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612A -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612A
KR20090094612A KR1020080019672A KR20080019672A KR20090094612A KR 20090094612 A KR20090094612 A KR 20090094612A KR 1020080019672 A KR1020080019672 A KR 1020080019672A KR 20080019672 A KR20080019672 A KR 20080019672A KR 20090094612 A KR20090094612 A KR 2009009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terminal
positioning result
resul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048B1 (ko
Inventor
조채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0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측위 수행 주기마다 수행된 측위에 의한 측위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b) 수집된 측위 결과 및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판단된 이동 여부에 따라 측위 수행 주기를 조절하여 측위 횟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계 (c) 이후 상기 조절된 측위 수행 주기를 이용하여 단계 (a), 단계 (b) 및 단계 (c)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이동 여부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 횟수를 제어함으로써, 측위 정확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불필요한 측위에 의한 단말기의 부하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측위 횟수, 단말기 기반(MS Based) 측위, 측위 수행 주기

Description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Positioning Count}
본 발명은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가 이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측위 정확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불필요한 측위에 의한 단말기의 부하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위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측위 방식에는 측위를 수행하는 주체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Network Based) 측위 방식과 단말기 기반(MS Based: Mobile Station Based) 측위 방식이 있다.
네트워크 기반 측위 방식은 측위 서버에서 해당 단말기로부터 측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의 위치 계산을 수행하고, 수행된 위치 계산 결과값을 측위 결과값으로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여 위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위 방식이다. 반면, 단말기 기반 측위 방식은 단말기가 측위 서버로부터 측위 관련 데이터를 한번 수신하여, 측위 시스템의 연동없이 자신의 위치를 직접 계산하여 위치 관 련 서비스를 제공받는 측위 방식이다.
전술한 네트워크 기반 측위 방식은 한 번의 측위가 필요한 서비스에 적합하므로 내 위치 조회, 친구 찾기 등의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 기반 측위 방식은 지속적으로 측위가 요구되는 서비스 적합하므로 네비게이션 서비스, 트래킹(Tracking) 서비스 및 존 기반(Zone Based) 서비스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단말기 기반 측위 방식을 이용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경우 측위 대상이 항상 이동중인 상태가 대부분이므로 주기적으로 측위 횟수를 따로 조절할 필요가 없으나, 트래킹(Tracking) 서비스 및 존 기반(Zone Based) 서비스 등의 서비스에서는 측위 대상이 일정시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 있거나 이동 변화가 적은 이동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환경에 맞게 측위 횟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단말기 기반 측위 방식에서는 측위 대상이 되는 단말기가 이동 중인지 고정된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고려 없이 주기적으로 반복적인 측위를 수행함으로써, 고정된 위치 또는 이동 변화량이 적은 단말기에서도 주기적으로 반복적인 측위를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측위 결과 정확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불필요한 측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단말기의 부하 및 배터리 소모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이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측위 정확도에 영향을 끼 치지 않는 불필요한 측위에 의한 단말기의 부하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측위 수행 주기마다 수행된 측위에 의한 측위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b) 수집된 측위 결과 및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판단된 이동 여부에 따라 측위 수행 주기를 조절하여 측위 횟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계 (c) 이후 상기 조절된 측위 수행 주기를 이용하여 단계 (a), 단계 (b) 및 단계 (c)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측위 수행 주기마다 수행된 측위에 의한 측위 결과 수집부; 수집된 측위 결과 및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여부 판단부; 및 판단된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측위 수행 주기를 조절하여 측위 횟수를 제어하는 측위 횟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이동 여부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 횟수를 제어함으로써, 측위 정확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불필요한 측위에 의한 단말기의 부하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위 횟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은, 측위 수행 주기마다 수행된 측위에 의한 측위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S100), S100단계에서 수집된 측위 결과 및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2) 및 S102단계에서 판단된 이동 여부에 따라 측위 수행 주기를 조절하여 측위 횟수를 제어하는 단계(S104)를 포함한다.
전술한 S104 단계 이후에는, S104 단계에서 조절된 측위 수행 주기를 이용하여 S100 단계, S102 단계 및 S104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전술한 S100 단계에서의 수행된 측위는 측위 시스템으로부터 측위 관련 정보를 수신한 이후 측위 시스템과의 연동 없이 단말기에서 직접 위치계산을 수행하는 "단말기 기반(Mobile Station Based: MS Based) 측위 방식"이다.
