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697A -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697A
KR20090093697A KR1020080019383A KR20080019383A KR20090093697A KR 20090093697 A KR20090093697 A KR 20090093697A KR 1020080019383 A KR1020080019383 A KR 1020080019383A KR 20080019383 A KR20080019383 A KR 20080019383A KR 20090093697 A KR20090093697 A KR 20090093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health
keyword
health conten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유
한세현
김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08001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697A/ko
Publication of KR2009009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6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인터넷 상의 다양한 건강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네트워크 연결된 병의원으로 분배하고, 각 병의원에 속하는 평가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건강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은, 평가자와 평가자에 의해 등록된 관심키워드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수집프로세싱을 통해 수집되는 건강컨텐츠와 관련하여 대표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대표키워드와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에게 대표키워드와 관련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에 응답한 평가자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EALTH CONTENTS IN USE OF HOSPITAL NETWORK}
본 발명은 인터넷 상의 다양한 건강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네트워크 연결된 병의원으로 분배하고, 각 병의원에 속하는 평가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건강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무수하게 많은 건강컨텐츠가 웹 상에 넘쳐나고 있으며, 이러한 건강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site)들 또한 무수히 많다. 특히, 사용자가 사이트(Site)에서 건강컨텐츠를 검색하려는 경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엔진은 단순히 기계적인 알고리즘에 따라 건강컨텐츠에 대한 우선순위(즉, 검색순위)를 계산하고 계산된 우선순위에 따라 건강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을 뿐, 각 사용자에게 관련성이 높으면서도 관련 분야 전문가에 의해 검증되어 정확한 건강컨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다.
웹 상의 일반적인 정보컨텐츠와는 달리 건강컨텐츠는 개인의 생명에 직결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기에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건강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건강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접근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하면서 검증된 건강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터넷 상의 다양한 건강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네트워크 연결된 병의원으로 분배하고, 각 병의원에 속하는 평가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건강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포한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해 평가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고 컨텐츠신뢰도지수가 높은 건강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성 및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출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건강컨텐츠와 함께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공된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가자 예컨대, 병의원에 속하는 의료 전문가에게 최신 건강컨텐츠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병의원 네트워크를 통해 평가자에게 최신 건강컨텐츠를 제공하고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평가를 요청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신뢰성 있고 정확한 건강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강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접근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하면서도 평가자에 의해 검증된 건강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사전 등록된 사용자의 건강기록을 통해 사용자의 주관심사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건강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은, 평가자와 상기 평가자에 의해 등록된 관심키워드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수집프로세싱을 통해 수집되는 건강컨텐츠와 관련하여 대표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대표키워드와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상기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에게 상기 대표키워드와 관련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한 상기 평가자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평가자와 상기 평가자에 의해 등록된 관심키워드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 수집프로세싱을 통해 수집되는 건강컨텐츠와 관련하여 대표키워드를 결정하는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과, 상기 결정된 대표키워드와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상기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에게 상기 대표키워드와 관련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는 평가 요청 수단,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한 상기 평가자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지수 산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상의 다양한 건강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네트워크 연결된 병의원으로 분배하고, 각 병의원에 속하는 평가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건강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포한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해 평가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고 컨텐츠신뢰도지수가 높은 건강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성 및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출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건강컨텐츠와 함께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공된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자 예컨대, 병의원에 속하는 의료 전문가에게 최신 건강컨텐츠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병의원 네트워크를 통해 평가자에게 최신 건강컨텐츠를 제공하고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평가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접근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하면서도 평가자에 의해 검증된 건강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 등록된 사용자의 건강기록을 통해 사용자의 주관심사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건강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대표키워드를 결정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 요청이 복수회 생성되는 경우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대표키워드가 공통으로 결정되는 각 건강컨텐츠를 이용하여 작성한 컨텐츠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사이트평가점수를 더 이용하여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건강컨텐츠에 대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작업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대표키워드가 공통으로 결정되는 각 건강컨텐츠의 순위를 고려하여 작성한 컨텐츠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작업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
210: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
220: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
230: 평가 요청 수단
240: 지수 산출 수단
250: 그룹핑 수단
260: 컨텐츠리스트 작성 수단
270: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
280: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인터넷 상의 사이트(Site)(110)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건강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컨텐츠는 질병, 치료, 건강, 운동 등 인간 생명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건강정보가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건강컨텐츠는 검색엔진 크롤러(crawler)에 의해 자동으로 수집되거나 사용자의 직접적인 등록에 의해서 수집될 수도 있다.
