever 235 is pressed, the gear shaft 228 is pushed up as the teeth of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235 are rotated, so that the engaged state of the first gear 213 and the second gear 225 is released. .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mounting body (220a, 220b) can be freely adjusted to the desired angle.

그리고, 거치몸체(220a,220b)를 회동시켜 공구거치대(18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면 조작레버(235)를 누른 힘을 제거하면 된다. 그러면 기어축(228)과 제2기어(225)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98)가 제2기어(225)에 탄성력을 제공함에 의해 제1기어(213)와 제2기어(225)의 맞물린 상태가 다시 유지된다. 따라서 공구거치대(180)의 각도조절된 상태가 고정되고, 작업자는 작업공구와 같은 각종 작업용구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n, by rotating the mounting body (220a, 220b) to position the tool holder 180 in the desired position, it is enough to remove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ing lever (235). Then, the elastic member 198 connecting between the gear shaft 228 and the second gear 225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213 and the second gear 225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gear 225. The state is maintained again. Therefore, the angle-adjusted state of the tool holder 180 is fixed, and the worker can use various work tools such as work tools more conveniently.

또한, 공구거치대(180)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제1거치몸체(220a)와 제2거치몸체(220b)를 고정한 조임구(233)를 풀어 공구거치대(180)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조절공(231)에 조임구(233)를 다시 조여 제1거치몸체(220a)와 제2거치몸체(220b)를 고정하면 된다. In addition,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ool holder 180, after adjusting the tool holder 180 to the desired height by loosening the fastener 233 fixed to the first holder body 220a and the second holder body 220b. Retighten the fastener 233 to the ball 231 is to fix the first holding body (220a) and the second holding body (220b).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공구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Finally,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tool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구거치대(18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절판(320)의 손잡이부(321)를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작업자의 위치 등에 따라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즉, 손잡이부(321)를 타공판(310)의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손잡이부(321)의 단부가 타공과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조절판(32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In ord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tool holder 1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ull the handle 321 of the adjustment plate 320 to the front to rotate the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That is, the handle 321 is pulled toward the front of the perforated plate 310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handle 321 is engaged with the perforated to release the rotating state of the control plate 320.

이때, 거치몸체(330)는 조절판(3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이 하여 거치몸체(330)의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손잡이부(321)를 잡아당겼던 힘을 제거하면 된다. 그러면 손잡이부(321)의 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타공(313) 내부로 다시 돌출되고 공구거치대(18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거치몸체(330)의 각도조절 상태가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공구거치대(18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ounting body 330 is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plate (320). In this way, when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unting body 330 is completed, it is enough to remove the force that pulled the handle 321. Then, the end of the handle portion 321 is projected back into the perforation 313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mounting body 33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tool holder 180 is fixed. Therefore, the operator can use the tool holder 180 more convenientl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사다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lad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우마 사다리를 보인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se lad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사다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lding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업디딤판이 절첩식 사다리에 설치된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a and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working step plate installed on the folding lad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동바이스를 보인 사시도 및 내부구성도.5a and 5b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a mobile vi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회동힌지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및 내부구성도. 6a and 6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a rotating hinge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회동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tating hinge assembly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의한 타공판과 조절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adjustment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절첩식 사다리의 다양한 응용예를 보인 사시도. 9 to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ety of applications of the folding ladd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절첩식 사다리 110,120,130,140:제1, 제2, 제3, 제4몸체100: folding ladder 110, 120, 130, 140: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body

100a:지지대 100b:디딤대100a: support 100b: step

150:브라켓 151:각도조절부150: bracket 151: angle adjustment unit

160:작업디딤판 161:고정바이스160: work step 161: fixed vise

163:지지판 164:조임공163: support plate 164: tightening hole

165:고정판 166:조임쇠165: fixed plate 166 fasteners

167:걸이후크 167a:고정부167: Hook hook 167a: fixed

167b:걸이부 170:이동수단167b: hanger 170: movement means

171:받침대 180:공구거치대171: stand 180: tool holder

190:이동바이스 191:지지판190: Mobile vise 191: Support plate

192:조임공 193:고정판192: fastener 193: fixed plate

194:조임쇠 195:안내롤러194: Fastener 195: Guide roller

196:종동기어 197:고정기어196: driven gear 197: fixed gear

198:탄성부재 199:스토퍼레버198: elastic member 199: stopper lever

199a:통공 200:회동힌지어셈블리199a: through-air 200: rotating hinge assembly

210:고정브라켓 211:회전축210: fixed bracket 211: rotating shaft

213:제1기어 220a,220b:제1 및 제2거치몸체 213: first gear 220a, 220b: first and second mounting bodies