전술한 S100 단계에서의 수행된 측위는 기설정된 "측위 결과 수집 시간"동안 "측위 수행 주기"마다 수행되며, 측위 결과 수집 시간 이후에는 단말기의 이동 여 부를 판단한다. 단, 측위 결과 수집 시간은 측위 효율성에 비추어 설정값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측위 결과 수집 시간이 8초이고 측위 수행 주기가 8/6초이면, S100 단계에서는 8초 동안 6개의 측위 결과가 수집된다.
S102 단계는 S100 단계에서 수집된 측위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판단을 위한 정보를 구하는데, 수집된 측위 결과에서 연속하는 측위 결과의 차이값이 판단을 위한 정보가 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수집된 다수의 측위 결과로부터 2번째 측위 결과와 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2,1), 3번째 측위 결과와 2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3,2), 4번째 측위 결과와 3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4,3), 5번째 측위 결과와 4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5,4) 및 6번째 측위 결과와 5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6,5)을 포함하는 5개의 차이값을 구하는 데, 구해진 5개의 차이값이 이동 여부 판단을 위한 정보이다.
이후, 이동 여부 판단을 위한 정보인 5개의 차이값(차이값(2,1), 차이값(3,2), 차이값(4,3), 차이값(5,4), 차이값(6,5))을 이동성 판단 거리값과 각각 비교하여,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차이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차이값"은 해당 단말기에 대한 측위 결과가 얼마나 변했는지를 의미하고, "이동성 판단 거리값"은 해당 단말기에 대한 측위 결과 변화량이 이동성이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기설정된 값으로서 측위 효율성에 비추어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최종적으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이동성 판단 거리값이 이상인 차이값이 연속적으로 몇 개나 발생하느냐를 통해 판단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이동성 판단 거리값이 이상인 차이값이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소정의 개수만큼 몇 개나 발생하느냐를 통해 판단하는 방법이다.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이동 여부 판단 방법은 특정 파라미터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다.
먼저,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첫 번째 방법인 이동성 판단 거리값이 이상인 차이값이 연속적으로 몇 개나 발생하느냐를 통해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02 단계는 S100 단계에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측위 수행 주기마다 수집된 측위 결과에서 n번째 측위 결과와 n-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경우의 수가 기설정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연속해서 기설정된 발생 횟수 이상으로 발생하면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S100단계에서 수집된 측위 결과에서 n번째 측위 결과와 n-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경우의 수가 기설정된 발생 횟수 미만으로 발생하면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첫 번째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3의 (a)에서처럼 측위 결과 수집 시간이 8초이고 처음의 측위 수행 주기가 8/6초이고, 발생 횟수가 4로 기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S100 단계에서 수집된 8초 동안의 6개의 측위 결과에서, 2번째 측위 결과와 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2,1), 3번째 측위 결과와 2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3,2), 4번째 측위 결과와 3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4,3), 5번째 측위 결과와 4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5,4) 및 6번째 측위 결과와 5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6,5)을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과 각각 비교하여,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차이값이 연속해서 몇 번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고, 만약 차이값이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것이 연속해서 4(기설정된 발생 횟수)번 이상 나타나면 해당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차이값이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것이 연속해서 4(기설정된 발생 횟수)번 미만으로 나타나면 해당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두 번째 방법인 이동성 판단 거리값이 이상인 차이값이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소정의 개수만큼 몇 개나 발생하느냐를 통해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00 단계에서 수집된 측위 결과에서 n번째 측위 결과와 n-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이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경우의 수가 기설정된 발생 횟수 이상 발생하면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설정된 발생 횟수 미만으로 발생하면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첫 번째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측위 결과 수집 시간이 8초이고 측위 수행 주기가 8/6초이고, 기설정된 발생 횟수가 4로 기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S100 단계에서 수집된 8초 동안의 6개의 측위 결과에서,2번째 측위 결과와 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2,1), 3번째 측위 결과와 2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3,2), 4번째 측위 결과와 3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4,3), 5번째 측위 결과와 4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5,4) 및 6번째 측위 결과와 5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 값(6,5)을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과 각각 비교하여,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것이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몇 번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고, 만약 차이값이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것이 순서에 관계없이 4(기설정된 발생 횟수)번 이상 나타나면 해당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차이값이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것이 4(기설정된 발생 횟수)번 미만으로 나타나면 해당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한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에서의 예를 통해 두 가지 방법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5개의 차이값 중에서 3번째 측위 결과와 2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을 제외한 나머지 차이값이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이라면, 즉, 차이값(2,1), 차이값(4,3), 차이값(5,4) 및 차이값(6,5)이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이라면, 첫 번째 방법을 적용하면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고, 두 번째 방법을 적용하면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기설정된 발생 횟수는 측위 효율성에 비추어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해당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S102 단계 수행 이후, 전술한 S104 단계에서는 이동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측위 수행 주기를 늘리거나 줄여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킨다.
