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007A - Entr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wo line - Google Patents

Entr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wo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007A
KR20090091007A KR1020090005212A KR20090005212A KR20090091007A KR 20090091007 A KR20090091007 A KR 20090091007A KR 1020090005212 A KR1020090005212 A KR 1020090005212A KR 20090005212 A KR20090005212 A KR 20090005212A KR 20090091007 A KR20090091007 A KR 20090091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output
key input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동언
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캠프
Priority to KR102009000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1007A/en
Publication of KR2009009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0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A controlling system of two levels performing the low cost and controlling inside of the apartment house is provid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ithin apartment house. A household terminal(10) is connected to two levels to the communications network. The terminal for generation is installed in each generation. A connection controller(2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for generation and two levels. A common entrance terminal(30) for the common por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troller and the two level. The terminal for the common porch performs the terminal for generation and data communications the connection controller. A guardroom terminal(40) for guardroom is connected to the two level for the entrance control strengthening to the connection controller. The terminal for guardroom transmits and receives the terminal for the terminal for generation and common porch and data.

Description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entr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wo line} Entr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wo line}

본 발명은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선으로 구축된 공동주택 인터폰 시스템의 통신배선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또는 2선으로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을 구축하여 공동주택 내의 각 종 단말기(세대용 단말기, 공동현관용 단말기 및 경비실용 단말기 등)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단지 내 출입 통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ire access control system, and in particular, by using the communication wiring of the intercom interphone system constructed with two wires as it is or b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with two wir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2-wire access control system that enabl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household terminals, common entrance terminals, and security terminal terminals, so that access control in the complex can be performed at low cost.

현재 아파트, 주상복합 등의 공동주택의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을 보면 많은 배선들로 각 종 단말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각 세대에 존재하는 세대용 단말기(비디오 폰 등)와 경비실용 단말기 및 공동현관용 단말기는 버스 방식의 배관/배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호간의 통화 및 통신을 위하여 10선의 배선이 입선되어 있고, 공동 현관용 단말기의 방문자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동축 케이블까지 배선화되고 있다. At present, when looking at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of multi-unit houses such as apartments and residential complexes, various termin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any wires. That is, generation terminals (video phones, etc.), terminals for security offices, and terminals for common entrances existing in each househol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us-type piping / wiring. For example, 10 wires are wired for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even coaxial cables are wi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visitor image of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또, 최근 홈네트워크 산업의 성장과 함께 세대 단말기간 영상통화 등의 기능 을 위해 증가된 송수신 데이터량의 중계를 위해 스위칭 허브와 같은 고가의 통신 중계 장비도 다수가 설치되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recent growth of the home network industry, many expensive communication relay equipments such as switching hubs have been installed to relay increas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or functions such as video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 terminals.

상기와 같은 다수의 배선과 고가의 통신 중계 장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공사 비용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order to build a plurality of wiring and expensive communication relay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excessive construction costs are required and construction periods are prolonged.

한편, 근래에 고령화된 아파트 단지 리모델링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존의 2선 배선을 제거하여 폐기하고, 새롭게 복잡한 배선을 구축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과도한 공사비용이 발생하고, 자원이 낭비되며, 공사 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미 아파트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을 그대로 이용하여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을 구축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lot of aging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remodeled, and in order to build 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the existing two-wire wiring is removed and discarded, and a new complicated wiring is constructed. Construction costs are generated, resources are wasted, and construction periods are prolong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by using the wiring already formed in the apart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2선으로 구축된 공동주택 인터폰 시스템의 통신배선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또는 2선으로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을 구축하여 공동주택 내의 각 종 단말기(세대용 단말기, 공동현관용 단말기 및 경비실용 단말기 등)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공동주택 내 출입 통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communication wiring of the inter-unit interphone system constructed with two wires as it is or b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with two wires. By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slave terminals (household terminals, common entrance terminals, security guard terminals, etc.), it provides a 2-wire access control system that enables access control in apartment buildings at low cost. For that purpos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2선으로 구축된 공동주택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각 세대에 설치되는 세대용 단말기, 2선으로 구축된 공동주택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각 공동현관에 설치되는 공동현관용 단말기, 상기 세대용 단말기 및 공동현관용 단말기와 2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접속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ans constituting the two-wire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generation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partment house access control system constructed in two lines installed in each household, 2 Connec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wo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the household terminal and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which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onstructed with wires and installed in each common entran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또한, 상기 접속제어기에 2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세대용 단말기 및 공동현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비실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ard terminal for connecting and transmitting data to and from the terminal for the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troller 2 wires.

