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617A -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617A
KR20090094617A KR1020080019678A KR20080019678A KR20090094617A KR 20090094617 A KR20090094617 A KR 20090094617A KR 1020080019678 A KR1020080019678 A KR 1020080019678A KR 20080019678 A KR20080019678 A KR 20080019678A KR 20090094617 A KR20090094617 A KR 2009009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llow
livestock
poultry
gardeni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정
Original Assignee
김충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정 filed Critical 김충정
Priority to KR102008001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4617A/ko
Publication of KR2009009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를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Antibiotic, anti-inflammatory and immunologically enhanc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항생제 및 면역기능증강제가 아닌 천연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축산 과정에서 동물의 세균성 감염증과 염증성 질환으로 인해 가축 및 가금류의 폐사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러한 세균성 감염증과 염증성 질환으로 야기되는 폐사율을 낮추기 위해 가축 또는 가금류를 사육 시 거의 대부분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한다. 이러한 항생물질의 기능은 크게 나누어 성장 촉진, 질병의 예방, 사료 이용율의 개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축 사육 과정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된 항생물질은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 육류를 통한 인간의 항생제의 섭취, 및 환경 오염 등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가축의 주요 전염성 질환인 광우병, 조류독감, 구제역, 살모넬라증, 및 콕시듐 질환 등은 집단사육 및 밀집사육 등과 관련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 며, 항생물질을 사료에 첨가제로서 사용하면 상기 질환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성장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하여, 축산업계에서는 가축의 성장 촉진 및 질병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여 왔으며, 항생제가 남용되고 오용되는 등이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동물에 축적된 항생제는 육류를 통해 인간이 항생제를 섭취하게 되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고가의 항생제로 인해 축산 농가에 경제적인 부담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축산물의 안전성, 축산의 경제성, 및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종래의 축산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축산방법의 하나로 천연 항균 물질을 사용하는 유기 축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시대적 요청이다.
유기 축산은 기존 축산보다 우수한 품질의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우수한 천연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개발하는 것은 생산성의 증가를 크게 촉진시킨다. 천연 항균 물질로는 생약 추출물, 생균제, 효소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천연 항균 물질의 항생제 대체 효과의 수준이 중요하다. 천연 물질 자체의 항균성은 종래의 유기 화합물의 항균력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 항균 물질의 실용화를 위해서 저렴한 천연 항균 물질을 개발하고, 항균성이 상승적으로 증가되는 복합적인 천연 항생 물질의 조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축 및 가금의 세균성 감염증과 염증성 질환은 항균 물질에 의해서 예방 또 는 치료할 수 있으나, 그러한 항균 물질을 면역 증강 물질과 함께 사용한다면 세균성 감염증과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다.
비정상적으로 흐트러진 면역체계를 바로 잡아 회복시키고 손상된 면역기능을 부활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면역기능증강제가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면역기능증강제로는 면역글로불린, 인터페론 등이 있다. 그러나, 사람이 아닌 가축을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경제성 및 안전성을 이유로 값비싼 면역기능증강제의 사용은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축산에서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은 가축 또는 가금류의 질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것이다. 동물의 면역계를 최적화하면 면역반응은 급격하게 일어나지 않으면서 세균의 감염과 이물질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방어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축산 분야에서는 면역기능을 항샹시키기 위해 값비싼 면역기능증강제의 사용을 기피하고 있어, 면역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천연물질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유기 축산 분야에서는 천연물 면역기능증강제의 개발이 더욱 중요하다. 면역기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연구 중에 있는 천연물질은 매우 다양하다. 인삼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유카 추출물, 프로폴리스, 과당류, 초유 등이 면역기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고가이면서도 면역 증강 효과가 약하거나 제한적이어서 문제가 된다.
종래에 항균 작용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천연 생약으로는 황련, 황백,황금, 치자 등이 있다.
황련(Coptidis Rhizoma)은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의 뿌리를 거의 게거한 뿌리줄기이다. 황련은 주된 활성성분으로서 베르베린을 7-9% 함유하고 있고, 소량의 콥티신(coptisine), 우르베닌(urbenine), 코레닌(qorenine), 팔미틴(palmit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황련에 함유된 베르베린은 미생물의 탄수화물 대사를 억제하고,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고 핵산과 착염을 형성하여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베르베린은 콜레라 치료에 클로람페니콜의 대체약물로 사용될 수 있다. 황련은 또한, 항바이러스 작용과 항원충 작용이 있고 마크로파지를 활성화시켜서 면역작용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Inc., p 287, 1993).