또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평가자(120)에게 수집된 건강컨텐츠를 평가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자(120)는 의사, 간호사, 약사, 물리치료사 등의 의료 전문가, 운동 전문가, 식품과 영양 관련 전문가 등 인간의 건강 유지 및 질병 치료에 관한 각 분야의 전문가가 포함될 수 있다. 수집한 건강컨텐츠는 주기적으로 평가자(120) 측 네트워크로 전달되는데, 평가자(120)는 서비스 가입 단계에서 기본적인 관심 키워드를 이미 등록한 상태이다.
평가자(120)는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배포된 다양한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판단하거나 의견을 개진하여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에 평가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평가자(120)로부터 컨텐츠평가점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평가자(120)로부터의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컨텐츠신뢰도지수에 따라 건강컨텐츠를 배열하여 컨텐츠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각 병의원에서 평가된 결과는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으로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개별 건강컨텐츠 단위로 취합하여 정보의 신뢰성 및 정확성에 대한 최종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접근에 연동하여 평가되어 검증된 건강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신뢰성 및 정확성 지표가 높은 건강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210),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 평가 요청 수단(230), 지수 산출 수단(240), 그룹핑 수단(250), 컨텐츠리스트 작성 수단(260),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 및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2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평가자와, 상기 평가자에 의해 등록된 관심키워드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210)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자는 의사, 간호사, 약사, 물리치료사 등의 의료 전문가, 운동 전문가, 식품과 영양 관련 전문가 등 인간의 건강 유지 및 질병 치료에 관한 각 분야의 전문가가 포함될 수 있다.
평가자는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건강컨텐츠 평가 및 제공 서비스에 회원가입시 기본적인 관심키워드와 메일주소(연락처)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관심키워드는 평가자의 소속, 평가자의 전공분야, 평가자의 관심분야(예컨대, 당뇨병, 고혈압) 등, 서비스 가입시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관심키워드와 메일주소를 상기 평가자에 대응시켜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수집프로세싱을 통해 수집되는 건강컨텐츠와 관련하여 대표키워드를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건강컨텐츠는 질병, 치료, 건강, 운동 등 인간 생명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건강정보가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선정된 수집프로세싱을 통해 인터넷 상의 사이트(Site)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건강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다.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예컨대, 검색엔진 크롤러(crawler)를 동작시켜 건강정보사이트의 건강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건강컨텐츠 평가 및 제공 서비스의 사용자에 의해 건강정보사이트의 건강컨텐츠가 직접 등록될 수도 있다.
건강컨텐츠의 대표키워드는 검색엔진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건강컨텐츠의 등록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사이트S1으로부터 수집된 컨텐츠A가 '당뇨병 식이요법'에 관련된 기사일 경우, 검색엔진 크롤러에 의한 키워드 분석에 따라 "당뇨병", "음식물"과 같은 대표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수집된 건강컨텐츠의 대표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건강컨텐츠와 연관된 키워드를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사이트S1에서 수집된 건강컨텐츠A가 속하는 카테고리[건강>>식이요법]을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와 연관된 키워드를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건강컨텐츠A가 수집된 사이트S1의 도메인[health.com]을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건강컨텐츠에 포함되는 키워드 중에서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키워드를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건강컨텐츠A의 타이틀(title)에 포함된 키워드 '당뇨병, 환자, 음식물' 중에서 그 의미가 '질병'과 관련될 경우 해당 키워드[당뇨병]을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평가 요청 수단(230)은 상기 결정된 대표키워드와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에게 상기 대표키워드와 관련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는 기능을 한다.