221:간섭방지홈 223:회전홈 221: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223: rotation groove

225:제2기어 227:탄성부재225: second gear 227: elastic member

228:기어축 229:프레임228: gear axis 229: frame

231:조절공 233:조임구231: adjuster 233: tightening hole

235:조작레버 235a:조작공235: operating lever 235a: operator

300:회동힌지어셈블리 310:타공판300: rotating hinge assembly 310: punching plate

311:제1축공 313:타공311: First shaft ball 313: Punching

320:조절판 321:손잡이부320: control panel 321: handle

323:제2축공 330:거치몸체323: second shaft 330: the body

331:회전축331: rotary shaft

Claims (13)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한쌍의 지지대에 각각 양끝단이 연결되는 디딤대로 구성되는 제1 내지 제4몸체;와 A pair of support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first to fourth bodies arranged horizontally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supports and configured as a stepping device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s; and 상기 제1 내지 제4몸체의 지지대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고,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며 스토퍼기능을 가진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And a bracket provid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supports of the first to fourth bodies and connected by a hinge shaft and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er having a stopper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작업공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공구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공구거치대는 상기 지지대의 외면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이스와, 상기 이동바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힌지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One side of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tool holder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a work tool, the tool holder is a mobile vise movab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rota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vise rotatably Folding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support by a hinge assembly.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동바이스는 The mobile vise 상기 지지대의 일측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지지판과;A support plate formed to surround on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상기 지지판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면에는 지지판에 형성된 조임공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조임쇠가 구비되는 고정판과; A fixing plate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the supporting plates, the outer surface of which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projecting outward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upporting plate; 상기 이동바이스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And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movable vise from being arbitrarily moved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support.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잠금수단은 The locking means 상기 지지판의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면과 접촉되는 안내롤러와;A guide roller installed to protrude into the support plate and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상기 안내롤러와 동축으로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A driven gear installed coaxially with the guide roller; 상기 종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고정기어와; A fixed gear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상기 고정기어에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xed ge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iven gear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스토퍼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And a stopper lev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to control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회동힌지어셈블리는 The rotating hinge assembly 상기 이동바이스의 외면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A fixed bracket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obile vise and having a rotating shaft;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홈이 형성되는 거치몸체와; A mounting body having a rotating groove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상기 고정브라켓에 거치몸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Fold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mounting body fixed to the fixed bracket in a fixed stat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잠금수단은 The locking means 상기 고정브라켓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기어와; A first gea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fixing bracket; 상기 거치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1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기어와; A second gear provided in the mounting body a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gear; 상기 제2기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에 제1기어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gear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ge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ear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면에 톱니형상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기어축과; A gear shaf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and provided with a sawtooth stopper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상기 기어축의 스토퍼에 단부가 맞물려 상기 기어축을 선택적으로 밀어올리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And an operation lever for engaging the end of the gear shaft with the stopper to selectively push up the gear shaft.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회동힌지어셈블리는 The rotating hinge assembly 상기 이동바이스의 외면에 고정되고, 중심에는 제1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축공을 기준으로 한 동일한 궤적상에는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타공판과;A perforated plate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obile vise, having a first shaft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on the same trajectory based on the first shaft hole; 상기 타공판에 결합되고, 중심에는 제2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타공과 동일한 궤적상에는 탄성지지되어 일단이 타공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조절판과; A control plate coupled to the perforated plate, having a second shaft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having a handle portion elastically supported on one of the same trajectories and having one end protruding into the perforated hole; 상기 조절판에 중심이 일치되게 결합되어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거치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A collapsible ladder, comprising: a mounting bod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control panel so that the center is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control panel.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7, 상기 거치몸체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거치몸체와, 상기 제1거치몸체의 내부에 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거치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The mounting body is a folding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rst moun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fixing bracket, and a second mounting body provided to be retractable inside the first mounting bod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내지 제4몸체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제2 및 제3몸체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몸체의 지지대 사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작업디딤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One side of the first to the fourth body is a folding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ing platform is selectively placed between the support of the second and third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body horizontally .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작업디딤판은 일단이 상기 디딤대에 설치되는 고정바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디딤대에 고정된 일단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The work stepboard is a folding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fixed vise is installed on the stepping table,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fixed to the stepping table.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고정바이스는 The fixed vise 상기 디딤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지지판과;A support plate form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stepping table; 상기 지지판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면에는 지지판에 형성된 조임공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조임쇠가 구비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And a fixing plate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the supporting plates, the fixing plate having an external fastening projecting to the outside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upporting plate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작업디딤판의 양 단부에는 상기 작업디딤판의 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일단부가 디딤대에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Both ends of the working step plate is a folding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hook is provided on one end to the step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working step plate.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내지 제4몸체의 어느 일측에는 착탈가능한 이동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 Any one side of the first to fourth body folding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moving means is provided.
KR1020080020880A 2008-03-06 2008-03-06 Folding ladder KR1009775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880A KR100977512B1 (en) 2008-03-06 2008-03-06 Folding lad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880A KR100977512B1 (en) 2008-03-06 2008-03-06 Folding lad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752A true KR20090095752A (en) 2009-09-10
KR100977512B1 KR100977512B1 (en) 2010-08-23

