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666A - 전동식 전지가위 - Google Patents

전동식 전지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666A
KR20090090666A KR1020080016022A KR20080016022A KR20090090666A KR 20090090666 A KR20090090666 A KR 20090090666A KR 1020080016022 A KR1020080016022 A KR 1020080016022A KR 20080016022 A KR20080016022 A KR 20080016022A KR 20090090666 A KR20090090666 A KR 20090090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uning shears
housing
connecting rod
rotar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378B1 (ko
Inventor
박동수
Original Assignee
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수 filed Critical 박동수
Priority to KR102008001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3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 A01G3/037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the driving means being an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5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elongated or extended handles
    • A01G3/0255Tree pruners, i.e. pruning shears carried at the end of a po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날을 무선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작동스위치와 배터리를 연결하였던 전선을 없앨 수 있다는 점, 작동스위치의 누름횟수에 비례하여 절단날이 동작된다는 점, 무게가 경량이라는 점, 절단동작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절단동작을 멈춤으로써 절단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 등에 특징으로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지가위유닛과, 상기 전지가위유닛을 구동시켜주는 구동유닛으로 구성된 전동식 전지가위로서,
상기 전지가위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설치되는 고정날 및 회전날과, 상기 회전날에 연결되는 수 개의 링크들과, 상기 링크들중 최종 링크와 연결되어 링크들을 동작시켜주는 커넥팅 로드와, 상기 커넥팅 로드의 후단에 연결되어 커넥팅 로드를 후퇴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와이어와, 상기 커넥팅 로드 상에 설치되어 커넥팅 로드를 탄성력에 의해 전진시켜주는 탄성부재와, 후술될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 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과, 상기 캠에 의해 회동운동되되 최종 링크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링크들과,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이다.
전지가위, 전동식 전지가위

