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408A - 정량 공급 장치 및 상기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 - Google Patents

정량 공급 장치 및 상기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408A
KR20090094408A KR1020080019423A KR20080019423A KR20090094408A KR 20090094408 A KR20090094408 A KR 20090094408A KR 1020080019423 A KR1020080019423 A KR 1020080019423A KR 20080019423 A KR20080019423 A KR 20080019423A KR 20090094408 A KR20090094408 A KR 20090094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ischarge
packaging container
storage devic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영
Original Assignee
오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영 filed Critical 오은영
Priority to KR1020080019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4408A/ko
Publication of KR2009009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48Check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계량스푼 등을 사용하지 않고 원하는 양을 포장용기로부터 정량 투출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포장용기를 개봉 및 이에 덧씌워 장착하거나, 미리 포장용기의 구성요소의 일부분으로서 제작되어져 나온 것으로,
포장용기로부터 토출된 정량의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필요시에 외부로 토출가능하게 하는 토출장치'를 기본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분유,이유식,조제분유,캔,분말공급장치,정량공급장치,캔뚜껑,분말, 입자,포장용기

Description

정량 공급 장치 및 상기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ommited}
본 발명은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의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사용함에 있어서,
원하는 양의 내용물을 저장 용기로부터 계량 스푼이나 저울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계측하고 인출하는 과정의 번거로움을 해소 및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의 기술로는
공개번호 특1994-0018295인 분말 정량 공급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저장통의 하단에 용량조절이 가능한 분말공급장치를 부착설치하는 것에 의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양만큼의 분말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량의 분유나 커피 등의 분말을 용이하게 물에 타먹을 수 있게한 장치에 관한 것과
등록번호 20-0426780인 분유혼합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분유 저장용기 내에 보관되는 분유분말의 위생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우유분말에 존재할 수 있는 세균에 대한 살균기능을 구비함은 물론, 분유공급 토출구에서의 오염 방지를 위한 개폐도어가 분유토출구측에 구비되며, 온수공급장치를 구비하여 그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 분유혼합장치가 제공되도록 한 분유혼합장치를 비롯한 분말식의 정량공급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바를 비롯한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일단 구매한 분말식을 해당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공급장치의 저장용기에 이동 및 사용됨을 기본으로 하므로 장치가 필요 이상으로 부피가 크며,
온수공급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온수로부터 발생하는 세균 번식이 용이한 온도와 습기에 의해 분말식이 굳거나 세균에 오염되는 등의 편리함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되는 역효과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세균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멸균장치를 구비한 자동수유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자외선 멸균장치 등의 추가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으로 장치의 공급가가 수십만원을 호가하는 등 일반적으로 이용되기에는 곤란한 실정이다.
또, 액상의 물질을 적당량(정량은 아님) 편리하게 토출시켜 사용하기 위한 포장용기(샴푸, 헤어스프레이, 향수, 살충제 등)에 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포장용기에서 요구되는 개선점인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일정양 사용하고자 할 때, 계량스푼 , 저울 등을 측량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장용기에서 즉석에서 원하는 양을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새롭고 발전된 포장재의 제공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착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계량스푼 등을 사용하지 않고 원하는 양을 포장용기로부터 정량 투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포장용기로부터 토출된 정량의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필요시에 외부로 토출가능하게 하는 토출장치'를 기본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기존의 포장용기를 개봉 및 이에 덧씌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독립공정을 통해 제조되거나
또는 포장용기의 제조시에 미리 포장용기의 부분 구성요소로서 제작되도록 하는 방 법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을 통해 제조된 정량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말식의 정량 공급시에 계량스푼, 저울 등을 통해 일일이 측량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장용기로부터 즉석에서 원하는 양의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신속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와,
부가적인 장치로 인한 비위생적 요소의 발생 및 이를 저감시키기 위한 과도한 장치로 인한 가격상승요인을 삭제하여 가격부담 없이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정량공급장치의 소재의 변화를 통해 접이식 및 내장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부피가 최대한으로 축소되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아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정량공급장치를 장착한 종래 포장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A는 분말상 또는 입자상 물질의 포장용기
B는 정량공급장치(저장장치 및 토출장치)
B'는 정량공급장치의 장착을 위한 밴딩부
C는 토출된 내용물을 받는 용기를 나타낸다.
특히, 뚜껑이 제거된 포장용기(A)의 상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정량공급장치(B)를 덧씌운후, 정량공급장치(B) 부분이 그림과 같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어 놓은 상태이다. (이 때, 고정을 위해 거치대를 사용한다.)
도2 및 도3은 상기 도1의 정량공급장치(B)의 구성과 작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B-10은 1차 공급부
B-20은 2차 공급부
B-30은 저장장치의 챔버
B-31은 저장장치의 챔버 좌측부
B-32은 저장장치의 챔버 우측부
B-33은 저장장치의 챔버 고정대
B-34은 저장장치의 챔버 회전축
B-40은 토출장치의 챔버 동작부재
B-41은 토출장치의 챔버 동작 레버
B-50은 토출장치의 제1 토출구
B-60은 토출장치의 제2 토출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2 및 도3은 도1의 B를 확대한 그림으로서 그 구성요소와 작동원리를 상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나타낸 그림이다.