황백(Phellodendri Cortex)은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이 주피를 벗긴 줄기껍질이다. 황백은 여러 종류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베르베린을 주성분으로 하여 팔마틴(palmatine), 펠로덴드린(phellodendrine) 등과 함께 0.6 내지 2.5%의 함량으로 함유한다. 황백은 황련처럼 항균효과가 있으며, 황색 포도상 구균, 적리균, 콜레라균, 임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황백은 백혈구의 식균작용을 촉진시키며, 혈관을 확장해서 관상 혈류를 증사기키고 혈압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있다(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Inc., p 289, 1993).
황금(Scutellariae Radix)은 속썩은풀(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주피를 벗긴 뿌리이다. 황금의 주성분으로는 바이칼레인(baicalein), 바이칼 린(baicalin), 보고민(wogomin), B-시토스테롤 등이 있다. 황금은 포도상 구균, 콜레라, 타이포이드, 파라장티푸스, 이질, 디프테리아, 용혈성 포도상 구균, 대장균, 폐렴 구균, 나선상 세균 등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다. 황금의 주성분인 바이칼린은 급성 편도선염, 인두염 등과 같은 상기도 감염, 성홍열, 바이러스성 간염, 신장염, 골반염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Inc., p 290, 1993).
치자(Gardeniae Fructus)는 치자나무(Gardenia jasmoides Ellis) 또는 그 밖의 동속 식물의 열매이다. 치자는 간해독 작용, 담즙분비촉진작용, 위액분비, 위장운동 촉진작용, 중추신경진정작용, 및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쌍구균 수막염균(Diplococcus meningitids), 나이세리아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Zhu, You-Ping, Chinese Materia Medica, Harwood Academic Publisher, p 117, 1988).
한편, 황기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주피를 벗긴 뿌리이다. 황기는 생리활성 성분으로서 사포닌, 플라본, 및 다당류를 포함하고 있다. 다당류로는 베타-글루칸 물질인 아스트라갈란 Ⅰ, Ⅱ, 및 Ⅲ가 있다. 이러한 황기는 베타-글루칸 물질의 존재로 인해 면역 증진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Zhu, You-Ping, Chinese Materia Medica, Harwood Academic Publisher, p 560, 1988). 그러나, 이러한 황기를 축산 분야에 이용한 예는 전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축 및 가금류의 세균성 감염증 또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천연 항생물질 및 천연 면역 증강용 물질의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용화를 위해 저렴하면서도 충분한 항균, 항염, 및 및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복합적인 천연 물질의 조합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물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를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항균 작용이 공지되어 있는 황련, 황금, 황백, 및 치자를 조합하면 가축 및 가금류의 세균성 감염증 또는 염증성 질환 치료에 있어서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보다 상승적인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것과 함께, 종래에 인간에 대한 면역 증강 작용이 이미 공지되어 있으나 축산 분야에서는 면역 증강제로서 사용된 예가 없는 황기를 가축 및 가금류의 면역 증강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 는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황련을 15 내지 20 중량%, 황금을 15 내지 20 중량%, 황백을 15 내지 20 중량%, 치자를 20 내지 25 중량%, 그리고 황기를 20 내지 25 중량%의 비율로 포함할 때,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의 측면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황련 15 내지 20 중량%, 황금 15 내지 20 중량%, 황백 15 내지 20 중량%, 치자 20 내지 25 중량%, 및 황기 20 내지 25 중량%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각각의 구성성분인 황련, 황금, 황백, 치자,및 황기는 생약 자체의 건조 분쇄물로서 포함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법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상의 추출법에 의해 얻어지는 황련, 황금, 황백, 및 치자의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그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일 수 있다. 추출 시에는 초음파를 가하거나 가열함으로써 추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분 중 황기는 황기의 면역 증강 활성 성분인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황기 추출물은 베타-글루칸을 추출하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황기 추출물은 황기을 물,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타-글루칸을 포함 하는 황기 추출물은