Description

전동식 전지가위{CARRIED PRUNING SHEARS}
본 발명은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절단날을 무선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작동스위치와 배터리를 연결하였던 전선을 없앨 수 있다는 점, 작동스위치의 누름횟수에 비례하여 절단날이 동작된다는 점, 무게가 경량이라는 점, 절단동작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절단동작을 멈춤으로써 절단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 등에 특징으로 갖는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가위는 조경 또는 산림분야에서 각종 작물의 순이나 유실수 또는 관상수 등의 가지치기를 할 때 사용되는 도구이다.
수동식 전지가위는 절단작업에 힘이 들어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식 전지가위가 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동식 전지가위의 일예(국내특허등록 제10-779515호)를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듯이 종래의 전동식 전지가위는 배터리(alehtl),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1),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3), 상기 기어(3)의 회전에 의해 원운동하는 제1캠(5), 일단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캠(5)에 접촉되어 상기 제1캠의 유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는 제2캠(7),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메인스위치(미도시), 상기 배터리와 상기 모터와 상기 기어와 상기 제1캠과 상기 제2캠 및 상기 메인스위치가 수용되는 케이스(11)가 구비되어 있는 구동부(13);
몸체(15),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고정칼날(17), 상기 고정칼날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칼날(19), 상기 회전칼날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칼날을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하는 복원스프링(21), 상기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손잡이(23), 상기 손잡이의 외측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25)가 구비되어 있는 절단부(27);
일단이 상기 제2캠(7)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와이어(29), 일단이 상기 회전칼날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체인(31),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과 결합되는 스프라켓(33)이 구비되어 있는 힘전달부(35);
상기 구동부(13)에 결합되는 멜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캠(7)은 상기 제1캠(5)의 제1회전구간에서는 상기 회전칼날(19)을 회전동작시키고, 제2회전구간에서는 상기 복원스프링(21)에 의해 복원동작을 수행하고, 제3회전구간에서는 복원된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동식 전지가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째, 유선방식인 관계로 보호튜브(39)의 내부로 와이어(29)와 전원케이블(41)이 함께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전지가위의 움직임이 원활치 않아서 작업이 용이치 못하다.
둘 째, 작동스위치(25)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회전칼날(19)이 계속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위험할 수 있다.
세 째, 무리한 굵기의 가지를 자를 때 회전칼날(19)이 멈춤없이 무리하게 작동됨으로써 회전칼날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네 째, 회전칼날(19)을 구동시키기 위한 체인(31) 및 스프라켓(33)이 노출되어 있어서 절단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1은 절단날을 무선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작동스위치와 배터리를 연결하였던 전선을 없앨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2는, 작동스위치를 1회 눌렀을 때 절단날이 계속적으로 동작되지 않고 1회만 동작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이 고려된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3은, 외부가 플라스틱 커버로 커버링 되어 있어서 내부 작동수단이 작업자와 접촉됨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무게가 경량화된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4는, 절단동작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절단동작을 멈춤에 따라 회전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5는, 몸체부에 배터리 잔량, 회전날의 동작횟수, 모터의 전압, 회전날의 속도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현재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6은, 전지가위를 권총형으로 함으로써 파지 및 조작의 편리성이 향상된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원이 청구항 1에서와 같이,
전지가위유닛과, 상기 전지가위유닛을 구동시켜주는 구동유닛으로 구성된 전동식 전지가위로서,
상기 전지가위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설치되는 고정날 및 회전날과, 상기 회전날에 연결되는 수 개의 링크들과, 상기 링크들중 최종 링크와 연결되어 링크들을 동작시켜주는 커넥팅 로드와, 상기 커넥팅 로드의 후단에 연결되어 커넥팅 로드를 후퇴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와이어와, 상기 커넥팅 로드 상에 설치되어 커넥팅 로드를 탄성력에 의해 전진시켜주는 탄성부재와, 후술될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과, 상기 캠에 의해 회동운동되되 최종 링크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링크들과,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이다.
본원의 청구항 2에서와 같이,
상기 전지가위유닛에는 상기 작동스위치의 누름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유닛의 제어부에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주는 송신부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이다.
본원의 청구항 3에서와 같이,
상기 전지가위유닛의 하우징은 플라스틱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이다.
본원의 청구항 4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에는 상기 회전날의 스피드, 회전날의 동작횟수,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이다.
본원의 청구항 5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날은, 상기 작동스위치의 누름횟수와 동일한 휫수만큼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이다.
본원의 청구항 6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날에 의해 대상물을 절단할 때, 그 절단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절단을 시행하지 않고 회전날이 원상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이다.
본원의 청구항 7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회전속도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이다.
본원의 청구항 8에서와 같이,
상기 전지가위유닛의 하우징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는 하우징의 후방부 또는 하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이다.
본 발명은 절단날을 무선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작동스위치와 배터리를 연결 하였던 전선을 없앰으로써 전지가위유닛의 움직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작동스위치를 1회 눌렀을 때 절단날이 계속적으로 동작되지 않고 1회만 동작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외부가 플라스틱 커버로 커버링 되어 있어서 내부 작동수단이 작업자와 접촉됨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무게가 경량화되었다.
