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639A -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혈당 센서 - Google Patents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혈당 센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639A
KR20090093639A KR1020080019277A KR20080019277A KR20090093639A KR 20090093639 A KR20090093639 A KR 20090093639A KR 1020080019277 A KR1020080019277 A KR 1020080019277A KR 20080019277 A KR20080019277 A KR 20080019277A KR 20090093639 A KR20090093639 A KR 2009009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oxide
oxide nanowires
glucose
nanowires
buffe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윤모
이정철
노경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639A/ko
Publication of KR2009009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6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5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glucose or galacto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03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a oxygen as acceptor (1.1.3)
    • C12Y101/03004Glucose oxidase (1.1.3.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혈당 센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혈당 측정기 글루코스 산화제만을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것에 오차가 많고 측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루미네선스(Photoluminescence)를 일으킬 수 있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제조하고, pH7의 인산완충식염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에 글루코스 산화제를 결합시킴으로써, 혈당 수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혈당 센서{Method of Fabricating ZnO Nanowire and Glucose Sens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독성이 없고 생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로 생체 라벨(label) 및 전기화학적 응용분야에서 이용가치가 높은 산화아연에 간단하게 글루코스 산화제를 결합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 센서를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분야에서 혈액을 포함한 생체 시료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센서란 측정 대상물로부터 정보를 얻을 때 생물학적 요소를 이용하거나 또는 생물학적 요소를 모방하는 것을 사용하여 색, 형광, 전기적 신호 등과 같이 인식 가능한 유용한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센서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주로 임상적인 수요가 큰 혈당(blood glucose) 센서에 집중되었으나, 최근 분자생물학, 나노테크놀로지(NT) 및 정보통신기술(IT)의 급격한 발달로 다분야의 특성을 접목한 다양한 센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고, 단순한 생화학적 측면의 목적에 더하여 대량검색과 다중측정 또는 다중진단이라는 관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바이오센서에 대한 수요가 가장 많은 분야는 알려진 바와 같이 의료부문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면서 즉각적인 감지가 가능하여 의료분야에서 위험도가 높은 약품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중환자에 대한 신속한 진료도 가능하게 하므로, 의료분야에서 지속적인 수요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의료분야에 적용되는 것으로는 생체 시료에 있는 특정 물질, 예컨대 혈액 중의 혈당, 콜레스테롤 등을 선택적으로 정량 분석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들 수 있으며, 전세계 각 제조사들을 중심으로 성능 개선 및 신기술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가장 많이 쓰고 있는 바이오센서로는 혈당 측정을 위한 혈당센서(glucose sensor)를 들 수 있는 바, 혈당센서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혈당센서는 포도당을 산화시키는 글루코스 산화제(glucose oxidase)를 폴리아크릴아미드의 겔막에 포괄고정화시켜 이 막을 격막 센서 전극 위에 부착시켜서 만든 최초의 센서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끊임없이 발전되어 왔다.
혈당센서에 사용되는 효소인 글루코스 산화제는 쉽고 값싸게 구할 수 있고, 다른 효소보다 pH, 이온강도, 온도에 대해 안정하며, 글루코스 산화제가 글루코스를 산화시키는 최적조건이 사람 혈액 속의 글루코스 농도와 일치한다는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혈당센서의 분석법은 크게 광도법(photometeric method)과 전기화학법(electrochemical method)으로 나눌 수 있으며, 광도법과 전기화학법 모두 기본적으로는 글루코스와 반응하여 글루코스를 산화시킬 수 있는 산화효소를 사용한다.
광도법에서는 글루코스가 산화될 때 색의 변화를 가져오는 색소원을 사용하여 색의 변화 정도를 광도계(photometer)를 사용하여 빛의 반사도 또는 투과도를 측정함으로써 정량화한다.