황기를 열수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여액에 알코올을 가해 다당류를 침전시키는 단계;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득한 다음,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다시 알코올을 가하고 감압 건조하여 석출되는 다당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Ni, Y, 1998, Study of optimized water boiling process of Astragalus polysaccharide, Chin. J. Chinese Materia Medica 23:12-15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황기의 추출방법에서 열수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2 회 이상 반복하여 여액을 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액의 감압 농축은 원래의 여액의 부피의 약 절반 정도로 농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농축된 여액에 약 95%의 에탄올을 가해 다당류를 침전시킬 수 잇다. 이러한 침전물은 동결건조에 의한 분말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를 포함하는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가축 및 가금류에게 투여하기 위한 것이므로 투여의 편리함을 위해 산제, 액제(예: 전제, 엑스제), 과립제, 또는 정제의 형태로 제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의 추출물 또는 분쇄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선택하여 첨가함으로써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제로 제조할 경우에는, 솔베이트 칼륨, 메틸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프로필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같은 보존제, 아스코르빈산 같은 항산화제 및 페퍼민트 오일 같은 방향 강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 및 보조제의 추가적인 예는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Dr. H.P. Fiedler "Lexikon der Hilfsstoffe fur Pharmazie, Kosmetik und angrenzende Gebiete" [Encyclopaedia of auxiliaries for pharmacy, cosmetics and related fields].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 효과를 얻기 위해,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의 조합을 건조 생약을 기준으로 가축 또는 가금류에게 1 일 250 내지 15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이러한 투여량은 항균, 항염, 및 면 역 증강 작용에 의해 치료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세균성 감염증 또는 염증성 질환의 종류, 치료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동물의 종류, 세균성 감염증 또는 염증성 질환의 진행 정도, 동물의 나이, 동물의 체중 등에 따라 당해 분야의 전문가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이 이용될 수 있는 가축류는 대표적으로 소, 돼지, 또는 염소를 포함하며, 가금류는 닭, 오리, 또는 칠면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를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임의의 가축 및 가금류의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세균 감염성 패혈증, 전신성 고열 및 염증, 콕시듐증을 포함한 장염, 설사, 폐렴, 및 호흡기 감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 효과로 인해 가축 및 가금류의 세균성 감염증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와 더불어 가축 및 가금류의 성장 촉진에 효과가 있다. 이러한 성장 촉진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세균성 감염증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로 인해 얻어지는 부차적인 효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를 포함하는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직접 가축 또는 가금류에게 투여할 수도 있으나, 사료 첨 가제로서 사료에 첨가하여 간접적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1)
건조된 황련 45 g, 황금 45 g, 황백 45 g, 치자 60 g, 및 황기 60 g을 분쇄기(Hammer Mill, 성창)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20 호 채를 통하여 통과시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 : 황련의 에탄올 추출물
건조된 황련 45 g에 적당량의 70% 에탄올를 가하고 15 분씩 3 회 초음파 추출한 후 이를 각각 합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약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2 : 황금의 에탄올 추출물
건조된 황금 45 g에 적당량의 70% 에탄올를 가하고 15 분씩 3 회 초음파 추출한 후 이를 각각 합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3 : 황백의 에탄올 추출물
건조된 황백 45 g에 적당량의 70% 에탄올를 가하고 15 분씩 3 회 초음파 추출한 후 이를 각각 합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4 : 치자의 에탄올 추출물
건조된 치자 45 g에 적당량의 70% 에탄올를 가하고 15 분씩 3 회 초음파 추출한 후 이를 각각 합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약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5: 황백의 베타- 글루칸 함유 추출물
황기 60 g에 증류수 1.2 L를 가하고 90 분 동안 가열해서 끓인 다음 여과하였다. 잔사에 다시 증류수 0.8 L를 가한 다음, 60 분간 가열해서 끓이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합한 다음, 감압농축기에서 1 L로 농축하고, 농축액에 95%의 에탄올을 가해서 다당류를 침전시켰다. 그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득한 다음,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다시 95%의 에탄올을 가하고 감압 건조시켜 석출되는 다당류를 얻었다. 그 다당류를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2)
비교예 1, 2, 3, 4, 및 5에서 제조된 각각의 동결 건조 분말을 모두 혼합기에서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제제 실시예
1. 전제
황련 45 g, 황금 45 g, 황백 45 g, 치자 60 g, 및 황기 60 g을 중절 또는 세절하여 전침제기에 넣고 정제수 1 L를 가한 다음 여러 번 저으면서 30 분간 가열하였다. 가열된 생약의 조합물을 무명으로 여과하고 적량의 정제수를 가해 전체량을 2 L로 하였다.