또한, 상기 세대용 단말기 및 공동현관용 단말기 및 경비실용 단말기는, 입 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송신 버퍼부, 상기 송신 버퍼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합성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이동부 및 상기 데이터 이동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2선으로 출력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송신모듈과, 상기 접속제어기로부터 2선을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 상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분리부, 상기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수신 버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neration terminal,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and the guard terminal, a transmission buffer for storing the input data, a data moving unit for sequentially outputting or combining the data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unit and the A 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oving unit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it to two wires; A / D converter comprising: a data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audio data, image data, and signal data from the output digital data; and a reception buffer unit for separating and storing data output from the data separ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module.

또한, 상기 접속제어기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목적지 주소를 알아낸 후, 해당 포트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2선으로 출력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controller may include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input analog signal into digital data, a data analyzer for analyzing the converted digital data to find a destination address, and outputting the digital data to a corresponding port; And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igital data output from the data analysis unit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in two lines.

또한,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들은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제어 데이터 및 목적지 주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put data may include audio data, video data, control data, and a destination address.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의하면, 2선으로 구축된 공동주택 인터폰 시스템의 통신배선을 그대로 이 용하거나 또는 2선으로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을 구축하여 공동주택 내의 각 종 단말기(세대용 단말기, 공동현관용 단말기 및 경비실용 단말기 등)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저 비용으로 공동주택 내 출입 통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two-wire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solving means, by using the communication wiring of the inter-unit interphone system constructed with two wires as it is or b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with two wires Since it enabl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terminals (eg, terminal for terminal, terminal for terminal and guard room) in the multi-family house, there is an advantage of performing access control in the multi-family house at low cost.

또한, 이미 구축된 인터폰 시스템의 통신 배선을 그대로 이용하고, 공동주택 내의 각 종 단말기만을 변형 또는 추가하여 출입 통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동주택 출입 통제 시스템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자원폐기 비용을 줄이며,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be configured by using the communication wiring of the already established interphone system as it is, and modifying or adding only various terminals in the apartment,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for the apartment.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 of disposal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two-line access control system having the above problems, solving means and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wo-line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은 각 세대에 설치되는 세대용 단말기(10), 상기 각 세대에 설치되는 세대용 단말기(10)와 각각 2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제어기(20)와 상기 접속제어기(20)와 2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제어기(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세대용 단말기(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공동현관용 단말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 출입 통제 강화를 위하여 상기 접속제어기(20)에 2선으로 연결되는 경비실용 단말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wo-wire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ousehold terminal 10 installed in each household and a household terminal 10 installed in each household by two lines.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and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are connected in two lines, and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tion terminal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 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terminal for the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in two lines to strengthen the access control.

상기 세대용 단말기(10)는 각 세대에 설치되어 경비실용 단말기, 공동현관용 단말기 또는 다른 세대에 설치되는 세대용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와 문열림 신호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지털 인터폰, 상기 디지털 인터폰의 기능에 영상 송수신과 방범, 가스, 화재 감지기 등의 감지 기능을 더한 디지털 비디오폰이 세대용 단말기가 될 수 있다.The generation terminal 10 may include any terminal provided in each household and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for security guard, a terminal for common entrance, or a terminal for household installed in another household. For example, a digital interphon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f a voice call and a door open signal, and a digital video phone that add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crime prevention, gas, and a fire detector to the digital interphone may be a terminal for generations. .

상기 세대용 단말기(10)는 2선으로 구축된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에 연결되는 단말기로서, 상기 접속제어기(20)의 중계로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현관용 단말기와의 통화를 거친 후 자동문의 출입 통제를 상기 접속제어기(20)의 중계 역할의 도움을 받아 2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generation terminal 10 is a terminal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 access control system constructed with two wires, and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by relaying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Therefore, the access control of the automatic door after the call with the terminal for the common entrance can be performed by two lines with the help of the relay role of the access controller 20.