즉, 평가 요청 수단(230)은 건강컨텐츠A에 대해 결정된 대표키워드[당뇨병]과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 일치되는 관심키워드가 있을 경우,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D1에게 상기 건강컨텐츠A의 평가에 관련한 요청을 생성 및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집한 모든 건강컨텐츠에 대해 평가자에게 평가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결과 건강컨텐츠A에 대해 결정된 대표키워드[당뇨병]과 일치되는 관심키워드가 복수개일 경우, 각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D1, D2, D3에게 상기 건강컨텐츠A의 평가에 관련한 요청을 복수회 생성하여 각각 전송할 수 있다.
건강컨텐츠A의 평가에 관련한 요청을 수신한 평가자는, 건강컨텐츠A를 확인하여 정확성 및 신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거나 이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즉, 상기 평가자는 건강컨텐츠A에 담긴 건강정보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관한 컨텐츠평가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각 평가된 결과는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으로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개별 건강컨텐츠 단위로 취합하여 정보의 신뢰성 및 정확성에 대한 최종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지수 산출 수단(240)은 상기 요청에 응답한 평가자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상기 요청에 응답한 평가자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강컨텐츠의 평가와 관련한 요청이 복수회 생성되는 경우, 지수 산출 수단(240)은 각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한 복수의 컨텐츠평가점수를 평균하여 상기 컨텐츠신뢰도지수의 산출시 이용할 수 있다. 즉, 건강컨텐츠A에 대해 결정된 대표키워드[당뇨병]과 일치되는 관심키워드가 복수개일 경우 건강컨텐츠A에 대한 평가 요청이 평가자D1, D2, D3에게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수 산출 수단(240)은 각각의 평가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평가점수를 평균한 수치를 상기 건강컨텐츠A의 컨텐츠신뢰도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평가자에 의해 획득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할 경우, 건강컨텐츠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평가 지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룹핑 수단(250)은 웹사이트 속성이 공통인 건강컨텐츠를 그룹핑하는 기능을 하며, 지수 산출 수단(240)은 그룹핑된 각 건강컨텐츠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사이트평가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에 대해 연산된 상기 사이트평가점수를 더 이용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평가점수는 건강컨텐츠가 수집된 사이트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관한 평가 점수로, 각 사이트로부터 수집된 건강컨텐츠의 컨텐츠평가점수를 평균하여 연산될 수 있으며, 컨텐츠평가점수는 건강컨텐츠에 포함된 건강정보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관한 평가 점수로, 배포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자의 평가에 따라 부여될 수 있다.
일례로, 건강컨텐츠A, B는 사이트S1에서 수집되고 건강컨텐츠C, D는 사이트S2에서 수집되고 건강컨텐츠E는 사이트S3에서 수집된 경우, 동일한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각 건강컨텐츠의 웹사이트 속성은 건강컨텐츠A, B는 S1, 건강컨텐츠C, D는 S2, 건강컨텐츠E는 S3로 각각 동일할 수 있으며, 그룹핑 수단(250)은 웹사이트의 속성이 공통인 [S1](건강컨텐츠A와 건강컨텐츠B)를 그룹핑하고, [S2](건강컨텐츠C와 건강컨텐츠D)를 그룹핑하고, [S3](건강컨텐츠E)를 그룹핑 할 수 있다.
또한, 각 건강컨텐츠의 컨텐츠평가점수가 건강컨텐츠A 70점, 건강컨텐츠B 80점, 건강컨텐츠C 90점, 건강컨텐츠D 80점, 건강컨텐츠E 75점과 같이 평가자로부터 부여될 경우, 지수 산출 수단(240)은 그룹핑된 각 건강컨텐츠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사이트평가점수를 [S1](건강컨텐츠A와 건강컨텐츠B)는 [(70+80)/2=75점]으로 연산할 수 있고, [S2](건강컨텐츠C와 건강컨텐츠D)는 [(90+80)/2=85점]으로 연산할 수 있고, [S3](건강컨텐츠E)는 [75점]으로 연산될 수 있다.