이렇게 측위 횟수를 조절하는 이유는, 측위 대상이 되는 단말기가 이동중이 아니라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에 의한 측위 결과가 매번 동일하므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측위를 줄여주기 위함이다. 물론, 측위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S102 단계에서의 해당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S104 단계에서 측위 횟수를 제어하는 것을 측위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첫 번째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어 측위 횟수를 감소시키는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S102 단계에서 해당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S104 단계에서는 S100 단계에서 사용한 측위 수행 주기를 소정의 시간만큼 늘림으로써,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감소시킨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S102 단계에서 해당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측위 수행 주기를 8/6초(대략 1.33초)에서 2초로 늘림으로써 8초의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6번에서 4번으로 감소시킨다. 단, 여기에서는 측위 수행 주기를 2초만큼 늘린 것을 가정하였다.
두 번째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어 측위 횟수를 증가시키는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S102 단계에서 해당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S104 단계에서는 S100 단계에서 사용한 측위 수행 주기를 초기값으로 재설정함으로써,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증가시킨다. 단, S100 단계에서 사용한 측위 수행 주기가 초기값이라면 측위 횟수는 그냥 유지가 되는 것이다.
도 3의 (a) 및 (c)를 참조하면, S102 단계에서 해당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측위 수행 주기를 8/6초(대략 1.33초)에서 측위 수행 주기의 초기값인 1초로 줄임으로써 8초의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6번에서 8 번으로 증가시킨다. 단, 여기에서 측위 수행 주기의 초기값을 1초로 가정하였다.
전술한 첫 번째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어 측위 횟수를 감소시키는 제어 방법에서, 측위 수행 주기를 소정의 시간만큼 늘릴 때에는 측위 횟수 감소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 수행 주기를 늘리는데, 예를 들어 이때 늘려진 측위 수행 주기는 S100 단계에서 이용된 측위 수행 주기에 기설정된 측위 횟수 감소 제어 정보의 제곱을 더하여 생성한다. 여기서, 측위 횟수 감소 제어 정보의 제곱이 추가로 늘려진 소정의 시간이 되는 것이다.
전술한 S104 단계에서 측위 수행 주기를 조절하여 측위 횟수를 제어한 이후 다시 S100 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만약 304 단계에서 측위 수행 주기를 늘려서 측위 횟수를 감소시킨 제어 이후라면,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S104 단계에서 늘려진 측위 수행 주기마다 측위를 수행하여 측위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이렇게 수집된 측위 결과 및 이동성 판단 거리값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해당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늘려진 측위 수행 주기를 소정의 시간만큼 다시 늘려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다시 감소시키는 단계 및 해당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늘려진 측위 수행 주기를 초기값으로 재설정하여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위 횟수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가 고정되어 있다면 측위 수행 주기를 소정의 시간만큼 늘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측위 수행에 따른 단말기의 부하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단말기가 이동중이라면 측위 수행 주기를 초기값으로 재설정하여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 횟수를 다시 증가시킴으로써 측위 수행에 따른 측위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다.
도 2는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200)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측위 수행 주기마다 수행된 측위에 대한 측위 결과 수집부(210), 측위 결과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측위 결과 및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여부 판단부(220) 및 이동 여부 판단부(220)에서 판단된 이동 여부에 따라 측위 수행 주기를 조절하여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제어하는 측위 횟수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전술한 이동 여부 판단부(220)는 측위 결과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측위 결과에서 n번째 측위 결과와 n-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경우의 수가 기설정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기설정된 발생 횟수 이상 발생하면 해당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설정된 발생 횟수 미만으로 발생하면 해당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한 측위 횟수 제어부(230)는 이동 여부 판단부(220)에 의해 단말기(200)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측위 수행 주기를 소정의 시간만큼 늘려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감소시킨다.