이에 비해서 전기화학법은 글루코스가 산화될 때 산소 또는 산화된 매개체가 과산화수소 또는 환원된 매개체로 바뀌고 다시 산화되어 원래의 산화된 형태로 되돌아올 때 발생하는 전자를 전극을 이용해 흐르는 전류 형태로 측정하여 글루코스를 정량화한다.
광도법은 일반적으로 전기화학법에 비해 측정시간이 길고,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혈액을 필요로 하며, 생체 시료의 혼탁도에 기인한 측정오차 등으로 인해 중요한 생체물질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극을 형성한 뒤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법, 필름접착방법 등을 이용하여 분석시약이 고정되는 부분만을 노출시키고 나머지 부분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시료 내 측정 성분과 반응하는 분석시약을 노출된 부분에 도포 및 고정시키고, 혈액 등 생체 시료가 도입된 후 일정 전위를 적용하여 생체 시료 중의특정 물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전기화학법이 바이오센서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전기화학법은 절연기판상에 직사각형 모양의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과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이 길게 형성되고, 절연기판의 타측에는 인식전극이 형성된 혈당센서를 이용한다.
여기서, 인식전극은 작업전극과 기준전극을 가로질러 고정된 시약이 어떤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냐에 따라 결정된 테스트 스트립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이러한 테스트 스트립이 바이오센서 측정기에 삽입되면 바이오센서 측정기는 테스트 스트립상에서의 인식전극 위치를 식별하므로 테스트 스트립이 어떤 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인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테스트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절연기판상의 소정 영역에 전극물질을 스퍼터링하여 전극을 형성시킨 뒤, 분석시약이 고정되는 부분만을 노출시키고 나머지 부분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시료 내 측정 성분과 반응하는 분석시약을 노출된 부분에 도포 및 고정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업전극을 통하여 전자 전달이 이루어지는 바이오센서에서, 시료 투입 후에 작업전극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통해 전자가 생성되면서 일정 시간 동안 전류신호가 발생하며, 이 전류신호를 측정기가 읽어서 시료 내 해당 성분을 정량 분석하게 된다.
이때, 작업전극에서 동일한 반응이 일어날 경우 동일한 전류신호가 발생해야 한다.
즉, 여러 개의 테스트 스트립을 이용해 측정을 하더라도 같은 성분의 동일한 시료(측정 대상이 되는 성분이 동일)에 대해서는 작업전극에서 시료 내 성분과 시약의 반응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전류신호가 출력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제작된 모든 테스트 스트립에 대하여 시약이 고정되는 작업전극 부분(반응부)의 면적, 즉 작업전극에서 시약이 고정되는 부분의 면적(작업전극의 반응부 면적) 및 테스트 스트립 마다 모두 동일해야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만약, 제조공정상에서 테스트 스트립 마다 시약고정부 내 작업전극 부분(반응부)의 면적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제작된다면, 작업전극에서 시료 내 성분과 시약 간 반응부의 면적이 달라지는 것이므로, 동일한 시료라 하더라도 출력되는 전류신호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측정오차를 줄이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모든 테스트 스트립에서 작업전극의 반응부면적, 즉 작업전극에서 시약이 고정되는 부분의 면적이 미세한 오차 없이 동일한 면적이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실제 제조공정에서 테스트 스트립 마다 작업전극의 반응부(시약이 고정되는 부분) 면적을 미세 오차 없이 완전히 동일하게 제조하기란 어려운 일이며, 따라서 공정오차를 최대한 줄여 작업전극에서의 반응부 면적 오차를 줄이고, 이를 통해 측정오차를 최대한 줄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조공정 동안 테스트 스트립 마다 스크린 프린팅 또는 필름접착 등 방법에 의한 인슐레이팅 실시 시에 노출되는 시약고정부의 면적, 특히 작업전극에서 시약이 고정되는 부분의 면적을 공정오차를 줄여서 가능한 한 동일하게 하여야 하나, 아직 개선을 위한 연구나 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글루코스 산화제를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와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광도법 