또한, 지수 산출 수단(240)은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에 대해 연산된 사이트평가점수를 건강컨텐츠의 컨텐츠평가점수에 곱셈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건강컨텐츠A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70점×사이트평가점수75점=5250, 건강컨텐츠B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80점×사이트평가점수75점=6000, 건강컨텐츠C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90점×사이트평가점수85점=7650, 건강컨텐츠D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80점×사이트평가점수85점=6800, 건강컨텐츠E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75점×사이트평가점수75점=5625로 연산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신뢰도지수가 클수록 건강컨텐츠는 정확하고 신뢰할만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건강컨텐츠B 및 건강컨텐츠D와 같이 컨텐츠평가점수가 일치하더라도 사이트평가점수가 높은 건강컨텐츠D의 신뢰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본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사이트의 건강컨텐츠는 신뢰도가 낮은 사이트의 건강컨텐츠보다, 컨텐츠 자체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그룹핑 수단(250)은 상이한 각각의 건강컨텐츠에서 대표키워드가 공통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각각의 건강컨텐츠를 그룹핑하는 기능을 하며, 컨텐츠리스트 작성 수단(260)은 산출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 각각에 대해 순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순위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를 배열한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공통으로 결정된 대표키워드에 대응하여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각 건강컨텐츠의 대표키워드가 건강컨텐츠A와 건강컨텐츠D와 건강컨텐츠E는 당뇨병, 건강컨텐츠B와 건강컨텐츠C는 고혈압일 경우, 그룹핑 수단(250)은 대표키워드가 공통인 [당뇨병](건강컨텐츠A와 건강컨텐츠D와 건강컨텐츠E)를 그룹핑하고, [고혈압](건강컨텐츠B와 건강컨텐츠C)를 그룹핑 할 수 있다.
또한, 각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가 건강컨텐츠A 5250, 건강컨텐츠B 6000, 건강컨텐츠C 7650, 건강컨텐츠D 6800, 건강컨텐츠E 5625와 같이 산출될 경우, 컨텐츠리스트 작성 수단(260)은 산출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 각각에 대해 순위를, 건강컨텐츠A-당뇨병3순위, 건강컨텐츠B-고혈압2순위, 건강컨텐츠C-고혈압1순위, 건강컨텐츠D-당뇨병1순위, 건강컨텐츠E-당뇨병2순위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리스트 작성 수단(260)은 상기 계산된 순위에 따라 그룹핑된 건강컨텐츠를 배열한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공통으로 결정된 대표키워드에 대응하여 [당뇨병](건강컨텐츠D-건강컨텐츠E-건강컨텐츠A) 및 [고혈압](건강컨텐츠C-건강컨텐츠B)와 같이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280)은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로의 사용자 접근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진단키워드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진단키워드와 매칭되는 대표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리스트를,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280)은 상기 사용자와 관련한 건강기록정보,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진단키워드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록정보는 병의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에 대한 진단, 치료, 검사, 처방 등 진료 데이터와 운동, 식사, 자가 측정 생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280)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당뇨병'이라는 진단키워드를 부여할 수 있으며, 진단키워드'당뇨병'과 매칭되는 대표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리스트 [당뇨병](건강컨텐츠D-건강컨텐츠E-건강컨텐츠A)를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당뇨병'을 검색/질의할 경우,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280)은 검색결과로서 컨텐츠신뢰도지수가 1순위인 건강컨텐츠D를 건강컨텐츠E와 건강컨텐츠A에 우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상의 다양한 건강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평가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평가자로부터 수신한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건강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평가자와, 상기 평가자에 의해 등록된 관심키워드를 대응하여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210)를 유지할 수 있다. 관심키워드는 평가자의 소속, 평가자의 전공분야, 평가자의 관심분야 등, 서비스 가입시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소속, 전공분야, 관심키워드, 및 메일주소를 평가자에 대응시켜 도 3과 같이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대표키워드를 결정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집된 건강컨텐츠의 대표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ⅰ)에는 건강컨텐츠와 연관된 키워드를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사이트S1에서 수집된 건강컨텐츠A가 속하는 카테고리[건강>>식이요법](410)을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ⅱ)에는 건강컨텐츠가 수집된 사이트의 도메인을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건강컨텐츠A가 수집된 사이트S1의 도메인[health.com](420)을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ⅲ)에는 건강컨텐츠에 포함되는 키워드 중에서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키워드를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건강컨텐츠A의 타이틀(title)에 포함된 키워드 '당뇨병, 환자, 음식물' 중에서 그 의미가 '질병'과 관련될 경우 해당 키워드[당뇨병]을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 요청이 복수회 생성되는 경우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이 건강컨텐츠A에 대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건강컨텐츠A에 대해 결정된 대표키워드[당뇨병]과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등록한 평가자D1, D2, D3에게 건강컨텐츠A에 대한 평가 요청을 복수회 생성하여 각각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평가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평가점수가 70점, 75점, 65점일 경우, 건강컨텐츠A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70점+75점+65점)/3=70과 같이, 상기 각각의 컨텐츠평가점수를 평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컨텐츠A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평가 지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대표키워드가 공통으로 결정되는 각 건강컨텐츠를 이용하여 작성한 컨텐츠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ⅰ)에는 건강컨텐츠A부터 건강컨텐츠E의 컨텐츠평가점수와 대표키워드, 및 웹사이트 속성이 도시되어 있다.