전술한 측위 횟수 제어부(230)는 이동 여부 판단부(220)에 의해 단말기(200) 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측위 수행 주기를 초기값으로 재설정하여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증가시킨다. 만약, 재설정 전 측위 수행 주기가 초기값이었다면 측위 횟수는 그냥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단말기 기반 측위 방식으로 위치계산을 수행시 측위 횟수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가 이동중이지 않다면 측위 수행 주기를 소정의 시간만큼 늘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측위 수행에 따른 단말기(200)의 부하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단말기(200)가 이동중이라면 측위 수행 주기를 초기값으로 재설정하여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 횟수를 다시 증가시킴으로써 측위 수행에 따른 측위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기반 측위 기술에 적용되어, 단말 기의 이동 여부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측위 횟수를 제어함으로써, 측위 정확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불필요한 측위에 의한 단말기의 부하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위 횟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위 횟수 제어를 위한 측위 수행 주기 및 측위 횟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위 횟수 제어에 의한 측위 횟수 그래프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단말기
210: 측위 결과 수집부
220: 이동 여부 판단부
230: 측위 횟수 제어부

Claims (11)

  1.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측위 수행 주기마다 수행된 측위에 의한 측위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측위 결과 및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된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측위 수행 주기를 조절하여 측위 횟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c) 이후 상기 조절된 측위 수행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 (a),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수집된 측위 결과에서 n번째 측위 결과와 n-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이 상기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경우의 수가 기설정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기설정된 발생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발생 횟수 미만으로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수집된 측위 결과에서 n번째 측위 결과와 n-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이 상기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경우의 수가 상기 기설정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연속해서 상기 기설정된 발생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발생 횟수 미만으로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측위 수행 주기를 소정의 시간만큼 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늘려진 측위 수행 주기를 초기값으로 재설정하여 상기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측위 수행 주기를 초기값으로 재설정하여 상기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상기 수행된 측위는 측위 시스템으로부터 측위 관련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측위 시스템과의 연동 없이 상기 단말기에서 위치계산을 수행하는 단말기 기반(Mobile Station Based) 측위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방법.
  8.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측위 수행 주기마다 수행된 측위에 의한 측위 결과 수집부;
    상기 수집된 측위 결과 및 기설정된 이동성 판단 거리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측위 수행 주기를 조절하여 측위 횟수를 제어하는 측위 횟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여부 판단부는,
    상기 측위 결과 수집부에서 상기 수집된 측위 결과에서 n번째 측위 결과와 n-1번째 측위 결과의 차이값이 상기 이동성 판단 거리값 이상인 경우의 수가 기설정된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기설정된 발생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발생 횟수 미만으로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횟수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측위 수행 주기를 소정의 시간만큼 늘려서 상기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횟수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측위 수행 주기를 초기값으로 재설정하여 상기 측위 결과 수집 시간 동안 수행되는 측위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횟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KR1020080019672A 2008-03-03 2008-03-03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KR10092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72A KR100928048B1 (ko) 2008-03-03 2008-03-03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72A KR100928048B1 (ko) 2008-03-03 2008-03-03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12A true KR20090094612A (ko) 2009-09-08
KR100928048B1 KR100928048B1 (ko) 2009-11-23

Family

ID=4129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672A KR100928048B1 (ko) 2008-03-03 2008-03-03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0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267B1 (ko) * 1999-10-29 2002-07-26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지피에스 모듈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지피에스 모듈 제어방법
KR100522085B1 (ko) * 2002-12-09 2005-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이동체의 위치획득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048B1 (ko) 200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1309B2 (ja) 情報を収集及び処理する方法、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サーバ
KR101990233B1 (ko)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CN104995973B (zh) 移动设备定位系统
CN107339986B (zh) 一种定位方法、装置及系统
CN102014450B (zh) 一种网络路线上的切换参数的优化方法
US930127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20763A (ko) 무선으로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714242A (zh) 一种终端设备调整gps采样频率的方法及装置
JP2007218614A (ja) 位置推定方法及び位置推定システム
CN102685762A (zh) 一种天馈参数优化方法及装置
CN105471663A (zh) 网络异常的检测方法、装置、通信网络检测装置及系统
CN105142188A (zh) 一种网络制式切换方法及电子设备
KR102174530B1 (ko) 와이파이 핑거프린트 기반 실내측위 장치 및 방법
WO201507179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ellular radio network
CN111586777B (zh) 室内环境下的网络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1871978A (zh) 一种确定干扰源位置的方法、系统和装置
KR100928048B1 (ko) 측위 횟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JP6223302B2 (ja) 携帯端末を所持したユーザの滞在判定が可能な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5595362B2 (ja) 端末位置推定システム及び端末位置推定方法
CN105580460A (zh) 确定建筑物内的移动装置的位置
JP6433059B2 (ja) 通信レコードに基づき移動端末を測位する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Li et al. A Monte Carlo box localization algorithm based on RSSI
Ji et al. Research on location intelligent detection based on RFID technology
Ni et al. Optimal mobility-aware handoff in mobile environments
US9264920B2 (en) Network manag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