상기 각각의 세대용 단말기(10)는 상기 접속제어기(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30), 경비실용 단말기(40) 또는 다른 세대의 세대용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Each generation terminal 1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and finally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security terminal 40 or another generation of generation terminals. It includes a transmitting module and a receiving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

상기 각각의 세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되는 송신모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버퍼부(11), 데이터 이동부(12) 및 D/A 컨버터(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세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되는 수신모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 이 A/D 컨버터(14), 데이터 분리부(15), 수신 버퍼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ransmission module included in each generation terminal 10 includes a transmission buffer unit 11, a data moving unit 12, and a D / A converter 13, as shown in FIG. The reception module included in each generation terminal 10 includes an A / D converter 14, a data separation unit 15, and a reception buffer unit 16 as shown in FIG. 2.

상기 송신모듈의 송신 버퍼부(11)는 세대용 단말기(10)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 수단은 마이크, 카메라, 키패드(또는 터치 패드) 및 방범, 가스, 화재 등의 감지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키 입력 데이터 및 감지 신호 데이터를 포함한다. The transmission buffer unit 11 of the transmission module stores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generation terminal 10. The input means includes a microphone, a camera, a keypad (or a touch pad) and a detector such as a crime prevention, a gas, a fire, and the like. Therefore, the input data includes audio data, video data, key input data, and sensing signal data.

상기 음성 데이터는 댁 내의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30) 또는 경비실용 단말기(40) 또는 다른 세대의 세대용 단말기(10)로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30) 또는 경비실용 단말기(40) 또는 다른 세대의 세대용 단말기(10)로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키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로서, 상기 공동현관용 출입 제어 신호, 다른 세대의 주소(동 및 호 관련의 목적지 주소) 등과 관련된 데이터이다. 그리고, 상기 감지신호 데이터는 세대단말기에 연결된 방범, 가스, 화재 등의 감지기에서 발생한 신호 데이터이다.The voice data is data that a user in the home intends to transmit to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the guard terminal 40, or another generation generation terminal 10 through a microphone. The image data is data to be transferred to the common terminal 30, the guard terminal 40, or another generation of generation terminal 10. The key input data is data input by the user, and are data related to the entrance control signal for the common entrance, an address of another generation (destin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call and call), and the like. The detection signal data is signal data generated from a detector such as a crime prevention, gas, or fire connected to the gener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데이터들은 상기 송신 버퍼부(11)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되, 별도의 저장 공간에 개별적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송신 버퍼부(11)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 및 키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이 분할되어 구성된다. Such data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unit 11, but separately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That is, the transmission buffer unit 11 is divided into an area for storing audio data, an area for storing video data, and an area for storing key input data.

상기 버퍼부(11)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데이터 이동부(12)에 의하여 일정한 형식에 따라 출력된다. 즉, 상기 데이터 이동부(12)는 상기 버퍼부(11)에 일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합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이동부(12)는 음성 데이터를 먼저 순서대로 출력한 후,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출력),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혼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데이터들을 합성하여 출력).Data stored in the buffer unit 11 is output by the data moving unit 12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That is, the data moving unit 12 sequentially outputs or synthesizes the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unit 11. For example, the data moving unit 12 may output audio data in order first, and then output video data sequentially (output data sequentially), or may mix and output audio data and video data ( Synthesize data and output).

상기 데이터 이동부(12)는 상기 버퍼부(11)에 일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순차 또는 합성 출력하는 경우에는 각 데이터가 시작 또는 끝나는 부분에 식별 데이터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ata moving unit 12 sequentially or synthesizes the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unit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moving unit 12 add identification data to a portion where each data starts or ends.

즉, 음성 데이터를 먼저 출력한 후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는(순차 출력) 음성 데이터 앞에 음성 데이터임을 알리는 식별 데이터를 포함시켜 출력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모두 출력한 후에는 영상 데이터임을 알리는 식별 데이터를 포함시킨 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시킨다. 만약, 순서 없이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데이터 앞에 식별 데이터를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in the case of outputting audio data first and then outputting image data (sequential output), the identification data indicating audio data is included in front of the audio data for output, and after outputting all the audio data, the identification data indicating video data. After including the image data are sequentially output. If the audio data and the video data are synthesized out of order, the identification data may be included in front of each data to be output.

상기와 같이 데이터 이동부(1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은 상기 D/A 컨버터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 아날로그 신호는 2선을 통하여 상기 접속제어기(2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접속제어기(20)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은 분석 과정을 거쳐 해당 목적지로 전송된다. 즉, 상기 접속제어기(20)가 목적지 주소를 알아내어 해당 포트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들을 공동현관용 단말기(30) 또는 경비실용 단말기(40) 또는 다른 세대용 단말기(10)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data output from the data moving unit 12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D / A converter and output. This analo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through two wires. In this way, the data input to the access controller 20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That is, the access controller 20 finds the destination address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the guard terminal 40, or another terminal 10 through the corresponding port.