각 건강컨텐츠의 컨텐츠평가점수는 평가자로부터 건강컨텐츠A 70점, 건강컨텐츠B 80점, 건강컨텐츠C 90점, 건강컨텐츠D 80점, 및 건강컨텐츠E 75점으로 부여되었다.
또한, 건강컨텐츠A와 건강컨텐츠D와 건강컨텐츠E의 대표키워드는 당뇨병으로 동일하고, 건강컨텐츠B와 건강컨텐츠C의 대표키워드는 고혈압으로 동일하다.
또한, 건강컨텐츠A, B의 웹사이트 속성은 S1, 건강컨텐츠C, D의 웹사이트 속성은 S2, 건강컨텐츠E의 웹사이트 속성은 S3로 각각 동일하다.
도 6의 (ⅱ)에는 도 6의 (ⅰ)에 도시된 건강컨텐츠로 구성된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대표키워드가 공통인 건강컨텐츠들을 그룹핑할 수 있으며, 각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가 건강컨텐츠A 5250, 건강컨텐츠B 6000, 건강컨텐츠C 7650, 건강컨텐츠D 6800, 건강컨텐츠E 5625와 같이 산출될 경우,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산출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 각각에 대해 순위를, 건강컨텐츠A-당뇨병3순위, 건강컨텐츠B-고혈압2순위, 건강컨텐츠C-고혈압1순위, 건강컨텐츠D-당뇨병1순위, 건강컨텐츠E-당뇨병2순위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계산된 순위에 따라 그룹핑된 건강컨텐츠를 배열한 컨텐츠리스트를 도 6의 (ⅱ)와 같이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6의 (ⅲ)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에게 건강컨텐츠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당뇨병 환자의 경우 '당뇨병'이라는 진단키워드를 부여하고, 진단키워드'당뇨병'과 매칭되는 대표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리스트 [당뇨병](건강컨텐츠D-건강컨텐츠E-건강컨텐츠A)를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컨텐츠신뢰도지수가 1순위인 건강컨텐츠D(610)를, 건강컨텐츠E(620)와 건강컨텐츠A(630)에 우선하여 도 6의 (ⅲ)과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사이트평가점수를 더 이용하여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도 6의 (ⅱ)에는 도 6의 (ⅰ)에 도시된 건강컨텐츠를 이용하여 연산한 사이트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웹사이트 속성이 공통인 건강컨텐츠A, B를 그룹핑하고, 건강컨텐츠C, D를 그룹핑하고, 건강컨텐츠E를 그룹핑 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그룹핑된 각 건강컨텐츠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를 평균하여 각 사이트의 사이트평가점수를 S1 75점, S2 85점, S3 75점으로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연산된 사이트평가점수를 각 건강컨텐츠의 컨텐츠평가점수에 곱셈하여, 건강컨텐츠A 5250, 건강컨텐츠B 6000, 건강컨텐츠C 7650, 건강컨텐츠D 6800, 건강컨텐츠E 5625와 같이 각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은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8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8을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81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평가자와, 상기 평가자에 의해 등록된 관심키워드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자는 의사, 간호사, 약사, 물리치료사 등의 의료 전문가, 운동 전문가, 식품과 영양 관련 전문가 등 인간의 건강 유지 및 질병 치료에 관한 각 분야의 전문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관심키워드는 평가자의 소속, 평가자의 전공분야, 평가자의 관심분야(예컨대, 당뇨병, 고혈압) 등, 서비스 가입시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관심키워드와 메일주소를 상기 평가자에 대응시켜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수집프로세싱을 통해 수집되는 건강컨텐츠와 관련하여 대표키워드를 결정한다.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선정된 수집프로세싱을 통해 인터넷 상의 사이트(Site)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건강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220)은 건강컨텐츠와 연관된 키워드를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거나, 또는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와 연관된 키워드를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거나, 또는 건강컨텐츠에 포함되는 키워드 중에서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키워드를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컨텐츠는 질병, 치료, 건강, 운동 등 인간 생명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건강정보가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결정된 대표키워드와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에게 상기 대표키워드와 관련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청한다.