본 도2 및 3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 공급부(B-10)에 분말상(또는 입자상)의 물질이 내재 되어있다.
상기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 상태의 1차 토출구(B-50)를 자연 통과하여 저장장치인 정량의 챔버(B-30)의 내부로 충진되어 있는 상태이다.
1차 공급부(B-10)의 1차 토출구(B-50)와 2차 공급부(B-20)의 챔버(B-30) 사이에는 도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어떠한 차단장치도 없으며, 중력이 작용하므로 분말이 1차토출구와 챔버 간에 자연충진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챔버(B-30)는 좌우 양측 부재와 회전축의 기본 구성요소ㄹ로 하여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토출장치인 레버의 작동으로 회전축(B-34)을 중심으로 동작하게 되며,
그림과 같이, 좌측의 부재의 지름이 우측부재의 지름보다 약간 커 우측의 부재가 동작시에 좌측부재의 내측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챔버의 좌측부재(B-31)는 그림과 같이 제1공급부와 제1토출구 측면에 챔버고정대(B-33)로 부착되어 있어 충격을 가하더라도 연결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설계되어 있다.
또, 우측부재(B-32)는 회전축(B-34)을 중심으로 반회전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토출장치인 챔버동작부재(B-40)와 접하게 되는 측면에 톱니바퀴를 형성 및 챔버동작부재가 레버(B-41)Pushing동작으로 움직이게 되면 톱니가 맞물려 우측부재가 촤측상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한다. 이러한 우측부재의 회전으로 도2에서 완전개방 상태였던 제1토출구가 우측부재의 회전폭만큼의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토출구를 차단 및 제1토출구와 챔버를 완전격리하므로써 챔버 내에 더 이상의 분유 유입을 방지하며, 이와 반대로 회전된 우측부재의 폭만큼 챔버의 하단부가 동시에 개방되게 되며,
이러한 하단부의 개방으로 챔버 내에 저장되어 있던 정량의 분말은 개방구를 통해 하방으로 자유낙하하여 토출 및 2차 토출구(B-60)을 통과하여 정량공급장치 밖으로 토출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정량공급장치 밖에 용기(도1의 C)를 준비하여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의 모든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의도된 바대로 저장장치인 챔버의 용량에 부합하는 정량토출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챔버의 용량에 따라 토출양의 변경이 가능하다.
챔버의 크기를 작거나 크게 변경 설계하므로써 토출량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챔버의 수를 변경하므로써, 즉, 상술된 하나의 챔버를 2개 이상으로 늘여 설치하고, 그 각각의 챔버 용량도 제조자가 원하는 대로 설계하여 설치하므로써 토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다수개의 챔버가 설치될 경우에는 제1토출구의 수와 동작레버의 수는 챔버의 수와 동일 및 각 각의 챔버에 만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독립된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기본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모두 포함함을 밝혀둔다.
(즉, 분유, 이유식, 동물사료, 세제, 각종 원료 등을 포함하는 모든 분말상, 입자상의 제품)
또, 도면상의 일 실시예가 된 포장용기 또한 포장용기의 일 예일 뿐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가능한 포장용기의 형태를 제한하고자 함은 결코 아니며, 각종 비닐포장, 종이포장, 용기포장 등을 포함하는 모든 포장재 및 포장형태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이 성립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만을 개시하였으나, 각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부가의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여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이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그 일 예로, 챔버는 우측부재의 회전폭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 동작레버는 레버복원을 위한 스프링장치 및 레버의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부가의 구성요소로 갖게 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위한 다양한 부가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 개시된 도면상의 토출구, 챔버, 레버를 포함하는 모든 구성요소의 형태 및 구성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각 토출구에 전자식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필요시에 자동개폐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챔버에 전자식 계측장치가 구비되어 챔버에 원하는 양의 내용물이 충진되면 이에 따라 전자신호를 받은 토출구의 전자개폐장치가 작동하여 챔버와 토출구를 격리하고 챔버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저장물을 토출시키는 원리를 기본구성으로 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그 외에 제2공급부가 삭제되고, 제1토출구의 전자개폐장치와 외부(도1의 C를 얹어 놓는 위치)에 연결된 전자계측장치(예:저울)를 설치하고 이 전자계측장치의 위의 용기로 챔버로부터 내용물이 토출되며, 원하는 양이 감지되었을 때 전자적인 신호가 제1토출구의 전자개폐장치로 전달 및 작동하는 원리를 기본구성으로 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또, 레버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도면에서 개시된 레버의 형태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작동레버의 형태를 '끈'의 형태로 전환한다.
이는 개시된 작동레버의 부피와 소재에서 오는 부담감을 축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수지 등의 각종 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끈을 챔버 우측부재의 끝단부에 연결하고, 챔버의 끈을 잡아당김으로써 부재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끈은 자동 감기장치를 해두면 작동 이후 끈이 자동복원되어 이용이 편리하다.
또,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정량공급장치 전체의 부피를 줄이고 보관 및 취급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저장챔버를 제외한 그 외의 전반적인 구성요소의 소재를 견고한 플라스틱의 상식에서 벗어나 부직포나 비닐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는 접이가 가능하여, 정량공급장치를 원포장용기에 내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을 제공하여 바람직한 제조방법이 될 수 있다.
또, 외부의 이물질이 정량공급장치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토출구에 차단캡을 추가의 구성요소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의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정량공급장치가 장착된 포장용기를 거꾸로 장착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작 및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 된다.
이상, 상술된 바 외에도 각 구성요소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서 명시한 바대로,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포장용기 내에서 '정량토출'시키기 위하여, 포장용기로부터 토출된 정량의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필요시에 외부로 토출가능하게 하는 토출장치 '를 기본 구성요소로 포함하 여 설계된 정량공급장치 또는 상기 정량공급장치를 구비한 포장재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정량공급장치가 장착된 포장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2 및 도3은 도1의 B를 확대한 그림으로서 그 구성요소와 작동원리를 상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나타낸 그림이다.