또는 전기화학법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것 보다 더 효율적인 혈당 센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혈당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은 실리콘 기판 상부에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상기 실리콘 기판을 완충용액에 담그는 단계 및 상기 완충용액에 클루코스 산화제(Glucose Oxidase)를 넣어 상기 산화아연 나노와어의 표면에 상기 클루코스 산화제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리콘 기판 상부에 직경 80 ~ 120nm의 금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 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실리콘 기판을 알루미나 보트에 넣는 단계와, 상기 알루미나 보트에 산화아연 분말 및 흑연 분말을 넣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나 보트 내부에 아르곤(Ar) 가스 및 산소(O2) 기체를 공급하면서 상기 알루미나 보트의 중심 온도를 800 ~ 1000℃로 유지하도록 15 ~ 20분간 가열하여 상기 금 입자하부에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 아연 나노와이어는 80 ~ 100nm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용액은 pH 6.6 ~ 7.4의 인산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아연 분말 및 상기 흑연 분말의 혼합비는 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르곤(Ar) 가스는 400 ~ 600sccm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소(O2) 기체는 0.2 ~ 0.6sccm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센서는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글루코스 산화제가 결합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혈당 센서는 상기 클루코스 산화제가 결합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완충용액에 담글 수 있는 큐벳과, 상기 큐벳에 혈액을 첨가할 수 있는 공급부 및 상기 큐벳 내에 첨가되는 혈액의 농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광루미네선스를 측정할 수 있는 관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글루코스 산화제가 쉽게 결합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혈당 센서의 광루미네센스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기존의 광도법 또는 전기화학 방법에서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당 만이 아닌 다른 바이오 물질들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의 실제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에 글루코스 산화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와 글루코스 산화제의 전기화학적 결합 및 글루코스 농도 변화에 따른 광루미네센스 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글루코스 농도에 따라 발광세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들.
산화아연 벌크재료와 달리 산화아연 나노물질로 이루어진 것은 일반적으로 표면적이 더 넓기 때문에 빛의 흡수/방출 또한 전자의 이동에 아주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산화아연 나노물질에 생물학적 물질을 묻히고 나타나는 빛의 변화에 따라 생물학적 물질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는 3.26eV의 넓은 띠간격을 가지고 있고 큰 여기자 결합 에너지(exciton energy) 60mV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자로부터 전기적으로 그리고 광학적으로 반응을 잘하고 또한 생화학적으로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화합물들과 달리 독성이 없어서 생체분야에서 매우적합한 바이오센서를 만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100) 상부에 직경 80 ~ 120nm를 갖는 금 입자를 형성한다. 여기서, 금 입자들은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의 시드로서 작용하게 된다.
다음에는, 금 입자를 포함하는 실리콘 기판(100)을 알루미나 보트(150)에 넣는다. 이때, 실리콘 기판(100) 하부에는 산화아연 분말 및 흑연 분말이 혼합된 물질(160)이 놓이도록 한다.