평가 요청 수단(230)은 건강컨텐츠A에 대해 결정된 대표키워드[당뇨병]과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 일치되는 관심키워드가 있을 경우,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D1에게 상기 건강컨텐츠A의 평가에 관련한 요청을 생성 및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집한 모든 건강컨텐츠에 대해 평가자에게 평가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결과 건강컨텐츠A에 대해 결정된 대표키워드[당뇨병]과 일치되는 관심키워드가 복수개일 경우, 각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D1, D2, D3에게 상기 건강컨텐츠A의 평가에 관련한 요청을 복수회 생성하여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평가자는 건강컨텐츠A에 담긴 건강정보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관한 컨텐츠평가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각 평가된 결과는 본 발명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200)으로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개별 건강컨텐츠 단위로 취합하여 정보의 신뢰성 및 정확성에 대한 최종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요청에 응답한 평가자로부터 컨텐츠평가점수를 수신하고, 단계 S85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수신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상기 요청에 응답한 평가자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건강컨텐츠의 평가와 관련한 요청이 복수회 생성되는 경우, 지수 산출 수단(240)은 각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한 복수의 컨텐츠평가점수를 평균하여 상기 컨텐츠신뢰도지수의 산출시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건강컨텐츠에 대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작업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851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웹사이트 속성이 공통인 건강컨텐츠를 그룹핑한다.
일례로, 건강컨텐츠A, B는 사이트S1에서 수집되고 건강컨텐츠C, D는 사이트S2에서 수집되고 건강컨텐츠E는 사이트S3에서 수집된 경우, 동일한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각 건강컨텐츠의 웹사이트 속성은 건강컨텐츠A, B는 S1, 건강컨텐츠C, D는 S2, 건강컨텐츠E는 S3로 각각 동일할 수 있으며, 그룹핑 수단(250)은 웹사이트의 속성이 공통인 [S1](건강컨텐츠A와 건강컨텐츠B)를 그룹핑하고, [S2](건강컨텐츠C와 건강컨텐츠D)를 그룹핑하고, [S3](건강컨텐츠E)를 그룹핑 할 수 있다.
단계 S852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그룹핑된 각 건강컨텐츠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사이트평가점수를 연산한다.
각 건강컨텐츠의 컨텐츠평가점수가 건강컨텐츠A 70점, 건강컨텐츠B 80점, 건강컨텐츠C 90점, 건강컨텐츠D 80점, 건강컨텐츠E 75점과 같이 평가자로부터 부여될 경우, 지수 산출 수단(240)은 그룹핑된 각 건강컨텐츠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사이트평가점수를 [S1](건강컨텐츠A와 건강컨텐츠B)는 [(70+80)/2=75점]으로 연산할 수 있고, [S2](건강컨텐츠C와 건강컨텐츠D)는 [(90+80)/2=85점]으로 연산할 수 있고, [S3](건강컨텐츠E)는 [75점]으로 연산될 수 있다.
단계 S853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에 대해 연산된 상기 사이트평가점수를 더 이용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한다.