한편, 상기 세대용 단말기(10)는 상기 접속제어기(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한 수신모듈을 포함하는데,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들은 2선을 통하여 상기 접속제어기(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이다.Meanwhile, the generation terminal 10 includes a receiving module for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wherein the input data ar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through two wires. .

상기 2선을 통하여 상기 접속제어기(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은 아날로그 신호들이다. 따라서 먼저, 수신모듈에 포함되는 A/D 컨버터(14)에 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Data input from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through the two wires are analog signals. Therefore, first, the A / D converter 14 included in the receiving module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nd output.

상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들은 데이터 분리부(15)에 의하여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키 입력 데이터 및 각 종 감지 신호 데이터로 분리된다. 이와 같은 분리 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데이터가 포함되기 때문에 가능한다. 즉, 상기 데이터 분리부(15)는 입력되는 데이터들에 포함되는 식별 데이터를 참조하여 데이터들을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digital data are separated into audio data, video data and key input data and various sensing signal data by the data separating unit 15. This separation can be performed because, as described above, identification data for identifying each data is included. That is, the data separator 15 may separate and output the data by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data included in the input data.

상기 데이터 분리부(15)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들을 각각 분리되어 수신 버퍼부(16)에 저장된다. 이 수신 버퍼부(16)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제어부(미도시)의 판단 및 처리에 따라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 버퍼부(16)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LCD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 버퍼부(16)에 저장된 키 입력 및 감지 신호가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data separated and output from the data separator 15 are separated and stored in the reception buffer unit 16. The data stored in the reception buffer unit 16 may be output to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and processing of the controller (not shown).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reception buffer unit 16 may be output to the LCD. Meanwhile, if there is a key input and detection signal stored in the reception buffer unit 16, the control function and signal processing may be performed.

상기와 같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세대용 단말기(10)는 접속제어기(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출입통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30)도 2선으로 구축된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속제어기(20)와 2선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generation terminal 10 including the transmission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a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access control 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Therefore,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is also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onstructed with two wires, specifically, it is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by two wires.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30)는 상기 접속제어기(20)와 2선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때문에, 상기 세대용 단말기(10)가 포함하고 있는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30)에 포함되는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은 상술한 세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되는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분리되어 출력되는 키 입력 신호가 공동현관문 개폐 신호인 경우에는, 별도로 포함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공동현관문을 개폐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through two wires, the common terminal 30 includes a transmission module and a reception module included in the generation terminal 10. Since the transmission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included in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are the same as the transmission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included in the generation terminal 10 described abo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when the separated key input signal is the common door opening / closing signal, a control unit (not shown) which may be included separately may receive the key input signal to open and close the common door.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30)와 각 세대용 단말기(10) 간의 데이터 통신은 상기 접속제어기(20)의 중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제어기(20)는 상기 세대용 단말기(10) 및 공동현관용 단말기(30)와 각각 2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and each generation terminal 10 is performed by the relay of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is connected to the gener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in two lines, respectively, to control data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한편, 상기 접속제어기(20)에는 경비실용 단말기(40)가 2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경비실용 단말기(40)는 상기 접속제어기(20)에 2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세대용 단말기(10) 및 공동현관용 단말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경비실에서 세대용 단말기에 별도로 연결되는 방범, 가스, 화재 등의 감지기에서 발생한 이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세대용 단말기를 호출하여 통화할 수도 있다. 상기 공동현관용 단말기에서 수신된 영상의 확인과 통화를 할 수 있고, 아울러 출입 통제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비실용 단말기(40)도 상기 접속제어기(2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controller 40 for the guard room may be connected by two wires to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That is, the guard room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by two wires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gener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ceive an abnormal signal generated by a detector such as a crime prevention, gas, fire, etc., which is separately connected to the terminal for generation in the guard room, and can call by calling the terminal for gener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and call the im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for the common entrance, and also to control access. Since the guard terminal 40 also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access controller 20, the guard room terminal 40 includes a transmission module and a reception module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접속제어기(20)는 포트를 통하여 상기 세대용 단말기(10), 공동현관용 단말기(30) 및 경비실용 단말기(40)와 각각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제어기(20)는 각 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The connection controller 20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generation terminal 10,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and the guard room terminal 40 in a one-to-one manner through the port. In addition,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includes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to control data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즉, 상기 접속제어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 컨버터(21), 데이터 분석부(23) 및 D/A 컨버터(25)를 포함하고 있다. That is, the connection controller 20 includes an A / D converter 21, a data analyzer 23, and a D / A converter 25 as shown in FIG. 3.