2. 엑스제
황련 45 g, 황금 45 g, 황백 45 g, 치자 60 g, 및 황기 60 g의 조합을 조말로 한 다음, 물을 가하고 퍼콜레이숀법으로 침출하였다. 침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균질한 가루로 제조하였다.
3. 과립제
상기 제조된 엑스제에 물을 부가하고 균질하게 혼합한 후, 10 메쉬 정도의 체에 통과시켜 과립을 제조하였다. 제제된 과립은 열풍 건조기에서 50℃의 온도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를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종래에 항균 작용이 공지되어 있던 생약을 조합함으로써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저한 상승적인 항균,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황기를 더욱 포함하게 되어 황기에 의한 면역증강 효과로 인해, 유기 축산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가축 및 가금류의 다양한 세균성 감염증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종래 사용되어 오던 항생제를 천연 물질로 대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항생제로 오염되지 않은 고품질의 축산물과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항생제의 남용으로 우려되었던 가축 병원균과 인체 병원균간의 교차 내성의 위험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축산 과정에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 물은 종래의 값비싼 항생제나 면역 증강제 대신 저렴한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 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유기 축산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1)
건조된 황련 45 g, 황금 45 g, 황백 45 g, 치자 60 g, 및 황기 60 g을 분쇄기(Hammer Mill, 성창)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20 호 채를 통하여 통과시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 : 황련의 에탄올 추출물
건조된 황련 45 g에 적당량의 70% 에탄올를 가하고 15 분씩 3 회 초음파 추출한 후 이를 각각 합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약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2 : 황금의 에탄올 추출물
건조된 황금 45 g에 적당량의 70% 에탄올를 가하고 15 분씩 3 회 초음파 추출한 후 이를 각각 합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3 : 황백의 에탄올 추출물
건조된 황백 45 g에 적당량의 70% 에탄올를 가하고 15 분씩 3 회 초음파 추출한 후 이를 각각 합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4 : 치자의 에탄올 추출물
건조된 치자 45 g에 적당량의 70% 에탄올를 가하고 15 분씩 3 회 초음파 추출한 후 이를 각각 합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약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5: 황백의 베타- 글루칸 함유 추출물
황기 60 g에 증류수 1.2 L를 가하고 90 분 동안 가열해서 끓인 다음 여과하였다. 잔사에 다시 증류수 0.8 L를 가한 다음, 60 분간 가열해서 끓이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합한 다음, 감압농축기에서 1 L로 농축하고, 농축액에 95%의 에탄올을 가해서 다당류를 침전시켰다. 그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득한 다음,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다시 95%의 에탄올을 가하고 감압 건조시켜 석출되는 다당류를 얻었다. 그 다당류를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2)
비교예 1, 2, 3, 4, 및 5에서 제조된 각각의 동결 건조 분말을 모두 혼합기에서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제제 실시예
1. 전제
황련 45 g, 황금 45 g, 황백 45 g, 치자 60 g, 및 황기 60 g을 중절 또는 세 절하여 전침제기에 넣고 정제수 1 L를 가한 다음 여러 번 저으면서 30 분간 가열하였다. 가열된 생약의 조합물을 무명으로 여과하고 적량의 정제수를 가해 전체량을 2 L로 하였다.
2. 엑스제
황련 45 g, 황금 45 g, 황백 45 g, 치자 60 g, 및 황기 60 g의 조합을 조말로 한 다음, 물을 가하고 퍼콜레이숀법으로 침출하였다. 침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균질한 가루로 제조하였다.