Claims (4)

  1.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포장용기 내에서 '정량토출'시키기 위하여, 포장용기로부터 토출된 정량의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필요시에 외부로 토출가능하게 하는 토출장치'를 기본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공급장치.
  2.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포장용기 내에서 '정량토출'시키기 위하여, 포장용기로부터 토출된 정량의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필요시에 외부로 토출가능하게 하는 토출장치'를 기본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제조된 정량공급장치를 구비한 포장재.
  3.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을 포장용기 내에서 '정량토출'시키기 위하여, 포장용기로부터 토출된 정량의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필요시에 외부로 토출가능하게 하는 토출장치'를 기본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제조된 정량공급장치를 포장재 내에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된 정량공급장치를 구비한 포장재.
  4. 상기 1항 또는 2항 또는 3항 중 선택된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의 부분 구성요소인 챔버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된 정량공급장치 및 상기 정량공급장치를 구비한 포장재.
KR1020080019423A 2008-03-02 2008-03-02 정량 공급 장치 및 상기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 KR20090094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423A KR20090094408A (ko) 2008-03-02 2008-03-02 정량 공급 장치 및 상기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423A KR20090094408A (ko) 2008-03-02 2008-03-02 정량 공급 장치 및 상기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408A true KR20090094408A (ko) 2009-09-07

Family

ID=4129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423A KR20090094408A (ko) 2008-03-02 2008-03-02 정량 공급 장치 및 상기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44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907B1 (ko) 벌크 재료를 보관 및 언로딩하기 위한 컨테이너
EP2654529B1 (en) System of a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oduct and a machine for dosing the product
CN103732110B (zh) 用于分配测量量的松散材料的系统和方法
JP5285700B2 (ja) 入れ物を接続システムに固定するためのポートシステム
US20060249531A1 (en) Motion Activated Food Dispenser
US20060150821A1 (en) Food preparation
US20120088022A1 (en) Infant formula device
US20140305970A1 (en) Assembly for dispensing bulk products
RU2000103479A (ru) Смен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дозатора напитков и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акого контейнера
EP2008554A1 (en) System for storing and dosing a powder
WO2015023251A1 (en) Dispenser and measuring cap device and method
US4085870A (en) Dispensing drawer assembly
US20160109273A1 (en) Powder Dosing System
JP2007040706A (ja) 定量取り出し装置及び包装用容器
US20090057346A1 (en) Powder or milk powder dispenser
KR20090094408A (ko) 정량 공급 장치 및 상기 정량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장재
US20160376073A1 (en) Portion Control Funnel Lid
KR20120110481A (ko) 버튼 조절식 분말 배출장치
KR100900983B1 (ko) 분유분말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유 디스펜서
EP3758563A1 (en) Device for dosing and pouring an amount of ground coffee powder into a coffee filter of a coffee-making apparatus
GB2289671A (en) A metered dose dispenser
KR101318767B1 (ko) 수평으로 슬라이딩되는 계량스푼을 이용한 분말공급장치
CN112243353B (zh) 用于咖啡设备的单元
GB2323587A (en) Dispenser for powdered foodstuffs
KR200271695Y1 (ko) 분유 저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