상기 A/D 컨버터(21)는 2선을 통하여 상기 세대용 단말기(10), 공동현관용 단말기(30) 및 경비실용 단말기(40)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A / D converter 21 converts analog data input from the generation terminal 10,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30, and the guard terminal 40 through two wires and outputs the digital data.

상기 A/D 컨버터(2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데이터 분석부(23)에서 분석되어 해당 포트로 출력된다. 즉, 상기 데이터 분석부(23)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목적지 주소를 알아낸다. 상기 목적지 주소는 각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판별되거나, 각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전송될 때 생성되어 함께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판별될 수 있다. The digital data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21 is analyzed by the data analyzer 23 and output to the corresponding port. That is, the data analyzer 23 analyzes the converted digital data to find a destination address. The destination address may be determined through data input using a keypad of each terminal, or may be determined through data generated and transmitted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each terminal.

상기 데이터 분석부(23)는 상기 목적지 주소를 알아낸 후에는 해당 포트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디지털 데이터는 2선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D/A 컨버터(25)에 의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D/A 컨버터(25)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 터로 변환하여 상기 2선을 통해 해당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목적지 주소는 각각의 포트와 일대일 매칭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는 해당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After finding the destination address, the data analyzer 23 outputs the digital data to the corresponding port. This digital data is converted into analog data by the D / A converter 25 and outputted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wo lines. That is, the D / A converter 25 converts digital data output from the data analyzer into analog data and transmits the analog data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rough the two wires. Since the destination address is one-to-one with each port, digital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상술한 구성들에 의하여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을 구성하면, 이미 아파트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을 제거하지 않고, 기존의 2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2선으로 공동현관 출입을 통제하고 무인 경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existing two wires without removing the wiring already formed in the apartment, and consequently, access to the common entrance with two wires. Can control and perform unmanned security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wo-line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대용 단말기, 공동현관용 단말기 및 경비실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a generation, a terminal for a common entrance, and a terminal for a guard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제어기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connectio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2선으로 구축된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각 세대에 설치되되,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키입력 데이터들을 분할하여 저장하는 송신 버퍼부, 상기 송신 버퍼부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키입력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합성하여 출력하되, 각 데이터가 시작 또는 끝나는 부분에 식별데이터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이동부 및 상기 데이터 이동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2선으로 출력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송신모듈과, 상기 접속제어기로부터 2선을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 상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들로부터 식별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및 키입력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분리부, 상기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키입력 데이터들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수신 버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신모듈로 구성되는 세대용 단말기;A transmission buffer unit which is installed in each generation by being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 access control system constructed of two wires, and divides and stores the input audio data, image data, and key input data, and the audio data and image data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unit. A data moving unit for sequentially outputting or synthesizing the key input data, and adding identification data to a portion at which each data starts or ends, and converts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oving unit into an analog signal and converts the data into an analog signal. A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a D / A converter for outputting a digital signal,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wo wires from the connection controller into digital data, and outputting identification data from the output digital data Separate audio data, video data and key input data using Data separating section, for a three terminal consisting of the audio data, video data, receiving module,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ing buffer for storing separately the key input data output from the data separation unit; 2선으로 구축된 출입 통제 시스템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각 공동현관에 설치되되,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키입력 데이터들을 분할하여 저장하는 송신 버퍼부, 상기 송신 버퍼부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키입력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합성하여 출력하되, 각 데이터가 시작 또는 끝나는 부분에 식별데이터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이동부 및 상기 데이터 이동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2선으로 출력하는 D/A 컨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송신모듈과, 상기 접속제어기로부터 2선을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 상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식별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및 키입력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분리부, 상기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키입력 데이터들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수신 버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신모듈로 구성되는 공동현관용 단말기;I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onstructed with two wires and installed in each common entrance, and includes: a transmission buffer unit for dividing and storing input audio data, image data, and key input data; audio data and image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unit Data or key input data are sequentially output or synthesized and output, the data moving unit for adding identification data to the beginning or end of each data and output the data moving unit and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moving unit 2 A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a D / A converter for outputting a line,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wo lines from the connection controller into digital data, and outputting identification data from the output digital data By separating the audio data, image data and key input data using A common entrance terminal comprising a reception module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separation unit for outputting and a reception buffer unit for separating and storing the audio data, the image data, and the key input data output from the data separation unit; 상기 세대용 단말기 및 공동현관용 단말기와 2선으로 각각 포트를 통하여 일대일 연결되어,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되,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목적지 주소를 알아낸 후, 해당 포트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2선으로 출력하는 D/A 컨버터로 구성되는 접속제어기;A / D converter for one-to-one connection to the household terminal and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through two ports, respectively, to control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converting an input analog signal into digital data, and converting the converted digital data. After the destination address is analyzed and analyzed, the data analysis unit outputs the digital data to the corresponding port, and the D / A converter converts the digital data outputted from the data analysis unit into analog data and outputs it in two lines. Controller; 상기 접속제어기에 2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세대용 단말기 및 공동현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키입력 데이터들을 분할하여 저장하는 송신 버퍼부, 상기 송신 버퍼부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키입력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합성하여 출력하되, 각 데이터가 시작 또는 끝나는 부분에 식별데이터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이동부 및 상기 데이터 이동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2선으로 출력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송신모듈과, 상기 접속제어기로부터 2선을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 상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식별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및 키입력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분리부, 상기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들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수신 버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신모듈로 구성되는 경비실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선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A transmission buffer unit which divides and stores the input audio data, video data, and key input data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troller in two lines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generation terminal and the common entranc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buffer unit. A data moving unit for outputting audio data, video data, and key input data stored in Sequentially or synthesized, and adding identification data to the beginning or end of each data and outputting the data. A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two lines and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from the connection controller through two lines into digital data and outputting the digital data; Audio data and video data using identification data from digital data And a security terminal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separate and output key input data and a reception module configured to separate and store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separation unit. 2-wire based access control system.
KR1020090005212A 2009-01-21 2009-01-21 Entr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wo line KR200900910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12A KR20090091007A (en) 2009-01-21 2009-01-21 Entr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wo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12A KR20090091007A (en) 2009-01-21 2009-01-21 Entr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wo l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735 Division 2008-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007A true KR20090091007A (en) 2009-08-26