여기서, 산화아연 분말 및 흑연 분말의 혼합비는 1:1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는, 알루미나 보트(150) 내부에 아르곤(Ar) 가스 및 산소(O2) 기체를 공급하면서 산화아연 분말 및 흑연 분말이 혼합된 물질(160)이 놓여 있는 알루미나 보트(150)의 중심을 가열한다. 이때, 가열 온도를 800 ~ 1000℃가 유지하도록하고, 가열시간은 15 ~ 2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아르곤(Ar) 가스는 400 ~ 600sccm으로 공급하고, 산소(O2) 기체는 0.2 ~ 0.6sccm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금 입자가 형성된 실리콘 기판(100)을 가열하면 금 입자 하부에 산화아연 나노와이어가 형성된다. 이때,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는 80 ~ 100nm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가 높은 결정성을 가진 헥사고날 워자이트(hexagonal wurtzite)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의 실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산화아연으로 형성된 막대 형태의 나노와이어들이 불규칙적으로 분포되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에 글루코스 산화제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기로 한다. 다만,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에 글루코스 산화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산화아연 나노와이어(200)를 완충용액에 담그고 글루코스 산화제(220)를 첨가하면, 산화아연 나노와이어(200)는 양성을 띄게 되고 글루코스 산화제(220)는 음성을 띄게 되어 서로 전기화학 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완충용액은 pH 6.6 ~ 7.4의 인산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어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에 글루코스를 반응시키면, 글루코스의 농도에 따라서 광학적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광학적 변화를 광루미네센스(photoluminescence)라고 하며, 그 광루미네센스의 변화를 측정하면 글루코스의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광루미네센스란 포토루미네선스라고도 하며 루미네센스란 물질이 빛이나 전기, 방사선 등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여기(勵起)상태가 되고, 그것이 바닥상태로 돌아갈 때 흡수한 에너지를 빛으로서 방출하는 현상을 말한다.
광루미네센스는 빛에 의한 여기로 생기는 루미네센스로 일반적으로 자극광(조사광)의 파장과 같거나, 그보다 긴 파장의 빛이 나온다. 발광중심이 직접 빛을 흡수하여 여기되어 발광하는 경우와, 빛의 흡수로 말미암아 생긴 캐리어가 발광 중심에 포착되어 발광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광루미네센스를 측정하는 광루미네센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와 글루코스 산화제의 전기화학적 결합 및 글루코스 농도 변화에 따른 광루미네센스 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글루코스 산화제와 결합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가 아래의 화학식과 같이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글루코스(D-glucose)가 글루코스 산화제(GOx)가 고정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와 반응하면, 두 개의 양자와 전자가 생성되어 글루코스 산화제의 조효소인 리보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FAD)로 전달되는데 두개의 양자는 다시 아래와 같이 반응한다.
두 개의 전자는 리보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FAD)을 거쳐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로 전달되고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이동하면서 광루미네선스를 더 증가시키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글루코스 농도에 따라 발광세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들 이다.
도 6 및 도 7은 기본적으로 완충용액 속에 글루코스 산화제가 결합되어 있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넣고 자외선을 쪼여주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게 함으로써, 광루미네선스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두면이 투명한 큐벳 안쪽 면에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실리콘 기판을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키고 그것이 담길 정도의 완충용액을 넣는다. 이때, 1× 1㎝의 셀을 이용할 경우 10 ~ 30㎖를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다른 투명한 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이 완충용액을 통과하여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의 표면에서 반응하도록 하고 전자를 발생시켜 나타나는 발광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0.1M의 글루코스 용액을 만들고 큐벳에 0.05㎖ 씩 용액을 넣었을 때 파장(Wavelength)에 따른 발광세기(PL intensity)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 6이고, 글루코스 농도(Glucose concentration)에 따른 발광세기(PL intensity)의 변화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약 9.0 mM 이상부터는 발광세기의 강도가 거의 증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혈당 센서를 제조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실리콘 기판 상부에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상기 실리콘 기판을 완충용액에 담그는 단계; 및
    상기 완충용액에 클루코스 산화제(Glucose Oxidase)를 넣어 상기 산화아연 나노와어의 표면에 상기 클루코스 산화제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리콘 기판 상부에 직경 80 ~ 120nm의 금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 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실리콘 기판을 알루미나 보트에 넣는 단계;
    상기 알루미나 보트에 산화아연 분말 및 흑연 분말을 넣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나 보트 내부에 아르곤(Ar) 가스 및 산소(O2) 기체를 공급하면서 상기 알루미나 보트의 중심 온도를 800 ~ 1000℃로 유지하도록 15 ~ 20분간 가열하여 상기 금 입자하부에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아연 나노와이어는 80 ~ 100nm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은 pH 6.6 ~ 7.4의 인산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 분말 및 상기 흑연 분말의 혼합비는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르곤(Ar) 가스는 400 ~ 600sccm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O2) 기체는 0.2 ~ 0.6sccm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8. 청구항 제 1 항의 클루코스 산화제가 결합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센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센서는 상기 클루코스 산화제가 결합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완충용액에 담글 수 있는 큐벳;
    상기 큐벳에 혈액을 첨가할 수 있는 공급부; 및
    상기 큐벳 내에 첨가되는 혈액의 농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광루미네선스를 측정할 수 있는 관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센서.