Family

ID=4129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880A KR100977512B1 (en) 2008-03-06 2008-03-06 Folding lad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51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4792A (en) * 2014-12-03 2015-05-06 广西大学 Foldable mobile ladder
CN116154657A (en) * 2022-12-06 2023-05-23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文昌供电局 Debugging platform for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equipment
CN116291171A (en) * 2023-03-30 2023-06-23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Multifunctional ascending device convenient to install and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068B1 (en) 2020-10-26 2022-11-30 주식회사 유엔지 테크놀러지 a lift for a lad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2177A (en) * 1994-09-12 1996-03-26 Meiwa:Kk Device for hooking tool for stepladder, and stepladder
KR200324309Y1 (en) * 2003-05-17 2003-08-25 신희환 A multipurpose ladd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4792A (en) * 2014-12-03 2015-05-06 广西大学 Foldable mobile ladder
CN116154657A (en) * 2022-12-06 2023-05-23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文昌供电局 Debugging platform for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equipment
CN116154657B (en) * 2022-12-06 2024-04-19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文昌供电局 Debugging platform for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equipment
CN116291171A (en) * 2023-03-30 2023-06-23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Multifunctional ascending device convenient to install an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512B1 (en)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5980B2 (en) Storage device mounting system
US6364141B1 (en) Fast track shelving system
CN201002252Y (en) Tool supporting device
US7874451B2 (en) Container assembly for use on planar surfaces of varying slopes
US6347731B1 (en) Easily removable pickup truck bed rack
US6948591B2 (en) Support apparatus or accessory for a ladder
US9358564B2 (en) Painting stand for vehicle body panels
KR100977512B1 (en) Folding ladder
US20110042333A1 (en) Tool holder
US6729485B2 (en) Storage device mounting system
US20070289812A1 (en) Systems for stabilizing ladders
EP3233387A1 (en) Workbench and articles associates therewith
US6632055B2 (en) Payload holder
EP3209465A1 (en) Sawhorse
US20050230188A1 (en) Saw horse with adjustable height and length top rail
US7090187B2 (en) Adjustable display base
US6234442B1 (en) Collapsible easel with a panel standable on an uneven ground
US7878129B2 (en) Swing-out workbench extension apparatus
AU2011265552B2 (en) Mobile gantry crane
CN201097828Y (en) Triangle supports
JP3491203B2 (en) Worktable combined container
US201500898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ging sheeting material
EP1601565B1 (en) Lifting device provided with a track roller
US20230413995A1 (en) Freestanding ladder storage rack
JP3182780U (en) Shelf board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