또한, 절단동작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절단동작을 멈춤에 따라 절단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에 배터리 잔량, 절단날의 동작횟수, 모터의 전압, 절단날의 속도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현재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지가위를 권총형으로 함으로써 파지 및 조작의 편리성이 향상되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전지가위유닛의 세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작동전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작동후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전지가위유닛 의 다른 형태도이다.
상기 첨부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식 전지가위는 절단행위를 하는 전지가위유닛(100)과, 상기 전지가위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2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지가위유닛(100)은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에 설치되는 고정날(120) 및 회전날(122)과, 상기 회전날(122)에 연결되는 수 개의 링크들(130)과, 상기 링크들중 최종 링크와 연결되어 링크들을 동작시켜주는 커넥팅 로드(140)와, 상기 커넥팅 로드를 후퇴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와이어(150)와, 상기 커넥팅 로드 상에 설치되어 커넥팅 로드를 탄성력에 의해 전진시켜주는 탄성부재(160)와, 후술될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스위치(1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은 가볍고 적정한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들(130)은 상기 회전날(122)의 후단에 핀 결합되며 도면상 상하단이 모두 움직이는 제1링크(132)와, 상기 제1링크의 도면상 하단에 자신의 하단이 핀 결합되며, 중앙부는 상기 하우징(110)에 힌지 결합된 제2링크(134)와, 상기 제2링크(134)의 상단에 자신의 선단이 핀 결합되며 후단에는 상기 와이어(150)가 결합되는 제3링크(13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는 전지가위유닛(100)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12)가 구비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110)의 후방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자의 경우는 하우징이 권총형상을 이루게 되어 좀더 안정된 자세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200)은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되는 배터리(210)와, 상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에 의해 회전되는 캠(230)과, 상기 캠에 의해 회동운동되되 최종 링크는 상기 와이어(150)와 연결되는 링크들(240)과, 상기 구동모터(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들(240)은 상기 캠(230)에 고정되는 돌출턱(242)과, 일단은 상기 돌출턱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220)가 지지되는 구조물(113)에 핀 결합되는 제4링크(244)로 구성되며, 상기 제4링크(244)의 상기 돌출턱(242)와 접촉되는 부위의 이면에는 상기 와이어(150)와 연결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152는 와이어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피복제이다.
또 한편, 상기 전지가위유닛(100)에는 상기 작동스위치(170)의 누름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8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닛(200)의 제어부(250)에는 상기 수신부(180)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20)를 작동시켜주는 송신부(2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122)은 상기 작동스위치(170)의 누름횟수와 동일한 횟수만큼 동작된다. 이는 제어부(250)에서 구동모터(220)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상기 회전날(122)에 의해 대상물을 절단할 때, 그 절단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절단을 시행하지 않고 회전날이 원상으로 복귀된다. 이 역시 제어부(250)에 의해 구동모터(220)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렇게 제어하는 이유는 회전날(122)이 무리하게 대상물을 절단할 경우 회전날(122) 및 고정날(120)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날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200)에는 상기 회전날(122)의 스피드, 회전날(122)의 동작횟수, 배터리(210)의 잔량, 구동모터(200)의 전압 등을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260)가 구비되어 있어서, 현재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되는 항목은 편의에 따라 더 추가하거나 삭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200)에는 구동모터(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회전속도 조절노브(270)가 설치되어 있어서 대상물의 두께 및 종류에 따라 구동모터(220)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전지가위유닛(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170)를 누르면, 그 누름신호가 수신부(180)로 전달되고, 수신부(180)의 신호는 송신부(252)로 전달되어 제어부(250)에 의해 구동모터(200)가 작동된다.
구동모터(200)가 회전구동되면, 구동모터에 직결된 캠(230)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접촉된 제4링크(244)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에 연결된 와이어(150)를 후방향으로 당기게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150)의 당김력에 의해 이에 연결된 전지가위유닛(100)의 커넥팅 로드(140)가 후퇴되고, 이에 연속적으로 연계된 제3링크(136)는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변화되고, 이로 인해 제2링크(13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링크(1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국, 상기 제1링크(132)의 회동으로 인해 이에 연결된 회전날(122)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고정날(120)을 향해 접근함으로써 회전날(122)과 고정날(120) 사이에 위치하는 대상물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후에는 탄성부재(160)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60)가 인장되면서 커넥팅 로드(140)를 전진시켜주고, 이에 연계된 제3,2,1링크(136,134,132)를 차례로 동작시켜서 최종 제1링크(132)에 연결된 회전날(122)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날(122)과 고정날(120)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최초의 상태가 된다.
도 1은 종래 전지가위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전지가위유닛의 세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작동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작동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전지가위유닛의 다른 형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지가위유닛 110 : 하우징
120 : 고정날 122 : 회전날
130 : 링크들 140 : 커넥팅 로드
150 : 와이어 160 : 탄성부재
170 : 작동스위치 200 : 구동유닛
210 : 배터리 220 : 구동모터
240 : 링크들 250 : 제어부
260 : 디스플레이부 270 : 조절노브