KR1020080019277A 2008-02-29 2008-02-29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혈당 센서 KR20090093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77A KR20090093639A (ko) 2008-02-29 2008-02-29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혈당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77A KR20090093639A (ko) 2008-02-29 2008-02-29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혈당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39A true KR20090093639A (ko) 2009-09-02

Family

ID=4130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277A KR20090093639A (ko) 2008-02-29 2008-02-29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혈당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6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7692A (zh) * 2011-10-21 2012-06-20 华中师范大学 钛基底上多孔镍-铜氧化物纳米线阵列无酶葡萄糖传感器电极
KR20200042982A (ko) * 2018-10-16 2020-04-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형 단일 섬유 형태의 포도당 센서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00043574A (ko) * 2018-10-17 2020-04-2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형 단일 섬유 형태의 pH 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7692A (zh) * 2011-10-21 2012-06-20 华中师范大学 钛基底上多孔镍-铜氧化物纳米线阵列无酶葡萄糖传感器电极
KR20200042982A (ko) * 2018-10-16 2020-04-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형 단일 섬유 형태의 포도당 센서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00043574A (ko) * 2018-10-17 2020-04-2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형 단일 섬유 형태의 pH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Nano biosensors: properties, applications and electrochemical techniques
D'Orazio Biosensors in clinical chemistry
Singh et al. Biomedical perspective of electrochemical nanobiosensor
Cammann et al. Chemical sensors and biosensors—principles and applications
Nylander Chemical and biological sensors
Hu et al. H2O2-sensitive quantum dots for the label-free detection of glucose
Abdelbasset et al.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graphene-based biosensors
Vaishanav et al. Mn2+ doped-CdTe/ZnS modified fluorescence nanosensor for detection of glucose
Kang et al. Sensitive detection of ascorbic acid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y double-channel photoelectrochemical detection design based on g-C3N4/TiO2 nanotubes hybrid film
CN105675689B (zh) 一种基于硫化钼复合材料构建的过氧化氢无酶传感器的制备方法及应用
EP3132049B1 (e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device for detection of aminoacidopathies
Hsueh et al. A microfabricated, electrochemiluminescence cell for the detection of amplified DNA
Rawal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bilirubin determination methods with special emphasis on biosensors
CN106645334A (zh) 一种基于双极电极阵列的可视化电化学发光传感器检测葡萄糖的方法
Shi et al. Enhanced solid-state electrogenerated chemiluminescence of Au/CdS nanocomposite and its sensing to H2O2
CN108827948A (zh) 基于金纳米团簇探针的酸性磷酸酶电致化学发光测定方法
KR101029242B1 (ko) 카드뮴셀레나이드/황화아연 양자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혈소판 유래 생산 인자의 농도를 검출하는 방법
KR20090093639A (ko)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혈당 센서
Lai et al. A dry chemistry-based electrochemiluminescence device for point-of-care testing of alanine transaminase
KR100932601B1 (ko) 산화아연 양자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혈당센서
Roe Biosensor development
Wang et al. Electrochemiluminescence analysis of hydrogen peroxide using L012 modified electrodes
KR100973931B1 (ko) 카드뮴셀레나이드/황화아연 양자점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형성한 혈당 센서
Sharma et al. Based Microfluidics Devices with Integrated Nanostructured Materials for Glucose Detection
CN112268943B (zh) 微电极光电化学传感器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