지수 산출 수단(240)은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에 대해 연산된 사이트평가점수를 건강컨텐츠의 컨텐츠평가점수에 곱셈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건강컨텐츠A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70점×사이트평가점수75점=5250, 건강컨텐츠B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80점×사이트평가점수75점=6000, 건강컨텐츠C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90점×사이트평가점수85점=7650, 건강컨텐츠D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80점×사이트평가점수85점=6800, 건강컨텐츠E의 컨텐츠신뢰도지수는 컨텐츠평가점수75점×사이트평가점수75점=5625로 연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대표키워드가 공통으로 결정되는 각 건강컨텐츠의 순위를 고려하여 작성한 컨텐츠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작업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101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건강컨텐츠의 대표키워드가 공통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대표키워드가 공통인 건강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단계 S102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대표키워드가 공통인 각각의 건강컨텐츠를 그룹핑한다.
일례로, 각 건강컨텐츠의 대표키워드가 건강컨텐츠A, D, E는 당뇨병, 건강컨텐츠B, C는 고혈압일 경우, 그룹핑 수단(250)은 대표키워드가 공통인 [당뇨병](건강컨텐츠A와 건강컨텐츠D와 건강컨텐츠E)를 그룹핑하고, [고혈압](건강컨텐츠B와 건강컨텐츠C)를 그룹핑 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산출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고려하여 그룹핑된 건강컨텐츠 각각에 대해 순위를 계산한다.
각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가 건강컨텐츠A 5250, 건강컨텐츠B 6000, 건강컨텐츠C 7650, 건강컨텐츠D 6800, 건강컨텐츠E 5625와 같이 산출될 경우, 컨텐츠리스트 작성 수단(260)은 산출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 각각에 대해 순위를, 건강컨텐츠A-당뇨병3순위, 건강컨텐츠B-고혈압2순위, 건강컨텐츠C-고혈압1순위, 건강컨텐츠D-당뇨병1순위, 건강컨텐츠E-당뇨병2순위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104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계산된 순위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를 배열한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공통으로 결정된 대표키워드에 대응하여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컨텐츠리스트 작성 수단(260)은 상기 계산된 순위에 따라 그룹핑된 건강컨텐츠를 배열한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공통으로 결정된 대표키워드에 대응하여 [당뇨병](건강컨텐츠D-건강컨텐츠E-건강컨텐츠A) 및 [고혈압](건강컨텐츠C-건강컨텐츠B)와 같이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05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로의 사용자 접근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질의어 검색 또는 서비스 접속 등의 확인될 경우, 단계 S106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진단키워드를 부여하고, 단계 S1070에서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부여된 진단키워드와 매칭되는 대표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리스트를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280)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당뇨병'이라는 진단키워드를 부여할 수 있으며, 진단키워드'당뇨병'과 매칭되는 대표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리스트 [당뇨병](건강컨텐츠D-건강컨텐츠E-건강컨텐츠A)를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270)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당뇨병'을 검색/질의할 경우,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280)은 검색결과로서 컨텐츠신뢰도지수가 1순위인 건강컨텐츠D를 건강컨텐츠E와 건강컨텐츠A에 우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상의 다양한 건강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평가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평가자로부터 수신한 건강컨텐츠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건강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평가자와, 상기 평가자에 의해 등록된 관심키워드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수집프로세싱을 통해 수집되는 건강컨텐츠와 관련하여 대표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대표키워드와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상기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에게 상기 대표키워드와 관련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한 상기 평가자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이한 각각의 건강컨텐츠에서 대표키워드가 공통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각각의 건강컨텐츠를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 각각에 대해 순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순위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를 배열한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공통으로 결정된 대표키워드에 대응하여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로의 사용자 접근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진단키워드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부여된 진단키워드와 매칭되는 대표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진단키워드를 부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한 건강기록정보,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진단키워드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이 복수회 생성되는 경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각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한 복수의 컨텐츠평가점수를 평균하여 상기 컨텐츠신뢰도지수의 산출시 이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웹사이트 속성이 공통인 건강컨텐츠를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핑된 각 건강컨텐츠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사이트평가점수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에 대해 연산된 상기 사이트평가점수를 더 이용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대표키워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건강컨텐츠와 연관된 키워드를,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와 연관된 키워드를,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건강컨텐츠에 포함되는 키워드 중에서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키워드를,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9. 평가자와, 상기 평가자에 의해 등록된 관심키워드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