Claims (8)

  1. 전지가위유닛과, 상기 전지가위유닛을 구동시켜주는 구동유닛으로 구성된 전동식 전지가위로서,
    상기 전지가위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설치되는 고정날 및 회전날과, 상기 회전날에 연결되는 수 개의 링크들과, 상기 링크들중 최종 링크와 연결되어 링크들을 동작시켜주는 커넥팅 로드와, 상기 커넥팅 로드의 후단에 연결되어 커넥팅 로드를 후퇴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와이어와, 상기 커넥팅 로드 상에 설치되어 커넥팅 로드를 탄성력에 의해 전진시켜주는 탄성부재와, 후술될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과, 상기 캠에 의해 회동운동되되 최종 링크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링크들과,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가위유닛에는 상기 작동스위치의 누름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유닛의 제어부에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구 동모터를 작동시켜주는 송신부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가위유닛의 하우징은 플라스틱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에는 상기 회전날의 스피드, 회전날의 동작횟수,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은, 상기 작동스위치의 누름횟수와 동일한 휫수만큼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에 의해 대상물을 절단할 때, 그 절단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절단을 시행하지 않고 회전날이 원상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회전속도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가위유닛의 하우징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는 하우징의 후방부 또는 하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KR1020080016022A 2008-02-21 2008-02-21 전동식 전지가위 KR10100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022A KR101009378B1 (ko) 2008-02-21 2008-02-21 전동식 전지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022A KR101009378B1 (ko) 2008-02-21 2008-02-21 전동식 전지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666A true KR20090090666A (ko) 2009-08-26
KR101009378B1 KR101009378B1 (ko) 2011-01-21

Family

ID=4120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022A KR101009378B1 (ko) 2008-02-21 2008-02-21 전동식 전지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3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3949A (zh) * 2011-12-09 2012-07-04 宁波新港工具有限公司 剪枝机
CN103283510A (zh) * 2013-06-13 2013-09-11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枪形疏果剪
WO2016114505A1 (ko) * 2015-01-16 2016-07-21 한운선 전동식 전지가위
KR20200025071A (ko) * 2018-08-29 2020-03-10 (주)태림기연 휴대용 자동 적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377B1 (ko) * 2013-08-21 2015-05-13 나윤경 자동 전지 가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227A (ko) * 2001-10-12 2001-12-12 신춘식 휴대용 전동 전지가위
KR100432397B1 (ko) * 2002-04-11 2004-05-28 이해동 자동전지가위
KR100779515B1 (ko) 2006-11-20 2007-11-28 주식회사 월드에너지 휴대용 전지가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3949A (zh) * 2011-12-09 2012-07-04 宁波新港工具有限公司 剪枝机
CN103283510A (zh) * 2013-06-13 2013-09-11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枪形疏果剪
WO2016114505A1 (ko) * 2015-01-16 2016-07-21 한운선 전동식 전지가위
KR20200025071A (ko) * 2018-08-29 2020-03-10 (주)태림기연 휴대용 자동 적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378B1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29B1 (ko) 2개의 샤프트를 갖는 기계화된 휴대용 전기 공구
KR101009378B1 (ko) 전동식 전지가위
CN201830692U (zh) 具有可旋转的后部把手的绿篱修剪器
EP3273767B1 (en) Dual direction trimmer with self detection capability
CN204217534U (zh) 往复式电动工具
CN102811605B (zh) 绿篱修剪机
EP1747710A1 (en) Pruning assembly
CN102656657B (zh) 具有启动指示装置的电动手持工具
US20110258859A1 (en) Cutting device and method
JP2010540258A5 (ko)
KR101713622B1 (ko) 안전밴드가 구비된 전지가위
CN101584288B (zh) 手持式工具
KR100779515B1 (ko) 휴대용 전지가위
EP2914089B1 (en) Power tool with status indicator
KR100432397B1 (ko) 자동전지가위
AU2011101130A4 (en) Hedge Trimmer
GB2325387A (en) Hedge trimmer
EP1040752A3 (en) Foot operated cutting device
CN110125882B (zh) 用于电驱动式园林工具的开关装置
EP1747712A1 (en) Mechanized pruning device
US20160141847A1 (en) Remote tool device
US20210124335A1 (en) Hand-Guided Garden, Forestry and/or Construction Wo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Hand-Guided Garden, Forestry and/or Construction Working Apparatus
KR200458171Y1 (ko) 전동식 마늘종 절단장치
JP3196477U (ja) 園芸用バリカン装置
KR101174640B1 (ko) 자동전지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