3. 과립제
상기 제조된 엑스제에 물을 부가하고 균질하게 혼합한 후, 10 메쉬 정도의 체에 통과시켜 과립을 제조하였다. 제제된 과립은 열풍 건조기에서 50℃의 온도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Claims (12)

  1.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를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은 15 내지 20 중량%, 황금은 15 내지 20 중량%, 황백은 15 내지 20 중량%, 치자는 20 내지 25 중량%, 그리고 황기는 20 내지 25 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는 건조 생약의 분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황금, 황백, 치자, 및 황기는 물, 에탄올, 또는 그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기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황기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황기의 추출물은
    황기를 열수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여액에 알코올을 가해 다당류를 침전시키는 단계;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득한 다음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다시 알코올을 가하고 감압 건조하여 석출되는 다당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류는 소, 돼지, 또는 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또는 칠면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균 감염성 패혈증, 전신성 고열 및 염증, 콕시듐증을 포함한 장염, 설사, 폐렴, 및 호흡기 감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축 및 가금류의 성장을 촉진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제, 전제, 엑스제, 과립제, 또는 정제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축 및 가금류의 사료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80019678A 2008-03-03 2008-03-03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090094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78A KR20090094617A (ko) 2008-03-03 2008-03-03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78A KR20090094617A (ko) 2008-03-03 2008-03-03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17A true KR20090094617A (ko) 2009-09-08

Family

ID=4129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678A KR20090094617A (ko) 2008-03-03 2008-03-03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461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17B1 (ko) * 2012-08-03 2014-06-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 유래 필로바시디움 억제 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N104523900A (zh) * 2014-12-31 2015-04-22 四川农业大学 一种防治猪传染性胸膜肺炎的合剂及其制备方法
CN105288104A (zh) * 2015-10-19 2016-02-03 界首市福羊养殖专业合作社 一种治疗羊羔痢疾的中药贴及其制备方法
WO2024080407A1 (ko) * 2022-10-12 2024-04-18 주식회사 커스토젠 신규한 항균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17B1 (ko) * 2012-08-03 2014-06-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 유래 필로바시디움 억제 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US9801920B2 (en) 2012-08-03 2017-10-31 Chung-Ang Univ Industry-Academic Coop. Foundatio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Filobasidium-suppressing agent derived from natural substance
CN104523900A (zh) * 2014-12-31 2015-04-22 四川农业大学 一种防治猪传染性胸膜肺炎的合剂及其制备方法
CN105288104A (zh) * 2015-10-19 2016-02-03 界首市福羊养殖专业合作社 一种治疗羊羔痢疾的中药贴及其制备方法
WO2024080407A1 (ko) * 2022-10-12 2024-04-18 주식회사 커스토젠 신규한 항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3064B (zh) 乳仔猪用植物提取物饲料添加剂
CN104522320B (zh) 一种天然植物抗球虫饲料添加剂及其应用
KR20110125318A (ko)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효능을 갖는 조성물
CN101461863A (zh) 用于防治禽兽传染性疾病的药物组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WO2007082416A1 (fr) Compositions médicales chinoises traditionnelles pour le traitement de la grippe aviaire, procédés de préparation et d'utilisation desdites compositions
KR20130013712A (ko)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의 설사병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655881A (zh) 一种治疗禽畜痢疾的兽药
CN103006916A (zh) 一种治疗各种动物腹泻病的纯中药配方及其制备方法
CN102319297B (zh) 一种治疗畜禽和鱼类疾病的中兽药
KR20090094619A (ko) 면역증강, 또는 세균성 장염이나 콕시듐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CN103356833B (zh) 一种防治断奶仔猪营养性腹泻的复方制剂
KR20090094617A (ko) 항균, 항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090094618A (ko) 세균성 감염증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CN106173537A (zh) 一种中草药饲料添加剂组合物及其用途
CN106417999A (zh) 一种提高草鱼免疫机能的中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4383068A (zh) 一种高效抗病毒、抑菌的中兽药
CN110812389B (zh) 一种提高猪免疫力的可溶性颗粒剂及其制备方法
CN111588801B (zh) 一种预防畜禽疫病的中药分散颗粒剂及其制备方法
KR20090094616A (ko) 세균성 장염 또는 콕시듐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748628A (zh) 一种治疗仔猪腹泻的中药可溶性粉剂
CN105250727A (zh) 一种防治畜禽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758390A (zh) 防治猪腹泻的植物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800870B1 (ko) 가축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192430A (zh) 预防鸡疾病的鸡饲料添加剂
CN115487250B (zh) 一种用于防治非洲猪瘟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