    수집프로세싱을 통해 수집되는 건강컨텐츠와 관련하여 대표키워드를 결정하는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
    상기 결정된 대표키워드와 일치되는 관심키워드를 상기 키워드등록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평가자에게 상기 대표키워드와 관련된 건강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는 평가 요청 수단;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한 상기 평가자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지수 산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이한 각각의 건강컨텐츠에서 대표키워드가 공통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각각의 건강컨텐츠를 그룹핑하는 그룹핑 수단; 및
    상기 산출된 컨텐츠신뢰도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 각각에 대해 순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순위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건강컨텐츠를 배열한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공통으로 결정된 대표키워드에 대응하여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컨텐츠리스트 작성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로의 사용자 접근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진단키워드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진단키워드와 매칭되는 대표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리스트 제공 수단은,
    상기 사용자와 관련한 건강기록정보,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진단키워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이 복수회 생성되는 경우,
    상기 지수 산출 수단은,
    각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한 복수의 컨텐츠평가점수를 평균하여 상기 컨텐츠신뢰도지수의 산출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웹사이트 속성이 공통인 건강컨텐츠를 그룹핑하는 그룹핑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수 산출 수단은,
    상기 그룹핑된 각 건강컨텐츠에 대한 컨텐츠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사이트평가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에 대해 연산된 상기 사이트평가점수를 더 이용하여 상기 건강컨텐츠의 컨텐츠신뢰도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키워드 결정 수단은,
    상기 건강컨텐츠와 연관된 키워드를,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건강컨텐츠가 수집되는 웹사이트와 연관된 키워드를,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건강컨텐츠에 포함되는 키워드 중에서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키워드를, 상기 대표키워드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080019383A 2008-02-29 2008-02-29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3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83A KR20090093697A (ko) 2008-02-29 2008-02-29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83A KR20090093697A (ko) 2008-02-29 2008-02-29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97A true KR20090093697A (ko) 2009-09-02

Family

ID=4130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383A KR20090093697A (ko) 2008-02-29 2008-02-29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6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890A1 (ko) * 2015-12-31 2017-07-06 (주)블루와이즈 개인 건강정보 기반의 건강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KR102183740B1 (ko) 2019-12-06 2020-11-27 주식회사 메디칼엑셀런스 건강관리 컨텐츠제공을 위한 태그기반 컨텐츠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890A1 (ko) * 2015-12-31 2017-07-06 (주)블루와이즈 개인 건강정보 기반의 건강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KR102183740B1 (ko) 2019-12-06 2020-11-27 주식회사 메디칼엑셀런스 건강관리 컨텐츠제공을 위한 태그기반 컨텐츠관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061B2 (en) Healthcare provider search based on experience
US11769571B2 (en) Cognitive evaluation of assessment questions and answers to determine patient characteristics
Murff et al. Automated identification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Zeng et 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 terminology for health information retrieval
US20140122113A1 (en) Providing indications of clinical-trial criteria modifications
US88886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lay users to obtain relevant, personalized health related information
JP5608789B2 (ja) サイトスタートアップ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US20130332191A1 (en) Identifying patient eligibility for clinical trials
US200300461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umer healthcare decisionmaking
US10586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edical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incorporating referral pattern data
US201402291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nd customized questionnaire generation
RU2598328C2 (ru) Система уточне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запросов
US20080215367A1 (en) Personalized Health Records with Associative Relationships
WO2001024038A2 (en) Internet brokering service based upon individual health profiles
KR101177712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WO2013112638A1 (en) Knowledge extraction and exchange method and apparatus
CN112509656A (zh) 基于医疗机构的等级评价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Sarantis et al. HSWAI: a health sector website assessment instrument
US20090076846A1 (en) Medical search clinical interaction
KR102395921B1 (ko) 사용자 정보 및 쿼리 분석을 통해 의료대상 추천 방법
Comito et al. Exploiting social media to enhance clinical decision support
Mo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RMIS (Nursing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healthcare resources
KR20090093697A (ko) 병의원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Taylor et al. Measuring quality of life
KR102615313B1 (ko) 평가에 기초한 병원 검색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