Family

ID=4120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212A KR20090091007A (en) 2009-01-21 2009-01-21 Entr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wo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100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492A (en)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코맥스 Converter For Video Phone Is Equipped Exit And Entrance Control System
JP2019054446A (en) * 2017-09-15 2019-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obby entrance handset, door 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2117676A (en) * 2020-09-27 2020-12-22 福州浩海新技术开发有限公司 Intensive switch cabinet grou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492A (en)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코맥스 Converter For Video Phone Is Equipped Exit And Entrance Control System
JP2019054446A (en) * 2017-09-15 2019-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obby entrance handset, door 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2117676A (en) * 2020-09-27 2020-12-22 福州浩海新技术开发有限公司 Intensive switch cabinet grou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4403B2 (en) Security system control module
JP4622656B2 (en) Intercom system for housing complex
KR20090091007A (en) Entr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wo line
JP5097136B2 (en) Housing and protection-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nursing environment, office, etc.
JP2006222885A (en) Interphone system for multiple dwelling houses, and common space apparatus thereof
KR100918040B1 (en) The control method of intelligent home automation system which has a multi function, including the remote controll
KR100813162B1 (en) System for security of individual house-hold in public dwelling
JP4995036B2 (en) Apartment house intercom system and intercom system
JP4586647B2 (en) Intercom system for housing complex
KR100613417B1 (en) Combination broadcasting system
EP3367652B1 (en) Distributor, door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3128192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com system for multiple dwelling house
JP2005260359A (en) Monitoring/speech system for multiple dwelling house
KR100932530B1 (en) Common entrance access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KR100555404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video signal of common porch in apartment house
KR200454715Y1 (en) Unmanned security system including VoIP joint hall and DTMF receiver.
KR100747717B1 (en) A gathering hous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498136B1 (en) Security system based on local area network
JPH0560700B2 (en)
EP3367653B1 (en) Lobby interphone, door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631129B1 (en) Smart Home Automation System
KR1004470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function wireless video-phone
KR200328800Y1 (en) Security apparatus based on local area network
JP2019193236A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for communication system
KR100695506B1 (en) Multi-function multiplexer in house terminal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